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8276A - 템플릿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저작방법 - Google Patents

템플릿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저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8276A
KR20140098276A KR1020130010201A KR20130010201A KR20140098276A KR 20140098276 A KR20140098276 A KR 20140098276A KR 1020130010201 A KR1020130010201 A KR 1020130010201A KR 20130010201 A KR20130010201 A KR 20130010201A KR 20140098276 A KR20140098276 A KR 20140098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late
editing
block
application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돈
김민석
박성준
장윤섭
김재철
Original Assignee
(주)토마토시스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마토시스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주)토마토시스템
Priority to KR1020130010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8276A/ko
Publication of KR20140098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82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20Software desig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과제] 화면, 처리속도에도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저작을 지원하고, 적절한 변경후보를 추천하고, 저장자원을 원격통신 활용하는 저작방법을 제공한다.
웹상의 서버에 접속되는 단말에서 템플릿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저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을 저작할 때 이용될 수 있는 복수의 템플릿과, 상기 각 템플릿의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UI블럭과, 상기 각 템플릿의 동작을 구성하는 복수의 WF블럭이, 미리 저작되어 상기 서버에 저장되는 사전준비단계와, 상기 단말에서 상기 템플릿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편집대상이 되고, 상기 편집대상 템플릿에 대하여 UI 및 WF 중 적어도 하나가 편집되는 것으로 결정되는 편집결정단계와, 상기 UI의 편집시에는, 상기 편집대상 템플릿을 구성하는 복수의 UI블럭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교체대상이 되고, 상기 교체대상 UI블럭에 대하여 상기 서버에 의하여 선정된 복수의 추천UI블럭의 목록이 상기 단말에 전달되며, 그 중에서 선정된 하나의 추천UI블럭이 상기 교체대상 UI블럭 대신에 상기 템플릿의 UI를 구성하도록 교체되는 UI 편집단계와, 상기 WF의 편집시에는, 상기 편집대상 템플릿을 구성하는 복수의 WF블럭 사이의 데이터 흐름의 방향과 순서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는 WF 편집단계와, 상기 UI 및 WF 중 적어도 하나가 편집된 상태의 상기 템플릿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이 생성되는 애플리케이션 생성단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템플릿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저작방법{Authoring method of application using templete}
본 발명은, 템플릿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저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애플리케이션용 템플릿을 UI(유저 인터페이스)블럭과 WF(워크 플로우)블럭으로 미리 저장해둔 후에, 차후 애플리케이션을 저작할 때에는 적절한 템플릿을 읽어와서, 그 구성요소인 UI블럭이나 WF블럭을 일부 조정함으로써 용이하게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저작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의 저작시에, 라이브러리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 모듈을 재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어떤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큰 맥락을 미리 만들어놓은 템플릿을 활용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방식들은 모두 컴퓨터라는 강력한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구비되어 있는 것이어서, 예컨대, 스마트폰과 같은 간단한 처리능력 및 작은 화면에서 사용하기에는 불편하고 부적절한 것이었다.
예컨대, 종래에는 특허문헌과 같은 식으로, 컴퓨터 등의 큰 화면 및 강력한 처리능력을 가지는 기기를 이용하여, 스마트폰 등의 작은 기기용의 애플리케이션을 저작하도록 하고 있었다.
특허공개 제10-2010-0025839호 공보
그런데, 초고속 데이터망의 활용과 같은 생활의 모바일화와 더불어,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IT기기의 고도의 지능화에 힘입어, 근년에는 예컨대 스마트폰에서 간단한 UI를 가지는 단순한 기능을 가지는 애플리케이션 정도는, 용이하게 저작할 수 있기를 희망하는 욕구가 발생하고 있다. 이때에 필요하게 되는 것이, 저작도구이다.
종래의 저작도구는, 컴퓨터의 대용량 저장장치에 대부분의 라이브러리나 템플릿 등을 저장해두고, 큰 화면을 통해서 빠른 처리속도로 저작을 하는 경우에 최적화되어 있어서, 스마트폰과 같은 작은 화면 및 상대적으로 느린 처리속도를 가진 기기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작은 화면과 낮은 처리속도에도 문제없이 애플리케이션의 저작을 다양하게 지원하고, 뿐만 아니라, UI의 변경시에는, 시스템에서 많은 후보 중에서 가장 유사한 것 또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을 추천함으로써 의사결정을 원활화하고, 또한 통신환경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저장자원의 원격활용 및 응용에 진일보한 저작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저작방법은, 웹상의 서버에 접속되는 단말에서 템플릿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저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을 저작할 때 이용될 수 있는 복수의 템플릿과, 상기 각 템플릿의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UI(유저 인터페이스)블럭과, 상기 각 템플릿의 동작을 구성하는 복수의 WF(워크 플로우)블럭이, 미리 저작되어 상기 서버에 저장되는 사전준비단계와, 상기 단말에서 상기 템플릿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편집대상이 되고, 상기 편집대상 템플릿에 대하여 UI 및 WF 중 적어도 하나가 편집되는 것으로 결정되는 편집결정단계와, 상기 UI의 편집시에는, 상기 편집대상 템플릿을 구성하는 복수의 UI블럭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교체대상이 되고, 상기 교체대상 UI블럭에 대하여 상기 서버에 의하여 선정된 복수의 추천UI블럭의 목록이 상기 단말에 전달되며, 그 중에서 선정된 하나의 추천UI블럭이 상기 교체대상 UI블럭 대신에 상기 템플릿의 UI를 구성하도록 교체되는 UI 편집단계와, 상기 WF의 편집시에는, 상기 편집대상 템플릿을 구성하는 복수의 WF블럭 사이의 데이터 흐름의 방향과 순서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는 WF 편집단계와, 상기 UI 및 WF 중 적어도 하나가 편집된 상태의 상기 템플릿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이 생성되는 애플리케이션 생성단계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추천UI블럭은, 상기 교체대상 UI블럭에 대한 유사도에 근거하여 순위가 설정되거나, 사용빈도에 근거하여 순위가 설정되어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사용빈도는, 웹상의 사용빈도를 감시하여 통계를 내는 외부통계시스템의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WF의 편집은, 도형으로 표현된 복수의 WF블럭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나타내도록 이어주는 복수의 라인을 재배치함으로써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웹상의 서버에 접속되는 단말에서 템플릿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저작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을 저작할 때 이용될 수 있는 복수의 템플릿과, 상기 각 템플릿의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UI(유저 인터페이스)블럭과, 상기 각 템플릿의 동작을 구성하는 복수의 WF(워크 플로우)블럭이, 미리 저작되어 상기 서버에 저장되는 단계와, 상기 단말에서 상기 템플릿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편집대상이 되고, 상기 편집대상 템플릿에 대하여 UI 및 WF 중 적어도 하나가 편집되는 것으로 결정되는 단계와, 상기 UI의 편집시에는, 상기 편집대상 템플릿을 구성하는 복수의 UI블럭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교체대상이 되고, 상기 교체대상 UI블럭에 대하여 상기 서버에 의하여 선정된 복수의 추천UI블럭의 목록이 상기 단말에 전달되며, 그 중에서 선정된 하나의 추천UI블럭이 상기 교체대상 UI블럭 대신에 상기 템플릿의 UI를 구성하도록 교체되는 단계와, 상기 WF의 편집시에는, 상기 편집대상 템플릿을 구성하는 복수의 WF블럭 사이의 데이터 흐름의 방향과 순서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는 단계와, 상기 UI 및 WF 중 적어도 하나가 편집된 상태의 상기 템플릿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이 생성되는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은 화면과 낮은 처리속도에도 문제없이 애플리케이션의 저작을 지원한다. 게다가, UI의 다양한 변경도 지원하고, 또한 통신환경을 적극 활용한다. 뿐만 아니라, UI의 변경시에는, 시스템에서 많은 후보 중에서 가장 유사한 것 또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을 추천함으로써 의사결정의 어려움을 덜어주고, 저장자원의 원격활용 및 응용에 진일보한 저작방법을 향유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하드웨어 구성의 예시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나타난 전체 플로우챠트의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지도(map) 인터페이스가 포함된 애플리케이션용의 템플릿을 이용하여, 그 UI를 변경시켜서 새로운 UI의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편집과정을 예시하는 화면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동일구조를 가지고 동일기능을 나타내는 것에 대해서는, 도면이 달라지더라도 동일부호를 유지함으로써, 그 중복되는 상세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하드웨어 구성의 예시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나타난 전체 플로우챠트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저작방법은, 웹상의 서버(10)에 접속되는 단말(20)에서 템플릿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저작하는 방법이다. 즉, 기존에 저작된 템플릿을 기반으로 하여, UI화면 조작만으로 모바일 웹앱을 구성할 수 있는 저작방법이며, 이 방법이 구현된 것이 저작도구가 된다.
상기 서버(10)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1)와, 추천부(15)와, 웹앱 생성부(16)로 이루어져도 좋다. 상기 저장부(11)는, 반도체메모리로서의 SSD, 자기메모리로서의 HDD, 광학메모리로서의 ODD 등과 같은 대용량 저장장치로 이루어지고, 논리적으로는 저장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다시, 템플릿 데이터베이스(12), UI(유저 인터페이스) 데이터베이스(13), WF(워크 플로우) 데이터베이스(14)로 구분되어 이루어져도 좋다.
상기 단말(20)은, 키보드,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부(21)와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의 출력부(22)로 이루어져도 좋다.
다만 서버(10)나 단말(20)은, 기본적으로 정보처리 및 웹 통신기기로서의 기능을 가지므로, 미도시한 CPU와 같은 중앙처리장치, 반도체메모리로서의 램, 롬, EP롬, 플래시메모리 등을 가지고 있어서, 예컨대 롬이나 EP롬, 플래시램 등에 탑재되어 있는 상기 추천부(15)나 웹앱 생성부(16)의 기능을 구현할 프로그램을 램이나 플래시메모리 등에 읽어내어 CPU가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통신모듈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는, 사전준비단계( S10 )와, 편집결정단계( S20 ~ S30 )와, UI 편집단계( S40 ~ S70 )와, WF 편집단계( S80 )와, 애플리케이션 생성단계( S90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전준비단계( S10 )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작할 때 이용될 수 있는 복수의 템플릿과, 상기 각 템플릿의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UI(유저 인터페이스)블럭과, 상기 각 템플릿의 동작을 구성하는 복수의 WF(워크 플로우)블럭이, 미리 저작되어 상기 서버(10)에 저장되는 단계이다. 여기서, 템플릿, UI블럭, WF블럭은 각각 템플릿 데이터베이스(12), UI 데이터베이스(13), WF 데이터베이스(14)에 나뉘어 저장되어도 좋다. 상기 UI블럭이란, 데이터의 흐름이 동일하더라도 그 화면이나 소리 등의 인터페이스 구성에 있어서 유저에게 어필하는 효과가 상이하게 되는 블럭들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WF블럭이란, 화면상의 표현여부를 불문하고, 블럭의 내부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고 이를 다음 블럭으로 전달하는 것이 위주가 되는 블럭을 말한다.
상기 편집결정단계( S20 , S30 )는, 상기 단말(20)에서 상기 템플릿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편집대상이 되고, 상기 편집대상 템플릿에 대하여 UI 및 WF 중 적어도 하나가 편집되는 것으로 결정되는 단계이다. 즉,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 저작방법이 구현된 저작도구는, 템플릿을 선택하면 UI저작화면과 WF저작화면을 선택적으로 진입할 수 있다. 예컨대, 다수의 템플릿이 나열되어 있을 때, 그 중의 하나가 선택되면 그 템플릿이 편집의 대상이 되고, 그 화면에는 UI편집을 할 것인지 WF편집을 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버튼이 생성되고, 이 중의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이 단계의 결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컨대, WF저작화면은 UI저작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는 창구역할을 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상기 UI 편집단계( S40 ~ S70 )는, 상기 UI의 편집시에는, 상기 편집대상 템플릿을 구성하는 복수의 UI블럭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교체대상이 되고, 상기 교체대상 UI블럭에 대하여 상기 서버(10)에 의하여 선정된 복수의 추천UI블럭의 목록이 상기 단말(20)에 전달되며, 그 중에서 선정된 하나의 추천UI블럭이 상기 교체대상 UI블럭 대신에 상기 템플릿의 UI를 구성하도록 교체되는 단계이다. 이로써, 데이터의 처리내용이나 흐름은 변하지 않고, 오직 그 내용을 유저에게 나타내고 유저로부터 입력을 받는 인터페이스만이 달라진다.
여기서, 상기 추천UI블럭은, 상기 교체대상 UI블럭에 대한 유사도에 근거하여 순위가 설정되거나, 사용빈도에 근거하여 순위가 설정되어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추천은 서버(10)의 추천부(15)에 의하여 수행된다. 상기 추천부(15)는, 롬이나 EP롬 또는 플래시램 등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구현되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사용빈도는, 웹상의 사용빈도를 감시하여 통계를 내는 외부통계시스템, 예컨대 구글 트랜드의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WF 편집단계( S80 )는, 상기 WF의 편집시에는, 상기 편집대상 템플릿을 구성하는 복수의 WF블럭 사이의 데이터 흐름의 방향과 순서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는 단계이다. 이로써, 유저에 대한 인터페이스는 전혀 바뀌지 않지만, 내부적인 처리나 순서, 데이터 흐름 등이 달라진다.
한편, 상기 WF의 편집은, 도형으로 표현된 복수의 WF블럭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나타내도록 이어주는 복수의 라인을 재배치함으로써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서는 예시와 함께 후에 상술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생성단계( S90 )는, 상기 UI 및 WF 중 적어도 하나가 편집된 상태의 상기 템플릿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이 생성되는 단계이다. 이로써, 서버에 미리 저장해 둔 다수의 UI블럭 중에서 선정하여 추천되는 것을 유저가 쉽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양질의 애플리케이션을 다양한 UI로 생성시킬 수 있고, 반대로, UI가 변하지 않았더라도 데이터 흐름이나 처리가 다른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할 수 있다.
물론 생성은 서버(10)의 웹앱 생성부(16)에 의하여 수행된다. 상기 웹앱 생성부(16)는, 롬이나 EP롬 또는 플래시램 등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구현되어도 좋다.
<화면예>
이하, 본 발명이 적용된 실시예에 대하여, 화면 예시도를 따라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지도(map) 인터페이스가 포함된 애플리케이션용의 템플릿을 이용하여, 그 UI를 변경시켜서 새로운 UI의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편집과정을 예시하는 화면 예시도이다.
단말(20)에서 본 발명의 방법이 구현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예컨대 곧바로 도 3과 같이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템플릿 목록이 나오도록 하여도 좋다. 도 3에 보이는 템플릿은, 간단한 사칙연산 계산기, Daum API를 사용한 영화검색, 충청남도 여행안내 서비스, 디바이스 연계 매쉬업 예제가 있다.
이 상태에서 예컨대 충청남도 여행안내 서비스를 선택하였다고 하면, 도 4와 같이, UI(유저 인터페이스)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해주는 'UI저작'버튼과 WF(워크 플로우)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해주는 'WF저작'버튼이 생성 표시되면서 활성화된다. 만일 UI저작버튼이 선택되면, 도 5와 같이 사용자에게 보여질 화면에 대한 편집이 가능한 UI저작도구로 이동하고, WF저작버튼이 선택되면, 도 6과 같이 애플리케이션의 내부에서 흘러갈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편집가능한 도형으로 이루어진 WF저작도구로 이동한다.
도 5의 UI저작도구에 있어서, 상단의 메뉴는 예시인데, 그 중에서 가장 좌측의 2개인 'UI'와 '플로우'는, 각각 UI블럭의 저작(편집)과 WF블럭의 저작(편집)화면으로 직접 변경시키는 메뉴이다. 3번째인 '결과보기'는 현재까지 저작된 웹앱에 대한 미리보기 실행을 위한 것이고, 4번째인 '저장'은 웹앱을 생성시키도록 하는 메뉴이다. 가장 우측의 좌측이동, 또는 우측이동버튼을 클릭하면, 현재 화면에 나타나 있는 지도 인터페이스 이외의 다른 인터페이스, 예컨대 관광지의 사진이나 검색에 사용될 입력창 등의 인터페이스가 나온다. 여기서는 예시로서, 현재의 지도 인터페이스를 다른 지도 인터페이스로 변경시키는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
현재의 지도 인터페이스 화면 위를 터치하여 선택하면, 도 7과 같이 추천메뉴가 나온다. 여기서 'UI블록 추천', '블록 설정', '프로세스블록 추천'의 3가지 버튼이 표시되어 있는데, 이 중에서 UI블록 추천버튼을 선택하였다고 하면, 다시 도 8과 같이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UI블럭 중에서 현재의 UI블럭인 다음의 것을 대체할 수 있는 것들, 예컨대 지도 인터페이스로서 네이버의 것과 구글의 것이 리스팅될 수 있다. 이 목록은, 현재의 다음 지도 인터페이스의 식별번호를 단말(20)에서 서버(10)에 보내고, 서버(10)에서는 이 정보를 가지고 UI 데이터베이스(13)를 검색하여 그 중에서 대체 가능한 것, 즉 '지도 인터페이스'에 해당되는 것들을 추출한 것이다. 따라서 단말(20)에 모든 라이브러리나 템플릿, UI블럭을 구비하고 있지 않더라도, 대체 가능한 종류의 UI블럭의 후보를 쉽게 알 수 있다.
여기서 유의할 것은,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단순히 '리스팅'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고, 그 대체 가능한 후보들 중에서도 특히 적절한 후보들을 구분하여 우선순위를 매겨서 제공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예에서는 네이버의 것과 구글의 것만 나타나 있는데, 예컨대 우선순위가 높을수록 윗쪽에 나열된다든가 하는 원칙에 의하여 후보가 제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경우, 유저는 우선순위가 높은 후보를 택함으로써, 전문적 지식을 요하지 않고도 고품질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빠른 시간에 저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 화면에서 네이버의 지도 인터페이스를 선택한 경우에는, 원래의 지도 인터페이스인 다음의 UI블럭(도 5~도 9)이 네이버의 지도 인터페이스(도 10)로 변경되어 교체된다.
한편, 도 4의 버튼 표시상태에서 'WF저작'버튼이 선택되어 도 6의 편집화면이 된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처리와 흐름을 결정하는 '워크 플로우'의 방향이나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의 각 사각형은 처리모듈을 의미하고, 각 선은 이들 사이의 입출력관계를 나타낸다고 정해져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 예컨대 1, 2, 3, 4의 순서로 데이터의 흐름이 정해져 있었다고 할 때에, 선을 달리 연결함으로써 1, 3, 2, 4의 순서로 데이터의 흐름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웹상의 서버(10)에 접속되는 단말(20)에서 템플릿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저작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HDD, USB메모리, CD롬, DVD롬 등 그 방식이나 형태를 막론하고, 본 발명의 각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 실시예와 함께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그 균등범위에 속하는 기술적 사상과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템플릿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저작과 관련된 산업에 이용될 수 있다.
10: 서버, 11: 저장부, 12: 템플릿 데이터베이스, 13: UI 데이터베이스, 14: WF 데이터베이스, 15: 추천부, 16: 웹앱 생성부, 20: 단말, 21: 입력부, 22: 출력부

Claims (5)

  1. 웹상의 서버에 접속되는 단말에서 템플릿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저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을 저작할 때 이용될 수 있는 복수의 템플릿과, 상기 각 템플릿의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UI(유저 인터페이스)블럭과, 상기 각 템플릿의 동작을 구성하는 복수의 WF(워크 플로우)블럭이, 미리 저작되어 상기 서버에 저장되는 사전준비단계와,
    상기 단말에서 상기 템플릿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편집대상이 되고, 상기 편집대상 템플릿에 대하여 UI 및 WF 중 적어도 하나가 편집되는 것으로 결정되는 편집결정단계와,
    상기 UI의 편집시에는, 상기 편집대상 템플릿을 구성하는 복수의 UI블럭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교체대상이 되고, 상기 교체대상 UI블럭에 대하여 상기 서버에 의하여 선정된 복수의 추천UI블럭의 목록이 상기 단말에 전달되며, 그 중에서 선정된 하나의 추천UI블럭이 상기 교체대상 UI블럭 대신에 상기 템플릿의 UI를 구성하도록 교체되는 UI 편집단계와,
    상기 WF의 편집시에는, 상기 편집대상 템플릿을 구성하는 복수의 WF블럭 사이의 데이터 흐름의 방향과 순서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는 WF 편집단계와,
    상기 UI 및 WF 중 적어도 하나가 편집된 상태의 상기 템플릿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이 생성되는 애플리케이션 생성단계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저작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천UI블럭은, 상기 교체대상 UI블럭에 대한 유사도에 근거하여 순위가 설정되거나, 사용빈도에 근거하여 순위가 설정되어 표시됨
    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저작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용빈도는, 웹상의 사용빈도를 감시하여 통계를 내는 외부통계시스템의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됨
    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저작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WF의 편집은, 도형으로 표현된 복수의 WF블럭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나타내도록 이어주는 복수의 라인을 재배치함으로써 수행됨
    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저작방법.
  5. 웹상의 서버에 접속되는 단말에서 템플릿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저작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을 저작할 때 이용될 수 있는 복수의 템플릿과, 상기 각 템플릿의 화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UI(유저 인터페이스)블럭과, 상기 각 템플릿의 동작을 구성하는 복수의 WF(워크 플로우)블럭이, 미리 저작되어 상기 서버에 저장되는 단계와,
    상기 단말에서 상기 템플릿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편집대상이 되고, 상기 편집대상 템플릿에 대하여 UI 및 WF 중 적어도 하나가 편집되는 것으로 결정되는 단계와,
    상기 UI의 편집시에는, 상기 편집대상 템플릿을 구성하는 복수의 UI블럭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교체대상이 되고, 상기 교체대상 UI블럭에 대하여 상기 서버에 의하여 선정된 복수의 추천UI블럭의 목록이 상기 단말에 전달되며, 그 중에서 선정된 하나의 추천UI블럭이 상기 교체대상 UI블럭 대신에 상기 템플릿의 UI를 구성하도록 교체되는 단계와,
    상기 WF의 편집시에는, 상기 편집대상 템플릿을 구성하는 복수의 WF블럭 사이의 데이터 흐름의 방향과 순서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는 단계와,
    상기 UI 및 WF 중 적어도 하나가 편집된 상태의 상기 템플릿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이 생성되는 단계
    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KR1020130010201A 2013-01-30 2013-01-30 템플릿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저작방법 KR201400982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201A KR20140098276A (ko) 2013-01-30 2013-01-30 템플릿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저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201A KR20140098276A (ko) 2013-01-30 2013-01-30 템플릿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저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276A true KR20140098276A (ko) 2014-08-08

Family

ID=51745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201A KR20140098276A (ko) 2013-01-30 2013-01-30 템플릿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저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827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3493A1 (ko) * 2014-09-15 2016-03-24 주식회사 제이투엔 애플리케이션을 생성 및 제공하기 위한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60056340A (ko) * 2014-11-10 2016-05-20 엘에스웨어(주)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56341A (ko) * 2014-11-10 2016-05-20 엘에스웨어(주) 호환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추천 시스템 및 방법
WO2018088589A1 (ko) * 2016-11-11 2018-05-17 엘에스웨어(주) 호환가능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수집 및 추천 방법 및 시스템.
KR102618378B1 (ko) * 2022-11-15 2023-12-27 신은철 인공지능 모델 기반 추천 부가서비스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3493A1 (ko) * 2014-09-15 2016-03-24 주식회사 제이투엔 애플리케이션을 생성 및 제공하기 위한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60056340A (ko) * 2014-11-10 2016-05-20 엘에스웨어(주)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56341A (ko) * 2014-11-10 2016-05-20 엘에스웨어(주) 호환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추천 시스템 및 방법
WO2018088589A1 (ko) * 2016-11-11 2018-05-17 엘에스웨어(주) 호환가능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수집 및 추천 방법 및 시스템.
KR102618378B1 (ko) * 2022-11-15 2023-12-27 신은철 인공지능 모델 기반 추천 부가서비스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16536C2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терми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ображения сообщений
KR10112639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표시 방법
US1176897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657379B1 (ko) 원격 환경에 대해 데이터 엔트리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50143211A1 (en) Link insertion and link preview features
US10302961B2 (en) Passive damping solution to optical image stabilization for voice coil motors
US20180225263A1 (en) Inline insertion viewport
JP2008211379A (ja) 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携帯端末装置
US2015008866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sponsive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KR20140098276A (ko) 템플릿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저작방법
JP5870274B2 (ja) 画像表示制御装置、画像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359533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5453024B (zh) 用于显示的方法及其电子装置
US20140164912A1 (en) Generating system, method of interactive page templates and storage medium thereof
KR20160017078A (ko) 프리젠테이션 슬라이드를 구조화하기 위한 자동화된 시스템
CN107203425B (zh) 轻应用的切换方法、设备及电子设备
CN105446726A (zh) 生成网页的方法和装置
JP2014120176A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ui提供方法
CN105760540A (zh) 用于对网页页面进行处理的方法、设备和电子设备
KR20150055600A (ko) 전자책 문서 처리방법, 단말기, 전자기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05453014A (zh) 可调节的视频播放器
WO2017008646A1 (zh) 一种在触控终端上选择多个目标的方法和设备
US10652105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63896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481102B2 (en) Navigating long distances on navigable surfa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