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8079A - 내수압구조를 갖춘 음료토출밸브 - Google Patents

내수압구조를 갖춘 음료토출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8079A
KR20140108079A KR1020130042627A KR20130042627A KR20140108079A KR 20140108079 A KR20140108079 A KR 20140108079A KR 1020130042627 A KR1020130042627 A KR 1020130042627A KR 20130042627 A KR20130042627 A KR 20130042627A KR 20140108079 A KR20140108079 A KR 20140108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water
annular
water pressure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2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병태
Original Assignee
채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병태 filed Critical 채병태
Publication of KR20140108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80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67D3/043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with a closing element having a linear movem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16K21/06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in which the closing movement, either retarded or not, starts immediately after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의 수압에 의해 밸브본체의 토출구를 통해 누수가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내수압구조를 갖춘 음료토출밸브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내수압구조를 갖춘 음료토출밸브는 하단에 토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음료토출조작에 따라 승강작용하는 승강샤프트가 설치된 밸브본체에서 그 측방으로 연장된 연장관의 내부에는 그 밸보븐체의 측면에 형성된 음료통과공을 상시 수밀적으로 밀폐시키기 위한 음료통과공개폐부재의 환형 차수플랜지에 최소한 하나의 환형 수밀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음료통과공에 밀착배치된 누수방지부재와의 수밀접촉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음료통과공개폐부재의 상기 환형 차수플랜지의 후방을 탄성가압하여 상기 누수방지부재와의 수밀 접촉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탄성가압스프링의 후단을 지지하는 스프링지지부재의 내면에는 다수의 리브구조를 배제하는 대신에 원통형의 스프링지지단을 형성해줌으로써 상기 탄성가압스프링이 상기 음료통과공개폐부재를 선형적으로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내수압 작용이 달성된다.

Description

내수압구조를 갖춘 음료토출밸브{BEVERAGE DRAINING VALVE WITH PRESSURE-RESISTING STRUCTURE}
본 발명은 내수압구조를 갖춘 음료토출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압이 작용하는 수도전(水道栓)에 적용되거나 그 수도전으로부터의 수압(水壓)에 영향을 받는 음료공급장치에 적용되는 경우에도 수압에 의한 누수 가능성을 방지하도록 설계된 내수압구조를 갖춘 음료토출밸브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수도전에서 급수되는 수도물에는 비교적 높은 정도의 수압이 작용하기 때문에, 그 수도전에 결합되는 음료공급장치(대표적으로, 정수기)에 설치되어 정수의 토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음료토출밸브에 대해서는 수도물의 수압에 의해 영향받지 않도록 설계되어야만 된다.
즉, 음료공급장치에 높은 수압의 수도물이 유입되어 정수로서 토출되는 경우 그 음료공급장치에 채용되는 음료토출밸브가 내수압 구조를 갖지 못하면 비사용시에도 누수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초래된다.
상기한 점을 고려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선등록된 제 20-0307700호에는 내수압 구조가 적용된 음료토출밸브가 제안되는 바, 그 음료토출밸브에 대해 도 1을참조하여 설명하면 밸브본체(10)의 하단에는 토출구(10a) 가 형성되고 그 상단에는 캡부재(12)가 결합된다.
상기 밸브본체(10)의 내부에는 승강샤프트(14)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바, 그 상측에는 음료의 토출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핸들(16)이 상기 캡부재(12)상에서 누름조작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그 승강샤프트(14)의 하측에는 그 밸브본체(10)의 내부에서 상기 토출구(10a)를 개폐하기 위해 예컨대 실리콘재질의 토출구개폐부재(22)가 결합된다.
또, 상기 밸브본체(10)의 내부에서 상기 승강샤프트(14)의 소정 위치와 상기 캡부재(12)의 사이에는 상기 승강샤프트(14)의 승강작동 중에 상기 캡부재(12)와의 사이에서 발생가능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예컨대 실리콘재질의 누수방지커버(18)가 배치되고, 그 누수방지커버(18)의 내측에는 상기 조작핸들(16)을 누름조작하여 음료의 토출이 이루어지고 나서 그 조작핸들(16)의 누름을 해제하는 경우 상기 승강샤프트(14)가 하강해서 상기 토출구개폐부재(22)가 상기 토출구(10a)를 밀폐시키도록 하기 위한 탄성스프링(20)이 배치된다.
상기 밸브본체(10)의 측방으로 연설되는 연장관(10b)은 그 종단이 음료공급장치(도시는 생략)의 전면에 결합되면서, 그 내부에는 내수압 구조가 배치되는 바, 상기 밸브본체(10)의 측면에는 상기 연장관(10b)에 연통되는 음료통과공(24)이 관통되고, 그 음료통과공(24)에 대해서는 비사용 시 그 음료통과공(24)을 밀폐시켜 수압에 의한 누수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음료통과공개폐부재(30)가 제공된다.
즉, 상기 음료통과공개폐부재(30)의 일단(30a)은 상기 음료통과공(24)을 통과해서 상기 승강샤프트(14)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샤프트수납홈(10c)에 수납되어 상기 승강샤프트(14)의 상승작동에 연동하게 된다.
또, 상기 음료통과공개폐부재(30)의 소정위치에는 환형 플랜지(30b)가 형성되고, 그 환형 플랜지(30b)와 상기 음료통과공(24)의 사이에는 예컨대 실리콘재질의 환형의 누수방지부재(32)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환형 플랜지(30b)의 후방에는 평상시에 그 음료통과공개폐부재(30)를 전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음료통과공(24)을 통해 수압에 의해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탄성가압스프링(34)이 배치되는 바, 그 탄성가압스프링(34)의 전단은 상기 음료통과공개폐부재(30)의 상기 환형 플랜지(30b)의 후단에 형성된 스프링안착돌기(30c)의 외측에 안착되는 반면 그 탄성가압스프링(34)의 후단에는 상기 연장관(10b)의 내부에 고정설치되면서 중앙에는 음료가 통과되도록 중공형태로 형성되는 감압부재(36)가 배치된다.
상기 감암부재(36)는 그 일측 중공(中空) 내부에 상기 탄성가압스프링(34)의 타단이 수납되는 바, 도 2를 참조하면 그 감압부재(36)의 내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리브(36a)가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고 그 리브(36a)에 상기 탄성가압스프링(34)의 타단이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음료통과공개폐부재(30)와 상기 탄성가압스프링(34)이 설치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고압의 음료가 유입되는 경우에 그 고압의 수압이 상기 밸브본체(10)의 내부에 작용함으로써 상기 탄성스프링(24)이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상기 토출구개폐부재(22)가 수압에 의해 들어올려짐으로써 상기 토출구(10a)를 통해 누수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그에 대해, 상기 음료통과공개폐부재(30)와 상기 탄성가압스프링(34)이 내수압 구조로서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가압스프링(34)이 항시 상기 음료통과공개폐부재(30)를 전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환형 플랜지(30b)가 상기 누수방지부재(32)를 가압하게 되어 상기 음료통과공(24)으로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조작핸들을 조작하면 상기 승강샤프트(14)가 들어올려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음료통과공개폐부재(30)의 선단(30a)도 들어올려지게 되는 바, 그 경우 상기 탄성가압스프링(34)의 전단 소정 부분까지도 들어올려져서 상기 환형 플랜지(30b)와 상기 누수방지부재(32)의 상측 부분에 틈새가 생기면서 그 틈새로 음료가 통과하게 된다.
또, 상기 승강샤프트(14)가 들어올려짐에 따라 상기 토출구개폐부재(22)도 들어올려져 상기 토출구(10a)가 개방됨으로써 음료의 토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에 대해, 상기 조작핸들의 누름조작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스프링(22)에 의해 상기 승강샤프트(14)가 원래의 위치로 하강하게 됨에 따라 상기 토출구개폐부재(22)에 의해 상기 토출구(10a)가 밀폐됨과 더불어, 상기 탄성가압스프링(34)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음료통과공개폐부재(30)의 환형 플랜지(30b)가 상기 누수방지부재(32)를 가압하여 상기 음료통과공(24)을 밀폐시킴으로써 수압에 의한 누수가 방지되도록 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음료토출밸브의 누수방지구조에 따르면, 상기 음료통과공개폐부재(30)의 환형 플랜지(30b)와 상기 누수방지부재(32)가 면접촉된 상태에서 작동하게 됨에 따라 상기 환형플랜지(30b) 및/또는 상기 누수방지부재(32)에 변형이 발생되거나 그 음료통과공개폐부재(30)의 성형 도중에 상기 환형 플랜지(30b)의 표면이 평탄하지 않게 되는 경우에는 수밀적인 밀폐성능이 저하되어 누수의 가능성이 야기된다.
또, 상기 탄성가압스프링(34)의 타단이 상기 상기 감암부재(36)의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다수의 리브(36a)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그 리브(36a)의 성형 시에 높이의 차이가 발생되거나 변형이 유발되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가압스프링(34)이 수평적으로 상기 음료통과공개폐부재(30)를 가압하지 못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환형 플랜지(30b)와 상기 누수방지부재(32)의 면정합에 어긋남이 발생될 가능성이 초래되어 누수가 일어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밸브본체의 측면에 연장되는 연장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수압작용을 행하는 음료통과공개폐부재의 환형 차수플랜지와 그 밸브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음료통과공을 차폐하는 누수방지부재의 사이에서 수밀적 밀착력을 증가시킴과 더불어 음료통과공개폐부재에 대해 탄성가압스프링이 수평적인 가압작용을 실행하도록 된 내수압구조를 갖춘 음료토출밸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승강샤프트의 승강작동에 따라 토출구가 개폐되는 밸브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음료통과공을 통과하도록 연장관을 통해 유입되는 음료의 수압에 의해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내수압구조를 갖춘 음료토출밸브에 있어서. 상기 내수압구조는 상기 밸브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음료통과공에 대해 누수방지부재가 밀착배치되고, 상기 누수방지부재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음료통과공을 통해 상기 승강샤프트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승강샤프트의 승강작용에 연동하도록 음료통과공개폐부재의 선단이 결합되며, 상기 음료통과공개폐부재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누수방지부재에 수밀 접촉되는 환형 차수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음료통과공개폐부재의 환형 차수플랜지의 후방에는 음료의 수압에 의해 상기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탄성가압하는 탄성가압스프링이 배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환형 차수플랜지는 그 외주단에 상기 누수방지부재에 대해 상기 탄성가압스프링에 의해 밀착되도록 환형 차수돌기가 형성되는 형태와 상기 누수방지부재의 관통공을 정의하는 단면에 밀착되도록 중앙에서 외향으로 낮아지게 경사지는 형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내수압구조를 갖춘 음료토출밸브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환형 차수플랜지의 외주단에는 일정한 간격마다 다각형 돌기가 형성되어 요철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환형 차수플랜지의 전체적인 직경이 확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누수방지부재에 대한 정합기능이 향상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다각형 돌기 사이를 통해 출수량이 증가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내수압구조를 갖춘 음료토출밸브에 의하면, 하단에 토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음료토출조작에 따라 승강작용하는 승강샤프트가 설치된 밸브본체에서 그 측방으로 연장된 연장관의 내부에는 그 밸브븐체의 측면에 형성된 음료통과공을 상시 수밀적으로 밀폐시키기 위한 음료통과공개폐부재의 환형 차수플랜지에 최소한 하나의 환형 수밀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음료통과공에 밀착배치된 누수방지부재와의 수밀접촉력이 향상된다.
더욱 유리하게, 상기 환형 차수돌기의 외주단에 요철형상을 형성해줌으로써 그 환형 차수돌기의 직경을 확장시키는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누수방지부재에 대한 위치정합기능이 향상됨과 더불어 충분한 출수량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그에 더하여, 상기 음료통과공개폐부재의 상기 환형 차수플랜지의 후방을 탄성가압하여 상기 누수방지부재와의 수밀 접촉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탄성가압스프링의 후단을 지지하는 스프링지지부재의 내면에는 다수의 리브구조를 배제하는 대신에 원통형의 스프링지지단을 형성해줌으로써 상기 탄성가압스프링이 상기 음료통과공개폐부재를 선형적으로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내수압 작용이 보장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예에 따른 내수압구조를 갖춘 음료토출밸브의 조립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내수압구조를 갖춘 음료토출밸브의 연장관 내에 설치되는 감압부재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내수압구조를 갖춘 음료토출밸브의 조립단면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승강샤프트에 형성되는 샤프트수납홈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내수압구조를 갖춘 음료토출밸브에서 내수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내수압구조를 갖춘 음료토출밸브의 연장관 내에 배치된 스프링지지부재에 형성된 스프링지지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수압구조를 갖춘 음료토출밸브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내수압구조를 갖춘 음료토출밸브의 조립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내수압구조를 갖춘 음료토출밸브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내수압구조를 갖춘 음료토출밸브의 조립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내수압구조를 갖춘 음료토출밸브에서 누수방지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내수압구조를 갖춘 음료토출밸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상기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내수압구조를 갖춘 음료토출밸브에 구성되는 환형 차수플랜지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수압구조를 갖춘 음료토출밸브에 적용가능한 탄성가압스프링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내수압구조를 갖춘 음료토출밸브의 조립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내수압구조를 갖춘 음료토출밸브에서 누수방지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해당하는 음료토출밸브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면서 본 빌명의 내수압구조에 주목하여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밸브본체(10)의 측방으로 연장되는 연장관(10b)의 내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내수압구조가 적용되는 바, 그 내수압구조에 따르면 상기 밸브본체(10)의 측면에 형성된 음료통과공(24)에 대해 예컨대 실리콘재질로 형성되는 환형의 누수방지부재(42)가 안착되고, 그 누수방지부재(42)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음료통과공(24)에 대해서는 음료통과공개폐부재(40)의 선단(40a) 부분이 통과하여 그 선단(40a)이 상기 밸브본체(10)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설되는 승강샤프트(14)의 소정 위치의 샤프트수납홈(10c; 도 3b 참조)에 수납된다.
또, 상기 음료통과공개폐부재(40)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누수방지부재(42)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을 개폐하기 위한 환형 차수플랜지(40b)가 형성되고, 상기 음료통과공개폐부재(40)의 상기 환형 차수플랜지(40b)의 후방에는 그 음료통과공개폐부재(40)를 전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압의 음료가 유입되어도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탄성가압스프링(44)이 배치된다.
상기 탄성가압스프링(44)의 일단은 상기 음료통과공개폐부재(40)의 상기 환형 차수플랜지(40b)의 후면에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스프링안내돌기(40d)의 외주에 안착되고 그 타단은 상기 연장관(10b)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스프링지지부재(46)의 중공 내부에 수납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음료통과공개폐부재(40)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누수방지부재(42)와 수밀적인 접면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환형 차수플랜지(40b)의 외주단은 전방향으로 일정한 높이만큼 환형의 수밀돌기(40c)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누수방지부재(42)와의 사이에서 수밀적인 밀착력이 향상되도록 설계된다.
또, 유리하게 상기 스프링지지부재(46)의 내부에 상기 탄성가압스프링(44)의 타단이 수납되는 경우 그 스프링지지부재(46)의 내부에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태로 통수공(46a)이 형성되고 그 통수공(46a)의 소정 위치에 상기 탄성가압스프링(44)의 타단이 안착되는 스프링지지턱(46b)이 정의됨으로써 상기 탄성가압스프링(44)의 수평적인 탄성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음료통과공개폐부재(40)와 상기 탄성가압스프링(44)이 내수압 구조로서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가압스프링(44)이 항시 상기 음료통과공개폐부재(40)를 전방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환형 차수플랜지(40b)의 환형 수밀돌기(40c)가 상기 누수방지부재(42)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음료통과공(26)으로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음료의 토출을 위해 조작핸들(도 1에서 18)을 누름조작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샤프트(14)가 들어올려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음료통과공개폐부재(40)의 선단(40a)도 들어올려지면서 상기 탄성가압스프링(44)의 전단 소정 부분까지도 들어올려져 상기 환형 차수플랜지(40b)의 환형 수밀돌기(40c)와 상기 누수방지부재(42)의 사이에 틈새가 생겨 음료가 통과하게 된다.
또, 상기 승강샤프트(14)가 들어올려짐에 따라 상기 토출구개폐부재(20)도 들어올려져 상기 토출구(10a) 가 개방됨으로써 음료의 토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반면에, 상기 조작핸들(18)의 누름조작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스프링(24)에 의해 상기 승강샤프트(14)가 원래의 위치로 하강하게 됨에 따라 상기 토출구개폐부재(20)에 의해 상기 토출구(10a) 가 밀폐됨과 더불어, 상기 탄성가압스프링(44)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음료통과공개폐부재(40)의 환형 차수플랜지(40b)의 환형 수밀돌기(40c)가 상기 누수방지부재(42)를 가압하여 상기 음료통과공(24)을 밀폐시킴으로써 수압에 의한 누수가 방지되도록 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내수압구조를 갖춘 음료토출밸브의 조립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내수압구조를 갖춘 음료토출밸브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대표적으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는 상기 음료통과공개폐부재(40)의 환형 차수플랜지(40b)의 외주단에 환형 수밀돌기(40c)가 형성되지만, 본 제 2실시예에서는 상기 음료통과공개폐부재(40)의 환형 차수플랜지(40b)의 전면에 환형 수밀돌기(40c)를 형성하지 않고 그 환형 차수플랜지(40b)의 전면(즉, 상기 누수방지부재(42)의 관통공을 차폐하기 위한 전면)이 그 중앙으로부터 외향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그 환형 차수플랜지(40b)의 경사부분이 상기 누수방지부재(42)의 관통공을 정의하는 단부에 수밀적(水密的)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구성이 적용된다.
따라서, 그러한 구조에서는 상기 조작핸들(18)이 누름조작되는 경우에는 상기 승강샤프트(14)가 들어올려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음료통과공개폐부재(40)의 선단(40a)도 들어올려지면서 상기 탄성가압스프링(44)의 전단 소정 부분까지도 들어올려져 상기 환형 차수플랜지(40b)의 환형 수밀돌기(40c)와 상기 누수방지부재(42)의 사이에 틈새가 생겨 음료가 통과하게 된다(도 8 참조).
그에 대해, 상기 조작핸들(18)의 조작이 해제되면 상기 환형 차수플랜지(40b)의 경사부분이 상기 누수방지부재(42)의 관통공을 정의하는 단부을 수밀적으로 차단하게 되어 수압에 의한 누수가 방지된다(도 7 참조)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내수압구조를 갖춘 음료토출밸브의 조립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내수압구조를 갖춘 음료토출밸브에서 누수방지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내수압구조를 갖춘 음료토출밸브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제 3실시예에 따른 내수압 구조에는 상기 제 1 및 제 2실시예에서 제안된 구조가 이중적으로 적용되어 보다 양호한 내수압 및 누수방지 기능이 달성된다.
즉, 도 9와 도 100에 도시된 본 제 3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료통과공개폐부재(40)의 환형 차수플랜지(40b)의 외주단에는 상기의 제 1실시예에서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환형 수밀돌기(40c)가 됨과 더불어, 그 환형 수밀돌기(40c)의 내측에는 일정한 두께의 원형 돌출부(40d)가 형성되는 바, 그 원형 돌출부(40d)의 측단은 외측을 향해 낮아지게 경사져서 상기의 제 2실시예서와 유사하게 상기 누수방지부재(42)의 관통공을 정의하는 단부에 수밀적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구성이 적용된다.
여기서, 본 제 3실시예는 상기 음료통과공개폐부재(40)의 환형 차수플랜지(40b)의 외주단에 상기 환형 수밀돌기(40c)가 형성된 상태에서 그 환형 수밀돌기(40c)의 내측이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형태로 중앙으로부터 점차 낮아지게 경사져서 상기 누수방지부재(42)의 관통공을 정의하는 단부에 수밀적으로 밀착되도록 해도 된다.
따라서, 본 제 3실시예의 구조에서도 상기 조작핸들(18)이 누름조작되는 경우에는 상기 승강샤프트(14)가 들어올려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음료통과공개폐부재(40)의 선단(40a)도 들어올려지면서 상기 탄성가압스프링(44)의 전단 소정 부분까지도 들어올려져 상기 환형 차수플랜지(40b)의 환형 수밀돌기(40c)와 상기 누수방지부재(42)의 사이에 틈새가 생겨 음료가 통과하게 된다(도 11 참조).
그에 대해, 상기 조작핸들(18)의 조작이 해제되면 상기 승강샤프트(14)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됨에 따라 상기 음료통과공개폐부재(40)의 선단(40a)도 원래 위치로 복귀됨으로써 상기 환형 차수플랜지(40b)의 상기 환형 수밀돌기(40c)가 상기 누수방지부재(42)를 차폐함과 더불어 상기 환형 차수플랜지(40b)의 원형 돌출부(40d)의 외측 경사부분이 상기 누수방지부재(42)의 관통공을 정의하는 단부에 수밀적으로 밀착되어 누수의 가능성을 복합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도 12는 상기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내수압구조를 갖춘 음료토출밸브에 구성되는 상기 환형 차수플랜지(40b)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의 제 3실시예에서 상기 환형 차수플랜지(40b)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바, 그 환형 차수플랜지(40b)의 직경이 작게 설정되면 상기 조작핸들(18)의 누름/해제에 따라 상기 음료통과공개폐부재(40)의 선단(40a)이 반복적으로 승강작동하게 되고, 그러한 반복적인 작동에 의해 그 환형 차수플랜지(40b)가 상기 누수방지부재(42)의 관통공을 정확하게 차폐시키는 위치에서 어긋날 가능성이 있게 된다.
또, 그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환형 차수플랜지(40b)의 직경을 크게 설정하면 상기 조작핸들의 누름조작에 반응하여 상기 음료통과공개폐부재(40)의 선단(40a)이 들어올려져도 상기 환형 차수플랜지(40b)와 상기 누수방지부재(42)의 사이에 간극이 좁게 형성되어 출수량이 감소되어 불리하게 된다.
그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음료통과공개폐부재(40)의 선단(40a)이 반복적으로 승강작동하는 경우에도 상기 환형 차수플랜지(40b)가 상기 누수방지부재(42)의 관통공을 정확하게 차폐시키도록 확대된 직경을 유지하면서도 출수량이 충분하게 확보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환형 차수플랜지(40b)의 외주단에 일정한 간격마다 다각형 돌기(40f)를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요철(凹凸)형상을 이루는 구조가 상정된다.
그러한 환형상 차수플랜지(40b)의 구조에서는 상기 다각형 돌기(40f)에 의해서는 전체적으로 확장된 직경의 효과를 얻게 됨과 더불어 상기 각 돌기(40f)의 사이는 통수구(通水口)의 기능을 갖게 됨에 따라 충분한 출수량이 보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요철형상이 형성된 외주단을 구비한 상기 환형상 차수플랜지(40b)의 구조는 상기한 제 1 및 제 2실시예에 적용해도 바람직하게 된다.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수압구조를 갖춘 음료토출밸브에 적용가능한 상기 탄성가압스프링(44)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조작핸들의 비조작 상태에서 상기 환형 차수플랜지(40b)를 탄성가압하여 상기 누수방지부재(42)에 수밀적으로 밀착시키는 상기 탄성가압스프링(44)은 상기의 제 1 내지 제 3실시예의 경우 대체로 원형으로 제작된 형태가 사용되지만, 도 1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스프링지지부재(46)의 전단에는 중앙에 일정한 직경의 통수공(50a)이 형성된 스프링지지판재(50)가 배치되고, 그 스프링지지판재(50)와 상기 환형 차수플랜지(40b)의 후면 사이에 상기 탄성가압스프링(44)이 복수(도면에서는 4)개 배치된 구조가 상정됨으로써 상기 환형 차수플랜지(40b)의 가압탄성이 보다 균일화되어 상기 환형 차수플랜지(40b)가 상기 누수방지부재(42)에 대한 밀착력이 양호해지게 된다.
그에 대해, 도 1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스프링지지부재(46)의 전단에는 중앙에 일정한 직경의 통수공(50a)이 형성된 스프링지지판재(50)가 배치되고, 그 스프링지지판재(50)와 상기 환형 차수플랜지(40b)의 후면 사이에 상기 탄성가압스프링(44)이 상측에 2개가 배치되고 하측에 1개가 배치되는 바, 그러한 구조에서는 실제 상기 조작핸들의 누름/해제가 반복되는 경우 상기 환형 차수플랜지(40b)의 환형 수밀돌기(40c)의 하측은 상기 누수방지부재(42)에 고착된 상태에서 그 상측만이 상기 누수방지부재(42)에 개폐되기 때문에 간혹 상기 환형 차수플랜지(40b)의 상측이 상기 누수방지부재(42)에 밀착되지 못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상측에 배치된 2개의 탄성가압스프링(44)이 하측에 배치된 탄성가압스프링(44)에 비해 더 강하게 상기 환형 차수플랜지(40b)의 상측을 탄성가압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상기 환형 차수플랜지(40b)가 상기 누수방지부재(42)에 밀착되도록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고안의 기술적 요지 및 요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한 예에서는 상기 음료통과공개폐부재(40)의 환형 차수플랜지(40b)의 외주단이 일정한 높이로 돌설되어 상기 누수방지부재(42)와 밀폐적으로 접면되는 환형 수밀돌기(40c)로 형성되지만, 그 환형 수밀돌기(40c)는 복수로 형성되어도 되거나 상기 환형 차수플랜지(40b)의 외주단 내측에 형성되어도 된다.
10: 밸브본체, 10a: 토출구,
14: 승강샤프트, 24: 탄성스프링,
30: 40: 음료통과공개폐부재, 30b,40b: 환형 차수플랜지,
40c: 환형 수밀돌기, 32, 42: 누수방지부재,
34, 44: 탄성가압스프링.

Claims (2)

  1. 승강샤프트의 승강작동에 따라 토출구가 개폐되는 밸브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음료통과공을 통과하도록 연장관을 통해 유입되는 음료의 수압에 의해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내수압구조를 갖춘 음료토출밸브에 있어서.
    상기 내수압구조는 상기 밸브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음료통과공에 대해 누수방지부재가 밀착배치되고,
    상기 누수방지부재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음료통과공을 통해 상기 승강샤프트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승강샤프트의 승강작용에 연동하도록 음료통과공개폐부재의 선단이 결합되며,
    상기 음료통과공개폐부재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누수방지부재에 수밀 접촉되는 환형 차수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음료통과공개폐부재의 환형 차수플랜지의 후방에는 음료의 수압에 의해 상기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탄성가압하는 탄성가압스프링이 배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환형 차수플랜지는 그 외주단에 상기 누수방지부재에 대해 상기 탄성가압스프링에 의해 밀착되도록 환형 차수돌기가 형성되는 형태와 상기 누수방지부재의 관통공을 정의하는 단면에 밀착되도록 중앙에서 외향으로 낮아지게 경사지는 형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수압구조를 갖춘 음료토출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차수돌기의 외주단에는 일정한 간격마다 다각형 돌기가 형성되어 요철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수압구조를 갖춘 음료토출밸브.
KR1020130042627A 2013-02-28 2013-04-18 내수압구조를 갖춘 음료토출밸브 KR201401080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554 2013-02-28
KR20130001554 2013-0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8079A true KR20140108079A (ko) 2014-09-05

Family

ID=51755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2627A KR20140108079A (ko) 2013-02-28 2013-04-18 내수압구조를 갖춘 음료토출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807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918A (ko) * 2017-08-22 2019-03-05 김상헌 수실 분리식 정수기용 코크 밸브
KR20210106266A (ko) * 2020-02-20 2021-08-30 안기장 고저압 겸용 출수코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918A (ko) * 2017-08-22 2019-03-05 김상헌 수실 분리식 정수기용 코크 밸브
KR20210106266A (ko) * 2020-02-20 2021-08-30 안기장 고저압 겸용 출수코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07009096A (es) Vaso antiderrame.
BR112019015308A2 (pt) Dispensador para um líquido
CN209975657U (zh) 一种一体式无水箱智能坐便器带真空破坏器电磁阀冲水装置
KR20140058347A (ko) 뚜껑부착 용기
KR100892959B1 (ko) 이중 밀봉 구조를 갖는 글로브밸브
KR20140108079A (ko) 내수압구조를 갖춘 음료토출밸브
CN101437728B (zh) 具有阀盖的自关闭阀
WO1995018896A1 (en) Overflow preventer
CN101421170B (zh) 自关闭阀
KR200472604Y1 (ko) 하수구 보수용 역류방지 장치
CA2435348A1 (en) Pressure relief device with one piece gasket
KR200459856Y1 (ko)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콕
KR20170099130A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20170068250A (ko) 위생설비의 배수배관용 통기 밸브 조립체
US20080223458A1 (en) Tank vent pallet
KR101622533B1 (ko) 기압식 노즐장치
KR200480020Y1 (ko) 정수기용 밸브 어셈블리
KR20090127859A (ko) 체크 일체형 감압밸브
US20210238833A1 (en) Gasket seals for drain closures
JP2014152785A (ja) 空気弁
KR200475969Y1 (ko) 벤딩형 스템구조가 구비된 펌프
JP2010202211A (ja) 液体吐出ポンプ
CN210128083U (zh) 一种切换阀和花洒
KR101350380B1 (ko) 복수 개의 플렉시블 패킹에 의한 변기의 탱크저장수 역류방지장치
JP2013036504A (ja) 空気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