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1522A - 주차위치 확인 단말기 - Google Patents

주차위치 확인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1522A
KR20140101522A KR1020130014759A KR20130014759A KR20140101522A KR 20140101522 A KR20140101522 A KR 20140101522A KR 1020130014759 A KR1020130014759 A KR 1020130014759A KR 20130014759 A KR20130014759 A KR 20130014759A KR 20140101522 A KR20140101522 A KR 20140101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parking position
unit
display
nf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규
Original Assignee
김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규 filed Critical 김준규
Priority to KR1020130014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1522A/ko
Publication of KR20140101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15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73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vehicle security, e.g. parked vehicle surveillance, burglar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차량의 주차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EPD(Electrophoretic Display)또는 EFD(Electrofluidic Display)를 적용하여 전원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항상 주차위치 정보 또는 차량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근거리 무선통신인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주차위치 확인 단말기이다

Description

주차위치 확인 단말기{ The terminal for checking park location }
본 발명은 주차위치를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는 실내외 주차장에 차량을 주차한 후에, 주차위치 정보가 저장된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Tag와 무선통신을 통하여 자기 차량의 주차위치를 판독하고 배터리 소모를 하지 않으면서도 항상 주차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주차위치 확인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차량 보급이 급속도로 늘어나면서 대형 할인점, 공항, 놀이동산, 실내 및 실외의 대형 주차장을 구비하고 있으며, 대형 주차장의 경우 대부분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층마다 블록을 나누어 주차위치를 표시하고 있다.
대형 주차장의 특성상 유사한 구조고 이루어져 있어서 차량 운전자가 차량위치를 기억하기 위해 대형 주차장에서 블록의 주차위치를 기억하거나, 핸드폰으로 사진을 찍거나,메모지를 활용해서 위치를 기억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주차위치 확인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으며, [문헌1] 한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33608(RF카드를 이용한 주차위치 확인 시스템 2011년 4월 29일)에 등록되어 있다.
RF카드를 이용한 주차위치 확인 시스템의 기술은 주차위치 부근에 RF리더기를 설치하고, 운전자는 차량위치를 등록하기 위해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RF카드를 RF리더기에 인식 저장하고, 출차시 주차위치를 표시해 주도록 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종래의 기술에서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든 차량의 위치를 확인 할 수 있는것이 아니며, 항상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RF리더기가 설치된 위치에서만 확인할 수 있으며, 주차장 운영자의 경우 주차장 층마다, 블록마다 RF리더기를 설치해야 하며, RF리더기에는 RF카드의 번호를 등록하기 위한 서버와 설치된 모든 RF리더기로 정보를 전송 공유해야하는 통신 망을 연결해야 하는 등의 비용적 부담이 발생한다.
또다른 기술로서 [문헌 2] 한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446062(주차카드를 이용한 주차위치 확인시스템 2004년 8월 18일)에 등록되어 있는 기술로서 운전자에게 주차카드를 제공하며, 주차장은 다수의 주차구역으로 구획관리하는 주차장에 해당구역을 식별하는 주차위치 데이터를 주차카드에 인쇄 또는 기록하는 주차위치 기록기와 주차장의 주요 동선 상에 설치되는 주차위치 안내기를 포함하는 기술이다. [문헌 2]에서의 기술에서도 주차구역을 구분 표시하는 주차위치 기록기가 주차구역마다 설치되어야 하는 비용적 부담과 공간적 부담이 발생하며, 사용자는 주차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주차위치 안내기에 와서 주차카드의 데이터를 판독함으로서 주차위치를 확인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주차된 차량의 위치를 찾기 이전에 주차위치 아내기를 먼저 찾은 후에 주차위치를 찾아야 하는 이중의 번거로움을 피할 수 없다.
또 다른 기술로서 [문헌 3] 한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90000670(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카드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및방법 2009년 1월 8일)에 공개되어 있는 기술로서 주차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카드를 포함한 주차관리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효율적인 주차관리를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편리한 주차장 이용을 제공할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카드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문헌 3]의 기술에서는 주차관리 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주차요금 및 정산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고 주차장 입구 및 출구에 근접할때 자동으로 카드의 정보를 인식하는 등의 기술로서 그 편리성을 제공하지만 상기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주차관리 서버 및 제1통신기, 제2통신기 및 위치인식기, 호출기등의 시스템이 부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며, 자동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카드의 정보를 인식하기 위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카드가 주차장 입구 근처에서 인식될 수 있도록 하기위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카드가 무선 데이터 신호를 송신 할 경우 전력소모가 많고, 제1통신기, 제2통신기, 위치인식기 및 호출기등과의 통신을 위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카드가 여러번의 송신 및 수신을하기 위한 송신 및 수신대기 상태를 유지해야 함으로서 배터리의 사용시간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주차관리 시스템이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주차장의 경우 상기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해 시스템 교체등의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전력소모가 되지 않으면서도 항상 주차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근접거리에서의 무선통신 방식을 사용하고 단 한번의 동작으로 주차위치 정보를 획득함으로서 전력소모를 줄이고, 주차확인 단말기에 자동차키를 포함하거나 자동차키 고리에 같이 연결할 수 있는 작은 크기로 만들어 주차후 사용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또한 주차장 운영자 또는 관리자가 손쉽게 주차장 이용자에게 차량위치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전력소모 없이 항상 주차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EPD(Electrophoretic Display) 또는 EFD(Electrofluidic Display)를 적용한 표시부;버튼등의 입력부;버튼등의 입력부의 입력이 있을시에만 전원을 인가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을 차단하는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원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이용하여 주차위치 정보 및 차량정보를 판독하는 통신부; 통신부로 부터 수신된 주차위치 정보 및 차량정보를 판단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거나 표시부에 표시하고 전원을 차단제어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이 주차장에 차량을 주차한 후 주차위치 확인 단말기(220)를 가까운 기둥(240), 벽면 및 표지판등에 설치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Tag(230)에 근접하도록 하여 주차위치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입력된 주차위치는 EPD(Electrophoretic Display) 또는 EFD(Electrofluidic Display)(410)를 적용함으로서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도 항상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손쉽게 보여주며,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필요시 버튼을 누를 때에만 전원이 인가되므로 배터리 소모가 적어 적은 용량의 배터리로도 오랜기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카드형태나 자동차 키 또는 자동차 키 액세서리와 같이 소형 제작이 가능하다. 자동차 키에 액세서리로 장착시 또는 단말기에 자동차키를 포함함으로서 주차후 키를 빼서 자동차 문을 잠그고 바로 근처 기둥이나 벽면에 설치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Tag(230)에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성이 더해 진다. 자신의 차량번호를 등록하고 표시해 주는 기능이 있어 주차장에 자동차키를 맡길때 수월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해준다. 주차장 운영 또는 관리자 입장에서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Tag(230)만 구입해도 시스템을 구출할 수 있으며, 기존에 주차장 운영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경우에도 부담없이 적용할 수 있다. 공항, 대형마트, 아파트단지, 놀이공원등 어디에서도 주차위치 정보가 입력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Tag(230)만 있으면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주차위치 확인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NFC(Near Field Communication) Tag를 설치한 주차장의 주차위치 확인의 일 실시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위치 확인 단말기의 동작제어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일 디자인 예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위치 확인 단말기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위치 확인 단말기(220)의 사용 일 실시예를 보인 도이며,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위치 확인 단말기(220)의 구성을 보인 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 표시부(110), 저장부(120), 통신부(140), 입력부(150),전원부(160)로 구성되어 있다. 표시부(110)는 EPD(Electrophoretic Display) 또는 EFD(Electrofluidic Display)(410)를 사용함으로서 전원을 인가하지 않아도 마지막에 표시한 내용을 계속 표시함으로서 배터리를 소모하지 않으면서 항상 표시할 수 있도록 하며, 전원부(160)는 배터리를 사용하고 입력부의 입력키(420)를 누름으로써 배터리로부터 제어부(130), 표시부(110),통신부(140),저장부(120)에 전원을 공급하여 준다. 전원이 공급된 제어부(110)는 통신부(140)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을 제어하여 구동하고, 사용자는 이때 가까운 기둥(240)이나 벽면 및 표지판등에 설치된 도 2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Tag(230)에 근접시킴으로써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통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Tag(230)에 저장된 주차장 위치 정보를 읽어들여 도 1의 저장부(120)인 메모리에 저장하고 표시부(110)인 EPD(Electrophoretic Display) 또는 EFD(Electrofluidic Display)(410)에 주차장 위치 정보를 표시하고 전원부(160)를 제어하여 모든 전원을 배터리로부터 차단하도록 한다. 이때 NFC(Near Field Communication) Tag(230)에는 주차장 운영 또는 관리자가 각 구역별 층별 위치를 알 수 있는 주차장 위치정보를 사전에 입력하여 설치하여 놓는다.
또한 평상시 차량의 번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입력부의 입력키(420)를 누름으로써 배터리로부터 제어부(130), 표시부(110), 통신부(140), 저장부(120)에 전원을 공급하여 준다. 전원이 공급된 제어부(110)는 통신부(140)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을 구동하고, 사용자는 차량번호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폰 어플등이 구동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모듈이나 자신의 차량번호가 입력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Tag(230)와 통신으로 차량번호를 수신하여 도 1의 저장부(120)인 메모리에 저장하고 표시부(110)인 EPD(Electrophoretic Display) 또는 EFD(Electrofluidic Display)(410)에 차량번호 를 표시하고 전원부(160)를 제어하여 모든 전원을 배터리로부터 차단하도록 한다.
평상시 또는 주차장 관리인에게 주차키를 맡길 경우에 차량번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표시키(430)를 누름으로써 차량의 번호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주차위치 단말기의 동작제어 흐름도(300)로서 입력부의 키가 눌리면(310) 전원부는 전원을 인가(320)하고 제어부는 전원을 Off하기 위한 타이머를 설정하고(330) 입력부의 키의 종류에 따라 주차위치 및 차량번호를 표시(341)하거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Tag와 통신을 한다(350) 통신을 성공하면(360) 수신된 데이터가 주차위치정보인지(370), 차량정보(371)인지 판단하여 표시부에 주차위치표시(380) 또는 차량정보표시(381)를 한후 저장부에 주차위치를 저장(390) 하거나 차량정보를 저장(391)하고 전원부의 전원을 차단한다(392)
NFC(Near Filed Communication) Tag와 통신시(350) 통신을 실패하게 되면 제어부에서 설정한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 경과하면(361) 전원을 차단한다.(392)
100 : 주차위치 확인 단말기
110 : EPD(Electrophoretic Display) 또는 EFD(Electrofluidic Display)를 적용한 표시부
120 : NFC(Near Field Communication) Tag로 부터 저장된 주차위치등의 정보와 차량번호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130 : 통신부, 표시부, 저장부, 전원부등을 제어하고 입력부로부터 입력을 받아들이는 제어부
140 : 안테나를 포함하며,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을 하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Tag로부터 정보를 읽어와서 제어부로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
150 : NFC(Near Field Communication) Tag에 근접시켜 정보를 읽어오기 위해 사용하는 입력부
160 : 배터리를 사용하며, 입력부의 버튼으로부터 입력을 받아 제어부, 표시부, 통신부, 저장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210 : 주차 라인
220 : 디스플레이가 있는 주차위치 확인 단말기
230 : 주차위치 정보가 입력되어 있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Tag
240 : 주차위치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기둥
400 : 주차위치 확인 단말기
410 : 디스플레이( EPD(Electrophoretic Display) 또는 EFD(Electrofluidic Display))
420 : 입력부의 입력키
430 : 입력부의 표시키

Claims (3)

  1. 주차위치 또는 차량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EPD(Electrophoretic Display) 또는 EFD(Electrofluidic Display)를 사용하는 표시부와;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위한 입력부와;
    주차위치 데이터 및 차량번호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기 위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Chip을 사용하고 안테나를 포함한 무선으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부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Chip을 포함한 통신부를 제어하여 주차위치 데이터 및 차량번호 데이터를 수신한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거나 표시부에 표시하고, 전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위치 확인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자동차 키를 포함하는 주차위치 확인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주차위치 데이터 및 차량번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EEPROM 또는 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주차위치 확인 단말기
KR1020130014759A 2013-02-12 2013-02-12 주차위치 확인 단말기 KR201401015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759A KR20140101522A (ko) 2013-02-12 2013-02-12 주차위치 확인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759A KR20140101522A (ko) 2013-02-12 2013-02-12 주차위치 확인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522A true KR20140101522A (ko) 2014-08-20

Family

ID=51746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759A KR20140101522A (ko) 2013-02-12 2013-02-12 주차위치 확인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15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54457A (zh) * 2018-03-28 2020-12-29 通吉斯专利控股有限公司 交通工具辨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54457A (zh) * 2018-03-28 2020-12-29 通吉斯专利控股有限公司 交通工具辨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30744B (zh) 用于停车场的车位引导和反向寻车方法
CN102938216B (zh) 具备反向寻车功能的智能停车系统
CA2880624C (en) Guiding users in an area
KR101505871B1 (ko) 주차 위치 확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위치 확인방법
CN202976506U (zh) 具备反向寻车功能的智能停车系统
CN102005117B (zh) 停车场管理系统
CN104408969A (zh) 一种基于物联网的车位预定系统
CN102722994A (zh) 停车场反向寻车方法
KR101786015B1 (ko) 무선태그를 이용한 주차블록 안내시스템 및 이를 위한 주차관리서버
KR20170019573A (ko) 스마트 파킹 시스템
CN203773750U (zh) 一种车辆停车位查询系统及运行轨迹查询系统
KR20130126051A (ko) 스마트 발레 파킹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01522A (ko) 주차위치 확인 단말기
KR20150056730A (ko) 위치 정보를 코드화하여 저장하는 위치 정보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주차 위치 확인 시스템
KR20100120564A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
TWM507047U (zh) 停車管理系統
CN206363403U (zh) 基于linux操作系统的全支付车载ic卡收费装置
KR20120084942A (ko) 공동주택에 채용하기 적합한 주차위치 리더기
KR100941867B1 (ko)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KR20090102186A (ko) 주차구역 표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25197B1 (ko) 주차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409649Y1 (ko) 주차된 차량의 위치 검색 시스템
KR20160023983A (ko) 비콘을 이용한 택시 이용 서비스 시스템
JP2007079780A (ja) 案内報知システム
TW201608526A (zh) 智慧型大樓社區管理方法及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