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2985A - 로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로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2985A
KR20140102985A KR1020130016587A KR20130016587A KR20140102985A KR 20140102985 A KR20140102985 A KR 20140102985A KR 1020130016587 A KR1020130016587 A KR 1020130016587A KR 20130016587 A KR20130016587 A KR 20130016587A KR 20140102985 A KR20140102985 A KR 20140102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oaming service
location registration
message
pdp con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6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5836B1 (ko
Inventor
김종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6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5836B1/ko
Publication of KR20140102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2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12Mobility data transfer between location registers or mobility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Abstract

본 발명은 로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로밍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위치 등록 또는 데이터 접속 실패에 대한 오류가 발생한 경우, 자동으로 재 접속을 수행하고, 오류와 관련된 메시지를 팝업 기능으로 제공함으로써, 로밍 서비스 위치 등록 실패 또는 데이터 접속 실패에 따른 오류 발생 시, 자동으로 리셋 기능을 실행하여 로밍 서비스에 대한 고객 불만이 감소되고,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로밍 서비스에 대한 오류 발생 시 국내 고객 센터로 연락할 필요 없이 고객이 현장에서 바로 해결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편리하다.

Description

로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for providing roaming service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로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로밍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위치 등록 또는 데이터 접속 실패에 대한 오류가 발생한 경우, 자동으로 재 접속을 수행하고, 오류와 관련된 메시지를 팝업 기능으로 제공하는 로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로밍 서비스(roaming service)는 서로 다른 통신 사업자의 서비스 지역 안에서도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해 주는 서비스이다. 일정 영역 내에 다수의 이동 통신 사업자가 있는 경우, 각자 독립적인 서비스 망을 구축하고 있다. 따라서 회사에 따라 서비스가 잘 되고 잘 되지 않는 지역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런 경우 업체가 서로 제휴하여 어떤 회사에 가입하든 상호간의 서비스 망을 서로 연결하여 아무 곳에서나 품질 좋은 서비스를 받도록 한다면 매우 편리할 것이다. 이와 같이 통신업체끼리 서로 제휴하여 서비스의 품질과 영역을 넓히는 서비스를 로밍 서비스라 한다.
기본적으로 로밍 서비스는 국내 로밍과 국제 로밍의 두 가지 형태가 있다. 국내 로밍은 말 그대로 국내 서비스 사업자간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반해, 국제 로밍은 국가와 국가간에 행해지는 서비스의 상호협조로써 국내 사업자와 해외 사업자가 서로 협정을 맺음으로써 성립된다. 즉, 국내 이동전화 가입자가 이국에 나가서도 별도의 가입 절차 없이 자신의 전화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국제 로밍이다. 우리 나라 업체가 미국이나 일본의 어느 업체와 로밍 서비스를 하기로 하였다면, 그 회사에 가입한 사람은 휴대전화를 미국이나 일본에 들고 가더라도 상대 업체들이 서비스를 하고 있는 지역이라면 우리 나라에서와 같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통상적으로, 국제 로밍 서비스란 국내 이동통신 사업자와 해외 이동통신 사업자간에 협정을 통해 자국 고객이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 해당 여행지 및 타국가로의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특히, 해외 여행이 잦은 이동전화 사용자 입장에서는 매우 편리한 서비스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하지만 서비스 사업자 입장에서는 로밍은 결코 간단하지도 쉽지도 않은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여기에는 여러 가지 복잡한 기술적인 연동과 행정적인 합의가 수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즉, 자국 내에서도 물론 다른 사업자간에 로밍 협정을 맺어야 하고, 국경을 초월한 경우에는 해당 지역의 외국 서비스 사업자와 행정적, 기술적인 복잡한 협정을 맺어야만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동 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상대국 회사와 계약을 맺은 상태에서 자사 고객의 요구가 있을 때, 일정한 절차와 부가요금을 지불하는 조건으로 제공하는 서비스형태이다. 자동 로밍은 고객이 사용하던 휴대폰을 그대로 지니고 나가서 사용하는 서비스이고, 임대 로밍은 고객이 외국에 나가기 전에 가입여부와 관계없이 휴대폰을 임대해주는 서비스형태이다.
하지만, 로밍 서비스 이용 시 위치 등록 또는 데이터 접속 실패 등에 따른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국내 고객센터로 전화 연락하여 문제를 해결해야 함으로 매우 번거로움이 발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메뉴를 검색해야 하고, 정작 단말기가 필요한 경우에는 제때에 사용하지 못하게 되어 고객 불만이 발생한다.
한국공개특허 10-2004-0082041 A, 2004년 03월 17일 공개 (명칭: 네트워크 장애 복구 시스템 및 방법)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로밍 서비스를 위한 위치 등록 또는 데이터 접속 실패에 따른 오류 발생 시, 자동으로 리셋이 이루어지고, 재 접속에 대한 메시지를 표시하여 고객이 로밍 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로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통신부를 통하여 방문망인 제2 이동통신시스템에 로밍된 상태에서 데이터 접속이 실패하면, PDP 컨텍스트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PDP 컨텍스트의 비활성화 후에, PDP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재전송하고, PDP 컨텍스트 승인메시지의 수신에 따라 데이터 접속을 재시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제어부는 로밍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접속에 실패한 경우, 데이터 접속 실패와 관련된 정보를 팝업 메시지로 화면에 출력하고, 데이터 접속을 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밍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가, 방문망인 제2 이동통신시스템에 로밍된 상태에서 데이터 접속이 실패하면, PDP 컨텍스트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비활성화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PDP 컨텍스트 수락 메시지가 수신되면, 데이터 재 접속을 위해 PDP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PDP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PDP 컨텍스트 승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데이터 접속을 재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밍 중 데이터 제공 방법.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밍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접속을 재시도하는 단계 이후에, 단말기가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밍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PDP 컨텍스트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단말기가 데이터 접속 실패와 관련된 정보를 팝업 메시지로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밍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PDP 컨텍스트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단말기가 로밍 서비스를 위한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와, 단말기가 위치 등록의 성공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단말기가 위치 등록에 실패한 경우, 위치 등록 실패와 관련된 정보를 팝업 메시지로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및 단말기가 위치 등록을 재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밍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위치 등록을 재 수행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자동 또는 수동 선택에 따라 위치 등록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및 단말기가 기능 수행과 관련된 정보를 팝업 메시지로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밍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위치 등록을 재 수행하는 단계는 단말기가 위치 등록 재 수행에 대한 진행 상황을 진행 바 형태로 화면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로밍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밍 서비스 위치 등록 실패 또는 데이터 접속 실패에 따른 오류 발생 시, 자동으로 리셋 기능을 실행하여 로밍 서비스에 대한 고객 불만이 감소되고,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로밍 서비스에 대한 오류 발생 시 국내 고객 센터로 연락할 필요 없이 고객이 현장에서 바로 해결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밍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도 5a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밍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통신망에 연결되어 로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대표적인 예로서 설명하지만 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기, 유선 단말기, 고정형 단말기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기 등의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기일 때 유리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밍 중 데이터 제공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밍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해외 서비스 시스템(100)은 단말기(10), 제1 이동통신 시스템(30), 제2 이동통신 시스템(4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이동통신 시스템(30)은 가입자가 가입한 홈 망이 될 수 있고, 홈 위치등록기(31), 제1교환기(33), 제1기지국(35)을 포함한다. 또한, 제2 이동통신 시스템(40)은 로밍 서비스에 적용되는 방문망이 될 수 있고, 제2교환기(41), 제2기지국(43)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2 이동통신 시스템(30, 40)은 단말기(10)의 로밍 서비스를 지원하고, 로밍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 전송 및 정보 교환을 위한 일련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제1, 2 이동통신 시스템(30, 40)은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무선랜(WLAN, 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고속하향패킷접속(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방식 또는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제1, 2 이동통신 시스템(30, 40)은 상기에 제시된 통신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국가의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서 로밍 서비스를 받는 단말기(10)는 해당 방문국의 서로 다른 이동통신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제2 이동통신 시스템(40)을 통해 로밍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제2 이동통신 시스템(40)은 복수개의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로밍 서비스는 단말기(10)가 제2 이동통신 시스템(40)으로 위치 등록을 요청함으로써 시작된다. 이때, 위치 등록 요청은 제2 이동통신 시스템(40)의 제2 기지국(43)을 통해 제2 교환기(41)로 전달되며, 제1 교환기(33)는 위치 등록을 요청한 단말기(10)가 로밍 단말기인 경우, 홈 위치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31)로 위치 등록을 요청하며, 홈 위치등록기(31)에서 위치 등록 처리가 이루어진 후, 그 결과(성공 혹은 실패) 메시지를 제2 이동통신 시스템(40)으로 전달하고, 제2 이동통신 시스템(40)의 제2 교환기(41)는 결과 메시지를 로밍을 요청한 단말기(10)로 전달한다.
상술한 위치 등록 절차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종류에 따라 다소 다르게 이루어지고 사용되는 메시지의 종류도 다소 차이가 있으나, 이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제2 이동통신 시스템(40)은 단말기(10)에 할당되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기준으로 제1 이동통신 시스템(30)을 판단한다. 여기서, IMSI는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 시에 이동통신 단말(또는 스마트 카드)에 할당되는 전 세계적으로 고유한 15자리의 번호로서 이동국가코드(MCC), 이동네트워크코드(MNC), 이동국 식별번호(MSIN)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이동통신 시스템(40)은 제2 교환기(41), 제2 기지국(43), 가입자의 위치 정보 및 부가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정보가 등록된 홈 위치등록기(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이동통신 시스템(40)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이동통신 시스템(30)은 홈 위치등록기(31), 제1 교환기(33), 제1 기지국(35)를 포함한다.
홈 위치등록기(31)는 가입자 정보, 가입자별 부가 서비스 정보, 이동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특히, 홈 위치등록기(31)는 단말기(10)의 프로파일(Profile) 정보를 저장한다. 이 프로파일 정보는 가입자 단말의 전화번호(MSISDN), IMSI, 가입된 부가 서비스 정보 등을 포함한다.
제1 교환기(33)는 제2 이동통신 시스템(40)으로부터 호 연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착신자 단말을 페이징하여 단말기(10)의 호를 연결시킨다.
제1 기지국(35)은 무선 신호 송수신, 무선 채널 부호화 및 복호화, 신호세기 및 품질측정, 기저대역 신호처리, 다이버시티, 무선자원 관리 및 자체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에서 설명된 기지국(35, 43)은 2세대 망(WCDMA, GSM)인 경우 BTS(Base Transceiver Station), 3세대 망(WCDMA, Wibro)인 경우 NodeB 등으로 각 세대마다 다르게 명명될 수 있고, 교환기(33, 41)는 MSC, SGSN, CSCF 등으로 각 세대마다 다르게 명명될 수 있다. 즉, 기지국(35, 43)은 동기식(CDMA) 망 내에서는 BTS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인 BSC가 제1, 2 이동통신 시스템(30, 4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비동기식(WCDMA) 망 내에서는 BTS는 NodeB로 대체될 수 있으며, BSC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4세대 망인 LTE(Long Term Evolution) 망에서는 진화된 기지국 형태인 eNodeB 및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로 구현될 수 있는데, 여기서, MME는 WCDMA 망에서의 RNC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수신 및 발신 호 처리 등을 수행하는 MSC(Mobile Service Control Node)가 통합된 형태로 RNC 및 MSC의 역할을 거의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는 제1, 2 이동통신 시스템(30, 40)을 연결되어 로밍 서비스를 위한 모든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는 전원이 인가되면, 로밍 서비스를 위한 위치 등록을 요청한다. 위치 등록에 실패한 경우, 단말기(10)는 위치 등록 실패와 관련된 정보를 팝업 메시지로 화면에 출력한다. 이후, 단말기(10)는 위치 등록을 재 수행한다.
단말기(10)는 로밍 상태에서 데이터 접속이 실패하면, PDP(Packet Data Protocol) 컨텍스트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단말기(10)는 PDP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PDP 컨텍스트 승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데이터 접속을 재시도한다. 이후, 단말기(10)는 정상 접속에 의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공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로밍 서비스 위치 등록 실패 또는 데이터 접속 실패에 따른 오류 발생 시, 자동으로 리셋 기능을 실행하여 로밍 서비스에 대한 고객 불만이 감소되고,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로밍 서비스에 대한 오류 발생 시 국내 고객 센터로 연락할 필요 없이 고객이 현장에서 바로 해결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편리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는 제어부(11), 입력부(12), 표시부(13), 저장부(14), 오디오처리부(15) 및 통신부(16)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어부(11)는 로밍모듈(11a)을 포함한다.
입력부(12)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단말기(1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1)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부(12)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는 표시부(13)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12)는 로밍 서비스를 위한 동작 수행과 관련된 모든 입력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11)로 전달한다.
표시부(13)는 단말기(1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3)는 단말기(10)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3)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초박막 액정표시장치(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LED),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3 Dimension)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3)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구성된 경우, 표시부(13)는 입력부(12)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13)는 로밍 서비스를 위한 위치 등록 또는 데이터 접속 실패와 관련된 오류 메시지를 포함하는 팝업 창을 출력한다.
저장부(14)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단말기(1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14)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는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11)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14)는 단말기(1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 로밍 서비스를 실행하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4)는 로밍 서비스와 관련되어 복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오디오처리부(15)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SPK)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1)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오디오처리부(15)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형식의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하여 제어부(11)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처리부(15)는 제어부(11)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형식의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처리부(15)는 로밍 서비스 제공 중에 발생하는 효과음 또는 실행음을 출력한다.
통신부(16)는 제1 이동통신 시스템(30) 또는 제2 이동통신 시스템(40)과 통신하여 로밍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부(16)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부(16)는 무선통신 모듈(미도시) 및 유선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단말기(10)가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단말기(10)는 무선통신 모듈 또는 유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1, 2 이동통신 시스템(30, 40)에 접속하며, 제1, 2 이동통신 시스템(30, 4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을 통해 제1, 2 이동통신 시스템(30, 4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1)는 전원이 인가(On)되면, 로밍 서비스를 위한 위치 등록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위치 등록의 성공 여부를 확인하여 위치 등록에 실패한 경우, 위치 등록 실패와 관련된 정보를 팝업 메시지로 화면에 출력하고, 위치 등록을 재 수행한다. 여기서, 제어부(11)는 자동 또는 수동 선택에 따라 위치 등록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고, 기능 수행과 관련된 정보를 팝업 메시지로 화면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1)는 위치 등록 재 수행에 대한 진행 상황을 진행 바 형태로 화면에 제공한다.
제어부(11)는 위치 등록이 완료된 후, 로밍 상태에서 데이터 접속이 실패하면, 데이터 접속 실패와 관련된 정보를 팝업 메시지로 화면에 출력하고, PDP 컨텍스트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데이터 재 접속을 위해 PDP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제어부(11)는 PDP 컨텍스트 승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데이터 접속을 재시도한다. 이때, 제어부(11)는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설정 완료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11)는 정상 접속에 의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의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제어부(11)는 로밍모듈(11a)을 구비한다. 특히, 로밍모듈(11a)은 로밍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위치 등록 또는 데이터 접속 실패에 대한 오류가 발생한 경우, 자동으로 재 접속을 수행하고, 오류와 관련된 메시지를 팝업 기능 제공한다.
한편, 단말기(10)에 탑재되는 메모리는 그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저장장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예에서, 저장장치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비록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예시적인 장치 구성을 기술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다른 유형의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밍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로밍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각 장치들 간의 데이터 흐름은, 먼저 단말기(10)가 S11 단계에서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확인한다. 전원이 인가되면, 단말기(10)는 S13 단계에서 로밍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제2 이동통신 시스템(40)에 위치 등록을 요청한다. 제2 이동통신 시스템(40)은 S15 단계에서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위치 등록 요청 신호를 제1 이동통신 시스템(40)으로 전달한다.
제1 이동통신 시스템(30)은 S17 단계에서 단말기(10)로부터 요청된 위치 등록과 연관된 정보를 확인하여 위치 등록 실패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위치 등록이 실패한 경우, 제1 이동통신 시스템(30)은 S19 단계에서 위치 등록 실패 메시지를 제2 이동통신 시스템(40)으로 전송한다. 제2 이동통신 시스템(40)은 S21 단계에서 위치 등록 실패 메시지를 단말기(10)로 전달한다. 이후, 단말기(10)는 S23 단계에서 위치 등록 실패와 관련된 정보를 팝업 메시지로 화면에 출력하고, 위치 등록을 재 수행한다. 여기서, 단말기(10)는 자동 또는 수동 선택에 따라 위치 등록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고, 기능 수행과 관련된 정보를 팝업 메시지로 화면에 출력한다. 또한, 단말기(10)는 위치 등록 재 수행에 대한 진행 상황을 진행 바 형태로 화면에 제공한다.
한편, 위치 등록이 완료된 경우, 제1 이동통신 시스템(30)은 S25 단계에서 위치 등록 완료 메시지를 제2 이동통신 시스템(40)으로 전송한다. 제2 이동통신 시스템(40)은 S27 단계에서 단말기(10)로 위치 등록 완료 메시지를 전달한다.
단말기(10)는 S29 단계에서 로밍 서비스에서 데이터 접속을 시도하기 위하여 PDP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제2 이동통신 시스템(40)으로 전송한다. 제2 이동통신 시스템(40)은 S31 단계에서 PDP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제1 이동통신 시스템(30)으로 전달한다. 이후, 제1 이동통신 시스템(30)은 S33 단계에서 PDP 컨텍스트 승인 메시지를 제2 이동통신 시스템(40)으로 전송한다. 제2 이동통신 시스템(40)은 S35 단계에서 PDP 컨텍스트 승인 메시지를 단말기(10)로 전달한다.
단말기(10)는 S37 단계에서 제2 이동통신 시스템(40)으로 데이터 접속을 요청한다. 제2 이동통신 시스템(40)은 S39 단계에서 데이터 접속 요청 신호를 제1 이동통신 시스템(30)으로 전달한다. 데이터 접속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이동통신 시스템(30)은 S41 단계에서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 메시지를 제2 이동통신 시스템(40)으로 전송한다. 제2 이동통신 시스템(30)은 S43 단계에서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 메시지를 단말기(10)로 전달한다. 이때, 제1 이동통신 시스템(30)은 단말기(10)로부터 요청된 데이터 접속이 실패하였기에 실제 데이터를 단말기(10)로 제공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단말기(10)는 S45 단계에서 데이터 접속 실패와 관련된 오류 정보를 포함하는 팝업 메시지를 표시한다.
단말기(10)는 S47 단계에서 위치 등록이 완료된 후, 로밍 상태에서 데이터 접속이 실패하면, PDP 컨텍스트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제2 이동통신 시스템(40)으로 전송한다. 제2 이동통신 시스템(40)은 S49 단계에서 PDP 컨텍스트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제1 이동통신 시스템(30)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단말기(10)는 S50 단계에서 데이터 재 접속을 위해 PDP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제2 이동통신 시스템(40)으로 전송한다. 제2 이동통신 시스템(40)은 S51 단계에서 PDP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제1 이동통신 시스템(30)으로 전달한다.
이후, 제1 이동통신 시스템(30)은 S52 단계에서 PDP 컨텍스트 승인 메시지를 제2 이동통신 시스템(40)으로 전송한다. 제2 이동통신 시스템(40)은 S53 단계에서 PDP 컨텍스트 승인 메시지를 단말기(10)로 전달한다.
단말기(10)는 S55 단계에서 PDP 컨텍스트 승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데이터 접속 재시도를 위하여 제2 이동통신 시스템(40)에 데이터 접속을 요청한다. 제2 이동통신 시스템(40)은 S57 단계에서 제1 이동통신 시스템(30)으로 데이터 접속을 요청한다.
데이터 접속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이동통신 시스템(30)은 S59 단계에서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 메시지를 제2 이동통신 시스템(40)으로 전송한다. 제2 이동통신 시스템(30)은 S61 단계에서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 메시지를 단말기(10)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1 이동통신 시스템(30)은 S63 단계에서 제2 이동통신 시스템(40)으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제2 이동통신 시스템(40)은 S65 단계에서 제1 이동통신 시스템(30)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단말기(10)로 전달한다. 그리고 나서, 단말기(10)는 S67 단계에서 정상 접속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를 실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는 S71 단계에서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확인한다. 전원이 인가되면, 단말기(10)는 S73 단계에서 로밍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위치 등록을 요청한다. 그리고, 단말기(10)는 S75 단계에서 위치 등록 요청에 따라 위치 등록 완료 여부를 확인한다.
위치 등록이 완료되지 않으면, 단말기(10)는 위치 등록 실패와 관련된 정보를 팝업 메시지로 화면에 출력하고, 위치 등록을 재 수행한다. 여기서, 단말기(10)는 자동 또는 수동 선택에 따라 위치 등록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고, 기능 수행과 관련된 정보를 팝업 메시지로 화면에 출력한다. 또한, 단말기(10)는 위치 등록 재 수행에 대한 진행 상황을 진행 바 형태로 화면에 제공한다.
한편, 위치 등록이 완료되면, 단말기(10)는 S79 단계에서 데이터 접속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데이터 접속이 요청되면, 단말기(10)는 S81 단계에서 데이터 접속을 시도하기 위하여 PDP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나서, 단말기(10)는 PDP 컨텍스트 승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PDP 컨텍스트 승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단말기(10)는 S83 단계에서 데이터 접속을 요청한다. 그리고 나서, 단말기(10)는 S85 단계에서 데이터 접속에 따른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다.
단말기(10)는 S87 단계에서 데이터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데이터가 수신되지 못하면, 단말기(10)는 S88 단계에서 팝업 메시지를 표시한다. 여기서, 팝업 메시지에는 데이터 접속 실패와 관련된 문구의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는 S89 단계에서 PDP 컨텍스트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한편, 데이터가 수신되면, 단말기(10)는 S91 단계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실행한다.
데이터 접속이 실패하여 PDP 컨텍스트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나서, 단말기(10)는 데이터 재 접속을 위하여 PDP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나서, 단말기(10)는 PDP 컨텍스트 승인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PDP 컨텍스트 승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단말기(10)는 데이터 접속을 요청한다. 그리고 나서, 단말기(10)는 데이터 접속에 따른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렇게 단말기(10)는 로밍 서비스에서 데이터 접속에 실패한 경우, 데이터 재 접속을 위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도 5e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외 로밍 중 데이터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다.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는 전원이 인가되면, 로밍 서비스를 위한 위치 등록을 요청하고, 위치 등록에 실패한 경우, 위치 등록 실패와 관련된 정보를 팝업 메시지로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도 5c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는 자동 또는 수동 선택에 따라 위치 등록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고, 기능 수행과 관련된 정보를 팝업 메시지로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0)는 위치 등록 재 수행에 대한 진행 상황을 진행 바 형태로 화면에 표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는 로밍 상태에서 데이터 접속이 실패하면, 데이터 접속 실패와 관련된 정보를 팝업 메시지로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단말기(10)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서 데이터 재 접속을 위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로밍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위치 등록 또는 데이터 접속 실패에 대한 오류가 발생한 경우, 자동으로 재 접속을 수행하고, 오류와 관련된 메시지를 팝업 기능으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로밍 서비스 위치 등록 실패 또는 데이터 접속 실패에 따른 오류 발생 시, 자동으로 리셋 기능을 실행하여 로밍 서비스에 대한 고객 불만이 감소되고,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로밍 서비스에 대한 오류 발생 시 국내 고객 센터로 연락할 필요 없이 고객이 현장에서 바로 해결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편리하다. 이는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 단말기 11: 제어부 12: 입력부
13: 표시부 14: 저장부 15: 오디오처리부
16: 통신부 11a: 로밍 모듈 30: 제1 이동통신 시스템
31: 홈 위치등록기 33: 제1교환기 35: 제1기지국
40: 제1 이동통신 시스템 41: 제2교환기
43: 제2기지국 100: 로밍 서비스 시스템

Claims (9)

  1. 이동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방문망인 제2 이동통신시스템에 로밍된 상태에서 데이터 접속이 실패하면, PDP 컨텍스트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PDP 컨텍스트의 비활성화 후에, PDP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재전송하고, PDP 컨텍스트 승인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 데이터 접속을 재시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로밍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접속에 실패한 경우, 데이터 접속 실패와 관련된 정보를 팝업 메시지로 화면에 출력하고, 데이터 접속을 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 단말기가,
    방문망인 제2 이동통신시스템에 로밍된 상태에서 데이터 접속이 실패하면, PDP 컨텍스트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비활성화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PDP 컨텍스트 수락 메시지가 수신되면, 데이터 재 접속을 위해 PDP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PDP 컨텍스트 활성화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PDP 컨텍스트 승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데이터 접속을 재시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밍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접속을 재시도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단말기가 무선 베어러 설정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밍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PDP 컨텍스트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단말기가 상기 데이터 접속 실패와 관련된 정보를 팝업 메시지로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밍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PDP 컨텍스트 비활성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단말기가 로밍 서비스를 위한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위치 등록의 성공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위치 등록에 실패한 경우, 상기 위치 등록 실패와 관련된 정보를 팝업 메시지로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위치 등록을 재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밍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등록을 재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자동 또는 수동 선택에 따라 상기 위치 등록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기능 수행과 관련된 정보를 팝업 메시지로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밍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등록을 재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위치 등록 재 수행에 대한 진행 상황을 진행 바 형태로 화면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밍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3항 내지 제8항 중 적어도 하나의 항에 기재된 로밍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30016587A 2013-02-15 2013-02-15 로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05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587A KR102005836B1 (ko) 2013-02-15 2013-02-15 로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587A KR102005836B1 (ko) 2013-02-15 2013-02-15 로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985A true KR20140102985A (ko) 2014-08-25
KR102005836B1 KR102005836B1 (ko) 2019-07-31

Family

ID=51747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6587A KR102005836B1 (ko) 2013-02-15 2013-02-15 로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583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2756B1 (en) * 1997-01-20 2003-01-28 Nokia Telecommunications Oy Routing area updating in packet radio network
KR20040082041A (ko) 2003-03-17 2004-09-24 시큐아이닷컴 주식회사 네트워크 장애 복구 시스템 및 방법
KR100706992B1 (ko) * 2006-04-05 2007-04-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Wcdma망에서 무선 접속 베어러 대역폭 변경 서비스를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090061855A1 (en) * 2007-09-04 2009-03-05 Janardan Sethi Dynamic ggsn relocation in a gprs network
US20110317545A1 (en) * 2010-06-29 2011-12-29 Htc Corporatio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acket data protocol context handling for emergency bearer servic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2756B1 (en) * 1997-01-20 2003-01-28 Nokia Telecommunications Oy Routing area updating in packet radio network
KR20040082041A (ko) 2003-03-17 2004-09-24 시큐아이닷컴 주식회사 네트워크 장애 복구 시스템 및 방법
KR100706992B1 (ko) * 2006-04-05 2007-04-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Wcdma망에서 무선 접속 베어러 대역폭 변경 서비스를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090061855A1 (en) * 2007-09-04 2009-03-05 Janardan Sethi Dynamic ggsn relocation in a gprs network
US20110317545A1 (en) * 2010-06-29 2011-12-29 Htc Corporatio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acket data protocol context handling for emergency bearer ser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5836B1 (ko) 201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9973B2 (en) Virtu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10681093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oordinating communication operations associated with a plurality of subscriber identity cards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 single wireless transceiver
US9949310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oordinating operations between circuit switched (CS) and packet switched (PS) services with different subscriber identity cards, and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US8437747B2 (en) Visual ARS service system and method enabled by mobile terminal's call control function
US20150230070A1 (en) System and Methods for Increasing a Maximum Number of Simultaneous Calls on a Service Subscription of a Multi-SIM Device
US82039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packet data network connectivity detachment
CN104980905A (zh) 多用户识别模块装置及用户识别模块选择方法
US20130217368A1 (en) Visual ars service system and method enabled by mobile terminal's call control function
CN113543247A (zh) 网络选择系统、方法、存储介质与电子设备
EP2818006B1 (en) Method, computer program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network access subscription
US7817574B2 (en) Inter-packet-node paging between communication networks
CN104137580A (zh) 计费信息处理方法、装置及系统
KR20100118386A (ko) 복수의 스마트 카드 장착이 가능한 이동 단말 및 그 이동 단말에서의 호 처리 방법
US11032857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ynchronizing states of separate subscriber identities with network
KR102005836B1 (ko) 로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8768351B2 (en) Circuit-switched call delivery
KR101462904B1 (ko)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 방법, 이를 위한 단말기 및 기록매체
WO2020160750A1 (en) Routing user plan data connection over control plane entities
KR102151522B1 (ko) 통화 서비스 설정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2109893A1 (zh) 激活方法、激活装置及通信系统
WO2014048142A1 (zh) 拜访位置寄存器故障处理方法和移动管理网元
US20150133118A1 (en) Circuit-switched call delivery
CN104380771A (zh) 一种移动交换中心池的信息处理方法、装置及系统
KR20130112486A (ko) 이기종 망에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페이징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2008481B1 (ko) 네트워크 접속 제어 시스템 및 그 단말접속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