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9951A - 슬래그 열로부터 냉풍 생성 - Google Patents

슬래그 열로부터 냉풍 생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9951A
KR20140099951A KR1020147019555A KR20147019555A KR20140099951A KR 20140099951 A KR20140099951 A KR 20140099951A KR 1020147019555 A KR1020147019555 A KR 1020147019555A KR 20147019555 A KR20147019555 A KR 20147019555A KR 20140099951 A KR20140099951 A KR 20140099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st furnace
furnace gas
temperature
slag
expa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9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크 솔비
루이스 슈미트
Original Assignee
풀 부르스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풀 부르스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풀 부르스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40099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99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4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fluid-driven
    • F04D25/045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fluid-driven the pump wheel carrying the fluid driving means, e.g. turbine bla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3/00Gener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pig-iron
    • C21B3/04Recovery of by-products, e.g. slag
    • C21B3/06Treatment of liquid slag
    • C21B3/08Cooling sla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5/00Making pig-iron in the blast furnace
    • C21B5/06Making pig-iron in the blast furnace using top gas in the blast furnace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002Evacuating and treating of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7/00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 F27D17/004Systems for reclaiming waste hea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400/00Treatment of slags originating from iron or steel processes
    • C21B2400/02Physical or chemical treatment of slags
    • C21B2400/022Methods of cooling or quenching molten slag
    • C21B2400/026Methods of cooling or quenching molten slag using air, inert gases or removable conductive 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400/00Treatment of slags originating from iron or steel processes
    • C21B2400/08Treatment of slags originating from iron or steel processes with energy recov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20Heat transfer, e.g. coo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5Process effici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 Furnace Detail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래그 열로부터 냉풍을 생성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고,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단다: a. 고온의 수쇄 슬래그를 제공하는 단계, b. 습식 고로 가스를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습식 고로 가스를 예열하여, 예열된 고로 가스를 얻는 단계, d. 상기 고온의 수쇄 슬래그로부터 상기 예열된 고로 가스로 열을 전달하고, 고온의 고로 가스를 얻는 단계, e. 터빈에서 상기 고온 고로 가스를 터빈에서 팽창시켜 에너지가 방출되고 팽창된 고로 가스를 얻는 단계, f. 상기 방출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냉풍을 압축하기 위한 냉풍 압축기(cold-air blast 압축기)를 구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되, 여기서, 터빈에서 상기 고온의 고로 가스의 팽창에 의해 샤프트(shaft)가 구동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냉풍 압축기를 구동시키고, 상기 팽창된 고로 가스는 상기 습식 고로 가스를 예열시키기 위해서 이용되고, 그것으로 인하여 저온의 팽창된 고로 가스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슬래그 열로부터 냉풍 생성{COLD WIND GENERATION FROM SLAG HEA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슬래그 열(slag heat)로부터 냉풍을 생성시키는 방법과 설비와 관련된다.
고로(blast furnace)에서 선철(pig iron)을 생산하는 것은 연소가스로 쓰이는 압축된 공기(냉풍으로 알려진)를 생성하고 공급원료를 가열 및 용융시키고 산화철 화합물을 환원시키기 위해 상당한 에너지 투입을 요구한다. 상기 냉풍 압축기의 기계적인 또는 전기적인 드라이브를 무시하면, 이 에너지의 대부분은 주로 코크(coke) 같은 유기 탄소 화합물의 형태로 그리고, 선택적으로 고체(예, 분탄), 액체(예, 중유) 또는 기체 (예, 천연가스) "대체 환원제"로 추가적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탄소 화합물의 변환은 상당한 CO2 배출을 일으킨다.
이 상승된 에너지 투입과 상기 결과로서의 환경 영향은 출발물질과 폐기물에 존재하는 잔류 에너지를 회수하기 위한 더 많은 노력을 정당화시킨다.
"블라스트 스토브(blast stoves)"에서 상기 냉풍을 가열시키시 위하여, 롤링 밀(rolling mills)에서 가열로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그리고 화력 발전소에서 전기적인 에너지를 얻기 위하여 연료가스로서 고로 가스(blast furnace gas)를 활용하는 것은 19세기 이래로 부분적으로 알려져왔다. 그러나, 연료가스로서 고로 가스를 이용하는 것은 고체 입자에 의한 광범위한 오염 방지를 요구한다. 지금까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요구되는 가스세정은 결과적으로 상기 고로 가스의 현열(sensible heat)을 크게 잃게 되는 습식세정으로 주로 수행된다.
고로가스 "팽창터빈(expansion turbine)"에서의 작동-방출 팽창(work-releasing expansion)에 의한 고로 가스의 압력 에너지를 활용하는 것 역시 10여년간 배경기술이 되어왔다. 터빈에서 얻을 수 있는 동력은 가스 세정으로부터의 가스 배출구와 가스 정화 시스템(clean gas system)으로의 가스 유입구 사이에서의 이용할 수 있는 압력 경도에 의해 그리고 상기 가스 세정 배출구와 그에 따른 상기 터빈 유입구에서의 가스 온도 모두에 의해 결정된다. 이전 섹션에서 설명된 것처럼, 이 가스 온도는 주로 습식세정에 의해 결정되고 따라서 상온(ambient temperature)을 약간 상회할 뿐이다.
상기 팽창터빈 샤프트에서 이용할 수 있는 출력 동력은 일반적으로 터빈에 커플된(coupled) 발생장치의 도움으로 전기적인 에너지를 생성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냉풍 압축기에 요구되는 구동력(driving power)은 통상적으로 전동기 또는 스팀터빈에의해 공급된다.
특허출원 WO 2011/026940 은 터빈으로의 고로 가스 유입구 온도를 증가시키고 따라서 두단계 예열의 도움으로 터빈에서 그리고 가스 정화 시스템에서 팽창된 고로 가스의 유입구 온도가 가스 정화 시스템에서 가스 온도의 제한값을 밑돌게 유지하는 상태에서 동력 출력(power output)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 팽창될 고로 가스를 예열하는 첫번째 단계는 상기 팽창된 고로 가스로부터 열 전달에 의해 진행되며 반면, 예열하는 두번째 단계는 외부에너지의 도움으로 진행한다. 손실을 무시하면, 점차적으로 더 높은 온도범위로 팽창을 이동시키는 것이 터빈 동력 출력(power output)의 증가는 공급된 외부 에너지의 증가와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JP 62 074009는 고온 수쇄 고로 슬래그로부터 에너지를 회수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고로로부터 나오는 고로 가스는 제진된(dedusted) 다음에, 압력의 차이를 사용하기위해 터빈에서 팽창된다. 상기 터빈은 전기 발전기에 기계적으로 커플된다. 상기 터빈에 들어가기 전에, 유도된 고로 가스는 열-전달 매체를 사용하는 열회수에 의하여 가열된다. 상기 열-전달 매체는 재유통된 수쇄 슬래그로부터 유도된 고로 가스로 열을 전달한다.
DE 40 30 332는 고로로부터 비록되는 고로 가스로부터 에너지를 회수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슬래그로부터 에너지가 얻어지지 않는다. 정교하고 (finely) 거칠게(roughly) 제진된 고로 가스는 추가 사용을 위해 고로 가스 시스템으로 도입되기 전에 전기 발전기에 커플될 수 있는 팽창 터빈에서 팽창된다. 두개의 압축기와 전기 발전기는 터빈에의해 구동되는 샤프트에 기계적으로 커플된다. 고로 가스 와 공기는 두개의 압축기에 의해 빨려들어가고, 압축된 다음에 그들이 고열량을 가진 연료의 추가로 연소되는 연소 챔버(combustion chamber)에 공급된다. 연소 후에, 상기 연소된 혼합물은 고로 가스 팽창 터빈에서 에너지를 지닌채 터빈 출구 압력으로 팽창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로에서의 선철 생산에서 에너지 회수를 위한 대체 방법과 상응하는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으로의 작동 과정에서, 터빈으로부터 달성될 수 있는 동력 출력이 냉풍 압축기의 필요한 샤프트 동력과 거의 동일기 때문에, 용융슬래그로부터 열 회수는 터빈의 상류로 고로 가스를 가열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외부에너지의 추가적인 절약이 될 수 있다.
냉풍을 생성하기 위해 슬래그로부터 얻어진 열을 사용하는 것은 전기로의 변환을 피하는 것이 가능하게하는 결과로서, 열의 회수와 활용이 동일한 설비와 타임와이즈(timewise)의 경계안에서 병렬적으로 진행되는 이점을 가지고, 따라서 동력을 생성키기 위한 전기 발전기와 상기 압축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동기에서의 손실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세부사항과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만들어진 본 발명의 가능한 구현들의 다음의 세부적인 기술로부터 추측될 수 있고, 여기서:
도 1은 고온의 슬래그로부터 상기 고로가스로 열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과 3개의 대체 옵션에 대한 도해이다.
상기 목적은
a. 고온의 수쇄 슬래그(granulated slag)를 제공하는 단계;
b. 습식 고로 가스(wet blast furnace gas)를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습식 고로 가스를 예열하여 예열된 고로 가스를 얻는 단계;
d. 상기 고온의 수쇄 슬래그로부터 상기 예열된 고로 가스로 열을 전달하여, 고온의 고로 가스를 얻는 단계;
e. 상기 고온의 고로 가스를 터빈에서 팽창시켜 에너지가 방출되고 팽창된 고로 가스를 얻는 단계;
f. 상기 방출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냉풍을 압축하기 위한 냉풍 압축기(cold-air blast compressor)를 구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되,
여기서, 터빈에서 상기 고온의 고로 가스의 팽창에 의해 샤프트(shaft)가 구동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냉풍 압축기를 구동시키고, 상기 팽창된 고로 가스는 상기 습식 고로 가스를 예열시키기 위해서 이용되고, 그것으로 인하여 저온의 팽창된 고로 가스가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열(slag heat)로부터 냉풍을 생성하는 방법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으로의 작동 과정에서, 터빈으로부터 달성될 수 있는 동력 출력이 냉풍 압축기의 필요한 샤프트 동력과 거의 동일기 때문에, 용융슬래그로부터 열 회수는 터빈의 상류로 고로 가스를 가열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외부에너지의 추가적인 절약이 될 수 있다.
냉풍을 생성하기 위해 슬래그로부터 얻어진 열을 사용하는 것은 WO 2011/026940과 JP 62 074009에서 설명된 것처럼 전기로의 변환을 피하는 것이 가능하게하는 결과로서, 열의 회수와 활용이 동일한 설비와 타임와이즈(timewise)의 경계안에서 병렬적으로 진행되는 이점을 가지고, 따라서 동력을 생성키기 위한 전기 발전기와 상기 압축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동기에서의 손실을 피할 수 있다.
DE 40 30 332 와 대조하여, 압축된 냉풍은 연소 공기상태로 고로로 지나간다. 그러한 배치의 이로운 특징은 단순한 작동, 저비용 그리고 상승된 효율이다. 연속 플로우 머신(continuous flow machine)에 관하여 가르침이 분명함에 따라, 압축기는 많은 경우에 있어서 효율을 증가시기기 위한 제한 인자 중 하나이다. 이것은 특별히 상승된 효율을 위해 필요한 압력 경도를 달성하기 위하여 높은 회전 속도로 달려야 하는 비교적 작은 연속 플로우 머신을 가진 경우이다. 높은 회전 속도는 효율을 명백히 감소시키는 플로우에서 필연적으로 상승된 두번째 손실을 초래한다. 그러므로 DE 40 30 332 역시 터빈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2개의 압축기를 사용하고, 자연스럽게 그런 설비의 가격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압축된 가스의 양이 팽창된 가스의 양에 의존하기 때문에 특별히 유리하고 따라서, 추가적인 자유도(degree of freedom) 덕분에, 압축기와 터빈은 최적 효율에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의 바람직한 구현에 따르면, 상기 습식 고로 가스는 2 내지 4 bar(g)의 압력 및 30 내지 60 ℃의 온도를 가진다.
상기 예열된 고로 가스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bar(g)의 압력 및 140 내지 200 ℃의 온도를 가진다.
상기 고온의 고로 가스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bar(g)의 압력 및 300 내지 420 ℃의 온도를 가진다.
상기 팽창된 고로 가스는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4 bar(g)의 압력을 가진다.
상기 고온의 팽창된 고로 가스는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290 ℃의 온도를 가진다.
상기 저온의 팽창된 고로 가스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 ℃의 온도를 가진다.
상기 고온의 수쇄 슬래그는 바람직하게는 고온의 액체 슬래그가 저온의 고체의 도입에 의해 냉각되고 고체화되어 제공되어진다. 이용된 저온의 고체는 바람직하게는 냉각되고, 유리모양으로 고체화된 슬래그 및/또는 금속체들이고, 여기서 상기 구형 또는 유사한 모양의 금속체들은 바람직하게는 철(iron) 또는 스틸(steel)이다.
상기 고온의 수쇄 슬래그로부터 상기 습식 고로 가스로의 열 전달은 바람직하게는 이동층 냉각기(moving-bed cooler), 튜브형 냉각기(tubular cooler) 및/또는 볼 밀(ball mill) 또는 튜브 밀(tube mill)에서 진행한다.
열 회수를 위한 상기 언급된 방법으로의 고로 가스 투입은 팽창된 고로 가스와 아직 팽창되지 않은 고로 가스 사이에 위치한 예열기에서 이미 발생한 예열때문에 상승된 온도를 가진다. 그러므로, 상기 슬래그의 냉각은 제한될 수 있고 슬래그에 남아있는 에너지를 회수하기 위한 두번째 열 회수 단계는 이후에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 계산:
실시예는 10,000 metric tons/d의 선철 출력을 가지는 고로와 관련된다. 상기 냉풍률(cold-air blast rate)(드라이)은 1,000 N㎥/metric ton 이고, 상기 고로 가스률(blast furnace gas rate)은 1,700 N㎥/metric ton 이 된다.
상기 냉풍 압력은 4.5 bar gauge (bar(g))이다. 0.8036 의 압축기 효율에서(내부 효율 82%, 기계적인 효율 98%), 습한 냉풍(moist cold-air blast) 423,875 N㎥/h을 생산하기 위한 냉풍 압축기와 커플링하는(coupling) 상기 압축기의 계산된 동력 요건은 34.28 MW가 된다.
상기 고로의 고로 가스 압력은 2.5 bar(g)이고, 45℃의 온도에서 습식 가스세정 후의 고로 가스 압력은 2.2 bar(g)이다. 계산된 유동율 754,830 N㎥/h 모이스트(moist)인 세정된 고로 가스는 팽창된 고로 가스에 의해 45℃에서 170℃ 까지 가열되는 반면, 반대로 상기 팽창된 고로 가스는 243℃에서 65℃로 냉각된다. 각각의 경우에서 상기 열교환기에서 압력 강하는 0.1 bar 이 되는 반면, 상기 가스 정화 시스템 압력은 0.1 bar(g)이다.
두번째 열교환기에서, 상기 고로 가스는 170℃ 에서 362℃까지 가열된다. 이 목적을 위해 요구되는 열출력은 59.95 MW이다. 두번째 열교환기에서 상기 고로 가스의 압력 강하는 다시 0.1 bar 이다.
터빈에서, 상기 고로 가스는 그때 2.0 bar(g)에서 0.2 bar(g)로 팽창된다. 상기 상응하는 온도 강하는 362℃에서 243℃로 진행한다. 0.8526의 효율 (내부 효율 87%, 기계적인 효율 98%)에서, 샤프트에서 동력 출력은 34.28 MW 이고, 따라서 위에서 언급된 냉풍을 생성하기위한 샤프트에서 동력 요건과 같다.
200 내지 300 kg/metric ton의 슬래그율과 1,700 내지 2,100 kJ/kg 의 슬래그 엔탈피(enthalpy)에서, 이용할 수 있는 슬래그의 총 열함유량은 39 내지 73 MW 이고, 따라서 위에서 언급된 터빈 상류로 고로 가스를 가열하기 위한 59.95 MW 근처이다. 물론, 상기 슬래그의 총 열함유량은 원칙적으로 그리고 열 손실때문에 완전히 활용될 수 없고, 이는 실시예 계산에서 열을 흡수하는 고로 가스는 열교환기에 주입할 때 이미 170℃이고 따라서 상기 슬래그를 상온으로 냉각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바라는(desired) 터빈 유입구 온도로 고로 가스를 가열하기 위하여 고로 가스를 연소시켜 놓친 열출력을 얻는것은 쉽게 생각할 수 있다. 고로 가스의 약 1,300 N㎥/h은 요구되는 추가적인 총 열함유량 MW 마다 연소되어야 한다.
비교를 통해, 45℃에서 2.2 bar(g)로부터 0.1 bar(g)까지의(열교환기에서 압력 강하없이) 고로 가스의 팽창은 결과적으로 샤프트에서 18.94 MW의 계산된 동력 출력이 될 것이다. 따라서, 공급된 59.95 MW의 열은 (34.28-18.94)/59.95 = 0.256 또는 거의 26%의 효율로 기계적인 에너지로 변환된다.
본 발명에서 하나 이상 향상된 점의 설명(Description of one or more development(s) of the invention)
이 열 회수와 냉풍을 생성하기 위한 사용의 다양한 구현은 하기 도면 1을 참고로 하여 설명된다;
각각의 탭핑 작동(tapping operation) 동안 주기적으로 얻어지는 액체, 고온 슬래그 10은 수재 설비(granulation insallation) 14에서 저온 고체 12의 도입으로 냉각되어지고 고체화되며, 여기서 결과로서의 고온 고체 혼합물은 여전히 이후의 혼합물의 처리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한되는 가장 높은 가능한 온도를 가진다.
예를 들어, 저온, 유리모양으로 고체화된 고로 슬래그는 저온 고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저온 고로 슬래그를 사용하는 것은, 상기 액체 슬래그로 그것의 도입 후에, 균질의 고온 고체 혼합물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그러나,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구형 또는 유사한 모양의 금속체가, 바람직하게는 철 또는 스틸, 저온 고체로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액체 슬래그로 도입할 때, 상기 금속체는 액체 슬래그의 더 빠른 정도의 고체화를 가져오고 그래서 유리모양의(vitreous), 예를 들어 비결정질, 고체화된 부분(solidified fraction)을 증가시킨다. 상기 슬래그 주입에 사용하기 위한 추가 물질에 의존하는 것은 유리하거나 필요할 수 있다.
각각의 탭핑 작동 동안 주기적으로 얻어지는 상기 고온 고체 혼합물은 버퍼 벙커(buffer bunker) 또는 실로(silo) 18에 중간 저장으로 유지 될 수 있고 그때 열 회수를 위해 장치(apparatus) 20에 수쇄 슬래그로써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고온 고체 혼합물은 그때 열-전달 장치 20으로 도입된다. 이 열-전달 장치20 의 3개의 다른 변형이 도면 1에 일점 쇄선 박스 A, B 및 C이 보여진다.
상기 고로로부터의 고로 가스는 습식 세정 장치 22에서 그것으로부터 고체가 제거되도록 하고, 스팀으로 강화되고 대략 45℃까지 냉각된다. 그때 상기 습식, 저온 고로 가스는 예열기 24에서 대략 170℃까지 가열되고 그때 열교환기 20에서는 대략 360℃까지 가열된다. 이 고온 고로 가스는 고로 가스 팽창터빈 26으로 주입되고 다음으로 팽창된 상태로 반대 방향으로 사용되지만, 습식, 저온 고로 가스를 예열하기 위한 예열기 24에서 여전히 고온의 고로 가스이다. 상기 터빈 26은 고로 가스 팽창에 의해 구동되고 냉풍 압축기 30을 구동시키는 샤프트 28로 에너지가 전달된다. 상기 압축된 냉풍 62는 고로로 지나간다. 상기 팽창된, 냉풍 고로 가스는 마침내 가스 정화 시스템 32로 주입된다.
도 1의 일점 쇄선 박스 A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상기 슬래그로부터 상기 고로 가스로의 열 전달의 첫번째 변형에서 상기 고온 고체 혼합물은 분쇄기 34를 지나 분쇄되고 이동층 냉각기 36으로 전달된다. Grenzebach 사에 의해 설명되어진 실시예에 대하여 말하자면, 이동층 냉각기 36에서 열전달은 상기 고체 혼합물로부터 상기 고로 가스로 냉각기 벽 및/또는 상기 층(bed)에 파이프를 지나 진행한다.
게다가, 열전달은 통기회로 38에 의해 어시스트되고 개선될 수 있다. 상기 공기는 고체와 파이프의 외면 사이에서 대류에 의한 열전달을 향상시킨다. 상기 통기회로 36에서 공기는 예를 들어, 사이클론(cyclone)과 같은 적합한 고체 세퍼레이터(separator)의 상류로 배열될 수 있는 블로워(blower) 40에 의해 운반된다.
도면 1의 일점 쇄선 박스 B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상기 슬래그로부터 상기 고로 가스로의 열전달의 또 다른 구현에서 상기 고온 고체 혼합물은 볼 밀 또는 튜브 밀 42로 전달되고 분쇄된다. 상기 액체 슬래그를 냉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금속체는 선택적으로 그라인딩 바디(grinding bodies)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통상적으로 그라인딩 볼(grinding ball)로 사용될 수 있다. 블로워 44는 통기회로 46을 통해 상기 밀 42로 공기를 운반한다. 상기 공기는 상기 그라인딩 바디에서 그리고 밀베이스(millbase)에서 뜨거워지고 고체 세퍼레이터 48, 예를 들어 사이클론을 통해 지나고 나서, 통상적으로 열교환기 50에서 고로 가스로 열을 방출한다.
도면 1의 일점 쇄선 박스 C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상기 슬래그로부터 상기 고로 가스로의 열전달의 추가의 구현에서 상기 고온 고체 혼합물은 분쇄기 52을 지나, 분쇄되고 회전 튜브형 냉각기 54로 전달된다. Grenzebach 사에 의해 설명되어지는 실시예에 대해 말하자면, 이 회전 튜브형 냉각기에서 열전달은 고체 혼합물로부터 통기회로 56에 의하여 진행된다. 상기 공기는 상기 튜브에서 뜨거워지고 그때 통상적으로 열교환기 58에서 고로 가스로 상기 열을 방출한다. 상기 회로에서 상기 공기는 예를들어 블로워 60에 의해 운반된다.
열회수를 위한 상기 언급된 방법으로의 고로 가스 투입은 팽창된 고로 가스와 아직 팽창되지 않은 고로 가스 사이의 열교환기에서 선택적으로 벌써 발생하는 예열하는 첫번째 단계 때문에 상승된 온도를 가진다. 그러므로, 상기 슬래그의 냉각은 제한될 수 있고 두번째 열 회수 단계는 이후에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10 액체 슬래그
12 저온 고체
14 수재 설비(granulation installation)
16 고체 혼합물
18 버퍼 실로(buffer silo)
20 열-전달 장치
22 습식 세정 장치
24 예열기
26 고로 가스 팽창터빈
28 샤프트(shaft)
30 냉풍 압축기
32 가스 정화 시스템
34 분쇄기
36 이동층 냉각기
38 통기회로
40 블로워(blower)
42 튜브 밀
44 블로워
46 통기회로
48 고체 세퍼레이터
50 열교환기
52 분쇄기
54 로터리 냉각기
56 통기회로
58 열교환기
60 블로워
62 압축된 냉풍

Claims (10)

  1. a. 고온의 수쇄 슬래그(granulated slag)를 제공하는 단계;
    b. 습식 고로 가스(blast furnace gas)를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습식 고로 가스를 예열하여 예열된 고로 가스를 얻는 단계;
    d. 상기 고온의 수쇄 슬래그로부터 상기 예열된 고로 가스로 열을 전달하여, 고온의 고로 가스를 얻는 단계;
    e. 상기 고온의 고로 가스를 터빈에서 팽창시켜 에너지가 방출되고 팽창된 고로 가스를 얻는 단계;
    f. 상기 방출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냉풍을 압축하기 위한 냉풍 압축기(cold-air blast compressor)를 구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되,
    여기서, 터빈에서 상기 고온의 고로 가스의 팽창에 의해 샤프트(shaft)가 구동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냉풍 압축기를 구동시키고,
    상기 팽창된 고로 가스는 상기 습식 고로 가스를 예열시키기 위해서 이용되고, 그것으로 인하여 저온의 팽창된 고로 가스가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열(slag heat)로부터 냉풍을 생성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고로 가스는 2 내지 4 bar(g)의 압력 및 30 내지 60 ℃의 온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된 고로 가스는 2 내지 4 bar(g)의 압력 및 140 내지 200 ℃의 온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의 고로 가스는 2 내지 4 bar(g)의 압력 및 300 내지 420 ℃의 온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된 고로 가스는 0.05 내지 0.4 bar(g)의 압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의 팽창된 고로 가스는 400 내지 290 ℃의 온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의 팽창된 고로 가스는 30 내지 80 ℃의 온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의 수쇄 슬래그는 고온의 액체 슬래그가 저온의 고체의 도입에 의해 냉각되고 고체화되어 제공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의 고체로서 냉각되고, 유리모양으로 고체화된 슬래그(vitreously solidified slag) 및/또는 금속체들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의 수쇄 슬래그로부터 상기 습식 고로 가스로의 열 전달은 이동층 냉각기(moving-bed cooler), 튜브형 냉각기(tubular cooler) 및/또는 볼 밀(ball mill) 또는 튜브 밀(tube mill)에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47019555A 2011-12-16 2012-12-14 슬래그 열로부터 냉풍 생성 KR201400999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LU91917A LU91917B1 (de) 2011-12-16 2011-12-16 Kaltwinderzeugung aus Schlackewaerme
LU91917 2011-12-16
PCT/EP2012/075536 WO2013087838A1 (de) 2011-12-16 2012-12-14 Kaltwinderzeugung aus schlackewär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951A true KR20140099951A (ko) 2014-08-13

Family

ID=47358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9555A KR20140099951A (ko) 2011-12-16 2012-12-14 슬래그 열로부터 냉풍 생성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40352294A1 (ko)
EP (1) EP2791370B1 (ko)
JP (1) JP5756575B2 (ko)
KR (1) KR20140099951A (ko)
CN (1) CN103998626A (ko)
BR (1) BR112014013642A2 (ko)
CA (1) CA2856613A1 (ko)
EA (1) EA201400715A1 (ko)
IN (1) IN2014DN04652A (ko)
LU (1) LU91917B1 (ko)
WO (1) WO2013087838A1 (ko)
ZA (1) ZA2014043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U92916B1 (en) * 2015-12-17 2017-07-13 Wurth Paul Sa Grinding and drying plant
CN109269307B (zh) * 2017-11-03 2024-03-08 山东耀华能源投资管理有限公司 一种烧结矿全封闭竖式风冷却窑及其工作方法
CN108913828A (zh) * 2018-09-18 2018-11-30 过瑾 一种高温熔渣余热回收冷却装置
CN113637813A (zh) * 2021-08-17 2021-11-12 山东保蓝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高炉冲渣水汽余热利用消白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31648A (en) * 1922-11-20 1925-03-31 Dyrssen Waldemar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air for blast furnaces
US2210999A (en) * 1937-12-20 1940-08-13 Bartholomew Tracy Production of dry granulated slag
US2873554A (en) * 1956-05-15 1959-02-17 Babcock & Wilcox Co Apparatus for and a method of recovering heat from molten slag
US3912487A (en) * 1974-06-24 1975-10-14 Mikhail Alexeevich Sharanov Apparatus for producing granulated slag
US4175731A (en) * 1975-05-12 1979-11-27 Overdeck John M Method and means for utilizing waste heat of molten slag
JPS52115794A (en) * 1976-03-24 1977-09-28 Kawasaki Heavy Ind Ltd Heat recovery from metallurgical molten slag
JPS5927732B2 (ja) * 1976-08-05 1984-07-07 大平洋金属株式会社 溶融スラグからの熱回収方法
US4218201A (en) * 1978-07-25 1980-08-19 Nippon Steel Corporation Apparatus for producing solidified granular slag from molten blast furnace slag
US4297119A (en) * 1979-12-04 1981-10-27 Nippon Kokan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vitrifying blast furnace slag
JPS576290A (en) * 1980-06-13 1982-01-13 Nippon Kokan Kk Molten slag treating apparatus
JPS57127789A (en) * 1981-01-30 1982-08-09 Nippon Kokan Kk Apparatus for making quenched slag
US4350326A (en) * 1981-02-02 1982-09-21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heat recovery from molten slag
AT380490B (de) * 1984-09-06 1986-05-26 Voest Alpine Ag Vorrichtung zur gewinnung der fuehlbaren waerme von schuettfaehigem heissgut
JPS6274009A (ja) * 1985-09-27 1987-04-04 Sumitomo Metal Ind Ltd 高炉炉頂圧回収発電方法
DE4030332A1 (de) * 1990-06-20 1992-01-09 Zimmermann & Jansen Gmbh Verfahren zur nutzung der energie des von einem hochofen stammenden gichtgases, sowie hochofenanlage zur durchfuehrung dieses verfahrens
LU91604B1 (en) * 2009-09-04 2011-03-07 Wurth Paul Sa Recovery of energy from blast furnace gas in an expansion turbine.
CN102162016B (zh) * 2011-03-11 2012-09-05 杭州锅炉集团股份有限公司 回收熔融高炉渣高温显热的方法及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N2014DN04652A (ko) 2015-04-03
JP2015509157A (ja) 2015-03-26
CN103998626A (zh) 2014-08-20
JP5756575B2 (ja) 2015-07-29
US20140352294A1 (en) 2014-12-04
WO2013087838A1 (de) 2013-06-20
EP2791370B1 (de) 2015-07-01
EA201400715A1 (ru) 2014-12-30
LU91917B1 (de) 2013-06-17
EP2791370A1 (de) 2014-10-22
ZA201404346B (en) 2015-08-26
CA2856613A1 (en) 2013-06-20
BR112014013642A2 (pt) 201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33401B (zh) 熔融炉渣急冷干式粒化及显热回收发电系统及其方法
CN102559957B (zh) 离心式熔融炉渣急冷干式粒化及余热回收发电系统和方法
JP5119264B2 (ja) 鎔鉄製造時の排ガスの顕熱を利用したエネルギー生成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エネルギー生成方法
CN202415574U (zh) 熔融炉渣急冷干式粒化及显热回收发电系统
CN103060495B (zh) 一种熔融高炉渣粒化过程的螺旋振动床余热回收装置
CN101592443B (zh) 球团生产装备余热内外循环综合回用方法及其热风流系统
KR20140099951A (ko) 슬래그 열로부터 냉풍 생성
CN104975117A (zh) 一种高炉渣综合处理及显热回收发电系统及方法
CN101638702A (zh) 一种煤气作还原气的直接还原工艺出口煤气的回用方法
JP6040324B2 (ja) ブラスト炉に送風を供給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1864504A (zh) 一种回收利用高炉渣显热提高热风炉风温的方法
KR101609817B1 (ko) 오일 제조용 정압하의 바이오매스 합성가스 정화 방법 및 그 구성 시스템
KR20110076882A (ko) 석탄 가스화 및 직접 제철 방법 및 그 시스템
RU2553160C2 (ru) Извлечение энергии из газов в установке доменной печи
CN201397051Y (zh) 一种窑法磷酸生产使用的高温渣球冷却机
JPS6274009A (ja) 高炉炉頂圧回収発電方法
JPS61213329A (ja) 焼結設備における廃熱回収方法
CN219752332U (zh) 一种高效回收高炉炉渣热量并发电的系统
CN106766963B (zh) 一种水泥熟料生产线篦冷机余热利用系统
CN103105058A (zh) 一种利用低热值煤气的回转窑燃烧系统
CN102278875A (zh) 一种节能环保冲天炉
CN103361449B (zh) 一种高炉渣高效余能回收方法及回收装置
CN116516080A (zh) 一种高效回收高炉炉渣热量并发电的系统及方法
JP5790045B2 (ja) 熱風発生装置
CN113667779A (zh) 一种高炉熔渣造粒和余热回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