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8382A - 중공사막 모듈 - Google Patents

중공사막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8382A
KR20140108382A KR1020130020037A KR20130020037A KR20140108382A KR 20140108382 A KR20140108382 A KR 20140108382A KR 1020130020037 A KR1020130020037 A KR 1020130020037A KR 20130020037 A KR20130020037 A KR 20130020037A KR 20140108382 A KR20140108382 A KR 20140108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fiber
fiber membrane
raw water
head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0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2779B1 (ko
Inventor
노수홍
이종훈
김단홍
이종찬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20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779B1/ko
Priority to US14/769,849 priority patent/US9839880B2/en
Priority to CN201480010336.4A priority patent/CN105073233B/zh
Priority to PCT/KR2014/001405 priority patent/WO2014129835A1/ko
Publication of KR20140108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24Hollow fibre modules with a single potted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0Vibrating th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03Membrane bonding or 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2Specific tightening or lock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1Specific headers, en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46Supply, recovery or discharge mechanisms of wash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0Use of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20By influencing the flow
    • B01D2321/2033By influencing the flow dynamically
    • B01D2321/2058By influencing the flow dynamically by vibration of the membrane, e.g. with an actuat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중공사막의 오염을 최소화할 있고, 전력을 이용한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하고 물리적 방법을 통해 중공사막을 세척할 수 있도록, 원수가 채워지는 물통과, 상기 물통에 설치되고 내부에 중공사막이 구비되어 물통의 원수 수압에 의한 수처리가 이루어지는 중공사막 모듈, 상기 물통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중공사막 모듈을 통해 물통 내부로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사막 모듈은 원수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원수를 중공사막에 충돌시켜 중공사막을 유동시키는 구조의 수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중공사막 모듈{HOLLOW FIBER MEMBRANE MODULE}
본 발명은 중공사막 모듈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원수주입으로 막 세척이 가능한 중공사막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리막 기술은 고분자 재료의 물질 선택투과 성질을 이용한 분리기술의 하나로, 그 형태에 따라 평막, 관상막, 중공사막으로 구분된다.
분리막을 이용한 막여과 공정은 기존 수처리 공정에 비해 부지면적을 적게 차지하고, 막의 공칭 공경보다 큰 물질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어 안전을 요하는 정수처리 시설에 사용된다. 또한, 분리막 기술은 소규모 모듈화가 가능하여 소규모 수처리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분리막은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모듈(module)화하여 용도에 따라 선택된다. 이중에서 중공사막은 직경이 0.2~2mm이며 중앙이 비어있는 실관 형태의 중공사를 이용한 것으로, 중공사의 단위부피당 막면적비가 다른 형식의 분리막에 비하여 커서 높은 생산성을 가지고 있고, 직경이 작으므로 자체적으로 형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별도의 지지체가 필요 없다는 장점으로 인해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막모듈은 높은 압력차를 필요로 하므로 분리막의 오염이 가속화되는 문제가 있으며, 부유물질에 의한 막 오염을 줄이기 위해 에너지 소모가 많은 펌프와 블로워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막모듈은 고에너지, 고비용이 소요되는 구조로, 전력이 부족한 지역이나 저개발국가의 경우 막여과 공정을 도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물통의 수두압을 이용하여 여과하는 무동력 수처리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구조는 중력으로 여과가 가능하여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나, 막모듈에 부착되는 오염물질을 제대로 세척하지 못하여 여과가 지속되는 동안 물의 생산량이 계속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
이에, 중공사막의 오염을 최소화할 있도록 된 중공사막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전력을 이용한 에너지 사용없이 물리적 방법을 통해 중공사막을 세척할 수 있도록 된 중공사막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중공사막을 이용한 수처리시 발생되는 슬러지 등의 오염물질 제거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된 중공사막 모듈을 제공한다.
또한, 설비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유지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중공사막 모듈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중공사막 모듈은 주입되는 원수를 중공사막에 충돌시켜 중공사막을 흔들어 세척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중공사막 모듈은 원수가 수용되는 물통에 결합되는 헤더와, 상기 헤더 내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끝단은 자유단을 이루며, 수두에 의해 원수를 여과하는 중공사막, 상기 헤더에 설치되고 물통 내부로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중공사막이 배치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헤더는 물통 내부로 주입되는 원수를 하우징 내의 중공사막에 충돌시켜 중공사막을 흔들어 세척하고 물통 내에 채우는 구조일 수 있다.
본 중공사막 모듈은 상기 헤더에 설치되고 상기 중공사막과 연결되어 처리수가 모이는 콜렉터, 상기 콜렉터에 연결되어 처리수가 배출되는 처리수관, 상기 헤더에 설치되어 원수를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고 하우징 내부로 연장되어 원수가 배출되는 투입관, 상기 공급관 선단에 설치되어 투입관을 통해 배출되는 원수를 중공사막에 충돌시키기 위한 원수분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더는 물통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물통과의 기밀 유지를 위한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선단에 돌출 형성되고 복수개의 체결홀이 형성된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더는 다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헤더는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헤더 외주면에 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입관은 헤더 중앙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중공사막은 상기 투입관을 중심으로 투입관과 하우징 내주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공사막은 일단이 콜렉터에 결합되고 타단은 자유단을 이루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원수분산부는 투입관 선단에 설치되어 원수의 흐름을 막는 차단부재와, 상기 투입관의 선단부 외주면에 중공사막을 향해 형성되어 원수를 중공사막으로 배출되는 복수개의 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는 중앙에 원수가 배출되는 홀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는 외측으로 돌출된 원뿔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원수분산부는 상기 차단부재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관을 향해 점차적으로 직경이 줄어드는 원뿔형태의 유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장치에 의하면, 원수 유입 에너지를 이용하여 중공사막의 막오염을 최소화함으로써, 장기간 세척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전력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막세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운전이 용이하고 유지 관리가 간단하여, 전문인력이나 기반시설없이도 운전 및 유지가 가능하다.
이에, 전력공급이 어려운 오지나 재해 지역 등에 사용하여 안전한 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의 체결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의 다양한 헤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의 다양한 공급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실시예는 수처리가 이루어지는 분리막이 중공사막인 구조를 예로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압력차이에 의해 원수를 여과하는 분리막이면 모두 적용가능하다.
도 1과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중공사막 모듈은 주입되는 원수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원수를 중공사막에 충돌시킴으로써, 중공사막을 흔들어 세척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중공사막 세척을 위한 별도의 동력원을 사용하지 않고 원수 공급을 통해 중공사막의 막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중공사막 모듈(20)은 원수가 수용되는 물통(10)에 결합되는 헤더(40)와, 상기 헤더(40)에 설치되고 물통(10) 내부로 연장되는 하우징(42), 상기 하우징(42) 내에 구비되고 압력차에 의한 수처리가 이루어지는 중공사막(4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공사막 모듈은 상기 헤더(40)에 설치되고 상기 중공사막(44)과 연결되어 처리수가 모이는 콜렉터(46), 상기 콜렉터(46)에 연결되어 처리수가 배출되는 처리수관(48), 상기 헤더(40)에 설치되어 원수를 공급하는 공급관(50), 상기 공급관(50)에 연결되고 하우징(42) 내부로 연장되어 원수가 배출되는 투입관(52), 상기 공급관(50) 선단에 설치되어 투입관(52)을 통해 배출되는 원수를 중공사막(44)에 충돌시키기 위한 원수분산부(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헤더(40)는 물통(10)에 중공사막 모듈(20)을 착탈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물통(10)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30)를 구비한다. 상기 체결부(30)는 물통에 형성된 체결구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구조로, 외주면에 수나사(32)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모듈이 끼워지는 물통(10) 측면의 체결구에는 상기 체결부의 수나사와 체결되도록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헤더(40)는 물통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3과 도 4는 중공사막 모듈의 체결부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중공사막 모듈(20)에서 체결부(30)의 구조를 제외하고 다른 구성부는 크기만 상이할 뿐 위에서 언급한 구조와 동일하며, 이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중공사막 모듈(20)에 있어서 체결부(30)는 원형 구조로, 내주면에 암나사(34)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물통(10)에 형성되는 체결구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암나사(34)와 체결된다.
상기 체결부(30)의 수나사(32) 또는 암나사(34)의 크기 등의 사양은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며, 예를 들어 국제규격에 맞춰 형성함으로서 세계 모든 곳에서 사용하는 물통(10)에 장착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30)에는 헤더(40)와 물통 사이의 기밀 유지를 위한 실링부재(33,35)가 더 설치된다. 상기 실링부재(33,35)는 체결부(3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30)의 외측에 실링부재(35)가 설치되는 구조의 경우, 체결부 외주면을 따라 단차가공되어 형성된 단턱에 실링부재(35)가 놓여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경우, 모듈의 체결부(30)를 물통의 체결구에 억지끼움식으로 끼워 결합시키게 되면 실링부재(35)가 물통의 외면과 체결구 사이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도 5는 상기 중공사막 모듈에 있어, 체결부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30)는 선단에 헤더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36)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36)에는 복수개의 체결홀(37)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플랜지 형태의 체결구를 구비한 물통의 경우에, 상기 모듈의 플랜지(36)를 맞대고 볼트 등을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물통에 중공사막 모듈을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상기 헤더의 다양한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더(40)은 원형이나 사각형 또는 사각 모서리를 갖는 원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헤더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헤더(40)은 물통(10)과의 나사체결을 위해 일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한다. 이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더(40)의 회전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헤더(40)은 외주면에 돌기(41)가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헤더(40)가 원형인 구조의 경우에도 헤더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헤더(40)을 물통(10)에 결합시키게 되면 헤더(40)이 물통(10) 측면에 밀착되면서 설치되고, 헤더(40)의 내측면에 설치된 하우징(42)은 물통(10)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하우징(42)은 일단이 헤더(40)에 결합되며, 타단은 개방된 원통형태를 이룬다.
상기 하우징(42)은 원통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각통이나 다각 단면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42)은 중공사막(44)을 감싸 보호하고, 원수분산부(60)를 통해 나온 원수의 운동에너지를 중공사막(44) 전체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콜렉터(46)는 헤더(40) 내부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헤더(40)의 내부 공간이 콜렉터(46)를 이룬다. 콜렉터(46)의 중앙을 관통하여 원수가 배출되는 투입관(52)이 설치된다. 상기 투입관(52)은 콜렉터(46)에서 하우징(42) 내부로 소정 길이 연장된다.
상기 헤더(40)의 외측면에는 공급관(50)이 설치된다. 공급관은 콜렉터 중앙에 설치된 상기 투입관(52)에 연결된다. 이에, 공급관(50)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는 콜렉터(46) 중앙을 지나 투입관(52)을 통해 하우징 내부로 배출된다.
도 7은 상기 공급관(50)이 결합되는 헤더(40)의 다양한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공급관(50)은 헤더의 전면이나 측면을 통해 설치될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관(50)은 헤더(40)의 전면에 결합되어 투입관(52)과 직선으로 연결된다. 도 7의 (b)와 (c)는 공급관(50)이 투입관(52)과 90도 각도로 헤더(40)의 상부에 배치된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경우 투입관(52)과 공급관(50)은 90도로 굽어진 엘보우관(54)을 매개로 연결된다. 도 7의 (b)는 상기 엘보우관(54)이 헤더 내부에 구비되고 헤더 상부로 엘보우관(54) 선단이 위치한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도 7의 (d)의 경우 공급관(50)이 없는 구조로, 헤더는 원수가 저장된 수조 등에 바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헤더와 공급관(50)의 구조를 다양화함으로써, 중공사막 모듈을 다양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공급관(50)으로 유입된 원수는 투입관(52)을 통해 콜렉터(46) 중앙을 지나 하우징(42) 내부로 배출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 원수는 하우징(42)을 거쳐 물통(10) 내부로 공급된다. 따라서 원수 공급 과정에서 하우징을 거쳐 공급되는 원수의 유입 에너지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놓여져 있는 중공사막에 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중공사막(44)은 콜렉터(46)에 일단이 결합되어, 내부통로(45)가 콜렉터(46)와 연통된다. 상기 중공사막(44)은 투입관(52)의 주위를 따라 콜렉터(46)에 결합된다. 이에, 상기 중공사막(44)은 콜렉터(46) 중앙에 설치된 투입관(52)과 하우징(42)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다. 따라서, 본 중공사막 모듈(20)은 투입관(52)이 중공사막(44)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원수를 공급하는 구조를 이룬다. 이와 같이, 원수가 중공사막의 중심부로 공급되므로, 원수분산부를 통해 원수를 중공사막 전체에 고르게 분산 투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중공사막(44)은 일단이 콜렉터(46)에 결합되고 하우징(42)을 따라 연장되며, 타단은 구속되지 않아 자유롭게 유동가능한 자유단을 이룬다.
이에, 적은 운동에너지에도 중공사막(44)이 잘 흔들릴 수 있어 원수에 의한 세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처리수관(48)은 헤더(40) 외측면에 설치되며 헤더(40) 내부의 콜렉터(46)에 연통된다. 중공사막(44)을 콜렉터(46)에 모인 처리수는 처리수관(48)을 통해 중공사막 모듈(20) 밖으로 배출된다. 상기 처리수관(48)은 별도의 호스 등을 설치하여 아래로 길게 연장시킬 수 있다. 아래로 연장된 호스는 사이폰 원리에 의한 흡입압을 중공사막(44)에 가하게 된다. 이에, 중공사막(44)의 유효투과압력을 증가시켜 수처리 능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원수분산부(60)는 투입관(52)을 통해 하우징(42) 중앙으로 공급되는 원수를 중공사막(44)에 충돌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42) 내주면쪽으로 유도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원수분산부(60)는 투입관(52) 선단에 설치되어 원수의 진행을 차단하는 차단부재(62)와, 투입관(52) 선단부 외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원수를 배출하는 복수개의 출구(66)를 포함한다. 상기 출구와 출구 사이는 출구를 형성하며 차단부재(62)를 지지하는 지지부재(64)를 이룬다.
이에, 투입관(52)으로 유입된 원수는 차단부재(62)에 의해 막혀 하우징(42) 중앙으로 바로 나가지 못하고 차단부재(62)와 투입관(52) 선단 사이에 형성된 출구(66)를 통해 방사방향으로 분출된다. 따라서, 투입관(52) 외주부를 따라 배치된 중공사막(44)으로 원수가 분출되어, 원수의 흐름에 의한 물리적 에너지가 중공사막(44)에 가해짐에 따라 중공사막(44)은 하우징(42) 내에서 흔들리게 된다. 이와 같이, 원수 공급시 발생되는 운동에너지를 활용하여 별도의 동력원없이 중공사막(44)을 유동시킴으로써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출구(66)는 투입관(52)의 원주방향을 따라 고르게 형성된다. 상기 출구(66)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출구(66)로부터 분출되는 원수는 하우징(42) 내주면 전면으로 고르게 분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차단부재(62)는 평판 구조일 수 있으며, 도 6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돌출된 원뿔형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62)의 중심에는 원수의 일부를 배출할 수 있도록 홀(68)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수분산부(60)는 상기 차단부재(62)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관(52)을 향해 점차적으로 직경이 줄어드는 원뿔형태의 유도부재(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유도부재(70)는 차단부재(6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도부재(70)의 측면 경사 각도는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투입관(52)에서 배출되는 원수는 유도부재(70)의 경사진 측면을 따라 흘러나가 중공사막(44) 쪽으로 분출된다. 상기 유도부재(70)는 원수의 흐름을 보다 원활하게 중공사막(44)쪽으로 유도하여 원수의 흐름이 갖는 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물통(10)에 대한 원수의 공급은 중공사막 모듈(20)을 통해 이루어진다. 공급관(50)을 통해 공급된 원수는 투입관(52)을 통해 하우징(42) 내부로 유입된 후 하우징(42)을 거쳐 중공사막 모듈(20)이 설치된 물통(10) 내부에 채워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원수는 투입관(52) 선단에서 중공사막(44)으로 흘러나가 중공사막(44)과 충돌하게 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관(52)을 통해 하우징(42) 중앙으로 배출되는 원수는 투입관(52) 선단의 차단부재(62)에 설치된 유도부재(70)에 의해 그 흐름 방향이 하우징(42) 내주면쪽으로 바뀌게 된다. 이에, 원수는 투입관(52) 선단과 차단부재 사이의 출구(66)를 통해 중공사막(44)으로 분출된다.
따라서, 투입관(52)에서 분출되는 원수가 가지고 있는 운동에너지가 중공사막(44)에 가해져 중공사막(44)이 유동된다.
이와 같이 물통(10)으로 원수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원수의 흐름을 이용하여 중공사막(44)을 유동시킴으로써, 중공사막(44) 표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원수가 계속 공급되는 동안 중공사막(44)을 지속적으로 유동시킴으로써, 중공사막(44) 표면에 오염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장기간 청소가 불필요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물통 내에 채워진 원수의 수두압에 의해 원수는 중공사막(44)을 통과하여 여과 처리된다. 중공사막(45)의 내부통로(45) 과된 처리수는 콜렉터(46)에 모아지고 콜렉터에 설치된 처리수관(4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 : 물통 20 : 중공사막 모듈
30 : 체결부 32 : 수나사
33 : 실링부재 34 : 암나사
35 : 실링부재 36 : 플랜지
37 : 체결홀 40 : 헤더
41 : 돌기 42 : 하우징
44 : 중공사막 45 : 내부통로
46 : 콜렉터 48 : 처리수관
50 : 공급관 52 : 투입관
54 : 엘보우관 60 : 원수분산부
62 : 차단부재 64 : 지지부재
66 : 출구 70 : 유도부재

Claims (12)

  1. 원수가 수용되는 물통에 결합되는 헤더와, 상기 헤더 내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끝단은 자유단을 이루며, 수두에 의해 원수를 여과하는 중공사막, 상기 헤더에 설치되고 물통 내부로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중공사막이 배치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헤더를 통해 물통 내부로 주입되는 원수를 하우징 내의 중공사막에 충돌시켜 중공사막을 흔들어 세척하고 물통 내에 채우는 구조의 중공사막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에 설치되고 상기 중공사막과 연결되어 처리수가 모이는 콜렉터, 상기 콜렉터에 연결되어 처리수가 배출되는 처리수관, 상기 헤더에 설치되어 원수를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고 하우징 내부로 연장되어 원수가 배출되는 투입관, 상기 공급관 선단에 설치되어 투입관을 통해 배출되는 원수를 중공사막에 충돌시키기 위한 원수분산부를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는 물통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거나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구조 또는, 복수개의 체결홀이 형성된 플랜지가 선단에 돌출 형성된 구조이고, 체결부의 내측이나 외측에 설치되어 물통과의 기밀 유지를 위한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 외주면에 돌기가 돌출 형성된 중공사막 모듈.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헤더의 상부 또는 전면에 배치되어 투입관과 연결되는 중공사막 모듈.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은 헤더의 상부 또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급관과 상기 투입관 사이에 엘보우관이 설치된 중공사막 모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분산부는 투입관 선단에 설치되어 원수의 흐름을 막는 차단부재와, 상기 투입관의 선단부 외주면에 중공사막을 향해 형성되어 원수를 중공사막으로 배출되는 복수개의 출구를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관은 헤더 중앙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중공사막은 상기 투입관을 중심으로 투입관과 하우징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중공사막 모듈.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중앙에 원수가 배출되는 홀이 형성된 구조의 중공사막 모듈.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외측으로 돌출된 원뿔형태로 이루는 중공사막 모듈.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분산부는 상기 차단부재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관을 향해 점차적으로 직경이 줄어드는 원뿔형태의 유도부재를 더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
KR1020130020037A 2013-02-25 2013-02-25 중공사막 모듈 KR101442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037A KR101442779B1 (ko) 2013-02-25 2013-02-25 중공사막 모듈
US14/769,849 US9839880B2 (en) 2013-02-25 2014-02-21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water treatment device using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N201480010336.4A CN105073233B (zh) 2013-02-25 2014-02-21 中空纤维隔膜模块及利用中空纤隔膜模块的水处理装置
PCT/KR2014/001405 WO2014129835A1 (ko) 2013-02-25 2014-02-21 중공사막 모듈 및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037A KR101442779B1 (ko) 2013-02-25 2013-02-25 중공사막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382A true KR20140108382A (ko) 2014-09-11
KR101442779B1 KR101442779B1 (ko) 2014-09-25

Family

ID=51755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037A KR101442779B1 (ko) 2013-02-25 2013-02-25 중공사막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7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271A (ko) * 2015-08-11 2017-02-2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중공사막 모듈
KR20200062442A (ko) 2018-11-26 2020-06-04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직경 가변성 및 고견인력을 갖는 노후관 갱생 로봇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234B1 (ko) * 2014-11-19 2017-06-0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중공사막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6469A (ja) * 1993-11-11 1995-05-30 Toray Ind Inc 中空糸膜モジュール及びその使用方法
JPH11207157A (ja) * 1998-01-26 1999-08-03 Kurita Water Ind Ltd 膜分離装置
JP2002058968A (ja) * 2000-08-18 2002-02-26 Suehiro Tadashi 濾過装置
KR20040002814A (ko) * 2003-11-11 2004-01-07 김상곤 카트리지 형 수처리용 여과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271A (ko) * 2015-08-11 2017-02-2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중공사막 모듈
KR20200062442A (ko) 2018-11-26 2020-06-04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직경 가변성 및 고견인력을 갖는 노후관 갱생 로봇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2779B1 (ko) 2014-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63942A1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EP1716914B1 (en) Hollow fibre filtration device with aeration tubes
JP2018108585A (ja) 散気装置、散気方法、及び水処理装置
CN103442789B (zh) 过滤设备和用于该过滤设备的中空纤维膜模块
KR101713927B1 (ko) 카세트 타입용 mbr 분리막의 여과장치
KR101442779B1 (ko) 중공사막 모듈
JP2016028806A (ja) 散気装置および水処理装置とその運転方法
KR101908704B1 (ko) 중공사 막 모듈
KR101402399B1 (ko) 가압식 막모듈 정수장치의 하부집수 조립체
KR20160052902A (ko) 중공사막 고정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 장치
JP4996379B2 (ja) ろ過装置
KR101562614B1 (ko)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KR101594197B1 (ko) 세정기능을 갖는 일체형 여과장치
US9839880B2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and water treatment device using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WO2013129227A1 (ja) 濾過装置
KR101744234B1 (ko) 중공사막 모듈
CN208372578U (zh) 滤芯自冲洗精滤器
KR101799373B1 (ko) 하수처리를 위한 거대 기포 발생 분리막 세정 장치
KR20120044594A (ko) 분리형 산기 프레임과 공기 챔버를 구비하는 산기 장치
KR101718161B1 (ko) 중공사막 고정용 엔드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모듈
KR20160146144A (ko)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KR101716826B1 (ko) 중공사막 모듈
CN219253427U (zh) 一种高效节水型树脂洗涤装置
KR102269801B1 (ko) 하폐수 처리용 침지형 분리막 모듈의 프레임 구조
CN221014796U (zh) 一种抗污染的孔隙调节型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