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5666A - 근거리 무선 통신 라벨이 부착된 전자명함 시스템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 통신 라벨이 부착된 전자명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5666A
KR20140105666A KR1020130019369A KR20130019369A KR20140105666A KR 20140105666 A KR20140105666 A KR 20140105666A KR 1020130019369 A KR1020130019369 A KR 1020130019369A KR 20130019369 A KR20130019369 A KR 20130019369A KR 20140105666 A KR20140105666 A KR 20140105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iness card
nfc
card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호
문헌주
Original Assignee
김순호
문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호, 문헌주 filed Critical 김순호
Priority to KR1020130019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5666A/ko
Publication of KR20140105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6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H04B5/7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Abstract

근거리 무선 통신 라벨이 부착된 전자명함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전화걸기 또는 네비게이션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근거리 무선 통신(NFC:Near Field Commucation)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NFC 명함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NFC명함의 태깅에 의하여 상기 NFC명함에 기록된 명함정보에서 주소정보를 판독하여 네비게이션의 목적지로 설정하고 네비게이션 기능을 활성하거나 또는 전화번호를 판독하여 착신번호로 통화호를 연결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키조작없이 손쉽게 전화걸기나 네비게이션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근거리 무선 통신 라벨이 부착된 전자명함 시스템{ElECTRONIC BUSINESS CARD WITH NFC LABEL TAG}
본 발명은 전자 명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에 저장된 명함자료를 명함발급기인 KIOSK에서 NFC명함이 발급되게 하고, 발급된 NFC명함은 스마트폰에서 자동으로 네비게이션의 목적지나 전화걸기의 데이토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근거리 무선 통신 라벨이 부착된 전자명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비즈니스 활동에 있어 자신의 이름, 연락처 등을 알리기 위하여 명함과 같은 개인식별카드를 사용하거나 영업점을 홍보하기 위한 각종 광고홍보물을 명함에 추가하여 배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대방에게 자신을 소개하는 경우 종이로 인쇄된 명함을 주고받는 것이 통례이다. 종이로 만든 명함은 지갑이나 명함첩에 보관하게 되는데, 명함의 개수가 증가하면 휴대가 용이하지 아니할 뿐 아니라 분실될 가능성도 있으며 필요한 연락처를 찾기 위해서는 명함들을 일일이 확인하여 찾아야 하는 등 관리 및 보관이 용이하지 않다.
이에, 명함의 관리를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주소록기능을 지원하는 전자수첩이나 PDA 등의 휴대단말기가 사용되고 있다. 사용자는 휴대단말기에 명함데이터를 저장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종래의 휴대단말기는 키조작으로 명함정보를 일일이 입력하여 저장해야 함으로 사용상 번거로움이 따르며 많은 양의 정보를 한꺼번에 입력하는 것이 용이하지 아니하다. 또한, 명함에 기재된 특수한 도안이나 회사로고 등은 입력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전자명함시스템의 구성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공개특허 10-2005-0107641호(명칭:전자명함시스템)에 개시된 기술로, 종래의 전자명함시스템은 명함이미지의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12)와 사용자 선택을 위한 버튼입력부(20)를 갖는 휴대유니트(10)와, 명함이미지의 스캐닝을 위한 스캐닝입력부 및 데이터입력을 위한 키보드입력부(60)를 가지며 휴대유니트(10)에 케이블(52)로 접속되어 스캐닝입력부 및 키보드입력부(6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입력유니트(50)로 구성된다.
휴대유니트(10)는 판상의 휴대유니트 본체(11)와 휴대유니트 본체(11)의 전면부에 장착되어 저장 된 명함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2)와 디스플레이부(12)의 인접영역에 마련되는 버튼입력부(20)를 갖는다.
데이터입력유니트(50)는 스캐닝입력부가 설치되는 본체케이스(52)와, 본체케이스(52)의 일단부에 힌지결합하여 스캐닝입력부를 차폐하는 덮개케이스(54)를 가지며, 덮개케이스(54)의 상면부에는 데이터 입력을 위한 키보드입력부(60)와 데이터 입력상태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56)가 설치된다.
여기서, 휴대유니트(10)와 데이터입력유니트(50)를 접속시키는 케이블(52)에는 USB(Universal Serial Bus)방식이나 IEEE1394 방식 등 통상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되는 다양한 인터페이스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USB 1.0B방식의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명함데이터를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 데이터입력유니트(50)와 휴대유니트(10)를 케이블(52)을 이용하여 상호 접속시킨 후, 저장하고자 하는 명함(40)을 데이터입력유니트(50)의 본체케이스(52)에 마련된 스캐닝입력부를 통해 스캔하고 기타 메모정보를 키보드입력부(60)를 통해 입력하면, 데이터입력유니트(50)로 입력된 명함 이미지 및 메모정보가 케이블(52)을 통해 휴대유니트(10)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데이터의 입력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케이블(52)을 탈장하여 데이터입력유니트(50)와 휴대유니트(10)의 접속을 분리하고, 휴대유니트(10)만을 휴대하여 필요한 명함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명함을 사용하면 연락처 정보를 알아보기 쉬운 형태로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여 그 이용이 증가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자명함은 통상의 명함 데이터의 관리나 확인만을 위한 명함일 뿐 멀티미디어로서의 기능은 취약한 것이 사실이다.
한편, 스마트폰은 멀티미디어로서 이미 자리를 매김하고, 그 사용이 보편화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일반화되어 있는 스마트폰은 앱이라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여러 가지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스마트폰에 NFC기능을 추가하여 태그로 명함 정보를 주고 받고 관리하고, 명함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네비게이션이나 전화걸기 기능들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의 NFC태그를 이용하여 전자명함을 관리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 라벨이 부착된 전자명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전자 명함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자 명함을 발급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 라벨이 부착된 전자명함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 명함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화걸기나 네비게이션의 데이터로 이용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 라벨이 부착된 전자명함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근거리 무선 통신 라벨이 부착된 전자명함 시스템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수단과 명함데이터의 전송, 전화걸기 또는 네비게이션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근거리 무선 통신(NFC:Near Field Commucation)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태깅(tagging)을 통하여 태그에 저장된 명함정보를 전송하는 NFC 명함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NFC명함의 태깅에 의하여 상기 NFC명함에 기록된 명함정보에서 주소정보를 판독하여 네비게이션의 목적지로 설정하고 네비게이션 기능을 활성하거나 또는 전화번호를 판독하여 착신번호로 통화호를 연결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NFC명함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명함저장부에 저장된 명함정보를 태깅에 의하여 명함발급기에서 발급되도록 구성하고, 이를 위하여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NFC명함으로부터 태깅에 의하여 명함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명함저장부에 저장된 명함정보를 태깅에 의하여 송신하도록 동작하는 NFC인터페이스와, 상기 NFC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된 명함정보를 저장하는 명함저장부와 상기 명함저장부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함정보에서 발급받을 명함정보를 선택하는 명함선택부, 및 명함데이터의 전송, 전화걸기 또는 네비게이션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사용자 App.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명함선택부에 의하여 선택된 명함정보를 상기 명함발급기로 전송하고, 상기 NFC명함이 태깅되면 상기 사용자 App.부의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상기 NFC명함에 기록된 명함정보에서 주소정보를 판독하여 네비게이션의 목적지로 설정하고 네비게이션 기능을 활성하거나 또는 전화번호를 판독하여 착신번호로 통화호를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명함발급기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태깅에 의하여 명함정보를 수신하는 NFC Reader와, 태그에 정보를 저장하는 엔코딩부, 및 상기 NFC Reader로부터 명함정보가 수신되면 발급할 명함에 명함정보를 전사하고, 상기 엔코딩부에 수신된 명함정보를 엔코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명함발급기는 하나 이상의 명함이미지를 저장하고 있는 템플릿저장부를 더 포함하게 구성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템플릿저장부에서 선택된 명함이미지와 상기 NFC Reader로부터 수신된 명함정보를 전사하고, 이를 상기 엔코딩부에서 엔코딩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보다 명함의 이미지를 다양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근거리 무선 통신 라벨이 부착된 전자명함 시스템에 의하면, NFC태그가 부착된 전자명함을 간단하게 태깅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게 명함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근거리 무선 통신 라벨이 부착된 전자명함 시스템에 의하면, 스마트폰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 명함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자 명함을 손쉽게 명함발급기를 통하여 발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KIOSK와 같은 명함발급기가 설치된 곳에서는 편리하게 명함을 발급받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근거리 무선 통신 라벨이 부착된 전자명함 시스템에 의하면, 스마트폰에 간단히 명함을 태깅함으로써, 전화걸기나 네비게이션의 데이터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키조작없이 손쉽게 전화걸기나 네비게이션을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명함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 라벨이 부착된 전자명함 시스템의 주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자 명함 발급 및 사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4는 전자명함을 이용하여 전화걸기나 네비게이션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 라벨이 부착된 전자명함 시스템의 주요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명함 시스템(100)은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라벨이 부착된 NFC 명함(110)과 NFC 명함(110)으로부터 명함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관리하고, NFC명함(110)의 주소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을 실행하거나 전화걸기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NFC명함(110)에 기록된 명함정보를 NFC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명합발급기(13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기(120)와, 단말기(120)의 명함 데이터를 NFC로 수신하여 전자명함을 발급하도록 동작하는 명함발급기(130)를 포함하여 달성될 수 있다.
NFC명함(110)은 기존에 발급되어 있는 전자명함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명함발급기에 발행된 전자명함을 포함하는 것으로, 통상의 전자 명함 이미지와 성명, 연락처, 홈페이지 주소, 이멜일 등의 명함정보가 NFC Tag에 저장되도록 구성한다.
즉, 태깅에 의하여 NFC명함(110)내에 저장된 명함정보가 단말기(120)로 전송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태그에 정보를 저장하고 검수하는 것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말기(120)는 기존의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음성 통화 서비스 및 이미지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지칭하며, 통상의 이미지 표시가 가능한 휴대폰, 스마트폰, 셀룰러폰, PCS, 스마트폰 등의 무선 단말기와 유선 전화기 등의 유선 단말기와 같이 음성 통화 및/또는 영상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을 사용한 것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단말기(120)에는 이동통신망을 통한 인터넷 접속 인터페이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NFC;Near Field Communication)과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수단을 구비하며, 후술하는 명함발급기(130)에 명함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전화 걸기 또는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어 어플리케이션(App.)이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20)는 NFC 명함(110)의 명함정보를 판독하고 발급할 명함 데이터를 명함발급기(130)로 전송할 수 있는 NFC 인터페이스(NFC Interface)(121)와, 명함 데이터를 저장하는 명함저장부(122), 발급할 명함을 선택할 수 있는 명함선택부(123)와, 스마트폰의 일반 기능을 제어함과 동시에 본 발명의 전자 명함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단말제어부(124), 그리고 명함 발급과 전화걸기 또는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사용자앱(App)부(125)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사용자앱(App)부(125)는 인터넷(140)이나 이동통신망을 통해 후술하는 웹서버(150)에 접속하여 명함관리, 전화걸기, 네비게이션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앱(App)의 설치과정에서 웹서버(150)의 인증과정을 거쳐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웹사이트로 동작되는 웹서버(150)에 접속해서 앱을 다운받아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굳이 여기에 한정하지 않고, IOS 계열이건 안드로이드 계열이건 관계없이 각 OS에 맞는 앱을 앱 스토어에 올려서 배포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앱(App)의 다운 및 설치과정 그리고 인증단계 등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키입력부(126)는 터치 스크린이나 키패드로 해당 키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통상의 스마트폰 기능 제어에 필요한 키와 본 발명의 명함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단말기(120)는 단말기의 명함저장부(122)에 저장되어 있는 명함을 단말기에서 선택하여 바로 명함발급기(130)로 전송하여 발급이 가능하며 가지고 있는 NFC명함(110)에 태깅을 하여 그 정보를 명함발급기(130)로 전송하여 발급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때도 태깅된 NFC명함(110)의 데이터가 명함저장부(122)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명함발급기(130)로 태깅된 데이터를 전송함과 동시에 저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근거리 무선 통신 라벨이 부착된 전자명함 시스템은 NFC명함(110)에 있는 주소정보를 단말기(120)의 사용자 App부(125)에서 판독하여 네비게이션App에 정보를 전달하여 명함의 주소가 네이게이션의 목적지로 설정되어 네이게이션 기능이 실행되도록 한다.
또한, NFC명함(110)에 있는 전화정보를 단말기(120)의 사용자 App부(125)에서 판독하여 단말기(120)의 통화 기능에 정보를 전달하여 명함의 전화번호로 자동 발신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네이게이션 주소 정보와 전화번호를 전달하는 매개체 기능을 사용자 App부(125)가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NFC명함(110)을 태깅하면 단말기(120)의 단말제어부(124)는 자동으로 네비게이션에 목적지가 설정된 상태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명함발급기(130)는 KIOSK형태로 단말기(120)로부터 명함데이터를 태깅받아 NFC 명함(110)을 발급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발급된 NFC명함(110)에는 주소와 이름 및 전화번호 등이 기본 데이터로 등록되어 있으며, KIOSK가 아니더라도 통상의 NFC 인코딩장치를 이용하면 NFC 명함(110)에 데이터 쓰기와 지우기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KIOSK로 구성된 명함발급기(130)는 NFC명함(130)에 정보를 기록하는 기능과 명함의 디자인을 하고 이를 발급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명함발급기(130)는 단말기(120)의 태깅 시 NFC 태그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NFC Reader(131)와 명함의 다양한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템플릿 형태의 명함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는 템플릿저장부(132), 선택된 템플릿이미지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33), 템플릿을 선택하고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으며 명함발급 버튼을 구비한 입력부(135), 디스플레이된 명함이미지와 데이터를 전사하는 전사부(136), NFC 명함(110)에 구비된 태그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엔코딩부(137), 엔코딩된 NFC전자명함을 발급하는 NFC 명함 발급부(139)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전사부(136)는 NFC인레이를 명함지에 접착하고, 템플릿과 데이터가 명함지에 인쇄되도록 동작되는 것으로,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NFC 명함 발급부(139)에서 NFC 명함(110)을 발급하기 전에 엔코딩부(137)에서 엔코딩된 데이터를 검수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검수부(138)를 추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34)는 단말기(120)의 태깅에 의하여 NFC Reader(131)로 전자 명함 데이터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부(133)에 수신된 명함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시키고 뎀플릿저장부(132)에서 사용자가 소정의 명함 이미지 선택하게 하고, 선택된 템플릿에 수신된 데이터를 링크시켜 디스플레이부(133)에 템플릿과 데이터를 표시되게 한다.
이후, 입력부(135)로부터 데이터의 수정이 완료되어 명함 발급 버튼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4)는 해당 이미지를 명함지에 전사하도록 전사부(136)를 동작시키고, 이어 NFC 태그에 해당 데이터를 엔코딩하도록 엔코딩부(137)를 제어하고, 엔코딩된 데이터는 검수부(138)에서 기록하고자 하는 데이터와 NFC명함의 태그로 판독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오류가 발생하면 다시 엔코딩하여 정확한 데이터가 기록되도록 하여 NFC명함발급부(139)로 발급되어 사용자가 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발급된 NFC명함(110)은 명함저장부(122)에 ID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면 다음 발급 시 해당 데이터를 판독하여 손쉽게 발행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전자명함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하에서는 전자 명함을 발급하는 과정과 그 작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자 명함 발급 및 사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주문단계(S210 내지 S214)와 제작단계(S221 내지 S225) 그리고 발급된 명함을 사용하는 사용단계(S230)로 이루어진다.
주문단계는 단말기(120)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먼저 단말기(120)에 NFC명함(110)을 태깅(Tagging)하면(S210), 단말기(120)는 앱을 구동하거나 또는 이미 구동되어 있는 앱을 실행하여 명함저장부(122)에 명함자료를 저장한다(S211).
키입력부(126)를 통하여 명함을 발급하고자 하면(S212), 명함저장부(122)에 저장되어 있는 명함자료 중 발급하고자 하는 명함을 명함선택부(123)를 통하여 발급자료를 선택하게 된다(S213).
이후, 단계 S214에서 선택된 명함자료를 명함발급기(130)인 KIOSK의 NFC Reader(131)에 태깅을 통하여 전달하면 명함발급기(130)의 제어부(134)는 템플릿저장부(132)에 저장되어 있는 템플릿을 디스플레이부(133)에 표시되도록 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템플릿을 입력부(135)를 통하여 선택받도록 한다(S221).
단계 S221에서 템플릿이 선택되면 제어부(134)는 해당 템플릿에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받은 명함자료를 표시하고 전사부(136)에서 전사하도록 한다(S222).
단계 S222에서 명함을 전사함과 동시에 제어부(134)는 NFC명함(110)의 태그에 전사한 자료를 엔코딩부(137)에서 엔코딩하도록 제어한다(S223).
이때의 엔코딩 자료는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한 명함자료 및 템플릿 데이터를 모두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 S223에서 명함정보의 엔코딩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검수부(138)에서 엔코딩된 데이터를 검수하도록 한다(S224).
이러한 엔코딩된 데이터를 판독하여 저장하고자 하는 데이터와의 비교를 행하는 검수작업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검수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면 에러가 발생한 명함은 제거하고 다시 명함을 발급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S138에서 검수가 완료되면, NFC 명함 발급부(139)를 통하여 NFC 명함(110)을 발급하도록 한다(S225).
이후 발급된 명함은 단말기(120)에 태깅을 통하여 네비게이션이나 전화걸기로 자동으로 사용하면 된다(S230).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NFC명함(110)을 이용하여 단말기(120)에서 네이게이션이나 전화걸기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전자명함을 이용하여 전화걸기나 네비게이션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명함발급기(130)를 통하여 발급된 NFC명함(110)을 단말기(120)에 태깅하면(S270), NFC 인터페이스(121)는 사용자 App부(125)의 앱을 실행하여 태깅된 정보 중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전화걸기로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주소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의 목적지로 설정할 것인지를 질의하게 된다(S271).
단계 S271에서 네비게이션의 목적지로 설정하는 것으로 선택되면 단계 S272에서는 태깅된 정보에서 주소를 판독하여 네비게이션을 실행하여 자동으로 해당 주소를 목적지로 설정하고, 네비게이션을 실행하면 된다(S274).
단계 S271에서 전화걸기로 선택되면, 단말제어부(124)는 태깅된 정보에서 전화번호를 판독하고 해당 전화번호를 착신번호로 하여 전화걸기를 실행하고(S273), 통화호가 연결되면 통화하면 된다(S275).
본 발명에서는 NFC명함(110)이 단말기(120)에 태깅되면 전화걸기나 네비게이션의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설명하였으나, 초기에 NFC명함(110)이 태깅되면 자동으로 네비게이션을 실행하도록 하고, 전화걸기는 별도의 선택키로 설정하게 할 수도 있으며, 또한 반대로 전화걸기가 자동으로 실행되게 하고, 네비게이션 기능은 선택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10 : NFC명함 120 : 단말기
121 : NFC 인터페이스 122 : 명함저장부
123 : 명함선택부 124 : 단말제어부
125 : 사용자 App.부 126 : 키입력부
130 : 명함발급기 131 : NFC Reader
132 : 템플릿저장부 133 : 디스플레이부
134 : 제어부 135 : 입력부
136 : 전사부 137 : 엔코딩부
138 : 검수부 139 : NFC 명함 발급부
140 : 인터넷 150 : 웹서버

Claims (5)

  1.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수단과 명함데이터의 전송, 전화걸기 또는 네비게이션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근거리 무선 통신(NFC:Near Field Commucation)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태깅(tagging)을 통하여 태그에 저장된 명함정보를 전송하는 NFC 명함;
    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NFC명함의 태깅에 의하여 상기 NFC명함에 기록된 명함정보에서 주소정보를 판독하여 네비게이션의 목적지로 설정하고 네비게이션 기능을 활성하거나 또는 전화번호를 판독하여 착신번호로 통화호를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라벨이 부착된 전자명함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NFC명함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명함저장부에 저장된 명함정보를 태깅에 의하여 명함발급기에서 발급되도록 구성한 근거리 무선 통신 라벨이 부착된 전자명함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NFC명함으로부터 태깅에 의하여 명함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명함저장부에 저장된 명함정보를 태깅에 의하여 송신하도록 동작하는 NFC인터페이스;
    상기 NFC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된 명함정보를 저장하는 명함저장부;
    상기 명함저장부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함정보에서 발급받을 명함정보를 선택하는 명함선택부;및
    명함데이터의 전송, 전화걸기 또는 네비게이션 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사용자 App.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상기 명함선택부에 의하여 선택된 명함정보를 상기 명함발급기로 전송하고, 상기 NFC명함이 태깅되면 상기 사용자 App.부의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여 상기 NFC명함에 기록된 명함정보에서 주소정보를 판독하여 네비게이션의 목적지로 설정하고 네비게이션 기능을 활성하거나 또는 판독된 전화번호를 착신번호로 통화호를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라벨이 부착된 전자명함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발급기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태깅에 의하여 명함정보를 수신하는 NFC Reader;
    태그에 정보를 저장하는 엔코딩부;및
    상기 NFC Reader로부터 명함정보가 수신되면 발급할 명함지에 명함정보를 전사하고, 상기 엔코딩부에 수신된 명함정보를 엔코딩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라벨이 부착된 전자명함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발급기는
    하나 이상의 명함이미지를 저장하고 있는 템플릿저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템플릿저장부에서 선택된 명함이미지와 상기 NFC Reader로부터 수신된 명함정보를 전사하고, 이를 상기 엔코딩부에서 엔코딩하도록 제어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라벨이 부착된 전자명함 시스템.








KR1020130019369A 2013-02-22 2013-02-22 근거리 무선 통신 라벨이 부착된 전자명함 시스템 KR201401056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369A KR20140105666A (ko) 2013-02-22 2013-02-22 근거리 무선 통신 라벨이 부착된 전자명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369A KR20140105666A (ko) 2013-02-22 2013-02-22 근거리 무선 통신 라벨이 부착된 전자명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666A true KR20140105666A (ko) 2014-09-02

Family

ID=51754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369A KR20140105666A (ko) 2013-02-22 2013-02-22 근거리 무선 통신 라벨이 부착된 전자명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566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504690A (ja) 決済方式の選択のための決済デバイス制御方法
US8090842B2 (en) Method of interaction with physical elements forming the content of a machine
US8364793B2 (en) Communication terminal, user data transferring system and user data transferring method
CN104601812A (zh) 短信内容展示方法及短信展示确定方法、装置及系统
CN101416169B (zh) 通信终端和列表显示方法
CN103916560A (zh) 支持近场通信功能的图像形成装置和设置图像作业的方法
US20160364719A1 (en) User equipment for reverse nfc payment, nfc payment terminal, reverse nfc pay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CN103179267A (zh) 在便携式终端中管理消息的附件的装置和方法
KR20120032632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갱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80030723A (ko)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신용카드 관련 서비스 수행 방법
CN108055293A (zh) 应用程序中业务快速启动方法及装置和电子设备
US20080235593A1 (en) Mobile device system and mobile device
KR20140105666A (ko) 근거리 무선 통신 라벨이 부착된 전자명함 시스템
JP2005215796A (ja) 携帯端末のファームウェア更新システムと方法、更新モジュール配布媒体、携帯端末、及びプログラム
KR10069488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명함 송수신장치 및 방법
JP4661455B2 (ja) 携帯端末、そのデータ共有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40140775A (ko) 스마트 모바일 명함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고객 관리 방법
US20170301007A1 (en) Store terminal and method performed by store terminal
US20160371677A1 (en) Electronic device and output device short range communication pairing system and method
KR20140105665A (ko) 근거리 무선 통신 라벨이 부착된 전자명함 시스템
US7757008B2 (en) Module-based oper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ortable device
US20170345045A1 (en) Terminal, server, pos terminal for providing benefit about products using admission number of credit card, pay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US20160085471A1 (en) Storage device and method
KR100924119B1 (ko) Scws 멀티미디어 주소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102610663B1 (ko) 신용카드의 승인번호를 활용한 상품단위의 혜택 제공을 위한 단말, 서버, pos 단말,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