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0741A - 차 추출용 캡슐형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차 추출용 캡슐형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0741A
KR20140100741A KR1020130013850A KR20130013850A KR20140100741A KR 20140100741 A KR20140100741 A KR 20140100741A KR 1020130013850 A KR1020130013850 A KR 1020130013850A KR 20130013850 A KR20130013850 A KR 20130013850A KR 20140100741 A KR20140100741 A KR 20140100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tea
sample
housing
so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우영
Original Assignee
컨벡스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컨벡스코리아(주) filed Critical 컨벡스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30013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0741A/ko
Publication of KR20140100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7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31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better or quicker spreading the infusion liquid over th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2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to by-pass a quantity of water, e.g. to adjust beverage streng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61Filters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축출장치에 투입되어 캡슐(Capsule)형 카트리지(Cartridge)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차 추출용 시료가 고압으로 공급되는 온수에 의해 액상음료로 변환되어 배출하는 차 추출용 캡슐형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는 거름수단을 복수개의 추출공이 형성된 경질필터와 상기 경질필터 하부에 중첩배열되는 연질필터로 구성하여 차를 추출하기 위하여 고온, 고압의 용수를 투입하였을 경우 차 추출용 시료가 팽창함에 따라 생기는 용수가 흐르는 통로를 막는 문제점을 방지하는 차 추출용 캡슐형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 추출용 캡슐형 카트리지는 차 추출용 시료와 상부를 밀봉하는 커버와, 상기 차 추출용 시료가 저장되는 저장부로 구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차 추출용 시료를 걸러내는 거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거름수단은 복수개의 추출공이 형성된 경질필터와 상기 경질필터 하부에 중첩배열되고,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연질필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 추출용 캡슐형 카트리지{CAPSULE CARTRIDGE FOR TEA}
본 발명은 음료축출장치에 투입되어 캡슐(Capsule)형 카트리지(Cartridge)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차 추출용 시료가 고압으로 공급되는 온수에 의해 액상음료로 변환되어 배출하는 차 추출용 캡슐형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는 거름수단을 복수개의 추출공이 형성된 경질필터와 상기 경질필터 하부에 중첩배열되는 연질필터로 구성하여 차를 추출하기 위하여 고온, 고압의 용수를 투입하였을 경우 차 추출용 시료가 팽창함에 따라 생기는 용수가 흐르는 통로를 막는 문제점을 방지하는 차 추출용 캡슐형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상 및 사회 생활이 진보 발전하고 전문화되면서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사용 및 활용할 수 있는 장치들이 무수히 개발되고 있으며, 일명 커피메이커와 같은 커피추출장치는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장치 중의 하나이다. 커피추출장치는 캡슐을 이용하여 커피수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캡슐에 따라 커피의 종류를 결정하기도 한다.
이러한 커피추출장치에 들어가는 캡슐에 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110489호 『커피캡슐 머신용 커피캡슐』과 등록특허 제10-1110453호 『커피캡슐 머신용 커피캡슐』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 등록특허 제10-1110489호 『커피캡슐머신용 커피캡슐』은 상단에 플랜지가 외향으로 형성되고 컵 형상으로 형성된 캡슐용기의 내부에 분말커피를 충진하고, 플랜지에 커버필름지를 부착하여 밀봉시키되 상기 캡슐용기의 밑면에는 추출공 또는 추출절개선을 하나 이상 형성하고 상기 캡슐용기의 내부 하단에는 필터베이스수납실을 형성하며; 상기 필터베이스수납실에는 커버필름지를 통해 투입되는 고온수에 의해 액화되는 커피를 필터링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필터베이스를 수납 안치하며 상기 필터베이스의 상측에 분말커피를 충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캡슐머신용 커피캡슐이다.
본 발명은, 캡슐용기의 내부에 충진된 분말커피를 보관하면서 캡슐용기의 내부 하단에 매설된 필터베이스에 의해 공기의 도입(유입)을 차단하여 분말커피가 변질 되는 것을 방지하여 커피의 품질을 유지시킬 수 있으며, 고온의 용수가 캡슐용기의 내부로 유입되어 순환 충돌하면서 분말커피를 액화시키면서 고르게 혼합시켜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캡슐용기의 내부에서 액화된 액상커피가 배출될 때에 필터베이스의 전면(상면)에 안치된 페이퍼필터여과지가 필터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 사이로 유입되어 요철을 형성하여 줌으로서 액화되는 커피가 요철을 통과 및 충돌하면서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고, 돌기 사이에 형성된 요부로 유입되는 액화커피가 페이퍼필터여과지에 의해 필터링 되면서 추출공을 통해 배출(추출)됨으로써 분말알갱이가 발생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커피를 부드럽게 순화시킬 수 있다.
나아가, 캡슐용기의 밑면에 형성되는 추출공의 형상 및 모양을 다양하게 하여 커피의 종류에 따라 적정한 모양의 축출공이 형성된 캡슐용기를 채택하도록 하여, 각 커피의 특색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된 다양한 종류의 캡슐을 제공할 수 있는 커피캡슐머신용 커피캡슐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 등록특허 제10-1110453호 『커피캡슐 머신용 커피캡슐』은 상단에 플랜지가 외향으로 형성되고 컵 형상으로 형성된 캡슐용기의 내부에 하드필터를 내장하고 분말커피를 충진하며, 플랜지에 커버필름지를 부착하여 밀봉시키되 상기 캡슐용기의 밑면 중앙에 뚫어진 슬롯의 주연부에는 복수의 파공첨예돌편을 형성하고, 상기 원판으로 형성되는 하드필터의 양면에는 돌기 만을 중앙에서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형성하되 각 돌기는 중앙에서 외측으로 길게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드필터의 양면에 형성되는 돌기의 형상으로 동일하게 형성하여 하드필터를 전면 또는 후면 구분없이 설치(장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캡술용기의 입구를 통해 고압으로 분사 유입되는 물(고온의 물)의 압력에 의해 후퇴하는 파공실링지가 캡슐용기의 밑면 중앙에 형성된 슬롯으로 유입되면서 파공첨예돌편에 의해 파공되도록 함으로써, 고압으로 분사 유입되는 물(고온의 물)에 의해 캡술용기의 내부압력을 높여 주고 파공이 이루어졌을 때에 고압으로 분사 배출되도록 하여 분말커피와 물이 고르게 혼합되어 배출된다.
또 본 발명은, 유입측을 향하는 면(전면)은 유입되는 고온의 물과 커피가 혼합되면서 방사상으로 형성된 돌기들에 의해 전개되면서 1차 혼합되고, 커피혼합물은 하드필터의 외주면과 캡슐용기의 내주면과의 사이를 통과하여 배출측을 향하는 면(밑면)과 캡슐용기의 밑판과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2차 혼합되며, 하드필터의 면(밑면)과 캡슐용기의 밑판과의 사이로 유입되는 커피혼합물은 방사상으로 형성된 돌기들에 의해 중앙으로 집결되면서 3차 혼합 된 후에 슬롯을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커피 분말이 배출되는 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고 고온의 물에 고르게 희석(혼합)되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커피캡슐 머신용 커피캡슐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두 종래기술은 커피수를 제조하기 위한 커피캡슐로써, 커피가루가 아닌 다른 음료를 제공함에 있어서, 커피가루보다 상대적으로 팽창률이 큰 경우에는 팽창된 음료가루로 인하여 물의 흐름을 막아 음료가 추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커피가 아닌 다른 음료를 추출하기 위한 캡슐에 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215532호 『음료 추출용 캡슐』과 공개특허 제10-2012-0113892호 『캡슐 및 이를 이용한 음료 추출방법』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 등록특허 제10-1215532호 『음료 추출용 캡슐』은
내부에 분말원료가 충진되고, 용수를 주입하여 상기 분말원료로부터 액상의 음료를 추출하는 음료 추출용 캡슐에 있어서, 상기 분말원료를 수용하는 캡슐용기와상기 캡슐용기의 상단부를 밀폐하는 제1 실링부재와 상기 캡슐용기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추출구 및 상기 캡슐용기의 내측에 삽입되고 상기 캡슐용기의 하단부와 면하는 필터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필터패널은 상기 필터패널을 관통하고 상기 추출구와 중첩되지 않으며 상기 분말원료가 충진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말원료충진구, 및 상기 분말원료충진구와 연결되고 상기 분말원료충진구로부터 상기 추출구를 향해 연장되어, 음료 추출액을 상기 추출구로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출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추출로는 깊이가 상기 분말원료 입자의 입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너비는 상기 깊이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추출로는 상기 캡슐용기의 하단부와 면하는 상기 필터패널 표면에 오목하게 만입된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분말원료충진구의 둘레를 둘러싸고 상기 분말원료 충진구와 연결되는 고리형의 외홈과 상기 추출구와 중첩되는 내홈 및 상기 외홈과 상기 내홈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홈을 포함하며 상기 외홈은 상기 분말원료충진구를 향하는 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고, 상기 내홈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직경이 상기 추출구의 직경보다 크며 상기 내홈은 상기 필터패널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분말원료충진구는 하나 이상이 상기 내홈을 중심으로 회전 대칭형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패널과 상기 캡슐용기의 하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추출구를 밀폐하는 제2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출구의 둘레로부터 상기 추출구 내측으로 뾰족하게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파단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패널은 상기 캡슐용기의 하단부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캡슐용기 외측에 부착되어 상기 추출구를 밀폐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캡슐용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캡슐용기의 하단부를 감싸는 용기형상, 또는 상기 추출구 둘레에 접착 가능한 필름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추출로는 상기 캡슐용기 하단부와 면하는 상기 필터패널의 일 표면에 만입된 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패널의 반대편 타 표면에 상기 추출로와 대칭적으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분말원료 충진구는 원형상, 타원형상, 다각형 형상, 및 장공형 형상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음료 추출용 캡슐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종래기술 공개특허 제10-2012-0113892호 『캡슐 및 이를 이용한 음료 추출방법』은 음료를 추출하기 위하여 커피분말이나 차원료, 한약재 등이 충진되는 캡슐 및 이를 이용한 음료 추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진물을 압착(壓搾)하여 음료를 추출할 수 있는 캡슐 및 이를 이용한 음료 추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써,상부가 개방되고, 충진물이 수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를 밀봉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방에 위치되며, 상기 충진물을 압착(壓搾)하는 압착판 및 상기 충진물의 하방에 위치되며, 상기 충진물이 음료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압착판은 하방으로 만곡되어 상기 충진물을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착판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는 상기 압착판의 중심부보다 가장자리의 강도가 크게 보강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압착판은 중심부보다 가장자리의 강도가 크고 상기 압착판은 액체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관통공은 상광하협(上廣下狹)의 원추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통공은 상기 압착판에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압착판에 동심원을 갖는 복수의 원주상에 각각 형성되며 충진물이 수용된 캡슐에 액체를 공급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1) 상기 캡슐 내부에 액체를 공급하는 단계와
2) 상기 충진물을 압착(壓搾)하여 음료를 추출하는 단계 및
3) 상기 음료를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단계는 상기 캡슐 내측 상방에 고정설치된 압착판을 하방으로 만곡시켜 상기 충진물을 압착하고 상기 2)단계는 상기 압착판에 고압의 액체를 분사하여 하방으로 만곡시키며, 상기 2)단계는 가압수단으로 상기 압착판의 중심부를 상방에서 가압하여 상기 압착판을 하방으로 만곡시키는 캡슐 및 이를 이용한 음료 추출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두 종래기술은 단일의 필터를 통해 여과함으로써 팽창률이 높은 음료의 분말을 사용할 경우 물이 흘러나오는 구멍이 막히거나 물과 함께 같이 배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차 추출용 캡슐형 카트리지에 있어서,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고, 차 추출용 시료를 걸러내는 거름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거름수단을 복수개의 추출공이 형성된 경질필터와 상기 경질필터 하부에 중첩배열된 연질필터로 구성하여 단일의 필터를 이용한 캡슐보다 차 추출용 시료를 걸러내는데 효과적이고,
상기 연질필터 또한 둘 이상의 연질필터가 중첩되어 복수의 층으로 구성하고, 섬유질의 메쉬부재로 구성하여 상기 경질필터를 통하여 걸러지지 않은 차 추출용 시료를 걸러줌에 따라 차 추출용 시료가 용수와 함께 배출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하며,
상기 연질필터에는 접착부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하우징 하단에 배출공이 형성될 때 연질필터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 추출용 캡슐형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 추출용 캡슐형 카트리지는
차 추출용 시료와
상부를 밀봉하는 커버와, 상기 차 추출용 시료가 저장되는 저장부로 구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차 추출용 시료를 걸러내는 거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거름수단은
복수개의 추출공이 형성된 경질필터와 상기 경질필터 하부에 중첩배열되고,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연질필터로 구성되며,
상기 거름수단의 연질필터에는 접착부가 구성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연질필터를 상기 하우징 저면에 결합이 가능하고,
상기 연질필터는 둘 이상의 연질필터가 중첩되어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질필터는 섬유질의 메쉬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 추출용 캡슐형 카트리지는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고, 차 추출용 시료를 걸러내는 거름수단을 포함하여 차 추출용 시료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거름수단을 경질필터와 연질필터로 중첩배열되게 구성하여 상기 경질필터로 걸러지지 못한 차 추출용 시료를 연질필터를 이용하여 이중적으로 걸러 용수와 함께 차 추출용 시료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연질필터를 섬유질의 메쉬부재로 구성하되 둘 이상의 연질필터가 중첩되어 복수의 층으로 구성함으로써 차 추출용 시료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고온, 고압의 용수에 의하여 팽창된 시료가 용수의 흐름을 방해하는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고,
상기 연질필터에 접착부를 구비함으로써, 차를 추출할 경우 상기 하우징 하단에 배출공을 형성될 때 연질필터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격되는 틈을 통해 걸러지지 않은 차 추출용 시료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 추출용 캡슐형 카트리지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착수단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름수단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질필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름수단의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 추출용 캐슐형 카트리지의 차 추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일상 및 사회 생활이 진보 발전하여 전문화되면서 생활(일상 및 사회 생활)에서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사용 및 활용할 수 있는 장치들이 무수히 개발되고 있으며, 일명 커피메이커와 같은 커피추출장치는 생활에서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장치 중의 하나이다. 또한 상기 커피추출장치에 투입되어 커피를 추출하기 위하여 커피시료가 들어있는 커피 캡슐도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커피추출장치에 사용되는 캡슐은대개 작은 용기형태로 제작되며 내부에는 다져진 형태로 커피 또는 그 외의 분말원료가 수용되어 음료 제조시에 커피 머신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캡슐이 커피머신에 장착된 후 커피 머신을 작동시키면, 캡슐의 내부로 고온, 고압 상태의 용수가 주입되고, 용수가 분말원료를 통과하면서 약 10초에서 180초 사이에 액상의 음료가 추출된다.
그러나 용수가 분말원료를 통과하는 경우 분말원료는 원료의 종류에 따라 팽창을 하게 되고, 팽창을 함으로써, 상기 용수가 이동하는 통로를 막아 용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지 못하거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용수가 이동하는 통로의 직경을 넓힐 경우에는 용수와 함께 상기 분말원료가 같이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분말원료의 팽창률은 상기 분말원료의 종류, 물의 온도, 시간, 분말원료의 수분함유량 등에 의해 결정되는데, 특히 홍삼, 인삼과 같은 경우는 커피보다 팽창률이 높아 상기 용수의 흐름을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 추출용 캡슐형 카트리지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개발된 것으로서 커피가 아닌 홍삼, 인삼, 녹차, 둥글레차 등의 다양한 차 추출용 시료(S)를 이용하는 것으로 특히 팽창률이 30%, 혹은 50%, 더 나아가 100%가 넘는 시료를 이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홍삼과 인삼에는 사포닌이라는 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사포닌은 항암, 항산화, 콜레스테롤 저하효과가 밝혀지면서 생리활성물질로서 한방약에서는 강심제나 이뇨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인삼 또는 홍삼의 여러가지 유효성분중 주된 약리작용을 하는 물질이다.
그러나 사포닌은 열에 약한 물질로서 일반적으로 홍삼이나 인삼을 다리기 위하여 8시간 이상 끓이게 되는데 이때 사포닌의 함유량의 30%에서 40% 정도가 분해되게 되고 사포닌에 의한 약리효과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 추출용 캡슐형 카트리지는 고온, 고압의 용수가 홍삼이나 인삼으로 제조된 원료를 통과하면서 약 10초에서 180초 사이의 단시간에 액상음료를 추출함으로써 홍삼이나 인삼에 있는 사포닌의 분해를 방지하여 약리작용효과를 높이는 특징이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 추출용 캡슐형 카트리지(C)는 차 추출용 시료(S)와 상부를 밀봉하는 커버(11)와, 상기 차 차 추출용 시료(S)가 저장되는 저장부(18)로 구성되는 하우징(10) 및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차 추출용 시료(S)를 걸러내는 거름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우징(10)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차를 추출하기 위한 차 추출용 시료(S)가 구비되는 저장부(18)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13)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13)에는 상기 하우징(1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커버(11)가 결합된다. 상기 커버(11)와 상기 하우징(10)의 플랜지(13)는 일반적으로 향기밀봉(Aroma-tight)방식으로 패키징되어 있으나 종래의 다양한 패키징방식 중에 다른 방식으로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플랜지(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돌출된 형상일 수도 있으나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돌출된 형상으로 상기 커버(11)와 밀봉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상단의 내측면을 따라 단턱(1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단턱(15)에 결합되는 걸림부(21)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10) 내에 결합되며 용수가 통과되는 복수개의 관통공(23)으로 이루어진 압착수단(20)을 포함하며, 상기 압착수단(20) 하부에는 차를 추출하기 위한 차 추출용 시료(S)가 구비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착수단(20)은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부(21)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압착수단(20)이 하우징(10)내에 결합될 경우 상기 압착수단(20)이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면 상단에 구성되어 있는 단턱(15)에 결합되어 상기 압착수단(20)이 상기 하우징(10)의 하단으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착수단(20)에는 복수개의 관통공(23)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차를 추출하기 위하여 고온, 고압의 용수가 상기 압착수단(20)의 상면으로 투입되게 되는데 투입된 용수가 상기 하우징(10) 내에 있는 차 추출용 시료(S)의 한곳에만 투입되지 않고 상기 복수개의 관통공(23)을 통하여 용수가 차 추출용 시료(S)에 골고루 흡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2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착수단(20)의 상면에는 복수의 돌출부(25)가 상기 압착수단(2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선형태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로 인하여 상기 용수가 상기 압착수단(20)의 상면에 투입될 경우 상기 돌출부(25)로 인하여 경사를 형성하게 되고 이로 인해 용수는 작은 유속을 형성하게 되어 관통공(23)으로 흐를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압착수단(20)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압착부(27)가 구성되는데 이는 고온, 고압의 용수가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차 추출용 시료(S)에 흡수되는 경우 상기 차 추출용 시료(S)는 팽창을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압착수단(20) 하면에 압착부(27)를 형성함으로써 팽창되는 차 추출용 시료(S)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팽창을 억제하여 역류를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압착수단(20)은 다양한 차의 종류의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구성으로, 특히 홍삼이나 인삼과 같은 경우에는 커피와는 달리 거품이 일어나지 않아 역류되는 현상이 적고 또한 차를 추출하고 남은 시료를 직접 섭취하는 경우가 많아 차 추출 후 남은 시료를 상기 하우징(10)에서 꺼내기가 용이할 수 있도록 상기 압착수단(20)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거름수단(30)을 포함하고 있는데, 상기 거름수단(30)은 복수개의 추출공(313)이 형성된 경질필터(31)와 상기 경질필터(31) 하부에 중첩배열되고,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는 연질필터(33)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우징(10) 내부에는 차 추출용 시료(S)가 상기 압착수단(20)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차 추출용 시료(S) 하부에는 경질필터(31)가 구비되어 있는데,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질필터(31)에는 복수개의 추출공(313)이 형성되어 있고, 차 추출용 시료(S)를 통과하는 용수가 상기 추출공(313)을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추출공(313)은 도 3의 일점쇄선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료로부터 통과된 용수가 들어가는 추출공(313)의 직경(D1)은 추출공(313)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추출공(313)의 직경(D2)보다 좁게 구성하여, 차 추출용 시료(S)가 추출공(313)으로 용수와 함께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며, 추출공(313)의 용수가 배출되는 부분의 직경(D2)이 넓음으로써 용수의 배출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질필터(31)의 하면에는 지지부(315)가 형성되어 배출공(19)을 통과하는 용수가 상기 경질필터(31)의 하부로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경질필터(31)의 하면에 복수개의 보조지지부(316)를 상기 지지부(315)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고온, 고압의 용수에 의해 상기 경질필터(31)가 아래로 휘어짐에 따라 용수가 이동하는 공간을 막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질필터(31)의 중앙에는 수용부(317a)를 포함하는 수용돌기(317)가 상기 경질필터(31)의 상부를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 추출용 캡슐형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차를 추출할 경우 상기 하우징(10)의 하단에서 배출공(19)을 생성하도록 핀(미도시)이 삽입되게 되고, 이 때 상기 경질필터(31)까지 구멍이 형성되면 상기 경질필터(31)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차 추출용 시료(S)가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배출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핀이 수용되는 수용부(317a)를 포함하는 수용돌기(317)를 상기 경질필터(31)의 상부쪽으로 형성하여 핀이 삽입되어도 경질필터(31)에 구멍을 형성하지 않아 상기 경질필터(31)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차 추출용 시료(S)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경질필터(31)는 복수개로 중첩배열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인하여 상기 경질필터(31)의 필터능력을 극대화 시키면서, 차 추출용 시료(S)가 배출되는 것을 중첩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다.
다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질필터(31)의 하부에는 연질필터(33)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연질필터(33)는 둘 이상의 연질필터(33)가 중첩되어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4[A]는 상기 연질필터(33)의 모습을 도시하고, 도 4[B]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결합되는 연질필터(33)의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질필터(33)에는 접착부(331)가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연질필터(33)의 중심부에는 차를 추출하기 위하여 핀이 상기 하우징(10)의 하단에서 투입될 경우 생기는 천공(333a)이 형성되는 천공부(333)가 구성되고, 상기 천공부(333)를 둘러싸도록 링 형태의 접착부(3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착부(331)의 둘레에는 천공(333a)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경질필터(31)를 통과한 용수가 걸러지는 거름부(335)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천공부(333)와 중첩되지 않는 접착부(331)를 형성함으로써 차를 추출하는 경우 천공부(333)에 천공(333a)을 형성하였을 경우에도 상기 연질필터(33)는 하우징(10)의 저면에 결합되어 있고, 이로써 상기 하우징(10)의 저면과 이격되지 않아 이격된 틈을 통하여 차 추출용 시료(S)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질필터(33)는 상기 하우징(10)의 저면과 결합되지 않고, 상기 접착부(331)를 통하여 상기 경질필터(31)의 하면에 결합될 수도 있으며, 상기 연질필터(33)가 상기 경질필터(31)의 하면에 직접 결합함으로써 상기 거름수단(30)을 동시에 상기 하우징(10)에 결합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구성이 간단해지며, 상기 연질필터(33)는 상기 하우징(10) 또는 상기 경질필터(31) 또는 이들 모두에도 결합 될 수 있으며 이는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설명을 위하여 도면에는 상기 연질필터(33)가 상기 하우징(10)의 저면에 결합되는 것을 도시하였을 뿐 상기 연질필터(33)가 상기 경질필터(31)에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경질필터(31)에 모두 결합되는 것도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도 1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질필터(33)는 둘 이상의 연질필터(33)가 중첩되어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데, 하단에 배열되는 두 개의 연질필터(33)에는 접착부(331)를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10)의 저면과 결합하게 되고, 상기 두 개의 연질필터(33) 위에 구성되는 한 개의 다른 연질필터(33)는 접착부(331)를 구성하지 않고 상기 하우징(10)과 결합된 연질필터(33)들 상부에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변형례에 불과할 뿐 상기 접착부(331)가 형성되지 않는 연질필터(33)는 관리자의 선택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질필터(33)에 형성되는 접착부(331)는 상기 연질필터(33)를 상기 하우징(10) 또는 상기 경질필터(31) 또는 이들 모두에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이때 접착하는 방법으로는 고온, 고압을 이용하여 하우징(10)과 결합을 하거나,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하우징(10) 또는 경질필터(31) 또는 이들 모두에 결합 하는 등 종래의 다양한 기술이 응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질필터(33)는 섬유질의 메쉬부재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섬유질의 메쉬부재가 복수개로 중첩배열되어 상기 경질필터(31)의 관통공(23)을 통하여 용수와 함께 배출되는 걸러지지 않은 차 추출용 시료(S)를 2차적으로 걸러주는 역할을 하며, 상기 메쉬부재의 특성상 일관적인 구멍을 형성하지 않고 용수만을 흡수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이물질이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접착부(331)는 상기 천공(333a)부(333)에 중첩배열되지 않는 조건에서 원형으로 구성되거나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도 가능하다.
도 5 는 상기 경질필터(31)와 연질필터(33)가 하우징(10) 내부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질필터(31)는 상기 하우징(10)저면에 결합되어 있는 복수개의 연질필터(33) 상부에 구성되고, 상기 경질필터(31)의 지지부(315)와 보조지지부(316)로 인하여 상기 경질필터(31)와 연질필터(33) 사이에 상기 추출공(313)을 통하여 배출된 용수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면의 하단에는 결속홈(17)이 구성되어 있고, 상기 경질필터(31)의 단부에는 결속부(311)가 형성되어 상기 결속홈(17)에 상기 결속부(311)가 결합되어, 상기 경질필터(31)가 상기 하우징(10)에서 이탈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결속홈(17)과 결속부(311)가 접촉함으로써 상기 차 추출용 시료(S)가 틈새로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경질필터(31)와 연질필터(33)가 모두 구비된 모습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차 추출용 캡슐형 카트리지(C)는 상기 경질필터(31)를 복수개로 구비하되 연질필터(33)를 구비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그 반대로 경질필터(31)를 구비하지 않고 연질필터(33)를 복수개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질필터(31)와 연질필터(33)를 모두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경질필터(31) 또는 연질필터(33) 또는 이들 모두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각 필터의 눈(mesh)을 상부에 구비되는 필터에서 하부에 구비되는 필터로 갈수록 점점 감소되도록 구비하여 시료가 상기 각 필터의 눈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것을 점진적으로 방지하여 필터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 추출용 캡슐형 카트리지(C)를 이용하여 차를 추출하기 위하여 고온, 고압의 용수가 투입될 경우 상기 하우징(10)에 밀봉되어 있는 캡에 유입공(111)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10)의 저면과 상기 연질필터(33)에는 상호 대응되는 배출공(19)과 천공(333a)이 각각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캡에 형성된 유입공(111)을 통하여 고온, 고압의 용수가 투입되고, 투입된 용수는 압착수단(20)의 상부에 흐르게 되고, 상기 압착수단(20)의 상부면에 형성된 돌출부(25)를 통하여 상기 압착수단(20)에 형성되어 잇는 관통공(23)으로 용수가 통과하여 차 추출용 시료(S)에 흡수되게 된다.
상기 차 추출용 시료(S)에 흡수된 용수는 상기 경질필터(31)에 구성된 추출공(313)을 통하여 연질필터(33)로 흡수되게 되고, 도 6의 일점쇄선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질필터(33)에 흡수된 용수는 상기 하우징(10)의 저면에 형성된 배출공(19)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차 추출용 캡슐형 카트리지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 : 차 추출용 시료 C : 차 추출용 캡슐형 카트리지
10 : 하우징 11 : 커버
111 : 유입공 13 : 플랜지 15 : 단턱
17 : 결속홈 18 : 저장부 19 : 배출공
20 : 압착수단 21 : 걸림부 23 : 관통공
25 : 돌출부 27 : 압착부 30 : 거름수단
31 : 경질필터 311 : 결속부 313 : 추출공
315 : 지지부 316 : 보조지지부 317 : 수용돌기
317a : 수용부 33 : 연질필터 331 : 접착부
333 : 천공부 333a : 천공 335 : 거름부

Claims (7)

  1. 차 추출용 시료;
    상부를 밀봉하는 커버와, 상기 차 추출용 시료가 저장되는 저장부로 구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차 추출용 시료를 걸러내는 거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거름수단은
    복수개의 추출공이 형성된 경질필터와 상기 경질필터 하부에 중첩배열되고, 상기 하우징 내저면에 결합되는 연질필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추출용 캡슐형 카트리지.
  2. 차 추출용 시료;
    상부를 밀봉하는 커버와, 상기 차 추출용 시료가 저장되는 저장부로 구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차 추출용 시료를 걸러내는 거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거름수단은
    복수개의 추출공이 형성된 경질필터와 상기 경질필터 하부에 중첩배열되고, 상기 경질필터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되는 연질필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추출용 캡슐형 카트리지.
  3. 차 추출용 시료;
    상부를 밀봉하는 커버와, 상기 차 추출용 시료가 저장되는 저장부로 구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차 추출용 시료를 걸러내는 거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거름수단은
    각각 복수개의 추출공이 형성된 경질필터가 복수개로 중첩 배열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추출용 캡슐형 카트리지.
  4. 차 추출용 시료;
    상부를 밀봉하는 커버와, 상기 차 추출용 시료가 저장되는 저장부로 구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결합되고 상기 차 추출용 시료를 걸러내는 거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거름수단은
    각각 복수개의 추출공이 형성된 연질필터가 복수개 중첩 배열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추출용 캡슐형 카트리지.
  5. 제 1, 2,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수단의 연질필터에는 접착부가 구성되고,
    상기 접착부는 상기 연질필터를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경질필터에 결합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추출용 캡슐형 카트리지.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수단은 경질필터 또는 연질필터, 또는 이들 모두가 복수 적층되어 구성되고,
    각 필터의 눈(mesh)은 상부 필터에서 하부 필터로 갈수록 점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추출용 캡슐형 카트리지.
  7. 제 1, 2, 4, 5,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필터는 섬유질의 메쉬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추출용 캡슐형 카트리지.

KR1020130013850A 2013-02-07 2013-02-07 차 추출용 캡슐형 카트리지 KR201401007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850A KR20140100741A (ko) 2013-02-07 2013-02-07 차 추출용 캡슐형 카트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850A KR20140100741A (ko) 2013-02-07 2013-02-07 차 추출용 캡슐형 카트리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741A true KR20140100741A (ko) 2014-08-18

Family

ID=51746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850A KR20140100741A (ko) 2013-02-07 2013-02-07 차 추출용 캡슐형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074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513B1 (ko) * 2016-09-22 2018-07-09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 조립체
CN109592228A (zh) * 2017-09-30 2019-04-09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饮料胶囊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513B1 (ko) * 2016-09-22 2018-07-09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 조립체
CN109592228A (zh) * 2017-09-30 2019-04-09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饮料胶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1084B1 (ko) 1인분 캡슐로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1인분 캡슐
JP6019100B2 (ja) 飲料カートリッジおよびフィルタエレメント
US8956672B2 (en) Capsule for preparing coffee in a device comprising a cartridge holder with relief and recessed elements
KR101312410B1 (ko) 차 추출용 캡슐형 카트리지
KR20150094694A (ko) 음료 카트리지
KR20090107058A (ko) 캡슐, 캡슐 베이스 천공 수단, 및 음료 제조 장치
JP2015531250A (ja) 飲料の調製のためのカプセル、装置及び方法
KR20160005009A (ko) 일회용 캡슐, 및 일회용 캡슐에 의해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CN104640786A (zh) 包括通过密封连接到其上的过滤器元件的单杯式囊匣
KR20140100741A (ko) 차 추출용 캡슐형 카트리지
TW201600053A (zh) 用於生產茶飲料之系統
KR101877045B1 (ko) 음료 제조를 위한 캡슐
KR102459347B1 (ko) 커피머신용 커피캡슐
EP1582127B1 (en) Device for adapting an express coffee machine to the use of coffee single-dose capsules
CN204483863U (zh) 用于饮料制备的胶囊、饮品机酿造装置和饮品机
KR20120121290A (ko) 음료 추출용 캡슐
KR20120113893A (ko) 캡슐 및 이를 이용한 음료 추출방법
CN109803907A (zh) 用于制备饮料的胶囊、系统和方法
KR101600563B1 (ko) 리셉터클 보관부를 구비한 카트리지 추출용 음료 메이커
KR101326682B1 (ko) 카트리지 추출용 유니버설 음료 메이커
KR101581931B1 (ko) 막힘방지 기능이 구비된 차 추출용 캡슐 및 이를 이용한 리셉터클
CN108290682B (zh) 用于制备液体产品的容器和对应的套件
KR102114730B1 (ko) 음료 추출용 종이 카트리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84562B1 (ko) 캡슐
KR101581932B1 (ko) Diy 캡슐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