KR20140111418A - Wban 네트워크의 전력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Wban 네트워크의 전력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1418A
KR20140111418A KR1020130025515A KR20130025515A KR20140111418A KR 20140111418 A KR20140111418 A KR 20140111418A KR 1020130025515 A KR1020130025515 A KR 1020130025515A KR 20130025515 A KR20130025515 A KR 20130025515A KR 20140111418 A KR20140111418 A KR 20140111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terminal
channel
node
inter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5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1058B1 (ko
Inventor
최준성
김정곤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25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058B1/ko
Publication of KR20140111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no transmission is received, e.g. out of range of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와 센서가 상호 채널을 형성할 때만 웨이크-업(Wake-up)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 및 센서의 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센서 네트워크의 전력 제어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1센서 및 제2센서와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로부터 비콘(Becon)을 수신하여 제1센서와 제2센서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시간 정보 및 데이터의 크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전송시간 정보를 토대로 제1센서 및 제2센서에 대한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시간 동기화된 제1센서와 제2센서에 대한 채널구간을 할당하기 위한 채널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채널 스케줄을 참조하여 채널 형성이 요구되는 채널구간에서 단말기, 제1센서 및 제2센서를 구동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WBAN 네트워크의 전력 제어방법{Power control method for sensor network}
본 발명은 WBAN 네트워크의 전력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와 마스터 장치 사이에 데이터 통신이 요구될 때에만 통신 채널을 형성토록 함으로써 WBAN 네트워크에서 마스터 장치와 센서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데 소모하는 전력을 최소화하는 센서 네트워크의 전력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은 IEEE 802.15.6에 의해 정의되는 통신 규격으로, 인체 내부에 이식된 의료 장치나, 인체에 부착되는 노드(예컨대, 센서)와 마스터 장치가 수 센티미터 내지 수 미터의 통신 반경을 가지는 인체용 근거리 무선통신 규격을 지칭한다.
WBAN 통신 규격은 노드가 인체 내부에 이식되거나, 인체에 부착되어 이용되므로 노드의 충전과 교체가 쉽지 않은 바, 장시간 운용이 요구된다. 따라서, WBAN 통신 규격은 높은 통신 신뢰성과 통신에 소요되는 전력이 최소화될 것이 요구된다.
IEEE 802.15.6에 의해 정의되는 WBAN 규격의 MAC 계층은 비콘(Beacon)을 이용한 타임 슬롯 분배방식에 따르며, 크게, EAP(Exclusive Access Period) 구간, RAP(Random Acceess Period) 구간 및 Type-I/II 구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IEEE 802.15.6의 프레임 구조는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IEEE 802.15.6 규격에 따른 프레임은, EAP 구간, RAP 구간, Type-I/II 구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마스터 장치와 네트워크 연결되는 각 노드는 마스터 장치에 마련되어 각 노드의 통신을 제어하는 코디네이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각 노드는 코디네이터에서 제공하는 비콘(Becon)을 수신하여, EAP, RAP,Type-I/II 구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각 구간별 제어방식에 따라 자신의 데이터를 마스터 장치로 업로드(Upload) 하거나, 다운로드(Download)할 수 있다.
이때, Type-I/II는 EAP와 RAP 에서 데이터를 송신하지 못한 노드들을 위하여 코디네이터가 제어하는 폴링(Polling) 방식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구간에 해당한다.
그러나, 마스터 장치와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 노드는 EAP 구간 및 RAP 구간에서 마스터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위해 타 노드들과 경쟁하여야 하고, 만일 TYPE-i/ii 구간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해야하는 경우에는 코디네이터의 폴링(Polling)을 대기해야 하므로 노드는 데이터를 송수신하지 않는 동안에도 전력을 소모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한국통신학회논문지에서 2012년 6월 발간된 논문번호 12-37A-06-01 "Wearable 장치를 사용하는 WBAN 환경에서 장치 간 비대칭적 에너지 효율과 QoS를 위한 MAC 제안"에서는 WBAN 환경에서 신체 부착형 센서와 이들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마스터 장치가 IEEE 802.15.6에서 정의되는 WBAN의 슈퍼프레임 구조에서 GTS(Garuanted Time Slot)를 노드에 할당하는 방식을 개선함으로써 노드의 전력소모를 감소시키도록 한다. 그러나, 논문번호 12-37A-06-01의 "Wearable 장치를 사용하는 WBAN 환경에서 장치 간 비대칭적 에너지 효율과 QoS를 위한 MAC 제안"은 노드와 마스터 장치 사이의 채널 경쟁에 의한 전력 손실을 감소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와 마스터 장치 사이에 데이터 통신이 요구될 때에만 통신 채널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서 WBAN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서와 마스터 장치의 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센서 네트워크의 전력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1센서 및 제2센서와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로부터 비콘(Becon)을 수신하여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시간 정보 및 데이터의 크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전송시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에 대한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시간 동기화된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에 대한 채널구간을 할당하기 위한 채널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 스케줄을 참조하여 채널 형성이 요구되는 시 구간에서 상기 단말기,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를 구동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와 센서가 상호 채널을 형성할 때만 웨이크-업(Wake-up)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 및 센서의 전력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WBAN 규격에서 이용되는 슈퍼프레임에 대한 프레임 규격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센서 네트워크에서 단말기와 센서의 채널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과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의 동작 과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단말기에 의해 EAP 구간과 RAP 구간의 위치를 변경하는 일 예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노드(Node)는 단말기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단말기와 무선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센서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노드는 인체에 이식되거나, 부착되거나, 인체가 착용하는 의류에 부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단말기는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을 이용하여 노드와 무선 접속되는 장치로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노드들과 무선 네트워크를 이루고, 노드들로부터 제공되는 무선 데이터를 수신 및 처리 가능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노드(10a, 10b 및 10c)는 인체에 이식되거나, 인체에 부착되거나, 또는 의복에 부착되는 형태일 수 있다. 노드(10a, 10b 및 10c)는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 통신을 이용하여 단말기(1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단말기(1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전송시간 정보(TS1 ∼ TS3)를 제공할 수 있다. 전송시간 정보(TS1 ∼ TS3)는 노드(10a, 10b 및 10c)에서 단말기(10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간으로, 절대시간이 아닌 상대시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노드(10a, 10b 및 10c)에서 단말기(100)로 제공되는 전송시간 정보는, 노드(10a, 10b 및 10c)에서 단말기(100)로 어느 정도의 시간 이후에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노드(10a, 10b 및 10c)가 단말기(100)로 제공하는 전송시간 정보는, 단말기로 전송시간 정보를 전송하는 시간을 기준으로 5초 후에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각 노드(10a, 10b 및 10c)가 상대시간으로 정의되는 전송시간 정보를 단말기(100)에 제공하면, 단말기(100)는 각 노드(10a, 10b 및 10c)에서 제공되는 상대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시간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시간 동기화는 각 노드(10a, 10b 및 10c)에서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전송시간 정보를 RTC(Real Time Clock)에 따른 절대시간으로 바꾸어 타임 테이블에 배치하거나, 노드(10a, 10b 및 10c)들 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되는 전송시간 정보가 도착하는 시간을 기준으로 각 노드(10a, 10b 및 10c)에서 데이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시간을 순차로 정의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100)는 어느 시간대에 어느 노드(10a, 10b 및 10c 중 하나)가 데이터를 전송하는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에서, 단말기(100)는 타임 테이블에서 액티브 구간에 전송시간 정보(TS 1, TS 2 및 TS 3)에 따른 채널구간(DS1, DS2 및 DS3)을 배치하고, 노드(10a, 10b 및 10c)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활성화 구간(Active Period)에서만 단말기(100)를 구동 상태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IEEE 802. 15.6 규격의 슈퍼 프레임은 본 발명에 따라 액티브 구간(Active period)와 타입 I/II 구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타입 I/II 구간에서는 노드(10a, 10b, 10c)와 단말기(100) 사이에 데이터 전송이 없거나, 또는 매우 제한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액티브 구간(Active period)은 IEEE 802.15.6 규격의 슈퍼프레임 구조에서 EAP1, RAP1, EAP2, RAP2 구간을 포괄하는 구간일 수 있다. 반면, 타입 I/II 구간은 그 크기가 본래 IEEE 802.15.6에서 규정된 것에 비해 작을 수 있다. 이는 단말기(100)와 노드(10a, 10b 및 10c) 사이의 데이터 통신이 주로 액티브 구간에서 이루어지는데 따른 것이다. 따라서, 타입 I/II 구간은 실제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보다는 단말기(100)와 노드(10a, 10b 및 10c)가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시간대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IEEE 802.15.6 규격에 따른 슈퍼프레임은 필요에 따라 EAP 구간과 RAP 구간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EAP 구간과 RAP 구간의 변경은 노드(10a, 10b 및 10c)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100)가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으로, 데이터 전송이 요구되는 구간만을 모아 단말기(100)가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을 최소화한다. 이는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단말기(100)에 의해 EAP 구간과 RAP 구간의 위치를 변경하는 일 예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도 7의 (a)는 IEEE 802.15.6 규격에 따른 슈퍼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7의 (a)에서 슈퍼프레임은 EAP(Exclusive Access Period) 1, RAP(Random Access Period) 1, EAP(Exclusive Access Period) 2 및 RAP(Random Access Period) 2 구간을 포함한다. 만일, EAP 1구간과 EAP 2 구간에서만 단말기(100)와 노드(10a, 10b 및 10c) 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고 가정할 때, 단말기(100)는 RAP 1 구간에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러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단말기(100)는 슈퍼 프레임의 구조를 변경할 수 있는데, 이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도 7의 (a)에 도시된 EAP 2 구간을 EAP 1 구간과 이웃하게 배치함으로써 이웃하게 배치된 EAP 1 구간과 EAP 2 구간에서만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단말기(100)가 노드(10a, 10b 및 10c)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나머지 시간동안에는 슬립 모드를 유지함으로써 단말기(100)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0)는 노드(10a)와는 전송시간 정보(TS 1)에 따른 채널구간(DS1)에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노드(10b)와는 전송시간 정보(TS 2)에 따른 채널구간(DS2)에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노드(10c)와는 전송시간 정보(TS 3)에 따른 채널구간(DS3)에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따라서, 단말기(100)는 활성화 구간(Active Period)에서 구동 상태이며, 비 활성화 구간(Sleep Period)에서는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되어 전력 소모가 최소화된다.
한편, 노드(10a)는 전송시간 정보(TS 1)에 따른 채널구간(DS1)에서만 웨이크-업 되어 단말기(1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노드(10a)는 전송시간 정보(TS 1)에 따른 채널구간(DS1)을 제외한 나머지 채널구간에서는 슬립 모드를 유지하므로, 단말기(100)와 데이터 전송을 하지 않는 나머지 시간대에는 전력소모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노드(10b)는 전송시간 정보(TS 2)에 따른 채널구간(DS2)을 제외한 나머지 채널구간에서는 슬립 모드를 유지하며, 노드(10c)는 전송시간 정보(TS 3)에 따른 채널구간(DS3)을 제외한 나머지 채널구간에서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바, 각 노드(10a, 10b 및 10c)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채널구간(DS 1, DS2 및 DS3)에서만 데이터 통신을 위해 웨이크-업(Wake-up) 상태를 유지하고 이때만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전력이 소모되는 것이다. 다만, 단말기(100)는 각 노드(10a, 10b 및 10c) 모두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해야 하므로, 전송시간 정보(TS 1, TS 2 및 TS 3)에 따른 채널구간(DS1, DS2 및 DS3)에서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단말기(100)가 각 채널구간(DS1, DS2, DS3) 사이의 간격을 줄이도록 채널구간(DS1, DS2 및 DS3)의 배치를 최적화할 경우, 단말기(100)가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단말기(100)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무선 네트워크에서 단말기와 노드의 채널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노드(10a)가 제공한 전송시간 정보(TS 1)보다 TR1 시간만큼 사전에 웨이크-업(Wake-up)하여 활성화 상태를 유지한다.
즉, 단말기(100)가 노드(10a)보다 먼저 웨이크 업되어 활성화 상태를 유지한다. 이를 통해 단말기(100)는 노드(10a)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 데이터를 수신할 준비를 할 수 있다.
단말기(100)의 웨이크-업 구간(Wake-up period)에서 단말기(100)는 이후, 노드(10b) 및 노드(10c)와 차례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각 노드(10a, 10b 및 10c)와의 데이터 통신기간 동안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단말기(100)는 웨이크-업 구간(Wake-up period) 동안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하나, 노드(10a)는 전송시간 정보(TS 1)에 따른 채널구간(DS1) 동안만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하고, 노드(10b)는 전송시간 정보(TS 2)에 따른 채널구간(DS2) 동안만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하며, 노드(10c)는 전송시간 정보(TS 3)에 따른 채널구간(DS3) 동안만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단말기(100)는 각 노드(10a, 10b 및 10c)의 채널구간(DS1, DS2 및 DS3)을 이웃하게 배열하여 단말기(100)의 웨이크-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단말기(100)는 각 노드(10a, 10b 및 10c)에 할당하는 채널구간(DS1, DS2 및 DS3)을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도록 설정하고, 각 노드(10a, 10b 및 10c)에 할당한 채널구간(DS1, DS2 및 DS3)을 각 노드(10a, 10b 및 10c)로 통보하여 각 노드(10a, 10b 및 10c)가 단말기(100)에서 통보한 채널구간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0)는 각 노드(10a, 10b 및 10c)에게 지연시간 정보를 줄 수 있는데, 지연시간 정보는 단말기(100)에서 각 노드(10a, 10b 및 10c)로 전송한 채널구간 정보에 포함되며, 채널구간 정보를 발송한 이후, 어느 정도의 시간(예컨대 수 ms) 이후에 노드(10a, 10b 및 10c)가 단말기(100)로 데이터를 전송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시간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이는, 노드(10a, 10b 및 10c)는 자체 RTC(Real Time Clock)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으며, 노드(10a, 10b 및 10c)는 단말기(100)로부터 채널구간 정보를 수신한 시간을 기준으로 지연시간 정보만큼 딜레이 후, 단말기(100)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노드(10a, 10b 및 10c)는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채널구간 정보를 참조하여 웨이크-업 할 시간을 판단하며, 웨이크-업 이후, 단말기(1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각 노드(10a, 10b 및 10c)는 단말기(100)에 의해 시간이 배분되어 있으므로, 단말기(100)와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경쟁할 필요가 없고, 각 노드(10a, 10b 및 10c)는 단독으로 단말기(100)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센싱부(110), 생체신호 제어부(120) 및 무선 통신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10)는 무선 통신부(130)를 통해 노드(10a)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센싱부(110)는 증폭부(111), 필터링부(112)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증폭부(111)는 무선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되는 노드(10a)의 검출 값을 증폭하고, 증폭된 검출 값을 필터링부(112)로 제공한다. 필터링부(112)는 증폭부(111)에서 증폭된 검출 값에서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며, 외부 노이즈를 제거하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13)로 제공할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13)은 필터링부(112)에서 필터링된 검출 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생체신호 제어부(120)로 제공할 수 있다.
생체신호 제어부(120)는 센싱부(110)에서 제공하는 검출 값을 이용하여 노드(10a)가 이식되거나, 노드(10a)가 부착된 인체의 생체정보를 모니터링하고,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나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인체의 생체정보 및 이상 여부를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생체신호 제어부(120)는 전원부(121), 제어부(122) 및 인터페이스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원부(121)는 단말기(100)에 내장되는 배터리의 전원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배터리의 전원을 센싱부(110) 및 생체신호 제어부(120)에 배분할 수 있다. 전원부(121)는 단말기(100)가 유휴 상태일 경우, 단말기(100)로 제공하는 전원을 최소화하여 전력 소모를 저감할 수 있다.
제어부(122)는 센싱부(110)에서 제공되는 검출 값을 획득하고, 획득한 검출 값을 인터페이스부(123)로 제공하여 표시되도록 하거나, 검출 값을 모니터링하여 인체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기(100)가 인체의 혈압을 체크하는 장치인 경우, 제어부(122)는 센싱부(110)에서 제공되는 검출 값이 정상 혈압 범위인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 결과 비 정상적인 혈압 범위일 경우, 인터페이스부(123)를 통해 혈압 값이 표시되도록 하거나, 경고음을 발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23)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스피커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어부(122)에서 제공하는 검출 값을 표시하거나, 제어부(122)의 판단 결과에 따라 경고 음을 재생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경고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23)는 컴퓨터, 휴대폰 및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단말기(100)에서 검출된 검출 값은 외부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 과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방법은, 먼저, 단말기(100)가 노드로 동기화 패킷을 전송하고(S201), 단말기(100)는 노드(10a, 10b 및 10c)로부터 동기화 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이 전송되었는가를 판단한다(S202). 단말기(100)는 각 노드(10a, 10b 및 10c)로부터 응답 패킷이 전송되면 각 노드(10a, 10b 및 10c)에 대해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고, 시간 동기화가 수행된 후, 각 노드(10a, 10b 및 10c)에 대해 채널 구간을 타임 테이블에 할당할 수 있다. 각 노드(10a, 10b 및 10c)에 대한 채널구간 할당이 종료되면, 단말기(100)는 웨이크-업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시간과 슬립 모드로 전환해야 할 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말기(100)는 타임 테이블을 참조하여 노드(10a, 10b 및 10c)와 데이터 통신이 요구되는 채널구간인가를 판단하며(S203), 판단결과 노드와 데이터 통신이 요구되는 채널구간인 경우, 단말기(100)는 웨이크-업 상태로 전환하여 노드(10a, 10b 및 10c)와 데이터 통신을 위해 준비되고, 반대의 경우, 슬립 모드를 유지하여(S205),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말기(100)가 웨이크-업 상태이고, 채널구간에서 노드(10a, 10b 및 10c)와의 데이터 통신이 요구될 때, 단말기(100)는 노드(10a, 10b 및 10c)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206).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노드의 동작 과정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노드(10a, 10b 및 10c)는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되는 동기화 패킷을 수신하고(S301), 수신된 동기화 패킷을 통해 단말기(100)로 데이터를 전송해야 할 시간을 판단한다. 동기화 패킷은 각 노드(10a, 10b 및 10c)가 데이터를 송신해야 할 시간정보를 포함하는데, 시간정보는 동기화 패킷이 발송되는 발송시간 및 발송시간을 기준으로 하는 지연시간의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노드(10a, 10b 및 10c)는 동기화 패킷이 발송된 시간을 기준으로 100ms 지연된 후, 데이터를 전송하라는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시간을 정의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지연시간은 100ms에 해당할 수 있다.
노드(10a, 10b 및 10c)는 동기화 패킷을 수신 후, 동기화 패킷 수신 여부에 대한 응답 패킷을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302). 단말기(100)는 응답 패킷을 수신 후, 슬립 모드를 유지하며(S303), 단말기(100)에서 전송한 동기화 패킷에 의해 설정된 채널구간에 대응하는가를 판단한 후(S303), 채널구간에 대응하는 경우, 슬립 모드를 해제하고(S305), 슬립 모드가 해제된 후, 단말기(10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306).
10a, 10b, 10c : 노드 100 : 단말기

Claims (8)

  1. 제1노드 및 제2노드와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제1노드와 상기 제2노드로부터 비콘(Becon)을 수신하여 상기 제1노드와 상기 제2노드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시간 정보 및 데이터의 크기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전송시간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1노드 및 상기 제2노드에 대한 시간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시간 동기화된 상기 제1노드와 상기 제2노드에 대한 채널구간을 할당하기 위한 채널 스케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채널 스케줄을 참조하여 채널 형성이 요구되는 채널구간에서 상기 단말기, 상기 제1노드 및 상기 제2노드를 구동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BAN 네트워크의 전력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채널 형성이 요구되지 않는 채널구간에서 상기 단말기,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 중 하나를 슬립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BAN 네트워크의 전력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의 채널구간을 이웃하게 배열하여 상기 채널 스케줄을 최적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BAN 네트워크의 전력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에 대한 채널구간을 최적화 후,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로 상기 채널구간에 대한 구간정보를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BAN 네트워크의 전력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는,
    상기 채널구간에서 웨이크-업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WBAN 네트워크의 전력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정보는,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채널구간을 통보하는 시간을 기준 시간으로 하여 지연되는 지연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BAN 네트워크의 전력 제어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로 상기 채널구간에 대한 구간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WBAN 네트워크의 전력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을 통해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와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BAN 네트워크의 전력 제어방법.
KR1020130025515A 2013-03-11 2013-03-11 Wban 네트워크의 전력 제어방법 KR101461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515A KR101461058B1 (ko) 2013-03-11 2013-03-11 Wban 네트워크의 전력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515A KR101461058B1 (ko) 2013-03-11 2013-03-11 Wban 네트워크의 전력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418A true KR20140111418A (ko) 2014-09-19
KR101461058B1 KR101461058B1 (ko) 2014-11-13

Family

ID=51756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5515A KR101461058B1 (ko) 2013-03-11 2013-03-11 Wban 네트워크의 전력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10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13657A (ja) * 2015-01-27 2018-05-24 ロシッ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周期的なビーコン信号に基づいて無線センサネットワーク内の通信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EP3351163A1 (en) * 2017-01-20 2018-07-25 Byteflies NV Method for providing synchronization between a plurality of wireless body sensors and method for operating a synchronized network of wireless body sensors
CN112054855A (zh) * 2020-09-14 2020-12-08 中国科学技术大学 基于移动轨迹相似性的无线体域网间干扰减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055B1 (ko) * 2010-08-27 2016-08-09 주식회사 케이티 저속 wpan에서 gts 할당 및 관리방법
KR101749064B1 (ko) * 2011-03-24 2017-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방향 이벤트 검출을 지원하는 센서 네트워크의 이벤트 전송 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13657A (ja) * 2015-01-27 2018-05-24 ロシッ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周期的なビーコン信号に基づいて無線センサネットワーク内の通信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EP3351163A1 (en) * 2017-01-20 2018-07-25 Byteflies NV Method for providing synchronization between a plurality of wireless body sensors and method for operating a synchronized network of wireless body sensors
WO2018134380A1 (en) * 2017-01-20 2018-07-26 Byteflies N.V. Method for providing synchronization between a plurality of wireless body sensors and method for operating a synchronized network of wireless body sensors
CN112054855A (zh) * 2020-09-14 2020-12-08 中国科学技术大学 基于移动轨迹相似性的无线体域网间干扰减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1058B1 (ko) 2014-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4516B2 (en) Slot skipping techniques for reduced power consumption in time slotted channel hopping MAC protocol
KR101307607B1 (ko) 단거리 무선 네트워크들에 대한 향상들
US9369215B2 (en) Asynchronous transmission with double wake up
JP5559791B2 (ja) 身体領域ネットワーク用の媒体アクセス制御(mac)プロトコル
KR20150079736A (ko) 무선 통신들에서의 전력 절약들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WO2009024925A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low duty cycle wireless systems
JP529982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20100058897A (ko) IEEE802.15.4-2006 비콘(Beacon)기반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운영시간 확장 방법 및 장치
WO2014114818A2 (en) Hearing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KR101461058B1 (ko) Wban 네트워크의 전력 제어방법
Sukor et al. Performance study of wireless body area network in medical environment
Wang et al. A cooperative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for mobile clusters in wireless body area networks
US9445435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a wireless network, and wireless network therefor
CN106817175B (zh) 帧生成装置、帧处理装置及方法、电子表
KR102522378B1 (ko)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통신 방법, 및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Dargie A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that supports a seamless handover in wireless sensor networks
KR20080092774A (ko) 조정자 기반 네트워크에서 비이콘 프레임의 송신 및/또는수신 메커니즘
US8730862B2 (en) Method for setting a period in a ban
Boulfekhar et al. Synchronous receiver initiated MAC protocol for long-lived sensor networks
Singh B.“A Study on Traffic Adaptive MAC Protocols for Wireless Body Area Network”
Marinkovic et al. Improving power efficiency in WBAN communication using wake up methods
Choi et al. An energy efficient MAC protocol for WBAN through flexible frame structure
Khalid et al. A Survey of MAC Protocols on Wireless Body Area Network
JP2015133596A (ja) 時刻同期方法、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Nam et al. An energy efficient discovery algorithm for opportunistic WBAN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