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0988A - A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ing appliance - Google Patents

A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ing appli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0988A
KR20140100988A KR1020147018746A KR20147018746A KR20140100988A KR 20140100988 A KR20140100988 A KR 20140100988A KR 1020147018746 A KR1020147018746 A KR 1020147018746A KR 20147018746 A KR20147018746 A KR 20147018746A KR 20140100988 A KR20140100988 A KR 20140100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suction nozzle
support member
vacuum cleaner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87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크리스티안 구더
앤드류 제임스 윌스
피터 데이비드 갬맥
Original Assignee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00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98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rigidly anchor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 A47L9/0613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rigidly anchor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picking up threads, hair or the like, e.g. brushes, combs, lint pickers or bristles p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86Nozzles with cleaning cloths, e.g. using disposal fabrics for covering the nozz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진공 청소기기용 바닥 공구로서, 도관에 연결되는 주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주 본체는 청소 요소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에지에 인접하는 흡인 노즐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흡인 노즐은 흡인 체임버를 한정하고, 상기 흡인 체임버는 상기 도관과 연통하는 제 1 유체 유출구 및 제 2 유체 유출구를 포함한다. A bottom tool for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main body coupled to a conduit, the main body including a support member configured to support a cleaning element and a suction nozzle adjacent the edge of the support member, wherein the suction nozzle Wherein the suction chamber defines a first fluid outlet and a second fluid outlet that communicate with the conduit.

Description

진공 청소기기용 바닥 공구{A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ING APPLIANCE}{A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ING APPLIANCE}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기용 바닥 공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er.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다양한 청소 작업에 대처하기 위한 다양한 공구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이와 같은 공구는 경질 및 직물 표면 피복물의 양자 모두의 바닥 청소용의 범용 바닥 공구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바닥 공구는 바닥 표면과 맞물리는 주 본체를 포함한다. 바닥 공구를 부착한 진공 청소기에 의해 발생되는 흡인력에 기인되어 오물 및 먼지를 바닥 공구 내로 흡인할 수 있는 흡인 개구를 포함하는 하면을 갖는다. 바닥 공구는 바닥 표면으로부터 유리된 오물 및 파편을 제거하는데 능숙하지만, 경질 바닥 피복물 상에 쏟아진 액체로부터 남을 수 있는, 예를 들면, 얼룩과 같은 다른 형태의 오물은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다. 물론, 이와 같은 얼룩을 청소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시구가 존재한다. 하나의 실시예는 US2002/0184726에 설명되어 있고, 여기서 긴 손잡이를 갖는 청소 기구는 청소 시트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한 청소 헤드를 포함한다. 그러면 이와 같은 기구는 사용자가 제거 곤란한 얼룩을 제거하기 위해 경질 바닥 표면을 문지르거나 걸레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Vacuum cleaners are usually equipped with various tools to cope with various cleaning tasks. For example, such a tool may be a general purpose flooring tool for floor cleaning of both hard and woven surface coatings. Typically, the floor tool includes a main body that engages a floor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including a suction opening for sucking dirt and dust into the floor tool due to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vacuum cleaner to which the floor tool is attached. The flooring tool is skilled in removing dirt and debris liberated from the floor surface, but other forms of dirt, such as stains, which may remain from the spilled liquid on the hard flooring, are not completely removed. Of course, there are pointers that can be used to clean such stains. One embodiment is described in US2002 / 0184726, wherein a cleaning mechanism having a long handle includes a cleaning head to which a cleaning sheet is detachably attached. Such a device can then be used to rub or wipe the hard floor surface to remove stubbles that are difficult for the user to remove.

유리된 오물 및 파편을 흡인하는 통상의 기능에 추가하여 바닥 표면으로부터 오물 및 얼룩을 닦아내기 위한 설비를 구비하는 바닥 공구를 제공하기 위해, 진공 청소기의 바닥 공구의 기능성에 청소 시트를 결합한 것도 공지되어 있다. 일 예로서, JP9028638은 걸레가 부착되는 걸레 홀더에 인접하여 세장형 노즐을 배치함으로써 진공 청소기 바닥 공구와 걸레를 결합한 것을 개시한다. 그러므로 이 바닥 공구는 바닥 닦음(wiping)과 흡인 기능을 실행한다. JP9028638에 개시된 바닥 공구의 확장으로서, EP1608253는 사각형 지지 요소가 일회용 걸레를 장착하는 진공 청소기용 바닥 공구를 개시하고, 여기서 상기 지지 요소의 긴 에지의 전후에 인접하여 세장형 흡인 노즐이 위치된다.It is also known to incorporate a cleaning sheet into the functionality of a floor tool of a vacuum cleaner, in order to provide floor tools with facilities for wiping dirt and debris from the floor surface in addition to the usual function of aspirating free debris and debris have. As one example, JP 9028638 discloses combining a vacuum cleaner bottom tool and a mop by arranging a three-piece nozzle adjacent the mop holder to which the mop is attached. Therefore, this floor tool performs the wiping and suction functions. As an extension of a flooring tool disclosed in JP 9028638, EP 1 608 253 discloses a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er in which a rectangular support element mounts a disposable rag, wherein a three-piece suction nozzle is located adjacent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long edge of said support element.

이와 같이 조합된 걸레 및 흡인 바닥 공구는 장점을 가지기는 하지만, 경질 바닥에서 이와 같은 공구의 픽업 성능은 저하되는 경향을 갖는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이 창안되었다.Such combined mops and suction flooring tools have advantages, but the pickup performance of such tools in hard floors tends to degrad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for this purpose.

제 1 양태에서,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기용 바닥 공구를 제공하고, 상기 바닥 공구는 도관에 연결되는 주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주 본체는 청소 요소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에지를 따라 흡인 노즐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흡인 노즐은 흡인 체임버를 한정하고, 상기 흡인 체임버는 상기 도관과 연통하는 제 1 유체 유출구 및 제 2 유체 유출구를 포함한다.In a first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er, the floor tool comprising a main body connected to a conduit, the main body comprising: a support member configured to support a cleaning element; Wherein the suction nozzle defines a suction chamber and the suction chamber includes a first fluid outlet and a second fluid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conduit.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흡인이 흡인 체임버의 전체에 걸쳐 더 균일하게 분포되므로 본 발명은 개선된 픽업 성능을 갖는 오물 및 파편의 진공청소 능력과 경질 바닥 닦음 기능을 결합하는 바닥 공구를 제공한다. With this arrange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ooring tool that combines the vacuum cleaning capability of the dirt and debris with improved pick-up performance and the hard floor wiping function, since the suction is more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suction chamber.

상기 흡인 노즐은 상기 흡인 노즐의 표면으로부터 현수되는, 그리고 상기 흡인 체임버의 외주변을 한정하는 표면 맞물림 스커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ction nozzle may include a surface engaging skirt member suspended from a surface of the suction nozzle and defining an outer periphery of the suction chamber.

픽업 성능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 스커트는 이 스커트의 전방 및 후방 에지 부분 사이에 연장되는, 그 결과 흡인 체임버를 제 1 및 제 2 서브-체임버로 분할하는 칸막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o further improve pick-up performance, the skirt may further include a partition extending between the front and rear edge portions of the skirt, thereby dividing the resulting suction chamber into first and second sub-chambers.

바람직하게, 스커트 및 분할벽은 고무 스트립과 같은 가요성 재료이지만, 나일론 강모와 같은 일렬의 강모도 또한 허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Preferably, the skirt and dividing wall are flexible materials such as rubber strips,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 series of bristles such as nylon bristles may also be acceptable.

제 1 흡인 체임버 및 제 2 흡인 체임버는 각각 흡인 체임버를 제 1 흡인 채널 및 제 2 흡인 채널로 구획하는 내벽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오물-함유 유체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채널을 통해 제 1 흡인 채널로부터 제 2 흡인 채널 내로 이동할 수 있다.The first aspiration chamber and the second aspiration chamber may each comprise an inner wall defining a suction chamber with a first suction channel and a second suction channel, Channel into the second suction channel.

흡인 체임버의 주위 및 흡인 체임버 내에 위치되는 가요성 표면 맞물림 수단의 이와 같은 구성은 이 공구가 표면 상에서 조작될 때 흡인 채널 내의 압력 수준을 유지하는 다중 유동 채널을 한정한다. 이것은 바닥 공구의 파편 픽업 성능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청소 시트에 유리된 파편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한다.This configuration of the flexible surface engaging means located around the suction chamber and within the suction chamber defines multiple flow channels that maintain a pressure level within the suction channel when the tool is manipulated on the surface. This improves the fracture pick-up performance of the flooring tool and at the same time prevents debris liberated on the cleaning sheet from accumulating.

바람직하게, 상기 표면 맞물림 스커트 부재는 자체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개구를 구비하는 제 1 부분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개구는 균일하게 이격되고, 일련의 캐스털레이션(castellation)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상기 개구는 비균일하게 이격될 수 있고, 상이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Preferably, the surface-engaging skirt member includes a first portion having an opening along at least a portion of its length. In one embodiment, the openings are uniformly spaced apart and take the form of a series of castellations, but the openings may be non-uniformly spaced and may have different sizes.

제 1 부분은 지지 부재의 에지로부터 원격된 흡인 노즐의 에지 상에 위치될 수 있으나, 제 2 부분은 지지 부재의 에지에 직접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The first portion may be positioned on the edge of the suction nozzle remote from the edge of the support member, but the second portion may be positioned directly adjacent the edge of the support member.

픽업 성능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 제 2 흡인 노즐은 지지 부재의 다른 에지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제 2 흡인 노즐은 제 1 흡인 노즐과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흡인 채널의 레이아웃은 다를 수 있다.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pickup performance, the second suction nozzle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other edge of the support member. The second suction nozzle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suction nozzle, but the layout of the suction channel may be different.

이러한 구성의 표면 맞물림 스커트 부재는 높은 픽업 성능을 갖는 바닥 공구를 제공한다. 특히, 스커트 부재의 부분적으로 개방된, 또는 슬롯이 형성된/캐스털레이션이 형성된 외측 에지/스트립 부분은 흡인 노즐의 길이를 따른 다중의 지점에서 흡인 체임버 내로 오물 및 파편의 유입을 허용하고, 동시에 스템 부분(17)의 슬롯이 형성되지 않은 내측의 스트립 부분은, 사용 시 인접하는 바닥 표면과 시일을 형성하는 직선의 균일한 에지를 갖는 것으로서, 오물 및 파편이 흡인 노즐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지지 부재에 장착된 걸레 시트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추가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기용 바닥 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도관에 연결되는 주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주 본체는 청소 요소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에지에 인접하는 흡인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흡인 노즐은 상기 흡인 노즐의 표면으로부터 현수되는, 그리고 흡인 체임버의 외주변을 한정하는 표면 맞물림 스커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흡인 체임버는 상기 도관과 연통하는 제 1 유체 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 맞물림 스커트 부재는 자체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하나 이상의 개구를 구비하는 제 1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에 대향하는 상기 표면 맞물림 스커트 부재의 제 2 부분은 자체의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균일한 직선 에지를 갖는다.A surface engaging skirt member of this configuration provides a floor tool with high pickup performance. In particular, the partially open or slotted / castellated outer edge / strip portion of the skirt member allows entry of dirt and debris into the suction chamber at multiple points along the length of the suction nozzle, The inner strip portion in which the slot of the portion 17 is not formed has a straight edge with a straight line that forms a seal with the adjacent bottom surface in use to prevent dirt and debris from leaking from the suction nozzle, Thereby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cover sheet. Therefore, in a fur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main body connected to a conduit, the main body comprising a support member configured to support a cleaning element and a support member adjacent to an edge of the support member The suction nozzle comprising a surface engaging skirt member suspended from a surface of the suction nozzle and defining an outer periphery of the suction chamber, the suction chamber having a first fluid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conduit, Wherein the surface engaging skirt member comprises a first portion having at least one opening along at least a portion of its length and the second portion of the surface engaging skirt member opposite the first portion comprises a self- And has a substantially straight edge along its length.

제 1 부분은 지지 부재의 에지로부터 원격된 흡인 노즐의 에지 상에 위치될 수 있으나, 제 2 부분은 지지 부재의 에지에 직접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The first portion may be positioned on the edge of the suction nozzle remote from the edge of the support member, but the second portion may be positioned directly adjacent the edge of the support member.

표면 맞물림 스커트 부재는 강성을 가지지만, 이 스커트 부재가 가요성을 가지는 경우에 바닥 표면과의 더 우수한 접촉이 달성된다. 이러한 유연성은 고무 또는 기타 폴리머와 같은 탄성 재료로, 또는 고밀도로 집속된 강모/필라멘트의 열(row)로 스커트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The surface engaging skirt member has rigidity, but better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is achieved when the skirt member is flexible. This flexibility can be achieved with elastic materials such as rubber or other polymers, or by forming skirt members with rows of bristles / filaments that are densely packed.

제 1 부분 내의 개구는, 예를 들면, 캐스털레이션의 형태로 규칙적으로 이격될 수 있고, 그리고 균일한 치수를 가질 수 있고, 또는 이 개구는 불규칙하게 형성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흡인 노즐의 길이의 상당 부분을 따라(예를 들면, 자체 길이의 반을 초과하여) 오물 및 파편이 흡인 체임버 내에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The openings in the first part can be regularly spaced, for example, in the form of castellations, and can have uniform dimensions, or the openings can be formed irregularly. What is important is that dirt and debris may be introduced into the suction chamber along a substantial portion of the length of the suction nozzle (e.g., in excess of one half of its length).

본 발명이 이러한 양태에 관련하여, 흡인 체임버는 이 흡인 체임버로부터 공기를 흡인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흡인 유출구를 귀한다. 바람직하게, 픽업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더 빠른 유동 속도를 유발시키기 위해 2 개의 유출구가 제공되고, 이들 유출구는 흡인 체임버의 각각의 단부로부터 등거리에 위치될 수 있다. In connection with this aspect of the invention, the suction chamber rests on at least one suction outlet for sucking air from the suction chamber. Preferably, two outlets are provided to cause a faster flow rate to improve the pick-up capability, and these outlets may be equidistant from each end of the aspiration chamber.

추가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표면 처리기기용 바닥 공구를 제공하고, 이것은 도관에 연결되는 주 본체를 포함하고,상기 주 본체는 청소 요소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에지에 인접하는 흡인 노즐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흡인 노즐은 제 1 흡인 체임버 및 제 1 흡인 체임버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제 2 흡인 체임버를 한정하고, 각각의 흡인 체임버는 상기 도관과 연통하는 각각의 유체 유출구를 포함한다. In a fur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oor tool for a surface treatment machine comprising a main body connected to a conduit, the main body comprising a support member configured to support a cleaning element and a suction member adjacent to an edge of the support member Wherein the suction nozzle defines a first suction chamber and a second suction chamber located adjacent the first suction chamber, each suction chamber including a respective fluid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conduit.

유리하게, 2 개의 흡인 체임버를 병치(side-by-side)하면 바닥 공구의 전체 폭에 걸쳐 그 파편 픽업 성능이 향상된다.Advantageously, the side-by-side of the two suction chambers improves their fragment pick-up performance over the entire width of the floor tool.

주 본체가 표면 상에서 광범위하게 조작될 수 있도록 도관은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 영역은 후방 영역이 주 본체에 대해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도록 제 1 축선을 중심으로 운동하도록 주 본체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것에 의해 주 본체는 필요에 따라 가구의 하측 및 가구와 벽 사이의 틈새 내로 용이하게 조작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도관의 영역의 관절 운동의 범위로 인해, 주 본체는 바닥 표면 상에서 공구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하는 청소봉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그리고 청소봉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될 수 있다.The conduit preferably includes a front region and a rear region so that the main body can be manipulated extensively on the surface. The front region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so as to move about a first axis so that the rear region can be raised and lowered relative to the main body so that the main body can be moved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furniture and between the furniture and the wall It can be easily operated into the clearance of the opening. Due to the range of articulation of the area of the conduit around the first and second axes, the main body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cleaning rods used to manipulate the tool on the bottom surface, an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cleaning rods And can be oriented in parallel.

전방 영역은 실질적으로 수직면 내에서 주 본체에 대해 선회 가능하고, 동시에 후방 영역은 제 1 축선으로부터 이격되는 제 2 축선을 중심으로 전방 영역에 대한 운동을 위해 전방 영역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 후방 영역은. 예를 들면, 도관의 후방 영역에 연결되는 청소봉에 대해 다양한 주 본체의 배향으로 바닥 영역과 같은 면 상에서 주 본체의 밀기 또는 당기기를 돕도록 전방 영역에 대해 절곡될 수 있다.The front region is pivotable relative to the main body within a substantially vertical plane while the rear region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front region for movement about the front region about a second axis spaced from the first axis. By this, For example, the cleaning rods connected to the rear region of the conduit may be bent relative to the front region to assist in pushing or pulling the main body on the same plane as the floor area in various main body orientations.

전방 영역과 후방 영역 사이의 피봇 연결에 의해 후방 영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방 영역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전방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도관의 전방 영역이 자체의 하강된 위치에 있을 때 낮은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By pivotal connection between the front region and the rear region, the rear region can be connected to the front region to be located at least partially below the front region. Thereby, it can have a low profile when the front region of the conduit is in its lowered position.

상기 흡인 노즐은 상기 흡인 노즐의 표면으로부터 현수되는,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흡인 체임버의 각각의 외주변을 한정하는 표면 맞물림 스커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분할벽이 표면 맞물림 스커트 부재의 측면들 사이에 연장될 수 있고, 그리고 표면 맞물림 스커트 부재와 동일한 정도까지 하방으로 연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스커트 및 분할벽은 고무 스트립과 같은 가요성 재료이지만, 나일론 강모와 같은 일렬의 강모도 또한 허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The suction nozzle may include a surface engaging skirt member suspended from a surface of the suction nozzle and defining an outer periphery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uction chambers. Furthermore, a dividing wall can extend between the sides of the surface-engaging skirt member and can be downwardly extended to the same extent as the surface-engaging skirt member. Preferably, the skirt and dividing wall are flexible materials such as rubber strips,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 series of bristles such as nylon bristles may also be acceptable.

제 1 흡인 체임버 및 제 2 흡인 체임버는 각각 흡인 체임버를 제 1 흡인 채널 및 제 2 흡인 채널로 구획하는 내벽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오물-함유 유체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채널을 통해 제 1 흡인 채널로부터 제 2 흡인 채널 내로 이동할 수 있다.The first aspiration chamber and the second aspiration chamber may each comprise an inner wall defining a suction chamber with a first suction channel and a second suction channel, Channel into the second suction channel.

흡인 체임버의 주위 및 흡인 체임버 내에 위치되는 가요성 표면 맞물림 수단의 이와 같은 구성은 이 공구가 표면 상에서 조작될 때 흡인 채널 내의 압력 수준을 유지하는 다중 유동 채널을 한정한다. 이것은 바닥 공구의 파편 픽업 성능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청소 시트에 유리된 파편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한다.This configuration of the flexible surface engaging means located around the suction chamber and within the suction chamber defines multiple flow channels that maintain a pressure level within the suction channel when the tool is manipulated on the surface. This improves the fracture pick-up performance of the flooring tool and at the same time prevents debris liberated on the cleaning sheet from accumulating.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내벽은 제 1 또는 제 2 흡인 채널 중 하나가 테이퍼를 이루도록 V자형이다. 바람직하게, 테이퍼형 흡인 채널은 유체가 개구 또는 노치를 통해 스커트 내에서 그리고 흡인 채널 내로 유동할 수 있도록 스커트의 캐스털레이션 형의 에지에 인접하는 협폭의 중간 영역을 갖는다. 제 2 흡인 채널은 유체가, 이 경우 오물-함유 공기가 제 1 흡인 채널로부터 제 2 흡인 채널 내로 흡인되도록 사용 시 흡인이 가해지는 유체 유출구와 연통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nner wall is V-shaped so that one of the first or second suction channels tapers. Preferably, the tapered suction channel has a narrow intermediate region adjacent the castellated edge of the skirt so that fluid can flow through the opening or notch into the skirt and into the suction channel. The second suction channel can communicate with the fluid outlet through which the fluid is sucked in use, in this case the dirt-containing air is sucked from the first suction channel into the second suction channel.

가요성 표면 맞물림 수단에 의해 각각의 흡인 체임버가 2 개의 상호 연결되는 흡인 채널로 "분할"됨으로써 주 본체 내에 2 개의 상이한 압력 영역이 형성된다. 비교적 고진공이 제 2 흡인 채널 내에 조성되고, 이 것은 바닥 표면 내의 간극 내에 위치되는 오물 및 먼지를 포획하기 위해 공구의 성능을 최적화한다. 동시에, 비교적 저진공이 제 1 흡인 채널 내에 형성될 수 있고, 이 것은 간극 내의 오물 및 먼지의 포획을 저하시킴이 없이 표면 상에 위치되는 파편을 포획하기 위한 공구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wo different pressure zones are formed in the main body by means of the flexible surface engaging means by each suction chamber being "divided" into two interconnecting suction channels. A relatively high vacuum is created in the second suction channel, which optimizes the performance of the tool to trap the dirt and dust that are located in the gaps in the bottom surface. At the same time, a relatively low vacuum can be formed in the first suction channel, which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tool to trap debris located on the surface without reducing the trapping of dirt and dust in the gaps.

각각의 노즐의 각각의 유체 유출구는 매니폴드에 결합되는 중간 도관과 연통할 수 있고, 그리고 바람직하게 각각의 중간 도관은 노즐이 지지 부재에 대해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도록 매니폴드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노즐이 상승된 위치에 있을 때 청소 시트는 지지 부재의 주위에 랩핑(wrapping)될 수 있고, 노즐이 하강된 위치에 있을 때 지지 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고정 수단이 제공될 수 있고,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이 고정 수단은 도관으로부터 현수되는, 그리고 지지 부재 내에 한정되는 상보적 형상의 리세스와 맞물림 가능한 노브와 같은 돌출 구조를 포함하므로, 흡인 노즐이 하강된 위치에 위치되어 있을 때 노브는 리세스 내에 수용되고, 따라서 지지 청소 시트를 지지 부재에 고정한다.Each fluid outlet of each nozzle can communicate with an intermediate conduit coupled to the manifold, and preferably each intermediate conduit is pivotally coupled to the manifold such that the nozzle can be raised and lowered relative to the support member . With this arrangement, when the nozzle is in the raised position, the cleaning sheet can be wrapped around the support member and fixed to the support member when the nozzle is in the lowered position. For this purpose, fastening means may be provided, and in one embodiment the fastening means comprises a projecting structure, such as a knob, which is suspended from the conduit and engageable with a recess of a complementary shape defined in the support member, When the suction nozzle is in the lowered position, the knob is received in the recess, thus securing the support cleaning sheet to the support member.

위에서 설명된 흡인 노즐은 청소 부재를 장착하기 위해 적합한 지지 플레이트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지만, 걸레 지지 부재를 가지지 않는 바닥 공구의 픽업 성능에도 또한 효과가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그러므로, 더욱 추가의 양태로부터 본 발명은 도관에 연결되는 주 본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용 바닥 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주 본체는 제 1 흡인 체임버 및 이 제 1 흡인 체임버에 인접하는 제 2 흡인 체임버를 포함하는 흡인 노즐을 포함하고, 각각의 흡인 체임버는 상기 도관과 연통하는 각각의 유체 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흡인 체임버 및 제 2 흡인 체임버의 각각은 상기 흡인 체임버를 제 1 흡인 채널 및 제 2 흡인 채널로 구획하는 내벽을 포함하고, 오물-함유 유체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채널을 통해 제 1 흡인 채널로부터 제 2 흡인 채널로 이동할 수 있다.The suction nozzle described above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when used in combination with a suitable support plate for mounting a cleaning member, but it is also expected that it will also be effective for the pick-up performance of a floor tool without a mop supporting member. Therefore, from a still fur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main body connected to a conduit, the main body comprising a first suction chamber and a second suction chamber adjacent to the first suction chamber Wherein each suction chamber comprises a respective fluid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conduit, wherein each of the first suction chamber and the second suction chamber includes a first suction channel and a second suction channel, And the dirt-containing oil stagnant may move from the first suction channel to the second suction channel through at least one intermediate channel.

파편이 흡인 채널의 특정 영역 내에 포획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벽은 제 1 또는 제 2 흡인 채널 중 하나가 테이퍼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추가의 임의의 증진으로서, 추가의 바닥 맞물림 부재가 내벽과 표면 맞물림 스커트의 인접 부분 사이의 제 1 또는 제 2 흡인 채널의 전체에 걸쳐, 바람직하게는 채널의 중간 영역 내에 횡단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파편이 제 1/제 2 채널 내에 유입될 때 저항을 방지하여 픽업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In order to prevent the debris from being trapped in a specific region of the suction channel, the inner wall may be formed such that one of the first or second suction channels tapers. As a further optional enhancement, an additional bottom engaging member may be provided across the entire first or second suction channel between the inner wall and the adjacent portion of the surface-engaging skirt, preferably transversely within the middle region of the channel . This helps to prevent the resistance when the debris flows into the first / second channel to improve the pickup performance.

상기 흡인 노즐은 상기 흡인 노즐의 표면으로부터 현수되는,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흡인 체임버의 각각의 외주변을 한정하는 표면 맞물림 스커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스커트 부재의 영역은 파편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한 노치 또는 캐스털레이션을 구비할 수 있다.The suction nozzle may include a surface engaging skirt member suspended from a surface of the suction nozzle and defining an outer periphery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uction chambers. The area of the skirt member may include notches or castellations to allow passage of the debris.

제 1 및 제 2 흡인 체임버를 한정하기 위해, 분할벽이 스커트와 동일한 정도까지 흡인 노즐의 하우징으로부터 현수되어 스커트의 양 측면 사이에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스커트와 분할벽은 가요성을 갖고, 탄성 스트립(예를 들면, 고무)으로 제조될 수 있고, 또는 대안적으로 복수의 치밀하게 집속된 강모 또는 필라멘트일 수 있다. To define the first and second suction chambers, the dividing wall may be suspended from the housing of the suction nozzle to the same extent as the skirt and extend between both sides of the skirt. Preferably the skirt and dividing wall are flexible and can be made of an elastic strip (e.g. rubber), or alternatively can be a plurality of closely-packed bristles or filaments.

본 발명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양태의 바람직한 특징 및/또는 선택적 특징은 필요에 따라 상호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preferred and / or optional features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bined with one another if desir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one exampl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 공구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바닥 공구의 측면도이고;
도 3은 상승된 위치의 자체의 흡인 노즐을 구비하는 도 1의 바닥 공구의 전방 사시도이고;
도 4는 특히 중간 도관을 따라 취한 도 3의 바닥 공구의 측면도이고;
도 5는 하강된 위치의 흡인 노즐을 구비하는 도 4와 유사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명확히 하기 위해 확대한 도 1의 바닥 공구의 부분 하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대안적 실시형태의 바닥 공구의 단순화된 부분 하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대안적 실시형태의 바닥 공구의 사시도이고;
도 9은 도 8의 바닥 공구의 하측면도이고; 그리고
도 10은 도 8 및 도 9의 바닥 공구를 장착한 스틱형 진공 청소기이다.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floor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floor tool of Figure 1;
Figure 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floor tool of Figure 1 with its own suction nozzle in an elevated position;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bottom tool of Figure 3, particularly taken along the middle conduit;
Figure 5 is a side view similar to Figure 4 with a suction nozzle in a lowered position;
Figure 6 is a partial bottom view of the floor tool of Figure 1 enlarged for clarity;
Figure 7 is a simplified partial bottom view of a floor tool of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or tool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bottom side view of the bottom tool of Figure 8; And
Fig. 10 is a stick type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the floor tools of Figs. 8 and 9. Fig.

일반적으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바닥 공구(2)는 주 본체(4) 및 이 주 본체(4)에 관련되는 도관(6)을 포함하고, 도관은 바닥 공구(2)를 진공 청소기(도시되지 않음)의 청소봉에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그리고 사용자가 청소될 표면의 전역에 걸쳐 바닥 공구(2)를 조작할 수 있게 한다.1 to 6, the floor tool 2 includes a main body 4 and a conduit 6 associated with the main body 4, the conduit being connected to the bottom tool 2 by a vacuum cleaner (Not shown), and allows the user to manipulate the floor tool 2 throughout the surface to be cleaned.

주 본체(4)는 대체로 장방형인 지지 부재(8)를 포함하고, 이 지지 부재(8) 상에 시트형 청소 요소(도 4 및 도 5에 도시됨) 및 지지 부재(8)의 각각의 긴 에지(14, 16)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흡인 노즐(10, 12)이 장착될 수 있다. 흡인 노즐(10, 12)의 각각은 지지 부재(8)의 상면(22)에 장착되는 공기 매니폴드(20)와선회 가능하게 관련된다. 본 도면에서, 바닥 공구(2)는 그 '전방'이 도면의 우측면을 향하도록 배향된다. 그러므로, 제 1 및 제 2 흡인 노즐(10, 12)은 각각 전방 흡인 노즐(10) 및 후방 흡인 노즐(12)이 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므로, 이하 그와 같이 부른다.The main body 4 includes a generally rectangular support member 8 on which a sheet type cleaning element (shown in Figures 4 and 5) and a long edge The first and second suction nozzles 10 and 12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and second suction nozzles 14 and 16 may be mounted. Each of the suction nozzles 10 and 12 is related to the air manifold 20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22 of the support member 8. [ In this figure, the floor tool 2 is oriented so that its 'front' faces the right side of the figure. Therefore, since the first and second suction nozzles 10 and 12 can be considered to be the front suction nozzle 10 and the rear suction nozzle 12, respectively, they are called as follows.

일반적인 의미에서, 바닥 공구(2)는 2 가지 기능을 갖는다. 첫째, 지지 부재(8)는 일반적으로 입수가능한 폴리계(poly-based) 일회용 걸레와 같은 습기 함유 시트 재료를 장착하도록 구성되므로, 바닥 공구(2)는 바닥 표면으로부터 제거 곤란한 얼룩 및 오물을 문지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둘째, 흡인 노즐(10, 12)은 바닥 공구(2)를 통해 흡인된 오물-함유 공기류 내에서 관련된 진공 청소기로 운반하기 위해 바닥 표면으로부터 유리된 오물 및 파편을 제거한다. In a general sense, the floor tool 2 has two functions. First, since the support member 8 is configured to mount a moisture-containing sheet material such as a poly-based disposable mop, which is generally available, the floor tool 2 can be used to rub dirt and dirt, Lt; / RTI > Second, the suction nozzles 10, 12 remove dirt and debris liberated from the floor surface for transport to the associated vacuum cleaner in the dirt-containing airflow sucked through the floor tool 2.

전방 흡인 노즐(10)은 각각의 제 1 및 제 2 전방 중간 도관(24)에 의해 매니폴드(20)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방 흡인 노즐(12)은 각각의 제 1 및 제 2 후방 중간 도관(26)에 의해 매니폴드(2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전방 및 후방 흡인 노즐(10, 12)은 각각의 흡인 노즐(10, 12)이 청소를 위해 바닥 표면과 맞물리도록 지지 부재(8)의 인접하는 긴 에지(14, 16)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제 1 위치(하강된 위치)와, 전방 및 후방 흡인 노즐(10, 12)이 바닥 표면과의 맞물림으로부터 벗어나 상승되도록 지지 부재(8)에 대해 선회된 제 2 위치(상승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 청소 시트는 흡인 노즐(10, 12)이 하강된 위치로 복귀되는 경우에 고정되도록 지지 부재(8)의 주위에 랩핑될 수 있다. 흡인 노즐(10, 12)은 도 1, 도 2 및 도 5에서 하강된 위치에 도시되어 있고, 도 3 및 도 4에 상승된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The front suction nozzle 10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manifold 20 by respective first and second front intermediate conduits 24 and the rear suction nozzle 12 i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first and second rear middle And is connected to the manifold 20 by conduit 26.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front and rear suction nozzles 10, 12 are arranged in such a manner that the suction nozzles 10, 12 of each adjacent long edge 14, 16 of the support member 8 are engaged with the bottom surface for cleaning, (Lowered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lowered position) that is pivoted relative to the support member 8 such that the front and rear suction nozzles 10, 12 are lifted off the engagement with the bottom surface Position). In this position, the cleaning sheet can be wrapped around the support member 8 to be fixed when the suction nozzles 10, 12 return to the lowered position. The suction nozzles 10, 12 are shown in the lowered position in FIGS. 1, 2 and 5 and are shown in the raised position in FIGS. 3 and 4.

이 바닥 공구(2)는 전방 및 후방 중간 도관(24, 26) 사이의 일부 내의 매니폴드(20)에 결합되는 연결 도관(6)에 의해 관련된 진공 청소기와 계면을 형성하고, 실제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너클 조인트를 형성한다.This floor tool 2 forms an interface with the associated vacuum cleaner by means of a connecting conduit 6 which is coupled to the manifold 20 in the part between the front and rear intermediate conduits 24 and 26, To form a knuckle joint.

도관(6)은 2 개의 부품, 전방 영역(28) 및 후방 영역(30)으로구성되고, 이들은 상호 유체적으로 연결되고,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전방 영역(28)은 매니폴드(20)를 통해 주 본체(4)에 연결되는 헤드 부분(28)을 가지므로 이것은 제 1 축선(A1)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 네크 부분(28b)은 헤드 부분(28a)으로부터 도관의 후방 영역(30)까지 연장되고, 도관은 청소기기의 청소봉, 호스 또는 기타 이와 같은 덕트 부분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유체 유출구(30a)를 포함하고, 청소기기는 먼지 분리 장치 및 바닥 공구 내로 오물-함유 유체(이 경우, 공기)를 흡인하기 위한 모터 구동식 팬 유닛을 포함한다.The conduit 6 consists of two parts, a front region 28 and a rear region 30, which are fluidly connected and pivot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ront region 28 has a head portion 28 connected to the main body 4 via the manifold 20 so that it can be pivoted about the first axis A1. The neck portion 28b extends from the head portion 28a to the rear region 30 of the conduit and includes a fluid outlet 30a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cleaning rod, hose or other such duct portion of the cleaning machine And the cleaner includes a motor-driven fan unit for drawing a dirt-containing fluid (in this case, air) into the dust separator and the bottom tool.

더 상세하게는, 헤드 부분(28a)은 제 1 축선(A1)과 실질적으로 공직선(co-linear)을 이루는 종축선을 따라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외면(32)을 갖고, 매니폴드(20)의 각각의 호 형상의 지주(36) 사이에 저널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원형 연결 포트(34)를 한정하도록 각각의 단부에서 개방된다. 그러므로 헤드 부분(28a)은 지주(36)의 주위에 자체의 종축선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한다. More specifically, the head portion 28a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outer surface 32 extending along a longitudinal axis that is substantially co-linear with the first axis A1, and the manifold 20 The first and second circular connection ports 34 journaled between the respective arcuate supports 36 of the first and second circular connection ports 34, Thus, the head portion 28a is free to rotate about its longitudinal axis around the struts 36. [

실링 부재(38)는 헤드 부분의 각각 외방을 향하는 포트(34)와 매니폴드(20)(지주(36))의 인접 부분의 각각의 외방향을 향하는 포트(34) 사이에 제공되어 이들 사이에 실질적으로 기밀 시일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헤드 부분(28a)의 각각의 포트(34)는 유체를 주 본체(4)로부터 도관(6) 내에 유입시킬 수 있는 각각의 진입점(entry point)을 제공한다. 따라서 각각의 포트(34)는 실질적으로 원형이고, 그리고 헤드 부분(28a)의 종축선, 따라서 각각의 포트(34)의 중심을 관통하는 제 1 축선(A1)에 실질적으로 직교한다. 결과적으로, 사용 시, 유체는 대향 방향으로 포트(34)를 통해 헤드 부분(28a) 내로 유입된다. 네크 부분(28b)은 포트(34) 사이의 실질적으로 중간의 위치에서 헤드 부분(28a)의 종축선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본 실시형태에서 헤드 부분(28a)과 일체이다. 결과적으로, 유체가 포트(34) 중의 하나로부터 네크 부분(28b) 내로 유동할 때 유체류는 약 90° 만큼 방향을 변화시킨다. The sealing member 38 is provided between each outward facing port 34 of the head portion and each outward facing port 34 of the adjacent portion of the manifold 20 (post 36) Thereby forming a substantially airtight seal. Each port 34 of the head portion 28a thus provides a respective entry point through which fluid can be drawn into the conduit 6 from the main body 4. Each port 34 is substantially circular and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head portion 28a and thus to the first axis A1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each port 34. [ As a result, in use, the fluid flows into the head portion 28a through the port 34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neck portion 28b extends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head portion 28a at a substantially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ports 34 and is integral with the head portion 28a in this embodiment. As a result, when fluid flows from one of the ports 34 into the neck portion 28b, the fluid flow changes direction by about 90 degrees.

도관(6)의 후방 영역(30)은 제 1 축선(A1)에 대해 절곡된 제 2 축선(A2)을 중심으로 전방 영역(28)의 네크 부분(28b)에 대해 선회 운동하기 위해 전방 영역(28)의 네크 부분(28b)에 연결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 2 축선(A2)은 제 1 축선(A1)에 직교하고,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후방 영역(30)의 종축선(L)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서 약 65 °의 각도 만큼 경사를 이룬다.The rear region 30 of the conduit 6 is positioned in the forward region 28 to pivot relative to the neck portion 28b of the front region 28 about the second axis A2 which is bent against the first axis A1. 28 to the neck portion 28b.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axis A2 is orthogonal to the first axis A1 and is about 65 degrees in this embodiment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L of the rear region 30 shown in Fig. .

도관(6)의 전방 및 후방 영역(28, 30) 사이의 연결은 전방 영역(28)의 유체 유출구(40)를 도관(6)의 후방 영역(30)의 유체 유입구(42)에 연결함으로써 달성된다. 전방 영역(28)의 유체 유출구(40)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 그리고 도관이 도 2에 도시된 경사진 위치에 있는 경우에 바닥 표면을 향해 하방으로 절곡된다(도 2에 도시됨). 후방 영역(30)의 유체 유입구(42)도 또한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 전방 영역(28)의 유체 유출구(40) 내에 수용되므로 이들의 종축선은 제 2 축선(A2)과 실질적으로 공직선을 이룬다. 더욱이, 유체 유출구(40)와 유체 유입구(42) 사이의 맞물림은 유체 유입구(42)가 제 2 축선(A2)을 중심으로 유체 유출구에 대해 회전될 수 있는 맞물림이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계면으로부터의 유체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 부재가 유체 유입구의 내면과 유체 유출구의 외면 사이에 위치된다. The connection between the front and rear regions 28,30 of the conduit 6 is achieved by connecting the fluid outlet 40 of the front region 28 to the fluid inlet 42 of the rear region 30 of the conduit 6 do. The fluid outlet 40 of the front region 28 is substantially cylindrical and bends downwardly toward the bottom surface when the conduit is in the tilted position shown in FIG. 2 (shown in FIG. 2). The fluid inlets 42 of the rear region 30 are also substantially cylindrical and are received within the fluid outlet 40 of the front region 28 so that their longitudinal axis lines are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second axis A2 . Furthermore, the engagement between the fluid outlet 40 and the fluid inlet 42 is an engagement in which the fluid inlet 42 can be rotated about the second axis A2 about the fluid outlet.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sealing member is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luid inle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luid outlet to prevent fluid loss from the interface.

이 도관 구성으로 인해, 자체의 종축선(L)을 중심으로 하는 후방 영역(30)의 회전 운동에 의해 바닥 공구(2)는 청소될 표면에 평행한 평면 내에서 각도 방향으로 스윙 운동을 유발한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좁은 통로 내로 슬라이딩되도록 쉽게 90°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바닥 공구(2)는 조작하기가 매우 쉽다.Due to this conduit configuration,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ear region 30 about its own longitudinal axis L causes the floor tool 2 to swing in an angular direction in a plane parallel to the surface to be cleaned . Therefore, for example, the floor tool 2 is very easy to operate because it can be easily rotated by 90 degrees to slide into a narrow passage.

도 4 및 도 5는 2 개의 중간 도관(24, 26)를 따른 바닥 공구(2)의 절제도로서, 중간 도관의 내단부가 각각의 내부 유동 통로(27)를 따라 흡인 노즐(10, 12)로부터 연결 도관(6)으로 공기류를 운반하는 횡단방향의 유체류 채널(41)를 한정하는 방식으로 협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들 도면에서 (전방으로부터 바닥 공구를 보았을 때) 바닥 공구(2)의 좌측 상의 전방 중간 도관(24) 중 하나 및 후방 중간 도관(26) 중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우측 중간 도관(24, 26)의 구조적 세부는 동일하므로 여기서 설명하지 않는다.Figures 4 and 5 show a cutaway view of the floor tool 2 along two intermediate conduits 24 and 26 with the inner ends of the intermediate conduits extending from the suction nozzles 10 and 12 along the respective inner flow passages 27 It can be seen that they cooperate in a manner that defines a transverse flow channel 41 that carries the air flow to the connection conduit 6. In these figures, only one of the front intermediate conduits 24 and the rear intermediate conduit 26 on the left side of the floor tool 2 (when viewing the floor tool from the front) is shown, but the right intermediate conduit 24, The structural details of which are the same and are not described here.

전방 중간 도관(24) 또는 '아암'은 전방 흡인 노즐(10)의 상부 하우징(44)의 표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실질적으로 90° 만큼 선회되고, 매니폴드(20)를 향해 지지 부재(8)의 평면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흡인 노즐(10)로부터 원위 단부에서, 연결 아암(24)은 이 아암(24)에 대해 횡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부분(46)에서 끝난다. The front intermediate conduit 24 or 'arm' extends upwardly from the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44 of the front suction nozzle 10 and is pivoted by substantially 90 degrees and is directed toward the manifold 20 by a support member 8 ) In a plane parallel to the plane. At the distal end from the suction nozzle 10, the connecting arm 24 terminates in a cylindrical portion 46 extending transversely with respect to the arm 24.

원통형 부분(46)은 폐쇄된 외단부(도 4 및 도 5에 도시되지 않음) 및 사이에 실링 링 부재(49)를 더 개재하는 지지 부재(8)의 지주(36)와 맞물리는 개방된 내부 림 부분(48)을 갖는다. 전방 흡인 노즐의 다른 연결 아암(24)은 동일한 원통형 부분을 포함하고, 또한 림 부분을 가지므로 이 2 개의 림 부분이 지지 부재의 지주(36)에 대해 너클 조인트 방식으로 효과적으로 '클램핑'되고, 따라서 연결 아암(24, 26)은 지주에 대해 선회될 수 있다.The cylindrical portion 46 has an open interior that engages a strut 36 of a support member 8 that further includes a sealing ring member 49 therebetween and a closed outer end (not shown in Figures 4 and 5) Has a rim portion (48). The other connecting arm 24 of the front suction nozzle includes the same cylindrical portion and also has a rim portion so that the two rim portions are effectively " clamped " in a knuckle joint manner with respect to the support 36 of the support member, The connecting arms 24, 26 may be pivoted relative to the support.

후방 흡인 노즐(12)과 매니폴드(20) 사이에 연결되는 후방 중간 도관(26) 또는 '아암'으로 돌아가서, 이것은 또한 전방 아암(24)의 원통형 부분(46)의 외면에 상보적인 형상인 대체로 반원형인 슬리브 부분(50)을 한정하는 내단부를 포함하므로, 이 슬리브 부분(50)은 원통형 부분(46)의 표면 상에 라이딩(riding) 될 수 있다. 실링 층(51)은 계면으로부터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그 내면 상에 제공된다. 슬리브 부분(50)의 내단부(52)는 원통형 부분(46)의 림(48) 상에 제공되는 상보적 환형 그루브(또한 도시되지 않음) 내에 끼워맞춤되는 얕은 립(lip)(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고, 이것은 슬리브 부분(50)을 매니폴드(20) 상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작용을 한다. 슬리브 부분(50)의 외부는 원형의 단부 캡(53)(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됨)을 포함하고, 이것은 제 1 연결 아암(24)의 원통형 부분(46)의 외단부 부분과 맞물린다. 이러한 방식으로, 후방 아암(26)은 전방 아암(24)에 대해 선회될 수 있다. Returning to the rear intermediate conduit 26 or 'arm' which is connected between the rear suction nozzle 12 and the manifold 20, it also has a generally symmetrical shap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46 of the front arm 24, Includes an inner end defining a semi-circular sleeve portion 50 so that the sleeve portion 50 can be ridden on the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46. [ A sealing layer 51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to prevent leakage from the interface. The inner end 52 of the sleeve portion 50 includes a shallow lip (not shown) that fits within a complementary annular groove (also not shown) provided on the rim 48 of the cylindrical portion 46. [ Which acts to securely secure the sleeve portion 50 onto the manifold 20. The exterior of the sleeve portion 50 includes a circular end cap 53 (shown in Figures 1-3), which engages an outer end portion of the cylindrical portion 46 of the first connecting arm 24 . In this way, the rear arm 26 can be pivoted relative to the front arm 24.

위의 설명으로부터 전방 및 후방 중간 도관, 또는 아암의 내단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니폴드(20)를 한정하도록 협력한다는 것이 이해된다. 특히, 전방 아암(24)의 원통형 부분은 매니폴드(20)의 유체류 통로의 대부분을 한정하지만, 공기가 원통형 부분(46)을 통해 중간 도관(26)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강된 위치 내에 아암이 존재하는 경우에 후방 아암(26)의 내부 통로와 일치하는 포트(54)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지지 부재(8)에 대한 중간 도관(24, 26)의 매우 우아한 선회 구조가 가능해지지만, 당업자는 다른 구성에 의해 동일한 선회 운동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전방 및 후방 도관(24, 26)의 각각은 유체 매니폴드를 형성하기 위해 병치될 수 있는 원통형 내부 영역을 구비할 수 있고, 하나의 영역은 다른 영역에 대해 면 시일(face seal)을 갖는다.It is understood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at the front and rear intermediate conduits, or the inner end of the arm, cooperate to at least partially define the manifold 20. In particular,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e front arm 24 defines a majority of the fluid retention passageway of the manifold 20, but is configured to allow the air to flow into the intermediate conduit 26 through the cylindrical portion 46, And has a port 54 coinciding with the internal passage of the rear arm 26 when it is present. This arrangement allows for a very elegant turning structure of the intermediate conduits 24, 26 relative to the support member 8, but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configurations can achieve the same turning movement. For example, each of the front and rear conduits 24, 26 may have a cylindrical interior region that can be juxtaposed to form a fluid manifold, and one region may be a face seal for another region, Respectively.

대안적으로, 본 실시형태에서 연결 아암은 매니폴드 자체를 한정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그럴 필요는 없고 전방 및 후방 연결 아암(24, 26)은 매니폴드를 한정하는 부품과 별개의 부품일 수 있다.Alternative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ng arm has been described as defining the manifold itself, but it need not be, and the front and rear connecting arms 24, 26 may be separate parts from the parts defining the manifold.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전방 및 후방 아암(24, 26)의 선회 작용에 의해 청소 시트는 지지 부재(8)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및 후방 아암(24, 26)의 각각은 각각의 아암(24, 26)의 하측면으로부터 현수되는 노브(60)의 형태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노브(60)는 아암(24, 26)이 하강된 위치에 있는 경우에 지지 부재(8)의 상면(22) 상의 대응하는 원형 리세스(62) 내에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청소 시트는 지지 부재(8)의 주위에 랩핑될 수 있고, 아암이 상승된 위치에 있을 때, 청소 시트의 단부는 지지 부재(8)의 상면(22)에 접촉하여 유지될 수 있다. 아암을 하강시키면 노브(60)는 그 각각의 리세스(62) 내로 진입함으로써 청소 시트는 정위치에 견고하게 유지되고, 이러한 작용에 의해 또한 청소 시트는 지지 부재(8)의 하측면에 대해 밀착 유지됨으로써 주름짐이나 동요가 방지되고, 이것은 바닥 표면의 청소를 촉진시켜준다. 도 4 및 도 5에서, 청소 시트(63)는 점선으로 묘사되어 있고, 일부가 리세스 내에 진입된 상태로 지지 플레이트(8)의 주위에 랩핑되도록 도시되어 있다. 도 5에서, 노브(60)는 리세스(62) 내에 진입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청소 시트(63)를 고정한다.As mentioned above, the cleaning sheet can be fixed to the supporting member 8 by the pivotal action of the front and rear arms 24, 4 and 5, each of the front and rear arms 24, 26 includes projections in the form of knobs 60 that are suspended from the underside of each arm 24, 26 . Each knob 60 is configured to be received in a corresponding circular recess 62 on the upper surface 22 of the support member 8 when the arms 24 and 26 are in the lowered position. In this way, the cleaning sheet can be wrapped around the support member 8, and when the arm is in the raised position, the end of the cleaning sheet can be hel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22 of the support member 8 have. When the arm is lowered, the knob 60 enters into its respective recess 62 to keep the cleaning sheet firmly in place. By this action, the cleaning sheet is also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8 This keeps wrinkles and agitation, which promotes cleaning of the floor surface. 4 and 5, the cleaning sheet 63 is depicted by a dotted line and is shown to be wrapped around the support plate 8 in a state in which a part thereof enters the recess. In Fig. 5, the knob 60 enters the recess 62, thereby fixing the cleaning sheet 63. Fig.

지지 부재에 의해 제공되는 닦음 설비에 추가하여, 흡인 노즐(10, 12)은 바닥 표면으로부터 유리된 파편을 제거하고, 흡인 노즐(10, 12)의 구성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매우 강한 파편 픽업 성능을 제공한다.In addition to the wiping facility provided by the support member, the suction nozzles 10, 12 remove the frozen debris from the bottom surface,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suction nozzles 10, 12, as described below, Performance.

도 6은 전체적인 흡인 노즐의 하면 및 확대된 전방 흡인 노즐(12)을 도시한다. 전방 및 후방 흡인 노즐(10, 12)의 각각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전방 흡인 노즐(10)만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그 설명은 후방 흡인 노즐(12)에도 적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Fig. 6 shows the lower surface of the overall suction nozzle and the enlarged front suction nozzle 12. Fig.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respective configurations of the front and rear suction nozzles 10 and 12 are substantially the same and therefore only the front suction nozzle 10 is described in detail herein but the description also applies to the rear suction nozzle 12. [

흡인 노즐(10)의 하우징(44)은 사각형이고, 하우징(44)의 외주변의 주위에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사각형 스커트를 한정하는 하방으로 현수되는 스트립형 바닥 맞물림 부재(70)를 포함한다. 추가의 바닥 맞물림 부재 또는 '분할벽'(72)은 하우징(44)의 2 개의 단부 사이의 대략 중간의 스커트(70)의 긴 에지 사이에 횡단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러므로 흡인 노즐(10)을 나란히 위치되는 제 1 흡인 체임버(74) 및 제 2 흡인 체임버(76)로 분할한다.The housing 44 of the suction nozzle 10 is rectangular and includes a strip-shaped bottom engaging member 70 which is suspended downwardly to define a substantially continuous rectangular skirt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using 44. The additional bottom engaging member or "dividing wall" 72 extends transversely between the long edges of the approximately middle skirt 70 between the two ends of the housing 44, and therefore the suction nozzles 10 are arranged side by side Into a first suction chamber (74) and a second suction chamber (76) which are located.

본 실시형태에서 흡인 체임버(74, 76)의 외주변 스커트/벽(70) 및 분할벽(72)은 흡인 체임버의 주위 및 흡인 체임버의 사이에 연장되는 가요성 재료의 얇은 스트립, 예를 들면, 고무이다. 제조의 편의를 위해, 외주변 스커트(70)는 별개의 스트립 영역, 즉 스커트(70)의 전방 및 후방 부분을 위한 2 개의 스트립 영역(70a, 70b)과 2 개의 측면 영역(70c, 70d)으로 제조된다. 도 4 및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트립(70)은 하우징(44)의 하측면 상의 리세스(77) 내에 유지된다. 그러나, 전체의 스커트는 연속 재료의 밴드와 같은 단일의 스트립으로 제작될 수 있고, 대안적으로, 표면 맞물림 부재도 연속적인 강모의 열(row)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 때 스커트의 후방 영역 또는 '부분'(70b)는 지지 부재(8)의 긴 에지에 직접 인접하도록 위치된다. 스커트의 전방 부분(70a)은 스커트의 후방 부분(70b)에 대향하도록 위치되므로 지지 부재(8)의 긴 에지로부터 먼 곳에 위치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The outer perimeter skirt / wall 70 and the dividing wall 72 of the suction chambers 74 and 76 in this embodiment are formed by thin strips of flexible material extending around the suction chamber and between the suction chambers, It is rubber. The outer peripheral skirt 70 is divided into two strip regions 70a and 70b and two side regions 70c and 70d for a separate strip region, i.e.,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skirt 70 . 4 and 5, the strip 70 is held in a recess 77 on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44. As shown in Fig. However, the entire skirt can be made of a single strip, such as a band of continuous material, or, alternatively, the surface engaging member can take the form of a row of continuous bristles. The rear region or 'portion' 70b of the skirt is then positioned directly adjacent to the long edge of the support member 8. It is conceivable that the front portion 70a of the skirt is positioned to face the rear portion 70b of the skirt so that it is located far from the long edge of the supporting member 8. [

인접하는 흡인 체임버(74, 76)의 각각은 또한 고무 스트립의 형태로 추가의 바닥 맞물림 부재(80)를 더 구비하고, 이것은 각각의 체임버(74, 76) 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벽을 한정하지만 체임버의 각각의 단부에 못미쳐서 끝나므로 각 단부에 간극(81)을 한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종방향 스트립(80)은 제 1 및 제 2 흡인 체임버(74, 76)의 내부를 제 1 및 제 2 종방향 흡인 채널(82, 84)로 분할하고, 이들은 흡인 체임버의 양 단부의 간극 또는 '연결 채널'에 의해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지금까지 사용된 관례 따라, 이하에서 제 1 흡인 채널(82)은 전방 흡인 채널로, 그리고 제 2 흡인 채널(84)은 후방 흡인 채널로 부른다.Each of the adjacent suction chambers 74, 76 further comprises an additional bottom engaging member 80 in the form of a rubber strip which defines a longitudinally extending inner wall within each chamber 74, But does not reach each end of the chamber, thus defining a clearance 81 at each end. In this manner, the longitudinal strip 80 divides the interior of the first and second suction chambers 74, 76 into first and second longitudinal suction channels 82, 84, Or by a " connection channel " According to the convention used so far, hereinafter, the first suction channel 82 is referred to as a front suction channel and the second suction channel 84 is referred to as a rear suction channel.

전방 흡인 채널(82)에 인접하는 스트립 영역(70a)은 일련의 캐스털레이션 또는 노치(86)을 구비하고, 이것에 의해 공기는 캐스털레이션(86)을 통해 전방 흡인 채널(82) 내로 유입된다. 공기는 유체 유출구 개구(88)를 통해 흡인 체임버(74, 76)로부터 유출되고, 유체 유출구 개구(88)는 제 2 흡인 채널과 연통하고, 그리고 각각의 중간 도관(24, 26)의 내부 통로(27)를 통해 연결 도관(6)으로 이어진다. The strip region 70a adjacent the front suction channel 82 has a series of castellations or notches 86 that allow air to enter the front suction channel 82 through the castellation 86 do. Air flows out of the suction chambers 74 and 76 through the fluid outlet opening 88 and the fluid outlet opening 88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suction channel and through the inner passageway of each intermediate conduit 24 and 26 27 to the connecting conduit 6.

후방 흡인 채널(84)에 인접하는 스트립 영역(70b)은 캐스털레이션을 구비하지 않는 점에서 연속적이고, 따라서 균일하고 직선형인 연속적 에지를 한정하고, 따라서 청소 시트 상에 파편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바닥 표면과 맞물릴 수 있다. 유리하게, 이것은 바닥 표면에 흔적이 남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청소 시트의 수명을 연장시켜 준다.The strip region 70b adjacent to the rear suction channel 84 is continuous in that it does not have castellations and thus defines a continuous, uniform and straight edge and thus prevents debris from accumulating on the cleaning sheet It can be engaged with the floor surface. Advantageously, this not only prevents traces on the floor surface, but also extends the life of the cleaning sheet.

사용 시, 스트립 영역(70a - 70d)의 모두가 바닥 표면과 맞물리도록 바닥 공구(2)가 바닥 표면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관련된 진공 청소기에 의해 도관(6)에 흡인을 가하면 각각의 흡인 노즐(10, 12)의 각각의 흡인 체임버(74, 76) 내에 2 개의 상이한 압력 영역이 발생한다. 후방 및 측부 스트립 영역(70b, 70c, 70d)에 의해 후방 흡인 채널(84)의 주위에 형성되는 비교적 치밀한 시일에 기인되어, 비교적 고진공이 후방 흡인 채널(84)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바닥 표면 내의 간극 내에 위치되는 파편이 후방 흡인 채널(84)을 통한 공기류 내에 혼입되는데 유리한 비교적 고속의 공기류를 조성한다. 더욱이, 후방 스트립 영역(70b)은 직선의 균일한 에지를 가지므로, 이것은 파편이 후방 스트립 영역(70b)의 하측을 통과할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이것에 의해 지지 부재 및 이에 따라 청소 시트가 파편을 픽업하는 것이 방지된다.In use, when the bottom tool 2 is positioned on the bottom surface so that all of the strip regions 70a-70d engage the bottom surface, when suction is applied to the conduit 6 by the associated vacuum cleaner, Two different pressure zones occur within the suction chambers 74, 76 of each of the suction chambers 10, 12, respectively. A relatively high vacuum can be formed in the rear suction channel 84 due to the relatively dense seal formed around the rear suction channel 84 by the rear and side strip regions 70b, 70c, 70d. This creates a relatively high velocity air flow which is advantageous for the debris located in the gaps in the floor surface to be incorporated into the air flow through the rear suction channel 84. [ Moreover, since the rear strip region 70b has a straight, uniform edge, this reduces the likelihood that the debris will pass through the underside of the rear strip region 70b, thereby causing the support member and, thus, Pickup is prevented.

연결 채널(81)을 제공하면 전방 흡인 채널(82) 내에 비교적 저진공이 형성되어 바닥 표면 상에 위치된 먼지 및 비교적 큰 파편이 비교적 큰 캐스털레이션(86)을 통해 전방 흡인 채널(82) 내로 흡인되는 유체류 내에 혼입될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오물-함유 유체류는 전방 흡인 채널(82)로부터 흡인 체임버(74, 76)의 양측 상의 연결 채널(81)을 통해 후방 흡인 채널(84)로, 그리고 다음에 하우징(44)의 개구(88) 내로 운반된다. 그곳으로부터, 이 유체류는 중간 도관(24, 26)을 따라 매니폴드(20)로, 그리고 포트(54)를 통해 도관(6)의 전방 영역(28)의 헤드 부분(28a) 내로 운반된다. 선택적으로, 최소의 난류 상태로 네크 내로 유체의 유동을 촉진하기 위해 헤드 부분(28a) 내에 안내 표면이 제공된다. 전방 영역(28)으로부터, 유체류는 도관(6)의 후방 영역(30) 내로, 그리고 후방 영역(30)의 유체 유출구(30a)연결되는 진공 청소기의 청소봉(도시되지 않음) 내로 유입된다.Providing a connection channel 81 provides a relatively low vacuum in the front suction channel 82 to allow dust and relatively large debris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to pass through the relatively large castellation 86 into the front suction channel 82 It can be incorporated into the oil stream to be sucked. The dirt-containing oil stool then flows from the front suction channel 82 to the rear suction channel 84 through the connecting channel 81 on both sides of the suction chamber 74 and 76 and then to the opening 88). From there it is conveyed into the manifold 20 along the intermediate conduits 24 and 26 and into the head portion 28a of the front region 28 of the conduit 6 via the port 54. Optionally, a guiding surface is provided in the head portion 28a to facilitate the flow of fluid into the neck in a minimum turbulent state. From the front region 28 the fluid flows into the rear region 30 of the conduit 6 and into the cleaning rods (not shown) of the vacuum cleaner connected to the fluid outlet 30a of the rear region 30. [

바닥 공구가 바닥 표면 상에서 조작될 때, 스트립 영역의 유연성에 의해 주 본체(4)에 대한 청소봉의 넓은 범위의 배향에 걸쳐 바닥 표면과, 그리고 따라서 흡인 체임버(74, 76) 내의 2 개의 상이한 압력 영역과의 접촉이 유지될 수 있다. 더욱이, 각각의 체임버가 각각의 전방 및 후방 흡인 채널(82, 84)을 갖도록 흡인 노즐(10, 12)을 2 개의 별개의 체임버(74, 76)로 분할함으로써, 흡인 체임버를 통하는 고속의 유체류는 바닥 공구(2)의 전체 폭을 통과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파편의 혼입 및 픽업이 크게 촉진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By virtue of the flexibility of the strip region when the floor tool is operated on the floor surface, the flexibility of the strip region is such that the bottom surface over a wide range of orientations of the cleaning rods relative to the main body 4, and thus two different pressure zones Can be maintained. Further, by dividing the suction nozzles 10, 12 into two separate chambers 74, 76 so that each chamber has its respective front and rear suction channels 82, 84, a high velocity fluid flow through the suction chamber Is passed through the entire width of the floor tool 2, whereby it can be ensured that the incorporation of fragments and the pickup are greatly promoted.

본 발명의 바닥 공구(2)의 넓은 개념 내에서, 몇 가지 대안이 이미 설명되었다. 이하에서 다른 것을 설명한다.Within the broad concept of the floor tool 2 of the present invention, several alternatives have already been described. Hereinafter, the other will be described.

도 7에 단순환된 형태의 바닥 공구(2)의 변형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 바닥 공구(2)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공통되는 부분에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되었다.Fig. 7 shows a modification of the floor tool 2 in a short circulating form. The floor tools 2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so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common parts.

본 실시형태에서, 각각의 흡인 체임버(74, 76)는 이전의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종방향 스트립 부분(100)에 의해 전방 및 후방 흡인 채널(82, 84)으로 분할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스트립 부분(100)은 흡인 체임버의 전방 캐스털레이션 형의 스트립 영역(70a)에 직접 인접하는 정점(vertex)을 갖는 낮은 V자형 또는 "셰브론"을 한정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In this embodiment, each suction chamber 74, 76 is divided by the longitudinal strip portion 100 into the front and rear suction channels 82, 84,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the strip portion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defines a low V-shaped or "chevron" with a vertex immediately adjacent to the front castellated strip region 70a of the suction chamber .

스트립 부분(100)의 V자형은 실질적으로 그 중간 점에서 가장 좁고, 그리고 양 단부의 부근에서 넓어지는 테이퍼형 전방 채널(82)을 제공한다. 이것의 효과는 캐스털레이션 형의 전방 스트립 영역(70a)을 통해 전방 흡인 채널(82)의 중심 영역으로 유동하는 유체류의 속도를 증대시킴으로써, 전방 흡인 채널(82) 내의 공기류 내에 파편의 혼입을 촉진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스트립 부분(100)의 형상은 흡인 채널을 통한 공기류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개구(88)를 통해 흡인 채널에 가해지는 대부분의 진공을 생성하고, 따라서 파편 픽업을 향상시킨다.The V-shape of the strip portion 100 provides a tapered front channel 82 that is narrowest at its midpoint and widens near both ends. The effect of this is to increase the velocity of the fluid flowing into the central region of the front suction channel 82 through the front strip region 70a of the castellation type so that the mixing of the debris into the air stream in the front suction channel 82 . Thus, the shape of such strip portion 100 creates most of the vacuum applied to the suction channel through opening 88 by regulating the velocity of the airflow through the suction channel, thus improving debris pickup.

바람직하게, V자형 스트립 영역(100)은 약 170°의 비교적 작은 내부 정각(vertex angle)를 한정하지만, 150° 내지 175° 사이의 다양한 정각도 필요한 공기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뾰족한 정점을 갖는 V자형 스트립 영역이 도시되어 있으나, 그럴 필요 없이 스트립 영역(100)의 2 개의 각도 부분은 융합되어 만곡된 정점을 형성할 수 있고, 또는 평평한 부분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중요한 고려사항은 채널의 중간 영역에서의 공기류의 속도를 증대시키기 위해 채널(83)의 중간 영역을 좁게 만드는 것이다.Preferably, the V-shaped strip region 100 defines a relatively small internal vertex angle of about 170 degrees, but can provide the necessary air flow advantage at various angles between 150 and 175 degrees. V-shaped strip regions having sharp apexes are shown, but need not be, the two angular portions of the strip region 100 can be fused to form a curved apex, or can be separated by a flattened portion. An important consideration is to narrow the middle region of the channel 83 to increase the velocity of the air flow in the middle region of the channel.

추가의 증진으로서, 스트립 영역(70a)과 종방향 스트립(80, 100)의 중간점 사이의 전방 흡인 채널(82)의 전역에서 횡단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추가의 실링 스트립이 제공될 수 있다. 추가의 스트립은 참조 번호(101)에 의해 도 7 상에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것의 효과는 전방 흡인 채널의 중간 영역에서 '저항'을 방지하는 것이므로 이것에 의해 픽업 성능의 추가의 향상이 제공된다. As a further enhancement, additional sealing strips may be provided to extend transversely across the front suction channel 82 between the midpoints of the strip strips 70a and longitudinal strips 80, 100. An additional strip i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in Fig. The effect of this is to prevent " resistance " in the middle region of the front suction channel, thereby providing a further improvement in the pickup performance.

위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 흡인 노즐(10, 12)은 지지 부재(4)와 구별되는 별개의 요소이고, 중간 도관(24, 26)의 단부 상에 장착된다. 유리하게, 이것에 의해 시트가 걸레에 부착될 수 있도록 노즐은 선회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선회 가능한 장착은 본질적인 것은 아니고, 지지 부재를 흡인 노즐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함으로써 유사한 장착 구성이 달성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suction nozzles 10, 12 are separate elements distinct from the support member 4 and are mounted on the ends of the intermediate conduits 24, 26. Advantageously, the nozzle can be pivotally mounted such that the seat can be attached to the mop. However, the pivotable mounting is not essential, and a similar mounting configuration can be achieved by detachably fixing the support member to the suction nozzle.

더욱이, 청구항에 한정된 본 발명의 넓은 개념 내에서, 흡인 노즐이 지지 부재로부터 별개의 구별되는 부품인 것은 본질이 아니다. 대신에, 걸레 지지 부재는 블록형 본체에 의해 한정될 수 있고, 그 측부는 흡인 노즐을 한정할 수 있다. 설명으로서, 도 8 및 도 9는 각각 이와 같은 바닥 공구(2)의 실시예의 사시도 및 하측면도를 도시한다.Moreover, within the broad concept of the invention defined in the claims, it is not essential that the suction nozzle is a distinct distinct part from the support member. Instead, the mop supporting member may be defined by the block-like body, and the side thereof may define the suction nozzle. 8 and 9 show a perspective view and a bottom side view of an embodiment of such a floor tool 2, respectively.

도 8을 참조하면, 이전의 실시형태의 구성과 유사한 바닥 공구(200)가 도시되어 있고, 이것은 주 본체(202) 및 이 주 본체(202)에 선회 가능하게 부착되는 연결 도관(204)을 포함한다. 연결 도관(204)은 이전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형태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8, a floor tool 200 similar to that of the previous embodiment is shown and includes a main body 202 and a connecting conduit 204 pivotally attached to the main body 202 do. The connection conduit 204 is of the same type as the previous embodiment and is not further described herein.

주 본체(202)는 블록형이고, 걸레 지지 영역(205) 및 이 걸레 지지 영역의 긴 에지(205a, 205b)의 각각을 따라 위치되는 제 1 흡인 노즐(206) 및 제 2 흡인 노즐(208)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흡인 노즐(206, 208)의 각각의 상단부(206a, 208a)는 각각의 흡인 채널/도관(212)로 이어지는 유체 유출구(210)를 포함하고, 흡인 채널/도관(212)은 경사각도로 흡인 노즐(206, 208)로 분기되고, 그리고 중앙에 위치되는 매니폴드(214)에서 수렴한다. 연결 도관(204)은 매니폴드(214)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유체적으로 연결되므로, 사용 시 공기류는 흡인 노즐(206, 208)을 통해 흡인 채널(212)을 따라 연결 도관(204) 내로 흡인된다.The main body 202 is block-shaped and includes a first suction nozzle 206 and a second suction nozzle 208 positioned along the mop support area 205 and each of the long edges 205a and 205b of the mop support area, . Each upper end 206a and 208a of the first and second suction nozzles 206 and 208 includes a fluid outlet 210 that leads to a respective suction channel / conduit 212 and a suction channel / Is diverted to the inclined angle road suction nozzles 206 and 208, and converges at the centrally located manifold 214. [ The connecting conduit 204 is mechanically and fluidly connected to the manifold 214 so that in use the air flow is drawn into the connecting conduit 204 along the suction channel 212 through the suction nozzles 206 and 208 .

흡인 노즐(206, 208)의 단부 사이의 리세스 영역(216)은 걸레 요소의 단부가 클립 또는 플러그(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적절한 부착 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므로, 걸레 요소는 이전의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지지 부재의 하측면을 따라 신장된다.The recessed area 216 between the ends of the suction nozzles 206 and 208 provides a platform in which the end of the mop element can be secured by suitable attachment means such as a clip or plug (not shown) Is stretched along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본 실시형태의 바닥 공구의 하측면을 도시하는 도 9로 돌아가서, 각각이 흡인 노즐(206, 208)은 노즐의 주위에 연장되는 그리고 각각의 흡인 체임버(224, 226)를 한정하는 각각의 표면 맞물림 부재(220, 222)를 포함한다. 이전의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표면 맞물림 부재(220, 222)는 바람직하게 가요성이고, 그러므로 고밀도로 집속된 강모 또는 폴리머 재료의 스트립으로 형성될 수 있다. 폴리머 재료의 스트립, 예를 들면, 고무 또는 PVC가 현재 바람직하다.Returning to Fig. 9, which illustrates the bottom side of the bottom tool of the present embodiment, each of the suction nozzles 206,208 includes a respective surface engaging portion 224,222 that extends around the nozzle and defines a respective suction chamber 224,226 Members 220 and 222, respectively.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s, the surface engaging members 220, 222 are preferably flexible and therefore can be formed of a strip of polymeric material or a high density focused bristle. Strips of polymer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PVC, are presently preferred.

본 실시형태에서, 표면 맞물림 스커트 부재(220, 222)는 이전의 실시형태에서 2 개의 흡인 체임버를 형성하는 것과 달리 단일의 흡인 체임버를 한정한다. 그러나, 각각의 흡인 체임버는 제 1 및 제 2 유체 유출구(210)를 구비하므로, 단일의 유체 유출구에 비해 파편 픽업이 더 개선된다.In this embodiment, the surface engaging skirt members 220, 222 define a single suction chamber as opposed to forming two suction chambers in the previous embodiment. However, since each suction chamber has first and second fluid outlets 210, the debris pickup is further improved compared to a single fluid outlet.

표면 맞물림 스커트 부재(220, 222)의 각각은 지지 부재(205)에 직접 인접하여 위치되는 제 1 부분(220a, 222a) 및 이 제 1 부분(220a, 222a)에 대향하는 제 2 부분(220b, 222b)을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이것은 지지 부재(205)로부터 원격부에 위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 2 부분(220b, 222b)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체의 길이의 일부를 따라, 바람직하게는 그 전부를 따라 개구를 구비하고, 이것은 오물 및 파편이 표면 맞물림 스커트 부재의 전방 부분을 통과하여 흡인 체임버 내로 이동하는 것을 도와준다. 반면에, 표면 맞물림 스커트 부재의 제 1 부분은 어떤 개구도 가지지 않으므로, 청소 시트 상에 파편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바닥 표면과 맞물림될 수 있는 균일한 그리고 직선상의 연속적 에지를 한정한다. Each of the surface engaging skirt members 220 and 222 includes a first portion 220a and 222a positioned directly adjacent to the support member 205 and a second portion 220b opposite the first portion 220a and 222a, 222b. In other words, it is located remotely from the support member 205.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portions 220b, 222b have openings along a portion of their length, preferably along their entire length, as shown in Fig. 9, which allows the debris and debris to pass through the surface- To move into the suction chamber. On the other hand, the first portion of the surface-engaging skirt member has no openings and thus defines a uniform and straight continuous edge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bottom surface to prevent debris from accumulating on the cleaning sheet.

표면 맞물림 스커트 부재의 제 2 부분 상의 개구가 캐스털레이션(223)의 형태로 규칙적으로 이격되어 있으나, 이것은 본질이 아니고, 개구는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중요한 것은 흡인 체임버(224, 226) 내로의 오물 및 파편을 진입을 촉진하는 일부의 방법이 전방 에지(220b, 222b) 스커트 부재를 따라 제공되고, 동시에 오물 및 파편이 후방 에지의 하측으로 통해 흡인 체임버(224, 226) 내로 유입되거나 흡인 체임버(224, 226)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표면 맞물림 스커트 부재의 후방 에지가 형성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penings on the second portion of the surface-engaging skirt member are regularly spaced in the form of castellations 223, but this is not the nature and that the openings can take a variety of forms. Importantly, some method of promoting entry of debris and debris into the aspiration chambers 224, 226 is provided along the skirt members of the front edges 220b, 222b while at the same time the debris and debris is directed downwardly of the rear edge through the aspiration chamber The rear edges of the surface-engaging skirt members are formed to prevent them from entering the suction chambers 224, 226 or exiting the suction chambers 224, 226.

당업자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흡인 체임버의 구성이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되는 바닥 공구 실시형태에도 적용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suction chamb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8 and 9 also applies to the bottom tool embodiment described in Figures 1-7.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 공구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그러나, 도 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으로 운반할 수 있는 휴대형 진공 청소기(242)를 포함하는 "스틱형 진공 청소기"(240)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한 용도의 도 8 및 도 9의 바닥 공구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세장형 청소봉(244)이 휴대형 청소기(242)에 부착되고, 이것은 하방으로 연장하여 청소봉(244)의 단부에 제공되는 바닥 공구(200)에 이르고, 바닥 공구(200)는 정상 사용 시 바닥 표면 상에 지지된다. 도 10에서 바닥 자체는 명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고, 생략되어 있다.1 to 9 show an embodiment of a floor tool according to the invention. However, Figure 10 shows a portion of a "stick-type vacuum cleaner" 240 that includes a portable vacuum cleaner 242 that can be carried by a user's hand as shown, Fig. 3 shows an embodiment of a floor tool. The elongated cleaning rods 244 are attached to the handheld vacuum cleaner 242 which leads down to the bottom tool 200 provided at the end of the cleaning rods 244 and the bottom tool 200 And is supported on the surface. In Fig. 10, the floor itself is not shown explicitly, but is omitted.

휴대형 진공 청소기(242)는 모터-구동식 팬 유닛(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고, 이것은 휴대형 진공 청소기(240)의 전방에 위치되는 유입 노즐(248)을 통해 공기를 흡인하기 위해 모터 케이싱(246) 내측에 배치된다. 세장형 청소봉(246)은 유입 노즐(248)에 연결되고, 그리고 바닥 공구(200)는 청소봉(246)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사용 시, 오염된 공기는 바닥 공구(2)의 하측면 상의 흡인 노즐(206, 208)을 통해 흡인되고, 청소봉(244)을 통해 휴대형 진공 청소기(242) 상의 공기 유입구(248)로 안내된다. 공기 유입 노즐(248)로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는 사이클론 분리 시스템(250)을 통과하고, 이곳에서 공기로부터 오물이 분리되고, 다음에 비교적 청정한 공기는 배기구(252)를 통해 주위 환경으로 배기된다. 사이클론 분리 시스템(250) 내부의 공기류로부터 분리되는 오물은 폐기를 위해 통(252) 내에 수집된다. 이 휴대형 진공 청소기(242)는 배터리팩(254) 내에 수용되는 멀티-셀 충전식 배터리에 의해 급전된다.The portable vacuum cleaner 242 includes a motor-driven fan unit (not shown), which includes a motor casing 246 (not shown) for drawing air through an inflow nozzle 248 located in front of the portable vacuum cleaner 240 . The elongated cleaning rod 246 is connected to the inflow nozzle 248 and the floor tool 20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leaning rod 246. The contaminated air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nozzles 206 and 208 on the lower side of the floor tool 2 and is guided to the air inlet 248 on the portable vacuum cleaner 242 through the cleaning rod 244 . The contaminated air flowing into the air inlet nozzle 248 passes through the cyclone separation system 250 where the dirt is separated from the air and then the relatively clean air is exhausted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rough the exhaust port 252. Dirt separated from the airflow inside the cyclone separation system 250 is collected in the tub 252 for disposal. The portable vacuum cleaner 242 is powered by a multi-cell rechargeable battery contained within a battery pack 254.

바닥 공구(200)는 캐치(256)에 의해 청소봉(244)으로부터 착탈 가능하다. 다음에 청소봉(244)은 추가의 캐치(258)에 의해 휴대형 청소기(242)로부터 착탈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휴대형 청소기(242)는 청소봉(244)을 분리함으로써 독립형 휴대형 진공 청소기로서 분리하여 사용될 수 있고, 또는 대안적으로 이 휴대형 진공 청소기(242), 청소봉(244) 및 바닥 공구(200)는 조합하여 흡인 기능성을 갖는 경질 바닥 청소 공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바닥 공구(200)는 청소봉(244)으로부터 분리될 수 없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floor tool 200 is detachable from the cleaning rod 244 by the catch 256. Next, the cleaning rod 244 can be detached from the portable cleaner 242 by an additional catch 258. Fig. The portable vacuum cleaner 242 can be used separately as a stand-alone portable vacuum cleaner by detaching the cleaning rods 244 or alternatively can be used as the portable vacuum cleaner 242, the cleaning rods 244, Can be combined and used as a hard floor cleaning tool having suction functionality. The floor tool 2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it can not be separated from the cleaning rod 244.

도 10의 스틱형 진공 청소기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닥 공구(200)를 결합하고 있으나, 이전의 실시형태의 바닥 공구는 도 10의 스틱형 진공 청소기 내에 결합될 수 있다.Although the stick type vacuum cleaner of Fig. 10 incorporates the floor tool 20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the floor tool of the previous embodiment can be incorporated in the stick type vacuum cleaner of Fig.

위에서 설명한 실시형태는 지지 부재의 각각 긴 측면에 위치되는 2 개의 흡인 노즐을 포함하고 있으나, 이것은 본질이 아니고, 지지 부재의 일측 상에 위치되는 단일의 이중 체임버식 흡인 노즐에 의해 개선된 픽업이 얻어질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제 2 흡인 노즐은 분할벽을 가지지 않는 단일의 흡인 체임버를 갖는 단순화된 노즐일 수 있고, 이것은 여전히 청소 시트의 각각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에 부합한다.Although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cludes two suction nozzles located on each long side of the support member, this is not the case, and an improved pickup can be obtained by a single double chamber suction nozzle locat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member It may be. Alternatively, the second suction nozzle may be a simplified nozzle having a single suction chamber without a dividing wall, which still meets the purpose of protecting each side of the cleaning sheet.

지지 부재는 사각형으로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당업자는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지지 부재는 흡인 노즐을 적절하게 개조한 상태에서 삼각형, 다이아몬드형, 또는 심지어 계란형일 수도 있다. 또한, 지지 부재는 비 폴리계(non poly-based) 부직 청소 시트와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것으로서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본 발명의 본질이 아니고, 직조된 청소 직물과 같은 다른 유형의 닦음 부재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대안적으로, 지지 부재는, 예를 들면, 훅크-루프 유형의 체결 시스템에 의해 지지 부재의 하면에 고정되거나 또는 지지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스펀지 패드와 같은 다공질 청소 부재를 장착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has been described as a square.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other shapes are possible. For example, the support member may be triangular, diamond-shaped, or even egg-shaped, with the suction nozzle being suitably modified. Also, although the support members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particularly suitable for use with non-poly-based nonwoven cleaning sheets, this is not the ess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used with other types of wiping members, such as woven cleaning fabrics have. Alternatively, the support member may also be equipped with a porous cleaning member such as, for example, a sponge pad secu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pport member by a hook-and-loop type fastening system.

당업자는 또한 이 바닥 공구에 대해 설명한 연결 도관의 형태가 단순히 선택적이고, 그리고, 이것이 조작성의 이점을 제공하지만, 바닥 공구의 주 본체에 다른 유형의 도관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lso appreciate that other types of conduit configurations may be used in the main body of the floor tool, although the form of the connecting conduit described for this floor tool is merely optional and this provides the advantage of operability.

Claims (23)

진공 청소기기용 바닥 공구(floor tool )로서, 도관에 연결되는 주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주 본체는 청소 요소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에지(edge)에 인접하는 흡인 노즐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흡인 노즐은 흡인 체임버를 한정하고, 상기 흡인 체임버는 상기 도관과 연통하는 제 1 유체 유출구 및 제 2 유체 유출구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기용 바닥 공구. A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main body connected to a conduit, the main body including a support member configured to support a cleaning element and a suction nozzle adjacent the edge of the support member Wherein the suction nozzle defines a suction chamber and wherein the suction chamber includes a first fluid outlet and a second fluid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condu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노즐은 상기 흡인 노즐의 표면으로부터 현수되는, 그리고 상기 흡인 체임버의 외주변을 한정하는 표면 맞물림 스커트 부재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기용 바닥 공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ction nozzle comprises a surface engaging skirt member suspended from a surface of the suction nozzle and defining an outer periphery of the suction chamber.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맞물림 스커트 부재는 가요성을 갖는, 진공 청소기기용 바닥 공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surface engaging skirt member is flexible.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맞물림 스커트 부재는 복수의 강모, 복수의 필라멘트 및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재료의 스트립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한정되는, 진공 청소기기용 바닥 공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surface engaging skirt member is defined by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bristles, a plurality of filaments, and a strip of at least one flexible material.
제 2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맞물림 스커트 부재의 제 1 부분은 자체의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균일한 직선 에지를 갖는, 진공 청소기기용 바닥 공구.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first portion of the surface engaging skirt member has a substantially straight edge along its length.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맞물림 스커트 부재는 자체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개구를 구비하는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기용 바닥 공구.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urface engaging skirt member comprises a second portion having an opening along at least a portion of its length.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캐스털레이션(castellation)의 형태로 규칙적으로 이격되는, 진공 청소기기용 바닥 공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said opening is regularly spaced in the form of a castellation.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지지 부재의 에지에 직접 인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지지 부재의 에지로부터 원격된 상기 흡인 노즐의 에지 상에 위치되는, 진공 청소기기용 바닥 공구.
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Wherein the first portion is located directly adjacent the edge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portion is located on an edge of the suction nozzle remote from the edge of the support member.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제 2 에지에 인접하는 제 2 흡인 노즐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기용 바닥 공구.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And a second suction nozzle adjacent the second edge of the support memb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흡인 노즐은 제 1 흡인 노즐과 동일한 구성의 흡인 체임버를 갖는, 진공 청소기기용 바닥 공구.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econd suction nozzle has a suction chamber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suction nozzle.
진공 청소기기용 바닥 공구로서, 도관에 연결되는 주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주 본체는 청소 요소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에지에 인접하는 흡인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흡인 노즐은 상기 흡인 노즐의 표면으로부터 현수되는, 그리고 흡인 체임버의 외주변을 한정하는 표면 맞물림 스커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흡인 체임버는 상기 도관과 연통하는 제 1 유체 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 맞물림 스커트 부재는 자체의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균일한 직선 에지를 갖는 제 1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에 대향하는 상기 표면 맞물림 스커트 부재의 제 2 부분은 자체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하나 이상의 개구를 구비하는, 진공 청소기기용 바닥 공구.A bottom tool for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main body coupled to a conduit, the main body including a support member configured to support a cleaning element and a suction nozzle adjacent the edge of the support member, A surface engaging skirt member suspended from the surface of the suction nozzle and defining an outer periphery of the suction chamber, the suction chamber comprising a first fluid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conduit, the surface engaging skirt member having a self- And a second portion of the surface-engaging skirt member opposite the first portion has at least one opening along at least a portion of its length. ≪ RTI ID = 0.0 > Vacuum cleaner floor tools.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지지 부재의 에지에 직접 인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지지 부재의 에지로부터 원격된 상기 흡인 노즐의 에지 상에 위치되는, 진공 청소기기용 바닥 공구.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portion is located directly adjacent the edge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portion is located on an edge of the suction nozzle remote from the edge of the support member.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맞물림 스커트 부재는 가요성을 갖는, 진공 청소기기용 바닥 공구.
1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or 12,
Wherein the surface engaging skirt member is flexible.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맞물림 스커트 부재는 복수의 강모, 복수의 필라멘트 및 가요성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또는 이들의 조합물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한정되는, 진공 청소기기용 바닥 공구.
1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3,
Wherein the surface engaging skirt member is defined by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bristles, a plurality of filaments, at least one strip of flexible material, or a combination thereof.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체임버는 상기 도관과 연통하는 제 2 유체 유출구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기용 바닥 공구.
1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4,
Wherein the suction chamber comprises a second fluid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conduit.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유체 유출구는 상기 흡인 체임버의 각각의 단부로부터 등거리에 이격되는, 진공 청소기기용 바닥 공구.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fluid outlets are equidistantly spaced from respective ends of the suction chamber.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체임버는 제 1 및 제 2 흡인 체임버를 한정하기 위한 분할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흡인 체임버의 각각은 상기 제 1 및 제 2 유체 유출구 중 하나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기용 바닥 공구.
1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or 16,
Wherein the suction chamber comprises a dividing wall for defining first and second suction chambers an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uction chambers includes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luid outlets, tool.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바닥 공구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floor tool as claimed in any one of claims 1 to 17. 모터 및 팬 유닛 및 공기 유입구를 갖는 분리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형 진공 청소기를 포함하는 스틱형(stick type) 진공 청소기로서, 상기 공기 유입구에 부착될 수 있는 청소봉 및 상기 청소봉의 원격 단부에 부착될 수 있는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바닥 공구를 포함하는 휴대형 진공 청소기를 포함하는 스틱형 진공 청소기.A stick type vacuum cleaner comprising a portable vacuum cleaner including a motor and a fan unit and a separating device having an air inlet, the stick type vacuum cleaner comprising: a cleaning rod attachable to the air inlet; A portable vacuum cleaner comprising a floor too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7. 모터 및 팬 유닛 및 공기 유입구를 갖는 분리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형 진공 청소기를 포함하는 스틱형 진공 청소기로서, 상기 공기 유입구에 부착될 수 있는 청소봉 및 상기 청소봉의 원격 단부에 부착될 수 있는 바닥 공구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 공구는 청소 요소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분재의 에지에 인접하는 흡인 노즐을 포함하는, 휴대형 진공 청소기를 포함하는 스틱형 진공 청소기.A stick-type vacuum cleaner comprising a portable vacuum cleaner including a motor and a fan unit and a separating device having an air inlet, the stick-type vacuum cleaner comprising: a cleaning rod attachable to the air inlet; and a floor tool attachable to a remote end of the cleaning rod Wherein the bottom tool includes a support member configured to support a cleaning element and a suction nozzle adjacent the edge of the supporting bonsai.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노즐은 도관과 연통하는 제 1 유체 유출구 및 제 2 유체 유출구를 포함하는 흡인 체임버를 포함하는, 휴대형 진공 청소기를 포함하는 스틱형 진공 청소기.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suction nozzle comprises a suction chamber including a first fluid outlet and a second fluid outlet in communication with the conduit.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체 유출구 및 상기 제 2 유체 유출구는 상기 흡인 노즐의 별개의 흡인 체임버와 관련되는, 휴대형 진공 청소기를 포함하는 스틱형 진공 청소기.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first fluid outlet and the second fluid outlet are associated with separate suction chambers of the suction nozzles.
제 20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흡인 노즐은 상기 지지 부재의 제 2 에지에 접촉하여 위치되는 휴대형 진공 청소기를 포함하는 스틱형 진공 청소기.
23.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0 to 22,
And the second suction nozzle includes a portable vacuum cleaner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second edge of the support member.
KR1020147018746A 2012-01-06 2012-12-05 A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ing appliance KR20140100988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200174.9 2012-01-06
GB1200174.9A GB2498205A (en) 2012-01-06 2012-01-06 A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er
GB1206545.4 2012-04-13
GB1206545.4A GB2498233B (en) 2012-01-06 2012-04-13 A floor tool comprising a supporting member adapted to support a moisture bearing sheet of material for a vacuum cleaning appliance
PCT/GB2012/053012 WO2013102751A2 (en) 2012-01-06 2012-12-05 A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ing appli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988A true KR20140100988A (en) 2014-08-18

Family

ID=45788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8746A KR20140100988A (en) 2012-01-06 2012-12-05 A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ing appliance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130174372A1 (en)
EP (1) EP2800503A2 (en)
JP (2) JP2013141610A (en)
KR (1) KR20140100988A (en)
CN (2) CN103190860A (en)
AU (1) AU2012364302B2 (en)
GB (2) GB2498205A (en)
WO (2) WO2013102752A2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9167A1 (en) * 2017-03-13 2018-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er head and vacuum cleaner including same
KR20220048047A (en) * 2014-10-20 2022-04-19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Floor clean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88707B (en) * 2016-11-03 2019-04-09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Dirt cup component and hand-held cleaners with it
USD779144S1 (en) * 2014-01-31 2017-02-14 Sharkninja Operating Llc Mop head
CN104138239A (en) * 2014-06-12 2014-11-12 苏州市宏伟电器有限公司 Brush head of dust collector
US9241603B1 (en) 2014-10-08 2016-01-26 Emerson Electric Co. Swivel assembly for connecting a wand to a vacuum accessory and associated accessory tool for use on hard surface
US10264937B2 (en) 2014-10-08 2019-04-23 Emerson Electric Co. Swivel assembly for a vacuum accessory
US10258213B2 (en) 2014-10-08 2019-04-16 Emerson Electric Co. Balanced airflow for a vacuum accessory
USD776889S1 (en) * 2014-12-03 2017-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Brush for vacuum cleaner
GB2542420B (en) * 2015-09-21 2018-01-10 Dyson Technology Ltd Cleaner head
JP6811528B2 (en) * 2015-12-10 2021-01-13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Station unit
US10080471B2 (en) 2015-12-21 2018-09-25 Electrolux Home Care Products, Inc. Versatile vacuum cleaners
USD813475S1 (en) 2016-06-01 2018-03-20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Handheld vacuum cleaner
WO2018000719A1 (en) 2016-06-30 2018-01-04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Dust cup assembly and handheld vacuum cleaner comprising same
WO2018032615A1 (en) * 2016-08-15 2018-02-22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Floor brush of dust collector and dust collector
CN108652519A (en) * 2017-03-28 2018-10-16 科沃斯机器人股份有限公司 Scrubbing brush and its cleaning vacuum cleaner
USD834778S1 (en) 2017-07-25 2018-11-27 Sharkninja Operating Llc Steam mop
US11213182B2 (en) 2017-09-15 2022-01-0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CN107595215B (en) * 2017-09-27 2019-08-02 宁波世家洁具有限公司 A kind of intelligence Dust-absorption mop
US10195549B1 (en) * 2017-11-21 2019-02-05 Aqua-Aerobic Systems, Inc. Backwash shoe method and apparatus that increases effective surface area of cloth filter media
KR102478254B1 (en) * 2018-03-23 2022-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Vacuum cleaner
EP3682781A1 (en) * 2019-01-18 2020-07-22 Koninklijke Philips N.V. Vacuum cleaner nozzle
US11937762B2 (en) 2019-06-26 2024-03-26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Vacuum tools
CN113413085B (en) * 2021-07-27 2022-12-02 苏州高之仙自动化科技有限公司 Cleaning robot
USD1013993S1 (en) * 2023-05-15 2024-02-06 Shenzhen Flammi Technology Co., Ltd. Mop with dust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46404A (en) * 1939-10-20 1941-06-17 Oscar A Ross Vacuum cleaner attachment
JPS54142963U (en) * 1978-03-20 1979-10-04
FR2554340B1 (en) * 1983-11-07 1986-03-28 Toulon Daniel SUCTION BRUSH WITH INTERCHANGEABLE ELEMENTS FOR HOUSEHOLD USE
EP0194107A3 (en) * 1985-02-28 1986-12-17 Cecil Noel Selfe Attachment for a vacuum cleaner
JPH03111016A (en) * 1989-09-26 1991-05-10 Takeshi Kadowaki Floor nozzle with reinforced jet flow
US5123141A (en) * 1990-02-09 1992-06-23 Rexair, Inc. Cleaning tool having airflow directing manifold for a vacuum cleaner system
JPH04164422A (en) * 1990-10-30 1992-06-10 Azuma Kogyo Kk Vacuum cleaner
FR2683443B1 (en) * 1991-11-12 1994-11-04 Moulinex Sa CLEANING HEAD FOR FLAT SURFACES.
JP2550110Y2 (en) * 1992-06-16 1997-10-08 赤井電機株式会社 Vacuum cleaner suction body
JP2595673Y2 (en) * 1992-10-05 1999-05-31 信雄 石橋 Vacuum cleaner suction piping structure
JPH0716179A (en) * 1993-06-30 1995-01-20 Sharp Corp Suck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SE9501912D0 (en) * 1995-05-21 1995-05-21 Goeran Edlund Device for connection to vacuum conducting line
JPH0928638A (en) 1995-07-19 1997-02-04 Eisaku Ohara Nozzle with mop for vacuum cleaner
JPH0938004A (en) * 1995-07-28 1997-02-10 Tec Corp Suction mouth of vacuum cleaner
US6305046B1 (en) 1998-06-02 2001-10-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implements having structures for retaining a sheet
JP3448224B2 (en) * 1998-08-31 2003-09-22 株式会社サンカ Wiping cleaning tool
US6532622B2 (en) * 2000-05-17 2003-03-18 Daewoo Electronics Co., Ltd. Brush head of vacuum cleaner
JP2001340270A (en) * 2000-06-02 2001-12-11 Kyowa Giken:Kk Suction tool with wiper for vacuum cleaner
US20030167593A1 (en) * 2000-11-16 2003-09-11 Henk Lijzenga Suction attachment with a corner having a secondary suction opening
US7159277B2 (en) * 2001-02-06 2007-01-09 The Hoover Company Multiple chamber suction nozzle configuration
US20030028988A1 (en) * 2001-06-25 2003-02-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implement and joint therefor
AU2003207685B2 (en) * 2002-01-25 2008-09-25 James R. Alton Vacuum cleaner nozzle assembly having edge-cleaning ducts
GB2391459A (en) * 2002-08-09 2004-02-11 Dyson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with increased manoeuverability
US20040134016A1 (en) * 2003-01-10 2004-07-15 Royal Appliance Manufacturing Company Suction wet jet mop
US7137169B2 (en) * 2003-01-10 2006-11-21 Royal Appliance Mfg. Co. Vacuum cleaner with cleaning pad
ITMO20030075A1 (en) * 2003-03-18 2004-09-19 Soteco S P A MULTI-FUNCTION CLEANER ACCESSORY FOR HOUSEHOLD VACUUM CLEANERS
US6812263B1 (en) * 2003-07-03 2004-11-02 The Hoover Company Polyvinyl chloride-based elements for floor cleaning units
DE102004009908B4 (en) * 2004-02-26 2006-04-27 Wessel-Werk Gmbh vacuum cleaner nozzle
KR100642076B1 (en) * 2004-07-01 2006-11-1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A suction port assembly and a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100613102B1 (en) * 2004-07-01 2006-08-1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A suction port assembly and a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CN1984594A (en) * 2004-07-12 2007-06-20 宝洁公司 Cleaning implements and substrates for cleaning a compressible resilient surface
DE102005048480A1 (en) * 2005-10-07 2007-04-12 Carl Freudenberg Kg cleaner
US7441305B2 (en) * 2006-08-04 2008-10-28 Cascio Gregory R Floor cleaner
DE202007018650U1 (en) * 2006-09-05 2009-01-0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Floor nozzle for hard floors
DE102008029687A1 (en) * 2007-07-09 2009-01-15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Combination of a vacuum cleaner nozzle with a wipe, as well as wiping cloth and method for wet cleaning of floors
US20090100636A1 (en) * 2007-10-23 2009-04-23 Ian Emil Sohn Vacuum Cleaner Nozzle with Disposable Cover Sheet
CN101507593A (en) * 2009-03-17 2009-08-19 施丹妮 Mop also capable of sweeping floor
GB2471114A (en) * 2009-06-17 2010-12-22 Dyson Technology Ltd A floor tool
KR101338268B1 (en) * 2009-06-17 2013-12-11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A tool for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EP2453778B1 (en) * 2009-07-16 2015-04-29 Dyson Technology Limited A surface treating head
GB2477138B (en) * 2010-01-25 2014-03-19 Dyson Technology Ltd A floor tool
GB2478599B (en) * 2010-03-12 2014-07-16 Dyson Technology Ltd A vacuum cleaning arrangement
GB2484146B (en) * 2010-10-01 2013-02-13 Dyson Technology Ltd A vacuum clean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047A (en) * 2014-10-20 2022-04-19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Floor cleaning device
WO2018169167A1 (en) * 2017-03-13 2018-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er head and vacuum cleaner including same
KR20180104459A (en) * 2017-03-13 2018-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Cleaner head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02752A2 (en) 2013-07-11
GB201200174D0 (en) 2012-02-22
GB2498205A (en) 2013-07-10
AU2012364302B2 (en) 2016-03-17
CN103190861A (en) 2013-07-10
JP2013141610A (en) 2013-07-22
JP2013141611A (en) 2013-07-22
EP2800503A2 (en) 2014-11-12
AU2012364302A1 (en) 2014-07-03
US20130174374A1 (en) 2013-07-11
GB2498233A (en) 2013-07-10
WO2013102751A2 (en) 2013-07-11
WO2013102752A3 (en) 2013-09-26
CN103190860A (en) 2013-07-10
US20130174372A1 (en) 2013-07-11
WO2013102751A3 (en) 2013-09-26
GB201206545D0 (en) 2012-05-30
GB2498233B (en) 201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00988A (en) A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ing appliance
JP5811367B2 (en) Vacuum cleaner floor tools
JP5709947B2 (en) Vacuum cleaner floor tools
JP5913226B2 (en) Vacuum cleaner floor tools
JP5709948B2 (en) Vacuum cleaner floor tools
JP5811368B2 (en) Vacuum cleaner floor tools
JP5913225B2 (en) Vacuum cleaner floor tools
KR101269834B1 (en) An attachment for a cleaning appliance
KR100688616B1 (en) Brush assembly for vacuum cleaner
GB2508541A (en) A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er
GB2509857A (en) A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ing device
JP2004147691A (en) Suction port body and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