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8489A - 이동 단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8489A
KR20140108489A KR1020140018910A KR20140018910A KR20140108489A KR 20140108489 A KR20140108489 A KR 20140108489A KR 1020140018910 A KR1020140018910 A KR 1020140018910A KR 20140018910 A KR20140018910 A KR 20140018910A KR 20140108489 A KR20140108489 A KR 20140108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terminal device
determining
route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6708B1 (ko
Inventor
김기정
이근상
김형준
한동숭
황병찬
Original Assignee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PCT/KR2014/00148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129866A1/ko
Publication of KR20140108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42Determining position
    • G01S19/45Determining position by combining measurements of signals fro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with a supplementary measurement
    • G01S19/47Determining position by combining measurements of signals fro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with a supplementary measurement the supplementary measurement being an inertial measurement, e.g. tightly coupled inert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이동 단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이동 단말 장치의 현재의 대략적인 위치와 평균 속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대략적인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그려진 가상의 원이 노선과의 사이에서 교점을 갖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교점이 하나 이상인 경우, 상기 대략적인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상기 노선 상의 위치를 상기 이동 단말 장치의 현재의 위치로 결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평균 속력에 기초하여 볼 때에 상기 이동 단말 장치가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노선 상에서 이동한 것으로 추정되는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 장치의 현재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DETERMINING LOCATION OF MOBILE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이동 단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동 단말 장치(특히, 이동 전화기)의 현재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그것이 속하는 이동 통신망(예를 들면, 이동 전화 네트워크)으로부터 획득되는 정보(예를 들면, 기지국 정보 등), GPS 정보, 지능형 교통망 정보 등을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런데, 위치 결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GPS 정보는, 이동 단말 장치의 위치를 정밀하게 결정하기 위하여 활용될 수 있는 잘 알려진 정보이기는 하지만, 건물이 밀집해 있는 지역이나 산악 지역 등과 같은 곳에서는 종종 부정확하거나 활용 불가능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14699호(발명의 명칭: GPS용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방법및 그 시스템)의 기술과 같은 종래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 역시 이동 단말 장치의 위치 결정에 최적화된 것은 아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는 다른 보조적인 정보를 더 활용하여 이동 단말 장치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결정하는 기술에 관하여 제안하는 바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조적인 정보를 활용하여 이동 단말 장치의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이동 단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이동 단말 장치의 현재의 대략적인 위치와 평균 속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대략적인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그려진 가상의 원이 노선과의 사이에서 교점을 갖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교점이 하나 이상인 경우, 상기 대략적인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상기 노선 상의 위치를 상기 이동 단말 장치의 현재의 위치로 결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평균 속력에 기초하여 볼 때에 상기 이동 단말 장치가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노선 상에서 이동한 것으로 추정되는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 장치의 현재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조적인 정보를 활용하여 이동 단말 장치의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결정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 장치의 노선 상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전체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40), GPS 위성(10), 위치 결정 시스템(20) 및 이동 단말 장치(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40)은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과 같은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통신망(40)은 공지의 인터넷 또는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다. 또한, 통신망(40)은 IEEE 802.11,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기술에 의하여 구현되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통신망(40)은, 굳이 이에 국한될 필요 없이, 공지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공지의 전화망 또는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을 그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결정 시스템(20)은 통신망(40), GPS 위성(10), 지능형 교통망(미도시됨) 등으로부터의 정보 그리고 다른 보조적인 정보를 활용하여 이동 단말 장치(30)의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결정 시스템(20)의 구성과 기능에 관하여는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 장치(30)는 위치 결정 시스템(20)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노트북 컴퓨터, PDA, 웹 패드(특히, 스마트 패드), 태블릿 컴퓨터, 이동 전화기(특히, 스마트 폰), 내비게이션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 장치(30)로서 채택될 수 있다.
특히, 이동 단말 장치(30)에는, 필요에 따라, 위치 결정을 지원하거나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위치 결정 시스템(20)으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거나 위치 결정 시스템(20)에 소정의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위치 결정 시스템(20)이 이동 단말 장치(3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거나 이동 단말 장치(30)의 위치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이동 단말 장치(30)에는 종래의 기술에 따라 위치 정보(즉, 통신망 정보, GPS 정보, 지능형 교통망 정보 등)를 처리할 수 있는 종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나 프로그램 모듈이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위치 결정 시스템의 구성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결정 시스템(20)의 내부 구성과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결정 시스템(2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결정 시스템(20)은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이러한 위치 결정 시스템(20)은 바람직하게는 서버 시스템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결정 시스템(20)은 위치/이동 정보 처리부(210), 위치 결정부(220), 데이터베이스(230), 통신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위치/이동 정보 처리부(210), 위치 결정부(220), 데이터베이스(230), 통신부(240) 및 제어부(25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이동 단말 장치(30)와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위치 결정 시스템(20)에 포함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위치 결정 시스템(20)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이동 정보 처리부(210)는 이동 단말 장치(30)의 현재의 대략적인 위치를 결정하고 이동 단말 장치(30)의 평균적인 속력을 결정하기 위하여 관련 정보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위치/이동 정보 처리부(210)는 종래의 기술에 따라 통신망 정보, GPS 정보, 지능형 교통망 정보 등을 처리하여 이동 단말 장치(30)의 현재나 과거의 대략적인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위치/이동 정보 처리부(210)는 소정의 시간 동안 이동 단말 장치(30)의 위치를 결정한 정보를 처리하여 이동 단말 장치(30)의 평균 속력(이러한 속력은, 예를 들면, 이동 단말 장치(30)의 사용자의 보행 속력이 될 수 있음)을 더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평균 속력은 바람직하게는 이동 단말 장치(30)의 과거의 여러 시간 간격 동안의 각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값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결정부(220)는, 이동 단말 장치(30)가 미리 정보가 획득되어 있는 노선을 따라서 이동한다는 점을 가정 사항으로 삼아서, 이동 단말 장치(30)가 노선 상의 특정 지점 A를 지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의 그 위치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로 하여 위치 결정부(220)가 이동 단말 장치(30)의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하는 것에 관하여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 장치의 노선 상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이동 단말 장치(30)가 특정 지점 A로부터 이동하고 있는 노선이 단일 노선인 경우를 상정하여 보기로 한다.
단일 노선의 경우, 위치 결정부(220)는 일단 위치/이동 정보 처리부(210)에 의하여 대략적으로 결정된 이동 단말 장치(30)의 위치와 상기 노선에 관하여 미리 수집되어 저장되어 있는 정보(즉, 토폴로지 정보 등)를 참조하여, 소정의 허용 오차(즉, 결정되는 위치의 허용 오차)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소정의 반지름을 갖는 가상의 원이 상기 노선과의 사이에서 교점을 갖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교점이 존재하는 경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 장치(30)의 대략적으로 결정된 위치는 B1일 수 있고, B1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반지름(C1)을 갖도록 그려진 가상의 원(C)과 노선의 사이에는 교점이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 결정부(220)는 상기 교점이 1개인 경우에는 해당 점을, 상기 교점이 2개 이상인 경우에는, B1과 가장 가까운 상기 노선 상의 위치 B를 이동 단말 장치(30)의 정확한 위치로 결정지을 수 있다.
위와 같은 교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 장치(30)의 대략적으로 결정된 위치는 B1일 수 있고, B1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반지름(C1)을 갖도록 그려진 가상의 원(C)과 노선의 사이에 교점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이러한 경우는 이동 단말 장치(30)가 양질의 GPS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 등일 수 있다). 이 경우, 위치 결정부(220)는 B1의 상기 노선 근방에서의 A에 대한 위치만 참조하여 상기 노선 상의 특정 위치를 이동 단말 장치(30)의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특정 위치는, 이동 단말 장치(30)가 A에 위치하였던 시점으로부터 현재까지 경과된 시간에 이동 단말 장치(30)의 평균 속력을 곱한 값에 해당하는 거리인 L만큼, A로부터 상기 노선 상에서 이동한 위치인 B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 장치(30)가 A로부터 이동하고 있는 노선이 다중 노선인 경우를 상정하여 보기로 한다. 위치 결정부(220)는, A를 중심으로 하여 그려진 가상의 원 C 내에 두 개 이상의 노선의 분기점에 해당하는 지점 P가 있는 경우에, 이동 단말 장치(30)가 다중 노선 상에서 이동하게 됨을 인식할 수 있다(이러한 인식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에 행하여질 수 있다). 위와 같은 P에 관한 정보는 바람직하게는 노선 정보 중 하나로서 데이터베이스(230) 등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위치 결정부(220)는 우선 이동 단말 장치(30)의 평균 속력으로부터 산출되는, 이동 단말 장치(30)가 해당 시간 동안 이동한 거리 L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노선의 여러 지점 중에서 이동 단말 장치(30)의 대략적인 위치 B로부터 가장 가까운 지점인 B1과 제2 노선의 여러 지점 중에서 가장 가까운 지점인 B2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A와 P 사이의 거리 L0와 P와 B1 사이의 거리 L1과 P와 B2 사이의 거리 L2가 모두 결정될 수 있다. 위치 결정부(220)는 그 다음에 L0+L1의 값과 L0+L2의 값 중에서 L에 더 가까운 값을 찾고 그에 해당하는 B1이나 B2의 지점을 이동 단말 장치(30)의 정확한 위치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위치 결정부(220)는 x = |L1+L0-L| - |L2+L0-L|라고 할 때, x가 0보다 작거나 같다면 이동 단말 장치(30)의 위치를 B1으로 결정하고, 아니라면, B2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230)에는, 노선 정보나 이동 단말 장치(30)와 연관된 지능형 교통망 이용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비록 도 2에서 데이터베이스(230)가 위치 결정 시스템(20)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30)는 위치 결정 시스템(20)과 별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데이터베이스(230)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협의의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파일 시스템에 기반을 둔 데이터 기록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데이터베이스일 수도 있으며, 단순한 로그의 집합이라도 이를 검색하여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면 본 발명에서의 데이터베이스(230)가 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이동 단말 장치(30)와 별도인 위치 결정 시스템(20)이 주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결정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였지만(노선 정보의 양이나 복잡도가 커질수록 이동 단말 장치(30)보다는 위치 결정 시스템(20)의 역할이 커지는 것이 필요할 수 있음), 당업자의 설계 변경에 따라, 위와 같은 기능 중 적어도 일부가 이동 단말 장치(30)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하여도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40)는 위치/이동 정보 처리부(210), 위치 결정부(220) 및 데이터베이스(230)로부터의/로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50)는 위치/이동 정보 처리부(210), 위치 결정부(220), 데이터베이스(230) 및 통신부(24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50)는 위치 결정 시스템(20)의 외부로부터의/로의 데이터 흐름 또는 위치 결정 시스템(2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위치/이동 정보 처리부(210), 위치 결정부(220), 데이터베이스(230) 및 통신부(24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210: 위치/이동 정보 처리부
220: 위치 결정부
230: 데이터베이스
240: 통신부
250: 제어부

Claims (9)

  1. 이동 단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이동 단말 장치의 현재의 대략적인 위치와 평균 속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대략적인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그려진 가상의 원이 노선과의 사이에서 교점을 갖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교점이 하나 이상인 경우, 상기 대략적인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상기 노선 상의 위치를 상기 이동 단말 장치의 현재의 위치로 결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평균 속력에 기초하여 볼 때에 상기 이동 단말 장치가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노선 상에서 이동한 것으로 추정되는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 장치의 현재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간은 상기 이동 단말 장치가 이전에 결정된 위치에 있었던 시점으로부터 현재까지의 시간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의 원의 반지름은 허용 오차에 기초하여 결정된 것인 방법.
  4. 이동 단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이동 단말 장치의 현재의 대략적인 위치와 평균 속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 장치의 이전에 결정된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그려진 가상의 원 안에 제1 노선과 제2 노선의 분기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략적인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상기 제1 노선 상의 위치와, 상기 대략적인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상기 제2 노선 상의 위치와, 상기 평균 속력에 기초하여 볼 때에 상기 이동 단말 장치가, 상기 이동 단말 장치의 상기 이전에 결정된 위치의 시점으로부터 현재까지의 시간 동안, 노선 상에서 상기 이전에 결정된 위치로부터 이동한 것으로 추정되는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 장치의 현재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 결정 단계는, 상기 제1 노선 상의 상기 위치와 상기 제2 노선 상의 상기 위치 중에서 상기 이전에 결정된 위치로부터의 상기 노선 상에서의 해당 거리의 값이 상기 추정되는 거리의 값과 더 가까운 것을 상기 현재의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이동 단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이동 단말 장치의 현재의 대략적인 위치와 평균 속력을 결정하는 위치/이동 정보 처리부, 및
    상기 대략적인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그려진 가상의 원이 노선과의 사이에서 교점을 갖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교점이 하나 이상인 경우, 상기 대략적인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상기 노선 상의 위치를 상기 이동 단말 장치의 현재의 위치로 결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평균 속력에 기초하여 볼 때에 상기 이동 단말 장치가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노선 상에서 이동한 것으로 추정되는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 장치의 현재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
    를 포함하는 시스템.
  7. 이동 단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이동 단말 장치의 현재의 대략적인 위치와 평균 속력을 결정하는 위치/이동 정보 처리부, 및
    상기 이동 단말 장치의 이전에 결정된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그려진 가상의 원 안에 제1 노선과 제2 노선의 분기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략적인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상기 제1 노선 상의 위치와, 상기 대략적인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상기 제2 노선 상의 위치와, 상기 평균 속력에 기초하여 볼 때에 상기 이동 단말 장치가, 상기 이동 단말 장치의 상기 이전에 결정된 위치의 시점으로부터 현재까지의 시간 동안, 노선 상에서 상기 이전에 결정된 위치로부터 이동한 것으로 추정되는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단말 장치의 현재의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
    를 포함하는 시스템.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 정보 처리부와 상기 위치 결정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이동 단말 장치에 포함되는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40018910A 2013-02-23 2014-02-19 이동 단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556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1486 WO2014129866A1 (ko) 2013-02-23 2014-02-24 이동 단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534 2013-02-23
KR20130019534 2013-0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489A true KR20140108489A (ko) 2014-09-11
KR101556708B1 KR101556708B1 (ko) 2015-10-02

Family

ID=51755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910A KR101556708B1 (ko) 2013-02-23 2014-02-19 이동 단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67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9441A (ko) * 2020-12-21 2022-06-28 디토닉 주식회사 이동통신사 데이터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 역학조사 지원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4979A (ja) * 2009-03-31 2010-10-21 Railway Technical Res Inst 鉄道車両の運転保安システムにおける位置検出装置およびその位置検出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9441A (ko) * 2020-12-21 2022-06-28 디토닉 주식회사 이동통신사 데이터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 역학조사 지원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6708B1 (ko) 2015-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4336B2 (en) Mobile search based on predicted location
US8831909B2 (en) Step detection and step length estimation
US20090150349A1 (en) Dynamic geographical spatial search
CN104485013A (zh) 车辆停车位置智能识别方法
US97780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reachable area based on road network
CN108572999B (zh) 兴趣面aoi轮廓的搜索方法及装置
JP6375443B2 (ja) セル情報を利用した位置情報決定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317227B2 (en) Routing to locations with multiple entrances
JP5420070B2 (ja) セルラー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内で移動する無線通信装置の位置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と、セルラー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の無線通信装置
CN107167151B (zh) 公交车线路设置方法、路线规划方法及装置
JP6268951B2 (ja) 移動情報処理方法、移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移動情報処理装置
CN105628035A (zh) 步行导航方法和装置
US10890456B2 (en) Vehicle and method of providing route guidance using public transportation
CN106327000B (zh) 识别出行方式的方法及系统
CN105427592A (zh) 基于浮动车的导航电子地图转向代价计算方法
US20200124420A1 (en) Portable pedestrian navigation system
KR101656778B1 (ko) 위치 연관 문서에 기초하여 감정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556708B1 (ko) 이동 단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1280623B2 (en) Predictive intersection search
KR20130030050A (ko) 주차위치 추출방법과 이를 이용한 단말기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09446437B (zh) 信息挖掘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KR101718146B1 (ko) 사용자 방문 장소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3485347B (zh) 一种运动轨迹的优化方法、系统
JP2014199186A (ja) 経路案内システム、経路案内方法、及び経路案内プログラム
JP7332667B2 (ja) ユーザの移動ルートを決定する携帯装置、ユーザの移動ルートを決定する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