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0088A - 터치 스크린 패널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0088A
KR20140100088A KR1020130012890A KR20130012890A KR20140100088A KR 20140100088 A KR20140100088 A KR 20140100088A KR 1020130012890 A KR1020130012890 A KR 1020130012890A KR 20130012890 A KR20130012890 A KR 20130012890A KR 20140100088 A KR20140100088 A KR 20140100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s
trace
sub
sensing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2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철
강수명
김웅식
김태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2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0088A/ko
Publication of KR20140100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0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은 활성 영역 및 상기 활성 영역의 외곽의 비활성 영역으로 구분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활성 영역에 형성된 센싱 라인들; 상기 비활성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센싱 라인들과 각각 연결되는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과, 상기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과 병렬로 접속되는 메인 트레이스 라인을 포함하는 트레이스 라인들; 상기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과 상기 메인 트레이스 라인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칭부; 및 제1 모드에서는 각각의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을 상기 메인 트레이스 라인에 순차적으로 연결하고, 제2 모드에서는 서로 인접한 둘 이상의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을 그룹 단위로 상기 메인 트레이스 라인에 순차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본 발명의 실시예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사이즈의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 패널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영상표시장치 등의 화면에 나타난 지시 내용을 사람의 손 또는 물체로 선택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입력장치이다.
이를 위해, 터치 스크린 패널은 영상표시장치의 전면(front face)에 구비되어 사람의 손 또는 물체에 직접 접촉된 접촉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에 따라, 접촉위치에서 선택된 지시 내용이 입력신호로 받아들여진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 패널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에 센싱 라인들을 형성함에 의하여 표시 영역 내에서 발생되는 터치 이벤트를 입력신호로서 인식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터치 이벤트가 감지되는 터치 입력 사이즈는 센싱 라인들 각각의 너비에 따라 결정되며, 센싱 라인들은 각각의 센싱 신호가 입력되는 센싱 채널에 대응한다.
즉, 상기 센싱 라인들의 너비가 크면 손바닥과 같이 큰 사이즈의 터치 입력이 감지 가능하고, 센싱 라인들의 너비가 작으면 손가락이나 터치 펜처럼 작은 사이즈의 터치 입력만 감지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하나의 센싱 라인이 하나의 센싱 채널을 구성하므로, 터치 입력 사이즈가 고정되어 다양한 사이즈의 터치 입력에 대응할 수 없고, 다양한 방식의 터치 입력을 원하는 고객의 요구를 반영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사이즈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은 활성 영역 및 상기 활성 영역의 외곽의 비활성 영역으로 구분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활성 영역에 형성된 센싱 라인들; 상기 비활성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센싱 라인들과 각각 연결되는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과, 상기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과 병렬로 접속되는 메인 트레이스 라인을 포함하는 트레이스 라인들; 상기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과 상기 메인 트레이스 라인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칭부; 및 제1 모드에서는 각각의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을 상기 메인 트레이스 라인에 순차적으로 연결하고, 제2 모드에서는 서로 인접한 둘 이상의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을 그룹 단위로 상기 메인 트레이스 라인에 순차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모드에서 하나의 그룹에 속하는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은 상기 메인 트레이스 라인에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그룹에 속하는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의 개수는 가변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칭부는 각각의 상기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과 상기 메인 트레이스 라인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라인들을 구동하기 위한 센싱 신호와,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트레이스 라인에 소정의 전압 레벨을 갖는 상기 센싱 신호를 전송하고,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서브 트레이스 라인 또는 어느 하나의 그룹만 상기 메인 트레이스 라인에 접속되도록 상기 스위칭부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센싱 라인들은 제1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1 센싱 라인들,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 센싱 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센싱 라인들은 센싱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 라인이고, 상기 제2 센싱 라인들은 상기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라인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기판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Acryl),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에테르술폰(PES) 및 폴리이미드(PI)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료로 형성된 박막형 필름기판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트레이스 라인들을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과 이에 병렬로 접속되는 메인 트레이스 라인으로 구성하고, 센싱 채널의 너비를 조절하기 위해 메인 트레이스 라인에 접속되는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의 개수를 조정함으로써, 가변적인 터치 입력 사이즈를 구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터치 입력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제1 모드에 따라 스위칭부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의 타이밍도.
도 4는 제2 모드에 따라 스위칭부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의 타이밍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 패널은 활성 영역(AA) 및 비활성 영역(NA)으로 구분되는 기판(10), 상기 기판(10)의 활성 영역(AA)에 형성된 센싱 라인들(11), 상기 비활성 영역(NA)에 형성된 트레이스 라인들(15)과 스위칭부(17), 상기 스위칭부(17)를 제어하는 제어부(20) 및 사용자 입력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은 영상 표시 영역과 중첩되고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싱 라인들(11)이 형성되는 활성 영역(AA)과, 상기 활성 영역(AA)의 외곽부에 위치하고 트레이스 라인들(15)이 형성되는 비활성 영역(NA)으로 구분될 수 있다.
기판(10)은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며 투명하면서도 고 내열성 및 내 화학성의 특성을 갖는 물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Acryl),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에테르술폰(PES) 및 폴리이미드(PI)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료로 형성된 박막형 필름기판일 수 있다.
센싱 라인들(11)은 기판(10) 상의 활성 영역(AA)에 분산되어 배치되며,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센싱 라인들(11a)과 제2 센싱 라인들(11b)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센싱 라인들(11a)은 제1 방향(D1)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제2 센싱 라인들(11b)은 상기 제1 센싱 라인들(11a)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센싱 라인들(11a)과 제2 센싱 라인들(11b)은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되어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연결된다. 예컨대, 제1 센싱 라인들(11a)은 행 방향(수평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행 라인 단위로 트레이스 라인들(15)과 연결되고, 제2 센싱 라인들(11b)은 열 방향(수직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열 라인 단위로 트레이스 라인들(15)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센싱 라인들(11)은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ITO와 같은 투명전극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전 물질을 기판(10) 상에 증착한 다음, 포토 레지스트 방식으로 패터닝하여 형성될 수 있다.
터치 감지 방식으로는 정전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표면 초음파 방식, 적외선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주로 이용되는 정전용량 방식은,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접촉될 때 도전성 감지전극이 주변의 다른 감지전극 또는 접지전극 등과 형성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접촉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센싱 라인들(11a, 11b)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고, 기판(10)의 어느 일면에 다이아몬드 패턴으로 동일한 레이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센싱 라인들(11)의 재질, 형상 및 배치 구조는 다양한 변형 실시예를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센싱 라인들(11a, 11b)은 직선형의 스트라이프 패턴이 서로 다른 레이어에 배치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 센싱 라인들(11)은 투명 도전물질이 아닌 미세 금속 라인들로 구현되는 금속 메쉬(metal mesh)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센싱 라인들(11a, 11b)은 기판(10)을 사이에 두고 기판(10)의 양면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트레이스 라인들(15)은 제1 센싱 라인들(11a) 및 제2 센싱 라인들(11b)을 각각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을 따른 라인 단위로 외부의 구동회로와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각각 행 라인 단위 및 열 라인 단위의 제1 및 제2 센싱 라인들(11a, 11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을 패드부(PAD)를 통해 위치검출회로(미도시) 또는 제어부(20)와 같은 외부의 구동회로와 연결한다.
이러한 트레이스 라인들(15)은 영상이 표시되는 활성 영역(AA)을 피해 터치 스크린 패널 외곽의 비활성 영역(NA)에 배치되며, 센싱 라인들(11)로부터 터치 스크린 패널의 장변 방향인 제2 방향(D2)을 따라 패드부(PAD)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스 라인들(15)은 비표시 영역(NA)에 형성되므로, 재료 선택의 폭이 넓어 센싱 라인들(11)의 형성에 이용되는 투명전극물질 외에도 몰리브덴(Mo), 은(Ag), 티타늄(Ti), 구리(Cu), 알루미늄(Al), 몰리브덴/알루미늄/몰리브덴(Mo/Al/Mo) 등의 저저항 금속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활성 영역(AA)에서 터치 이벤트가 감지되는 터치 입력 사이즈는 센싱 라인들(11) 각각의 너비 즉, 센싱 채널 각각의 너비에 따라 결정된다.
그런데, 종래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하나의 센싱 라인이 하나의 센싱 채널을 구성하므로, 터치 입력 사이즈가 고정되어 다양한 사이즈의 터치 입력에 대응할 수 없고, 다양한 방식의 터치 입력을 원하는 고객의 요구를 반영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트레이스 라인들(15)을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15a)과 이에 병렬로 접속되는 메인 트레이스 라인(15b)으로 구성하고, 센싱 채널의 너비를 조절하기 위해 메인 트레이스 라인(15b)에 접속되는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15a)의 개수를 조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가변적인 터치 입력 사이즈를 구현할 수 있고, 다양한 방식의 터치 입력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15a)은 상기 센싱 라인들(11)과 각각 연결되며, 메인 트레이스 라인(15b)은 상기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15a)과 병렬로 접속되는 공통의 트레이스 라인이다.
즉, 트레이스 라인들(11)은 상기 센싱 라인들(11)에 대응하는 다수의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15a)과 이들이 공통적으로 연결되는 메인 트레이스 라인(15b)의 트리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스위칭부(17)는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15a)과 메인 트레이스 라인(15b)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15a)을 상기 메인 트레이스 라인(15b)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단, 상기 메인 트레이스 라인(15b)은 활성 영역(AA)의 양 측으로 나누어지거나, 일 측에 있으되 상기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15a) 중 일부를 포함하는 그룹 단위로 연결하도록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15a)과 메인 트레이스 라인(15b)이 활성 영역(AA)의 양 측으로 분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스위칭부(17a, 17b) 역시 활성 영역(AA)의 양 측으로 분산되어 구성됨은 물론이다.
상기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15a)과 메인 트레이스 라인(15b)의 배치 구조 및 연결 구조는 본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변형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스위칭부(17)는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15a)에 대응하는 복수의 트랜지스터들(SW1 ~ SW12)로 구현됨을 예시하고 있으나, 스위칭부(17)의 종류 및 구성은 다양한 변형예를 가질 수 있다.
제어부(20)는 제1 모드에서는 각각의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15a)을 메인 트레이스 라인(15b)에 순차적으로 연결하고, 제2 모드에서는 서로 인접한 둘 이상의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15a)을 그룹 단위로 메인 트레이스 라인(15b)에 순차적으로 연결하도록 스위칭부(17)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모드인 경우,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15a) 중 어느 하나가 메인 트레이스 라인(15a)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모드인 경우, 하나의 그룹에 속하는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이 메인 트레이스 라인(15a)에 동시에 연결된다.
즉, 상기 제1 모드에서는 각각의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15a)이 센싱 채널이 되므로 터치 입력 사이즈는 최소화되고, 상기 제2 모드에서는 둘 이상의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15a)이 그룹 단위로 센싱 채널을 형성하므로 터치 입력 사이즈는 증가한다.
예컨대, 제1 모드에서 터치 스크린 패널은 손가락이나 터치 펜처럼 작은 사이즈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며, 제2 모드에서 터치 스크린 패널은 손바닥과 같이 큰 사이즈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고, 일반적인 경우라면, 제1 모드가 디폴트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센싱 라인들(11a)은 센싱 신호(TX_IN)를 전송하는 송신 라인이며, 제2 센싱 라인들(11b)은 상기 센싱 신호(TX_IN)를 수신하는 수신 라인으로서, 가변적인 센싱 채널은 제1 센싱 라인들(11a)에 적용된다.
따라서, 제1 센싱 라인들(11a)에 연결되는 트레이스 라인들(15)만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15a)과 메인 트레이스 라인(15a)으로 구성되고, 제2 센싱 라인들(11b)에 연결되는 트레이스 라인들(15)은 종래와 같은 배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터치 스크린 패널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30)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입력부(30)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단부에 구비된 모드 선택 버튼 또는, UI(User Interface)에 포함되는 모드 선택 메뉴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하여, 사용자가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제어부(20)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를 활성화한다.
단, 상기 제2 모드에서 각 그룹에 속하는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15a)의 개수는 가변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둘 이상의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15a)과 이에 연결되는 스위치들이 하나의 그룹으로 정의될 수 있고, 제1 센싱 라인들(11a)에 연결되는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15a)은 그룹화되어 복수개의 그룹을 형성한다.
하나의 그룹에 속하는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15a)은 메인 트레이스 라인(15a)에 동시에 연결되므로, 하나의 센싱 채널로서 기능하며, 일 그룹당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15a)의 개수에 따라 센싱 채널의 너비가 결정된다.
예컨대, 제1 센싱 라인들(11a)이 각각 2mm의 너비를 가진다면, 제1 모드에서 센싱 채널의 너비는 제1 센싱 라인들(11a)의 너비와 동일한 2mm가 되고, 제2 모드에서 센싱 채널의 너비는 제1 센싱 라인들(11a)의 2개의 너비인 4mm가 된다. 만약, 제2 모드가 3개의 제1 센싱 라인들(11a) 즉, 3개의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15a)을 그룹화한다면 센싱 채널의 너비는 6mm가 된다.
결과적으로, 센싱 채널의 너비의 증감에 따라, 가변적인 터치 입력 사이즈를 구현할 수 있고, 손가락, 펜, 손바닥 등을 이용한 다양한 방식의 터치 입력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본 센싱 채널을 구성하는 제1 모드 및 두 배의 센싱 채널 너비를 갖는 제2 모드만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룹화되는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15a)의 개수 및 모드의 개수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당업자의 설계변경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제1 모드에 따라 스위칭부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의 타이밍도이고, 도 4는 제2 모드에 따라 스위칭부에 인가되는 제어 신호의 타이밍도이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20)는 메인 트레이스 라인(15b)에 소정의 전압 레벨을 갖는 센싱 신호(TX_IN)를 전송하고, 모드에 따라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서브 트레이스 라인 또는 어느 하나의 그룹만 메인 트레이스 라인(15b)에 접속되도록 상기 스위칭부(17)에 제어 신호(CONT)를 전송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모드에서는 메인 트레이스 라인(15b)을 흐르는 센싱 신호(TX_IN)는 하이 레벨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되, 스위칭부(17)가 제어 신호(CONT)에 의해 순차적으로 턴 온되면서 메인 트레이스 라인(15b)에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15a)이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제어 신호(CONT)는 각 스위치들(SW1~SW12)에 각기 입력되는 제1 내지 제12 제어 신호들(CONT1~CONT12)이며, 제1 내지 제12 제어 신호들(CONT1~CONT12)은 서로 중복되지 않는 센싱 타이밍에서만 하이 레벨을 갖는다.
따라서, 각 센싱 타이밍에서 하나의 서브 트레이스 라인만 메인 트레이스 라인(15b)에 연결되고, 다른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은 플로팅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모드에서는 메인 트레이스 라인(15b)을 흐르는 센싱 신호(TX_IN)는 하이 레벨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되, 스위칭부(17)가 제2 모드에 따른 소정의 그룹 단위로 순차적으로 턴 온 되면서 메인 트레이스 라인(15b)에 연결된다.
제2 모드에서는 두 개의 서브 트레이스 라인과 이에 연결되는 스위치들이 그룹화되므로, 각 그룹들에 속하는 스위치들은 동일한 타이밍에서 턴 온 된다.
예컨대, 제1 그룹(G1)을 제어하는 제1 제어 신호(CONT1)와 제2 제어 신호(CONT2)는 같은 센싱 타이밍에서 하이 레벨을 가지며, 이때, 다른 그룹(G2~G6)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들(CONT3~CONT12)은 로우 레벨을 갖는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기판 11: 센싱 라인들
11a: 제1 센싱 라인들 11b: 제2 센싱 라인들
15: 트레이스 라인들 17: 스위칭부
15a: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 15b: 메인 트레이스 라인
20: 제어부 30: 사용자 입력부
SW1~SW12: 스위치들 G1~G6: 그룹들
TX_IN: 센싱 신호 CONT1~CONT12: 제어신호들

Claims (10)

  1. 활성 영역 및 상기 활성 영역의 외곽의 비활성 영역으로 구분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활성 영역에 형성된 센싱 라인들;
    상기 비활성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센싱 라인들과 각각 연결되는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과, 상기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과 병렬로 접속되는 메인 트레이스 라인을 포함하는 트레이스 라인들;
    상기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과 상기 메인 트레이스 라인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칭부; 및
    제1 모드에서는 각각의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을 상기 메인 트레이스 라인에 순차적으로 연결하고, 제2 모드에서는 서로 인접한 둘 이상의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을 그룹 단위로 상기 메인 트레이스 라인에 순차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에서 하나의 그룹에 속하는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은 상기 메인 트레이스 라인에 동시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그룹에 속하는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의 개수는 가변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각각의 상기 서브 트레이스 라인들과 상기 메인 트레이스 라인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5.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라인들을 구동하기 위한 센싱 신호와,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트레이스 라인에 소정의 전압 레벨을 갖는 상기 센싱 신호를 전송하고,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서브 트레이스 라인 또는 어느 하나의 그룹만 상기 메인 트레이스 라인에 접속되도록 상기 스위칭부에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라인들은
    제1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1 센싱 라인들,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 센싱 라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싱 라인들은 센싱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 라인이고, 상기 제2 센싱 라인들은 상기 센싱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아크릴(Acryl),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에테르술폰(PES) 및 폴리이미드(PI)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료로 형성된 박막형 필름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0130012890A 2013-02-05 2013-02-05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401000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890A KR20140100088A (ko) 2013-02-05 2013-02-05 터치 스크린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890A KR20140100088A (ko) 2013-02-05 2013-02-05 터치 스크린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088A true KR20140100088A (ko) 2014-08-14

Family

ID=51746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2890A KR20140100088A (ko) 2013-02-05 2013-02-05 터치 스크린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00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61452B2 (en) 2015-04-30 2018-08-28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display device with consolidated wires and driv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61452B2 (en) 2015-04-30 2018-08-28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display device with consolidated wires and driv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23904B2 (ja) タッチセンサを含む表示装置
KR102056464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040973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060798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301502B1 (ko)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094937B1 (ko) 터치스크린패널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KR102303214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41804B1 (ko) 정전 용량 인셀 터치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41255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230808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011434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TWI521397B (zh) 觸控螢幕面板及具有其之影像顯示裝置
CN107077234B (zh) 触摸面板、触摸面板的制造方法以及触摸面板一体型显示装置
KR20130126007A (ko)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TWI631496B (zh) 電子裝置及觸控板
KR20160088533A (ko) 터치 센서
US20150060255A1 (en) Touch panel
KR20150087632A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30104051A (ko) 터치 스크린 장치와 그 방법
KR20140099797A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102175045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370383B1 (ko) 터치윈도우
JP2015204094A (ja) タッチパネル
KR20140100088A (ko) 터치 스크린 패널
CN104777926B (zh) 触控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