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1023A - Harq 피드백을 사용하는 레이트 및 전력 제어 시스템들 및 방법들 - Google Patents

Harq 피드백을 사용하는 레이트 및 전력 제어 시스템들 및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1023A
KR20140111023A KR1020147022031A KR20147022031A KR20140111023A KR 20140111023 A KR20140111023 A KR 20140111023A KR 1020147022031 A KR1020147022031 A KR 1020147022031A KR 20147022031 A KR20147022031 A KR 20147022031A KR 20140111023 A KR20140111023 A KR 20140111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cs
packet
wireless device
power level
transmi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2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 콴
시몬 메를린
빈센트 케이. 조네스
앨버트 반 젤스트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11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0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73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transmission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8Form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71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channel quality metrics, e.g. SIR, SNR, CIR, Eb/l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during retransmission after error or non-acknowledg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4Signalisation aspects of the TPC commands, e.g. frame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방법은 제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2 무선 디바이스로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패킷 내의 데이터는 인코딩되고, 패킷을 나타내는 신호는 변조 및 코딩 방식(MCS)에 따라 변조된다. 방법은 또한, 패킷의 전송에 응답하여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를 통해 제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MCS 변경 표시자를 포함하는 확인응답 패킷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MCS 변경 표시자가 제1 값을 가질 때 MCS를 유지하고, MCS가 제2 값을 가질 때 MCS를 증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HARQ 피드백을 사용하는 레이트 및 전력 제어 시스템들 및 방법들{RATE AND POWER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ING HARQ FEEDBACK}
본 출원은 공동 소유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584,690호(2012년 1월 9일에 출원),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606,862호(2012년 3월 5일에 출원), 및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611,677호(2012년 3월 16일에 출원)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이들의 내용들은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본원에 명시적으로 통합된다.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무선 디바이스들에 대한 적응적 레이트 및 전력 제어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진보는 더 작고 더 강력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을 초래하였다. 예를 들어, 소형이고 경량이며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운반되는, 휴대용 무선 전화들, 개인 디지털 보조 단말(PDA)들 및 페이징 디바이스들과 같은 무선 컴퓨팅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휴대가능한 개인용 컴퓨팅 디바이스들이 현재 존재한다. 더 구체적으로, 셀룰러 전화들 및 인터넷 프로토콜(IP) 전화들과 같은 휴대가능한 무선 전화들은 무선 네트워크들을 통해 음성 및 데이터 패킷들을 통신할 수 있다. 많은 이러한 무선 전화들은 최종 사용자들에게 향상된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해 추가적인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무선 전화는 또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레코더, 및 오디오 파일 플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무선 전화들은 인터넷에 액세스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무선 전화들은 상당한 컴퓨팅 능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통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특정 영역들에서 동작하는 무선 디바이스들의 수가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무선 방송파들이 혼잡할 수 있고, 무선 채널 조건들이 계속 변동(fluctuate)할 수 있다. 계속 변동하는 채널 조건들에 당면하면, 무선 디바이스는 전송 레이트 및/또는 전송 전력 레벨을 수정하기 위해 링크 적응 및/또는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채널 조건들의 고정된 세트를 가지는 채널을 통한 성공적인 데이터 통신을 위해, 전송 레이트 및 전송 전력 레벨은 역으로 행동할 수 있다. 예시하자면, 채널 조건들이 악화될 때, 무선 디바이스는 성공적인 통신을 유지하기 위해 전송 레이트를 감소시키거나 전송 전력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통상적으로, 무선 디바이스는 목적지에 많은 수의 패킷들을 전송하고, 전송 동안 패킷 손실의 비율을 추정함으로써 링크 적응을 수행할 수 있다. 패킷 손실의 비율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디바이스의 전송 레이트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IEEE) 802.11n 표준은 변조 및 코딩 방식(MCS), 전송 레이트에 영향을 주는 특징에 기초하여 고속 링크 적응을 정의한다. 고속 링크 적응을 수행하기 위해, 무선 디바이스는 어써팅된(asserted) MCS 요청 비트를 가지는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어써팅된 MCS 요청 비트를 가지는 패킷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목적지 디바이스는 7-비트 MCS 피드백(MFB) 필드를 포함하는 응답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응답 패킷의 수신 시에, 무선 디바이스는 자신의 MCS를 MFB 필드에 의해 특정된 MCS로 변경하고, 이에 의해 무선 디바이스의 전송 레이트를 수정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물리적 계층(PHY) 프리앰블에 대해 사용되는 MCS보다 더 높은 MCS에서 인코딩된 높은 스루풋(HT) 제어 필드를 전송할 수 있다. 수신기는 HT 제어 필드를 디코딩할 수 없어서, 디코딩 에러를 초래할 수 있다. 수신기가 HT 제어 필드를 디코딩하는 것을 실패하는 경우, 수신기는 MCS 피드백과 함께 무엇을 수행할지를 알지 못한다. 따라서, 송신기는 가장 낮은 MCS를 사용해야 하며, 비효율성을 초래한다. IEEE 802.11n은 또한 전력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전용 요청-응답 메시징 프로토콜을 정의한다. IEEE 802.11n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무선 디바이스들은 빈번할 수 있는 채널 조건들에서의 변경들에 응답하여 링크 적응 및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기존의 링크 적응 및 전력 제어 방식에 의존하는 시스템들은 변경하는 채널 조건들을 관리할 시에 상당한 오버헤드를 발생시킬 수 있다.
감소한 오버헤드를 가지는 링크 적응 및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이 개시된다. 특히, 설명된 기법들은 낮은 듀티 사이클들을 가질 수 있는 IEEE 802.11ah 디바이스들에서의 응용을 발견할 수 있다. 예시하자면, IEEE 802.11ah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무선 센서는 몇몇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해 수 초 동안 웨이크업(wake up)하고, 목적지에 측정들의 결과들을 통신하고, 이후 수 분동안 슬립(sleep)할 수 있다. 센서가 낮은 듀티 사이클(즉, 짧은 "활성 상태" 듀레이션)을 가지기 때문에, 센서는 많은 수의 패킷들을 전송하고 패킷 손실을 추정함으로써 전통적인 링크 적응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802.11ah에 정의된 바와 같은 고속 링크 적응 및 전력 제어의 사용은 수용불가능한 양의 오버헤드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언제 그리고 얼마나 자주 링크 적응 또는 전력 제어가 수행되는지가 예측불가능할 수 있다. 대신, 설명된 기법들에 따르면, 무선 센서는, 또다른 디바이스와 하나 또는 두 개의 비트들을 교환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는 "차동" 링크 적응 및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개시된 기법들은 수신기가 MCS 또는 전력 레벨을 변경시킬지를 송신기에게 명령할 수 있지만, 송신기가 변경할 특정 값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차동"으로 간주될 수 있다. 개시된 기법들은 송신기가 언제 그리고 얼마나 자주 링크 적응 또는 전력 제어가 수행되는지를 제어하게 할 수 있고, 송신기가 동시에 링크 적응과 전력 제어를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링크 적응(또한, 본원에서 "레이트 제어"로서 지칭됨)을 수행하기 위해, 송신기는 특정 MCS를 사용하여 수신기에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수신기는 수신된 패킷으로부터 유도된 신호 특성(예를 들어, 신호 대 잡음비(SNR), 신호 대 간섭 더하기 잡음비(SINR), 및/또는 수신된 신호 강도 표시(RSSI))에 기초하여 제2 MCS를 추정할 수 있다. 제2 MCS가 제1 MCS보다 더 클 때, 수신기는 송신기에 확인응답(ACK) 패킷을 송신할 수 있고, 여기서 ACK 패킷은 송신기의 MCS를 증가시키도록 송신기에 명령하는 비트(들)(예를 들어, MCS 변경 표시자)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제2 MCS가 제1 MCS 이하일 때, ACK 패킷은 현재 MCS(즉, 제1 MCS)를 유지하도록 송신기에 명령하는 비트(들)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MCS 변경 표시자는 7 비트들보다 더 적은 비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MCS 변경 표시자는 단일 비트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ACK 패킷은 송신기의 MCS를 감소시키도록 송신기에 명령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전력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송신기는 선택된 MCS를 사용하여 특정 전력 레벨에서 수신기에 패킷을 송신할 수 있다. 수신기는 수신된 패킷에 기초하여 신호 특성(예를 들어, SINR)을 추정할 수 있고, 신호 특성을 선택된 MCS와 연관된 "타겟" 신호 특성과 비교할 수 있다. 비교에 기초하여, 수신기는 (예를 들어, ACK 패킷 내의 하나 이상의 비트들을 사용하여) 송신기의 전송 전력 레벨을 감소할 것인지를 송신기에 명령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ACK 패킷은 송신기의 전송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도록 송신기에 명령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수신기가 전송된 패킷을 성공적으로 디코딩할 수 없을 때, 수신기는 부정 확인응답(NACK) 패킷을 송신할 수 있고, 여기서 NACK 패킷은 디코딩 에러가 열악한 채널 조건들로 인한 것이었는지(이 경우, 송신기는 MCS 및/또는 전송 전력 레벨을 변경해야 함) 또는 충돌로 인한 것이었는지(이 경우, 송신기는 MCS 및 전송 전력 레벨을 유지하는 동안 전송을 재시도해야 함)를 표시하는 비트를 포함한다. 예시하자면, 수신기는 패킷의 나머지가 아니라 패킷의 물리적 계층(PHY) 프리앰블을 디코딩하는 것에 응답하여 에러를 결정할 수 있고, 수신기는 디코딩 에러가 열악한 채널 조건들로 인한 것이었는지 또는 충돌로 인한 것이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수신기는 NACK 패킷 내에 디코딩 에러의 원인을 표시할 수 있고, 송신기는 디코딩 에러의 표시된 원인에 응답하여 송신기의 MCS 및/또는 전송 전력 레벨을 선택적으로 증가, 감소, 또는 유지시킬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방법은 제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2 무선 디바이스로 패킷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패킷 내의 데이터가 인코딩되고 패킷을 나타내는 신호가 변조 및 코딩 방식(MCS)에 따라 변조된다. 방법은 또한, 패킷의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를 통해 제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MCS 변경 표시자를 포함하는 확인응답 패킷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MCS 변경 표시자가 제1 값을 가질 때 MCS를 유지하고 MCS 변경 표시자가 제2 값을 가질 때 MCS를 증분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방법은 제1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패킷을 제2 무선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패킷은 제1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을 표시한다. 방법은 또한 패킷으로부터 유도된 신호 특성에 기초하여 제2 무선 디바이스에서 제2 MCS를 추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은 제2 MCS가 제1 MCS보다 더 클 때 MCS 변경 표시자와 함께 제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1 무선 디바이스로 제1 확인응답 패킷을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MCS 변경 표시자는 제1 MCS가 특정 레벨 미만일 때 제1 MCS를 증분시키고 제1 MCS가 특정 레벨에 있을 때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도록 제1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한다. 방법은 제2 MCS가 제1 MCS 이하일 때 제1 MCS를 유지하도록 제1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하는 표시자와 함께 제1 무선 디바이스에 제2 확인응답 패킷을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방법은 전송 전력 레벨에서 제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2 무선 디바이스로 패킷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를 포함하는 확인응답 패킷이 패킷의 전송에 응답하여 제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될 때, 방법은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가 제1 값을 가질 때 전송 전력을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은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가 제2 값을 가질 때 전송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방법은 제1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패킷을 제2 무선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패킷은 선택된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을 표시하며 전송 전력 레벨에서 전송된다. 방법은 또한 패킷으로부터 유도된 신호 특성을 선택된 MCS와 연관된 타겟 신호 특성과 비교하는 것을 포함한다. 유도된 신호 특성이 타겟 신호 특성보다 더 클 때, 방법은 제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1 무선 디바이스로 제1 확인응답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제1 확인응답 패킷은 전송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도록 제1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하는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를 포함한다. 유도된 신호 특성이 타겟 신호 특성 이하일 때, 방법은 전송 전력 레벨을 유지하도록 제1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하는 표시자와 함께 제1 무선 디바이스에 제2 확인응답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방법은 제1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패킷을 제2 무선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패킷은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을 표시하고 전송 전력 레벨에서 전송된다. 패킷의 디코딩동안 검출된 에러에 응답하여, 방법은 또한 에러가 채널 조건에 의해 야기되는지 또는 충돌에 의해 야기되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은 결정에 기초하여 제1 무선 디바이스에 부정 확인응답 패킷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에러가 채널 조건에 의해 야기될 때, 부정 확인응답 패킷은 MCS를 감소시키고, 전송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수행하도록 제1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한다. 에러가 충돌에 의해 야기될 때, 부정 확인응답 패킷은 MCS 및 전송 전력 레벨을 유지하도록 제1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한다.
또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장치는 프로세서, 및 무선 디바이스로의 패킷의 전송을 개시하기 위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패킷 내의 데이터는 인코딩되고, 패킷을 나타내는 신호는 변조 및 코딩 방식(MCS)에 따라 변조되고, 신호는 전송 전력 레벨에서 전송된다. 명령들은, 패킷의 전송에 응답하여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를 통한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확인응답 패킷의 수신에 응답하여, 확인응답 패킷의 MCS 변경 표시자가 제1 값을 가질 때 MCS를 유지하고, 확인응답 패킷의 MCS 변경 표시자가 제2 값을 가질 때 MCS를 증분시키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추가로 실행가능하다. 또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장치는 프로세서, 및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패킷의 수신을 전송하기 위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패킷은 제1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을 표시하고 전송 전력 레벨에서 전송된다. 명령들은 패킷으로부터 유도된 신호 특성에 기초하여 제2 MCS를 추정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추가로 실행가능하다. 명령들은 추가로 MCS 변경 표시자를 포함하는 확인응답 패킷의 무선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개시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추가로 실행가능하다. MCS 변경 표시자는 제2 MCS가 제1 MCS보다 더 크고 제1 MCS가 특정 레벨 미만일 때 제1 MCS를 증분시키도록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한다. MCS 변경 표시자는 제2 MCS가 제1 MCS보다 더 크고 제1 MCS가 특정 레벨에 있을 때 전송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도록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한다. MCS 변경 표시자는 제2 MCS가 제1 MCS 이하일 때 제1 MCS를 유지하도록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한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장치는 프로세서, 및 전송 전력 레벨에서 제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2 무선 디바이스로의 패킷의 전송을 개시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한 메모리를 포함한다.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를 포함하는 확인응답 패킷이 패킷의 전송에 응답하여 제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될 때, 명령들은,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가 제1 값을 가질 때 전송 전력 레벨을 유지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추가로 실행가능하다. 명령들은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가 제2 값을 가질 때 전송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추가로 실행가능하다.
또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장치는 프로세서, 및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패킷의 수신을 검출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패킷은 선택된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을 표시하고 전송 전력 레벨에서 전송된다. 명령들은 패킷으로부터 유도된 신호 특성을 타겟 신호 특성과 비교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추가로 실행가능하다. 명령들은 무선 디바이스로의 확인응답 패킷의 전송을 개시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추가로 실행가능하다. 유도된 신호 특성이 타겟 신호 특성보다 더 클 때, 확인응답 패킷은 전송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도록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하는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를 포함한다. 유도된 신호 특성이 타겟 신호 특성 이하일 때, 확인응답 패킷은 전송 전력 레벨을 유지하도록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하는 표시자를 포함한다.
또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장치는 프로세서, 및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패킷의 수신을 검출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패킷은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을 표시하고 전송 전력 레벨에서 전송된다. 명령들은, 패킷의 디코딩동안 검출된 에러에 응답하여, 에러가 채널 조건에 의해 야기되는지 또는 충돌에 의해 야기되는지를 결정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추가로 실행가능하다. 명령들은 결정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로의 부정 확인응답 패킷의 전송을 개시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추가로 실행가능하다. 에러가 채널 조건에 의해 야기될 때, 부정 확인응답 패킷은 MCS를 감소시키고, 전송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수행하도록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한다. 에러가 충돌에 의해 야기될 때, 부정 확인응답 패킷은 MCS 및 전송 전력 레벨을 유지하도록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한다.
설명된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제공된 하나의 장점은 감소한 오버헤드와 함께 레이트 제어 및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능력을 포함한다. 설명된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제공된 또다른 특정 장점은 전용 레이트 제어 또는 전력 제어 메시징을 도입하지 않고 기존의 데이터 전송/확인응답 프로토콜들의 사용에 의해 레이트 제어 및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능력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상들, 장점들 및 특징들은 후속하는 섹션들, 즉 도면의 간단한 설명,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특허청구범위를 포함한, 전체 출원의 리뷰 이후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레이트 및 전력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동작가능한 시스템의 특정 실시예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 내의 제2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확인응답(ACK) 패킷의 특정 실시예들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레이트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의 특정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의 특정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3의 방법 또는 도 4의 방법과 함께 충돌 검출을 수행하는 방법의 특정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레이트 제어 및 전력 제어를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무선 디바이스의 특정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레이트 및 전력 제어를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시스템의 특정 실시예의 다이어그램이 개시되며 일반적으로 100으로 표기된다. 시스템(100)은 무선 네트워크(130)(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IEEE) 802.11ah 무선 네트워크, IEEE 802.11 프로토콜에 순응하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 등)를 통해 제2 무선 디바이스(140)에 접속된 제1 무선 디바이스(110)를 포함한다. 제1 무선 디바이스(110) 및 제2 무선 디바이스(140)는 무선 네트워크(130)를 통해 데이터(예를 들어, 데이터 패킷, 확인응답(ACK) 패킷, 및 부정 확인응답(NACK) 패킷)를 교환할 수 있다.
제1 무선 디바이스(110)는 송신기(112), 수신기(114), 프로세서(116), 신호 메트릭 모듈(118), 및 메모리(120)를 포함한다.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16)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122)을 저장할 수 있고, 메모리(120)는 이력 데이터(124)(예를 들어, 이력상의 전송 전력 레벨들 및 변조 및 코딩 방식(MCS))를 저장할 수 있다. 신호 메트릭 모듈(118)은 수신된 신호의 신호 특성들을 결정할 수 있다. 신호 특성들은, 수신된 신호들 및/또는 패킷들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 신호 대 잡음비(SNR), 신호 대 간섭 더하기 잡음비(SINR), 및 수신된 신호 강도 표시(RSSI)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메트릭 모듈(118)은 하드웨어로서 그리고/또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실행가능한 명령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송신기(112) 및 수신기(114)가 두 개의 별도의 컴포넌트들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송신기(112) 및 수신기(114)는 무선 네트워크(130)를 통해 신호들/패킷들을 전송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컴포넌트(예를 들어, 트랜시버)로 통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무선 디바이스(140)는 송신기(142), 수신기(144), 프로세서(146), 신호 메트릭 모듈(148), 및 프로세서(146)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152)을 저장하고 이력 데이터(154)를 저장하는 메모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동안, 제1 무선 디바이스(110)(예를 들어, IEEE 802.11ah 센서 또는 낮은 듀티 사이클을 가지는 다른 디바이스들)는 제1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을 사용하여 그리고 제1 전송 전력 레벨에서 제2 무선 디바이스(140)(예를 들어, 또다른 IEEE 802.11ah 디바이스 또는 비-IEEE 802.11ah 디바이스)에 제1 패킷(132)을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패킷(132) 내의 데이터는 인코딩될 수 있고 제1 패킷(132)을 나타내는 신호는 제1 MCS에 따라 변조될 수 있고; 신호는 제1 전송 전력 레벨에서 전송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MCS는 제1 무선 디바이스(110)의 웨이크업 시에(예를 들어, 제1 무선 디바이스(110)가 턴온될 때 또는 제1 무선 디바이스가 "전력 절감" 모드를 빠져나갈 때) 선택된 "가장 낮은 MCS"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낮은 MCS"는 제1 무선 디바이스(110)의 가장 낮은 가능한 MCS, 제2 무선 디바이스(140)와의 데이터 패킷들의 통신에 대해 가장 낮은 이력상으로 사용된 MCS(예를 들어, 이력 데이터(124)로부터 결정된 바와 같은), 제1 무선 디바이스(110)에 의해 사용중인 특정 무선 채널에 대해 가장 낮은 이력상으로 사용된 MCS(예를 들어, 이력 데이터(124)로부터 결정된 바와 같은),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낮은 가능한 MCS는 제1 무선 디바이스(110)가 특정 변조 기법(예를 들어, 이진 위상 시프트 키잉(BPSK))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무선 디바이스(140)는 제1 패킷(132)을 수신할 수 있고, 제1 패킷(132)으로부터 유도된 신호 특성에 기초하여 제2 MCS를 추정할 수 있고, 제2 무선 디바이스(140)는 제1 패킷(132)으로부터 유도된 신호 특성을 제1 MCS와 연관된 타겟(예를 들어, "최적" 또는 "예상된") 신호 특성과 비교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MCS의 추정 및 신호 특성의 비교는 제2 무선 디바이스(140)의 프로세서(146)에서 명령들(152)을 실행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신호 특성은 SNR, SINR, RSSI,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2 무선 디바이스(140)는 추정된 제2 MCS에 기초하여 제1 MCS를 변경하도록 제1 무선 디바이스(110)에 명령할 지의 여부 및/또는 타겟 신호 특성에 기초하여 제1 전송 전력 레벨을 변경하도록 제1 무선 디바이스(110)에 명령할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MCS 및/또는 제1 전송 전력 레벨을 변경할지의 여부를 표시하는 커맨드 또는 명령(들)은 제2 무선 디바이스(140)로부터 제1 무선 디바이스(110)로 송신된 확인응답(ACK) 패킷(134)의 일부분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ACK 패킷(134)은 제1 MCS를 변경할지 또는 유지할지를 제1 무선 디바이스(110)에 명령하는 하나 이상의 비트들(즉, MCS 변경 표시자)을 포함한다. 또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ACK 패킷(134)은 제1 전송 전력 레벨을 변경할지 또는 유지할지를 제1 무선 디바이스(110)에 명령하는 하나 이상의 비트들(즉,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MCS 변경 표시자 및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는 ACK 패킷(134) 내에 단일 비트, 한 쌍의 비트(즉, 2비트), 또는 일부 다른 개수의 비트들로서 표현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MCS 변경 표시자 및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는 각각 7개 미만의 비트들을 포함하여, IEEE 802.11n 고속 링크 적응 구현예보다 더 적은 오버헤드를 초래할 수 있다. MCS 변경 표시자 및/또는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를 포함하는 ACK 패킷(134)의 예는 도 2에 관해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무선 디바이스(110)는 MCS 변경 표시자에 응답하여 제1 전송 전력 레벨을 변경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2 MCS가 제1 MCS보다 더 클 때, MCS 변경 표시자는 제1 MCS를 증가시키도록 제1 무선 디바이스(110)에 명령할 수 있다. 제2 MCS가 제1 MCS 이하일 때, MCS 변경 표시자는 제1 MCS를 유지하도록 제1 무선 디바이스(110)에 명령할 수 있다. MCS 변경 표시자가 단일 비트일 때, '0'은 "MCS를 유지"하는 것을 표시할 수 있고, '1'은 "MCS를 증분"시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MCS 변경 표시자가 2개 비트들일 때, '00'은 "MCS를 유지"하는 것을 표시할 수 있고, '01'은 'MCS를 1씩 증분"시키는 것을 표시할 수 있고, '10'은 'MCS를 2씩 증분"시키는 것을 표시할 수 있고, '11'은 'MCS를 3씩 증분"시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CS 변경 표시자의 특정 값(즉, 특정 비트 조합)은 "MCS를 감소"시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유도된 신호 특성(예를 들어, SNR, SINR, 또는 RSSI)이 타겟 신호 특성보다 더 클 때,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는 제1 전송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도록 제1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할 수 있다. 유도된 신호 특성이 타겟 신호 특성 이하일 때,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는 제1 전송 전력 레벨을 유지하도록 제1 무선 디바이스(110)에 명령할 수 있다.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가 단일 비트일 때, '0'은 "전송 전력 레벨을 유지"하는 것을 표시할 수 있고, '1'은 "전송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는 특정 비트 조합이 "전송 전력 레벨을 증분"시키는 것을 표시하는 2개 비트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무선 디바이스(140)는, 제1 MCS 및 제1 전송 전력 레벨이 수정될지의 여부에 관한 명령들을 제공하기 위해, MCS 변경 표시자,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 또는 이들의 결합을 가지는 ACK 패킷(134)을 제1 무선 디바이스(110)에 송신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2 무선 디바이스(140)는 제1 무선 디바이스(110)에 의해 송신된 제1 패킷(132)을 성공적으로 디코딩하지 않을 수 있고, 제1 무선 디바이스(110)에 부정 확인응답(ACK) 패킷(136)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무선 디바이스(140)는 제1 패킷(132)의 디코딩동안 검출된 에러가 채널 조건 또는 충돌에 의해 야기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고, 결정에 기초하여 제1 무선 디바이스(110)에 NACK 패킷(136)을 송신할 수 있다. 에러가 채널 조건에 의해 야기될 때, NACK 패킷(136)은 제1 MCS를 감소시키고, 제1 전송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수행하도록 제1 무선 디바이스(110)에 명령할 수 있다(또는 제1 무선 디바이스(110)가 선출할 수 있다). 에러가 충돌에 의해 야기될 때, NACK 패킷(136)은 제1 MCS 및 제1 전송 전력 레벨을 유지하도록 제1 무선 디바이스(110)에 명령할 수 있다(또는 제1 무선 디바이스(110)가 선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무선 디바이스(110)는 심지어 에러가 충돌에 의해 야기되었을 때라도 MCS 및/또는 전송 전력 레벨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2 무선 디바이스(140)는 제1 무선 디바이스(110)에 의해 전송된 제1 패킷(132)의 물리적 계층(PHY) 프리앰블을 성공적으로 디코딩하지만 제1 패킷(132)의 나머지를 비성공적으로 디코딩함으로써 에러를 검출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NACK 패킷(136)은 디코딩 에러가 열악한 채널 조건들로 인한 것인지(이 경우, 제1 무선 디바이스(110)는 제1 MCS 및/또는 제1 전송 전력 레벨을 변경할 수 있음) 또는 충돌로 인한 것인지(이 경우, 제1 무선 디바이스(110)는 제1 MCS 및 제1 전송 전력 레벨을 유지하는 동안 전송을 재시도할 수 있음)를 표시하는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0'은 열악한 채널 조건들을 표시할 수 있고 '1'은 충돌을 표시할 수 있거나, 또는 그 역이 성립할 수 있다.
제2 무선 디바이스(140)는 다수의 방식으로 검출된 에러의 원인으로서 충돌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무선 디바이스(140)는 제1 패킷(132)으로부터 유도된 RSSI가 특정 범위 내에 있는지를 결정함으로써 충돌을 추론할 수 있다. 제2 무선 디바이스(140)는 또한, RSSI가 임계량을 초과하는 것만큼 이전 RSSI보다 더 큰지의 여부 및 제1 패킷(132)으로부터 유도된 SNR이 이전 SNR보다 더 작은지의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충돌을 추론할 수 있고, 여기서 이전 RSSI 및 이전 SNR은 각각 제1 무선 디바이스(110)로부터 수신된 이전 패킷으로부터 유도된다. 제2 무선 디바이스(140)는 RSSI가 급격한 증가 또는 감소를 보이는지를 결정함으로써 충돌을 추론할 수 있다. 추가로, 제2 무선 디바이스(140)는 SNR이 제1 MCS를 지원할 수 있는지를 결정함으로써 충돌을 추론할 수 있다. 제2 무선 디바이스(140)가 위의 방법들의 임의의 결합에 기초하여 충돌을 추론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제2 무선 디바이스(140)로부터 ACK 패킷(134) 내의 MCS 변경 표시자 및/또는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무선 디바이스(110)는 MCS 변경 표시자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제1 MCS를 유지/증가/감소시킬 수 있고(예를 들어, 제2 MCS로 증가시키거나 제3 MCS로 감소시킴) 그리고/또는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전송 전력 레벨을 유지/감소/증가시킬 수 있다(예를 들어, 제2 MCS로 증가시키거나 제3 MCS로 감소시킴). 예를 들어, 제1 무선 디바이스(110)는 후속적으로 제2 MCS(즉, 유지된/증분된/감소된 MCS)를 사용하여 그리고/또는 제2 전송 전력 레벨(즉, 유지된/감소된/증분된 전송 전력 레벨)에서 제2 무선 디바이스(140)에 제2 패킷(138)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설명된 기법들에 따르면, 제1 무선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와 하나 또는 두개 비트를 교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 "차동" 링크 적응 및 전력 제어를 수행하고, 이에 의해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하나 또는 두개 비트들은 ACK 패킷(134)의 일부분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들은 송신기(예를 들어, 제1 무선 디바이스(110) 또는 제2 무선 디바이스(140))가 언제 그리고 얼마나 자주 링크 적응 또는 전력 제어가 수행되는지를 제어하게 할 수 있고, (예를 들어, ACK 패킷(134) 내의 MCS 변경 표시자 및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를 사용하여) 동시에 링크 적응 및 전력 제어를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르면, 고속 레이트/전력 제어는 송신기(예를 들어, 제1 무선 디바이스(110))로부터 수신기(제2 무선 디바이스(140))로 송신된 패킷(예를 들어, 제1 패킷(132))의 헤더에 또는 PHY 프리앰블에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비트들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그 응답으로, 수신기(예를 들어, 제2 무선 디바이스(140))는 적절한 고속 레이트/전력 제어 정보와 함께 송신기에 ACK 패킷(예를 들어, ACK 패킷(134))을 리턴시킬 수 있다(예를 들어, MCS를 유지하고, MCS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MCS를 감소시키고, 그리고/또는 전송 전력 레벨을 유지하고, 전송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전송 전력 레벨을 감소시킨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확인응답(ACK) 패킷(134)의 특정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다이어그램이 개시되며 일반적으로 200으로 표기된다. 각각의 실시예에서, ACK 패킷(134)(즉, ACK 패킷들(134a-134d))은 물리적 계층(PHY) 프리앰블, 매체 액세스 제어(MAC) 헤더, 및/또는 페이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MAC 헤더는 또한 높은 스루풋(HT) 제어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ACK 패킷(134)은 오직 PHY 프리앰블만을 포함한다(예를 들어, "짧은" ACK 이다).
제1 실시예에서, ACK 패킷(134a)은 ('X'로 표기된) 하나 이상의 MCS 변경 표시자 비트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MCS 변경 표시자는 (실선들로 도시된) 단일 비트로서 또는 (파선들로서 도시된) 한 쌍의 비트들(즉, 2개 비트들)로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MCS 변경 표시자 비트들은 ACK 패킷(134a)의 PHY 프리앰블 내에(예를 들어, PHY 프리앰블의 신호(SIG) 필드 내에) 또는 ACK 패킷(134a)의 MAC 헤더 내에(예를 들어, MAC 헤더의 HT 제어 필드 내에) 포함될 수 있다. MCS 변경 표시자 X가 단일 비트일 때, '0'은 "MCS를 유지"하는 것을 표시할 수 있고 '1'은 "MCS를 증분"시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MCS 변경 표시자 X가 2개 비트들일 때, '00'은 "MCS를 유지"하는 것을 표시할 수 있고, '01'은 "MCS를 1씩 증분"시키는 것을 표시할 수 있고, '10'은 'MCS를 2씩 증분"시키는 것을 표시할 수 있고, '11'은 'MCS를 3씩 증분"시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CS 변경 표시자 X의 특정 값(즉, 특정 비트 조합)은 "MCS를 감소"시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ACK 패킷(134b)은 ('Y'로 표기된) 하나 이상의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 비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는 (파선들로 도시된) 단일 비트로서 또는 (파선들로 도시된) 한 쌍의 비트들(즉, 2비트)로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 비트들은 ACK 패킷(134b)의 PHY 프리앰블 내에(예를 들어, PHY 프리앰블의 신호(SIG) 필드 내에) 또는 ACK 패킷(134b)의 MAC 헤더 내에(예를 들어, MAC 헤더의 HT 제어 필드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 Y가 단일 비트일 때, '0'은 "MCS를 유지"하는 것을 표시할 수 있고 '1'은 "MCS를 증분"시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 Y는 특정 비트 조합이 "전송 전력 레벨을 증분"시키는 것을 표시하는 2개 비트들일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ACK 패킷(134c)은 하나 이상의 MCS 변경 표시자 비트들 X 및 하나 이상의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 비트들 Y(즉, MCS 변경 표시자 비트들 X와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 비트들 Y의 조합)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도 1의 제2 무선 디바이스(140)는, MCS 및/또는 전송 전력 레벨이 수정될지의 여부에 관한 명령들을 제공하기 위해 제1 무선 디바이스(110)에 MCS 변경 표시자 X,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 Y, 또는 이들의 결합을 가지는 ACK 패킷(134c)을 송신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서, ACK 패킷(134d)은 MCS 변경 표시자 및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 모두에 대해 사용되는 (X/Y로 표기된) 단일 비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MCS 변경 표시자 및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는 적어도 하나의 공통 비트를 공유할 수 있다. 예시하자면, X/Y 비트가 단일 비트일 때, '0'은 "MCS를 변경"하는 것을 표시할 수 있고, '1'은 "전송 전력 레벨을 변경"하는 것을 표시할 수 있거나, 또는 그 역이 성립한다. 또다른 예로서, MCS 변경 표시자 X 및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 Y는 한 쌍의 비트들(즉, 2개 비트들)을 공유할 수 있다. MCS 변경 표시자 X 및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 Y가 2개 비트들을 공유할 때, 예를 들어, '00'은 "MCS를 유지"하는 것을 표시할 수 있고, '01'은 "MCS를 증분"시키는 것을 표시할 수 있고, '10'은 "전송 전력 레벨을 유지"하는 것을 표시할 수 있고, '11'은 "전송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로서, X/Y 비트들은, X/Y 비트들의 특정 조합(예를 들어, '000', '001', '010' 및 '011')이 MCS를 유지/증분/감소시키도록 제1 무선 디바이스(110)에 명령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X/Y 비트들의 또다른 특정 조합(예를 들어, '100', '101', '110' 및 '111')이 전송 전력 레벨을 유지/증분/감소시키도록 제1 무선 디바이스(110)에 명령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3개 비트들일 수 있다. ACK 패킷(134)이 블록 ACK 패킷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하며, 여기서 단일 블록 ACK 패킷은 효율성과 스루풋을 상당히 개선시킬 수 있는 몇몇 수신된 프레임들을 확인응답하기 위해 송신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레이트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의 특정 실시예의 흐름도가 개시되며 일반적으로 300으로 표기된다. 방법(300)은 (왼쪽 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송신기 및 (오른쪽 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신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기는 도 1의 제1 무선 디바이스(110)일 수 있고, 수신기는 도 1의 제2 무선 디바이스(140)일 수 있다.
방법(300)은, 302에서, 웨이크업 시에, 제1 MCS에 따라 제1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무선 디바이스(110)는 제1 MCS를 사용하여 그리고 "파워-온 동안"(또는 전력-절감 모드를 빠져나올 때) 전송 전력 레벨에서 제2 무선 디바이스(140)에 제1 패킷(132)을 전송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MCS는 제1 무선 디바이스(110)의 웨이크업 시에 선택된 "가장 낮은 MCS"일 수 있다. "가장 낮은 MCS"은 제1 무선 디바이스(110)의 가장 낮은 가능한 MCS, (예를 들어, 이력 데이터(124)로부터 결정된 바와 같이) 제2 무선 디바이스(140)와 데이터 패킷들을 통신하는 것에 대한 가장 낮은 이력상으로 사용된 MCS, 제1 무선 디바이스(110)에 의해 사용 중인 특정 무선 채널에 대한 가장 낮은 이력상으로 사용된 MCS,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방법(300)은 304에서 송신기로부터 제1 패킷을 수신하는 것, 및 306에서 디코딩 에러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 무선 디바이스(140)는 제1 무선 디바이스(110)에 의해 송신된 제1 패킷(132)을 수신할 수 있고, 제1 패킷(132)을 디코딩하려고 시도하도록 진행할 수 있다. 제2 무선 디바이스(140)가 제1 패킷(132)을 성공적으로 디코딩하는 경우, 306에서 디코딩 에러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되고, 방법(300)은 308로 진행한다. 그러나, 제2 무선 디바이스(140)가 제1 패킷(132)을 성공적으로 디코딩할 수 없는 경우, 306에서 디코딩 에러가 존재한다고 결정되고 방법(300)은 A(즉, 도 5)로 진행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3의 방법 또는 도 4의 방법과 함께 충돌 검출을 수행하는 방법의 특정 실시예가 개시되며 일반적으로 500으로 표기된다. 306에서 디코딩 에러가 존재한다고 결정되는 경우, 흐름은 도 5로 진행하며, 여기서 방법(500)은 502에서, 에러가 채널 조건에 의해 야기되는지 또는 충돌에 의해 야기되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 무선 디바이스(140)는 제1 무선 디바이스(110)에 의해 전송된 제1 패킷(132)의 PHY 프리앰블을 성공적으로 디코딩하지만 제1 패킷(132)의 나머지를 비성공적으로 디코딩함으로써 에러를 결정할 수 있고, 디코딩 에러가 열악한 채널 조건들로 인한 것이었는지 또는 충돌로 인한 것이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무선 디바이스(140)는 다수의 방식으로 에러가 충돌에 의해 야기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무선 디바이스(140)는 제1 패킷(132)으로부터 유도된 RSSI가 특정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충돌을 추론할 수 있다. 제2 무선 디바이스(140)는 또한 RSSI가 임계량을 초과하는 것만큼 이전 RSSI보다 더 큰지의 여부 및 제1 패킷(132)으로부터 유도된 SNR이 이전 SNR보다 더 작은지의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충돌을 추론할 수 있고, 여기서 이전 RSSI 및 이전 SNR은 각각 제1 무선 디바이스(110)로부터 수신된 이전 패킷으로부터 유도된다. 제2 무선 디바이스(140)는 RSSI가 급격한 증가 또는 감소를 보이는지를 결정함으로써 충돌을 추론할 수 있다. 추가로, 제2 무선 디바이스(140)는 SNR이 제1 MCS를 지원할 수 있는지를 결정함으로써 충돌을 추론할 수 있다. 제2 무선 디바이스(140)가 위의 방법들의 임의의 결합에 기초하여 충돌을 추론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방법(500)은 또한 504에서 결정에 기초하여 송신기에 NACK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 무선 디바이스(140)는 제1 패킷(132)의 디코딩 동안 에러가 채널 조건에 의해 야기되는지 또는 충돌에 의해 야기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고, 결정에 기초하여 제1 무선 디바이스(110)에 NACK 패킷(136)을 송신할 수 있다. 예시하자면, NACK 패킷(136)의 일부분은 디코딩 에러가 채널 조건에 의해 야기되었는지 또는 충돌에 의해 야기되었는지를 표시하는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ACK 패킷(136)의 '0'의 비트는 열악한 채널 조건들을 표시할 수 있고, '1'의 비트는 충돌을 표시할 수 있거나, 또는 그 역이 성립한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306에서 디코딩 에러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되는 경우(즉, 제2 무선 디바이스(140)가 제1 패킷(132)을 성공적으로 디코딩함), 방법(300)은 308에서 제1 패킷으로부터 유도된 신호 특성에 기초하여 제2 MCS를 추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 무선 디바이스(140)는 제1 패킷(132)을 수신(및 디코딩)할 수 있고, 제1 패킷(132)으로부터 유도된 신호 특성(예를 들어, SNR, SINR 및/또는 RSSI)에 기초하여 제2 MCS를 추정할 수 있다. 예시하자면, 제2 무선 디바이스(140)의 신호 메트릭 모듈(148)은 제1 패킷(132)의 PHY 프리앰블에 기초하여 또는 제1 패킷(132)의 데이터 페이로드에 기초하여 SINR을 계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계산된 SINR은 제2 무선 디바이스의 메모리(150)에 저장된 특정 MCS 또는 이력상의 MCS(예를 들어, 제2 MCS)에 매핑될 수 있다.
방법(300)은 또한 310에서 제1 MCS보다 더 큰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2 MCS가 제1 MCS보다 더 크다고 결정되는 경우, 방법(300)은 312에서, 제MCS 변경 표시자를 제2 값으로 세팅하는 것, 및 316에서 MCS 변경 표시자를 포함하는 ACK 패킷을 송신기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나, 제2 MCS가 제1 MCS보다더 더 크지 않다고 결정되는 경우(즉, 제2 MCS는 제1 MCS 이하임) 방법(300)은 314에서 MCS 변경 표시자를 제1 값으로 세팅하는 것, 및 316에서 MCS 변경 표시자를 포함하는 ACK 패킷을 송신기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 MCS가 제1 MCS보다 더 클 때, 제2 무선 디바이스(140)는 제1 MCS를 증가시키도록 제1 무선 디바이스(110)에 명령하는 제2 값으로 MCS 변경 표시자를 세팅할 수 있다. 제2 MCS가 제1 MCS 이하일 때, 제2 무선 디바이스(140)는 제1 MCS를 유지하도록 제1 무선 디바이스(110)에 명령하는 제1 값으로 제1 변경 표시자를 세팅할 수 있다.
방법(300)은 318에서, ACK 패킷 또는 NACK 패킷이 송신기에서 수신되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NACK 패킷이 수신되는 경우, 방법은 단계 C(즉, 도 5)로 진행한다. ACK 패킷이 수신되는 경우, 방법(300)은 320에서 MCS 변경 표시자의 값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무선 디바이스(110)는 제2 무선 디바이스(140)로부터 NACK 패킷(136) 또는 ACK 패킷(134)을 수신할 수 있다.
NACK 패킷이 송신기에서 수신되는 경우, 방법은 506에서, NACK가 에러가 충돌에 의해 야기되는지 또는 채널 조건들에 의해 야기되는지를 표시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에러가 충돌에 의해 야기되는 경우, 방법은 508에서 제1 MCS 및 전송 전력 레벨을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에러가 채널 조건들에 의해 야기되는 경우, 방법은 510에서 제1 MCS를 감소시키고 그리고/또는 전송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NACK 패킷(136) 내의 '0'의 비트는 열악한 채널 조건들을 표시할 수 있고 '1'의 비트는 충돌을 표시할 수 있거나, 또는 그 역이 성립한다. 에러가 채널 조건에 의해 야기될 때, NACK 패킷(136)은 제1 MCS를 감소시키고, 전송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수행하도록 제1 무선 디바이스(110)에 명령할 수 있다(또는 제1 무선 디바이스(110)가 선출할 수 있다). 에러가 충돌에 의해 야기될 때, NACK 패킷(136)은 제1 MCS 및 전송 전력 레벨을 유지하도록 제1 무선 디바이스(110)에 명령할 수 있다(또는 제1 무선 디바이스(110)가 선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무선 디바이스(110)는 심지어 에러가 충돌에 의해 야기되었을 때도 MCS 및/또는 전송 전력 레벨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318에서 ACK 패킷이 송신기에서 수신되는 경우, 방법은 320에서 MCS 변경 표시자의 값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MCS 변경 표시자가 제1 값을 포함하는 경우, 방법(300)은 322에서 제1 MCS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MCS 변경 표시자가 제2 값을 가지는 경우, 방법(300)은 324에서 제1 MCS를 증분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2 값은 전송 전력이 특정 레벨(예를 들어, 최대 전송 전력 레벨)에 있을 때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도록 송신기에 명령한다. 318에서 ACK 패킷 또는 NACK 패킷 어느 것도 수신되지 않는 경우, 방법은 또한 (가능하다면) MCS를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CK 패킷(134) 또는 NACK 패킷(136)이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내에 제1 무선 디바이스(110)에서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1 무선 디바이스(110)는 감소한 MCS에 따라(즉, 제1 MCS가 가장 낮은 가능한 MCS가 아닌 경우) 제1 패킷(132)을 재전송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318에서 ACK 패킷 또는 NACK 패킷 어느 것도 수신되지 않는 경우, 방법은 전송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무선 디바이스(110)는 제1 시간 동안 제1 패킷(132)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송 전력 레벨에 비해, (제1 MCS를 감소시키는 것이 구현가능하지 않을 때) 증가한 전송 전력 레벨에 따라 제1 패킷(132)을 재전송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의 특정 실시예의 흐름도가 개시되고 일반적으로 400으로 표기된다. 방법(400)은 수신기와 통신하는 송신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기는 도 1의 제1 무선 디바이스(110)일 수 있고, 수신기는 도 1의 제2 무선 디바이스(140)일 수 있다.
방법(400)은 402에서 제1 MCS에 따라 그리고 전송 전력 레벨에서 제1 패킷을 수신기에 송신하는 것 및 404에서 송신기로부터 제1 패킷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무선 디바이스(110)는 제1 MCS에 따라 그리고 전송 전력 레벨에서 제2 무선 디바이스(140)에 제1 패킷(132)을 전송할 수 있다.
방법(400)은 406에서, 디코딩 에러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디코딩 에러가 존재한다고 결정되는 경우, 방법(400)은 도 4에 대해 설명된 단계 A로 진행한다. 그러나, 디코딩 에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방법(400)은 408에서, 제1 패킷으로부터 신호 특성을 유도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 무선 디바이스(140)는 제1 무선 디바이스(110)로부터 송신된 제1 패킷(132)을 수신할 수 있고, 디코딩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제2 무선 디바이스(140)가 제1 패킷을 성공적으로 디코딩하는 경우(즉, 디코딩 에러 없음), 제2 무선 디바이스는 제1 패킷(132)으로부터 신호 특성(예를 들어, SNR, SINR, 및/또는 SINR)을 유도할 수 있다.
제2 무선 디바이스가 제1 패킷(132)을 디코딩할 수 없는 경우, 방법(400)은 도 5로 진행하고, 여기서, 방법은, 502에서, 에러가 채널 조건에 의해 야기되는지 또는 충돌에 의해 야기되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400)은 또한 504에서, 결정에 기초하여 송신기에 NACK 패킷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 무선 디바이스는 에거라 채널 조건에 의해 야기되었는지 또는 충돌에 의해 야기되었는지를 표시하는 NACK 패킷(136)을 제1 무선 디바이스(110)에 송신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코딩 에러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할 시에, 방법(400)은 또한 410에서, 제1 패킷(132)으로부터 유도된 신호 특성을 타겟 신호 특성과 비교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 무선 디바이스(140)는 제1 패킷(132)으로부터 유도된 신호 특성이 타겟 신호 특성(예를 들어, "최적" 또는 "예상된")보다 더 큰 경우 제1 MCS와 연관된 신호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유도된 신호 특성이 타겟 신호 특성보다 더 크다고 결정되는 경우, 방법(400)은 412에서,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를 제2 값으로 세팅하고, 416에서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를 포함하는 ACK 패킷을 송신기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유도된 신호 특성이 타겟 신호 특성보다 더 크지 않다고 결정되는 경우(즉, 유도된 신호 특성이 타겟 신호 특성 이하임), 방법(400)은 414에서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를 제1 값으로 세팅하는 것, 및 416에서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를 포함하는 ACK 패킷을 송신기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유도된 신호 특성이 타겟 신호 특성보다 더 클 때, 제2 무선 디바이스(140)는 전송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도록 제1 무선 디바이스(110)에 명령하는 제2 값으로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를 세팅할 수 있다. 유도된 신호 특성이 타겟 신호 특성 이하일 때, 제2 무선 디바이스(140)는 전송 전력 레벨을 유지하도록 제1 무선 디바이스(110)에 명령하는 제1 값으로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를 세팅할 수 있다.
방법(400)은 418에서, ACK 패킷 또는 NACK 패킷이 송신기에서 수신되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NACK 패킷이 수신되는 경우, 방법(400)은 도 5에 관련하여 설명된 단계 C로 진행한다. 그러나, ACK 패킷이 수신되는 경우, 방법(400)은, 420에서,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의 값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무선 디바이스(110)는 NACK 패킷(136) 또는 ACK 패킷(134)의 형태로 제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응답을 수신한다.
도 5를 참조하면, NACK 패킷이 송신기에서 수신되는 경우, 방법은 506에서, NACK가 에러가 충돌에 의해 야기되는지 또는 채널 조건들에 의해 야기되는지를 표시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에러가 충돌에 의해 야기되는 경우, 방법은 508에서 제1 MCS 및 전송 전력 레벨을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에러가 채널 조건들에 의해 야기되는 경우, 방법은 510에서, 제1 MCS를 감소시키고 그리고/또는 전송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에러가 채널 조건에 의해 야기될 때, NACK 패킷(136)은 제1 MCS를 감소시키고, 전송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을 수행하도록 제1 무선 디바이스(110)에 명령할 수 있다(또는 제1 무선 디바이스(110)가 선출할 수 있다). 에러가 충돌에 의해 야기될 때, NACK 패킷(136)은 제1 MCS 및 전송 전력 레벨을 유지하도록 제1 무선 디바이스(110)에 명령할 수 있다(또는 제1 무선 디바이스(110)가 선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무선 디바이스(110)는 심지어 에러가 충돌에 의해 야기되었을 때라도 MCS 및/또는 전송 전력 레벨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ACK 패킷이 송신기에서 수신되는 경우, 방법은 420에서,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의 값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가 제1 값인 경우, 방법(400)은, 422에서, 전송 전력 레벨을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가 제2 값인 경우, 방법(400)은, 424에서, 전송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ACK 패킷 또는 NACK 패킷 어느 것도 수신되지 않는 경우(즉, 송신기에 의해 송신된 제1 패킷(132)에 응답하여), 방법(400)은 또한 426에서, 전송 전력 레벨이 최대 전송 전력 레벨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CK 패킷(134) 또는 NACK 패킷(136)이 제1 무선 디바이스에서(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내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1 무선 디바이스는 전송 전력 레벨이 최대 전송 전력 레벨 미만일 때 증가한 전력 레벨에서 제1 패킷(132)을 재전송할 수 있다. 또한, ACK 패킷(134) 또는 NACK 패킷(136) 어느 것도 제1 무선 디바이스(110)에서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1 무선 디바이스(110)는, 전송 전력 레벨이 최대 전송 전력 레벨과 동일할 때 감소한 MCS에서(즉, 제1 MCS로부터 감소됨) 제1 패킷(132)을 재전송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MAC 헤더 내의 (예를 들어, IEEE 801.11n/ac 네트워크들에서 고속 링크 적응에 대해 사용되는) HT 제어 필드가 존재할 때 짧은 ACK 패킷을 생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또한 송신 요구(RTS)/송신 준비 완료(CTS) 시나리오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TS 메시지는 (도 1의 ACK 패킷(134)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은) MCS/전력 변경 표시자를 포함할 수 있고, MCS/전력 변경 표시자는 이전 RTS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MCS/전력보다 더 높거나 더 낮은 MCS/전력을 선택하도록 송신기에 명령한다. 따라서, 본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CTS 메시지의 1비트를 사용하는 고속 MCS 제어 및/또는 CTS 메시지의 1비트(예를 들어, MCS 제어에 대한 것과 동일한 비트 또는 상이한 비트)를 사용하는 고속 전력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라 레이트 제어 및 전력 제어를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특정 실시예의 블록도가 개시되며 일반적으로 600으로 표기된다. 디바이스(600)는 메모리(632)에 커플링된 프로세서(610)와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610)는 신호 메트릭 모듈(612), ACK/NACK 패킷들을 생성하기 위한 로직(614), 및 MCS/전력 제어 결정 로직(616)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32)는 데이터(예를 들어, 이력 MCS/전송 전력 레벨 데이터(690)를 나타냄), 명령들 또는 둘 모두를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메모리(632)는 프로세서(610)가 디바이스(600)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도록 프로세서(610)에 의해 실행가능할 수 있는 명령들(65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령들(652)은 사용자 애플리케이션들, 운영 체제, 또는 다른 실행가능한 명령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들(652)은 프로세서(610)가 도 1-5 중 임의의 것에 대해 설명된 기능성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게 하도록 프로세서(610)에 의해 실행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령들(652)은 컴퓨터가 도 3의 방법(300), 도 4의 방법(400), 및 도 5의 방법(500)을 수행하게 하도록 컴퓨터(예를 들어, 프로세서(610))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600)는 신호들 및/또는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고 수신하기 위한 트랜시버(6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600)는 디바이스(600)가 신호들 및/또는 패킷들을 전송할 때 송신기로서 기능할 수 있고 디바이스(600)가 신호들 및/또는 패킷들을 수신할 때 수신기로서 기능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신호 메트릭 모듈(612)은 신호 메트릭 모듈(612)은 수신된 신호의 신호 특성들(예를 들어, SNR, SINR, 및 RSSI)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신호 특성들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MCS/전력 제어 로직(616)은 MCS 및/또는 데이터 패킷과 연관된 전송 전력 레벨을 유지/증분/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디바이스(600)가 제2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할 때, 로직(614)은 데이터 패킷에 응답하여 ACK 패킷 또는 NACK 패킷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K 패킷 및/또는 NACK 패킷은 MCS 및/또는 전송 전력 레벨을 유지/증분/감소시키도록 제2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할 수 있다.
도 6은 또한 프로세서(610)에 그리고 디스플레이(628)에 커플링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제어기(626)를 도시한다. 코더/디코더(코덱)(634)(예를 들어, 오디오 및/또는 음성 코덱)는 프로세서(610)에 커플링될 수 있다. 스피커(636) 및 마이크로폰(638)은 코덱(634)에 커플링될 수 있다. 도 6은 또한 무선 제어기(640)는 프로세서(610)에 그리고 무선 안테나(642)에 커플링된 트랜시버(650)에 커플링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프로세서(610), 디스플레이 제어기(626), 메모리(632), 코덱(634), 무선 제어기(640), 및 트랜시버(650)는 시스템-인-패키지 또는 시스템-온-칩 디바이스(622)에 포함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입력 디바이스(630) 및 전력 공급기(644)는 시스템-온-칩 디바이스(622)에 커플링된다. 또한, 특정 실시예에서,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628), 입력 디바이스(630), 스피커(636), 마이크로폰(638), 무선 안테나(642), 및 전력 공급기(644)는 시스템-온-칩 디바이스(622)에 대해 외부에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628), 입력 디바이스(630), 스피커(636), 마이크로폰(638), 무선 안테나(642), 및 전력 공급기(644) 각각은 인터페이스 또는 제어기와 같은 시스템-온-칩 디바이스(622)의 컴포넌트에 커플링될 수 있다.
도 6이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도시하지만, 프로세서(610) 및 메모리(632)가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엔터테인먼트 유닛, 내비게이션 디바이스, 개인 디지털 보조 단말(PDA), 고정된 위치확인(location) 데이터 유닛, 또는 컴퓨터(예를 들어, 태블릿 컴퓨터, 랩톱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등), 미디어 디바이스, 라우터 또는 게이트웨이 디바이스와 같은 다른 디바이스들, 또는 데이터를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된 또다른 디바이스 내에 통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설명된 실시예들과 함께, 장치는 무선 디바이스에 제1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패킷 내의 데이터는 인코딩되고, 제1 패킷을 나타내는 신호는 변조 및 코딩 방식(MCS)에 따라 변조되고, 신호는 전송 전력 레벨에서 전송된다. 예를 들어, 제1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은 도 1의 송신기(112), 도 1의 제1 무선 디바이스(110), 도 1의 송신기(142), 도 1의 제2 무선 디바이스(140), 도 6의 트랜시버(650), 도 6의 디바이스(600), 제1 패킷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또한 제1 패킷을 전송하는 것에 응답하여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확인응답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인응답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도 1의 수신기(114), 도 1의 제1 무선 디바이스(110), 도 1의 수신기(144), 도 1의 제2 무선 디바이스(140), 도 6의 트랜시버(650), 도 6의 디바이스(600), 확인응답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확인응답 패킷의 수신에 응답하여 MCS 및 전송 전력 레벨을 변경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확인응답 패킷의 MCS 변경 표시자가 제1 값을 가질 때 MCS를 유지하고, 확인응답 패킷의 MCS 변경 표시자가 제2 값을 가질 때 MCS를 증분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도 1의 프로세서(116), 도 1의 프로세서(146), 도 6의 MCS/전력 제어 결정 로직(616), 도 6의 프로세서(610), MCS 및 전송 전력 레벨을 변경할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은 확인응답 패킷이 시간 기간 내에 수신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MCS보다 더 작은 제2 MCS에 따라 패킷을 재전송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장치는 또한 패킷을 전송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를 포함하는 확인응답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도 1의 수신기(114), 도 1의 제1 무선 디바이스(110), 도 1의 수신기(144), 도 1의 제2 무선 디바이스(140), 도 6의 트랜시버(650), 도 6의 디바이스(600), 확인응답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장치는 전송 전력 레벨을 변경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가 제1 값을 가질 때 전송 전력 레벨을 유지하고,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가 제2 값을 가질 때 전송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도 1의 프로세서(116), 도 1의 프로세서(146), 도 6의 MCS/전력 제어 결정 로직(616), 도 6의 프로세서(610), MCS 및 전송 전력 레벨을 변경할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장치는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패킷은 제1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을 표시하고 전송 전력 레벨에서 전송된다. 예를 들어,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도 1의 수신기(114), 도 1의 제1 무선 디바이스(110), 도 1의 수신기(144), 도 1의 제2 무선 디바이스(140), 도 6의 트랜시버(650), 도 6의 디바이스(600),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장치는 또한 패킷으로부터 유도된 신호 특성에 기초하여 제2 MCS를 추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정하기 위한 수단은 도 1의 신호 메트릭 모듈(118), 도 1의 프로세서(116), 도 1의 신호 메트릭 모듈(148), 도 1의 프로세서(146), 도 6의 신호 메트릭 모듈(612), 도 6의 프로세서(610), 신호 특성에 기초하여 MCS를 추정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장치는 MCS 변경 표시자를 포함하는 확인응답 패킷을 무선 디바이스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MCS 변경 표시자는 제2 MCS가 제1 MCS보다 더 크고 제1 MCS가 특정 레벨 미만일 때 제1 MCS를 증분시키도록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한다. MCS 변경 표시자는 제2 MCS가 제1 MCS보다 더 크고 제1 MCS가 특정 레벨에 있을 때 전송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도록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한다. MCS 변경 표시자는 제2 MCS가 제1 MCS 이하일 때 제1 MCS를 유지하도록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한다. 예를 들어, 전송하기 위한 수단은 도 1의 송신기(112), 도 1의 제1 무선 디바이스(110), 도 1의 송신기(142), 도 1의 제2 무선 디바이스(140), 도 6의 트랜시버(650), 도 6의 디바이스(600), 확인응답 패킷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2 장치는 패킷으로부터 유도된 신호 특성을 타겟 신호 특성과 비교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비교하기 위한 수단은 도 1의 신호 메트릭 모듈(118), 도 1의 프로세서(116), 도 1의 신호 메트릭 모듈(148), 도 1의 프로세서(146), 도 6의 신호 메트릭 모듈(612), 도 6의 프로세서(610), 신호 특성들을 타겟 신호 특성과 비교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2 장치는 패킷을 디코딩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디코딩하기 위한 수단은 도 1의 프로세서(146), 도 1의 신호 메트릭 모듈(148), 도 6의 프로세서(610), 도 6의 코덱(634), 패킷을 디코딩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제2 장치는 디코딩을 위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에러에 응답하여 에러가 채널 조건 또는 충돌에 의해 야기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도 1의 신호 메트릭 모듈(118), 도 1의 프로세서(116), 도 1의 신호 메트릭 모듈(148), 도 1의 프로세서(146), 도 6의 신호 메트릭 모듈(612), 도 6의 프로세서(610), 에러가 채널 조건 또는 충돌에 의해 야기되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장치는 결정에 기초하여 무선 디바이스에 부정 확인응답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정 확인응답 패킷은 에러가 채널 조건에 의해 야기될 때 MCS를 감소시키고, 전송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수행하도록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한다. 부정 확인응답 패킷은, 에러가 충돌에 의해 야기될 때 MCS 및 전송 전력 레벨을 유지하도록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한다. 예를 들어, 전송하기 위한 수단은 도 1의 송신기(112), 도 1의 제1 무선 디바이스, 도 1의 송신기(142), 도 1의 제2 무선 디바이스(140), 도 6의 트랜시버(650), 도 6의 디바이스(600), 부정 확인응답 패킷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은 통신 디바이스, 고정된 위치확인 데이터 유닛, 모바일 위치확인 데이터 유닛, 모바일 전화, 셀룰러 전화, 컴퓨터, 태블릿, 휴대용 컴퓨터, 또는 데스크톱 컴퓨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시스템 또는 장치는 셋톱 박스, 엔터테인먼트 유닛, 내비게이션 디바이스, 개인용 디지털 보조 단말(PDA), 모니터, 컴퓨터 모니터, 텔레비전, 튜너, 라디오, 위성 라디오, 음악 플레이어, 디지털 음악 플레이어, 휴대용 음악 플레이어, 비디오 플레이어, 디지털 비디오 플레이어,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플레이어, 휴대용 디지털 비디오 플레이어, 데이터 또는 컴퓨터 명령들을 저장하거나 리트리브(retrieve)하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예로서, 시스템 또는 장치는 모바일 전화들과 같은 원격 유닛들, 핸드-헬드 개인 통신 시스템(PCS) 유닛들, 개인용 데이터 보조 단말들과 같은 휴대용 데이터 유닛들,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인에이블 디바이스들, 내비게이션 디바이스들, 미터 판독 장비와 같은 고정된 위치확인 데이터 유닛들, 또는 데이터 또는 컴퓨터 명령들을 저장하거나 리트리브하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 중 하나 이상이 개시내용의 교시들에 따라 시스템들, 장치들, 및/또는 방법들을 예시하지만, 개시내용은 이들 예시된 시스템들, 장치들 및/또는 방법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메모리, 프로세서, 및 회로를 포함하는 임의의 디바이스에서 적절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은 표기를 사용한 본원에서의 엘리먼트에 대한 임의의 인용이 일반적으로 그 엘리먼트들의 수량 또는 순서를 제한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오히려, 이들 표기들이 둘 이상의 엘리먼트들을 구별하는 편리한 방법 또는 엘리먼트의 경우들로서 본원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엘리먼트들에 대한 인용은 두개의 엘리먼트들만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제1 엘리먼트가 일부 방식에서 제2 엘리먼트에 선행해야 함을 의미하지 않는다. 또한, 다른 방식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엘리먼트들의 세트는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결정하는"은 광범위한 동작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결정하는"은 계산하는, 컴퓨팅하는, 프로세싱하는, 유도하는, 조사하는, 검색하는(예를 들어, 표, 데이터베이스 또는 또다른 데이터 구조에서 검색하는), 확인하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하는"은 수신하는(예를 들어, 정보를 수신하는), 액세스하는(예를 들어, 메모리에 데이터를 액세스하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하는"은 분석하는, 선택하는(selecting, choosing), 설정하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항목들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칭하는 구문은 단일 멤버들을 포함하여, 그 항목들의 임의의 결합을 지칭한다. 예로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는 a, b, c, a-b, a-c, b-c, 및 a-b-c를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구성들, 모듈들, 회로들, 단계들은 일반적으로 이들의 기능성의 견지에서 전술되었다. 이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 또는 프로세서 실행가능한 명령들로서 구현되는지의 여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들에 의존한다. 추가적으로, 전술된 방법들의 다양한 동작들은 다양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회로들, 및/또는 모듈(들)과 같은,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 1-6에 예시된 임의의 동작은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대응하는 기능적 수단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당업자는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가변적인 방식으로 설명된 기능성을 구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로부터의 이탈을 야기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당업자는 본 개시내용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구성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프로그램 논리 디바이스(PLD),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전자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본원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이용하여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는 점을 추가로 이해할 것이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결합,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공조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되는 경우, 기능들은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한 장소에서 또다른 장소로의 컴퓨터 프로그램 데이터의 이전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및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시에 의해,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프로그램가능한 판독-전용 메모리(PROM), 소거가능한 PROM(EPROM), 전기적 소거가능한 PROM(EEPROM),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제거가능한 디스크, 컴팩트 디스크 판독-전용 메모리(CD-ROM), 다른 광 디스크 저장, 자기 디스크 저장,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의 형태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예를 들어,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일체화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 회로(ASIC)에 상주할 수 있다. ASIC은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단말에 상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단말 내에 이산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수단이 적절하게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로 명명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경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disk 및 disc는,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컴팩트 disc(CD), 레이저 disc, 광 disc, 디지털 다목적 disc(DVD), 및 플로피 disk를 포함하고, disk들은 일반적으로 자기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하는 반면, disc들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따라서, 일부 양상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예를 들어, 유형적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일부 양상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예를 들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위 항목의 결합들은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본원에 개시된 방법들은 하나 이상의 단계들 또는 동작들을 포함한다. 방법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의 이탈 없이 서로 교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계들 또는 동작들의 특정 순서가 특정되지 않는 한, 특정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의 순서 및/또는 사용은 개시내용의 범위로부터의 이탈 없이 수정될 수 있다.
특정 양상들은 본원에 제시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저장된(그리고/또는 인코딩된) 명령들을 가지는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고, 명령들은 본원에 설명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패키지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설명된 방법들 및 기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들 및/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이 적용가능한 경우, 사용자 단말 및/또는 기지국에 의해 다운로드되고 그리고/또는 다른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대안적으로, 본원에 설명된 다양한 방법들은 저장 수단(예를 들어, RAM, ROM, 컴팩트 디스크(CD)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설명된 방법들 및 기법들을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기법이 활용될 수 있다. 개시내용의 범위가 위에 예시된 정확한 구성 및 컴포넌트들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개시된 실시예들의 이전 설명이 당업자가 개시된 실시예들을 제작하고 사용하게 하도록 제공된다. 이전 내용이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에 관한 것이지만, 개시내용의 다른 양상들은 개시내용의 기본 범위로부터의 이탈 없이 고안될 수 있고, 범위는 후속하는 청구항들에 의해 결정된다. 다양한 수정들, 변경들 및 변형들이 개시내용 또는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의 이탈 없이 본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의 배열, 동작 및 상세항목들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본원에서의 실시예들에 제한되도록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후속하는 청구항들 및 그 등가물들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부합하는 가능한 가장 넓은 범위에 따라야 한다.

Claims (57)

  1. 방법으로서,
    제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2 무선 디바이스로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 ― 상기 패킷 내의 데이터가 인코딩되고 상기 패킷을 나타내는 신호는 변조 및 코딩 방식(MCS)에 따라 변조됨 ― ;
    상기 패킷을 전송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를 통해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MCS 변경 표시자를 포함하는 확인응답 패킷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MCS 변경 표시자가 제1 값을 가질 때, 상기 MCS를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MCS 변경 표시자가 제2 값을 가질 때, 상기 MCS를 증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제1 전송 전력 레벨에서 전송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확인응답 패킷이 시간 기간 내에서 상기 패킷에 응답하여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제1 전송 전력 레벨보다 더 큰 제2 전송 전력 레벨에 따라 상기 패킷은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의 웨이크업(wakeup) 시에 가장 낮은 MCS에 따라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낮은 MCS는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의 가장 낮은 이용가능한 MCS,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가장 낮은 이력상으로 사용된 MCS,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 중인 특정 무선 채널에 대한 가장 낮은 이력상으로 사용된 MCS,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낮은 MCS는 제1 무선 디바이스에 저장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WLAN은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IEEE)802.11 프로토콜에 순응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CS 변경 표시자는 7 비트들보다 더 적은 비트들을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MCS 변경 표시자는 단일 비트인,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MCS 변경 표시자는 한 쌍의 비트들인,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CS 변경 표시자는 상기 확인응답 패킷의 물리적 계층(PHY) 프리앰블, 상기 PHY 프리앰블의 신호(SIG) 필드, 상기 확인응답 패킷의 매체 액세스 제어(MAC) 헤더, 상기 확인응답 패킷의 높은 스루풋(HT) 제어 필드, 또는 이들의 결합 내에 포함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응답 패킷은 블록 확인응답인,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응답 패킷에 포함된 상기 MCS 변경 표시자가 제3 값을 가질 때 상기 MCS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송신 요구(RTS) 메시지에 포함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응답 패킷은 송신 준비 완료(CTS) 메시지에 포함되는,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CS 변경 표시자가 제2 값을 가질 때, 그리고 상기 MCS가 특정 레벨에 있을 때,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로의 후속적인 송신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응답 패킷이 시간 기간 내에 수신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MCS보다 더 작은 제2 MCS에 따라 상기 패킷을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방법으로서,
    제1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패킷을 제2 무선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패킷은 제1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을 표시함 ― ;
    상기 패킷으로부터 유도된 신호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에서 제2 MCS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제2 MCS가 상기 제1 MCS보다 더 클 때, MCS 변경 표시자와 함께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로 제1 확인응답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 ― 상기 MCS 변경 표시자는 상기 제1 MCS가 특정 레벨 미만일 때 상기 제1 MCS를 증분시키고 상기 제1 MCS가 특정 레벨에 있을 때 전송 전력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제1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명령함 ― ; 및
    상기 제2 MCS가 상기 제1 MCS 이하일 때, 상기 제1 MCS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하는 표시자와 함께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에 제2 확인응답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의 웨이크업 시에 가장 낮은 MCS에 따라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낮은 MCS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가장 낮은 이용가능한 MCS,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에 대해 가장 낮은 이력상으로 사용된 MCS,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중인 특정 무선 채널에 대해 가장 낮은 이력상으로 사용된 MCS,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하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낮은 MCS는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에 저장되는,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및 상기 확인응답 패킷은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IEEE) 802.11 ah 순응형 프로토콜을 통해 전송되는, 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MCS 변경 표시자는 7 비트들보다 더 적은 비트들을 포함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MCS 변경 표시자는 단일 비트인,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MCS 변경 표시자는 한 쌍의 비트들인, 방법.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MCS 변경 표시자는 상기 확인응답 패킷의 물리적 계층(PHY) 프리앰블, 상기 PHY 프리앰블의 신호(SIG) 필드, 상기 확인응답 패킷의 매체 액세스 제어(MAC) 헤더, 상기 확인응답 패킷의 높은 스루풋(HT) 제어 필드, 또는 이들의 결합 내에 포함되는, 방법.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응답 패킷은 블록 확인응답인, 방법.
  2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응답 패킷에 포함된 상기 MCS 변경 표시자가 제3 값을 가질 때 상기 MCS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은 송신 요구(RTS) 메시지에 포함되는, 방법.
  2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응답 패킷은 송신 준비 완료(CTS) 메시지에 포함되는, 방법.
  30. 방법으로서,
    전송 전력 레벨에서 제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2 무선 디바이스로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 및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를 포함하는 확인응답 패킷이 상기 패킷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될 때:
    상기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가 제1 값을 가질 때,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가 제2 값을 가질 때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확인 응답 패킷이 확인응답 응답 시간 기간 내에서 상기 패킷에 응답하여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이 특정 전송 전력 레벨 미만일 때, 증가한 전력 레벨에서 상기 패킷을 재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전력이 상기 특정 전송 전력 레벨과 동일할 때, 감소한 변조 및 코딩 방식(MCS)에 따라 상기 패킷을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2. 방법으로서,
    제1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패킷을 제2 무선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패킷은 선택된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을 표시하고 전송 전력 레벨에서 전송됨 ― ;
    상기 패킷으로부터 유도된 신호 특성을 상기 선택된 MCS와 연관된 타겟 신호 특성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유도된 신호 특성이 상기 타겟 신호 특성보다 더 클 때,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로 제1 확인응답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1 확인응답 패킷은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하는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를 포함함 ― ; 및
    상기 유도된 신호 특성이 상기 타겟 신호 특성 이하일 때,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하는 표시자와 함께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에 제2 확인응답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3. 방법으로서,
    제1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패킷을 제2 무선 디바이스에서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패킷은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을 표시하고 전송 전력 레벨에서 전송됨 ― ;
    상기 패킷의 디코딩동안 검출된 에러에 응답하여, 상기 에러가 채널 조건에 의한 야기되는지 또는 충돌에 의해 야기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에 부정 확인응답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에러가 채널 조건에 의해 야기될 때, 상기 부정 확인응답 패킷은 상기 MCS를 감소시키고,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하고; 그리고
    상기 에러가 충돌에 의해 야기될 때, 상기 부정 확인응답 패킷은 상기 MCS 및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하는,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가 채널 조건에 의한 야기되는지 또는 충돌에 의해 야기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패킷으로부터 유도된 수신된 신호 강도 표시(RSSI)가 특정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RSSI가 이전 RSSI보다 임계량을 초과하는 것만큼 더 큰지의 여부 및 상기 패킷으로부터 유도된 신호 대 잡음비(SNR)가 이전 SNR보다 더 작은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이전 RSSI 및 상기 이전 SNR 각각은 상기 제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이전 패킷으로부터 유도됨 ― ,
    상기 RSSI가 갑작스러운 증가 또는 감소를 보이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SNR이 상기 MCS를 지원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하는, 방법.
  35. 장치로서,
    프로세서; 및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무선 디바이스로의 패킷의 전송을 개시하고 ― 상기 패킷 내의 데이터는 인코딩되고 상기 패킷을 나타내는 신호는 변조 및 코딩 방식(MCS)에 따라 변조되고, 상기 신호는 전송 전력 레벨에서 전송됨 ― ; 그리고
    상기 패킷의 전송에 대한 응답으로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를 통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확인응답 패킷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확인응답 패킷의 MCS 변경 표시자가 제1 값을 가질 때, 상기 MCS를 유지하고;
    상기 확인응답 패킷의 MCS 변경 표시자가 제2 값을 가질 때, 상기 MCS를 증분시키도록 실행가능한,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MCS 변경 표시자는 단일 비트인, 장치.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응답 패킷은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는 단일 비트인,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MCS 변경 표시자 및 상기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는 적어도 하나의 공통 비트를 공유하는, 장치.
  3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추가로, 확인응답 패킷이 시간 기간 내에 상기 패킷에 응답하여 수신되지 않을 때, 감소한 MCS에 따라, 증가한 전력 레벨에서, 또는 이들의 결합에서 상기 패킷을 재전송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장치.
  40.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WLAN은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IEEE) 802.11 프로토콜에 순응하는, 장치.
  41.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추가로, 상기 확인응답 패킷이 시간 기간 내에 수신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MCS보다 더 작은 제2 MCS에 따라 상기 패킷의 전송을 재-개시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장치.
  42. 장치로서,
    프로세서; 및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패킷의 수신을 검출하고 ― 상기 패킷은 제1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을 표시하고 전송 전력 레벨에서 전송됨 ― ;
    상기 패킷으로부터 유도된 신호 특성에 기초하여 제2 MCS를 추정하고; 그리고
    MCS 변경 표시자를 포함하는 확인응답 패킷의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의 전송을 개시하도록 실행가능하고,
    상기 제2 MCS가 상기 제1 MCS보다 더 크고 상기 제1 MCS가 특정 레벨 미만일 때, 상기 MCS 변경 표시자는 상기 제1 MCS를 증분시키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하고;
    상기 제2 MCS가 상기 제1 MCS보다 더 크고 상기 제1 MCS가 특정 레벨에 있을 때, 상기 MCS 변경 표시자는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하고; 그리고
    상기 제2 MCS가 상기 제1 MCS 이하일 때, 상기 MCS 변경 표시자는 상기 제1 MCS를 유지하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하는, 장치.
  43. 장치로서,
    프로세서; 및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전송 전력 레벨에서 제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2 무선 디바이스로의 패킷의 전송을 개시하고;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를 포함하는 확인응답 패킷이 상기 패킷의 전송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될 때:
    상기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가 제1 값을 가질 때,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유지하고; 그리고
    상기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가 제2 값을 가질 때,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도록 실행가능한, 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확인응답 패킷이 확인응답 응답 시간 기간 내에서 상기 패킷에 응답하여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이 특정 전송 전력 레벨 미만일 때는 증가한 전력 레벨에서 상기 패킷을 재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전송 전력이 상기 특정 전송 전력 레벨과 동일할 때는 감소한 변조 및 코딩 방식(MCS)에 따라 상기 패킷을 재전송하는, 장치.
  45. 장치로서,
    프로세서; 및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패킷의 수신을 검출하고 ― 상기 패킷은 선택된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을 표시하고 전송 전력 레벨에서 전송됨 ― ;
    상기 패킷으로부터 유도된 신호 특성을 타겟 신호 특성과 비교하고; 그리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의 확인응답 패킷의 전송을 개시하도록 실행가능하고,
    상기 유도된 신호 특성이 상기 타겟 신호 특성보다 더 클 때, 상기 확인응답 패킷은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하는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유도된 신호 특성이 상기 타겟 신호 특성 이하일 때, 상기 확인응답 패킷은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유지하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하는 표시자를 포함하는, 장치.
  46. 장치로서,
    프로세서; 및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패킷의 수신을 검출하고 ― 상기 패킷은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을 표시하고, 전송 전력 레벨에서 전송됨 ― ;
    상기 패킷의 디코딩동안 검출된 에러에 응답하여, 상기 에러가 채널 조건에 의해 야기되는지 또는 충돌에 의해 야기되는지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의 부정 확인응답 패킷의 전송을 개시하도록 실행가능하고,
    상기 에러가 상기 채널 조건에 의해 야기될 때, 상기 부정 확인응답 패킷은 상기 MCS를 감소시키고,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수행하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하고, 그리고
    상기 에러가 상기 충돌에 의해 야기될 때, 상기 부정 확인응답 패킷은 상기 MCS 및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유지하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하는, 장치.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가 채널 조건에 의해 야기되는지 또는 충돌에 의해 야기되는지를 결정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은:
    상기 패킷으로부터 유도된 수신된 신호 강도 표시(RSSI)가 특정 범위 내에 있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RSSI가 임계량을 초과하는 것만큼 이전 RSSI보다 더 큰지의 여부 및 상기 패킷으로부터 유도된 신호 대 잡음비(SNR)가 이전 SNR보다 더 작은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 상기 이전 RSSI 및 상기 이전 SNR 각각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이전 패킷으로부터 유도됨 ― ,
    상기 RSSI가 갑작스러운 증가 또는 감소를 보이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SNR이 상기 MCS를 지원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고,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수행하도록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장치.
  48. 장치로서,
    무선 디바이스에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 ― 상기 패킷 내의 데이터는 인코딩되고, 상기 패킷을 나타내는 신호는 변조 및 코딩 방식(MCS)에 따라 변조되고, 상기 신호는 전송 전력 레벨에서 전송됨 ― ;
    상기 패킷을 전송하는 것에 응답하여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를 통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확인응답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확인응답 패킷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MCS를 변경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확인응답 패킷의 MCS 변경 표시자가 제1 값을 가질 때, 상기 MCS를 유지하고;
    상기 확인응답 패킷의 MCS 변경 표시자가 제2 값을 가질 때, 상기 MCS를 증분시키도록 구성되는, 장치.
  49. 장치로서,
    전송 전력 레벨에서 제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2 무선 디바이스로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
    상기 패킷을 전송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를 포함하는 확인응답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변경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가 제1 값을 가질 때,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유지하고; 그리고
    상기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가 제2 값을 가질 때,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장치.
  50. 장치로서,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패킷은 제1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을 표시하고 전송 전력 레벨에서 전송됨 ― ;
    상기 패킷으로부터 유도된 신호 특성에 기초하여 제2 MCS를 추정하기 위한 수단; 및
    MCS 변경 표시자를 포함하는 확인응답 패킷을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MCS가 상기 제1 MCS보다 더 크고 상기 제1 MCS가 특정 레벨 미만일 때, 상기 MCS 변경 표시자는 상기 제1 MCS를 증분시키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하고;
    상기 제2 MCS가 상기 제1 MCS보다 더 크고 상기 제1 MCS가 특정 레벨에 있을 때, 상기 MCS 변경 표시자는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하고; 그리고
    상기 제2 MCS가 상기 제1 MCS 이하일 때, 상기 MCS 변경 표시자는 상기 제1 MCS를 유지하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하는, 장치.
  51. 장치로서,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패킷은 제1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을 표시하고 전송 전력 레벨에서 전송됨 ― ;
    상기 패킷으로부터 유도된 신호 특성을 타겟 신호 특성과 비교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확인응답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된 신호 특성이 상기 타겟 신호 특성보다 더 클 때, 상기 확인응답 패킷은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하는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유도된 신호 특성이 상기 타겟 신호 특성 이하일 때, 상기 확인응답 패킷은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유지하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하는 표시자를 포함하는, 장치.
  52. 장치로서,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패킷은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을 표시하고 전송 전력 레벨에서 전송됨 ― ;
    상기 패킷 내의 에러가 채널 조건에 의해 야기되는지 또는 충돌에 의해 야기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부정 확인응답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에러가 상기 채널 조건에 의해 야기될 때, 상기 부정 확인응답 패킷은 상기 MCS를 감소시키고,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수행하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하고, 그리고
    상기 에러가 상기 충돌에 의해 야기될 때, 상기 부정 확인응답 패킷은 상기 MCS 및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유지하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하는, 장치.
  53.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무선 디바이스로의 패킷의 전송을 개시하고 ― 상기 패킷 내의 데이터는 인코딩되고, 상기 패킷을 나타내는 신호는 변조 및 코딩 방식(MCS)에 따라 변조되고, 상기 신호는 전송 전력 레벨에서 전송됨 ― ;
    상기 패킷의 전송에 응답하여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를 통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부터의 확인응답 패킷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확인응답 패킷의 MCS 변경 표시자가 제1 값을 가질 때, 상기 MCS를 유지하고; 그리고
    상기 확인응답 패킷의 MCS 변경 표시자가 제2 값을 가질 때, 상기 MCS를 증분시키게 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54.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패킷의 수신을 검출하고 ― 상기 패킷은 제1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을 표시하고 전송 전력 레벨에서 전송됨 ― ;
    상기 패킷으로부터 유도된 신호 특성에 기초하여 제2 MCS를 추정하고; 그리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MCS 변경 표시자를 포함하는 확인응답 패킷의 전송을 개시하게 하고,
    상기 제2 MCS가 상기 제1 MCS보다 더 크고 상기 제1 MCS가 특정 레벨 미만일 때, 상기 MCS 변경 표시자는 상기 제1 MCS를 증분시키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하고,
    상기 제2 MCS가 상기 제1 MCS보다 더 크고 상기 제1 MCS가 특정 레벨에 있을 때, 상기 MCS 변경 표시자는 전송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하고, 그리고
    상기 제2 MCS가 상기 제1 MCS 이하일 때, 상기 MCS 변경 표시자는 상기 제1 MCS를 유지하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55.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전송 전력 레벨에서 제1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제2 무선 디바이스로 패킷의 전송을 개시하고; 그리고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를 포함하는 확인응답 패킷이 상기 패킷의 전송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될 때:
    상기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가 제1 값을 가질 때,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유지하고; 그리고
    상기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가 제2 값을 가질 때,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게 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56.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패킷의 수신을 검출하고 ― 상기 패킷은 선택된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을 표시하고 전송 전력 레벨에서 전송됨 ― ;
    상기 패킷으로부터 유도된 신호 특성을 타겟 신호 특성과 비교하고; 그리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의 확인응답 패킷의 전송을 개시하게 하고,
    상기 유도된 신호 특성이 상기 타겟 신호 특성보다 더 클 때, 상기 확인응답 패킷은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하는 전송 전력 레벨 변경 표시자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유도된 신호 특성이 상기 타겟 신호 특성 이하일 때, 상기 확인응답 패킷은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유지하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하는 표시자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57.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가: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패킷의 수신을 검출하고 ― 상기 패킷은 변조 및 코딩 방식(MCS)을 표시하고 전송 전력 레벨에서 전송됨 ― ;
    상기 패킷의 디코딩 동안 검출된 에러에 응답하여, 상기 에러가 채널 조건에 의해 야기되는지 또는 충돌에 의해 야기되는지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디바이스로의 부정 확인응답 패킷의 송신을 개시하게 하고,
    상기 에러가 상기 채널 조건에 의해 야기될 때, 상기 부정 확인응답 패킷은 상기 MCS를 감소시키고,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수행하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하고, 그리고
    상기 에러가 상기 충돌에 의해 야기될 때, 상기 부정 확인응답 패킷은 상기 MCS 및 상기 전송 전력 레벨을 유지하도록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명령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147022031A 2012-01-09 2013-01-09 Harq 피드백을 사용하는 레이트 및 전력 제어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201401110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584690P 2012-01-09 2012-01-09
US61/584,690 2012-01-09
US201261606862P 2012-03-05 2012-03-05
US61/606,862 2012-03-05
US201261611677P 2012-03-16 2012-03-16
US61/611,677 2012-03-16
US13/668,119 2012-11-02
US13/668,119 US20130176864A1 (en) 2012-01-09 2012-11-02 Rate and power control systems and methods
PCT/US2013/020848 WO2013106441A1 (en) 2012-01-09 2013-01-09 Rate and power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ing harq feedba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023A true KR20140111023A (ko) 2014-09-17

Family

ID=48743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2031A KR20140111023A (ko) 2012-01-09 2013-01-09 Harq 피드백을 사용하는 레이트 및 전력 제어 시스템들 및 방법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176864A1 (ko)
EP (1) EP2803157A1 (ko)
JP (1) JP6077005B2 (ko)
KR (1) KR20140111023A (ko)
CN (1) CN104040928B (ko)
IN (1) IN2014CN04918A (ko)
WO (1) WO201310644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985B1 (ko) * 2019-11-04 2020-05-11 (주)에어포인트 저전력 광역 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출력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통신단말기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43252A1 (en) * 2012-06-25 2013-12-26 Broadcom Corporation Power Saving for Mobile Terminals
US8929270B2 (en) * 2012-10-29 2015-01-06 Qualcomm Incorporated Coordinated transmission rate and channel scheduling for wireless multicast and broadcast
US10097315B2 (en) 2013-04-19 2018-10-09 Qualcomm Incorporated Group scheduling and acknowledgement for wireless transmission
US9894311B2 (en) * 2013-07-30 2018-02-13 Robert Bosch Gmbh Adaptive methods for wireless camera communication
KR102202660B1 (ko) * 2013-09-23 2021-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홈 서비스를 위한 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9622184B2 (en) * 2013-09-25 2017-04-11 Apple Inc. Transport block size and channel condition assessment based power consumption reduction for cellular communication
US9949216B2 (en) * 2013-09-25 2018-04-17 Apple Inc. Power consumption optimization for cellular communication via power amplifier biasing
US9136813B2 (en) * 2013-11-25 2015-09-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Wireless network receiver
CN111510257B (zh) * 2014-03-17 2023-06-30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用于wifi的接收失败识别和修复的方法
US20150271764A1 (en) * 2014-03-21 2015-09-24 Qualcomm Incorporated Positioning measurement management
US9781673B2 (en) * 2014-05-27 2017-10-03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control of RF low power modes in a multi-rate wireless system using device mode
US20160112825A1 (en) * 2014-10-15 2016-04-21 Qualcomm Incorporated Rendering A Media Stream By Wireless Devices Sharing Device Identifiers And Encryption Keys
US10367621B2 (en) * 2014-10-27 2019-07-30 Qualcomm Incorporated Fountain HARQ for 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
US9295011B1 (en) 2014-11-06 2016-03-22 At&T Mobility Ii Llc Low power chaining
US10528410B2 (en) * 2014-12-16 2020-01-07 Intel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to exchange error information in a unified protocol communication
WO2016104886A1 (ko) * 2014-12-25 2016-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트리거 프레임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 단위의 전송 방법 및 장치
US20160212749A1 (en) * 2015-01-19 2016-07-2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use of multiple modulation and coding schemes in a physical protocol data unit
US10536901B2 (en) * 2015-01-27 2020-01-14 Loci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mmunications within wireless sensor networks based on a periodic beacon signal
US10028220B2 (en) 2015-01-27 2018-07-17 Loci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wireless asymmetric network architectures of wireless devices with power management features
EP3266242B1 (en) * 2015-03-03 2020-05-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tus for communication between an access point and a sensor station
US10159047B2 (en) * 2015-05-18 2018-12-18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managing SIFS-bursting in WLAN system
WO2017034446A1 (en) * 2015-08-25 2017-03-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Wlan nodes, and methods therein for efficient usage of wlan resources
GB2545450B (en) * 2015-12-16 2019-05-29 Canon Kk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s wherein the transmitted signal has an adapatable power
EP3394751A1 (en) * 2015-12-23 2018-10-31 IDAC Holdings, Inc. Methods of offloading computation from mobile device to cloud
CN107018562B (zh) 2016-01-27 2020-06-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功率控制方法及装置
US10455350B2 (en) 2016-07-10 2019-10-22 ZaiNar, Inc. Method and system for radiolocation asset tracking via a mesh network
WO2018012259A1 (ja) * 2016-07-15 2018-01-18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10985862B2 (en) * 2016-08-30 2021-04-20 Mediatek Inc. Wireless communicating method and associated electronic device
CN108242970B (zh) * 2016-12-26 2021-03-02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基于资源单位的非许可传输的反馈方法及设备
US10277357B2 (en) 2017-01-19 2019-04-30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on of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US10959194B2 (en) * 2017-04-10 2021-03-2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delink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WI660643B (zh) 2017-05-08 2019-05-2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無線通訊之增益調整方法
JP7263311B2 (ja) * 2017-07-21 2023-04-24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他の端末から信号を受信した端末がフィードバックを送信する方法及び装置
US10779325B2 (en) * 2017-08-03 2020-09-15 Mediatek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hannel access in mobile communications
CN108668350B (zh) * 2018-03-19 2021-02-05 暨南大学 混合自动重发请求在时间相关性信道下的功率有效性设计方法
US11546101B2 (en) * 2018-07-30 2023-01-03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Cloud-based Wi-Fi network system using immediate ACK in uplink data transmission
US10999014B2 (en) * 2018-08-10 2021-05-04 Qualcomm Incorporated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US11388682B2 (en) 2018-10-11 2022-07-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vice noise-based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value modifications
US11202314B2 (en) 2019-06-18 2021-12-14 Sony Group Corporation Immediate retransmission scheme for real time applications
CN110933740B (zh) * 2019-11-26 2022-03-15 RealMe重庆移动通信有限公司 上行数据的传输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US11356892B2 (en) 2020-06-08 2022-06-07 Honda Motor Co., Ltd. Channel congestion control in V2X communication
EP3982571A1 (en) * 2020-10-09 2022-04-13 Nokia Technologies Oy Data transmission
WO2022220794A1 (en) * 2021-04-12 2022-10-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cs selection in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5398A (en) * 1993-10-07 1995-11-07 Metricom, Inc. Automatic power level control of a packet communication link
US5706428A (en) * 1996-03-14 1998-01-06 Lucent Technologies Inc. Multirat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
US7486634B2 (en) * 2001-08-28 2009-02-03 Sony Corporation Adaptive modulation based on signal quality
JP2004201093A (ja) * 2002-12-19 2004-07-15 Fuji Xerox Co Ltd 無線通信装置
US7738901B2 (en) * 2003-07-10 2010-06-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condary link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0663278B1 (ko) * 2004-11-15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장치
JP4579719B2 (ja) * 2005-03-03 2010-11-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データ再送方法
WO2007043455A1 (ja) * 2005-10-07 2007-04-19 Nec Corporation 信号送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局、移動局、並びに基地局
JP4583319B2 (ja) * 2006-02-08 2010-11-1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局及び基地局
US9258833B2 (en) * 2006-02-09 2016-02-09 Altair Semiconductor Ltd. LTE/Wi-Fi coexistence
JP4189410B2 (ja) * 2006-06-12 2008-12-03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及び送信制御方法
WO2008118051A1 (en) * 2007-03-26 2008-10-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power in a radio communications network
US8321741B2 (en) * 2008-05-05 2012-11-27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adaptive control mechanism for wireless communications
CN101635595B (zh) * 2008-07-24 2013-12-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无线资源的子信道化和资源映射方法
US8730853B2 (en) * 2008-09-05 2014-05-20 Mediatek Inc. Methods for responding to co-located coexistence (CLC) request from a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s apparatuses capable of controlling multi-radio coexistence
JP5182220B2 (ja) * 2009-05-21 2013-04-17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制御方法
US8666318B2 (en) * 2009-06-24 2014-03-04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ellular uplink transmissions
KR20110009025A (ko) * 2009-07-20 2011-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제어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CA2772446A1 (en) * 2009-09-02 2011-03-10 Robert Novak Transmission of symbols in a mimo environment using alamouti based codes
US8473821B2 (en) * 2010-11-09 2013-06-25 Qualcomm, Incorporated Packet-level erasure protection coding in aggregated packet transmissions
CN102142941B (zh) * 2011-04-01 2016-12-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时分双工系统中应答消息的发送方法及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985B1 (ko) * 2019-11-04 2020-05-11 (주)에어포인트 저전력 광역 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출력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통신단말기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06634A (ja) 2015-03-02
CN104040928A (zh) 2014-09-10
IN2014CN04918A (ko) 2015-09-18
WO2013106441A1 (en) 2013-07-18
CN104040928B (zh) 2017-07-25
US20130176864A1 (en) 2013-07-11
JP6077005B2 (ja) 2017-02-08
EP2803157A1 (en) 2014-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11023A (ko) Harq 피드백을 사용하는 레이트 및 전력 제어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9526066B2 (en) Methods, access point and wireless device for optimizing the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used for exchanging probe request and probe responses between an access point and a wireless device
US936370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decoding short control fram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EP2807865A1 (en) Systems and methods of relay selection and setup
EP2257087A1 (en) Wireless terminal and retransmission method
JP6081488B2 (ja) グループ識別子を使用する確認応答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09021784A (ja) 無線通信装置
US9100847B2 (en) ANT syncword specific acquisition thresholding
US201301704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knowledgement including a group identifier
KR20070052175A (ko) 어드밴스트 코딩을 적용한 데이터 프레임의 송수신 장치 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