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8891A - Network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terminal device - Google Patents

Network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termina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8891A
KR20140108891A KR1020130022742A KR20130022742A KR20140108891A KR 20140108891 A KR20140108891 A KR 20140108891A KR 1020130022742 A KR1020130022742 A KR 1020130022742A KR 20130022742 A KR20130022742 A KR 20130022742A KR 20140108891 A KR20140108891 A KR 20140108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ssion
data service
service
dedicated
addres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27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06958B1 (en
Inventor
이상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2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958B1/en
Publication of KR20140108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8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9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80Responding to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etwork device, a method of operating the network device, and a terminal device capable of guaranteeing quality of service by allowing QoS management which is distinguished from other data services for specific data services (e.g. streaming services), by connecting and using additional separate dedicated sessions to the specific data services (e.g. streaming services) among general data services using Internet PDN (Internet IP) of the terminal device.

Description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단말장치{NETWORK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TERMINAL DEVIC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network device,

본 발명은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의 인터넷 PDN을 사용하는 일반 데이터서비스들 중 특정 데이터서비스(예 : 스트리밍서비스)에 대해서는 다른 데이터서비스와 구분된 QoS 관리를 가능하게 하여 서비스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work device, a method of operating a network device, and a terminal devic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service (e.g., streaming service) among general data services using an Internet PDN And a terminal device capable of ensuring service quality by enabling QoS management of a network device, a method of operating the network device, and a terminal device.

최근 국내 이동통신은 LTE(Long Term Evolution) 망의 성장으로 3G 서비스인 WCDMA에서 그 중심이 LTE 망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LTE 망에 접속하여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LTE 단말)의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domestic mobile telecommunication has been moving to LTE network in the 3G service WCDMA due to the growth of LTE (Long Term Evolution) network, and introduction of LTE terminal Is accelerating.

이러한 LTE 망 시스템에서는, LTE 망 기반의 데이터서비스를 LTE 단말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LTE 단말에 대해서 아이엠에스(IMS : IP Multimedia Subsystem) 기반의 IMS PDN과 인터넷 기반의 인터넷 PDN(LTE PDN)을 할당하고 각 PDN에 IP를 각각 할당하고 있다.In this LTE network system, an IMS PDS based on an IMS (IP Multimedia Subsystem) and an Internet-based Internet PDN (LTE PDN) are allocated to an LTE terminal so that an LTE network-based data service can be used in the LTE terminal IP is assigned to each PDN.

이에, LTE 망 시스템에서 LTE 단말은, LTE 망에 대하여 즉 LTE 망 내의 장치(예 : P-GW)에 대하여, 기본적으로 IMS PDN(이하, IMS IP라 함)을 기초로 하는 기본세션 및 인터넷 PDN(이하, 인터넷 IP라 함)을 기초로 하는 기본세션을 연결하고 있다.Accordingly, in the LTE network system, the LTE terminal basically transmits a basic session based on an IMS PDN (hereinafter referred to as IMS IP) and an Internet PDN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ternet IP).

이러한 현재의 LTE 망 시스템은, LTE 단말의 IMS IP에 대해서는 IMS 시그널의 경우 기본세션을 사용하도록 하고, 통화서비스 예컨대 VoLTE 서비스, 영상전화 서비스의 경우 각각 전용세션을 추가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지만, LTE 단말의 인터넷 IP에 대해서는 일반 데이터서비스 모두가 즉 전술의 IMS IP를 사용하도록 지정된 데이터서비스(VoLTE 서비스, 영상전화 서비스) 이외의 일반 데이터서비스 모두가 기본세션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In the current LTE network system, the IMS IP of the LTE terminal is configured to use a basic session in the case of IMS signal, while in the case of a call service such as a VoLTE service and a video call service, For the Internet IP of the terminal, all of the general data services, that is, the general data services other than the data service (VoLTE service, video telephone service) designated to use the above-mentioned IMS IP, use the basic session.

이에, 현재의 LTE 망 시스템에서는, LTE 단말의 인터넷 IP를 사용하도록 지정된 일반 데이터서비스에 대해서 종류 구별 없이 기본세션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송수신 스케쥴링이 원활하지 못해 단말사용자 입장에서 불편함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연속성 보장이 요구되는 스트리밍 서비스인 경우, 단말사용자 입장의 불편함은 큰 문제일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current LTE network system,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is performed using a basic session for a general data service designated to use the Internet IP of the LTE terminal without distinction of type, so that the transmission / reception scheduling can not be instantaneously performe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be fel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treaming service requiring continuity, the inconvenience of the terminal user may be a big problem.

이에, 본 발명에서는, LTE 단말의 인터넷 IP(인터넷 PDN)을 사용하는 일반 데이터서비스들 중 특정 데이터서비스(예 :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해서는 다른 데이터서비스와 구분된 QoS 관리를 가능하게 하여 서비스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a specific data service (for example, a streaming service) among general data services using the Internet IP (Internet PDN) of the LTE terminal, QoS management distinct from other data services is enabled, I would like to propose a way to do this.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단말의 인터넷 IP(인터넷 PDN)을 사용하는 일반 데이터서비스들 중 특정 데이터서비스(예 :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해서는 다른 데이터서비스와 구분된 QoS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pecific data service (e.g., a streaming service) among ordinary data services using Internet IP And to enable QoS management differentiated from data ser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네트워크장치는, 패킷망 기반의 데이터서비스와 관련하여 제1주소정보를 기초로 하는 제1기본세션과 제2주소정보를 기초로 하는 제2기본세션이 연결된 단말에 대하여, 특정 데이터서비스가 개시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데이터서비스확인부; 상기 특정 데이터서비스의 개시가 확인되면, 상기 단말에서 상기 제2기본세션 이외에 상기 제2주소정보를 기초로 하는 제2전용세션을 추가 연결하도록 하여, 상기 특정 데이터서비스에 따른 데이터를 상기 제2전용세션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세션연결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network device including a first basic session based on first address information and a second basic session based on second address information, A data service checking unit for checking whether a specific data service is started for a terminal connected to the session; When the start of the specific data service is confirmed, the terminal additionally connects a second dedicated session based on the second address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second basic session, And a session connection control unit for enabl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rough a sess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주소정보는 아이엠에스 아이피(IMS IP)를 포함하며, 상기 제2주소정보는 인터넷 아이피(Internet IP)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first address information includes an IMS IP, and the second address information may include an Internet IP.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전용세션은, 기 설정된 데이터전송률을 보장하도록 하는 서비스품질식별자(QCI : QoS Class Identifier)가 지정된 세션일 수 있다. Preferably,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may be a session in which a QoS class identifier (QCI) for guaranteeing a preset data rate is specified.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데이터서비스는, 상기 단말에 대하여 상기 제1주소정보를 기초로 하는 제1전용세션을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데이터서비스보다는 낮은 연속성을 요구하며, 상기 제2기본세션을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데이터서비스 보다는 높은 연속성을 요구하는 데이터서비스일 수 있다.Advantageously, the specific data service requires continuity to the terminal that is lower than the data service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via a first dedicated session based on the first address information, May be a data service requiring higher continuity than a data service being transmitted and receiv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는, 패킷망 기반의 데이터서비스와 관련하여, 제1주소정보를 기초로 하는 제1기본세션 및 제2주소정보를 기초로 하는 제2기본세션을 연결하는 기본세션연결부; 특정 데이터서비스가 개시되는 경우, 상기 패킷망에 대하여 상기 제2기본세션 이외에 상기 제2주소정보를 기초로 하는 제2전용세션을 추가 연결하는 전용세션연결부; 및 상기 특정 데이터서비스에 따른 데이터를 상기 제2전용세션을 통해 송수신하는 세션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rminal apparatus including a first base station based on first address information and a second base station based on second address information, A default session connection connecting the primary session; A dedicated session connection unit for additionally connecting a second dedicated session based on the second address information to the packet network in addition to the second basic session when a specific data service is started; And a session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ccording to the specific data service through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전용세션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정보를, 상기 단말장치의 표시영역 중 적어도 일 영역에 표시하는 상태정보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status information display unit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indicating a connection status of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in at least one of the display areas of the terminal apparatu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은, 패킷망 기반의 데이터서비스와 관련하여 제1주소정보를 기초로 하는 제1기본세션과 제2주소정보를 기초로 하는 제2기본세션이 연결된 단말에 대하여, 특정 데이터서비스가 개시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데이터서비스확인단계; 상기 특정 데이터서비스의 개시가 확인되면, 상기 단말에서 상기 제2기본세션 이외에 상기 제2주소정보를 기초로 하는 제2전용세션을 추가 연결하도록 하여, 상기 특정 데이터서비스에 따른 데이터를 상기 제2전용세션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세션연결제어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network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receiving a first basic session based on first address information and second address information, A data service confirming step of confirming whether or not a specific data service is started for a terminal to which a second base session is connected; When the start of the specific data service is confirmed, the terminal additionally connects a second dedicated session based on the second address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second basic session, And a session connection control step of allowing the user to transmit and receive through the sess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주소정보는 아이엠에스 아이피를 포함하며, 상기 제2주소정보는 인터넷 아이피를 포함할 수 있다. Advantageously, the first address information includes an ICS IP address, and the second address information includes an Internet IP address.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전용세션은, 기 설정된 데이터전송률을 보장하도록 하는 서비스품질식별자가 지정된 세션일 수 있다. Advantageously,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may be a session in which a quality of service identifier is assigned to ensure a predetermined data rate.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데이터서비스는, 상기 단말에 대하여 상기 제1주소정보를 기초로 하는 제1전용세션을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데이터서비스보다는 낮은 연속성을 요구하며, 상기 제2기본세션을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데이터서비스 보다는 높은 연속성을 요구하는 데이터서비스일 수 있다.Advantageously, the specific data service requires continuity to the terminal that is lower than the data service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via a first dedicated session based on the first address information, May be a data service requiring higher continuity than a data service being transmitted and received.

이에, 본 발명의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단말장치에 의하면, 단말장치의 인터넷 PDN(인터넷 IP)을 사용하는 일반 데이터서비스들 중 특정 데이터서비스(예 : 스트리밍서비스)에 대해서는 별도의 추가 전용세션을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특정 데이터서비스(예 : 스트리밍서비스)에 대해 다른 데이터서비스와 구분된 QoS 관리를 가능하게 하여 서비스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network device and the method of operating the networ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device can be provided with a separate additional service for a specific data service (for example, a streaming service) among ordinary data services using Internet PDN By connecting and using dedicated sessions, quality of service can be guaranteed by enabling QoS management differentiated from other data services for a specific data service (for example, a streaming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 및 네트워크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 및 네트워크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including a terminal device and a network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network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trol flowchart of a system including a terminal device and a network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network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 및 네트워크장치가 포함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including a terminal apparatus and a network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단말장치(100) 및 네트워크장치(4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단말장치(100)로 패킷망을 통해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서비스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고, 패킷망 내에 위치한 패킷망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device 100 and a network device 400. A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ata service apparatus 300 that provides a data service to a terminal apparatus 100 through a packet network and may include a packet network apparatus 200 located in a packet network have.

여기서, 단말장치(100)는, 패킷망장치(200)를 통해 패킷망(예 : LTE 망)에 접속하여 패킷망(예 : LTE 망) 기반의 데이터서비스 즉 데이터서비스장치(30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이다.Here, the terminal device 100 accesses a packet network (e.g., an LTE network) through the packet network device 200 and transmits a data service based on a packet network (e.g., LTE network), that is, a data service provided from the data service device 300 It is an available terminal.

이러한 단말장치(100)는, 아이엠에스(IMS : IP Multimedia Subsystem) 기반의 IMS PDN과 인터넷 기반의 인터넷 PDN(또는, LTE PDN)을 할당 받으며, 각 PDN에 IP를 각각 할당 받는다.This terminal apparatus 100 is allocated an IMS PDN based on an IMS (Internet Multimedia Subsystem) and an Internet based Internet PDN (or LTE PDN), and is assigned an IP to each PDN.

여기서, IMS PDN에 할당된 IP(IMS IP)가 후술할 제1주소정보이며, 인터넷 PDN에 할당될 IP(인터넷 IP)가 후술할 제2주소정보에 해당한다.Here, the IP (IMS IP) assigned to the IMS PDN is first address information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IP (Internet IP) to be allocated to the Internet PDN corresponds to second address information to be described later.

이에, 단말장치(100)는, 패킷망(예 : LTE 망) 기반의 데이터서비스와 관련하여, 기본적으로 패킷망(예 : LTE 망)에 대해서 제1주소정보 즉 IMS IP를 기초로 하는 제1기본세션(Default Bearer)을 연결하고 제2주소정보 즉 인터넷 IP를 기초로 하는 제2기본세션(Default Bearer)을 연결하게 된다.Accordingly, the terminal device 100 basically transmits a first basic session (i.e., a first basic session) based on first address information, i.e., IMS IP, to a packet network (e.g., an LTE network) (Default Bearer) and connects a second basic session (Default Bearer) based on the second address information, that is, the Internet IP.

여기서, 패킷망(예 : LTE 망) 기반의 데이터서비스는, 패킷망(예 : LTE 망)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데이터서비스로서, 예컨대 VoLTE 통화서비스, 영상통화 통화서비스, 파일다운로드서비스, 웹서핑서비스, 스트리밍서비스 등을 포함한다.Here, a data service based on a packet network (e.g., LTE network) is a data service provided using a packet network (e.g., an LTE network), and includes, for example, VoLTE call service, video call service, file download service, Services, and the like.

여기서, 패킷망장치(200)는, 단말장치(100) 및 데이터서비스장치(300) 간에 데이터서비스를 위해 연결되는 세션(제2기본세션, 후술할 제2전용세션) 상에 위치하여, 데이터서비스에 따른 데이터 패킷을 단말장치(100) 및 데이터서비스장치(300) 간에 송수신 가능하도록 하는 장비일 수 있다.Here, the packet network device 200 is located on a session (a second basic session, a second dedicated session to be described later) connected for data service between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data service device 300, And the data service apparatus 300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packets according to the received data packets.

물론, 패킷망장치(200)는, 단말장치(100) 및 타 단말장치(미도시) 간에 데이터서비스 즉 통화서비스 예컨대 VoLTE 서비스, 영상통화 서비스를 위해 연결되는 세션(제1기본세션, 후술할 제1전용세션) 상에 위치하여, 통화서비스에 따른 데이터 패킷을 단말장치(100) 및 타 단말장치(미도시) 간에 송수신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Of course, the packet network device 200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and the other terminals (not shown) for data services, that is, a call service such as a VoLTE service, a session (a first basic session, Dedicated session) so that data packets according to the call service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terminal device 100 and other terminal devices (not shown).

이러한 패킷망장치(200)는, 예컨대 패킷게이트웨이장비(P-GW)일 수 있다.The packet network device 200 may be, for example, a packet gateway device (P-GW).

이에, 다시 말하면, 패킷망(예 : LTE 망)에 접속된 단말장치(100)는, 기본적으로 패킷망(예 : LTE 망)에 대해서 즉 패킷망장치(200)에 대해서 제1주소정보 즉 IMS IP를 기초로 하는 제1기본세션(Default Bearer)을 연결하고 제2주소정보 즉 인터넷 IP를 기초로 하는 제2기본세션(Default Bearer)을 연결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terminal device 100 connected to the packet network (e.g., LTE network) basically has the first address information, that is, the IMS IP, for the packet network (e.g., LTE network) And connects a second basic session (Default Bearer) based on the second address information, i.e., the Internet IP.

네트워크장치(400)는, 전술과 같이 단말장치(100)에서 IMS IP를 기초로 하는 제1기본세션 및 인터넷 IP를 기초로 하는 제2기본세션을 패킷망장치(200)와 연결하도록 하는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한다.The network device 400 performs overall control to connect the first base session based on the IMS IP and the second base session based on the Internet IP to the packet network device 200 in the terminal device 100 as described above I am responsible.

이러한 네트워크장치(400)는, 예컨대 각 단말에 대한 인증을 담당하고, 각 단말에 대하여 전술과 같은 세션(제1기본세션, 제1전용세션, 제2기본세션, 제2전용세션)의 연결 및 연결 해제를 제어하고, 각 단말의 상태를 관리하는 장치로서,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network device 400 is responsible for authentication for each terminal, and for each terminal, connection of the session (the first basic session, the first dedicated session, the second basic session,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MME), which controls the connection release and manages the state of each terminal, and may be an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이러한 네트워크장치(400)는, 전술과 같이 패킷망장치(200)와 IMS IP 및 인터넷 IP 각각의 제1,제2기본세션이 연결된 단말장치(100)에 대해서, IMS IP를 사용하도록 기 지정된 데이터서비스 예컨대 통화서비스(예 : VoLTE 서비스, 영상전화 서비스)가 개시되면 단말장치(100)에서 IMS IP를 기초로 하는 제1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패킷망장치(200)에 대해 추가 연결하도록 하여, 통화서비스(예 : VoLTE, 영상전화)에 따른 데이터를 제1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통해 송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The network device 400 is connected to the packet network device 200 and the terminal device 100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basic sessions of the IMS IP and the Internet IP are connected, For example, when a call service (for example, VoLTE service, video telephone service) is started, the terminal device 100 may additionally connect a first dedicated session based on the IMS IP to the packet network device 200, And can transmit / receive data according to a service (e.g., VoLTE, video call) through a first dedicated session (Dedicated Bearer).

이에, 단말장치(100)는, 패킷망장치(200)를 거쳐 연결된 제1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통해 타 단말장치(미도시)와 통화서비스(예 : VoLTE, 영상전화)의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함으로써, 패킷망(예 : LTE 망)을 통한 통화서비스(예 : VoLTE, 영상전화)를 이용할 수 있다.The terminal device 10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packets of a terminal device (not shown) and a call service (e.g., VoLTE, video phone) through a first dedicated session (Dedicated Bearer) (E.g., VoLTE, video telephony) via a packet network (e.g., LTE network).

한편, 기존의 네트워크장치(MME)는, 전술과 같이 패킷망장치(200)와 IMS IP 및 인터넷 IP 각각의 제1,제2기본세션이 연결된 단말장치에 대해서, 인터넷 IP를 사용하도록 기 지정된 일반 데이터서비스 예컨대 파일다운로드서비스, 웹서핑서비스, 스트리밍서비스 등의 일반 데이터서비스가 개시되면 단말장치에서 이에 따른 데이터를 기 연결된 인터넷 IP의 제1기본세션(Default Bearer)을 통해 송수신하도록 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existing network device (MME) transmits general data designated to use the Internet IP to the terminal device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basic sessions of the packet network device 200, the IMS IP and the Internet IP are connected, When a general data service such as a file download service, a web surfing service, or a streaming service is started, the terminal device transmits and receives the data through the first basic session of the connected Internet IP.

이에, 기존에는, 단말장치의 인터넷 IP를 사용하도록 지정된 모든 데이터서비스에 대해서 종류 구별 없이 제2기본세션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송수신 스케쥴링이 원활하지 못해 단말사용자 입장에서 불편함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고, 특히 연속성 보장이 요구되는 스트리밍서비스인 경우, 단말사용자 불편의 문제는 더 커지게 된다.Conventionally, all data services designated to use the Internet IP of the terminal apparatus are transmitted / received by using the second basic session without distinction of type, so that transmission / reception scheduling is not instantaneously performe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be fel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treaming service requiring continuity guarantee, the problem of terminal user inconvenience becomes larger.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400)는, 전술과 같이 패킷망장치(200)와 IMS IP 및 인터넷 IP 각각의 제1,제2기본세션이 연결된 단말장치(100)에 대해서, 특정 데이터서비스가 개시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network device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transmit, to the terminal device 100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basic sessions of the packet network device 200, the IMS IP and the Internet IP, respectively, And confirms whether or not the specific data service is started.

여기서, 특정 데이터서비스는, 전술의 제1전용세션을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데이터서비스 보다는 낮은 연속성을 요구하며, 전술의 제2기본세션을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데이터서비스 보다는 높은 연속성을 요구하는 데이터서비스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pecific data service requires a lower continuity than the data service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first dedicated session described above, and a data service requesting higher continuity than the data service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 .

즉, 특정 데이터서비스는, IMS IP를 사용하도록 지정된 데이터서비스 예컨대 통화서비스(예 : VoLTE, 영상전화) 보다는 낮은 연속성을 요구하며, 인터넷 IP를 사용하도록 지정된 데이터서비스들 중에서는 가장 높은 연속성을 요구하는 데이터서비스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트리밍서비스일 수 있다. That is, certain data services require lower continuity than data services, such as call services (e.g. VoLTE, video telephony) designated to use IMS IP, and require the highest continuity among data services designated to use Internet IP May be a data service, more specifically a streaming service.

여기서, 스트리밍서비스는, 실시간 서비스로서 예컨대 방송서비스, 라디오서비스, VOD서비스, 컨텐츠 이어보기 서비스, 동영상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treaming service may include, for example, a broadcast service, a radio service, a VOD service, a content viewing service, a video service, and the like as a real-time service.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400)는, 단말장치(100)에 대해서 특정 데이터서비스의 개시가 확인되면, 단말장치(100)에서 제2주소정보 즉 인터넷 IP를 기초로 기 연결된 제2기본세션(Default Bearer) 이외에 인터넷 IP를 기초로 하는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패킷망장치(200)에 대해 추가 연결하도록 하여, 단말장치(100)에서 특정 데이터서비스에 따른 데이터를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통해 송수신하도록 한다.When the start of a specific data service is confirmed for the terminal device 100, the network device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second address information, that is, the second basic session (Dedicated Bearer) based on the Internet IP, in addition to the default bearer, to the packet network device 200 so that data corresponding to a specific data service i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to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Dedicated Bearer).

이에, 단말장치(100)는, 기 연결된 제2기본세션(Default Bearer)가 아닌, 패킷망장치(200)를 거쳐 추가 연결된 인터넷 IP의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통해 특정 데이터서비스 예컨대 스트리밍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서비스장치(300)와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함으로써, 패킷망(예 : LTE 망)을 통한 스트리밍서비스를 끊김 없이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terminal device 100 may transmit a specific data service, for example, a streaming service (not shown) through a second dedicated session of Internet IP, which is additionally connected via the packet- (E.g., LTE network)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packets to and from the data service apparatus 300 that provides the data service.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network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400)는, 패킷망 기반의 데이터서비스와 관련하여 제1주소정보를 기초로 하는 제1기본세션 및 제1전용세션 중 적어도 하나의 세션과 제2주소정보를 기초로 하는 제2기본세션이 연결된 단말장치(100)에 대하여, 특정 데이터서비스가 개시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데이터서비스확인부(410)와, 상기 특정 데이터서비스의 개시가 확인되면, 단말장치(100)에서 상기 제2기본세션 이외에 상기 제2주소정보를 기초로 하는 제2전용세션을 추가 연결하도록 하여, 상기 특정 데이터서비스에 따른 데이터를 상기 제2전용세션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세션연결제어부(420)를 포함한다. The network device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basic session and the first dedicated session based on the first address information and the second address information in relation to the packet- A data service confirmation unit 410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a specific data service is started for the terminal device 100 to which the second base session is connected; A session connection controller 420 for connecting a second dedicated session based on the second address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second basic session so as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according to the specific data service through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

여기서, 제1주소정보는, 단말장치(100)의 IMS PDN에 할당된 IP(IMS IP)이며, 제2주소정보는, 단말장치(100)의 인터넷 PDN에 할당될 IP(인터넷 IP)이다. Here, the first address information is an IP (IMS IP) assigned to the IMS PDN of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second address information is an IP (Internet IP) to be allocated to the Internet PDN of the terminal device 100.

이에, 전술의 단말장치(100)는, 전술의 도 1을 언급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패킷망(예 : LTE 망)에 대해서 즉 패킷망장치(200)에 대해서, 제1주소정보 즉 IMS IP를 기초로 하는 제1기본세션(Default Bearer) 및 제1전용세션(Dedicated Bearer) 중 적어도 하나의 세션을 연결하고, 제2주소정보 즉 인터넷 IP를 기초로 하는 제2기본세션(Default Bearer)을 연결한 단말일 것이다. 1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device 100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packet data to the packet network device 200 based on the first address information, that is, the IMS IP, for the packet network (e.g., LTE network) Which connects at least one session among a first basic session (Default Bearer) and a first dedicated session (Dedicated Bearer) and connects a second basic session (Default Bearer) based on second address information, would.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장치(100)는, 패킷망장치(200)에 대해서, 제1기본세션(Default Bearer) 및 제2기본세션(Default Bearer)을 연결한 단말인 것으로 설명하겠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terminal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as a terminal connecting the first basic session (Default Bearer) and the second basic session (Default Bearer) to the packet network device (200).

데이터서비스확인부(410)는, 전술과 같이 패킷망장치(200)와 IMS IP 및 인터넷 IP 각각의 제1,제2기본세션이 연결된 단말장치(100)에 대해서, 특정 데이터서비스가 개시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The data service confirmation unit 41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pecific data service is started for the terminal device 100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basic sessions of the packet network device 200 and the IMS IP and the Internet IP are connected, Check.

여기서, 특정 데이터서비스는, IMS IP의 제1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데이터서비스 보다는 낮은 연속성을 요구하며, 인터넷 IP의 제2기본세션(Default Bearer)을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데이터서비스 보다는 높은 연속성을 요구하는 데이터서비스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pecific data service requires lower continuity than the data service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first dedicated session of IMS IP, and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second basic session of the Internet IP It is desirable to be a data service requiring higher continuity than a data service.

즉, 특정 데이터서비스는, IMS IP를 사용하도록 기 지정된 데이터서비스 예컨대 통화서비스(예 : VoLTE, 영상전화) 보다는 낮은 연속성을 요구하며, 인터넷 IP를 사용하도록 기 지정된 일반 데이터서비스들 중에서는 가장 높은 연속성을 요구하는 데이터서비스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트리밍서비스일 수 있다. That is, certain data services require lower continuity than data services, such as call services (e.g., VoLTE, video telephony) predefined to use IMS IP, and among the predefined general data services to use Internet IP, And more specifically, it may be a streaming service.

이때, 데이터서비스확인부(410)가, 단말장치(100)에 대해서 전술의 특정 데이터서비스가 개시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method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data service confirmation unit 410 starts the specific data service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먼저,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킷망장치(200)는, 각 단말에 대한 모든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 분기점이기 때문에, 어떤 데이터서비스장치로부터의 데이터 패킷이 어떤 단말로 전송되는지를 알 수 있다.Fir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since the packet network device 200 is a transmission / reception branch point of all data packets to each terminal, it is possible to know to which terminal a data packet from a data service apparatus is transmitted.

이에, 패킷망장치(200)는, 단말장치(100)로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이 특정 데이터서비스 즉 스트리밍서비스에 따른 데이터 패킷이면 이를 네트워크장치(400)로 알림으로써, 네트워크장치(400)의 데이터서비스확인부(410)에서 단말장치(100)에 대해서 특정 데이터서비스가 개시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data packet transmitt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is a data packet according to a specific data service, that is, a streaming service, the packet network device 200 notifies the network device 400 of the data service, The terminal 410 can confirm whether or not the specific data service is start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패킷망장치(200)는, 특정 데이터서비스 즉 스트리밍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서비스장치 각각의 식별정보(예 : IP정보)를 저장한 식별정보리스트를 보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데이터서비스장치(300)가 특정 데이터서비스 즉 스트리밍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인 것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As a more specific example, the packet network device 200 may have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list stor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IP information) of each of the data service apparatuses providing the specific data service, that is, the streaming servic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data service apparatus 300 is a device that provides a specific data service, that is, a streaming service.

이에, 패킷망장치(200)는, 데이터서비스장치(300)에서 데이터서비스에 따른 데이터 패킷이 단말장치(100)로 전송되면, 데이터서비스장치(300)의 IP정보가 식별정보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데이터서비스장치(300)로부터의 데이터 패킷 전송 시작 즉 특정 데이터서비스의 개시를 네트워크장치(400)로 알릴 수 있고, 이에, 네트워크장치(400)의 데이터서비스확인부(410)는, 단말장치(100)에 대해서 특정 데이터서비스가 개시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When the data packet according to the data service is transmitted from the data service apparatus 300 to the terminal apparatus 100 and the IP information of the data service apparatus 300 is included 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list, The data service confirmation unit 410 of the network device 400 may notify the data device of the terminal device 100 that the data service is started from the service device 300,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or not a specific data service is started.

즉, 데이터서비스확인부(410)는, 패킷망장치(200)로부터 데이터서비스장치(300)로부터의 데이터 패킷 전송 시작 알림이 수신되면, 단말장치(100)에 대해서 특정 데이터서비스가 개시되는 것으로 확인할 것이다. That is, the data service confirmation unit 410 confirms that the specific data service is start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when the packet network device 200 receives the data packet transmission start notification from the data service device 300 .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장치(100)에서는,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해당 데이터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앱) 또는 기능이 실행될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the terminal device 100, an application (app) or function for the data service will be executed to use the data service.

이에, 단말장치(100)는, 전술의 특정 데이터서비스 즉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앱) 또는 기능이 실행되면, 특정 데이터서비스 전용의 세션 추가 연결을 네트워크장치(400)로 요청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above-described specific data service, that is, the application (app) or the function for the streaming service is executed, the terminal device 100 can request the network device 400 to add a session dedicated for the specific data service.

이에, 네트워크장치(400)의 데이터서비스확인부(41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특정 데이터서비스 전용의 세션 추가 연결 요청이 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서, 단말장치(100)에 대해서 특정 데이터서비스가 개시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데이터서비스확인부(41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특정 데이터서비스 전용의 세션 추가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단말장치(100)에 대해서 특정 데이터서비스가 개시되는 것으로 확인할 것이다.The data service verification unit 410 of the network device 400 determines whether a specific data service is provid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based on whether or not a session addition connection request dedicated for a specific data service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It can be confirmed whether or not it is started. That is, when receiving a session addition connection request dedicated for a specific data service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the data service confirmation unit 410 confirms that the specific data service is start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

세션연결제어부(420)는, 전술의 특정 데이터서비스의 개시가 확인되면, 단말장치(100)에서 제2기본세션(Default Bearer) 이외에 인터넷 IP를 기초로 하는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추가 연결하도록 하여, 특정 데이터서비스에 따른 데이터를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start of the specific data service is confirmed, the session connection control unit 420 adds a second dedicated session (Dedicated Bearer) based on the Internet IP in addition to the second basic session (Default Bearer) in the terminal apparatus 100 So that data according to a specific data service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second dedicated session (Dedicated Bearer).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션연결제어부(420)는, 전술의 특정 데이터서비스의 개시가 확인되면, 단말장치(100)에서 인터넷 IP를 기초로 하는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패킷망장치(200)에 대해 추가 연결하도록 제어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start of the specific data service is confirmed, the session connection control unit 420 transmits a second dedicated session (Dedicated Bearer) based on the Internet IP to the packet network device 200 in the terminal device 100, As shown in FIG.

여기서,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은, 기 설정된 데이터전송률을 보장하도록 하는 서비스품질식별자(QCI : QoS Class Identifier)가 지정된 세션인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is a session in which a QoS class identifier (QCI) for ensuring a predetermined data rate is specified.

서비스품질식별자(QCI)는, 서비스품질(QoS) 우선 순위를 정수 값인 1~9로 표현한 것으로, 표준에 근거하여 각 서비스품질식별자(QCI) 마다 우선 순위, 리소스 타입(Resource Type : GBR or Non-GBR), 패킷 지연 허용치(Packet Delay Budget), 패킷 손실 허용치(Packet Error Loss Rate)의 특성(값)을 포함한다. The quality of service identifier (QCI) is a service quality (QoS) priority expressed as integer values 1 to 9. The service quality identifier (QCI) is a priority for each quality of service identifier (QCI) (GBR), a packet delay budget (Packet Delay Budget), and a characteristic (value) of a Packet Error Loss Rate.

이에 근거하여,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은, 기 설정된 데이터전송률을 보장하도록 하는 리소스 타입(GBR)을 갖는 서비스품질식별자 즉 QCI1, QCI2, QCI3, QCI4 중 하나가 지정된 세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한정해서,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은, 전술의 IMS IP의 제1전용세션(Dedicated Bearer)에 해당하는 QCI1, QCI2를 제외한 QCI3, QCI4 중 하나가 지정된 세션(예 : QCI4)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service quality identifiers, that is, QCI1, QCI2, QCI3, and QCI4 having a resource type (GBR) that ensures a preset data rate, . More specifically, in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QCI3 and QCI4 excluding the QCI1 and QCI2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dicated session of the above-mentioned IMS IP is allocated to the designated session : QCI4).

즉, 세션연결제어부(420)는, 단말장치(100)로 QCI4의 제2전용세션을 추가 연결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 예컨대 Activate Dedicated EPS Bearer Context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여, 단말장치(100)에서 인터넷 IP를 기초로 하는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패킷망장치(200)에 대해 추가 연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at is, the session connection control unit 420 transmits a message requesting the addition of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of QCI4 to the terminal device 100, for example, an Activate Dedicated EPS Bearer Context Request message, A second dedicated session (Dedicated Bearer) serving as a base may be additionally connected to the packet network device 200.

이에, 단말장치(100)는, 세션연결제어부(420)의 제어에 따라 즉 Activate Dedicated EPS Bearer Context Request 메시지에 따라, 패킷망장치(200)와의 기 지정된 일련의 세션 연결 절차를 수행하여 패킷망장치(200)에 대해 QCI4의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추가 연결하고,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 추가 연결이 완료되면 제2전용세션 추가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 예컨대 Activate Dedicated EPS Bearer Context Accept 메시지를 네트워크장치(400)로 제공할 수 있다. In response to the Activate Dedicated EPS Bearer Context Request messag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session connection control unit 420, the terminal apparatus 100 performs a predetermined sequence of session connection procedures with the packet data network 200, (Dedicated Bearer) of the QCI 4 is additionally connected to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addition request message, and when a connection of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is completed, a response message for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addition connection request, for example, an Activate Dedicated EPS Bearer Context Accept message To the network device (400).

이처럼, 세션연결제어부(420)는, 단말장치(100)에 대해서 특정 데이터서비스의 개시가 확인되면, 단말장치(100)에서 인터넷 IP의 기 연결된 제2기본세션(Default Bearer) 이외에 인터넷 IP를 기초로 안정적인 데이터전송률을 보장하는 서비스품질식별자(예 : QCI4)의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추가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스트리밍서비스에 따른 데이터 패킷을 인터넷 IP의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통해 송수신하도록 한다.In this way, when the start of the specific data service is confirm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the session connection control part 420 notifies the terminal device 100 of the Internet IP in addition to the second basic session (Default Bearer) (Dedicated Bearer) of a quality-of-service identifier (e.g., QCI4) that ensures a stable data rate is connected to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Dedicated Bearer) of the Internet IP by connecting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Send and receive.

이에, 단말장치(100)는, 기 연결된 제2기본세션(Default Bearer)가 아닌, 패킷망장치(200)를 거쳐 추가 연결된 인터넷 IP의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통해 특정 데이터서비스 예컨대 스트리밍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서비스장치(300)와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함으로써, 패킷망(예 : LTE 망)을 통한 스트리밍서비스를 끊김 없이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terminal device 100 may transmit a specific data service, for example, a streaming service (not shown) through a second dedicated session of Internet IP, which is additionally connected via the packet- (E.g., LTE network)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packets to and from the data service apparatus 300 that provides the data service.

그리고, 세션연결제어부(420)는, 이 후 단말장치(100)에 대해서 특정 데이터서비스 즉 스트리밍서비스의 종료가 확인되면, 전술과 같이 추가 연결하도록 한 인터넷 IP의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 연결을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end of the specific data service, that is, the streaming service, is confirmed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device 100, the session connection control part 420 connects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Dedicated Bearer) connection of the internet IP to be additionally connected as described above Can be controlled to be released.

즉, 세션연결제어부(420)는, 단말장치(100)로 제2전용세션을 연결 해제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 예컨대 Deactivate Dedicated EPS Bearer Context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여, 단말장치(100)에서 앞서 추가 연결한 인터넷 IP의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패킷망장치(200)에 대해 연결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session connection control unit 420 transmits a message requesting to disconnect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to the terminal device 100, for example, a Deactivate Dedicated EPS Bearer Context Request message,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of the IP is disconnected from the packet network device 200. [

이에, 단말장치(100)는, 세션연결제어부(420)의 제어에 따라 즉 Deactivate Dedicated EPS Bearer Context Request 메시지에 따라, 패킷망장치(200)와의 기 지정된 일련의 세션 연결 해제 절차를 수행하여 패킷망장치(200)에 대해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 연결을 해제하고, 연결 해제가 완료되면 제2전용세션 연결 해제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 예컨대 Deactivate Dedicated EPS Bearer Context Accept 메시지를 네트워크장치(400)로 제공할 수 있다. In response to the Deactivate Dedicated EPS Bearer Context Request message, the terminal device 100 performs a series of session disconnecting procedures with the packet network device 200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session connection controller 420, 200 to the network device 400. Upon completion of the connection release, a response message to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release request, for example, Deactivate Dedicated EPS Bearer Context Accept message, is provided to the network device 400 .

물론, 세션연결제어부(420)는, 단말장치(100)에 대해서 인터넷 IP를 사용하도록 기 지정된 일반 데이터서비스 중 전술의 특정 데이터서비스가 아닌 데이터서비스 예컨대 파일다운로드서비스, 웹서핑서비스 등이 개시되면, 기존과 같이 개시된 데이터서비스의 데이터 패킷을 단말장치(100)에서 기 연결된 제2기본세션(Default Bearer)을 통해 송수신하도록 할 것이다.Of course, when a data service, such as a file download service, a web surfing service, or the like, other than the above-mentioned specific data service among the regular data services designated to use the Internet IP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device 100 is started, The data packet of the data service started in the conventional manner will be transmitted / received through the second basic session (Default Bearer) connected in the terminal device 10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는, 단말장치의 인터넷 PDN(인터넷 IP)을 사용하는 일반 데이터서비스들 중 특정 데이터서비스(예 : 스트리밍서비스)에 대해서는 별도의 추가 전용세션을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특정 데이터서비스(예 : 스트리밍서비스)에 대해 다른 데이터서비스와 구분된 QoS 관리를 가능하게 하여 서비스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a separate additional session for a specific data service (for example, a streaming service) among the general data services using Internet PDN (Internet IP) of the terminal device ,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quality of service can be guaranteed by enabling QoS management differentiated from other data services for a specific data service (for example, a streaming service).

한편, 전술에서는 본 발명에서는, 단말장치(100)의 인터넷 PDN(인터넷 IP)에 대해서 기 설정된 데이터전송률을 보장하도록 하는 리소스 타입(GBR)을 갖는 서비스품질식별자(예 : QCI4)의 제2전용세션을 추가 연결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일실시예일 뿐이다.In the forego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at a second dedicated session (e.g., QCI4) of a service quality identifier (e.g., QCI4) having a resource type (GBR) for ensuring a predetermined data transmission rate for the Internet PDN But this is only an embodiment.

예를 들어, 단말장치(100)가 연결된 기지국(미도시)에 사용자 접속수가 과도하거나 또는 단말장치(100)가 기지국(미도시)의 셀 경계영역에 위치하는 등, 단말장치(100)의 채널환경이 나쁜 경우를 가정하면, 단말장치(100)의 인터넷 PDN(인터넷 IP)에 대해서 GBR 리소스 타입의 제2전용세션을 추가 연결할 경우 제2전송세션의 데이터전송률을 보장하기 위해 기지국(미도시)를 비롯한 시스템 상의 전체 리소스 운영효율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user connections is excessive in a base station (not shown) to which the terminal apparatus 100 is connected or the terminal apparatus 100 is located in a cell boundary region of a base station (not shown) Assuming that the environment is bad, when a second dedicated session of the GBR resource type is additionally connected to the internet PDN (Internet IP) of the terminal device 100, a base station (not shown) is provided to guarantee the data transmission rate of the second transmission session. The overall operation efficiency of the resource on the system may be deteriorated.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400)는, 단말장치(100)의 인터넷 PDN(인터넷 IP)에 대해서 데이터전송률을 보장하지 않는 리소스 타입(Non-GBR)을 갖는 서비스품질식별자(예 : QCI7)의 제2전용세션을 추가 연결하도록 하여, 이를 통해 특정 데이터서비스의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The network device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rvice quality identifier (e.g., QCI7) having a resource type (Non-GBR) that does not guarantee a data rate for the Internet PDN (Internet IP) So that a data packet of a specific data service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400)는, 각 단말장치(100)의 실시간 채널환경 변화에 따라서 유동적으로, 단말장치(100)의 인터넷 PDN(인터넷 IP)에 대해서 GBR 리소스 타입 서비스품질식별자(예 : QCI4) 또는 Non-GBR 리소스 타입 서비스품질식별자(예 : QCI7)를 갖는 제2전용세션을 추가 연결하도록 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network device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dynamically change the GBR resource type service quality identifier (IPR) for the internet PDN (Internet IP) of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real time channel environment of each terminal device 100 E.g., QCI4) or a non-GBR resource type service quality identifier (e.g., QCI7).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패킷망 기반의 데이터서비스와 관련하여, 제1주소정보를 기초로 하는 제1기본세션 및 제2주소정보를 기초로 하는 제2기본세션을 연결하는 기본세션연결부(110)와, 특정 데이터서비스가 개시되는 경우, 상기 패킷망에 대하여 상기 제2기본세션 이외에 상기 제2주소정보를 기초로 하는 제2전용세션을 추가 연결하는 전용세션연결부(120)와, 상기 특정 데이터서비스에 따른 데이터를 상기 제2전용세션을 통해 송수신하는 세션제어부(130)을 포함한다. The terminal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transmit a first basic session based on the first address information and a second basic session based on the second address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data service based on the packet network, A dedicated session connection unit 120 for additionally connecting a second dedicated session based on the second address information to the packet network in addition to the second basic session when a specific data service is started; And a session control unit 13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ccording to a specific data service through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여기서, 제1주소정보는, 단말장치(100)의 IMS PDN에 할당된 IP(IMS IP)이며, 제2주소정보는, 단말장치(100)의 인터넷 PDN에 할당될 IP(인터넷 IP)이다.Here, the first address information is an IP (IMS IP) assigned to the IMS PDN of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he second address information is an IP (Internet IP) to be allocated to the Internet PDN of the terminal device 100.

기본세션연결부(110)는, 패킷망(예 : LTE 망) 기반의 데이터서비스와 관련하여, 제1주소정보 즉 IMS IP를 기초로 하는 제1기본세션(Default Bearer) 및 제2주소정보 즉 인터넷 IP를 기초로 하는 제2기본세션(Default Bearer)을 연결한다.The basic session connection unit 110 transmits a first basic session (Default Bearer) based on the first address information, i.e., IMS IP, and second address information, i.e., Internet IP And a second basic session (Default Bearer).

즉, 기본세션연결부(110)는, 네트워크장치(400)의 제어에 따라서, 패킷망(예 : LTE 망)에 대해서 즉 패킷망장치(200)에 대해서, IMS IP를 기초로 하는 제1기본세션(Default Bearer)을 연결하고, 인터넷 IP를 기초로 하는 제2기본세션(Default Bearer)을 연결한다.That is, under the control of the network device 400, the basic session connection unit 110 transmits a first basic session (Default) based on the IMS IP to the packet network (e.g., LTE network) Bearer), and connects a second basic session (Default Bearer) based on Internet IP.

전용세션연결부(120)는, 단말장치(100)에 대한 특정 데이터서비스가 개시되는 경우, 패킷망(예 : LTE 망)에 대하여 제2기본세션(Default Bearer) 이외에 인터넷 IP를 기초로 하는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추가 연결한다.When the specific data service for the terminal device 100 is started, the dedicated session connection unit 120 transmits a second dedicated session to the packet network (e.g., the LTE network) Connect a session (Dedicated Bearer).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용세션연결부(120)는, 단말장치(100)에 대한 특정 데이터서비스가 개시되는 것을 확인한 네트워크장치(400)의 제어에 따라, 패킷망(예 : LTE 망)에 대하여 제2기본세션(Default Bearer) 이외에 인터넷 IP를 기초로 하는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추가 연결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of the network device 400 confirming that the specific data service for the terminal device 100 is started, the dedicated session connection unit 120 transmits a second basic (Dedicated Bearer) based on Internet IP in addition to the session (Default Bearer).

예컨대, 전용세션연결부(120)는, 네트워크장치(400)의 제어에 따라 즉 네트워크장치(400)로부터의 Activate Dedicated EPS Bearer Context Request 메시지에 따라, 패킷망장치(200)와의 기 지정된 일련의 세션 연결 절차를 수행하여 패킷망장치(200)에 대해 안정적인 데이터전송률을 보장하는 서비스품질식별자(예 : QCI4)의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추가 연결하고,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 추가 연결이 완료되면 제2전용세션 추가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 예컨대 Activate Dedicated EPS Bearer Context Accept 메시지를 네트워크장치(400)로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of the network device 400, that is, in accordance with the Activate Dedicated EPS Bearer Context Request message from the network device 400, the dedicated session connection unit 120 performs a predetermined sequence of session connection procedures with the packet- (Dedicated Bearer) of a service quality identifier (e.g., QCI4) that guarantees a stable data transmission rate to the packet network device 200 is additionally connected, and a second dedicated session (Dedicated Bearer) additional connection is completed For example, an Activate Dedicated EPS Bearer Context Accept message to the network device 400. The network device 400 receives the response message,

여기서, 특정 데이터서비스는, IMS IP의 제1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데이터서비스 보다는 낮은 연속성을 요구하며, 인터넷 IP의 제2기본세션(Default Bearer)을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데이터서비스 보다는 높은 연속성을 요구하는 데이터서비스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pecific data service requires lower continuity than the data service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first dedicated session of IMS IP, and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second basic session of the Internet IP It is desirable to be a data service requiring higher continuity than a data service.

즉, 특정 데이터서비스는, IMS IP를 사용하도록 기 지정된 데이터서비스 예컨대 통화서비스(예 : VoLTE, 영상전화) 보다는 낮은 연속성을 요구하며, 인터넷 IP를 사용하도록 기 지정된 일반 데이터서비스들 중에서는 가장 높은 연속성을 요구하는 데이터서비스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트리밍서비스일 수 있다. That is, certain data services require lower continuity than data services, such as call services (e.g., VoLTE, video telephony) predefined to use IMS IP, and among the predefined general data services to use Internet IP, And more specifically, it may be a streaming service.

세션제어부(130)는, 전술의 특정 데이터서비스에 따른 데이터 패킷을 인터넷 IP의 제2기본세션(Default Bearer)을 통해 송수신한다. The session control unit 13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packets according to the specific data service through the second basic session of the Internet IP.

즉, 세션제어부(130)는, 전술의 특정 데이터서비스 예컨대 스트리밍서비스에 따른 데이터 패킷을, 패킷망장치(200)를 거쳐 추가 연결된 인터넷 IP의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통해 특정 데이터서비스 예컨대 스트리밍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서비스장치(300)와 송수신함으로써,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패킷망(예 : LTE 망)을 통한 스트리밍서비스를 끊김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the session control unit 130 transmits a data packet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specific data service, for example, a streaming service, to a specific data service, for example, a streaming service through a second dedicated session of Internet IP,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100 can seamlessly utilize the streaming service through the packet network (e.g., LTE network) by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with the data service apparatus 300 providing the service.

물론, 본 발명의 단말장치(100)는, 인터넷 IP를 사용하도록 기 지정된 일반 데이터서비스 중 전술의 특정 데이터서비스가 아닌 데이터서비스 예컨대 파일다운로드서비스, 웹서핑서비스 등이 개시되면, 전술과 같이 인터넷 IP의 제2기본세션(Default Bearer)을 추가 연결하는 일 없이, 기존과 같이 데이터서비스의 데이터 패킷을 인터넷 IP의 기 연결된 제2기본세션(Default Bearer)을 통해 데이터서비스장치(미도시)와 송수신할 것이다.Of course, when a data service such as a file download service, a web surfing service, or the like other than the above-mentioned specific data service is started among the general data services predefined to use the Internet IP, the terminal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Internet IP The data packet of the data service is transmitted / received to / from the data service apparatus (not shown) via the second basic session (Default Bearer) connected to the Internet IP, as in the conventional case without further connecting the second basic session will be.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상태정보표시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atus information display unit 140. [

상태정보표시부(140)는, 인터넷 IP의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정보를, 단말장치(100)의 표시영역 중 적어도 일 영역에 표시한다.The status information display unit 140 displays status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nection status of a second dedicated session of the Internet IP in at least one of the display areas of the terminal device 100. [

예컨대, 상태정보표시부(140)는, 전술과 같이 단말장치(100)에서 특정 데이터서비스 예컨대 스트리밍서비스가 개시됨에 따라 인터넷 IP의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추가 연결하고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통해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하고 있음을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게 UI 형태로 보여주기 위한 기능부이다.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the status information display unit 140 may further connect a second dedicated session of the Internet IP as a specific data service, for example, a streaming service, is started in the terminal device 100 and a second dedicated session And transmits the data packet through the bearer to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100 in a UI form.

이에, 상태정보표시부(140)는, 인터넷 IP의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정보(예 : 제2전용세션 활성상태아이콘)을 단말장치(100)의 표시영역 중 적어도 일 영역에 표시하고, 인터넷 IP의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이 추가 연결된 경우 또는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통해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하는 경우 전술의 제2전용세션 활성상태아이콘을 활성상태로 표시하고,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즉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 연결이 해제된 경우 전술의 제2전용세션 활성상태아이콘을 비활성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tatus information display unit 140 displays status information (e.g., a second dedicated session active status icon) indicating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of the Internet IP When a second dedicated session of Internet IP is additionally connected or a data packet is transmitted / received through a second dedicated session, the above-mentioned second dedicated session active status icon is displayed in the active status When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is not connected, that is, when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connection is released,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active state icon may be displayed as inactive stat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 및 네트워크장치는, 단말장치의 인터넷 PDN(인터넷 IP)을 사용하는 일반 데이터서비스들 중 특정 데이터서비스(예 : 스트리밍서비스)에 대해서는 별도의 추가 전용세션을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특정 데이터서비스(예 : 스트리밍서비스)에 대해 다른 데이터서비스와 구분된 QoS 관리를 가능하게 하여 서비스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device and th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pecific data service (for example, a streaming service) among the general data services using Internet PDN (Internet IP) of the terminal devi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quality of service can be guaranteed by enabling QoS management differentiated from other data services for a specific data service (e.g., a streaming service).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의 도 1 내지 도 3에서 언급한 참조번호를 이용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Hereinafter, an operation method of th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reference will be made to the above-mentioned reference numerals in FIGS. 1 to 3.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First, with reference to FIG. 4, a control flow of a system including a netw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단말장치(100)는, 패킷망(예 : LTE 망)에 대해서 즉 패킷망장치(200)에 대해서, 제1주소정보 즉 IMS IP를 기초로 하는 제1기본세션(Default Bearer) 및 제1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연결하고, 제2주소정보 즉 인터넷 IP를 기초로 하는 제2기본세션(Default Bearer)을 연결한다(S10,S15).The terminal device 100 transmits a first basic session (Default Bearer) based on the first address information, that is, the IMS IP, and a first dedicated session (IP) based on the packet network (e.g., LTE network) Dedicated Bearer), and connects a second basic session (Default Bearer) based on the second address information, i.e., Internet IP (S10, S15).

네트워크장치(400)는, 전술과 같이 패킷망장치(200)와 IMS IP 및 인터넷 IP 각각의 제1,제2기본세션이 연결된 단말장치(100)에 대해서, 특정 데이터서비스가 개시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40).The network device 400 confirms whether or not the specific data service is started for the terminal device 100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basic sessions of the packet network device 200 and the IMS IP and the Internet IP are connected as described above (S40).

이때, 단말장치(100)에 대해서 전술의 특정 데이터서비스가 개시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At this time, a method of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specific data service described above is start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is as follows.

먼저,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킷망장치(200)는, 특정 데이터서비스 즉 스트리밍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서비스장치 각각의 식별정보(예 : IP정보)를 저장한 식별정보리스트를 보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데이터서비스장치(300)가 특정 데이터서비스 즉 스트리밍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인 것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Firs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packet network device 200 may have a list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IP information) of each data service apparatus that provides a specific data service, i.e., a streaming servic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data service apparatus 300 is a device that provides a specific data service, that is, a streaming service.

이에, 패킷망장치(200)는, 데이터서비스장치(300)에서 데이터서비스에 따른 데이터 패킷이 단말장치(100)로 전송되면(S32), 데이터서비스장치(300)의 IP정보가 식별정보리스트에 포함되는 경우 데이터서비스장치(300)로부터의 데이터 패킷 전송 시작 즉 특정 데이터서비스의 개시를 네트워크장치(400)로 알릴 수 있고(S34), 이에 네트워크장치(400)는 단말장치(100)에 대해서 특정 데이터서비스가 개시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When the data packet according to the data service is transmitted from the data service apparatus 300 to the terminal apparatus 100 (S32), the packet network apparatus 200 stores the IP information of the data service apparatus 300 i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list The network device 400 can notify the network device 400 of the start of the data packet transmission from the data service apparatus 300, that is, the start of the specific data service (S34) Whether or not the service is started can be confirmed.

즉, 네트워크장치(400)는, 패킷망장치(200)로부터 데이터서비스장치(300)로부터의 데이터 패킷 전송 시작 알림이 수신되면, 단말장치(100)에 대해서 특정 데이터서비스가 개시되는 것으로 확인할 것이다. That is, the network device 400 confirms that the specific data service is start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when the packet network device 200 receives the data packet transmission start notification from the data service device 300.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장치(100)에서는, 데이터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해당 데이터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앱) 또는 기능이 실행될 것이다(S20).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the terminal device 100, an application (app) or a function for the data service is executed to use the data service (S20).

이에, 단말장치(100)는, 전술의 특정 데이터서비스 즉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앱) 또는 기능이 실행되면, 특정 데이터서비스 전용의 세션 추가 연결을 네트워크장치(400)로 요청할 수 있다(S30). Accordingly, when the above-described specific data service, that is, the application (app) or the function for the streaming service is executed, the terminal device 100 can request the network device 400 to add a session dedicated for the specific data service (S30) .

이에, 네트워크장치(4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특정 데이터서비스 전용의 세션 추가 연결 요청이 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서, 단말장치(100)에 대해서 특정 데이터서비스가 개시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장치(4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특정 데이터서비스 전용의 세션 추가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단말장치(100)에 대해서 특정 데이터서비스가 개시되는 것으로 확인할 것이다.The network device 400 can confirm whether or not the specific data service is start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whether a session addition connection request dedicated for a specific data service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 That is, when receiving a session addition connection request exclusive for a specific data service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the network device 400 confirms that the specific data service is start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네트워크장치(400)는, 단말장치(100)에 대해서 특정 데이터서비스의 개시가 확인되면, 단말장치(100)에서 제2주소정보 즉 인터넷 IP를 기초로 기 연결된 제2기본세션(Default Bearer) 이외에 인터넷 IP를 기초로 하는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패킷망장치(200)에 대해 추가 연결하도록 하여, 단말장치(100)에서 특정 데이터서비스에 따른 데이터를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통해 송수신하도록 한다.When the start of the specific data service is confirmed for the terminal device 100, the network device 400 transmits a second basic session (Default Bearer) to the terminal device 100 in addition to the second basic session The Dedicated Bearer based on the Internet IP is additionally connected to the packet network device 200 so that the data according to the specific data service i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through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Send and receive.

보다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장치(400)는, 단말장치(100)로 제2전용세션을 추가 연결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 예컨대 Activate Dedicated EPS Bearer Context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여(S50), 단말장치(100)에서 인터넷 IP를 기초로 하는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패킷망장치(200)에 대해 추가 연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network device 400 transmits a message requesting to additionally connect a second dedicated session to the terminal device 100, for example, an Activate Dedicated EPS Bearer Context Request message (S50) A second dedicated session (Dedicated Bearer) based on the Internet IP may be additionally connected to the packet network device 200.

이에, 단말장치(100)는, 네트워크장치(400)의 제어에 따라 즉 Activate Dedicated EPS Bearer Context Request 메시지에 따라, 패킷망장치(200)와의 기 지정된 일련의 세션 연결 절차를 수행하여 패킷망장치(200)에 대해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추가 연결하고(S60),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 추가 연결이 완료되면 제2전용세션 추가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 예컨대 Activate Dedicated EPS Bearer Context Accept 메시지를 네트워크장치(400)로 제공할 수 있다(S70).In response to the Activate Dedicated EPS Bearer Context Request messag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network device 400, the terminal device 100 performs a predetermined sequence of session connection procedures with the packet network device 200, A second dedicated session is added to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in step S60. When the connection of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is completed, a response message for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addition connection request, e.g., an Activate Dedicated EPS Bearer Context Accept message To the network device 400 (S70).

이처럼, 네트워크장치(400)는, 단말장치(100)에 대해서 특정 데이터서비스의 개시가 확인되면, 단말장치(100)에서 인터넷 IP의 기 연결된 제2기본세션(Default Bearer) 이외에 인터넷 IP를 기초로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추가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스트리밍서비스에 따른 데이터 패킷을 인터넷 IP의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통해 송수신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tart of the specific data service is confirmed for the terminal device 100, the network device 400 can notify the terminal device 100 of the second basic session (Default Bearer) (Dedicated Bearer), thereby allowing the data packet according to the streaming service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of the Internet IP (Dedicated Bearer).

이에, 단말장치(100)는, 기 연결된 제2기본세션(Default Bearer)가 아닌, 패킷망장치(200)를 거쳐 추가 연결된 인터넷 IP의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통해 특정 데이터서비스 예컨대 스트리밍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서비스장치(300)와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함으로써(S80), 패킷망(예 : LTE 망)을 통한 스트리밍서비스를 끊김 없이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terminal device 100 may transmit a specific data service, for example, a streaming service (not shown) through a second dedicated session of Internet IP, which is additionally connected via the packet- (E.g., LTE network) by sending and receiving data packets to and from the data service apparatus 300 that provides the data packet (S80).

이때 단말장치(100)는, 인터넷 IP의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정보를, 단말장치(100)의 표시영역 중 적어도 일 영역에 표시한다(S75).At this time, the terminal device 100 displays status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of the Internet IP in at least one of the display areas of the terminal device 100 (S75).

예컨대, 단말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단말장치(100)에서 특정 데이터서비스 예컨대 스트리밍서비스가 개시됨에 따라 인터넷 IP의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추가 연결하고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통해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하고 있음을 단말장치(100)의 사용자에게 UI 형태로 보여줄 수 있다.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device 100 further connects a second dedicated session of Internet IP with a specific data service, for example, a streaming service, in the terminal device 100 and transmits a second dedicated session (Dedicated Bearer) ) To the user of the terminal device 100 in the form of a UI.

이에, 단말장치(100)는, 인터넷 IP의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정보(예 : 제2전용세션 활성상태아이콘)을 단말장치(100)의 표시영역 중 적어도 일 영역에 표시하고, 인터넷 IP의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이 추가 연결된 경우 또는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통해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하는 경우 전술의 제2전용세션 활성상태아이콘을 활성상태로 표시하고,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즉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 연결이 해제된 경우 전술의 제2전용세션 활성상태아이콘을 비활성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terminal device 100 transmits status information (e.g., a second dedicated session active status icon) indicating a connection status of a second dedicated session of the Internet IP to at least one of the display areas of the terminal device 100 And when a second dedicated session of Internet IP is additionally connected or a data packet is transmitted / received through a second dedicated session, the above-mentioned second dedicated session active status icon is activated And if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is not connected, that is, when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is disconnected,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active state icon may be displayed as inactive.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a network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은, 패킷망(예 : LTE 망)에 접속을 시도하는 단말장치(100)에 대하여, 패킷망(예 : LTE 망) 즉 패킷망장치(200)에 대해서 단말장치(100)에 할당된 IMS IP를 기초로 제1기본세션(Default Bearer)을 연결하고, 인터넷 IP를 기초로 제2기본세션(Default Bearer)을 연결하도록 제어한다(S100).A method of operating a netw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device 100 (for example, an LTE network), that is, a packet network device 200, to a terminal device 100 that attempts to access a packet network (IMS IP) assigned to the first base session, and controls to connect a second basic session (Default Bearer) based on the Internet IP (S10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패킷망장치(200)와 IMS IP 및 인터넷 IP 각각의 제1,제2기본세션이 연결된 단말장치(100)에 대해서, 특정 데이터서비스가 개시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10).The operation method of th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operating th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device 100 to which the first and second basic sessions of the packet network device 200, (S110).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패킷망장치(200)로부터의 알림 또는 단말장치(100)로부터의 요청에 근거하여, 단말장치(100)에 대해 특정 데이터서비스가 개시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specific data service is start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based on the notification from the packet network device 200 or the request from the terminal device 100 Can be confirmed.

여기서, 특정 데이터서비스는, IMS IP의 제1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데이터서비스 보다는 낮은 연속성을 요구하며, 인터넷 IP의 제2기본세션(Default Bearer)을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데이터서비스 보다는 높은 연속성을 요구하는 데이터서비스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pecific data service requires lower continuity than the data service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first dedicated session of IMS IP, and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second basic session of the Internet IP It is desirable to be a data service requiring higher continuity than a data service.

즉, 특정 데이터서비스는, IMS IP를 사용하도록 기 지정된 데이터서비스 예컨대 통화서비스(예 : VoLTE, 영상전화) 보다는 낮은 연속성을 요구하며, 인터넷 IP를 사용하도록 기 지정된 일반 데이터서비스들 중에서는 가장 높은 연속성을 요구하는 데이터서비스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트리밍서비스일 수 있다. That is, certain data services require lower continuity than data services, such as call services (e.g., VoLTE, video telephony) predefined to use IMS IP, and among the predefined general data services to use Internet IP, And more specifically, it may be a streaming service.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의 특정 데이터서비스의 개시가 확인되면, 단말장치(100)에서 제2기본세션(Default Bearer) 이외에 인터넷 IP를 기초로 하는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추가 연결하도록 하여, 특정 데이터서비스에 따른 데이터를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S120).The operation method of th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when the start of the specific data service is confirmed, the terminal device 100 transmits a second dedicated session (Dedicated Bearer (S120) so that data according to a specific data service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second dedicated session (D 120).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의 특정 데이터서비스의 개시가 확인되면, 단말장치(100)에서 인터넷 IP를 기초로 하는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패킷망장치(200)에 대해 추가 연결하도록 제어한다.More specifically, the operation method of th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above-described start of the specific data service is confirmed, the terminal device 100 transmits a second dedicated session (Dedicated Bearer) (200).

여기서,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은, 기 설정된 데이터전송률을 보장하도록 하는 서비스품질식별자(QCI : QoS Class Identifier)가 지정된 세션인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is a session in which a QoS class identifier (QCI) for ensuring a predetermined data rate is specified.

서비스품질식별자(QCI)는, 서비스품질(QoS) 우선 순위를 정수 값인 1~9로 표현한 것으로, 표준에 근거하여 각 서비스품질식별자(QCI) 마다 우선 순위, 리소스 타입(Resource Type : GBR or Non-GBR), 패킷 지연 허용치(Packet Delay Budget), 패킷 손실 허용치(Packet Error Loss Rate)의 특성(값)을 포함한다. The quality of service identifier (QCI) is a service quality (QoS) priority expressed as integer values 1 to 9. The service quality identifier (QCI) is a priority for each quality of service identifier (QCI) (GBR), a packet delay budget (Packet Delay Budget), and a characteristic (value) of a Packet Error Loss Rate.

이에 근거하여,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은, 기 설정된 데이터전송률을 보장하도록 하는 리소스 타입(GBR)을 갖는 서비스품질식별자 즉 QCI1, QCI2, QCI3, QCI4 중 하나가 지정된 세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한정해서,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은, 전술의 IMS IP의 제1전용세션(Dedicated Bearer)에 해당하는 QCI1, QCI2를 제외한 QCI3, QCI4 중 하나가 지정된 세션(예 : QCI4)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service quality identifiers, that is, QCI1, QCI2, QCI3, and QCI4 having a resource type (GBR) that ensures a preset data rate, . More specifically, in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QCI3 and QCI4 excluding the QCI1 and QCI2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dicated session of the above-mentioned IMS IP is allocated to the designated session : QCI4).

즉,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로 QCI4의 제2전용세션을 추가 연결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 예컨대 Activate Dedicated EPS Bearer Context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여, 단말장치(100)에서 인터넷 IP를 기초로 하는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패킷망장치(200)에 대해 추가 연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method of operating th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ssage requesting to additionally connect a second dedicated session of QCI4 to the terminal device 100, for example, an Activate Dedicated EPS Bearer Context Request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A second dedicated session (Dedicated Bearer) based on the Internet IP may be additionally connected to the packet network device 200.

이에, 단말장치(100)는, 네트워크장치의 제어에 따라 즉 Activate Dedicated EPS Bearer Context Request 메시지에 따라, 패킷망장치(200)와의 기 지정된 일련의 세션 연결 절차를 수행하여 패킷망장치(200)에 대해 QCI4의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추가 연결하고,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 추가 연결이 완료되면 제2전용세션 추가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 예컨대 Activate Dedicated EPS Bearer Context Accept 메시지를 네트워크장치(400)로 제공할 수 있다. In response to the Activate Dedicated EPS Bearer Context Request messag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network device, the terminal device 100 performs a predetermined sequence of session connection procedures with the packet network device 200, (Dedicated Bearer) of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is connected to the network device (D2), and a response message for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addition connection request, for example, an Activate Dedicated EPS Bearer Context Accept message, 400).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에 대해서 특정 데이터서비스의 개시가 확인되면, 단말장치(100)에서 인터넷 IP의 기 연결된 제2기본세션(Default Bearer) 이외에 인터넷 IP를 기초로 안정적인 데이터전송률을 보장하는 서비스품질식별자(예 : QCI4)의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추가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스트리밍서비스에 따른 데이터 패킷을 인터넷 IP의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통해 송수신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tart of the specific data service is confirmed for the terminal device 100, the terminal device 100 can access the internet (Dedicated Bearer) of a quality-of-service identifier (e.g., QCI4) that ensures a stable data rate based on the IP, and transmits a data packet corresponding to the streaming service to a second dedicated session ).

이에, 단말장치(100)는, 기 연결된 제2기본세션(Default Bearer)가 아닌, 패킷망장치(200)를 거쳐 추가 연결된 인터넷 IP의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통해 특정 데이터서비스 예컨대 스트리밍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서비스장치(300)와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함으로써, 패킷망(예 : LTE 망)을 통한 스트리밍서비스를 끊김 없이 이용할 수 있다(S130).Accordingly, the terminal device 100 may transmit a specific data service, for example, a streaming service (not shown) through a second dedicated session of Internet IP, which is additionally connected via the packet- (E.g., LTE network)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packets to and from the data service apparatus 300 providing the service (step S13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은, 이 후 단말장치(100)에 대해서 특정 데이터서비스 즉 스트리밍서비스의 종료가 확인되지 않으면(S140 No), 계속해서 인터넷 IP의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유지하도록 하여(S160) 이를 통해 스트리밍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If the end of the specific data service, that is, the streaming service, is not confirmed to the terminal device 100 (No in S140), the method of operation of th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inues with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Bearer) is maintained (S160) so that the streaming service can be us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에 대해서 특정 데이터서비스 즉 스트리밍서비스의 종료가 확인되면(S140 Yes), 전술과 같이 추가 연결하도록 한 인터넷 IP의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 연결을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50). Meanwhile, when the end of the specific data service, that is, the streaming service is confirmed (Yes in S140), the operation method of th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Dedicated Bearer) connection at step S150.

즉,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로 제2전용세션을 연결 해제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 예컨대 Deactivate Dedicated EPS Bearer Context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여, 단말장치(100)에서 앞서 추가 연결한 인터넷 IP의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을 패킷망장치(200)에 대해 연결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method of operating th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message requesting to disconnect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to the terminal device 100, for example, a Deactivate Dedicated EPS Bearer Context Request message, And control to disconnect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Dedicated Bearer) of the connected Internet IP with respect to the packet network device (200).

이에, 단말장치(100)는, 네트워크장치의 제어에 따라 즉 Deactivate Dedicated EPS Bearer Context Request 메시지에 따라, 패킷망장치(200)와의 기 지정된 일련의 세션 연결 해제 절차를 수행하여 패킷망장치(200)에 대해 제2전용세션(Dedicated Bearer) 연결을 해제하고, 연결 해제가 완료되면 제2전용세션 연결 해제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 예컨대 Deactivate Dedicated EPS Bearer Context Accept 메시지를 네트워크장치(400)로 제공할 수 있다. In response to the Deactivated Dedicated EPS Bearer Context Request message, the terminal device 100 performs a series of session release procedures with respect to the packet data network device 200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network device, Upon completion of the connection release, a response message to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release request, for example, Deactivate Dedicated EPS Bearer Context Accept message, may be provided to the network device 400.

물론,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은, 전술의 S110단계에서 단말장치(100)에 대해서 인터넷 IP를 사용하도록 기 지정된 일반 데이터서비스 중 전술의 특정 데이터서비스가 아닌 데이터서비스 예컨대 파일다운로드서비스, 웹서핑서비스 등이 개시된다면, 기존과 같이 개시된 데이터서비스의 데이터 패킷을 단말장치(100)에서 기 연결된 제2기본세션(Default Bearer)을 통해 송수신하도록 할 것이다.Although not shown in FIG. 5, the operation method of th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data service among the general data services previously specified to use the Internet IP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device 100 in the above- When a data service, such as a file download service, a web surfing service, or the like is started, a data packet of a data service as described above will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second basic session (Default Bear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의 인터넷 PDN(인터넷 IP)을 사용하는 일반 데이터서비스들 중 특정 데이터서비스(예 : 스트리밍서비스)에 대해서는 별도의 추가 전용세션을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특정 데이터서비스(예 : 스트리밍서비스)에 대해 다른 데이터서비스와 구분된 QoS 관리를 가능하게 하여 서비스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eparate additional dedicated session is provided for a specific data service (for example, a streaming service) among general data services using Internet PDN (Internet IP)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quality of service can be ensured by enabling QoS management differentiated from other data services for a specific data service (for example, a streaming servic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A method of operating a networ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과, 단말장치에 따르면, 단말장치의 인터넷 PDN(인터넷 IP)을 사용하는 일반 데이터서비스들 중 특정 데이터서비스(예 : 스트리밍서비스)에 대해서는 별도의 추가 전용세션을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특정 데이터서비스(예 : 스트리밍서비스)에 대해 다른 데이터서비스와 구분된 QoS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According to the network device 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network device and th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data service (for example, a streaming service) among ordinary data services using Internet PDN (Internet IP) (Eg, streaming service) by enabling dedicated sessions to be used in conjunction with other data services, it is possible to use only the related technologies It is not only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ization or operation of a device to be applied, but also a possibility that can be practically and practically carried out, so it is an invention that is industrially applicable.

100 : 단말장치 200 : 패킷망장치
300 : 데이터서비스장치 400 : 네트워크장치
100: terminal device 200: packet network device
300: data service device 400: network device

Claims (10)

패킷망 기반의 데이터서비스와 관련하여 제1주소정보를 기초로 하는 제1기본세션과 제2주소정보를 기초로 하는 제2기본세션이 연결된 단말에 대하여, 특정 데이터서비스가 개시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데이터서비스확인부; 및
상기 특정 데이터서비스의 개시가 확인되면, 상기 단말에서 상기 제2기본세션 이외에 상기 제2주소정보를 기초로 하는 제2전용세션을 추가 연결하도록 하여, 상기 특정 데이터서비스에 따른 데이터를 상기 제2전용세션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세션연결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장치.
In the case of a data service based on a packet network, data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a specific data service is started for a terminal connected to a first basic session based on first address information and a second basic session based on second address information Service verification unit; And
When the start of the specific data service is confirmed, the terminal additionally connects a second dedicated session based on the second address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second basic session, And a session connection control unit for enabling a session to be transmitted / received through the sess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소정보는 아이엠에스 아이피(IMS IP)를 포함하며,
상기 제2주소정보는 인터넷 아이피(Internet I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ddress information includes an IMS IP,
And the second address information includes an Internet I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용세션은,
기 설정된 데이터전송률을 보장하도록 하는 서비스품질식별자(QCI : QoS Class Identifier)가 지정된 세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comprises:
And a QoS class identifier (QCI) for ensuring a predetermined data transmission r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데이터서비스는,
상기 단말에 대하여 상기 제1주소정보를 기초로 하는 제1전용세션을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데이터서비스보다는 낮은 연속성을 요구하며, 상기 제2기본세션을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데이터서비스 보다는 높은 연속성을 요구하는 데이터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pecific data service includes:
The mobile terminal requests continuity of the mobile station to be lower than that of the data service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first dedicated session based on the first address information and requires continuity higher than data service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second base session Wherein the data service is a data service to be performed.
패킷망 기반의 데이터서비스와 관련하여, 제1주소정보를 기초로 하는 제1기본세션 및 제2주소정보를 기초로 하는 제2기본세션을 연결하는 기본세션연결부;
특정 데이터서비스가 개시되는 경우, 상기 패킷망에 대하여 상기 제2기본세션 이외에 상기 제2주소정보를 기초로 하는 제2전용세션을 추가 연결하는 전용세션연결부; 및
상기 특정 데이터서비스에 따른 데이터를 상기 제2전용세션을 통해 송수신하는 세션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A basic session connection unit for associating a first basic session based on first address information and a second basic session based on second address information with respect to a data service based on a packet network;
A dedicated session connection unit for additionally connecting a second dedicated session based on the second address information to the packet network in addition to the second basic session when a specific data service is started; And
And a session controll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ccording to the specific data service through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용세션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정보를, 상기 단말장치의 표시영역 중 적어도 일 영역에 표시하는 상태정보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status information display unit for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indicating a connection status of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in at least one of display areas of the terminal apparatus.
패킷망 기반의 데이터서비스와 관련하여 제1주소정보를 기초로 하는 제1기본세션과 제2주소정보를 기초로 하는 제2기본세션이 연결된 단말에 대하여, 특정 데이터서비스가 개시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데이터서비스확인단계;
상기 특정 데이터서비스의 개시가 확인되면, 상기 단말에서 상기 제2기본세션 이외에 상기 제2주소정보를 기초로 하는 제2전용세션을 추가 연결하도록 하여, 상기 특정 데이터서비스에 따른 데이터를 상기 제2전용세션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세션연결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In the case of a data service based on a packet network, data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a specific data service is started for a terminal connected to a first basic session based on first address information and a second basic session based on second address information Service identification step;
When the start of the specific data service is confirmed, the terminal additionally connects a second dedicated session based on the second address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second basic session, And a session connection control step of allowing the user terminal to transmit and receive through the sess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소정보는 아이엠에스 아이피를 포함하며,
상기 제2주소정보는 인터넷 아이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address information includes an IMS IP,
Wherein the second address information includes an internet IP addres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용세션은,
기 설정된 데이터전송률을 보장하도록 하는 서비스품질식별자가 지정된 세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cond dedicated session comprises:
Wherein the session is a session in which a quality of service identifier for assuring a predetermined data rate is specifi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데이터서비스는,
상기 단말에 대하여 상기 제1주소정보를 기초로 하는 제1전용세션을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데이터서비스보다는 낮은 연속성을 요구하며, 상기 제2기본세션을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데이터서비스 보다는 높은 연속성을 요구하는 데이터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pecific data service includes:
The mobile terminal requests continuity of the mobile station to be lower than that of the data service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a first dedicated session based on the first address information and requires continuity higher than data service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second base session Wherein the data service is a data service to which the network device belongs.
KR1020130022742A 2013-03-04 2013-03-04 Network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terminal device KR1015069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742A KR101506958B1 (en) 2013-03-04 2013-03-04 Network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termin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742A KR101506958B1 (en) 2013-03-04 2013-03-04 Network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terminal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891A true KR20140108891A (en) 2014-09-15
KR101506958B1 KR101506958B1 (en) 2015-03-31

Family

ID=51755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2742A KR101506958B1 (en) 2013-03-04 2013-03-04 Network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terminal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958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80705B2 (en) * 2008-10-15 2014-11-0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creation and release of proxy mobile IP connections
JP5135257B2 (en) 2009-02-26 2013-02-06 株式会社Kddi研究所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 plurality of sessions of different routes by home gateway and session control ser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6958B1 (en) 2015-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52787B2 (en) Session reestablishment methods and devices, AMF, SMF and terminals
US10595250B2 (en) Quality of service initiated handover
US9008668B2 (en) Service handover control apparatus using an end-to-end service handover and method using the apparatus
RU2496277C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media session transfer
EP277209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oice call continuity using different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683723B2 (en) Methods and system for offloading data traffic
US20160127967A1 (en) Service offloading method and base station
CN110519807B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US2011012283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in communication system
RU2557089C2 (en) Method, devices and computer programme for transferring session from packet switched network to circuit switched access network
US20160269988A1 (en) Network access selection method and terminal
CN105873241B (en)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call connection
JP5779285B2 (en) Packet service call management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WO2018233451A1 (en)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20160073736A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eader compression feature in a communication system
JP6408379B2 (en) Mechanism for managing PDN connections in LTE / EPC networks
US10212048B2 (en) Service offloading method, device, and system
US11553389B2 (en)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to use wireless network and related device
WO2024066150A1 (en) Network fallback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JP2009525667A (en) Domain conversion restriction method and terminal
US20160249256A1 (en) Network device for supporting gateway chang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11265771B2 (en) AT commands for supporting session and service continuity modes of 5G protocol data unitsession operations
EP3790352B1 (en)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system
EP2890120B1 (en) Internet protocol video telephony with carrier grade voice
KR101506958B1 (en) Network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termina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