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4081A -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4081A
KR20140104081A KR1020130017434A KR20130017434A KR20140104081A KR 20140104081 A KR20140104081 A KR 20140104081A KR 1020130017434 A KR1020130017434 A KR 1020130017434A KR 20130017434 A KR20130017434 A KR 20130017434A KR 20140104081 A KR20140104081 A KR 20140104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light
light emitting
coil part
radio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레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레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레이텍
Priority to KR1020130017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4081A/ko
Publication of KR20140104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40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45C15/06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with illumin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05Means for indicating features of the content from outside

Abstract

발광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가 제공된다. 보호케이스는, 휴대단말기에 밀착되는 몸체와, 몸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발광부와, 몸체에 형성되어 휴대단말기가 송출하는 근거리 통신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부, 안테나부와 연결되어 휴대단말기와 교신하며,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발광부를 구동하는 구동부, 몸체의 일 측에 형성되고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 전파와 간섭하여 구동부에 공급되는 구동전력을 생산하는 제1 코일부, 및 몸체의 타 측에 형성되고 휴대단말기의 원거리 통신 전파와 간섭하여 구동부에 공급되는 구동전력을 생산하는 제2 코일부를 포함하여, 구동부가 제1 코일부 및 제2 코일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구동전력을 공급받는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Protective case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발광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의 작동상태 및 움직임 등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발광하며, 발광하는 빛의 색상을 자유롭게 조절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Portable terminal)는 개인이 휴대 가능한 정보 수신장치 또는 정보 처리장치를 말한다. 휴대단말기는 종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팜 사이즈(Palm-sized)의 소형 컴퓨터나, 휴대폰과 같은 개인용 통신장비를 지칭하는 의미로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이보다 발전된 것으로서 터치스크린을 구비하고 휴대전화기능과 무선인터넷기능을 통합하여 제공하는 초소형의 휴대 컴퓨터장치 즉, 스마트폰을 일컫는 말로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일반 대중에게 널리 보급되어 이미 일상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생활 필수품이 되었으며, 이에 따라, 휴대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여 각종의 액세서리들이 제공되고 있다. 휴대단말기의 표면에 밀착하여 장착되는 보호케이스(Protective case/guard)는 휴대단말기를 먼지 등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여 기기의 수명을 증가시키거나, 휴대기기의 특성상 필연적으로 존재하는 추락의 위험으로부터 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종류가 생산되고 있다.
한편, 보호케이스가 다종 다양하게 생산되면서 보호케이스의 재질이 개선되었을 뿐만 아니라 보호케이스에 더욱 유용한 별도의 기능을 부가하려는 시도가 있어왔다.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11568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발광기능을 갖는 휴대폰 보호케이스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보호케이스는 발광기능만을 강화하여 단순히 장식적인 목적을 가지고 제작된 것인 바, 이를 통해 휴대단말기의 활용도를 높이거나 사용 편의성 등을 향상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발광기능을 갖는 종래의 보호케이스의 경우, 발광되는 색상의 표현이 자유롭지 못하고, 색상을 변화시키는 것 역시 용이하지 못하여 시각적인 면에 있어서도 만족스러운 효과를 얻기 어려웠다.
[특허문헌 1]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115681호, (2006.11.09), 도 3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단말기의 작동상태 및 움직임 등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발광하며, 발광하는 빛의 색상을 자유롭게 조절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는, 휴대단말기에 밀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발광부;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가 송출하는 근거리 통신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부; 상기 안테나부와 연결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와 교신하며,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발광부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몸체의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 전파와 간섭하여 상기 구동부에 공급되는 구동전력을 생산하는 제1 코일부; 및 상기 몸체의 타 측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원거리 통신 전파와 간섭하여 상기 구동부에 공급되는 구동전력을 생산하는 제2 코일부; 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부가 상기 제1 코일부 및 상기 제2 코일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구동전력을 공급받는 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코일부 또는 상기 제2 코일부로부터 구동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받되,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제1 코일부로부터 구동전력이 공급되는 때, 및 상기 제2 코일부로부터 구동전력이 공급되는 때, 각각 서로 다른 패턴으로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휴대단말기와의 교신을 통해 서로 다른 하나 이상의 패턴으로 조정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교신을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는 가속도 정보를 상기 구동부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신호의 패턴이 상기 가속도 정보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상기 보호케이스는 상기 제어신호의 패턴을 기록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전파는 주파수 대역이 13.56Mhz인 통신용 전파이며, 상기 원거리 통신 전파는 상기 근거리 통신 전파보다 주파수 대역이 높을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레드, 그린, 및 블루 각각의 색상으로 발광하는 적어도 세 개의 광원, 및 일단부가 상기 광원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판상의 도광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상기 도광부재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도광부재의 타단부로 전파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LED일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상기 몸체의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복수개로 이루어진 상기 발광부 중 하나에 포함되는 상기 도광부재의 타단부는 복수개로 이루어진 상기 발광부 중 다른 하나에 포함되는 상기 도광부재의 타단부와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도광부재의 중첩된 타단부에 반사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광부재의 타단부가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향하도록 상기 도광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굴절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개폐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커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케이스는, 상기 커버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며, 발광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발광부와 중첩되는 면발광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광부재의 내측에 상기 빛을 난반사시켜 상기 빛의 전파방향을 전환하는 확산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상기 도광부재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고 상기 도광부재보다 굴절률이 큰 물질로 형성되는 확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는 휴대단말기의 작동상태 및 움직임 등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발광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여 휴대단말기의 상태를 파악하고 휴대단말기를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발광기능과 휴대단말기의 움직임 등을 유기적으로 연계시킴으로써 휴대단말기를 다양한 방식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발광되는 빛의 색상을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어 시각적 효과가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보호케이스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부 간의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보호케이스의 발광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보호케이스의 발광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1의 보호케이스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보호케이스의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보호케이스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휴대단말기'는 휴대 가능한 소형의 통신장비, 및 컴퓨터 장비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서,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통신 전파를 사용하여 외부와 교신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전면'은 각종 정보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부분으로서,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가 장착된 휴대단말기의 외측 면을 말한다.
또한, '근거리 통신 전파'는 미터 단위 또는 센티미터 단위 이하의 근거리 무선통신에 사용되는 상대적으로 저주파 영역의 전파를 말하며,'원거리 통신 전파'는 킬로미터 단위 이상의 원거리 무선통신에 사용되는 상대적으로 고주파 영역의 전파를 말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보호케이스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부 간의 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1)는 몸체(10)와, 몸체(10)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발광부(100a, 100b, 100c, 100d), 역시 몸체(10)에 형성되어 휴대단말기(도 2의 A참조)가 송출하는 근거리 통신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부(300), 안테나부(300)와 연결된 구동부(200), 및 몸체(10)의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형성된 제1 코일부(400)와 제2 코일부(500)를 포함한다. 발광부(100a, 100b, 100c, 100d)는 구동부(200)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발광하며, 제어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구동전력은 제1 코일부(400) 및 제2 코일부(500)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구동부(200)에 공급된다.
이 때, 제1 코일부(400)는 휴대단말기(A)의 근거리 통신 전파와 간섭하여 구동전력을 생산하며, 제2 코일부(500)는 휴대단말기(A)의 원거리 통신 전파와 간섭하여 구동전력을 생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1)는 휴대단말기(A)가 근거리 통신 전파를 송수신하거나, 또는 휴대단말기(A)가 원거리 통신 전파를 송수신하는 때 모두 반응하여 발광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배터리 등을 사용할 필요 없이, 휴대단말기(A)의 교신상태나 착신상태 등을 외부로 용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안테나부(300)는 휴대단말기(A)가 송출하는 근거리 통신 전파를 수신하며 구동부(200)는 이러한 안테나부(300)를 통해 휴대단말기(A)와 교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휴대단말기(A)를 조작하여 구동부(20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의 패턴을 조정하거나, 발광부(100a, 100b, 100c, 100d)가 휴대단말기(A)의 움직임 등과 연계하여 유기적으로 발광하도록 설정하여 휴대단말기(A)를 다양한 방식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발광부(100a, 100b, 100c, 100d)는 각각 레드, 그린, 및 블루의 색상으로 발광하는 적어도 세 개의 광원(120)을 포함하여 발광시 다양한 색상을 표현하며, 이로써 사용자의 시각적 인지효과 및 심미감 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특징을 갖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1)의 각 구성부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몸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도 5 및 도 6의 A 참조)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몸체(10)는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A)의 배면에 밀착되는 저면부(11), 및 저면부(11)로부터 연장되어 휴대단말기(A)의 측면에 밀착되는 복수의 발광부(100a, 100b, 100c, 100d)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몸체(10)의 형상이 이러한 형상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몸체(10)는 휴대단말기(A)를 감싸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는 형상이면 이와 다른 형상으로도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몸체(10)의 일 측에는 휴대단말기(A)에 통신케이블이나 이어폰 등을 연결하기 위해 개방되는 연결홀(14)들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발광부(100a, 100b, 100c, 100d)는 몸체(10)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발광부(100a, 100b, 100c, 100d)는 몸체(10)의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개가 형성되었으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각각의 발광부(100a, 100b, 100c, 100d)가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될 수 있다. 이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시각적인 인지 효과나 심미적 효과 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복수개로 이루어진 발광부(100a, 100b, 100c, 100d) 각각은 적어도 세 개의 광원(120), 및 일단부가 광원(120)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판상의 도광부재(110)를 포함한다. 이하,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한 것이 되도록, 광원(120) 및 도광부재(110)에 대한 설명은 하나의 발광부(100a)를 예시적으로 하여 설명한다.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이러한 설명사항은 각각의 다른 발광부(100b, 100c, 100d)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광원(120)은 적어도 세 개가 형성된다. 각각의 광원(121, 122, 123)은 예를 들어, 레드, 그린, 및 블루의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로 형성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각각의 광원(121, 122, 123)들은 레드, 그린, 및 블루 중 어느 하나의 색상으로 선택적으로 발광할 수 있는 LED 칩셋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제어신호를 통해 각각의 광원(121, 122, 123)들의 색상을 조절하여 레드, 그린, 및 블루의 색상으로 발광되도록 할 수 있다. 광원(121, 122, 123)들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증가할 수 있으며, 광원(121, 122, 123)의 배치상태 역시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색상이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광원(121, 122, 123) 각각은 서로 균일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광부재(110)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일단부가 광원(120)과 인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광원(120)으로부터 발생된 빛은 도광부재(110)의 일단부로 입사한 후 일단부가 아닌 타단부로 전파하게 된다. 이 때, 도광부재(110)의 일단부라 함은 도광부재(110)의 단부 중 광원(120)이 인접한 단부를 말하는 것이며, 도광부재(110)의 타단부라 함은 광원(120)이 인접하지 않은 도광부재(110)의 나머지 단부 전부를 말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도광부재(110)로 입사한 빛은 도광부재(110)를 통과하여 도달 가능한 모든 단부로 전파된다. 도광부재(110)는 예를 들어, 아크릴 등의 광투과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등을 재료로 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광부재(110)의 타단부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테두리부분을 형성하고, 도면상의 상방으로 연장된 단부일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발광부(100a, 100b, 100c, 100d)가 서로 연결되는 연결지점에 위치하는 단부일 수도 있다. 특히, 발광부(100a, 100b, 100c, 100d)가 서로 연결되는 지점에서 하나의 발광부(100a)에 포함되는 도광부재(110)의 타단부와 다른 하나의 발광부(100b)에 포함되는 도광부재의 타단부는 적어도 일부 서로 중첩된다.
이와 같이 중첩된 타단부에 반사부재(12)를 형성할 수 있다. 반사부재(12)는 도광부재(110)를 통해 전파된 빛을 재반사시켜 각각의 발광부(100a, 100b, 100c, 100d)가 서로 독립된 색상으로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1)의 색상이 간섭 없이 더욱 용이하게 조정된다. 반사부재(12)는 서로 다른 발광부(100a, 100b, 100c, 100d)가 서로 연결되거나 또는 서로 접하는 부분에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반사부재(12)는 표면이 매끄럽게 가공된 금속재나, 반사도가 높은 도료로 도색된 플라스틱, 또는 유리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 도광부재(110)의 단부 특히, 전술한 타단부 중 일부를 가공하는 방식 등을 통해 도광부재(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안테나부(300), 구동부(200), 메모리부(210)와, 제1 코일부(400) 및 제2 코일부(500)는 몸체(10)의 일 측, 이를 테면, 저면부(11)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저면부(11) 내측의 공간을 활용하여 서로 유기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중심으로 이들 간의 관계 및 각각의 구성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안테나부(300)는 휴대단말기(A)가 송출하는 근거리 통신 전파를 수신한다. 이 때, 근거리 통신 전파는 수 센티미터 이내의 거리에서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파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3. 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통신용 전파일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전파는 암호화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표준화되며, 이를 테면, FeliCa 방식으로 표준화된 전파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안테나부(300)는 코일 형상, 박막 형상 등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1)의 구조 및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부(200)는 안테나부(300)와 연결되며, 상기 근거리 통신 전파를 통해 휴대단말기(A)와 교신한다. 구동부(200)는 예를 들어, 연산유닛이 내장된 IC칩셋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휴대단말기(A)에 내장된 프로그램이나 다운로드된 응용프로그램(App)등을 이용하여 구동부(200)가 인가하는 제어신호의 패턴을 다양하게 조정/변경할 수 있다. 패턴이 변경된 제어신호는 구동부(200) 또는 구동부(200)와 연결된 별도의 메모리부(210) 등에 입력되었다가, 구동부(200)에 전력이 공급되면 즉시 발광부(100a, 100b, 100c, 100d)로 인가될 수 있다. 메모리부(210)는 예를 들어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어신호의 패턴은 휴대단말기(A)와 교신하는 동안 휴대단말기(A)가 제공하는 정보에 따라 실시간으로 조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휴대단말기(A)의 작동상태나 움직임 등에 대응하여 예를 들어, 발광부(100a, 100b, 100c, 100d)가 점멸하거나 색상이 변화할 수 있으며, 그 밖에도 다양한 패턴으로 발광할 수 있다.
제1 코일부(400) 및 제2 코일부(500)는 각각 전파와 간섭하여 구동부(200)에 공급되는 전력, 즉 구동전력을 생산하되, 제1 코일부(400)는 전술한 근거리 통신 전파와 간섭하여 구동전력을 생산하고, 제2 코일부(500)는 근거리 통신 전파가 아닌 원거리 통신 전파와 간섭하여 구동전력을 생산한다.
이 때, 원거리 통신 전파는 근거리 통신 전파와는 주파수 대역이 다른 전파로 예를 들어, 수백 Mhz 내지 수 GHz 단위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전파일 수 있다. 이러한 전파는 상대적으로 직진성이 강하여 원거리 통신에 사용되는 전파이며, 휴대단말기(A)가 기지국과 송수신하는 데 사용되는 전파일 수 있다.
전술한 근거리 통신 전파는 대개 휴대단말기(A)가 활성화된 상태에서만 송수신된다. 따라서, 휴대단말기(A)가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이 잠금 상태로 되어있는 경우에는 이를 감지할 수 없으며, 제1 코일부(400)로부터 전력이 생산되지 않는다. 즉, 제1 코일부(400)만으로는 휴대단말기(A)가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보호케이스가 발광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1)는 제2 코일부(500)가 원거리 통신 전파를 감지하고 이와 간섭하여 구동전력을 생산하므로, 휴대단말기(A)가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에도 용이하게 발광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구동부(200)는 상황에 따라 제1 코일부(400) 및 제2 코일부(5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구동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제1 코일부(400) 및 제2 코일부(500) 모두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동부(200)가 제1 코일부(400) 또는 제2 코일부(500)로부터 구동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받고, 제어신호 역시 이에 대응하여 제1 코일부(400)로부터 구동전력이 공급되는 때, 또는 제2 코일부(500)로부터 구동전력이 공급되는 때 각각 서로 다른 패턴으로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1)는 근거리 통신 전파를 송수신 하는 경우와, 원거리 통신 전파를 송수신 하는 경우 각각 서로 다른 방식으로 발광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인지하여 휴대단말기(A)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제2 코일부(500)가 구동전력을 생산하는 상태는 원거리 통신 전파가 휴대단말기(A)로부터 송출되거나 반대로 수신되고 있는 상태이며, 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기(A)가 잠금상태로 유지된 채 기지국과 교신하여 착신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반면, 제1 코일부(400)가 구동전력을 생산하는 상태는 근거리 통신 전파가 휴대단말기(A)로부터 송출되거나 반대로 수신되고 있는 상태이며, 예를 들어, 비접촉식 데이터전송장치 등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기(A)에 전자화폐를 충전하거나 충전된 전자화폐로 결재하고 있는 상태이거나, 휴대단말기(A)가 인접한 타 기기와 데이터를 교환하고 있는 상태 등일 수 있다.
제1 코일부(400) 및 제2 코일부(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우선, 제1 코일부(400)는 각 변이 균일한 너비를 갖는 루프형태의 코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파장이 길고 휴대단말기(A) 주변의 다양한 방향으로 전파되는 근거리 통신 전파와 용이하게 간섭할 수 있다.
반면, 제2 코일부(500)는 각 변의 너비가 균일하지 않은 편향된 루프형태의 코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파장이 짧고 직진성이 강한 원거리 통신 전파와 용이하게 간섭할 수 있다.
각각의 코일부(400, 500)는 전파와 간섭하면 전자기 유도현상에 의해 전력을 생산하며, 생산된 전력은 구동부(200)에 제공되어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1)는 발광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별도의 배터리를 장착할 필요가 없다. 이로써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1)가 경량화 될 수 있다.
제어신호는 구동부(200)로부터 발광부(100a, 100b, 100c, 100d)에 인가되어 발광부(100a, 100b, 100c, 100d)를 구동한다. 발광부(100a, 100b, 100c, 100d)가 구동되면, 광원(120)으로부터 빛이 발생하고, 발생한 빛은 도광부재(110)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통과하여 전파된다. 이 때, 도광부재(110)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는 확산부재(111)를 형성함으로써, 발광되는 빛의 광량을 적절한 수준으로 감소시켜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주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광원(121, 122, 123)의 색상을 조합함으로써, 서로 다른 발광부(100a, 100b, 100c, 100d)가 각각 서로 다른 색상(C1, C2, C3, C4)으로 발광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제어신호의 패턴을 조절하여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1)가 다양한 방식으로 발광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보호케이스의 발광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보호케이스의 발광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도 1의 보호케이스의 사용상태도이다.
우선,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1)의 발광기능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알 수 있다.
광원(120)으로부터 발생된 빛은 도광부재(110)를 따라 광원(120)이 인접한 단부인 일단부로부터 상기 일단부가 아닌 타단부로 전파한다.
도광부재(110)는 전체적으로 판상으로 형성되나,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굴절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빛이 전파되는 타단부가 휴대단말기(도 5 및 도 6의 A 참조)의 전면을 향하게 되어, 사용자가 이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이 때, 확산부재(111)는 빛이 전파되어 나오는 타단부에 중첩되어 발광되는 빛의 광량을 감소시키고 빛이 휴대단말기(A) 주위로 은은하게 발광되도록 할 수 있다. 확산부재(111)는 도광부재(110)보다 굴절률이 높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도광부재(110)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될 수 있다. 확산부재(111)는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빛이 전파되어 나오는 도광부재(110)의 단부 즉, 전술한 타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서로 다른 발광부(100a, 100d)는 구동부(200)로부터 각각 다른 형태의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각각이 완전히 다른 색상(C1, C4)으로 발광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발광부(100a, 100d) 사이에 반사부재(12)를 형성하여 각각의 발광부(100a, 100d)에서 발광된 빛의 색상(C1, C4)이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서로 다른 발광부(100a, 100d)의 색상을 다양하게 조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5를 참조하면, 휴대단말기(A)가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1)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술한 근거리 통신 전파나 원거리 통신 전파가 휴대단말기(A)에 송수신되는 즉시 휴대단말기(A) 주위로 빛이 발광하게 된다. 이 때, 발광하는 빛은 복수의 발광부(100a, 100b, 100c, 100d) 각각에 서로 다른 색상(C1, C2, C3, C4)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발광부(100a, 100b, 100c, 100d)에서 발광되는 빛의 색상(C1, C2, C3, C4)은 레드, 그린, 및 블루의 삼원색이 조합된 것이며, 따라서, 각각의 발광부(100a, 100b, 100c, 100d)는 특정 색상에 구애되지 않는 다양한 색상으로 발광할 수 있다. 발광부(100a, 100b, 100c, 100d)의 색상(C1, C2, C3, C4)은 교신을 통해 휴대단말기(A)에서 조작할 수 있는 것이며, 구동부(도 1 및 도 2의 200 참조)에서 인가하는 제어신호의 패턴을 변화시킴으로써 다른 색으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이다. 각각의 색상(C1, C2, C3, C4)은 반사부재(12)의 반사작용에 의해 서로 혼합되지 않고 각각의 발광부(100a, 100b, 100c, 100d) 주위에 유지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반사부재(12)는 필요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서로 다른 발광부(100a, 100b, 100c, 100d) 사이에 서로 다른 색의 빛(C1, C2, C3, C4)이 혼합된 혼합영역이 생성될 수 있으며, 혼합영역으로부터 발광부(100a, 100b, 100c, 100d)에서 발광된 빛의 색상(C1, C2, C3, C4)이 랜덤하게 조합된, 다양한 색상의 빛(C5, C6, C7, C8)을 추가로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더욱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1)가 더욱 화려하게 발광할 수 있다.
이어서, 도 7을 참조하면,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1)의 발광기능은 휴대단말기(A)의 움직임과도 연동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A)가 스마트폰인 경우, 스마트폰에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는 가속도 센싱 기능을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1)의 발광기능과 연계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특정 응용프로그램(App)을 실행하여 휴대단말기(A)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는 가속도 정보를 구동부(도 1 및 도 2의 200 참조)에 전송하고, 구동부(200)가 가속도 정보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패턴의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가속도 정보는 휴대단말기(A) 내부에 탑재된 가속도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3차원 벡터값일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A)의 위치변화에 따라 즉각적으로 변화하여 휴대단말기(A)의 움직임을 반영할 수 있다. 제어신호는 예를 들어 가속도 정보가 특정 값 이상인 경우 또는 특정 방향을 나타내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구분하여 각각 다른 패턴으로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A)가 특정한 방향(도면상의 상방)으로 움직이는 경우, 발광하고, 그와 반대되는 방향(도면상의 하방)으로 방향을 바꾸는 경우 발광이 중지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A)를 흔들면,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1)가 특정 위치에서 점멸하는 형태로 인식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기능은 위급상황에서 원거리에 수신호를 보내거나, 자신의 위치를 알리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공연장 등에서 시각적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1)는 그 밖에도 예시되지 않은 다양한 방식으로 휴대단말기(A)의 기능과 발광기능을 서로 연계시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A)의 효용성이 비약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1-1)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한 것이 되도록, 이하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부분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설명사항으로 대신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보호케이스의 커버의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보호케이스의 사용상태도이다.
우선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1-1)는 몸체(10)에 커버(13)가 포함된다. 커버(13)는 휴대단말기(도 5 및 도 6의 A 참조)가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1-1)에 결합되는 경우 휴대단말기(A)의 전면을 개폐한다. 이 때, 휴대단말기(A)의 전면은 터치스크린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가 장착된 휴대단말기의 외측 면을 말한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발광부(100a, 100b, 100c, 100d) 중 적어도 하나가 커버(13)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13)의 넓은 면에 면발광체(131)를 삽입하여, 면발광체(131)의 발광면의 적어도 일부가 발광부(100a)와 중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발광영역이 확대되고 시인성이 증가할 수 있다.
커버(13)는 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측에는 고리형태의 잠금부(15)가 형성되어 휴대단말기(A)가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1)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커버(13)의 형상 역시 이러한 형상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다. 커버(13)는 개폐가 용이하고 휴대단말기(A)를 보호하기 용이한 형상으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면발광체(131)는 커버(13)에 형성되며,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3)의 내측에 삽입되어 발광부(100a)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면발광체(131)는 연결케이블 등의 회로부재를 이용하여 구동부(200)와 손쉽게 연결될 수 있다.
면발광체(131)는 예를 들어, 전계발광현상(Electroluminescence)을 이용한 것일 수 있으며, 커버(13)의 크기에 대응하여 적절한 크기로 재단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발광부(100a)는 확산패턴(112)을 포함할 수 있다. 확산패턴(1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부재(110)의 내측에 형성되어 광원(120)으로부터 생성된 빛을 난반사키고 전파방향을 바꿀 수 있다. 이로써, 발광부(100a)에서 발광된 빛은 커버(13)의 표면으로 확산된다. 확산패턴(112)은 예를 들어, 도광부재(110) 내부에 불규칙한 균열이 발생하도록 의도적으로 가공하거나, 도광부재(110)의 내부에 입상의 반사체 등을 첨가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면발광체(131)에서 생성된 빛은 커버(13)의 연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직진한다. 이 때 면발광체(131)의 발광면은 직진하는 빛을 따라 커버(13)의 표면에 형성되는 것이며, 사용자는 이러한 발광면을 갖는 면발광체(131) 전체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면발광체(131)의 발광면은 커버(13)의 면적에 대응하여 그 너비가 크게 또는 필요에 따라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13)는 다층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13)는 면발광체(131)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132)과, 면발광체(131)에서 생성된 빛을 투과시키기 위한 투광부재(133)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면발광체(131)를 사이에 두고 지지면(132)은 면발광체(131) 하부에, 투광부재(133)는 면발광체(131)의 상부에 서로 중첩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반면, 발광부(100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3)표면의 일부분에 형성된다. 발광부(100a)에서 생성된 빛은 전술한 바와 같이 확산패턴(112)에 의해 난반사되어 커버(13)표면으로 확산되므로, 발광부(100a)가 형성된 커버(13)의 일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 강조된 발광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1-1)가 발광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발광체(131)에 의해 커버(13)전체가 발광하는 배경효과와, 발광부(100a)에 의해 특정한 패턴으로 발광하는 강조효과를 함께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휴대단말기(A)의 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고, 시인성 등의 시각적 효과가 극대화되며, 아울러, 발광기능을 휴대단말기(A)의 움직임 등과 연계시켜 휴대단말기(A)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양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1-1: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10: 몸체
11: 저면부 12: 반사부재
13: 커버 14: 연결홀
15: 잠금부 100a, 100b, 100c, 100d: 발광부
110: 도광부재 111: 확산부재
112: 확산패턴 120, 121, 122, 123: 광원
131: 면발광체 132: 지지면
133: 투광부재 200: 구동부
210: 메모리부 300: 안테나부
400: 제1 코일부 500: 제2 코일부
A: 휴대단말기 C1~C8: 발광하는 빛의 색상

Claims (15)

  1. 휴대단말기에 밀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발광부;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단말기가 송출하는 근거리 통신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부;
    상기 안테나부와 연결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와 교신하며,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발광부를 구동하는 구동부;
    상기 몸체의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근거리 통신 전파와 간섭하여 상기 구동부에 공급되는 구동전력을 생산하는 제1 코일부; 및
    상기 몸체의 타 측에 형성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원거리 통신 전파와 간섭하여 상기 구동부에 공급되는 구동전력을 생산하는 제2 코일부; 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부가 상기 제1 코일부 및 상기 제2 코일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구동전력을 공급받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코일부 또는 상기 제2 코일부로부터 구동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받되,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제1 코일부로부터 구동전력이 공급되는 때, 또는 상기 제2 코일부로부터 구동전력이 공급되는 때, 각각 서로 다른 패턴으로 인가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휴대단말기와의 교신을 통해 서로 다른 하나 이상의 패턴으로 조정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교신을 통해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는 가속도 정보를 상기 구동부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신호의 패턴이 상기 가속도 정보에 따라 변화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의 패턴을 기록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전파는 주파수 대역이 13.56Mhz인 통신용 전파이며, 상기 원거리 통신 전파는 상기 근거리 통신 전파보다 주파수 대역이 높은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레드, 그린, 및 블루 각각의 색상으로 발광하는 적어도 세 개의 광원, 및
    일단부가 상기 광원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판상의 도광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상기 도광부재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도광부재의 타단부로 전파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몸체의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복수개로 이루어진 상기 발광부 중 하나에 포함되는 상기 도광부재의 타단부는 복수개로 이루어진 상기 발광부 중 다른 하나에 포함되는 상기 도광부재의 타단부와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재의 중첩된 타단부에 반사부재가 형성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재의 타단부가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향하도록 상기 도광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굴절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개폐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커버에 형성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며, 발광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발광부와 중첩되는 면발광체를 더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14. 제 7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재의 내측에 상기 빛을 난반사시켜 상기 빛의 전파방향을 전환하는 확산패턴이 형성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15. 제 7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도광부재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고 상기 도광부재보다 굴절률이 큰 물질로 형성되는 확산부재를 더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20130017434A 2013-02-19 2013-02-19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1401040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434A KR20140104081A (ko) 2013-02-19 2013-02-19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434A KR20140104081A (ko) 2013-02-19 2013-02-19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081A true KR20140104081A (ko) 2014-08-28

Family

ID=51748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434A KR20140104081A (ko) 2013-02-19 2013-02-19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408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6913A1 (en) * 2016-01-21 2017-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electronic device
KR102264210B1 (ko) * 2020-01-22 2021-06-11 주식회사 제이앤비 발광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
US11451257B1 (en) * 2012-04-18 2022-09-20 STAR CO Scientific Technologies Advanced Research Co LLC Active cover for electronic devic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1257B1 (en) * 2012-04-18 2022-09-20 STAR CO Scientific Technologies Advanced Research Co LLC Active cover for electronic device
WO2017126913A1 (en) * 2016-01-21 2017-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electronic device
US10027380B2 (en) 2016-01-21 2018-07-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electronic device
US10511348B2 (en) 2016-01-21 2019-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electronic device
US10944446B2 (en) 2016-01-21 2021-03-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electronic device
US11368192B2 (en) 2016-01-21 2022-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electronic device
KR102264210B1 (ko) * 2020-01-22 2021-06-11 주식회사 제이앤비 발광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6854B1 (ko) 도광판 발광형 nfc 단말기용 외부 케이스
KR101131977B1 (ko) 배터리 커버에 발광장치가 구비된 휴대폰
KR101347271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발광 장치가 구비된 인조 손톱
KR20140104081A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CN102957409A (zh) 移动感应开关
KR20080075764A (ko) 단말 장치
CN113132598B (zh) 呼吸灯组件、摄像头组件及电子设备
KR101344048B1 (ko) 발광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 커버
KR100976975B1 (ko) 오버랩 키패드
KR101764744B1 (ko) 휴대단말기용 발광 액세서리
CN104282489A (zh) 继电器
JP2013157975A (ja) 携帯端末機用ケース
KR101469652B1 (ko) 엘이디 장식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101270334B1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102264210B1 (ko) 발광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케이스
KR101466986B1 (ko) 휴대폰 케이스
KR20140057126A (ko) 발광 가독성이 향상된 발광 케이스
JP5932496B2 (ja) 携帯電子機器
CN104868224A (zh) 一种电子设备
US11293604B2 (en) LED light source mechanism, telephone set, and method for forming LED light source
KR101584537B1 (ko) 키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CA3084202C (en) Led light source mechanism, telephone set, and method for forming led light source
JP4834914B2 (ja) 発光表示装置
CN2563593Y (zh) 用于小型电子装置的均匀发光结构
KR101482919B1 (ko) 휴대폰 디스플레이 화면의 광을 이용한 커버의 발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