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0341A -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 및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 및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0341A
KR20140100341A KR1020130013522A KR20130013522A KR20140100341A KR 20140100341 A KR20140100341 A KR 20140100341A KR 1020130013522 A KR1020130013522 A KR 1020130013522A KR 20130013522 A KR20130013522 A KR 20130013522A KR 20140100341 A KR20140100341 A KR 20140100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unit
sensor
sensed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3359B1 (ko
Inventor
최창민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3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359B1/ko
Publication of KR20140100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6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leakage of heat-exchange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01M3/243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for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외기와 복수의 실내기 사이로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배관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는, 상기 냉매배관에 설치되어 냉매누설 위치로부터 발생하는 탄성파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 상기 복수의 센서가 측정한 감지값을 크기 순서대로 정렬하여 가장 상위에 랭크된 제 1 감지값 및 제 2 감지값을 선정하는 감지값선정부; 및 상기 선정된 제 1 감지값 및 제 2 감지값을 기초로 상기 냉매누설 위치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감지값연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 및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방법.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Refrigerant Leak i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 및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배관의 냉매누설여부를 확인하고 냉매누설 위치를 검지하는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시키는 과정을 수행함에 따라 실내 공간을 냉방 또는/및 난방시키는 장치이다.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상기 실외기에 연결되는 실내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냉매사이클을 일 방향으로만 가동하여 실내에 냉기만을 공급하도록 냉각 시스템과, 냉매사이클을 양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가동하여 실내에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하는 냉난방 시스템으로 구분된다.
공기조화기는 기본적으로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로 구성되는 냉동사이클을 형성한다.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기체 냉매는 응축기로 유입되어 액체 냉매로 상변화를 하게 된다. 상기 응축기에서 냉매가 상변화를 하면서 외부로 열을 방출하게 된다. 이후에 응축기에서 배출되는 냉매는 팽창밸브를 거치면서 팽창되고 증발기로 유입된다. 증발기로 유입된 액체 냉매는 기체 냉매로 상변화를 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냉매는 증발기에서 상변화를 하면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게 된다.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에 1대의 실내기가 연결되는 통상적인 공기조화기와, 실외기에 다수대의 실내기가 연결되는 멀티 공기조화기로 구분된다. 이러한 멀티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연결된 다수의 냉매배관을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설치된 냉매배관은 냉매의 누설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냉매의 누설부위를 찾기위해 냉매배관을 유관으로 조사해야 하므로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설치시간에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배관의 냉매누설여부를 신속하게 확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냉매배관의 냉매누설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실외기와 복수의 실내기 사이로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배관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는, 상기 냉매배관에 설치되어 냉매누설 위치로부터 발생하는 탄성파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 상기 복수의 센서가 측정한 감지값을 크기 순서대로 정렬하여 가장 상위에 랭크된 제 1 감지값 및 제 2 감지값을 선정하는 감지값선정부; 및 상기 선정된 제 1 감지값 및 제 2 감지값을 기초로 상기 냉매누설 위치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감지값연산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외기; 실내기;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와 연결되어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배관; 상기 냉매배관에 설치되어 냉매누설 위치로부터 발생하는 탄성파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들; 상기 복수의 센서가 측정한 감지값을 순서대로 정렬하여 가장 상위에 랭크된 제 1 감지값 및 제 2 감지값을 선정하는 감지값선정부; 및 상기 선정된 제 1 감지값 및 제 2 감지값을 기초로 상기 냉매누설 위치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감지값연산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방법은, 냉매배관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들이 상기 냉매배관을 흐르는 탄성파를 감지하여 감지값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감지값을 순서대로 정렬하여 가장 상위에 랭크된 제 1 감지값 및 제 2 감지값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제 1 감지값 및 제 2 감지값을 기초로 상기 냉매누설 위치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 및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냉매배관의 냉매누설여부를 신속하게 확인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냉매배관의 냉매누설 위치를 신속하게 확인하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가 냉매누설 위치를 파악하는 방식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방법의 일부를 표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방법의 다른 일부를 표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 및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가 냉매누설 위치를 파악하는 방식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외기(3)와 복수의 실내기(5) 사이로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배관(10)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는, 냉매배관(10)에 설치되어 냉매누설 위치로부터 발생하는 탄성파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110); 복수의 센서(110)가 측정한 감지값을 크기 순서대로 정렬하여 가장 상위에 랭크된 제 1 감지값 및 제 2 감지값을 선정하는 감지값선정부(250); 및 선정된 제 1 감지값 및 제 2 감지값을 기초로 냉매누설 위치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감지값연산부(270)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1)는 실외기(3) 및 실내기(5)를 포함한다. 실외기(3)는 실외에 배치되어 실외 공기와 열교환 한다. 실외기(3)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배관(10)과 연결된다. 실내기(5)는 실내에 배치되어 실내 공기와 열교환 한다.
실내기(5)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배관(10)과 연결된다. 실내기(5)와 실외기(3)는 냉매배관(10)으로 연결된다. 센서(110)는 냉매배관(10)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센서(110)는 복수로 배치된다. 센서(110)는 냉매배관(10)의 곳곳에 설치된다.
센서(110)는 냉매배관(10)을 흐르는 탄성파를 감지한다. 센서(110)는 냉매배관(10)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한다. 센서(110)는 냉매누설 위치로부터 발생하는 탄성파를 감지한다. 센서(110)는 감지값을 출력한다. 센서(110)는 측정부(100)에 포함될 수 있다.
측정부(100)는 센서(110), 신호처리부(130), 식별자전송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100)는 센서통신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값선정부(250)는 센서(110)들이 출력한 복수의 값지값 중 일부 센서(110)가 출력한 감지값을 선정한다. 감지값선정부(250)는 감지값을 크기순서대로 정렬한다. 감지값은 크기가 큰 순서대로 또는 크기가 작은 순서대로 정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감지값의 속성에 따라 달라진다.
감지값의 크기(p)가 냉매누설 위치와 센서(110)의 거리(d)와 반비례하면 p가 큰 순서대로 정렬한다. 감지값의 크기(t)가 냉매누설 위치와 센서(110)의 거리(d)와 비례하면 t가 작은 순서대로 정렬한다.
감지값선정부(250)는 가장 상위에 랭크된 제 1 감지값(p1, t1) 및 제 2 감지값(p2, t2)을 선정한다. 감지값선정부(250)는 검지부(200)에 포함된다.
검지부(200)는 감지값선정부(250)를 포함한다. 검지부(200)는 실외기(3)에 배치될 수 있다. 검지부(200)는 별도의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검지부(200)는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감지값연산부(270)는 제 1 감지값(p1, t1) 및 제 2 감지값(p2, t2)을 기초로 냉매누설 위치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감지값연산부(270)는 검지부(200)에 포함된다. 검지부(200)는 감지값연산부(270)를 포함한다. 검지부(200)는 감지값선정부(250), 감지값연산부(270) 및 표시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센서(110)들로부터 전송된 감지값은 탄성파가 형성하는 진폭 및 탄성파가 센서(110)에 도달되는 신호도달시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감지값은 진폭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진폭은 전압으로 표현될 수 있다. 감지값은 일정 주파수에서 기록된 진폭일 수 있다. 일정 주파수는 냉매누설시 발생하는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감지값은 탄성파가 센서(110)에 도달되는 신호도달시간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신호도달시간은 냉매누설시 발생하는 탄성파가 센서(110)에 도달되는 시간이다.
감지값은 신호처리부(130)에서 필터링될 수 있다. 감지값은 신호처리부(130)에서 증폭될 수 있다. 감지값은 신호처리부(130)에서 디지털 정보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감지값이 진폭이면 제 1 감지값은 진폭이 가장 크고 제 2 감지값은 제 1 감지값 다음으로 진폭이 크다. 진폭은 냉매누설 위치와 근접할수록 증가할 수 있다. 제 1 감지값은 제 2 감지값보다 진폭이 크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감지값이 신호도달시간이면 제 1 감지값은 신호도달시간이 가장 짧고 제 2 감지값은 제 1 감지값 다음으로 신호도달시간이 짧을 수 있다. 신호도달시간은 냉매누설 위치와 근접할수록 짧다. 제 1 감지값은 제 2 감지값보다 신호도달시간이 짧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는, 복수의 센서(110) 중 특정 센서(110)를 구별할 수 있도록 부여된 식별자를 전송하는 식별자전송부(150)를 더 포함한다.
식별자전송부(150)는 식별자를 전송한다. 식별자는 센서(110)마다 부여된 고유의 번호 또는 신호일 수 있다. 식별자는 복수의 센서(110) 중 특정 센서(110)를 구별할 수 있도록 선정된다. 각각의 식별자는 서로 다르다. 식별자는 미리 지정될 수 있다. 식별자전송부(150)는 측정부(100)에 포함된다. 식별자전송부(150)는 센서통신부(170)와 연결된다. 식별자전송부(150)가 전송한 식별자는 감지값과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는, 식별자전송부(150) 및 감지값연산부(270)에서 전송된 정보를 기초로 냉매누설 위치를 표시부(290)에 출력하는 메인제어부(230)를 더 포함한다.
메인제어부(230)는 표시부(290)에 냉매누설 위치를 출력한다. 메인제어부(230)는 식별자를 통해 제 1 감지값을 출력한 제 1 센서(111)와 제 2 감지값을 출력한 제 2 센서(112)를 구별할 수 있다. 제 1 센서(111) 및 제 2 센서(112)에 대한 정보는 해당 센서(110)를 적어도 다른 센서(110)와 구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냉매누설 위치는 제 1 센서(111)와 제 2 센서(112)를 기준으로 정한 상대적인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냉매누설 위치는 2:3으로 표현될 수 있다. 2:3은 냉매누설 위치로부터 제 1 센서(111)까지의 거리(d1) 및 냉매누설 위치로부터 제 2 센서(112)까지의 거리(d2)의 비율일 수 있다.
센서(110)간 거리가 측정가능한 경우 또는 센서(110)간 거리가 미리 정해진 경우, d1 또는 d2를 직접 표시할 수도 있다. 메인제어부(230)는 저장부(240)와 연결될 수 있다. 저장부(240)는 후술할 임계값이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식별자와 센서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센서와의 간격 또는 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감지값의 크기(p)가 냉매누설 위치와 센서(110)의 거리(d)와 반비례하면 p가 큰 순서대로 정렬한다. p1>p2>p3>p4 순으로 정렬되면, d1과 d2에 대한 정보는 p1: p2=d1: d2 일 수 있다.
다른 예로, 감지값의 크기(t)가 냉매누설 위치와 센서(110)의 거리(d)와 비례하면 t가 작은 순서대로 정렬한다. t1>t2>t3>t4 순으로 정렬되면, d1과 d2에 대한 정보는 t1: t2= d1: d2 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메인제어부(230)는, 제 1 감지값을 감지한 제 1 센서(111) 및 제 2 감지값을 감지한 제 2 센서(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부(290)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감지값연산부(270)는, 표시부(290)에 표시된 제 1 센서(111) 및 제 2 센서(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냉매누설 위치와의 거리를 표시부(290)에 출력한다.
다른 실시예로, 감지값연산부(270)는, 제 1 감지값과 제 2 감지값의 비율을 표시부(290)에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메인제어부(230)는, 제 1 감지값과 제 2 감지값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하이면 냉매의 누수가 없다는 정보를 표시부(290)에 출력한다.
임계값은 냉매의 누수가 없을 때 센서(110)에서 측정되는 탄성파의 진폭일 수 있다. 임계값은 센서(110)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범위일 수 있다. 임계값은 미리 정해질 수 있다.
메인 제어부는 제 1 감지값 및 제 2 감지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임계값을 초과하면 냉매의 누수가 있다는 정보를 표시부(290)에 출력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는 제 1 감지값 및 제 2 감지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임계값 이하이면 냉매의 누수가 없다는 정보를 표시부(290)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는 식별자 및 감지값을 전송받아 제어부로 전송하는 메인통신부(210); 및 메인통신부(210)로 식별자 및 감지값을 전송하는 센서통신부(170)를 더 포함한다. 메인통신부(210)는 센서통신부(17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메인통신부(210)는 메인제어부(230)와 신호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메인통신부(210)는 감지값선정부(250)와 신호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메인통신부(210)는 감지값연산부(270)와 신호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메인통신부(210)는 검지부(200)에 포함될 수 있다. 센서통신부(170)는 메인통신부(21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센서통신부(170)는 식별자전송부(150)와 신호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센서통신부(170)는 신호처리부(130)와 신호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센서통신부(170)는 측정부(100)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는, 센서(110)로부터 전송된 감지값을 필터링하여 센서통신부(170)로 전달하는 신호처리부(130)를 더 포함한다.
신호처리부(130)는 센서(110)와 신호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신호처리부(130)는 센서통신부(170)와 신호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신호처리부(130)는 감지값을 필터링 한다. 신호처리부(130)는 감지값을 디지털신호로 변경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30)는 감지값을 특정 주파수 범위로 한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메인통신부(210) 및 센서통신부(170)는 무선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메인통신부(210)는 무선신호를 수신 및 전송한다. 메인통신부(210)는 메인제어부(230)의 명령을 센서통신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메인통신부(210)는 센서통신부(170)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한다. 센서통신부(170)는 무선신호를 수신 및 전송한다. 센서통신부(170)는 감지값 및 식별자를 메인통신부(21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서통신부(170)는 메인통신부(210)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한다. 센서통신부(170)는 메인통신부(210)로 무선신호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센서(110)는 탄성파를 검출하는 음향방출센서이다. 센서(110)는 AE 센서 (Acoustic Emission Sensor)일 수 있다. 센서(110)는 탄성파를 감지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음향방출센서는 탄성파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는, 센서(110)를 냉배배관에 장착하는 마운팅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운팅부재(미도시)는 냉매배관(10)에 설치된다. 마운팅부재는 센서(110)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한다. 마운팅부재는 센서(110)와 냉매배관(10) 사이에 배치된다. 마운팅부재의 하단은 냉매배관(10)의 외주면의 일부와 형합할 수 있다. 마운팅부재의 상단은 센서(110)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한다. 냉매배관(10)을 통해 전달되는 탄성파는 마운팅부재를 거쳐 센서(110)로 전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는, 실외기(3); 실내기(5); 실외기(3) 및 실내기(5)와 연결되어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배관(10); 냉매배관(10)에 설치되어 냉매누설 위치로부터 발생하는 탄성파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110)들; 복수의 센서(110)가 측정한 감지값을 순서대로 정렬하여 가장 상위에 랭크된 제 1 감지값 및 제 2 감지값을 선정하는 감지값선정부(250); 및 선정된 제 1 감지값 및 제 2 감지값을 기초로 냉매누설 위치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감지값연산부(270)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방법의 일부를 표현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방법의 다른 일부를 표현한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방법은, 냉매배관(10)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110)들이 냉매배관(10)을 흐르는 탄성파를 감지하여 감지값을 출력하는 단계; 감지값을 순서대로 정렬하여 가장 상위에 랭크된 제 1 감지값 및 제 2 감지값을 선정하는 단계; 및 선정된 제 1 감지값 및 제 2 감지값을 기초로 냉매누설 위치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센서(110)들이 냉매배관(10)을 흐르는 탄성파를 감지한다.(S110) 센서(110)에서 출력된 감지값을 신호처리부(130)에서 필터링 한다.(S130) 메인제어부(230)에서 센서(110)의 감지값 전송을 측정부(100)에 요청한다.(S210) 필터링된 감지값 및 식별자를 메인제어부(230)에 전송한다.(S150) 센서통신부(170)는 감지값 및 식별자를 메인통신부(210)에 전송한다. 메인통신부(210)는 감지값 및 식별자를 수신한다.(S220)
감지값선정부(250)에서 감지값을 크기순서로 정렬한다.(S230) 제 1 출력값 및 제 2 출력값을 선정한다.(S240) 감지값연산부(270)에서 제 1 출력값 및 제 2 출력값의 비율을 연산한다. 메인제어부(230)는 제 1 출력값 및 제 2 출력값이 미리정해진 임계값 보다 낮으면 냉매의 누수가 없음을 출력한다.(S260)
메인제어부(230)는 제 1 출력값 및 제 2 출력값이 미리정해진 임계값 보다 높으면 냉매누수위치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냉매누수위치에 대한 정보는 제 1 출력값 및 제 2 출력값의 비율일 수 있다.(S251) 냉매누수위치에 대한 정보는 제 1 센서(111) 및 제 2 센서(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정보일 수 있다.(S25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센서(110)가 출력한 감지값을 신호처리부(130)에서 필터링하는 단계(S130)를 더 포함하고, 필터링하는 단계(S130)는 제 1 감지값 및 제 2 감지값을 선정하는 단계(S240) 이전에 실시된다.
실외기(3)와 복수의 실내기(5) 사이로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배관(10)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는, 냉매배관(10)에 설치되어 냉매누설 위치로부터 발생하는 탄성파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110); 복수의 센서(110)가 측정한 감지값을 크기 순서대로 정렬하여 가장 상위에 랭크된 제 1 감지값 및 제 2 감지값을 선정하는 감지값선정부(250); 및 선정된 제 1 감지값 및 제 2 감지값을 기초로 냉매누설 위치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감지값연산부(270)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1)는 실외기(3) 및 실내기(5)를 포함한다. 실외기(3)는 실외에 배치되어 실외 공기와 열교환 한다. 실외기(3)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배관(10)과 연결된다. 실내기(5)는 실내에 배치되어 실내 공기와 열교환 한다.
실내기(5)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배관(10)과 연결된다. 실내기(5)와 실외기(3)는 냉매배관(10)으로 연결된다. 센서(110)는 냉매배관(10)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센서(110)는 복수로 배치된다. 센서(110)는 배관의 곳곳에 설치된다.
센서(110)는 냉매배관(10)을 흐르는 탄성파를 감지한다. 센서(110)는 냉매배관(10)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감지한다. 센서(110)는 냉매누설 위치로부터 발생하는 탄성파를 감지한다. 센서(110)는 감지값을 출력한다. 센서(110)는 측정부(100)에 포함될 수 있다.
측정부(100)는 센서(110), 신호처리부(130), 식별자전송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100)는 센서통신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값선정부(250)는 센서(110)들이 출력한 복수의 값지값 중 일부 센서(110)가 출력한 감지값을 선정한다. 감지값선정부(250)는 감지값을 크기순서대로 정렬한다. 감지값은 크기가 큰 순서대로 또는 크기가 작은 순서대로 정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감지값의 속성에 따라 달라진다.
감지값의 크기(p)가 냉매누설 위치와 센서(110)의 거리(d)와 반비례하면 p가 큰 순서대로 정렬한다. 감지값의 크기(t)가 냉매누설 위치와 센서(110)의 거리(d)와 비례하면 t가 작은 순서대로 정렬한다.
감지값선정부(250)는 가장 상위에 랭크된 제 1 감지값(p1, t1) 및 제 2 감지값(p2, t2)을 선정한다. 감지값선정부(250)는 검지부(200)에 포함된다. 검지부(200)는 감지값선정부(250)를 포함한다. 검지부(200)는 실외기(3)에 배치될 수 있다. 검지부(200)는 별도의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검지부(200)는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감지값연산부(270)는 제 1 감지값(p1, t1) 및 제 2 감지값(p2, t2)을 기초로 냉매누설 위치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감지값연산부(270)는 검지부(200)에 포함된다. 검지부(200)는 감지값연산부(270)를 포함한다. 검지부(200)는 감지값선정부(250), 감지값연산부(270) 및 표시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센서(110)들로부터 전송된 감지값은 탄성파가 형성하는 진폭 및 탄성파가 센서(110)에 도달되는 신호도달시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감지값은 진폭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진폭은 전압으로 표현될 수 있다. 감지값은 일정 주파수에서 기록된 진폭일 수 있다. 일정 주파수는 냉매누설시 발생하는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감지값은 탄성파가 센서(110)에 도달되는 신호도달시간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신호도달시간은 냉매누설시 발생하는 탄성파가 센서(110)에 도달되는 시간이다.
감지값은 신호처리부(130)에서 필터링될 수 있다. 감지값은 신호처리부(130)에서 증폭될 수 있다. 감지값은 신호처리부(130)에서 디지털 정보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감지값이 진폭이면 제 1 감지값은 진폭이 가장 크고 제 2 감지값은 제 1 감지값 다음으로 진폭이 크다. 진폭은 냉매누설 위치와 근접할수록 증가할 수 있다. 제 1 감지값은 제 2 감지값보다 진폭이 크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감지값이 신호도달시간이면 제 1 감지값은 신호도달시간이 가장 짧고 제 2 감지값은 제 1 감지값 다음으로 신호도달시간이 짧을 수 있다. 신호도달시간은 냉매누설 위치와 근접할수록 짧다. 제 1 감지값은 제 2 감지값보다 신호도달시간이 짧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는, 복수의 센서(110) 중 특정 센서(110)를 구별할 수 있도록 부여된 식별자를 전송하는 식별자전송부(150)를 더 포함한다.
식별자전송부(150)는 식별자를 전송한다. 식별자는 센서(110)마다 부여된 고유의 번호 또는 신호일 수 있다. 식별자는 복수의 센서(110) 중 특정 센서(110)를 구별할 수 있도록 선정된다. 각각의 식별자는 서로 다르다.
식별자는 미리 지정될 수 있다. 식별자전송부(150)는 측정부(100)에 포함된다. 식별자전송부(150)는 센서통신부(170)와 연결된다. 식별자전송부(150)가 전송한 식별자는 감지값과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는, 식별자전송부(150) 및 감지값연산부(270)에서 전송된 정보를 기초로 냉매누설 위치를 표시부(290)에 출력하는 메인제어부(230)를 더 포함한다.
메인제어부(230)는 표시부(290)에 냉매누설 위치를 출력한다. 메인제어부(230)는 식별자를 통해 제 1 감지값을 출력한 제 1 센서(111)와 제 2 감지값을 출력한 제 2 센서(112)를 구별할 수 있다. 제 1 센서(111) 및 제 2 센서(112)에 대한 정보는 해당 센서(110)를 적어도 다른 센서(110)와 구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냉매누설 위치는 제 1 센서(111)와 제 2 센서(112)를 기준으로 정한 상대적인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냉매누설 위치는 2:3으로 표현될 수 있다. 2: 3은 냉매누설 위치로부터 제 1 센서(111)까지의 거리(d1) 및 냉매누설 위치로부터 제 2 센서(112)까지의 거리(d2)의 비율일 수 있다.
센서(110)간 거리가 측정가능한 경우 또는 센서(110)간 거리가 미리 정해진 경우, d1 또는 d2를 직접 표시할 수도 있다. 메인제어부(230)는 저장부(240)와 연결될 수 있다. 저장부(240)는 후술할 임계값이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식별자와 센서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센서와의 간격 또는 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감지값의 크기(p)가 냉매누설 위치와 센서(110)의 거리(d)와 반비례하면 p가 큰 순서대로 정렬한다. p1>p2>p3>p4 순으로 정렬되면, d1과 d2에 대한 정보는 p1: p2=d1: d2 일 수 있다.
다른 예로, 감지값의 크기(t)가 냉매누설 위치와 센서(110)의 거리(d)와 비례하면 t가 작은 순서대로 정렬한다. t1>t2>t3>t4 순으로 정렬되면, d1과 d2에 대한 정보는 t1: t2= d1: d2 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메인제어부(230)는, 제 1 감지값을 감지한 제 1 센서(111) 및 제 2 감지값을 감지한 제 2 센서(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부(290)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감지값연산부(270)는, 표시부(290)에 표시된 제 1 센서(111) 및 제 2 센서(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냉매누설 위치와의 거리를 표시부(290)에 출력한다.
다른 실시예로, 감지값연산부(270)는, 제 1 감지값과 제 2 감지값의 비율을 표시부(290)에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메인제어부(230)는, 제 1 감지값과 제 2 감지값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하이면 냉매의 누수가 없다는 정보를 표시부(290)에 출력한다.
임계값은 냉매의 누수가 없을 때 센서(110)에서 측정되는 탄성파의 진폭일 수 있다. 임계값은 센서(110)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범위일 수 있다. 임계값은 미리 정해질 수 있다.
메인 제어부는 제 1 감지값 및 제 2 감지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임계값을 초과하면 냉매의 누수가 있다는 정보를 표시부(290)에 출력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는 제 1 감지값 및 제 2 감지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임계값 이하이면 냉매의 누수가 없다는 정보를 표시부(290)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는 식별자 및 감지값을 전송받아 제어부로 전송하는 메인통신부(210); 및 메인통신부(210)로 식별자 및 감지값을 전송하는 센서통신부(170)를 더 포함한다. 메인통신부(210)는 센서통신부(17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메인통신부(210)는 메인제어부(230)와 신호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메인통신부(210)는 감지값선정부(250)와 신호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메인통신부(210)는 감지값연산부(270)와 신호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메인통신부(210)는 검지부(200)에 포함될 수 있다. 센서통신부(170)는 메인통신부(21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센서통신부(170)는 식별자전송부(150)와 신호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센서통신부(170)는 신호처리부(130)와 신호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센서통신부(170)는 측정부(100)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는, 센서(110)로부터 전송된 감지값을 필터링하여 센서통신부(170)로 전달하는 신호처리부(130)를 더 포함한다.
신호처리부(130)는 센서(110)와 신호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신호처리부(130)는 센서통신부(170)와 신호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신호처리부(130)는 감지값을 필터링 한다. 신호처리부(130)는 감지값을 디지털신호로 변경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30)는 감지값을 특정 주파수 범위로 한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메인통신부(210) 및 센서통신부(170)는 무선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메인통신부(210)는 무선신호를 수신 및 전송한다. 메인통신부(210)는 메인제어부(230)의 명령을 센서통신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메인통신부(210)는 센서통신부(170)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한다. 센서통신부(170)는 무선신호를 수신 및 전송한다. 센서통신부(170)는 감지값 및 식별자를 메인통신부(21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서통신부(170)는 메인통신부(210)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한다. 센서통신부(170)는 메인통신부(210)로 무선신호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센서(110)는 탄성파를 검출하는 음향방출센서이다. 센서(110)는 AE 센서 (Acoustic Emission Sensor)일 수 있다. 센서(110)는 탄성파를 감지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음향방출센서는 탄성파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1)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는, 센서(110)를 냉배배관에 장착하는 마운팅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운팅부재(미도시)는 냉매배관(10)에 설치된다. 마운팅부재는 센서(110)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한다. 마운팅부재는 센서(110)와 냉매배관(10) 사이에 배치된다. 마운팅부재의 하단은 냉매배관(10)의 외주면의 일부와 형합할 수 있다. 마운팅부재의 상단은 센서(110)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한다. 냉매배관(10)을 통해 전달되는 탄성파는 마운팅부재를 거쳐 센서(110)로 전달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100), 공기조화기(1) 및 공기조화기(1)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방법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냉매는 냉매배관(10)을 유동하면서 탄성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냉매배관(10)에 냉매누설지점이 있으면 탄성파는 좀더 강한 신호를 방출한다. 방출되는 신호는 탄성파의 형태로 냉매배관(10)을 통해 전달된다. 센서(110)는 탄성파를 감지하여 감지값을 전송한다. 신호처리부(130)는 감지값을 필터링하여 특정신호전송한다. 감지값 및 식별자는 센서통신부(170)를 거쳐 메인통신부(210)로 전달된다.
센서통신부(170)와 메인통신부(2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적으로 연결된다. 메인통신부(210)는 메인제어부(230)로 식별자 및 감지값을 전송한다. 감지값선정부(250)는 감지값을 크기순으로 정렬하여 제 1 감지값 및 제 2 감지값을 지정한다.
또한, 식별자를 통해 제 1 센서(111) 및 제 2 센서(112)를 지정할 수 있다. 제 1 센서(111)는 냉매누설지점과 가장 근접한 센서(110)이고, 제 2 센서(112)는 제 1 센서(111) 다음으로 냉매누설지점과 근접한 센서(110)이다.
감지값연산부(270)는 지정된 제 1 감지값 및 제 2 감지값을 비례식을 통해 위치정보를 연산한다. 메인제어부(230)는 제 1 센서(111)와 제 2 센서(112) 및 냉매누설 위치정보를 표시부(290)에 출력하여 표시한다.
만약, 제 1 감지값과 제 2 감지값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하이면, 메인제어부(230)는 냉매의 누수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냉매의 누수가 없음을 표시부(290)로 출력한다.
또한, 감지값은 신호처리부(130)에서 필터링되므로 센서통신부(170)에서 메인통신부(210)로 전달되는 정보의 양이 줄어든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속도가 증가하므로 냉매누수 여부 및 위치판단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 공기조화기 3: 실외기
5: 실내기 10: 냉매배관
100: 측정부 110: 센서
111: 제 1 센서 112: 제 2 센서
130: 신호처리부 150: 식별자전송부
170: 센서통신부 200: 검지부
210: 메인통신부 230: 메인제어부
240: 저장부 250: 감지값선정부
270: 감지값연산부 290: 표시부

Claims (18)

  1. 실외기와 복수의 실내기 사이로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배관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에 있어서,
    냉매배관에 설치되어 냉매누설 위치로부터 발생하는 탄성파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
    복수의 센서가 측정한 감지값을 크기 순서대로 정렬하여 가장 상위에 랭크된 제 1 감지값 및 제 2 감지값을 선정하는 감지값선정부; 및
    선정된 제 1 감지값 및 제 2 감지값을 기초로 냉매누설 위치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감지값연산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전송된 감지값은,
    탄성파가 형성하는 진폭 및 탄성파가 센서에 도달되는 신호도달시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값이 진폭이면 상기 제 1 감지값은 진폭이 가장 크고 상기 제 2 감지값은 상기 제 1 감지값 다음으로 진폭이 큰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값이 신호도달시간이면 상기 제 1 감지값은 신호도달시간이 가장 짧고 상기 제 2 감지값은 상기 제 1 감지값 다음으로 신호도달시간이 짧은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 중 특정 센서를 구별할 수 있도록 부여된 식별자를 전송하는 식별자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전송부 및 상기 감지값연산부에서 전송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냉매누설 위치를 표시부에 출력하는 메인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제 1 감지값을 감지한 제 1 센서 및 상기 제 2 감지값을 감지한 제 2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값연산부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제 1 센서 및 상기 제 2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냉매누설 위치와의 거리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값연산부는,
    상기 제 1 감지값과 상기 제 2 감지값의 비율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제 1 감지값과 상기 제 2 감지값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 이하이면 냉매의 누수가 없다는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 및 상기 감지값을 전송받아 제어부로 전송하는 메인통신부; 및
    상기 메인통신부로 상기 식별자 및 상기 감지값을 전송하는 센서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로부터 전송된 감지값을 필터링하여 상기 센서통신부로 전달하는 신호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통신부 및 상기 센서통신부는 무선신호를 주고받는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탄성파를 검출하는 음향방출센서인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를 상기 냉배배관에 장착하는 마운팅부재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
  16. 실외기;
    실내기;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와 연결되어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배관;
    상기 냉매배관에 설치되어 냉매누설 위치로부터 발생하는 탄성파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들;
    상기 복수의 센서가 측정한 감지값을 순서대로 정렬하여 가장 상위에 랭크된 제 1 감지값 및 제 2 감지값을 선정하는 감지값선정부; 및
    상기 선정된 제 1 감지값 및 제 2 감지값을 기초로 상기 냉매누설 위치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감지값연산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7. 냉매배관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들이 상기 냉매배관을 흐르는 탄성파를 감지하여 감지값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감지값을 순서대로 정렬하여 가장 상위에 랭크된 제 1 감지값 및 제 2 감지값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제 1 감지값 및 제 2 감지값을 기초로 상기 냉매누설 위치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출력한 감지값을 신호처리부에서 필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감지값 및 상기 제 2 감지값을 선정하는 단계 이전에 실시되는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방법.
KR1020130013522A 2013-02-06 2013-02-06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 및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방법. KR102103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522A KR102103359B1 (ko) 2013-02-06 2013-02-06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 및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522A KR102103359B1 (ko) 2013-02-06 2013-02-06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 및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341A true KR20140100341A (ko) 2014-08-14
KR102103359B1 KR102103359B1 (ko) 2020-04-22

Family

ID=51746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522A KR102103359B1 (ko) 2013-02-06 2013-02-06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 및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35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1208A (ko) * 2014-11-21 2016-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66367A (ko) * 2014-12-02 2016-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용 센서유닛
CN110986244A (zh) * 2019-11-04 2020-04-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管路的检测方法、装置、存储介质、终端及空调
CN111059695A (zh) * 2019-12-26 2020-04-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检测空调器冷媒泄漏的全方位检测装置及方法
US11231198B2 (en) * 2019-09-05 2022-01-25 Trane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frigerant leak detection in a climate control system
KR20220068035A (ko) 2020-11-18 2022-05-25 (주)지앤씨엔지니어링 동배관 가스누설 관제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6131B1 (ko) * 1999-07-14 2002-05-09 구자홍 열교환기의 누설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KR20060008290A (ko) * 2003-03-06 2006-01-26 신시내티 테스트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가스를 탐지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90044785A (ko) * 2007-11-01 2009-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매 누설 감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6131B1 (ko) * 1999-07-14 2002-05-09 구자홍 열교환기의 누설 검사장치 및 그 검사방법
KR20060008290A (ko) * 2003-03-06 2006-01-26 신시내티 테스트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가스를 탐지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90044785A (ko) * 2007-11-01 2009-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매 누설 감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1208A (ko) * 2014-11-21 2016-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66367A (ko) * 2014-12-02 2016-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용 센서유닛
US11231198B2 (en) * 2019-09-05 2022-01-25 Trane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frigerant leak detection in a climate control system
US11971183B2 (en) 2019-09-05 2024-04-30 Trane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frigerant leak detection in a climate control system
CN110986244A (zh) * 2019-11-04 2020-04-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管路的检测方法、装置、存储介质、终端及空调
CN110986244B (zh) * 2019-11-04 2021-07-1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管路的检测方法、装置、存储介质、终端及空调
CN111059695A (zh) * 2019-12-26 2020-04-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检测空调器冷媒泄漏的全方位检测装置及方法
CN111059695B (zh) * 2019-12-26 2024-02-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检测空调器冷媒泄漏的全方位检测装置及方法
KR20220068035A (ko) 2020-11-18 2022-05-25 (주)지앤씨엔지니어링 동배관 가스누설 관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3359B1 (ko) 202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00341A (ko)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장치 및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위치 검지방법.
US10775084B2 (en) System for refrigerant charge verification
CN105987484B (zh) 空调制热频繁防高温保护时的除霜控制方法及系统
CN105091215B (zh) 多联机空调缺氟的开机检测方法及装置
JP4317878B2 (ja) 空気調和機及びその冷媒量判定方法
CN105485856B (zh) 空调系统及空调系统制热状态下的异常检测方法
CN103940560B (zh) 冷媒泄漏检测方法、冷媒泄漏检测系统和空调器
CN105674507B (zh) 空调冷媒检测方法及装置
CN105928156A (zh) 冷媒泄漏检测方法、冷媒泄漏检测装置及空调器
CN104949411A (zh) 一种冷媒量检测装置、具有该检测装置的空调及检测方法
KR101698105B1 (ko) 냉장고
CN111140990A (zh) 一种空调换热器脏堵检验方法和空调器
CN104501352A (zh) 检测方法及系统、空调
TW201716761A (zh) 製冷迴圈的冷媒洩漏檢測裝置
CN105890112A (zh) 室外机换热器中温度传感器漂移检测方法、处理器及空调
WO2023127329A1 (ja) 異常検知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928135A (zh) 一种判断冷媒量的方法、装置及制冷设备
KR20150012947A (ko) 공기조화장치
JP2006183953A (ja) 冷凍機の測定装置
KR100882005B1 (ko) 냉매 충전 상태 검출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3490908B2 (ja) 冷凍機の冷媒リーク検知システム
JP2016200349A (ja) 冷媒漏洩検知システム及び冷媒漏洩検知方法
JP2016188724A (ja) 空気調和装置
JP2000321103A (ja) 冷凍用圧縮機の試験装置
JP2011247525A (ja) 冷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