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8900A -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8900A
KR20140108900A KR1020130022763A KR20130022763A KR20140108900A KR 20140108900 A KR20140108900 A KR 20140108900A KR 1020130022763 A KR1020130022763 A KR 1020130022763A KR 20130022763 A KR20130022763 A KR 20130022763A KR 20140108900 A KR20140108900 A KR 20140108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ackground
dimensional image
unit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2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3999B1 (ko
Inventor
김봉식
김영덕
Original Assignee
김봉식
김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식, 김영덕 filed Critical 김봉식
Priority to KR1020130022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3999B1/ko
Publication of KR20140108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3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3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08Volume rend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6Segmentation of patterns in the image field; Cutting or merging of image elements to establish the pattern region, e.g. clustering-based techniques; Detection of occlu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94Segmentation; Edge detection involving foreground-background segmen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는 2차원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로부터 선택된 제1 객체를 분리하는 분리부 및 배경의 제1 위치에 상기 제1 객체가 배치된 제1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배경의 제2 위치에 상기 제1 객체가 배치된 제2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함으로써, 2차원 이미지를 3차원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3DIMENSIONAL IMAGE}
본 발명은 2차원 이미지로부터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영상 기술의 발전에 따라 영상에 포함된 각 객체가 3차원 공간 상에 배치된 것으로 인식되는 소위 3차원 영상의 활용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2차원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3차원 공간을 구현하기 위해 3차원 영상에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포함된다.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대체로 2대의 카메라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상의 3차원 영상은 대상물의 촬영 과정에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획득함으로써 생성되므로, 이미 촬영이 완료된 2차원 영상에 적용하기가 어렵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5-0003154호에는 한 대의 카메라로 3차원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촬영 과정에서 3차원 영상을 생성하는 것으로 이미 촬영이 완료된 2차원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변환하기가 어렵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5-0003154호
본 발명은 2차원 이미지로부터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는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는 2차원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로부터 선택된 제1 객체를 분리하는 분리부, 배경의 제1 위치에 상기 제1 객체가 배치된 제1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배경의 제2 위치에 상기 제1 객체가 배치된 제2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는 3차원 이미지 표시에 필요한 좌안 이미지의 제1 데이터와 우안 이미지의 제2 데이터가 합쳐진 제3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는 액자를 형성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표시되는 2차원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제1 객체를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제1 객체의 깊이값과 볼륨값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깊이값과 상기 볼륨값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상기 제1 객체를 갖는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적어도 상기 제1 객체가 3차원 이미지로 표시되도록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는 2차원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분리된 객체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에서 제1 객체를 분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볼륨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보충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를 형성하는 배경에 부여된 효과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생성부에서 생성된 제3 데이터를 나태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는 2차원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로부터 선택된 제1 객체를 분리하는 분리부(110) 및 배경의 제1 위치에 제1 객체가 배치된 제1 데이터를 생성하고, 배경의 제2 위치에 제1 객체가 배치된 제2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부(110)는 2차원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를 서로 구분할 수 있다. 또는 분리부(110)는 복수의 객체로부터 선택된 제1 객체를 분리할 수 있다. 이때, 다른 객체들로부터 분리된 객체를 제1 객체로 칭하기로 한다. 제1 객체는 복수의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부(110)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1 객체를 분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에서 제1 객체를 분리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예를 들어 분리부(110)는 에지(edge) 구분법을 이용하여 복수의 객체를 서로 구분할 수 있다. 또는 분리부(110)는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된 점 또는 선으로부터 객체를 서로 구분할 수 있다.
도 2에서 좌측 도면은 사용자의 입력 또는 분리부(110)에 의해 2차원 이미지 데이터의 중앙에 위치하는 인물이 굵은 외곽선으로 구분되고 있다. 이때의 굵은선으로 둘러싸인 하나의 객체, 즉 인물이 제1 객체이다. 살펴보면 손과 바지 사이 부분에서 인물이 배경과 구분되지 않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부분은 입력부(150)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외곽선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 도 2의 가운데 도면과 같이 인물의 외곽선이 신뢰성 있게 설정될 수 있다.
도 2의 우측 도면에서는 인물을 복장, 신체 부위와 같은 복수의 객체로 구분하고 있다(굵은선이 경계가 됨). 즉, 복수의 객체로 제1 객체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제1 객체를 복수의 객체로 구분함으로써 볼륨을 신뢰성 있게 부여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생성부(130)는 배경의 제1 위치에 제1 객체가 배치된 제1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생성부(130)는 제1 데이터와 동일한 배경의 제2 위치에 제1 객체가 배치된 제2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에는 2차원 이미지 데이터로 인물 ⓐ가 길에 위치하고, 인물 ⓐ의 앞에 공 ⓑ가 위치하는 이미지가 개시된다. 2차원 이미지 데이터에는 인물 ⓐ의 뒤로 길의 경계선 ⓒ가 위치하고 경계선 ⓒ 너머에 쓰레기통 ⓓ가 위치하고 있다.
분리부(110)는 2차원 이미지 데이터의 각 객체 ⓐ, ⓑ, ⓒ, ⓓ에서 제1 객체 ⓐ를 분리할 수 있다.
생성부(130)는 분리부(110)로부터 획득된 제1 객체 ⓐ를 특정 배경에 배치시킬 수 있다. 배경은 2차원 이미지 데이터에서 제1 객체가 배제된 이미지 데이터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배경은 도 3에서 객체 ⓑ, ⓒ, ⓓ가 남아있는 2차원 이미지 데이터일 수 있다. 배경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이미지 데이터일 수도 있다. 도 3에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이미지 데이터를 배경으로 하는 예가 개시된다. 도 3의 배경은 지평선과 지평선 너머의 2개의 산을 포함하고 있다.
ⓑ, ⓒ, ⓓ가 남아있는 2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배경으로 할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이미지 데이터를 배경으로 할지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할 경우 배경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 데이터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이미지 데이터일 수 있다.
배경에서 가로축이 x축이고 세로축이 y축이며, 제1 객체의 분리 전 제1 객체의 좌표가 (x0, y1)일 때, 제1 위치의 좌표는 (x1, y1)이고, 제2 위치의 좌표는 (x2, y1)일 수 있다. 이때 x1 < x0 < x2일 수 있다.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제1 데이터 ①을 좌안 영상으로 하고, 제2 데이터 ②를 우안 영상으로 하면 배경으로부터 제1 객체 ⓐ가 튀어나온 것처럼 보이게 된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디스플레이부(170)가 적절하게 제1 데이터 ①과 제2 데이터 ②를 표시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70)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교번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셔터 안경을 착용할 수 있다. 셔터 안경은 디스플레이부(170)에 좌안 영상이 표시될 때 우안을 가리고, 디스플레이부(170)에 우안 영상이 표시될 때 좌안을 가릴 수 있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부(170)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한번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필터 안경을 착용할 수 있다. 필터 안경은 좌측 렌즈로는 우안 영상을 필터링시켜 좌안으로 좌안 영상만 볼 수 있도록 하며, 우측 렌즈로는 좌안 영상을 필터링시켜 우안으로 우안 영상만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안경을 착용하지 않고도 3차원 표시가 가능한 디스플레이부(170)도 제시되고 있다.
배경으로부터 제1 객체 ⓐ가 튀어나오는 정도, 다시 말해 제1 객체 ⓐ의 깊이 d는 제1 데이터 ①에 포함된 제1 객체 ⓐ의 제1 위치 P1과 제2 데이터 ②에 포함된 제1 객체 ⓐ의 제2 위치 P2 사이의 거리차 l인 깊이값에 의해 결정된다. 깊이는 디스플레이부(170) 위치 또는 기준 배경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도 3에서 l이 증가할수록 제1 객체 ⓐ는 기준 배경인 지평선으로부터 더 튀어나오게 된다.
2차원 이미지 데이터에서 제1 객체 ⓐ의 원래 위치 P0가 (x0, y1)일 때, 제1 위치 P1의 좌표는 (x1, y1)이고, 제2 위치 P2의 좌표는 (x2, y1)일 수 있다. P0와 P1 간의 거리가 l1이고, P0와 P2 간의 거리가 l2일 때, l1과 l2는 같을 수 있다. 만약 P0가 2차원 이미지 데이터에서 좌측이나 우측으로 치우쳐 있다면 l1과 l2는 다를 수 있다.
제1 객체의 깊이값은 기설정된 값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생성부(130)는 제1 객체와 배경이 입력되면 자동으로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객체의 깊이값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는 입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5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거리 차인 깊이값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생성부(130)는 입력부(150)로 입력된 깊이값에 따라 제1 위치와 제2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의 하단에는 입력부(150)를 통해 제1 객체뿐만 아니라 배경에 포함된 지평선, 2개의 산 각각에 깊이가 부여된 경우가 개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생성부(130)는 제1 객체뿐만 아니라 배경을 구성하는 객체에 대해서도 깊이값을 부여할 수 있다. 배경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 방향으로 서로 거리가 다른 제1 배경 데이터 및 제2 배경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경 데이터는 제1 데이터의 배경이며, 제2 배경 데이터는 제2 데이터의 배경일 수 있다. 정리하면, 배경을 구성하는 객체에도 깊이값을 부여할 수 있다.
도 3의 우측 도면에서는 제1 객체 ⓐ의 배경인 지평선과 2개의 산이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고 있다. 이 경우 도 3의 아래 도면에서 디스플레이부(170)의 위치에 지평선과 2개의 산이 배치되는 것으로 보이게 된다. 만약 지평선과 2개의 산에도 깊이값을 부여하게 되면 도 3의 아래 도면과 같이 지평선과 2개의 산에도 입체감(공간감)이 부여된다.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에 복수의 배경이 포함될 때, 입력부(150)는 각 배경과 제1 객체의 표시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제1 객체가 배치되기 전의 배경은 지평선과 2개의 산으로 구성된다. 제1 객체가 배치된 후 제1 객체를 산의 앞에 둘지 뒤에 둘지 결정해야 한다. 만약 제1 객체를 산의 뒤에 두면 제1 객체는 산에 가려지게 될 것이다. 물론, 이렇게 되면 현실성이 떨어지게 되나 사용자의 의도록 특정 영상 효과를 구현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입력부(150)를 통해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객체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우선 순위가 높은 객체는 우선 순위가 낮은 객체를 가릴 수 있다.
이상의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에 의하면 분리부(110)와 생성부(130)를 통해 적어도 2차원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제1 객체가 3차원 입체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보다 현실에 가까운 입체감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앞에서 살펴본 각 객체에 볼륨이 부여되는 것이 좋다.
도 3의 2차원 이미지 데이터에서 각 객체 ⓐ, ⓑ, ⓒ, ⓓ는 볼륨을 갖는다. 예를 들어 공은 구 형상을 갖고 쓰레기통은 원기둥 형상 형상을 갖는다.
도 4는 볼륨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의 화살표는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를 바로보는 방향을 나타낸다.
도 3의 2차원 이미지 데이터에는 일면이 표시되는 객체인 쓰레기통 ⓓ가 개시되고 있다. 2차원 이미지 데이터에서 ⓓ는 평면적으로 표시되고 있다. ⓓ에서 느껴지는 공간감은 원근법에 의하는 것이 전부이다. 그런데 객체 ⓓ가 제1 위치에 배치된 제1 데이터와 제2 위치에 배치된 제2 데이터가 마련되면 객체 ⓓ는 예를 들어 기준 배경으로부터 튀어나온 것처럼 보여지게 된다.
이때, 튀어나온 객체 ⓓ가 평면으로 보여지면 비현실적인 모습이 될 것이다. 보다 현실적으로 객체 ⓓ를 보여주기 위해 객체 ⓓ에 볼륨을 부여할 수 있다. 볼륨이 부여됨으로써 객체 ⓓ는 적어도 디스플레이부(170)를 바라보는 방향에서는 원통 형상을 갖는 것으로 보여질 수 있다. 볼륨을 부여하기 위해서 객체 ⓓ 내부 각 요소에 서로 다른 깊이값을 부여할 수 있다.
제1 객체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 다시 말해 깊이값 부여는 제1 객체를 구성하는 모든 선, 면, 색 등의 픽셀 데이터를 모두 동일한 거리만큼 움직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볼륨은 제1 객체를 구성하는 각 픽셀 데이터에 다른 거리값(깊이값)이 부여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는 객체 ⓓ의 가운데 부분은 깊이 d1을 갖고, 객체 ⓓ의 각 변 부분은 깊이 d2를 갖도록 깊이값이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렇게 한 객체 내에서 다르게 설정된 깊이값으로 볼륨이 구현될 수 있다.
d1과 d2는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된 제1 객체의 볼륨값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150)는 제1 객체의 볼륨값을 입력받고, 생성부(130)는 볼륨값에 따라 제1 객체의 볼륨을 결정할 수 있다.
볼륨값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지는 것이 좋을 수 있으나, 사용법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가 입력한 볼륨값이 오히려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생성부(130)는 기설정된 볼륨값으로 제1 객체에 볼륨을 부여할 수 있다. 이때의 기설정된 볼륨값은 제1 객체의 깊이값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부(13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거리 차가 커질수록 제1 객체의 볼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를 바라보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제1 객체가 가까워지면 볼륨이 증가되고, 제1 객체가 멀어지면 볼륨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보다 현실감 있는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이상의 분리부(110), 생성부(130), 입력부(150)에 의하면 2차원으로 표시된 제1 객체를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를 통해 3차원 공간 상에 배치(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2차원으로 표현된 제1 객체를 3차원으로 표현하는 과정이 항상 적절하게 이루어지기는 힘들다. 따라서, 입력되거나 기설정된 깊이값 또는 볼륨값이 적절한 것인지 확인하도록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는 미리보기 메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부(130)는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를 흑백색으로 처리하고, 흑백색의 각 데이터를 미리보기 메뉴로 제공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를 흑백색으로 처리함으로써, 생성부(130)의 처리 속도를 개선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3차원 이미지로의 변환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배경은 2차원 이미지 데이터에서 제1 객체가 배제된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생성부(130)는 이미지 데이터에서 제1 객체의 위치에 보충 데이터를 부가할 수 있다.
도 5는 보충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2차원 이미지 데이터에서 위치 P0의 제1 객체를 분리하고, 제1 위치 P1에 배치하면 P0로부터 P1까지의 거리만큼 빈 여백(빗금으로 표시)이 생성된다. 이 여백을 그대로 두면 배경이 이상하게 표시될 것은 자명하다. 배경의 표시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해당 여백에 메꾸어지는 데이터가 보충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부(130)는 2차원 이미지 데이터에서 제1 객체 주변의 표시색 데이터로 여백을 메울 수 있다. 이때의 주변의 표시색 데이터가 보충 데이터가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를 형성하는 배경에 부여된 효과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생성부(130)는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에 특수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좌측 도면과 같이 각 데이터의 표시 영역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서서히 어두워지는 훼이드 아웃 효과가 부여될 수 있다. 또는 도 6의 가운데 도면과 같이 각 데이터의 표시 영역에서 아래로 갈수록 서서히 어두워지는 효과가 부여될 수 있다. 또는 도 6의 우측 도면과 같이 각 데이터의 표시 영역에서 오른쪽 모서리 부분으로 갈수록 서서히 어두워지는 효과가 부여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생성부(130)에 의하면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가 생성되는데, 3차원 이미지의 표현을 위해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가 함께 디스플레이부(170)에 제공되어야 한다. 이때,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가 별개의 파일로 구성된다면 파일 관리가 어려워질 것은 자명하다.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생성부(130)는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가 합쳐진 제3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생성부(130)는 3차원 이미지 표시에 필요한 좌안 이미지의 제1 데이터와 우안 이미지의 제2 데이터가 합쳐진 제3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3차원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해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 2개의 데이터를 준비하는 대신 1개의 제3 데이터만 준비하면 충분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제3 데이터를 나태낸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제3 데이터는 헤더부, 본문부를 포함할 수 있다.
헤더부는 제3 데이터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더부에는 제3 데이터에 포함된 제1 데이터의 개수와 이에 대응하는 제2 데이터의 개수, 이미지 크기, 제1 객체의 위치, 제1 객체 외의 객체의 위치 등이 제3 데이터의 특성으로 기록될 수 있다.
본문부는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다.
제1 데이터가 모두 연속적으로 기록된 후 상기 제2 데이터가 모두 연속적으로 기록되거나, 상기 제1 데이터의 각 픽셀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의 각 픽셀 데이터가 교번하여 기록될 수 있다. 이때, 헤더부에 기록된 제3 데이터의 특성에는 본문부의 기록 방식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0)는 제3 데이터가 수신되면 헤더부를 통해 본문부의 기록 방식을 파악하고, 파악된 기록 방식을 이용해 본문부에 기록된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다. 이렇게 구분된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170)의 표시 방식에 맞춰 표시되면 디스플레이부(170)의 사용자는 3차원 이미지를 인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는 액자로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가 본 발명의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는 액자를 형성하는 디스플레이부(170), 디스플레이부(170)로 표시되는 2차원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제1 객체를 분리하는 분리부(110), 제1 객체의 깊이값과 볼륨값을 입력받는 입력부(150) 및 깊이값과 볼륨값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제1 객체를 갖는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70)는 적어도 제1 객체가 3차원 이미지로 표시되도록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에 따르면, 2차원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제1 객체를 3차원 입체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분리부 130...생성부
150...입력부 170...디스플레이부

Claims (14)

  1. 2차원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로부터 선택된 제1 객체를 분리하는 분리부; 및
    배경의 제1 위치에 상기 제1 객체가 배치된 제1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배경의 제2 위치에 상기 제1 객체가 배치된 제2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부;
    를 포함하는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은 상기 2차원 이미지 데이터에서 상기 제1 객체가 배제된 이미지 데이터이거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이미지 데이터인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에서 가로축이 x축이고 세로축이 y축이며, 상기 제1 객체의 분리 전 상기 제1 객체의 좌표가 (x0, y1)일 때,
    상기 제1 위치의 좌표는 (x1, y1)이고, 상기 제2 위치의 좌표는 (x2, y1)이며, x1 < x0 < x2인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거리 차인 깊이값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입력된 깊이값에 따라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를 결정하는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1 객체의 볼륨값을 입력받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입력된 볼륨값에 따라 상기 제1 객체의 볼륨을 결정하는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거리 차가 커질수록 상기 제1 객체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를 흑백색으로 처리하고, 상기 흑백색의 각 데이터를 미리보기 메뉴로 제공하는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 방향으로 서로 거리가 다른 제1 배경 데이터 및 제2 배경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경 데이터는 상기 제1 데이터의 배경이며, 상기 제2 배경 데이터는 상기 제2 데이터의 배경인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에는 복수의 배경이 포함되고,
    상기 각 배경과 상기 제1 객체의 표시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은 상기 2차원 이미지 데이터에서 상기 제1 객체가 배제된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부는 이미지 데이터에서 상기 제1 객체의 위치에 보충 데이터를 부가하는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가 합쳐진 제3 데이터를 생성하는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
  12. 3차원 이미지 표시에 필요한 좌안 이미지의 제1 데이터와 우안 이미지의 제2 데이터가 합쳐진 제3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부;
    를 포함하는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데이터는 제3 데이터의 특성을 나타내는 헤더부,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가 기록된 본문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문부에는 상기 제1 데이터가 모두 연속적으로 기록된 후 상기 제2 데이터가 모두 연속적으로 기록되거나, 상기 제1 데이터의 각 픽셀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의 각 픽셀 데이터가 교번하여 기록되며,
    상기 제3 데이터의 특성은 상기 본문부의 기록 방식을 포함하는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
  14. 액자를 형성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표시되는 2차원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제1 객체를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제1 객체의 깊이값과 볼륨값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깊이값과 상기 볼륨값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상기 제1 객체를 갖는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적어도 상기 제1 객체가 3차원 이미지로 표시되도록 상기 제1 데이터와 상기 제2 데이터를 표시하는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
KR1020130022763A 2013-03-04 2013-03-04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 KR101513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763A KR101513999B1 (ko) 2013-03-04 2013-03-04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763A KR101513999B1 (ko) 2013-03-04 2013-03-04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900A true KR20140108900A (ko) 2014-09-15
KR101513999B1 KR101513999B1 (ko) 2015-04-21

Family

ID=51755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2763A KR101513999B1 (ko) 2013-03-04 2013-03-04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39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59452B2 (ja) 2017-03-30 2021-04-14 スノ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イメージに動的エフェクトを適用する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3999B1 (ko) 201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0521B2 (en) Stereoscopic image generating method and apparatus
KR102281462B1 (ko) 전자 디스플레이 앞에 또는 위에 투사한 것처럼 보이는 가상의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는 시스템, 방법 및 소프트웨어
US9791922B2 (en) User interface control device, user interface control method, computer program and integrated circuit
JP2008090617A (ja) 立体画像生成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154422A (ja) 画像処理装置
CN102708577B (zh) 多视点立体图片的合成方法
CN102972038A (zh) 图像处理装置、图像处理方法、程序、集成电路
JP2017016577A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920043A (zh) 虚拟3d对象的立体渲染
KR101513999B1 (ko) 3차원 이미지 생성 장치
CN106993179A (zh) 一种3d模型转立体双视点视图的方法
US881708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10082907A (ko) 입체 영상 변환 방법 및 입체 영상 변환 장치
KR101754976B1 (ko) 적층형 홀로그램용 콘텐츠 변환방법 및 변환장치
CN207603821U (zh) 一种基于集群和渲染的裸眼3d系统
KR101341597B1 (ko) 카메라의 위치 및 각도에 따른 2차원 영상의 깊이 맵 자동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양안 및 다시점 입체영상 제작 방법
KR101671739B1 (ko) 가상 프레임을 이용한 2차원 영상의 입체 효과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US10475233B2 (en) System, method and software for converting images captured by a light field camera into three-dimensional images that appear to extend vertically above or in front of a display medium
JP2011180779A (ja) 立体画像データ生成装置、立体画像データ生成方法、および立体画像データ生成プログラム
Byalmarkova et al. Approaches in Creation of 3D Content for Autostereoscopic Displays
JP2005284183A (ja) 立体視画像作成方法および装置
OA19355A (en) System, method and software for producing virtual three dimensional images that appear to project forward of or above an electronic display
CN106231281A (zh) 一种显示转换方法和装置
NZ757902B2 (en) System, method and software for producing virtual three dimensional images that appear to project forward of or above an electronic display
WO2018187724A1 (en) System, method and software for converting images captured by a light field camera into three-dimensional images that appear to extend vertically above or in front of a display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