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9345A - 온도제어 패턴 인식을 통한 자동 건물온도제어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도제어 패턴 인식을 통한 자동 건물온도제어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9345A
KR20140099345A KR1020130011354A KR20130011354A KR20140099345A KR 20140099345 A KR20140099345 A KR 20140099345A KR 1020130011354 A KR1020130011354 A KR 1020130011354A KR 20130011354 A KR20130011354 A KR 20130011354A KR 20140099345 A KR20140099345 A KR 20140099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temperature control
temperature
l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1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4411B1 (ko
Inventor
김경호
김해랑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김해랑
김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김해랑, 김경호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11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411B1/ko
Publication of KR20140099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9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24F2110/12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10Weather information or foreca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사용자 온도제어 패턴 인식을 통한 자동 온도제어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자동 온도제어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의 온도 설정시 실외온도 및 날씨정보를 포함하는 상황정보와 사용자가 설정한 건물의 실내온도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온도제어를 수행한다. 이러한 상황정보 및 사용자정보는 데이터베이스에 로그로 기록되며, 이를 통해 자동 온도제어를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도제어 패턴 인식을 통한 자동 건물온도제어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BUILDING TEMPERATURE THROUGH TEMPERATURE CONTROL PATTERN}
본 발명은 자동 자택온도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온도제어 패턴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온도제어를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일러, 에어컨, 공기조화기 등은 실내 생활공간 온도제어 관련 제품이다. 이러한 제품을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일정한 조작 행위를 해야만 한다. 이러한 조작 행위에 대한 편의를 위하여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내 온도 원격 제어, 타이머를 이용한 실내 온도제어 등과 같은 여러 제어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제어 방법은 단발성에 그치고 제어가 요구되는 경우마다 사용자의 일정한 조작 행위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외온도 및 날씨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건물의 실내온도를 분석하며, 이를 통해 자동으로 온도제어를 수행하는 자동 온도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특정 실외온도 및 날씨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건물의 실내온도는 데이터베이스에 로그로 기록되고, 이러한 로그로 기록된 정보들을 확률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자가 제어 설정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온도를 도출하며, 이를 통해 자동 온도제어 방법 및 시스템의 효율성 및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온도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온도 설정시 실외온도 및 날씨정보를 포함하는 상황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건물의 실내온도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상황정보와 상기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상황조건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호하는 온도제어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온도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온도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의 온도 설정시 실외온도 및 날씨정보를 포함하는 상황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상기 상황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건물의 실내온도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건물 내 온도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상황정보와 연관하여 상기 사용자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로그로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황정보와 상기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상황조건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호하는 온도제어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로그로 기록된 상황정보와 상기 로그로 기록된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온도제어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상황정보와 상기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상황조건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호하는 온도제어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로그로 기록된 상황정보와 상기 로그로 기록된 사용자정보를 확률적으로 분석하여 상기 온도제어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정보는 사용자 위치정보 및 사용자 이동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온도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위치정보 및 상기 사용자 이동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공간에 대한 온도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위치정보 및 상기 사용자 이동정보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하여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정보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획득한 실내 움직임 관측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온도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온도제어의 수행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온도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로그로 기록된 상황정보와 상기 로그로 기록된 사용자정보를 통해 온도제어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온도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온도제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작동 정보를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황정보는 실내조명의 점등여부에 관한 조명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온도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조명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유무를 파악하거나 온도제어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온도제어 시스템은 실외온도 및 날씨정보를 포함하는 상황정보를 획득하는 네트워크 통신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획득하는 온도설정부; 상기 상황정보와 상기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상황조건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호하는 온도제어정보를 결정하는 제어부; 상기 온도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온도제어를 수행하는 장비구동부; 및 상기 상황정보 및 상기 온도제어정보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획득된 상황정보와 연관하여 상기 사용자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로그로 기록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그로 기록된 상황정보와 상기 로그로 기록된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상황조건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호하는 온도제어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그로 기록된 상황정보와 상기 로그로 기록된 사용자정보를 확률적으로 분석하여 상기 온도제어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황정보와 상기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상황조건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호하는 온도제어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로그로 기록된 상황정보와 상기 로그로 기록된 사용자정보를 통해 온도제어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는, 실외온도 및 날씨정보를 포함하는 상황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온도제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작동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설정한 제어 정보와 당시의 상황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선호하는 온도제어정보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행위 없이 자동으로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로그로 기록된 상황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확률적으로 분석하여 보다 정확한 온도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위치정보 및 이동정보를 통해 온도제어 대상이 되는 구역을 구분함으로써, 효과적인 온도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움직임 감지 센서로 감지한 실내 움직임 유무를 통해 온도제어 수행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효율적인 자동 온도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상황정보 및 실내온도가 로그로 기록된 상황정보 및 사용자정보와 유사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온도제어를 수행함으로써, 효과적인 온도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사용자 온도제어 패턴 인식을 통한 자동 온도제어 시스템의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사용자 온도제어 패턴 인식을 통한 자동 온도제어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하여 실내움직임 관측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실내 움직임 관측 여부에 따라서 온도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현재 상황정보 및 실내온도와 로그로 기록된 상황정보 및 사용자정보가 유사한지 판단하여 온도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온도제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작동 정보를 사용자에게 상황 알림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온도제어 패턴 인식을 통한 자동 온도제어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사용자 온도제어 패턴 인식을 통한 자동 온도제어 시스템의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동 온도제어 시스템은 네트워크 통신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40), 온도설정부(150) 및 장비구동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통신부(110)는 실외온도 및 날씨정보를 포함하는 상황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자동 온도제어 수행시 온도제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작동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현재 상황정보 및 제어된 온도를 나타낼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황정보와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상황조건에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온도제어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로그로 기록된 상황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상황조건에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온도제어정보를 결정할 수 있고, 로그로 기록된 상황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확률적으로 분석하여 온도제어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로그로 기록된 상황정보 및 사용자정보와 현재 상황정보 및 실내온도가 유사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만 자동 온도제어를 수행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실내조명의 점등여부에 관한 조명정보를 상황정보에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러한 조명정보는 실내의 조도 센서 또는 실내조명에 전원공급 되는지 여부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이러한 조명정보를 이용하여 장비구동부(160)를 통해 자동 온도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조명이 점등된 경우, 제어부(130)는 이를 사용자가 건물의 실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장비구동부(160)를 통해 자동 온도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실내조명이 소등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취침한 것으로 판단하여, 온도제어모드를 취침모드로 변경하여 자동으로 온도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획득된 상황정보와 연관하여 사용자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로그로 기록할 수 있다.
온도설정부(150)는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장비구동부(160)는 온도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온도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사용자 온도제어 패턴 인식을 통한 자동 온도제어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2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 온도 설정시 상황정보를 획득한다(210). 상황정보는 실외온도 및 날씨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정보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 통신을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211). 또한, 상황정보는 건물의 실내온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내온도는 건물 내 온도 센서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날씨정보에는 강수량, 적설량, 구름량, 최저기온, 최고기온, 습도 또는 풍속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정보를 획득한다(220). 이러한 사용자정보는 사용자가 설정한 건물의 실내온도를 포함할 수 있다. 건물 내 온도 센서를 통해 일정시간 실내온도가 변하지 않는 경우 해당 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건물의 실내온도로 입력 받을 수 있다(221). 예를 들어, 이러한 일정시간은 사용자가 10분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10분 동안 실내온도가 일정한 경우 해당 실내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건물의 실내온도로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온도설정부(150)를 통해 입력한 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한 건물의 실내온도로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사용자 위치정보 및 사용자 이동정보를 사용자정보에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위치정보 및 사용자 이동정보는 스마트 디바이스(621)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상황정보와 연관하여 사용자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로그로 기록할 수 있다(231). 즉, 사용자 온도 설정시의 상황정보를 사용자정보와 대응시켜 데이터베이스에 로그로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수량 0mm, 최저기온 2도, 최고기온 12도, 습도 40%, 풍속 3m/s 및 실외온도 5도인 상황에서 사용자가 건물의 실내온도를 15도로 설정한 경우, 강수량 0mm, 최저기온 2도, 최고기온 12도, 습도 40%, 풍속 3m/s 및 실외온도 5도로 저장된 상황정보와 사용자가 설정한 건물의 실내온도 15도를 대응시켜 데이터베이스에 로그로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로그로 기록된 상황정보,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온도제어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230).
로그로 기록된 상황정보,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온도제어정보를 결정하는 기준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첫째로, 상황정보 중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고 이러한 하나의 선택된 항목과 사용자정보를 대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황정보 중 실외온도와 사용자정보 중 사용자가 설정한 건물의 실내온도를 대응시키고, 이를 포함하도록 온도제어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둘째로, 상황정보 중 복수의 항목을 선택하고 이러한 복수의 항목에 동일 또는 상이한 가중치를 두어 사용자정보와 대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황정보 중 실외온도, 강수량, 습도를 선택할 수 있고, 실외온도에 50%, 강수량에 30%, 습도에 20%의 가중치를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가중치를 기초로 산출해낸 수치와 사용자정보 중 사용자가 설정한 건물의 실내온도를 대응시키고, 이를 포함하도록 온도제어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셋째로, 상황정보 중 복수의 항목을 선택하고 이러한 복수의 항목에 대하여 연산한 결과에 사용자정보를 대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황정보 중 최고온도와 최저온도를 선택하고, 최고온도와 최저온도의 평균값을 연산할 수 있다. 연산된 결과와 사용자정보 중 사용자가 설정한 건물의 실내온도를 대응시키고, 이를 포함하도록 온도제어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넷째로, 상황정보를 확률적으로 분석하여 해당 결과값을 사용자정보와 대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황정보 중 10도, 14도 및 20도인 실외온도만이 로그로 기록된 경우, 먼저 해당 온도와 사용자정보 중 사용자가 설정한 건물의 실내온도를 대응시킬 수 있다. 그 다음에, 10도 및 14도 사이에 존재하는 임의의 실외온도에 대하여 10도와 14도 중 어느 온도와 더 가까운지를 판단하여, 10도에 더 가까운 온도범위에 대해서는 10도에 대응하는 사용자정보 중 사용자가 설정한 건물의 실내온도를 대응시킬 수 있다. 동일한 방법을 다른 범위에 대해서도 적용시킨다. 적용시킨 결과를 포함하도록 온도제어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황정보 중 하나 이상의 항목을 사용하여 임의의 기준을 설정할 수 있고, 이러한 설정된 임의의 기준과 사용자정보 중 사용자가 설정한 건물의 실내온도를 대응시키고, 이를 포함하도록 온도제어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장비구동부(160)는 결정된 온도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온도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240).
이 때, 장비구동부(160)는 사용자 위치정보 및 사용자 이동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공간에 대한 온도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디바이스(621)에 저장되어 있는 일정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취침시간을 파악하고, 이러한 취침시간에는 다른 공간은 제외하고 침실에 대해서만 온도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스마트 디바이스(621) 내의 GPS 또는 와이파이와 같은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장치를 이용하여 스마트 디바이스(621)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해당 위치를 포함하고 있는 특정 공간에 대하여 온도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하여 실내움직임 관측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실내 움직임 관측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311). 또한, 사용자정보는 이러한 실내 움직임 관측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310). 예를 들어, 건물의 실내를 특정 구역으로 나누고, 해당 구역마다 움직임 감지 센서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 감지 센서는 사용자가 다른 구역으로 이동하는 움직임 또는 동일한 구역 내에서 단순한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획득한 실내 움직임 관측정보를 이용하여 제어부(130)는 온도제어 수행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같이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실내 움직임 관측 여부에 따라서 온도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실내 움직임 관측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온도제어의 수행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410).
예를 들어, 실내 움직임이 관측된 경우, 제어부(130)는 장비구동부(160)를 통해 온도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420). 반면, 실내 움직임이 관측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30)는 온도제어를 수행하지 않고, 이후에 추가적으로 실내 움직임이 관측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41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출중인 경우에는 실내에 움직임이 관측되지 않으므로, 제어부(130)는 온도제어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후에 사용자가 건물 실내로 들어오는 경우에는 실내 움직임이 관측될 수 있고, 제어부(130)는 장비구동부(160)를 통해 온도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현재 상황정보 및 실내온도와 로그로 기록된 상황정보 및 사용자정보가 유사한지 판단하여 온도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로그로 기록된 상황정보와 사용자정보를 통해 실시간 온도제어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510).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로그로 기록된 상황정보 중에서 현재 상황정보와 가장 근접한 로그로 기록된 상황정보를 검색한다. 제어부(130)는 이러한 검색된 로그로 기록된 상황정보에 대응되어 로그로 기록된 사용자정보 중 사용자가 설정한 건물의 실내온도가 현재 실내온도와 유사한지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 결과 유사하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제어부(130)는 장비구동부(160)를 통해 온도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520). 이 경우, 로그로 기록된 상황정보에 대응되어 로그로 기록된 사용자정보 중 사용자가 설정한 건물의 실내온도를 목표로 온도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반면, 판단 결과 유사하다고 판단된 경우, 제어부(130)는 온도제어를 수행하지 않고, 이후에 추가적으로 유사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510).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을 통해 설정한 유사범위를 통해 이러한 유사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온도에 대한 유사범위를 3도로 설정하는 경우, 현재 실내온도와 사용자정보 중 사용자가 설정한 건물의 실내온도의 차가 3도 범위 외인 경우, 제어부(130)는 장비구동부(160)를 통해 온도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520). 반대로, 현재 실내온도와 사용자정보 중 사용자가 설정한 건물의 실내온도의 차가 3도 범위 내인 경우, 제어부(130)는 온도제어를 수행하지 않으며, 이후에 이러한 차가 3도 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할 수 있다(510).
도 6은 온도제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작동 정보를 사용자에게 상황 알림하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통신부(110)는 온도제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작동 정보를 스마트 디바이스(621)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620). 이러한 온도제어에 대한 정보는 최종목표로 설정된 온도 및 온도제어 대상이 되는 공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 작동 정보는 이러한 온도제어에 대한 정보, 현재의 실외온도 및 날씨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온도제어 패턴 인식을 통한 자동 온도제어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자동 온도제어 인터페이스(710)는 ON/OFF 버튼(720), 실내온도를 나타내는 화면(730), 실외온도를 나타내는 화면(740), 수동 제어 모드를 선택하는 버튼(750), 자동 제어 모드를 선택하는 버튼(760), 장비 연결 설정 모드를 선택하는 버튼(770), 최종목표로 설정된 온도를 나타내는 화면(780), 최종목표로 설정된 온도를 높이는 버튼(781), 최종목표로 설정된 온도를 낮추는 버튼(782)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 온도제어 인터페이스(710)를 통하여, 사용자는 자동 온도제어 시스템을 제어하거나 자동 온도제어 시스템의 운영정보를 얻을 수 있다.
ON/OFF 버튼(720)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자동 온도제어 시스템의 운영 또는 정지를 명령할 수 있다.
실내온도를 나타내는 화면(730)는 건물 내 온도 센서를 통해 획득한 실내온도를 나타낼 수 있다.
실외온도를 나타내는 화면(740)는 네트워크 통신부(110)를 통하여 획득한 실외온도를 나타낼 수 있다.
수동 제어 모드를 선택하는 버튼(750)을 선택하는 경우, 자동 온도제어는 수행되지 않고,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특정 온도로 온도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자동 제어 모드를 선택하는 버튼(760)을 선택하는 경우, 자동 온도제어 시스템에 의한 자동 온도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장비 연결 설정 모드를 선택하는 버튼(770)을 이용하여, 시스템 작동 정보에 대한 통지를 받을 스마트 디바이스(621)를 선택 및 연동할 수 있다.
최종목표로 설정된 온도를 나타내는 화면(780)는 사용자 또는 자동 온도제어 시스템에 의해 최종목표로 설정된 온도를 나타낼 수 있다.
최종목표로 설정된 온도를 높이는 버튼(781) 또는 최종목표로 설정된 온도를 낮추는 버튼(782)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최종목표로 설정된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10: 네트워크 통신부
120: 디스플레이부
130: 제어부
140: 저장부
150: 온도설정부
160: 장비구동부

Claims (14)

  1. 사용자의 온도 설정시 실외온도 및 날씨정보를 포함하는 상황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건물의 실내온도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상황정보와 상기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상황조건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호하는 온도제어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온도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온도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온도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온도 설정시 실외온도 및 날씨정보를 포함하는 상황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상기 상황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건물의 실내온도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건물 내 온도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된 상황정보와 연관하여 상기 사용자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로그로 기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황정보와 상기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상황조건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호하는 온도제어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로그로 기록된 상황정보와 상기 로그로 기록된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온도제어정보를 결정하는
    자동 온도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정보와 상기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상황조건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호하는 온도제어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로그로 기록된 상황정보와 상기 로그로 기록된 사용자정보를 확률적으로 분석하여 상기 온도제어정보를 결정하는
    자동 온도제어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정보는 사용자 위치정보 및 사용자 이동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온도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위치정보 및 상기 사용자 이동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공간에 대한 온도제어를 수행하는 자동 온도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위치정보 및 상기 사용자 이동정보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하여 획득되는 자동 온도제어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정보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통해 획득한 실내 움직임 관측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온도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온도제어의 수행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 온도제어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온도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로그로 기록된 상황정보와 상기 로그로 기록된 사용자정보를 통해 온도제어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 온도제어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제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작동 정보를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 온도제어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정보는 실내조명의 점등여부에 관한 조명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온도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조명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유무를 파악하거나 온도제어모드를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온도제어 방법.
  10. 실외온도 및 날씨정보를 포함하는 상황정보를 획득하는 네트워크 통신부;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정보를 획득하는 온도설정부;
    상기 상황정보와 상기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상황조건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호하는 온도제어정보를 결정하는 제어부;
    상기 온도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온도제어를 수행하는 장비구동부; 및
    상기 상황정보 및 상기 온도제어정보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자동 온도제어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상황정보와 연관하여 상기 사용자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로그로 기록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그로 기록된 상황정보와 상기 로그로 기록된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상황조건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호하는 온도제어정보를 결정하는 자동 온도제어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그로 기록된 상황정보와 상기 로그로 기록된 사용자정보를 확률적으로 분석하여 상기 온도제어정보를 결정하는 자동 온도제어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황정보와 상기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상황조건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호하는 온도제어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로그로 기록된 상황정보와 상기 로그로 기록된 사용자정보를 통해 온도제어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자동 온도제어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통신부는,
    실외온도 및 날씨정보를 포함하는 상황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온도제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작동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자동 온도제어 시스템.
KR1020130011354A 2013-01-31 2013-01-31 온도제어 패턴 인식을 통한 자동 건물온도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504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354A KR101504411B1 (ko) 2013-01-31 2013-01-31 온도제어 패턴 인식을 통한 자동 건물온도제어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354A KR101504411B1 (ko) 2013-01-31 2013-01-31 온도제어 패턴 인식을 통한 자동 건물온도제어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345A true KR20140099345A (ko) 2014-08-12
KR101504411B1 KR101504411B1 (ko) 2015-03-20

Family

ID=51745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1354A KR101504411B1 (ko) 2013-01-31 2013-01-31 온도제어 패턴 인식을 통한 자동 건물온도제어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441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2186A1 (en) * 2014-08-25 2016-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mperatur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WO2017119783A1 (ko) * 2016-01-06 2017-07-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온도 자동 제어 방법 및 장치
US9880183B2 (en) 2014-12-30 2018-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a test apparatus in response to external room conditions and reaction device storage conditions
CN110173849A (zh) * 2019-05-09 2019-08-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温度补偿控制方法、计算机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00102240A (ko) * 2019-02-21 2020-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앙 제어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KR102430616B1 (ko) * 2021-12-07 2022-08-09 케빈랩 주식회사 공조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650A (ja) * 1994-07-06 1996-01-23 Toshiba Corp ビル制御装置
JP4661062B2 (ja) 2004-03-10 2011-03-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ケジュール送信装置、機器運転設定装置、スケジュール配信方法、機器運転設定方法
JP5195258B2 (ja) 2008-10-10 2013-05-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4814A (ko) * 2014-08-25 2016-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온도 조절 방법 및 장치
US10436467B2 (en) 2014-08-25 2019-10-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mperatur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WO2016032186A1 (en) * 2014-08-25 2016-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mperatur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JP2017529509A (ja) * 2014-08-25 2017-10-05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温度調節方法及び装置
US9880183B2 (en) 2014-12-30 2018-01-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a test apparatus in response to external room conditions and reaction device storage conditions
KR20170082380A (ko) * 2016-01-06 2017-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온도 자동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8431515A (zh) * 2016-01-06 2018-08-21 三星电子株式会社 自动温度控制方法和设备
US20190011146A1 (en) * 2016-01-06 2019-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ling method and device
WO2017119783A1 (ko) * 2016-01-06 2017-07-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온도 자동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236924B2 (en) 2016-01-06 2022-0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ling method and device
KR20200102240A (ko) * 2019-02-21 2020-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앙 제어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CN110173849A (zh) * 2019-05-09 2019-08-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温度补偿控制方法、计算机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430616B1 (ko) * 2021-12-07 2022-08-09 케빈랩 주식회사 공조 제어 방법
US11796206B1 (en) 2021-12-07 2023-10-24 Kevinlab Co.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ing of interior space based on mode sel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4411B1 (ko) 201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4411B1 (ko) 온도제어 패턴 인식을 통한 자동 건물온도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10353362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edictive air filter maintenance for sustained indoor air quality
US9525976B2 (en) BIM-aware location based application
ES2796312T3 (es) Sistema y método para mantener el rendimiento de sistema de automatización de edificio
US10001765B2 (en) Advanced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sensors and other points in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US20150286948A1 (en) Occupancy detection method and system
US9983653B2 (en) Central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facilities, facility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facilities
KR20070095712A (ko) 실내 환경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실내 환경 관리방법
KR101645089B1 (ko) 스마트홈 사물인터넷 기기의 상태 표시등 제어 방법 및 장치
US10309674B2 (en) Air-conditioning control system, air-conditioning control apparatus, and air-conditioning control method
KR102151260B1 (ko) 미세먼지감지기가 적용된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
CN110749061A (zh) 空调器及其空调控制方法、控制装置和可读存储介质
CN106886171B (zh) 电器控制方法及控制装置
US924447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motely monitoring and controlling HVAC units
US20180156484A1 (en) Environmental condition manipulation control
US10088191B2 (en) Occupancy based control of air conditioning system
CN104279717B (zh) 空调器及其控制方法和装置
US11629877B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thereof customized for a pet
KR20230164630A (ko) 공기 조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60098026A1 (en) Temperature control system and methods of performing the same
JP2011010241A (ja) 通知装置及び方法
US20200378641A1 (en) Techniques for detecting or considering habitat air quality
KR20190044199A (ko) 제어 명령 분석 기반 IoT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405273B1 (ko) 고령자에게 복지관의 환기 상태 알림을 제공하고, 복지관의 환경을 관리하기 위한 플랫폼
JP6024510B2 (ja) 消費エネルギー分析装置、消費エネルギー分析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