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7011A -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7011A
KR20140107011A KR1020130021466A KR20130021466A KR20140107011A KR 20140107011 A KR20140107011 A KR 20140107011A KR 1020130021466 A KR1020130021466 A KR 1020130021466A KR 20130021466 A KR20130021466 A KR 20130021466A KR 20140107011 A KR20140107011 A KR 20140107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er
level
solution
capacitance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진호
웨이췬
이슬비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21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7011A/ko
Publication of KR20140107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70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79Masses, volumes, levels of fluids in reservoirs, flow 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는 링거팩의 서로 다른 위치에 부착되는 복수 개의 정전 용량 센서, 그리고 복수 개의 정전 용량 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에 기초하여 링거팩 내의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하는 링거액 레벨 측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LEVEL OF INTRAVENOUS DRIP}
본 발명은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병원에서 의료 전문가는 진료 결과에 따라 필요시 환자에게 다양한 약물을 처방하여 투여하게 된다. 예를 들어, 환자에게 수분이나 염분, 영양분을 신속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링거액을 투여하게 된다. 이때, 약물 투여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링거 세트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링거 병에 수액을 넣고 유도관과 카데터(Catheter)를 통하여 환자의 몸속으로 투여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링거 세트는 링거액 투여 후에 자동적으로 교체되지 않으므로, 수액이 모두 투여된 후에 링거병이 비어 있는 상태로 방치시 환자의 혈관 안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환자의 어지러움을 유발하며, 링거병이 비어 있는 상태로 장시간 동안 방치하여 환자의 혈액에 다량의 공기가 유입되면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하거나, 중환자의 경우 생명의 위협을 줄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간호사가 주기적으로 수액 투여 상황을 확인하거나, 환자나 보호자가 수액 잔량을 간호사에게 알려주어 교체를 하고 있으나, 이는 간호 인력의 부족 현상을 촉진할 뿐 아니라, 수액 투여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기 어려워 의료 사고의 불안 요소를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공개특허공보 2004-0107764호(2004.12.23.공개)는 링거의 무게를 측정하여 원격으로 전송하고, 클램프로 자동적으로 튜브를 막는 링거 수액 투여 감시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기존의 링거 거치대를 전부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상용화에 어려움이 있으며, 환자의 무의식중 거동에 따라 수액관에 가해지는 장력에 의하여 예기치 않은 측정값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링거액의 수위를 오차 없이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는, 링거팩의 서로 다른 위치에 부착되는 복수 개의 정전 용량 센서;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정전 용량 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링거팩 내의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하는 링거액 레벨 측정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로서, 상기 복수 개의 정전 용량 센서는, 상기 링거팩의 일 면에 부착되는 제1 정전 용량 센서; 그리고 상기 링거팩의 타 면에 부착되는 제2 정전 용량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상기 제1 정전 용량 센서와, 상기 제2 정전 용량 센서는 병렬로 연결되어 하나의 측정값을 출력하며, 상기 링거액 레벨 측정부는 상기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상기 제1 정전 용량 센서는 상기 링거팩의 제1 높이에 부착되며, 상기 제2 정전 용량 센서는 상기 링거팩의 제2 높이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상기 링거액 레벨 측정부는, 상기 제1 정전 용량 센서의 제1 측정값 및 상기 제2 정전 용량 센서의 제2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상기 링거액 레벨 측정부는, 상기 링거액의 수위 레벨에 따라 상기 제1 측정값과 상기 제2 측정값의 반영 비율을 변화시켜, 상기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상기 링거액 레벨 측정부는, 상기 제1 높이에 대응하는 상기 링거액의 수위 레벨에서 상기 제2 측정값의 반영 비율보다 상기 제1 측정값의 반영 비율을 높여서 상기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하고, 상기 제2 높이에 대응하는 상기 링거액의 수위 레벨에서 상기 제1 측정값의 반영 비율보다 상기 제2 측정값의 반영 비율을 높여서 상기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각 정전 용량 센서는, 점착성 부재; 그리고 상기 점착성 부재에 상호 이격하여 부착되는 한 쌍의 유연성 전극(flexible electrode)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상기 복수 개의 정전 용량 센서 중 하나 이상의 정전 용량 센서는 상기 링거팩의 측면에서 최하단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상기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는, 상기 링거액의 수위가 임계값 미만으로 내려가면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경고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는, 링거팩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정전 용량 센서; 서로 다른 링거액에 대하여 수위 레벨과 정전 용량 간의 특성 함수를 링거액의 종류별로 저장하는 메모리; 그리고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링거팩 내의 링거액에 대응하는 특성 함수를 선택하고, 선택된 특성 함수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정전 용량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전 용량 값에 대응하는 수위 레벨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링거팩 내의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하는 링거액 레벨 측정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정전 용량 센서는, 상기 링거팩의 제1 높이에 부착되는 제1 정전 용량 센서; 그리고 상기 링거팩의 제2 높이에 부착되는 제2 정전 용량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링거액 레벨 측정부는, 상기 제1 정전 용량의 제1 정전 용량 값과, 상기 제2 정전 용량 센서의 제2 정전 용량 값에 기초하여, 상기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링거액 수위 측정 방법은, 링거팩의 서로 다른 위치에 부착된 복수 개의 정전 용량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링거팩의 정전 용량 값을 측정하는 단계; 그리고 측정된 정전 용량 값에 기초하여, 상기 링거팩 내의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로서, 상기 복수 개의 정전 용량 센서는 링거팩의 서로 다른 높이에 부착되며, 상기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링거액의 수위 레벨에 따라 각 정전 용량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전 용량 값의 반영 비율을 변화시켜, 상기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링거액 수위 측정 방법은, 링거팩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정전 용량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링거팩의 정전 용량을 측정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링거액에 대하여 링거액의 종류별로 저장된 수위 레벨과 정전 용량 간의 특성 함수로부터 상기 링거팩 내의 링거액에 대응하는 특성 함수를 선택하는 단계; 그리고 선택된 특성 함수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정전 용량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전 용량 값에 대응하는 수위 레벨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링거팩 내의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정전 용량 센서는, 상기 링거팩의 제1 높이에 부착되는 제1 정전 용량 센서와, 상기 링거팩의 제2 높이에 부착되는 제2 정전 용량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높이에 대응하는 상기 링거액의 수위 레벨에서 상기 제2 측정값의 반영 비율보다 상기 제1 측정값의 반영 비율을 높여서 상기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높이에 대응하는 상기 링거액의 수위 레벨에서 상기 제1 측정값의 반영 비율보다 상기 제2 측정값의 반영 비율을 높여서 상기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링거액의 수위를 오차 없이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를 구성하는 정전 용량 센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거액 수위 측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링거액의 수위 레벨과 정전 용량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정전 용량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8은 정전 용량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정전 용량을 링거액의 종류별로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링거액 수위 측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링거액의 수위 레벨과 정전 용량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정전 용량 간의 관계를 링거액의 종류별로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의료 통합관리 시스템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인 사전들에 의해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된 기술 그리고/혹은 본 출원의 본문에 의미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그리고 여기서 명확하게 정의된 표현이 아니더라도 개념화되거나 혹은 과도하게 형식적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100)는 링거팩(110)에 부착되는 복수 개의 정전 용량 센서(capacitive sensor)(121,122), 정전 용량 센서들(120)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링거팩(110) 내의 링거액(112)의 수위를 측정하는 링거액 레벨 측정부(130), 링거액(112)의 수위가 임계값 미만으로 내려가면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경고 발생부(140), 그리고 링거액(112)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종 정보들과 상기 임계값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150)를 포함한다.
링거팩(110) 내에는 링거액(Intravenous drip)(112)이 담겨져 있다. 링거팩(110)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백(plastic bag)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링거액(112)은 예를 들어 주사용수(WFI; Water For Injection), 포도당 용액(Glucose solution), 하트만 용액(Hartmann's solution) 등의 수액(infusion solution)이나 혈액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링거팩(110)의 하단 측에 연결되는 수액관(111)을 통해 환자 등에게 링거액(112)이 공급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정전 용량 센서(121,122)는 링거팩(110)의 외측 면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부착된다. 각 정전 용량 센서(121,122)는 상호 간에 이격되는 두 개의 금속 도체를 포함하며, 링거팩(110) 내의 링거액의 수위에 따라 변화되는 금속 도체들 간의 정전 용량(capacitance)을 측정한다. 정전 용량은 유전 상수와 금속 도체의 면적 및 상호 간의 거리에 의하여 결정되는 값이므로, 유전 상수를 측정하는 것도 정전 용량을 측정하는 범주 내에 포함된다. 링거팩(110) 내의 링거액의 수위가 점점 낮아질수록, 각 정전 용량 센서(121,122)에 의해 측정되는 정전 용량 값은 감소될 것이다.
제1 정전 용량 센서(121)와 제2 정전 용량 센서(122)는 링거팩(110)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부착되므로, 각 정전 용량 센서(121,122)가 동시에 링거액의 수위 레벨을 측정한다 하더라도, 제1 정전 용량 센서(121)와 제2 정전 용량 센서(122)에 의해 측정되는 정전 용량 값은 서로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만약, 하나의 정전 용량 센서, 예를 들어 제2 정전 용량 센서(122)만을 링거팩(110)에 설치할 경우, 제2 정전 용량 센서(122)의 위치에 따라 정전 용량 값이 다르게 측정되므로, 링거액의 수위 레벨이 제2 정전 용량 센서(122)의 위치에 의해 좌우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링거액 레벨 측정부(130)는 하나의 정전 용량 센서가 아닌, 링거팩(110)의 서로 다른 위치에 부착되는 복수 개의 정전 용량 센서들(121,122)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링거팩(110) 내의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하므로, 정전 용량 센서의 부착 위치에 따른 오차 요인을 줄일 수 있다. 도 1의 실시 예에서는 링거팩(110)의 서로 다른 위치에 두 개의 정전 용량 센서(121,122)가 부착되지만, 링거팩(110)의 서로 다른 위치에 세 개 이상의 정전 용량 센서(120)가 부착될 수도 있다.
도 1의 실시 예에서, 제1 정전 용량 센서(121)와 제2 정전 용량 센서(122)는 링거팩(110)에서 서로 다른 높이에 부착된다. 제2 정전 용량 센서(122)는 제2 높이,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거팩(110)의 하단 측에 부착되며, 제1 정전 용량 센서(121)는 제2 정전 용량 센서(122)보다 높은 제1 높이,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거팩(110)의 중앙 측에 부착될 수 있다.
링거액의 수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는 제2 정전 용량 센서(122)보다 제1 정전 용량 센서(121)가 링거액의 수위에 부합되는 정전 용량 값을 더 정확하고 민감하게 측정할 것이다. 반대로, 링거액의 수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에는 제1 정전 용량 센서(121)보다 제2 정전 용량 센서(122)가 링거액의 수위에 부합되는 정전 용량 값을 더 정확하고 민감하게 측정할 것이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링거액의 수위 레벨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링거액 레벨 측정부(130)는 링거액의 수위 레벨에 따라 제1 정전 용량 센서(121)의 정전 용량 측정값과, 제2 정전 용량 센서(122)의 정전 용량 측정값의 반영 비율을 변화시켜,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거액 레벨 측정부(130)는 링거액의 수위 레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높은 경우에는 제1 정전 용량 센서(121)의 정전 용량 측정값에 기초하여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하고, 링거액의 수위 레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낮은 경우에는 제2 정전 용량 센서(122)의 정전 용량 측정값에 기초하여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링거액 레벨 측정부(130)는 제1 정전 용량 센서(121)의 측정값에 따라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하다가, 제1 정전 용량 센서(121)의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값 미만으로 내려가면 제2 정전 용량 센서(122)의 측정값에 따라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링거액 레벨 측정부(130)는 제1 정전 용량 센서(121)에서 측정한 정전 용량 측정값에 대응하는 링거액의 수위 레벨이 낮아질수록, 제1 정전 용량 센서(121)의 측정값을 반영 비율을 점점 줄이고, 제2 정전 용량 센서(122)에서 측정한 정전 용량 측정값에 대응하는 링거액의 수위 레벨이 낮아질수록, 제2 정전 용량 센서(122)의 측정값을 반영 비율을 점점 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링거액 레벨 측정부(130)는 제1 정전 용량 센서(121)가 부착된 제1 높이에 대응하는 링거액의 수위 레벨에서는 제2 정전 용량 센서(122)로부터의 제2 측정값의 반영 비율보다 제1 정전 용량 센서(121)로부터의 제1 측정값의 반영 비율을 높여서 최종적으로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하고, 제2 정전 용량 센서(122)가 부착된 제2 높이에 대응하는 링거액의 수위 레벨에서는 제1 정전 용량 센서(121)로부터의 제1 측정값의 반영 비율보다 제2 정전 용량 센서(122)로부터의 제2 측정값의 반영 비율을 높여서 최종적으로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하므로, 링거액의 수위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링거액 레벨 측정부(130)에 의해 측정된 링거액의 수위가 임계값 미만으로 내려가면, 경고 발생부(140)는 예를 들어, 경고음, 진동 및/또는 램프 등의 경고 신호를 발생한다. 링거액 레벨 측정부(130), 경고 발생부(140), 메모리(150)는 환자실에 제공될 수도 있고, 간호사실 등의 의료 통제 센터에 제공될 수도 있다. 링거액 레벨 측정부(130), 경고 발생부(140), 메모리(150)가 의료 통제 센서에 제공되는 경우, 정전 용량 센서(120)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정전 용량 값)이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의료 통제 센터로 전송될 것이다.
한편, 링거액 레벨 측정부(130), 경고 발생부(140), 메모리(150)가 환자실에 제공되는 경우,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구성 외에 링거팩(110) 내의 링거액의 수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환자실 내에 디스플레이부가 제공되는 경우, 환자나 환자의 보호자가 링거액의 수위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으며, 경고 발생부(140)의 경고 신호에 따라 간호사실에 의료 조치를 요구하거나, 링거액의 투여를 중지하는 등의 간단한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부의 확대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100)는 지지대(113)에 의해 지지되는 링거팩(110), 링거팩(110)에 부착되는 복수 개의 정전 용량 센서(123,124), 정전 용량 센서들(123,124)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링거팩(110) 내의 링거액(112)의 수위를 측정하는 링거액 레벨 측정부(130), 경고 발생부(140), 그리고 링거액(112)의 수위를 측정하는데 필요한 각종 정보들과 임계값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제1 정전 용량 센서(123)는 링거팩(110)의 일 면에 부착되고, 제2 정전 용량 센서(124)는 링거팩(110)의 타 면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제1 정전 용량 센서(123)와 제2 정전 용량 센서(124)는 링거팩(110)의 외면에서 동일한 높이에 부착된다. 제1 정전 용량 센서(123)와 제2 정전 용량 센서(124)는 동일한 규격을 갖는다. 제1 정전 용량 센서(123)와 제2 정전 용량 센서(124)는 병렬로 연결되어 하나의 측정값을 출력한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정전 용량 센서(123)와 제2 정전 용량 센서(124)는, 각각 점착성 부재(1231)와, 점착성 부재에 상호 이격하여 부착되는 한 쌍의 전극(1232,1233)을 포함한다. 한 쌍의 전극(1232,1233)은 도체 금속으로 된 (+) 전극(1232)과, (-) 전극(1233)으로 구성된다. 제1 정전 용량 센서(123)와 제2 정전 용량 센서(124)는 각각의 (+) 전극(1232) 끼리 연결되고, 각각의 (-) 전극(1233) 끼리 연결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전 용량 센서(123,124)는 전극(1232,1233)이 링거팩(110)의 외면에 부착되며, 그 위를 점착성 부재(1231)가 덮는 형태로 부착된다.
링거액 레벨 측정부(130)는 병렬 연결된 제1 정전 용량 센서(123)와 제2 정전 용량 센서(124)로부터, 하나의 측정값을 입력받는다. 링거액 레벨 측정부(130)는 병렬 연결된 제1 정전 용량 센서(123)와 제2 정전 용량 센서(124)로부터의 하나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링거액의 수위 레벨을 측정한다. 즉, 링거액 레벨 측정부(130)는 링거팩(110)의 서로 다른 면에 부착되는 제1 정전 용량 센서(123)의 정전 용량 측정값과 제2 정전 용량 센서(124)의 정전 용량 측정값의 병렬 합성값을 이용하여 링거액의 수위 레벨을 측정하므로, 정전 용량 센서의 부착 면에 따른 오차 요인을 줄일 수 있으며, 외부 교란 발생에 대응하여 강인하게 링거액의 수위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도 2 내지 도 3의 실시 예에서, 제1 정전 용량 센서(123)와 제2 정전 용량 센서(124)는 링거팩(110)에서 최하단 측의 높이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링거액의 교체 시점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링거팩(110)이 일회용으로 사용이 간편한 플라스틱 백으로 제공되는 경우, 링거팩(110)의 하단 측은 만곡 형태를 이루며, 링거액의 수위가 변화됨에 따라 그 형태 또한 링거액의 남은 용량에 따라 불규칙적으로 변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링거팩(110)의 형태 변화는 정전 용량 센서(123,124)의 정전 용량 측정값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링거액의 수위 레벨을 측정함에 있어 오차 요인으로 작용한다. 즉, 링거팩(110)의 형태 변화에 따라 정전 용량 센서(123,124)의 부착 면적이 변화하여 신호의 강도가 변화하거나, 심지어, 링거액의 수위 레벨 측정 과정에서, 정전 용량 센서(123,124)가 링거팩(110)에서 탈락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개선된 실시 예는, 정전 용량 센서(123,124)가 유동에 강인한 실리콘 젤 등의 점착성 부재(1231) 상에 한 쌍의 전극(1232,1233)을 부착시킨 구조를 가지며, 한 쌍의 전극(1232,1233)이 도전성 유연성 전극(flexible electrode)으로 구현되므로, 앞서 언급한 정전 용량 센서(123,124)의 부착 강도 저하 및 부착 면적 변화에 따른 측정값의 오차 요인을 줄일 수 있으며, 정전 용량 센서(123,124)가 링거팩(110)으로부터의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선된 실시 예에 의하면, 유리병 형태의 링거팩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백과 같이 형태가 유동되는 링거팩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링거액 수위 측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단계 S51에서, 링거액의 수위 측정을 위해, 먼저 링거팩(110)의 서로 다른 위치에 정전 용량 센서들(121,122)(123,124)을 부착시킨다. 정전 용량 센서들이 부착되면, 복수 개의 정전 용량 센서(121,122)(123,124)는 링거팩(110)의 정전 용량 값들을 측정한다.
단계 S52에서, 링거액 레벨 측정부(130)는 측정된 정전 용량 값들에 기초하여, 링거팩(110) 내의 링거액(112)의 수위를 측정한다. 도 6은 링거액의 수위 레벨과 정전 용량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정전 용량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링거액의 수위 레벨이 낮아짐에 따라, 정전 용량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정전 용량은 감소하는 관계를 갖는다. 도 6의 그래프에서, 수위 레벨을 나타내는 번호는 링거액의 수위 레벨이 낮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표기되어 있다. 링거액 레벨 측정부(130)는 정전 용량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정전 용량 측정값에 대응하는 수위 레벨을 링거액의 수위로 측정할 수 있다. 정확한 수위 레벨의 측정을 위하여 수위 레벨과 정전 용량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또는 특성 함수가 실험적으로 결정되어 메모리(15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52에서 링거액 레벨 측정부(130)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복수 개의 정전 용량 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정전 용량 값들을 이용하여 링거액(112)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정전 용량 센서(121)와 제2 정전 용량 센서(122)는 링거팩(110)에서 서로 다른 높이에 부착되며, 이러한 경우 링거액 레벨 측정부(130)는 링거액의 수위 레벨에 따라 제1 정전 용량 센서(121)의 정전 용량 측정값과, 제2 정전 용량 센서(122)의 정전 용량 측정값의 반영 비율을 변화시켜,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링거액 레벨 측정부(130)는 제1 정전 용량 센서(121)에 의해 측정된 정전 용량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제1 정전 용량 센서(121)의 정전 용량 측정값에 기초하여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하고, 제1 정전 용량 센서(121)에 기초하여 측정된 정전 용량 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작아지면 이때부터 제2 정전 용량 센서(122)의 정전 용량 측정값에 기초하여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링거액 레벨 측정부(130)는 제1 정전 용량 센서(121)에서 측정한 정전 용량 측정값에 대응하는 링거액의 수위 레벨이 낮아질수록, 제1 정전 용량 센서(121)의 측정값을 반영 비율을 점점 줄이고, 제2 정전 용량 센서(122)에서 측정한 정전 용량 측정값에 대응하는 링거액의 수위 레벨이 낮아질수록, 제2 정전 용량 센서(122)의 측정값을 반영 비율을 점점 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링거액 레벨 측정부(130)는 두 정전 용량 센서(121,122)의 측정값에 반영 비율을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링거액의 수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링거액 레벨 측정부(130)는 제1 정전 용량 센서(121)가 부착된 제1 높이에 대응하는 링거액의 수위 레벨에서는 제2 정전 용량 센서(122)로부터의 제2 측정값의 반영 비율보다 제1 정전 용량 센서(121)로부터의 제1 측정값의 반영 비율을 높여서 최종적으로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하고, 제2 정전 용량 센서(122)가 부착된 제2 높이에 대응하는 링거액의 수위 레벨에서는 제1 정전 용량 센서(121)로부터의 제1 측정값의 반영 비율보다 제2 정전 용량 센서(122)로부터의 제2 측정값의 반영 비율을 높여서 최종적으로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하여, 링거액의 수위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와 같이, 링거팩(110)의 일 면에 제1 정전 용량 센서(123)를 부착하고, 링거팩(110)의 타 면에 제2 정전 용량 센서(124)를 제1 정전 용량 센서(123)와 동일한 높이에 병렬로 연결하여 부착한 경우, 링거액 레벨 측정부(130)는 병렬 연결된 제1 정전 용량 센서(123)와 제2 정전 용량 센서(124)로부터, 하나의 측정값을 입력받아, 링거액의 수위 레벨을 측정한다. 즉, 링거액 레벨 측정부(130)는 링거팩(110)의 서로 다른 면에 부착되는 제1 정전 용량 센서(123)의 정전 용량 측정값과 제2 정전 용량 센서(124)의 정전 용량 측정값의 병렬 합성값을 이용하여 링거액의 수위 레벨을 측정하므로, 정전 용량 센서의 부착 면에 따른 오차 요인을 줄일 수 있으며, 외부 교란 발생에 대응하여 강인하게 링거액의 수위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단계 S52에서 링거액 레벨 측정부(130)에 의해 측정된 링거액의 수위가 임계값 미만으로 내려가면, 경고 발생부(140)는 예를 들어, 경고음, 진동 및/또는 램프 등의 경고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경고 발생부(140)의 경고 신호에 의하여, 환자나 환자의 보호자 또는 간호사는 링거액의 교체 시점을 파악하여, 필요한 조치를 즉각적으로 취할 수 있다. 만약, 링거액의 잔량이 일정 수위 이하로 내려가는 위험 상황 발생시에는, 예를 들어 클램프 등으로 자동적으로 수액관을 막도록 하여 투약을 중지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100)는 제1 정전 용량 센서(125)와 제2 정전 용량 센서(126)가 링거팩(110)의 서로 다른 높이에 부착된다. 즉, 제1 정전 용량 센서(125)는 제1 높이(H1)에 설치되고, 제2 정전 용량 센서(126)는 제2 높이(H2)에 설치된다.
도 8은 정전 용량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정전 용량을 링거액의 종류별로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에는 주사용수(WFI; Water For Injection) 1000mL, 5% 포도당 용액(5% D/K/Na3 solution) 500mL, 10% 포도당 용액(Glucose solution) 500mL, 하트만 용액(Hartmann's solution) 500mL를 예로 들어, 링거액의 종류별 정전 용량을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링거액의 종류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거액의 종류별로 링거액의 충만시 정전 용량과, 링거액의 고갈시 정전 용량은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주사용수의 경우, 링거액의 충만시에는 다른 링거액과 비교하여 정전 용량이 상대적으로 작지만, 링거액의 고갈시에는 다른 링거액과 비교하여 정전 용량이 오히려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링거액의 종류별로 서로 다른 특성들을 고려하여 링거액의 수위 레벨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 메모리(150)에는 서로 다른 링거액에 대하여 수위 레벨과 정전 용량 간의 특성 함수들이 링거액의 종류별로 미리 저장된다. 링거액 레벨 측정부(130)는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메모리(150)에 저장된 특성 함수들 중에서 링거팩(110) 내의 링거액에 대응하는 특성 함수를 선택하고, 선택된 특성 함수에 기초하여 정전 용량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전 용량 값에 대응하는 수위 레벨을 결정한다. 따라서, 링거액 레벨 측정부(130)는 링거액의 종류에 대응하여 변화되는 특성 함수를 고려하여, 링거액의 수위를 산출하므로, 다양한 링거액의 종류에 대응하여 링거액의 수위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 메모리(150)에는 서로 다른 정전 용량 센서별로 서로 다른 특성함수들이 저장될 수 있다. 이는 링거픽(110)의 서로 다른 위치에 부착되는 정전 용량 센서 간에도 특성 함수가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링거액 레벨 측정부(130)는 복수 개의 정전 용량 센서의 각각에 대하여 선택된 특성 함수에 기초하여, 각각의 정전 용량 센서의 정전 용량 측정값으로부터 수위 레벨을 산출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 예의 경우에서도,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와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정전 용량 값을 산출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예컨대, 링거액 레벨 측정부(130)는 링거팩(110) 내의 링거액(112)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높이 기준값(H3)보다 클 때에는 제2 정전 용량 센서(126)의 측정값의 반영 비율을 높여서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하고, 링거액(112)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H3)보다 작을 때에는 제1 정전 용량 센서(125)의 측정값의 반영 비율을 높여서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링거액 수위 측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단계 S91에서, 링거액의 수위 측정을 위해, 먼저 링거팩(110)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하나 이상의 정전 용량 센서를 부착시킨다. 메모리(150)에는 서로 다른 링거액에 대하여 수위 레벨과 정전 용량 간의 특성 함수들이 링거액의 종류별로 미리 저장된다. 정전 용량 센서가 부착되고, 의료진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해 링거액의 종류를 입력하면, 정전 용량 센서(121,122)(123,124)(125,126)는 링거팩(110)의 정전 용량 값을 측정한다.
단계 S92에서, 링거액 레벨 측정부(130)는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링거액에 대하여 링거액의 종류별로 저장된 수위 레벨과 정전 용량 간의 특성 함수들 중에서 링거팩(110) 내의 링거액에 대응하는 특성 함수를 선택한다. 다음으로, 단계 S93에서, 링거액 레벨 측정부(130)는 선택된 특성 함수에 기초하여 정전 용량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전 용량 값에 대응하는 수위 레벨을 결정함으로써 링거팩 내의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한다.
도 10은 링거액의 수위 레벨과 정전 용량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정전 용량 간의 관계를 링거액의 종류별로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0에서, CF1 내지 CF4는 각각 하트만 용액, 5% 포도당 용액, 10% 포도당 용액, 주사용수의 수위 레벨-정전 용량 간 특성 함수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링거액 레벨 측정부(130)는 특성 함수들(CF1 내지 CF4) 중의 링거팩(110) 내의 링거액(112)에 대응하여 선택된 어느 하나의 특성 함수에 기초하여, 정전 용량 센서의 측정값에 대응하는 링거액의 수위 레벨을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링거액 레벨 측정부(130)는 링거액의 종류에 대응하여 변화되는 특성 함수를 고려하여, 링거액의 수위를 산출하므로, 다양한 링거액의 종류에 대응하여 링거액의 수위를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단계 S93에서, 링거액 레벨 측정부(130)에 의해 측정된 링거액의 수위가 임계값 미만으로 내려가면, 경고 발생부(140)는 예를 들어, 경고음, 진동 및/또는 램프 등의 경고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경고 발생부(140)의 경고 신호에 의하여, 환자나 환자의 보호자 또는 간호사는 링거액의 교체 시점을 파악하여, 필요한 조치를 즉각적으로 취할 수 있다. 만약, 링거액의 잔량이 일정 수위 이하로 내려가는 위험 상황 발생시에는, 예를 들어 클램프 등으로 자동적으로 수액관을 막도록 하여 투약을 중지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의료 통합관리 시스템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100)는 각 병실에 설치될 수 있다. 각 병실 마련된 송신부(200)는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100)에 의해 측정된 링거액의 수위 레벨 정보와 해당 환자의 정보를 의료 통제 센터로 송신할 수 있다.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100)와 송신부(200) 간의 데이터 전송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은 무선 근거리 통신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의료 통제 센터는 수신부(300)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한다. 의료 통제 센터는 예를 들어 간호사실에 제공될 수 있다. 송신부(200)와 수신부(300) 간의 데이터 전송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가능하다. 제어부(400)는 각 병실의 환자들에 대한 의료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의료 통제 센서의 기능들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00)는 각 환자에 대한 의료 정보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500)는 예를 들어, 환자에게 링거액이 일정 수위 아래로 내려가는 등의 위험 상황 발생시, 경고 알람 표시를 하여 환자의 위험 상황을 간호사에게 즉시 알릴 수 있도록 한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 예에 의하면, 간호사 등의 의료진이 정기적으로 환자실을 돌아다니며 확인하지 않고도, 한 자리에서 여러 명의 환자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으므로, 의료진의 단순 반복성 업무를 줄일 수 있으며, 간호 인력의 부족 현상을 해소하고 의료서비스의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가능한 실시 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문언적 기재 그 자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는 기술적 가치가 균등한 범주의 발명에 대하여까지 미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 110: 링거팩
121 내지 126: 정전 용량 센서 1231: 점착성 부재
1232,1233: 전극 130: 링거액 레벨 측정부
140: 경고 발생부 150: 메모리
200: 송신부 300: 수신부
400: 제어부 500: 디스플레이부

Claims (18)

  1. 링거팩의 서로 다른 위치에 부착되는 복수 개의 정전 용량 센서;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정전 용량 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링거팩 내의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하는 링거액 레벨 측정부를 포함하는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정전 용량 센서는,
    상기 링거팩의 일 면에 부착되는 제1 정전 용량 센서; 그리고
    상기 링거팩의 타 면에 부착되는 제2 정전 용량 센서를 포함하는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전 용량 센서와, 상기 제2 정전 용량 센서는 병렬로 연결되어 하나의 측정값을 출력하며,
    상기 링거액 레벨 측정부는 상기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하는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전 용량 센서는 상기 링거팩의 제1 높이에 부착되며,
    상기 제2 정전 용량 센서는 상기 링거팩의 제2 높이에 부착되는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링거액 레벨 측정부는, 상기 제1 정전 용량 센서의 제1 측정값 및 상기 제2 정전 용량 센서의 제2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하는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링거액 레벨 측정부는, 상기 링거액의 수위 레벨에 따라 상기 제1 측정값과 상기 제2 측정값의 반영 비율을 변화시켜, 상기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하는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링거액 레벨 측정부는,
    상기 제1 높이에 대응하는 상기 링거액의 수위 레벨에서 상기 제2 측정값의 반영 비율보다 상기 제1 측정값의 반영 비율을 높여서 상기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하고,
    상기 제2 높이에 대응하는 상기 링거액의 수위 레벨에서 상기 제1 측정값의 반영 비율보다 상기 제2 측정값의 반영 비율을 높여서 상기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하는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정전 용량 센서는,
    점착성 부재; 그리고
    상기 점착성 부재에 상호 이격하여 부착되는 한 쌍의 유연성 전극(flexible electrode)을 포함하는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
  9.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정전 용량 센서 중 하나 이상의 정전 용량 센서는 상기 링거팩의 측면에서 최하단에 부착되는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
  10.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거액의 수위가 임계값 미만으로 내려가면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경고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
  11. 링거팩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정전 용량 센서;
    서로 다른 링거액에 대하여 수위 레벨과 정전 용량 간의 특성 함수를 링거액의 종류별로 저장하는 메모리; 그리고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링거팩 내의 링거액에 대응하는 특성 함수를 선택하고, 선택된 특성 함수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정전 용량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전 용량 값에 대응하는 수위 레벨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링거팩 내의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하는 링거액 레벨 측정부를 포함하는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정전 용량 센서는,
    상기 링거팩의 제1 높이에 부착되는 제1 정전 용량 센서; 그리고
    상기 링거팩의 제2 높이에 부착되는 제2 정전 용량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링거액 레벨 측정부는, 상기 제1 정전 용량 센서의 제1 정전 용량 값과, 상기 제2 정전 용량 센서의 제2 정전 용량 값에 기초하여, 상기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하는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링거액 레벨 측정부는,
    상기 제1 높이에 대응하는 상기 링거액의 수위 레벨에서 상기 제2 측정값의 반영 비율보다 상기 제1 측정값의 반영 비율을 높여서 상기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하고,
    상기 제2 높이에 대응하는 상기 링거액의 수위 레벨에서 상기 제1 측정값의 반영 비율보다 상기 제2 측정값의 반영 비율을 높여서 상기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하는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
  14. 제11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정전 용량 센서는,
    점착성 부재; 그리고
    상기 점착성 부재에 상호 이격하여 부착되는 한 쌍의 유연성 전극(flexible electrode)을 포함하는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
  15. 링거팩의 서로 다른 위치에 부착된 복수 개의 정전 용량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링거팩의 정전 용량 값을 측정하는 단계; 그리고
    측정된 정전 용량 값에 기초하여, 상기 링거팩 내의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링거액 수위 측정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정전 용량 센서는 링거팩의 서로 다른 높이에 부착되며,
    상기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링거액의 수위 레벨에 따라 각 정전 용량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전 용량 값의 반영 비율을 변화시켜, 상기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하는 링거액 수위 측정 방법.
  17. 링거팩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정전 용량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링거팩의 정전 용량을 측정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링거액에 대하여 링거액의 종류별로 저장된 수위 레벨과 정전 용량 간의 특성 함수로부터 상기 링거팩 내의 링거액에 대응하는 특성 함수를 선택하는 단계; 그리고
    선택된 특성 함수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정전 용량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전 용량 값에 대응하는 수위 레벨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링거팩 내의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링거액 수위 측정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정전 용량 센서는, 상기 링거팩의 제1 높이에 부착되는 제1 정전 용량 센서와, 상기 링거팩의 제2 높이에 부착되는 제2 정전 용량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높이에 대응하는 상기 링거액의 수위 레벨에서 상기 제2 측정값의 반영 비율보다 상기 제1 측정값의 반영 비율을 높여서 상기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2 높이에 대응하는 상기 링거액의 수위 레벨에서 상기 제1 측정값의 반영 비율보다 상기 제2 측정값의 반영 비율을 높여서 상기 링거액의 수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링거액 수위 측정 방법.
KR1020130021466A 2013-02-27 2013-02-27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401070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466A KR20140107011A (ko) 2013-02-27 2013-02-27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466A KR20140107011A (ko) 2013-02-27 2013-02-27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7011A true KR20140107011A (ko) 2014-09-04

Family

ID=51755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466A KR20140107011A (ko) 2013-02-27 2013-02-27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701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9140A (ko) * 2017-11-01 2019-05-0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종방향 전기장 근접 감지 방식의 수액 주입 측정 센서 장치 및 방법
KR20210080168A (ko) * 2019-12-20 2021-06-30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세정수 수위 분석 장치 및 이의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9140A (ko) * 2017-11-01 2019-05-0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종방향 전기장 근접 감지 방식의 수액 주입 측정 센서 장치 및 방법
KR20210080168A (ko) * 2019-12-20 2021-06-30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세정수 수위 분석 장치 및 이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46102A1 (en) Portable fluid monitoring fob and methods for accurately measuring fluid output
US7736354B2 (en) Patient hydration system with hydration state detection
US10646648B2 (en) IV flow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10506965B2 (en) Bladder health monitor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and devices
US9782539B2 (en) Fluid level monitoring system
US2012007813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edside collection of body fluids and automatic volume level monitoring
WO2009131266A1 (en) Device for alarming a situation of the intravenous fluid injection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CN105848694B (zh) 流体控制系统和一次性组件
US20240099596A1 (en) Patient monitoring system with gatekeeper signal
US11602593B2 (en) Infusion pump with elongation sensor
KR20140107011A (ko) 링거액 수위 측정 장치 및 방법
JP2011115573A (ja) 監視装置及び監視方法
US20130310770A1 (en) Infusion Apparatus With Composition Pulse Flow Sensor
KR20170089623A (ko) 스마트 복약지도 케이스 및 그 관리방법
US10052433B2 (en) Intravenous fluid monitoring system
CN112447271A (zh) 计数器设备
Jóśko et al. System for the support of the intravenous infusion process continuity.
Jeelani et al. Design, development and clinical validation of a novel urine output monitor
CN109395201A (zh) 一种临床输液装置
ES2614412T3 (es) Sistema de hidratación de pacientes con detección de estado anómalo
Kim Comparative analysis of fusion factors affecting the accuracy of injection amount of remote fluid monitoring system
US20210379269A1 (en) Automated Fluid Output Monitoring
TWI592182B (zh) Medical injection volume detection device
TWM651253U (zh) 智慧型液體偵測系統
KR20190098348A (ko) 인퓨전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