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9007A - 단말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9007A
KR20140099007A KR1020130011665A KR20130011665A KR20140099007A KR 20140099007 A KR20140099007 A KR 20140099007A KR 1020130011665 A KR1020130011665 A KR 1020130011665A KR 20130011665 A KR20130011665 A KR 20130011665A KR 20140099007 A KR20140099007 A KR 20140099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sk
user
task list
list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1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0064B1 (ko
Inventor
윤청하
김선옥
김승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1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064B1/ko
Priority to US13/974,514 priority patent/US9448838B2/en
Priority to EP13004203.9A priority patent/EP2763031A1/en
Publication of KR20140099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9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8Program initiating; Program switching, e.g. by interrupt
    • G06F9/4806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 G06F9/4812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by interrupt, e.g. mask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04Abstract machines for programme code execution, e.g. Java virtual machine [JVM], interpreters, emulators
    • G06F9/45508Runtime interpretation or emulation, e g. emulator loops, bytecode interpretation
    • G06F9/45512Command shells

Abstract

기록을 시작하는 단계; 복수개의 테스크(task)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면 상기 테스크를 기록하여 테스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록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테스크 리스트는 중간에 테스크 수행을 중단하고 추가적인 입력이 있는 경우 후속 테스크가 진행되는 인터럽트 테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방법은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일련의 테스크를 테스크 리스크로 만들어 자동으로 실행하게 하여 자주 사용하는 기능은 빨리 수행 가능하다.

Description

단말기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본 발명은 일련의 복수개의 테스크를 순차적으로 기록된 테스크 리스트의 실행 중 사용자의 추가 입력이 요구되는 인터럽트 테스크가 포함된 단말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화 되더라도 사용자에 따라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 있어, 사용자 맞춤형 사용편의 증대를 위한 기능에 대한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서, 일련의 복수개의 테스크를 순차적으로 기록된 테스크 리스트의 실행 중 사용자의 추가 입력이 요구되는 인터럽트 테스크가 포함된 단말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록을 시작하는 단계; 복수개의 테스크(task)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면 상기 테스크를 기록하여 테스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록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테스크 리스트는 중간에 테스크 수행을 중단하고 추가적인 입력이 있는 경우 후속 테스크가 진행되는 인터럽트 테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기록을 시작하는 단계 또는 상기 기록을 종료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음성명령, 특정 아이콘의 선택 및 특정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테스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테스크 리스트의 기록을 일시 중단하는 단계; 및 추가적인 입력이 있으면 상기 테스크 리스트의 기록을 재시작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스크 리스트의 기록을 중단하는 단계는, 상기 각 단계의 진행 상태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선택하면 테스크 리스트 기록을 일시 중단할 수 있다.
인터럽트 테스크는 복수개의 오브젝트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텍스트의 입력은 사용자의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인터럽트 테스크는 사용자 인증단계일 수 있다.
상기 순차적으로 수행된 테스크를 파일로 저장하며, 상기 파일은 다른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순서대로 기록된 테스크는 미리보기 화면 또는 순서도 중 적어도 한가지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스크 리스트는 사용자가 테스크의 순서 변경, 삭제, 추가 및 암호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각 단계의 진행 상태를 가이드하는 인디케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테스크가 순서대로 배열되며 테스크 수행을 중단하고 추가적인 입력이 있는 경우 후속 테스크가 진행되는 인터럽트 테스크를 포함하는 테스크 리스트를 생성 또는 전송받는 단계; 상기 테스크 리스트의 실행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인터럽트 테스크 이전까지 상기 테스크를 순서대로 실행하는 단계; 상기 테스크의 진행을 중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럽트 테스크에 대응하는 추가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인터럽트 테스크 이후의 테스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테스크 리스트의 실행을 시작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음성명령, 특정 아이콘의 선택 및 특정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테스크 리스트의 실행을 시작하는 단계는 사용자 인증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단계는 암호 입력 또는 사용자 목소리 인식 방식으로 사용자 인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임의로 상기 테스크 리스트의 실행을 일시 중단하는 단계; 사용자가 임의로 추가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테스크 리스트를 재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스트를 재시작하는 단계는 상기 테스크 리스트 중 상기 추가 입력과 중복되는 테스크는 생략하고 그 다음 테스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테스크 리스트의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테스크 리스트의 실행은 속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스크 리스트의 복수개의 테스크를 순서대로 나열한 미리보기 화면 또는 순서도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일련의 테스크를 테스크 리스크로 만들어 자동으로 실행하게 하여 자주 사용하는 기능은 빨리 수행 가능하다.
또한, 테스크 리스트 중에서 상황에 따라서 다르게 입력되어야 하는 특정 테스크는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다르게 입력 가능하여 더 다양한 테스크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어 단말기의 사용이 보다 편리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단말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테스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단말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테스크 리스트를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단말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테스크 리스트를 편집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136), 터치 센서(정압/정전)(137)로 구성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상기 터치센서(137)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센서(137)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적층되어 레이어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구성에 포함시켜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센서(137)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137)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137)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배터리, 연결포트, 전원공급제어부 및 충전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7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일련의 테스크(task: 작업)들을 기록하여 상기 일련의 테스크를 실행할 때 반복적으로 각 테스크 마다 사용자가 조작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일련의 테스크가 수행될 수 있도록 일련의 테스크를 기록한 테스크 리스트를 생성 및 이용한다.
테스크 리스트는 사용자가 직접 만들어 이용할 수도 있고, 제3자가 만들어 놓은 것을 전송받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일련의 테스크 중에서 상황에 따라 다른 작업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테스크 리스트의 일련의 테스크에 따라 수행되는 동작을 멈추고 사용자의 추가 입력을 기다리는 인터럽트 테스크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인터럽트 테스크를 포함하는 테스크 리스트를 생성하거나, 테스크 리스트를 실행하는 방법 및 편집하는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단말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테스크 리스트(task list)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테스크 리스트의 기록을 시작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의 아이콘을 터치, 사용자 입력부(130)를 가압 및 음성명령으로 테스크 리스트의 기록을 시작할 수 있다.
사용자의 테스크 리스트 기록 시에 테스크 리스트의 기록 상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200)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200)는 도 3과 같이 테스크 리스트가 기록 중임을 표시하거나 도 5와 같이 테스크 리스트의 기록 중에 사용자의 입력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테스크 리스트의 기록을 시작하면 그 이후부터 단말기에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른 일련의 테스크가 기록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진촬영 및 이를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테스크 리스트로 생성한다.
먼저 사용자가 도 3에서와 같이 카메라 기능을 실행하여 사진을 촬영하고, 도 4의 (a)에서와 같이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진을 전송할 상대방을 선택하는 테스크는 상황에 따라서 다른 사용자에게 사진을 전송할 수 있으므로, 인터럽트 테스크로 기록한다. 인터럽트 테스크는 일련의 테스크 수행을 일시중단하고 사용자의 추가 입력을 기다렸다가 사용자의 추가 입력이 있으면 다시 테스크 리스트의 후속 테스크가 이어서 수행된다.
테스크 리스트의 내용중 상황에 따라 상이한 입력이 필요한 경우 인터럽트 테스크로 지정하면 보다 다양한 용도로 테스크 리스트를 생성 및 활용할 수 있다.
인터럽트 테스크를 위해 음성명령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디케이터(200)를 터치하여 테스크 리스트의 기록을 중단한다. 이때 인디케이터(200)는 인터럽트 테스크를 지정하라는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5와 같이 음성 또는 터치 등의 방식으로 상대방을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한다. 테스크 리스트의 일반적인 테스크는 사용자의 명령이 그대로 기록되나, 인터럽트 테스크에서는 사용자의 입력이 어떤 종류였는지만 기록된다. 따라서 이렇게 기록된 테스크 리스트의 실행시에는 인터럽트 테스크를 수행하는 단계에서는 인터럽트 테스크 지정 시 사용자가 입력한 추가입력과 동종의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의 추가입력은 복수의 선택지에서 하나를 선택하거나,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의 추가 입력이 있었으므로 도 5의 (b)과 같이 바로 인터럽트 테스크가 종료되고 테스크 리스트의 기록을 재시작할 수 있다. 또는 인터럽트 테스크가 복수개의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는 경우 인터럽트 테스크는 사용자가 인터럽트 테스크를 종료명령을 입력해야 종료되고 테스크 리스트의 기록을 재시작할 수 있다.
도 6은 선택된 사용자에게 방금 촬영한 사진을 전송하는 테스크를 테스크 리스트로 기록한다. 도 7에서는 사진 전송 후에 메시지를 입력하는 테스크로서, 입력하는 메시지를 상황에 따라 다르게 입력하기 위해서 인터럽트 테스크를 지정할 수 있다.
인터럽트 테스크의 지정을 위해 인디케이터(200)를 터치하여 기록을 일시중지하고, 전송할 메시지를 입력한다. 이때, 키패드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도 있고,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말하는 내용을 문자로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다. 입력한 메시지의 전송 후에 인터럽트 테스크가 종료되고, 테스크 리스트의 기록을 재시작한다.
도 9에서와 같이 테스크 종료 명령을 입력하여 테스크 리스트 기록을 중단한다. 이렇게 생성된 테스크 리스트는 파일 형태로 저장되어 제3자에게 전송도 가능하며 편집도 가능하다.
도 10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단말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테스크 리스트를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9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생성한 테스크 리스트를 실행하거나, 전송받은 테스크 리스트를 실행할 수 있다.
테스크 리스트의 실행은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명령으로 실행할 수도 있고, 메뉴나 아이콘을 터치하여 실행할 수도 있다. 테스크 리스트의 실행 중에도 도 10과 같이 인디케이터(200)가 화면에 표시되어 테스크 리스트가 실행중임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크 리스트를 실행할 때 기본적으로 기록된 속도보다 빨리 수행되어 사용자가 일일히 입력하는 것보다 빨리 수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테스크의 실행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태표시 막대가 화면에 나타나 이를 조절하면, 실제 기록된 것과 동일한 속도로 테스크들이 진행될 수도 있고 그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될 수도 있다.
테스크 리스트의 실행이 시작되면, 도 11 내지 도 12의 일련의 테스크가 자동으로 수행된다. 자동으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촬영되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사용자 목록이 나타나면 인터럽트 테스크가 실행되면서 작업이 일시 중단되고 사용자의 추가 입력을 대기한다. 이때, 인디케이터(200)는 사용자에게 추가입력을 유도하도록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3과 같이 복수개의 리스트 또는 복수개의 아이콘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추가입력이 필요한 경우 목록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 달라는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고, 도 15와 같이 텍스트 입력이 필요한 경우 텍스트 입력을 해달라는 메시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대화 상대방을 선택하면 도 14와 같이 다시 테스크 리스트의 순서대로 테스크들이 수행되어 상대방에게 자동으로 최근에 촬영한 사진이 송부된다.
도 15와 같이 텍스트 입력을 위한 인터럽트 테스크가 실행되면 사용자는 상대방에게 전달할 메시지를 입력한다. 인터럽트 테스크 중에 입력할 명령이 복수 개인 경우에는 특정 제스처 터치 및 음성명령 등을 통해 인터럽트 테스크를 종료할 수 있다.
그리고 테스크 리스트의 모든 작업이 종료되면 테스크 리스트 실행을 자동으로 종료하며, 이때 인디케이터(200)는 테스크 리스트의 작업이 종료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단말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테스크 리스트를 편집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기 저장된 테스크 리스트의 각 테스크를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썸네일 형태(220)로 각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순서도(225)로 나타낼 수도 있고 순서도(225)와 썸네일(220) 모두 제공할 수 있다. 순서도(225) 또는 썸네일(220)에서 인터럽트 테스크는 다른 일반 테스크와 식별되도록 색상이 다르거나 식별표지가 부가될 수 있다.
일련의 테스크중 일부를 사용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삭제할 수 있다. 이때, 일련의 테스크 리스트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 삭제 가능하고, 만약 해당 테스크만 삭제하는 경우 연속된 테스크의 수행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삭제가 불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제공하며 삭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삭제는 삭제 버튼을 눌러서 삭제하거나, 일측으로 드래그 하는 방법 등으로 삭제할 수 있다. 도 18과 같이 순서도와 썸네일 모두 화면에 표시하는 경우, 순서도나 썸네일 중 한 곳에서 삭제하면 다른 한곳에도 반영되어 양쪽 모두 사라진다.
도 18은 인터럽트 테스크에 특정 내용을 추가하는 특징을 기재한 것으로 사용자가 테스크 리스트에 테스크를 추가할 수 있다. 중간에 특정 테스크를 끼워 넣는 경우 상기 테스크 리스트 기록단계와 같이 사용자가 수행하는 작업을 기록하여 상기 테스크 리스트에 끼워넣을 수 있다.
또는 도 18과 같이 특정 테스크에 암호를 설정할 수 있다. 암호를 설정하는 경우 암호가 입력될 때까지 다음 테스크로 넘어가지 않고 테스크 리스트의 실행이 중단되므로 암호 설정된 테스크는 인터럽트 테스크가 된다.
암호를 설정하기 위한 테스크를 선택하고 암호 추가 버튼을 누르면 도 19와 같이 암호 입력창(230)이 제공되어 암호를 설정할 수 있다. 암호는 도면과 같이 문자 숫자를 입력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사용자 음성을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일련의 테스크를 테스크 리스크로 만들어 자동으로 실행하게 하여 자주 사용하는 기능은 빨리 수행 가능하다.
또한, 테스크 리스트 중에서 상황에 따라서 다르게 입력되어야 하는 특정 테스크는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다르게 입력 가능하여 더 다양한 테스크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어 단말기의 사용이 보다 편리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단말기 110: 무선통신부
120: A/V 입출력부 130: 사용자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메모리 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 190: 전원공급부
200: 인디케이터 230: 암호 입력창
220: 썸네일 리스트 225: 순서도 리스트

Claims (20)

  1. 기록을 시작하는 단계;
    복수개의 테스크(task)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면 상기 테스크를 기록하여 테스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록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테스크 리스트는 중간에 테스크 수행을 중단하고 추가적인 입력이 있는 경우 후속 테스크가 진행되는 인터럽트 테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을 시작하는 단계 또는 상기 기록을 종료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음성명령, 특정 아이콘의 선택 및 특정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크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테스크 리스트의 기록을 일시 중단하는 단계; 및
    추가적인 입력이 있으면 상기 테스크 리스트의 기록을 재시작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크 리스트의 기록을 중단하는 단계는,
    상기 각 단계의 진행 상태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선택하면 테스크 리스트 기록을 일시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인터럽트 테스크는
    복수개의 오브젝트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럽트 테스크는 텍스트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의 입력은 사용자의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럽트 테스크는 사용자 인증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적으로 수행된 테스크를 파일로 저장하며,
    상기 파일은 다른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서대로 기록된 테스크는 미리보기 화면 또는 순서도 중 적어도 한가지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크 리스트는 사용자가 테스크의 순서 변경, 삭제, 추가 및 암호설정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계의 진행 상태를 가이드하는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방법.
  13. 복수개의 테스크가 순서대로 배열되며 테스크 수행을 중단하고 추가적인 입력이 있는 경우 후속 테스크가 진행되는 인터럽트 테스크를 포함하는 테스크 리스트를 생성 또는 전송받는 단계;
    상기 테스크 리스트의 실행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인터럽트 테스크 이전까지 상기 테스크를 순서대로 실행하는 단계;
    상기 테스크의 진행을 중단하는 단계;
    상기 인터럽트 테스크에 대응하는 추가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인터럽트 테스크 이후의 테스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크 리스트의 실행을 시작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음성명령, 특정 아이콘의 선택 및 특정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크 리스트의 실행을 시작하는 단계는 사용자 인증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단계는 암호 입력 또는 사용자 목소리 인식 방식으로 사용자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임의로 상기 테스크 리스트의 실행을 일시 중단하는 단계;
    사용자가 임의로 추가 입력하는 단계;
    상기 테스크 리스트를 재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를 재시작하는 단계는
    상기 테스크 리스트 중 상기 추가 입력과 중복되는 테스크는 생략하고 그 다음 테스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크 리스트의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테스크 리스트의 실행은 속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크 리스트의 복수개의 테스크를 순서대로 나열한 미리보기 화면 또는 순서도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제어방법.
KR1020130011665A 2013-02-01 2013-02-01 단말기 제어방법 KR102060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665A KR102060064B1 (ko) 2013-02-01 2013-02-01 단말기 제어방법
US13/974,514 US9448838B2 (en) 2013-02-01 2013-08-23 Method for recording user input tasks for controlling a terminal
EP13004203.9A EP2763031A1 (en) 2013-02-01 2013-08-26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1665A KR102060064B1 (ko) 2013-02-01 2013-02-01 단말기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007A true KR20140099007A (ko) 2014-08-11
KR102060064B1 KR102060064B1 (ko) 2019-12-27

Family

ID=49110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1665A KR102060064B1 (ko) 2013-02-01 2013-02-01 단말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48838B2 (ko)
EP (1) EP2763031A1 (ko)
KR (1) KR1020600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14876A (zh) * 2015-03-25 2015-06-17 魅族科技(中国)有限公司 一种终端控制方法及终端
KR102527107B1 (ko) * 2018-08-08 2023-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에 기반하여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사용자 전자 장치
AU2019340053A1 (en) * 2018-09-13 2021-04-08 Talk 5 Pty Ltd Method and system for completing and managing workflow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78728A1 (en) * 2004-06-15 2005-12-15 Microsoft Corporation Recording/playback tools for UI-based applications
KR20110124625A (ko) * 2010-05-11 2011-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070048A (ko) * 2010-12-21 2012-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태스크 관리 방법
KR20120134454A (ko) * 2011-06-02 2012-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55799B2 (en) 2008-02-29 2012-08-28 Autodesk, Inc. Dynamic action record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78728A1 (en) * 2004-06-15 2005-12-15 Microsoft Corporation Recording/playback tools for UI-based applications
KR20110124625A (ko) * 2010-05-11 2011-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070048A (ko) * 2010-12-21 2012-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태스크 관리 방법
KR20120134454A (ko) * 2011-06-02 2012-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0064B1 (ko) 2019-12-27
EP2763031A1 (en) 2014-08-06
US20140223438A1 (en) 2014-08-07
US9448838B2 (en) 201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003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8001613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4765552A (zh) 权限管理方法和装置
EP2693318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5094577A (zh) 应用切换的方法和装置
KR2017001308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983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3378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10109608B (zh) 文本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05242942A (zh) 应用控制方法和装置
KR2016005778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16165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4267881A (zh) 工具栏的操作方法及装置
KR20170001329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187671A (zh) 录音方法及装置
KR102060064B1 (ko) 단말기 제어방법
KR20180017638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67452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11586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0258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5323383A (zh) 手机铃声音量的调整方法和装置
CN105376399A (zh) 用于控制智能设备的方法及装置
KR2017001357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5956489B (zh) 远程控制方法及装置
KR101651011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