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6782A - 모바일에 적용 가능한 조이스틱 모듈 구조 - Google Patents

모바일에 적용 가능한 조이스틱 모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6782A
KR20140106782A KR1020130020801A KR20130020801A KR20140106782A KR 20140106782 A KR20140106782 A KR 20140106782A KR 1020130020801 A KR1020130020801 A KR 1020130020801A KR 20130020801 A KR20130020801 A KR 20130020801A KR 20140106782 A KR20140106782 A KR 20140106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ystick
module
button
smal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0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주연
Original Assignee
정주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연 filed Critical 정주연
Priority to KR1020130020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6782A/ko
Publication of KR20140106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7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트북, 스마트폰, 전자책 등의 소형 전자 기기의 발전과 변화에 따라, 입력이 용이하며, 인터넷 환경, 게임환경의 조작 기능이 향상되며, 휴대가 가능한 사이즈의 Mouse, 조이스틱 장치에 적합한 소형 조이스틱 모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소형 기기에 장착이 가능한 만큼의 사이즈에서도 모듈 장치의 가장 중요한 중심회귀력, 전방향 신호 출력, 유연한 동작력과 내구성을 만족시키는 모듈 개발로 보다 많은 제품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모바일에 적용 가능한 조이스틱 모듈 구조{Joystick module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노트북, 스마트폰, 전자책 등의 중소형 전자 기기의 발전과 변화에 따라, 작은 사이즈에도 사용 가능한 조이스틱 방식의 입력장치 개발로서, 각종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확장과 무선인터넷 확대로 인한 인터넷 환경, 게임 환경 등 변화에 맞추어 조작이 간편하면서 작은 사이즈로 적용 분야가 광범위한 모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가 보급되면서부터, 이에 대한 입력 장치는 키보드와 Mouse라는 대표적인 2가지 제품으로 현재까지도 그 주류를 이어오고 있으며, 그에 대한 품질, 기능의 개선, 소형화, 기능 복합화로 발전을 해오고 있었다. 점진적인 발전의 추세를 이어오던 본 기술 시장은 2010년도를 분기점으로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현재까지의 컴퓨터, 인터넷 환경에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아이폰의 화려한 비상으로 풀터치나 와이드 화면을 장착한 스마트폰이 시장을 장악해 가고 있으며, 인터넷 사용 환경도 이러한 소형기기를 활용한 빈도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아이패드의 출현은 더더욱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는 것이다. 풀터치를 기반으로 한 이러한 제품들은 크기와 휴대성을 기본적인 특성으로 강조하는 바 기존의 입력장치를 그대로 사용하려고 기대를 하는 것은 무리가 따른다.
그 발전 방향은 손에 쥐고 조작할 수 있는 입력장치와, 거치공간에 올려놓고 조작할 수 있는 입력 장치로 분류되며, 또한 유선과 무선으로 분류되어 그 발전을 해오고 있다. 그러한 기술의 차별성은 조작의 용이성과 휴대성 등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실제 많은 제조사들은 신체에 입을 수 있는 Mouse 나 각종 변형 가능한 키보드등을 디자인하고 특허를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도 알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이나넷북과 같은 다양한 하드웨어의 출현과 맞물려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등장에 따라 이러한 환경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동작구조와 기능 융합의 입력장치가 요구되고있으며, 그 가치를 인정받기 위해서는 휴대성, 사용편의성 등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노트북, 스마트폰, 전자책 등의 중소형 전자 기기에 적합한 크기의 조이스틱 모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사용하는 제품의 크기가 기존의 컴퓨터보다는 상당히 작아지는 추세에서 그러한 기기에 맞는 입력장치는 소형화, 휴대용이성, 조작간편화, 풀터치 응용성 등을 제공하는 제품이어야 한다.
이 제품은 이러한 특성의 제품들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손안에서 조작이 가능한 크기로 중심을 유지 시키는 동력원을 가진 동시에 조이스틱 움직임을 인지하여 출력해주는 신호처리 기술이 적용되어야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방향신호입력을 제어하는 ‘조이스틱버튼부(110)’와 조이스틱 위치를 인지하여 신호를 내보내는 ‘터치판넬부(120)’, 중심을 향하는 동력원을 보내기 위한 ‘마그네틱버튼부(111)’ 와 ‘마그네틱중심부(131)’와 터치신호제어와 관련된 I를 포함한 ‘PCB부(161)’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모듈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 ‘마그네틱중심부(131)’은 ‘마그네틱버튼부(111)’와 인력으로 끌어당기게 되어 ‘마그네틱버튼(111)’가 항상 중심을 향한 힘을 받고, 자동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조이스틱버튼부(110)’ 하단의 ‘버튼터치면(112)’은 ‘터치판넬부(120)’ 위에서 이송되면서 이송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기존에 큰 조이스틱 모듈들을 얇은 두께에 동일한 기능을 구현시킬수 있도록 하여 스마트폰이나 미니게임기, 전자책과 같은 중소형 전자기기 등에 적용이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모듈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 ‘마그네틱중심부(131)’은 ‘마그네틱버튼부(111)’와 인력으로 끌어당기게 되어 ‘마그네틱버튼(111)’가 항상 중심을 향한 힘을 받고, 자동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별도의 구조물 없이 마그네틱을 정해진 위치에 배치를 하여 보다 간단한 구조로 동력원을 실현하게 하며, 유연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조이스틱버튼부(110)’ 하단의 ‘버튼터치면(112)’은 ‘터치판넬부(120)’ 위에서 이송되면서 이송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작은면적의 터치판넬 구조로 조이스틱의 신호를 보낼 수 있게 된다.
이는 얇은 두께의 구조에서 동력원 구현, 유연한 동작 구조, 모든 위치 data 송신 등의 가장 중요한 기능을 실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휴대용 입력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휴대용 입력 장치의 사시도2
도 3는 본 발명의 입력 장치의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외부 입력 장치는 노트북, 넷북, 스마트폰, 전자책 등의 소형 전자 기기에 적합한 사이즈의 조이스틱 모듈을 제공한다. 손가락으로 부드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며 기본적으로 중심으로 회귀하는 동력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큰 조이스틱 모듈들을 얇은 두께에 동일한 기능을 구현시킬수 있도록 하여 스마트폰이나 미니게임기, 전자책과 같은 중소형 전자기기 등에 적용이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모듈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 ‘마그네틱중심부(131)’은 ‘마그네틱버튼부(111)’와 인력으로 끌어당기게 되어 ‘마그네틱버튼(111)’가 항상 중심을 향한 힘을 받고, 자동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별도의 구조물 없이 마그네틱을 정해진 위치에 배치를 하여 보다 간단한 구조로 동력원을 실현하게 하며, 유연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조이스틱버튼부(110)’ 하단의 ‘버튼터치면(112)’은 ‘터치판넬부(120)’ 위에서 이송되면서 이송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작은면적의 터치판넬 구조로 조이스틱의 신호를 보낼 수 있게 된다.
이는 얇은 두께의 구조에서 동력원 구현, 유연한 동작 구조, 모든 위치 data 송신 등의 가장 중요한 기능을 실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과 도2를 보면, 기존 제품들은 중심 회귀 동력원을 위해 별도의 탄성 구조체를 사용한다. 이는 내구성 확보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동작시의 유연하고 부드러운 감도를 나타내기가 어렵다.
도 5에 나와 있는 ‘마그네틱중심부(131)’은 ‘마그네틱버튼부(111)’와 인력으로 끌어당기게 되어 ‘마그네틱버튼(111)’에 동력원으로 작동하게 되며, 어떠한 기계적 구조물이 없어, 유연하고 부드러운 감도를 느낄수 있어 사용자가 사용시 피로감을 느끼지 않도록 해준다.
또한 도 5에 나와 있는 터치판넬식 방식 역시 마찰력을 최소화 하여, 마그네틱의 의한 회귀력을 도우며, 동시에 사용자가 유연한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제품은 노트북에서 마우스조작 장치나 프리젠터에서의 마우스 입력장치로 사용될 수 있으며, 게임기능에서 미니 조이스틱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조이스틱 모듈
110 : 조이스틱 버튼부 120 : 터치판넬부 130 : PCB부
111 : 마그네틱버튼부 112 : 버튼터치면
131 : 마그네틱중심부

Claims (1)

  1. 전자기기의 조이스틱 방식의 입력장치에 있어서,
    모듈 상단에 위치하여 내부에 마그네틱버튼부(111)와 하단면에 버튼터치면(112)을 가지는 조이스틱버튼부(110);
    상기 조이스틱버튼부(110)하단에 위치하며 조이스틱버튼부가 평면 이송하는 가이드면 역할을 하는 터치판넬부(120);
    모듈의 중심에 마그네틱중심부(131)와 그 외 회로부품들을 보함하는 PCB부(130)를 가지며,
    이때 상기 조이스틱버튼부(111)가 터치판넬부(110) 상단에서 버튼터치면(112)을 만나 평면 이송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KR1020130020801A 2013-02-27 2013-02-27 모바일에 적용 가능한 조이스틱 모듈 구조 KR201401067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801A KR20140106782A (ko) 2013-02-27 2013-02-27 모바일에 적용 가능한 조이스틱 모듈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801A KR20140106782A (ko) 2013-02-27 2013-02-27 모바일에 적용 가능한 조이스틱 모듈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782A true KR20140106782A (ko) 2014-09-04

Family

ID=51754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801A KR20140106782A (ko) 2013-02-27 2013-02-27 모바일에 적용 가능한 조이스틱 모듈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67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6813B2 (ja) 感圧キーの基準化
KR101492761B1 (ko) 다기능 휴대용 장치
US11275405B2 (en) Multi-functional hand-held device
KR101711154B1 (ko) 힘 센서들 및 작동기 피드백을 갖는 터치 패드
CN105320230B (zh) 手持电子设备和用于感测触摸和力的方法
US10606310B1 (en) Electronic device
US20040012568A1 (en) Flat mouse
CN107924159A (zh) 电子设备
KR20160149941A (ko) 전자 장치
KR20140106782A (ko) 모바일에 적용 가능한 조이스틱 모듈 구조
CN115562502B (zh) 在输入设备上集成滑动和触摸的方法和装置
AU2012202122B2 (en) Multi-functional hand-held device
JP2011223613A (ja) 持ち手つき携帯型情報端末
KR20100081178A (ko) 휴대용 전자기기
KR101227799B1 (ko) 휴대가 가능한 전자기기용 외장형 복합 신호 입력 장치
TW201435659A (zh) 觸控輸入裝置
KR20120000474A (ko) 휴대가 가능한 전자기기용 외장형 신호 입력 장치
KR20080002576U (ko) 핸드폰 키패드가 적용된 컴퓨터 마우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