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7835A - 다중 스크린상에서의 증강현실 기반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스크린상에서의 증강현실 기반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7835A
KR20140097835A KR1020130010450A KR20130010450A KR20140097835A KR 20140097835 A KR20140097835 A KR 20140097835A KR 1020130010450 A KR1020130010450 A KR 1020130010450A KR 20130010450 A KR20130010450 A KR 20130010450A KR 20140097835 A KR20140097835 A KR 20140097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gmented reality
platform
code
server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국
김성철
정윤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30010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7835A/ko
Publication of KR20140097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78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7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l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결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다중 스크린상에 구현된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결제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중 스크린상에서의 증강현실 기반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시스템은 제1 플랫폼에 제공될 콘텐츠에 하나 이상의 증강현실코드를 삽입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플랫폼에 제공하는 다중 스크린 서버, 및 상기 증강현실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증강현실코드를 촬영한 제2 플랫폼으로 상기 증강현실코드에 상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증강현실 아이콘을 전송하고, 상기 증강현실 아이콘에 상응하는 상품정보를 상기 제2 플랫폼으로 전송하며, 상기 제2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상품정보에 상응하여 수신한 결제요청을 처리하는 증강현실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플랫폼은 상기 증강현실코드가 삽입되어 상기 제1 플랫폼을 통해 출력되는 상기 콘텐츠를 촬영하고, 상기 증강현실코드를 식별하여 상기 증강현실 서버에 상기 하나 이상의 증강현실코드를 요청하며, 상기 증강현실코드에 상응하는 상기 증강현실 아이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 스크린상에서의 증강현실 기반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Payment system on multiple screens based on augmented realit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결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다중 스크린상에 구현된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결제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다중 스크린을 통한 미디어 서비스가 상용화되었다. 다중 스크린을 통한 미디어 서비스는, 플랫폼에 상관 없이 한 번 구매한 콘텐츠를 여러 플랫폼, 예를 들어, IPTV나 모바일 장치를 통해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플랫폼 별로 서비스에 가입하고, 콘텐츠를 구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사라졌다. 예를 들어, IPTV에서 콘텐츠를 구입한 사용자는, 동일한 콘텐츠를 모바일 장치에서도 재구매 없이 이용할 수 있다.
다중 스크린 환경에 기존 단일 스크린 환경에서 제공하던 서비스를 접목하려는 시도는 있지만, 아직까지 다양한 서비스의 형태로 발전하고 있지는 않다. 특히, 플랫폼이 달라지는 상황을 고려한 서비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KR2012-0082672 10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다중 스크린 환경하에서 전자결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플랫폼 변경시에도, 변경된 플랫폼에 적합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상품구매 및 결제를 편리하게 지원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중 스크린상에서의 증강현실 기반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시스템은, 제1 플랫폼에 제공될 콘텐츠에 하나 이상의 증강현실코드를 삽입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플랫폼에 제공하는 다중 스크린 서버, 및 상기 증강현실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증강현실코드를 촬영한 제2 플랫폼으로 상기 증강현실코드에 상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증강현실 아이콘을 전송하고, 상기 증강현실 아이콘에 상응하는 상품정보를 상기 제2 플랫폼으로 전송하며, 상기 제2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상품정보에 상응하여 수신한 결제요청을 처리하는 증강현실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플랫폼은 상기 증강현실코드가 삽입되어 상기 제1 플랫폼을 통해 출력되는 상기 콘텐츠를 촬영하고, 상기 증강현실코드를 식별하여 상기 증강현실 서버에 상기 하나 이상의 증강현실코드를 요청하며, 상기 증강현실코드에 상응하는 상기 증강현실 아이콘을 포함하는 증강현실 스크린을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다중 스크린 서버는 상기 제1 플랫폼으로 제공되는 콘텐츠를 상기 제2 플랫폼으로도 제공하며, 상기 제2 플랫폼은 상기 증강현실 아이콘을 상기 콘텐츠에 중첩하여 상기 증강현실 스크린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플랫폼은 상기 제2 플랫폼이 촬영한 상기 콘텐츠의 영상과 그 영상에 출력된 상기 증강현실 아이콘을 중첩하여 상기 증강현실 스크린을 생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다중 스크린 서버는 편성 스케줄을 생성하며, 상기 증강현실 서버는 상품 판매자 단말로부터 요청 받은 상품정보와 상기 편성 스케줄을 이용하여 시간적으로 구분되는 상기 증강현실코드를 생성하는 상품코드관리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강현실 서버는 상기 증강현실코드가 상기 콘텐츠 상에서 출력될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증강현실 서버는 상기 증강현실 아이콘이 상기 증강현실 스크린상에서 출력될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중 스크린상에서의 증강현실 기반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상품 판매자 단말로부터 요청 받은 상품정보와 편성 스케줄을 이용하여 시간적으로 구분되는 증강현실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증강현실코드를 삽입한 콘텐츠를 제1 플랫폼으로 전송하고, 상기 증강현실코드를 촬영한 제2 플랫폼으로 상기 증강현실코드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증강현실 아이콘을 전송하고, 상기 증강현실 아이콘에 상응하는 상품정보를 상기 제2 플랫폼으로 전송하며, 상기 제2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상품정보에 상응하여 수신한 결제요청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플랫폼은 상기 증강현실코드가 삽입되어 상기 제1 플랫폼을 통해 출력되는 상기 콘텐츠를 촬영하고, 상기 증강현실코드를 식별하여 상기 증강현실 서버에 상기 하나 이상의 증강현실코드를 요청하며, 상기 증강현실코드에 상응하는 증강현실 아이콘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품 판매자 단말로부터 요청 받은 상품정보와 편성 스케줄을 이용하여 시간적으로 구분되는 증강현실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증강현실코드가 상기 콘텐츠 상에서 출력될 위치를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증강현실 아이콘이 상기 증강현실 스크린상에서 출력될 위치를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중 스크린 환경하에서 사용자의 상품구매 및 결제가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영상이 표시되는 플랫폼이 변경되었을 때에 상품구매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다중 스크린 서비스 이용의 편리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스크린상에서의 증강현실 기반 결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코드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의한 상품정보 및 증강현실코드 관리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코드를 이용한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한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복수의 제1 플랫폼(100)은 다중 스크린 서버(110)로부터 전송된 콘텐츠를 시각적으로 출력한다. 제1 플랫폼(100)은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 텔레비전, 야외 광고패널 등일 수 있다. 제1 플랫폼(100)을 통해 출력되는 콘텐츠에는 증강현실코드가 삽입되어 있다.
다중 스크린(N 스크린) 서버(110)는 복수의 제1 플랫폼(100)으로 콘텐츠를 전송한다. 다중 스크린 서버(110)는 증강현실 서버(120)에 의해 생성된 증강현실코드를 콘텐츠에 삽입한다. 증강현실코드가 삽입된 콘텐츠는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어 제1 플랫폼(100)에서 재생되어 출력된다. 다중 스크린 서버(110)는 사용자가 제1 플랫폼(100)에서 시청하던 콘텐츠를 제2 플랫폼(150)에서 이어서 시청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다중 스크린 서버(110)는 제1 플랫폼(100)에서 출력중인 콘텐츠의 정지 영상을 제2 플랫폼(15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서버(120)는 제2 플랫폼(150)이 증강현실 스크린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증강현실 서버(120)는 제2 플랫폼(150)으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증강현실 아이콘 및 상응하는 상품정보를 제2 플랫폼(150)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 증강현실 서버(120)는 상품 판매자 단말로부터 요청 받은 상품정보를 편성 스케줄에 할당하여 시간적으로 구분되는 증강현실코드를 생성한다. 증강현실코드는 증강현실 서버(120)가 관리하는 증강현실 아이콘을 획득할 수 있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2차원 바코드 등과 같은 형태로 생성된다. 한편, 증강현실 서버(120)는 증강현실 아이콘과 상품정보를 매핑한다.
한편 증강현실 서버(120)는 제2 플랫폼(150)으로부터의 결제요청을 처리한다. 제2 플랫폼(150)이 상품정보를 수신하고 구매하기 위해 결제요청을 전송하면, 단말정보 서버(130)에 저장된 제2 플랫폼(150)의 단말정보를 결제요청과 함께 결제서버(130)로 전송한다. 결제요청은 상품 판매자 식별정보, 상품식별정보, 결제수단정보, 및 금액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정보 서버(130)는 제2 플랫폼(150)의 단말정보를 관리한다. 단말정보는 장치 정보 및/또는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단말정보 서버(130) 제2 플랫폼(150)의 이동통신망 서비스 이용을 승인한다. 단말정보 서버(130)는 증강현실 서버(120)로 단말정보를 제공한다.
결제서버(140)는 결제요청을 처리한다. 결제서버(140)는 이동통신사 내부 서버이거나 금융회사의 서버일 수 있다. 결제서버(140)는 증강현실 서버(120)로부터 전송된 결제요청과 단말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구매를 희망하는 상품에 대한 결제를 수행한다.
여기서, 서버는 각각의 목적에 부합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구비한다. 추가적으로, 서버는 내장 또는 외장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저장장치는 전기적, 자기적, 또는 광학적으로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다. 한편, 서버는 같은 시스템에 속한 다른 서버 또는 통신망을 통해 다른 시스템에 속한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단계 또는 작업을 처리하는 주체를 시스템으로 표현하였지만, 실제로 모든 처리는 서버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에 의한 명령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플랫폼(150)은 증강현실 스크린을 출력한다. 제2 플랫폼은 예를 들어,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장치일 수 있다. 제2 플랫폼(150)은 증강현실 카메라(155)를 포함하며, 증강현실 카메라(155)가 촬영한 콘텐츠에 삽입된 증강현실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제2 플랫폼(150)은 증강현실코드를 이용하여 증강현실 서버(120)로부터 증강현실 아이콘(160)을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증강현실 스크린을 생성한다. 증강현실 스크린은 증강현실 카메라(155)가 촬영한 영상 또는 다중 스크린 서버(110)에서 전송한 영상에 증강현실 아이콘(160)을 중첩하여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증강현실 서버(120)로부터 수신한 상품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사용자가 출력된 증강현실 아이콘(160)을 선택하면, 제2 플랫폼(150)은 증강현실 서버(120)에 증강현실 아이콘(160)에 상응하는 상품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스크린상에서의 증강현실 기반 결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코드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의한 상품정보 및 증강현실코드의 관리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코드를 이용한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 200에서, 증강현실 서버는 증강현실코드를 생성한다. 증강현실코드는 편성 스케줄을 기준으로 생성된다. 도 3은 편성 스케줄 및 상품정보를 이용하여 시간적으로 구분되는 증강현실코드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편성 스케줄은 다중 스크린 서버가 제공한다. 상품코드관리 데이터베이스는 증강현실코드를 생성할 조건에 관한 코드생성조건 필드(300), 증강현실코드가 출력될 채널에 관한 코드분류1 필드(310), 채널에서 방송될 프로그램 명칭에 관한 코드분류2 필드(320), 방송 요일에 관한 코드분류3 필드(330), 방송 시간에 관한 코드분류4 필드(340), 방송 길이에 관한 코드분류5 필드(350), 상품식별정보인 상품명 필드(360), 생성된 증강현실코드에 관한 생성코드 필드(370)를 포함할 수 있다.
증강현실 서버는 증강현실코드를 이용한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품정보와 증강현실 아이콘의 속성을 관리한다. 도 4는 증강현실코드를 이용하여 구축된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낸다.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증강현실코드 필드(400), 증강현실 아이콘에 관한 AR 이미지 필드(410), 증강현실 아이콘이 출력될 위치에 관한 표시좌표 필드(420), 사용자가 증강현실 아이콘을 선택했을 경우 실행될 액션에 관한 클릭시 액션1 필드(430), 액션1을 실행할 때 사용될 탬플릿을 정의하는 액션 1 화면 탬플릿(440), 상품식별정보인 상품명 필드(450)를 포함할 수 있다. 증강현실 서버에 의해서, 증강현실 아이콘의 형상 및 출력될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증강현실 서버는 생성된 증강현실코드를 다중 스크린 서버로 전송하여 편성 스케줄에 따라 방송될 콘텐츠에 삽입되도록 한다. 증강현실 서버는 편성 스케줄에 따라 증강현실코드를 다중 스크린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205에서, 다중 스크린 서버는 채널별로 지정되어 전송된 증강현실코드를 채널별 콘텐츠에 삽입하여 제1 플랫폼으로 전송한다.
단계 210에서, 제1 플랫폼은 증강현실코드가 삽입된 콘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한다.
단계 215에서, 제2 플랫폼은 증강현실 스크린을 생성하기 위한 정보를 증강현실 서버에 요청한다. 제2 플랫폼은 제1 플랫폼에 출력된 콘텐츠를 증강현실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다. 촬영된 영상에 증강현실코드가 삽입되어 있음을 인식하면, 제2 플랫폼은 증강현실코드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증강현실 서버에 증강현실 아이콘을 요청한다. 제2 플랫폼은 촬영한 정지 영상을 증강현실 스크린을 생성하는데 사용하거나, 다중 스크린 서버가 제공하는 콘텐츠 또는 정지 영상을 증강현실 스크린 생성에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단계 225는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 220에서, 증강현실 서버는 증강현실 아이콘을 제2 플랫폼으로 전송한다. 증강현실 서버는 제2 플랫폼이 전송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응하는 증강현실 아이콘을 상품코드관리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 여기서, 증강현실 서버는 제2 플랫폼의 단말정보를 단말정보 서버에 조회한다. 증강현실 서버는 단말정보 중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플랫폼에 적합한 해상도를 갖는 증강현실 아이콘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증강현실 서버는 증강현실 아이콘과 함께 표시될 위치 및/또는 상품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위치 정보를 제2 플랫폼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225에서, 다중 스크린 서버는 제1 플랫폼에 출력하는 콘텐츠를 제2 플랫폼으로 전송한다. 단계 225는 제2 플랫폼의 요청에 의해 선택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단계 230에서, 제2 플랫폼은 증강현실 스크린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제2 플랫폼은 촬영한 정지 영상 또는 다중 스크린 서버로부터 수신된 영상에 증강현실 아이콘을 중첩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제2 플랫폼은 증강현실 서버가 지정한 위치에 증강현실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단계 235에서, 사용자가 증강현실 아이콘을 선택하면 제2 플랫폼은 증강현실 서버에 상품정보를 요청한다. 제2 플랫폼은 단계 220에서 증강현실 서버가 전송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 240에서, 증강현실 서버는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증강현실코드에 상응하는 상품정보를 추출하여 제2 플랫폼으로 전송한다.
단계 245에서, 제2 플랫폼은 수신한 상품정보에 의해 지정된 액션을 수행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 구매대금을 결제할 수 있는 결제 템플릿 또는 해당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표시한다. 이 때, 상품을 식별할 수 있는 상품식별정보, 금액정보 등이 출력될 수 있다.
단계 250에서, 사용자가 상품정보에 의해 실행된 결제 템플릿을 통해 결제수단정보와 금액정보를 입력하면, 제2 플랫폼은 결제요청을 증강현실 서버로 전송한다.
단계 255에서, 증강현실 서버는 결제요청과, 제2 플랫폼의 단말정보를 결제서버로 전송한다.
단계 260에서, 결제서버는 결제절차를 실행하고, 결제 승인 통지를 제2 플랫폼으로 전송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다중 스크린상에서의 증강현실 기반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제1 플랫폼에 제공될 콘텐츠에 하나 이상의 증강현실코드를 삽입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플랫폼에 제공하는 다중 스크린 서버; 및
    상기 증강현실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증강현실코드를 촬영한 제2 플랫폼으로 상기 증강현실코드에 상응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증강현실 아이콘을 전송하고, 상기 증강현실 아이콘에 상응하는 상품정보를 상기 제2 플랫폼으로 전송하며, 상기 제2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상품정보에 상응하여 수신한 결제요청을 처리하는 증강현실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플랫폼은 상기 증강현실코드가 삽입되어 상기 제1 플랫폼을 통해 출력되는 상기 콘텐츠를 촬영하고, 상기 증강현실코드를 식별하여 상기 증강현실 서버에 상기 하나 이상의 증강현실코드를 요청하며, 상기 증강현실코드에 상응하는 상기 증강현실 아이콘을 포함하는 증강현실 스크린을 출력하는 다중 스크린상에서의 증강현실 기반 결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스크린 서버는 상기 제1 플랫폼으로 제공되는 콘텐츠를 상기 제2 플랫폼으로도 제공하며, 상기 제2 플랫폼은 상기 증강현실 아이콘을 상기 콘텐츠에 중첩하여 상기 증강현실 스크린을 생성하는 다중 스크린상에서의 증강현실 기반 결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랫폼은 상기 제2 플랫폼이 촬영한 상기 콘텐츠의 영상과 그 영상에 출력된 상기 증강현실 아이콘을 중첩하여 상기 증강현실 스크린을 생성하는 다중 스크린상에서의 증강현실 기반 결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스크린 서버는 편성 스케줄을 생성하며,
    상기 증강현실 서버는 상품 판매자 단말로부터 요청 받은 상품정보와 상기 편성 스케줄을 이용하여 시간적으로 구분되는 상기 증강현실코드를 생성하는 상품코드관리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다중 스크린상에서의 증강현실 기반 결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서버는 상기 증강현실코드가 상기 콘텐츠 상에서 출력될 위치를 지정하는 다중 스크린상에서의 증강현실 기반 결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서버는 상기 증강현실 아이콘이 상기 증강현실 스크린상에서 출력될 위치를 지정하는 다중 스크린상에서의 증강현실 기반 결제 시스템.
  7. 다중 스크린상에서의 증강현실 기반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품 판매자 단말로부터 요청 받은 상품정보와 편성 스케줄을 이용하여 시간적으로 구분되는 증강현실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증강현실코드를 삽입한 콘텐츠를 제1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증강현실코드를 촬영한 제2 플랫폼으로 상기 증강현실코드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증강현실 아이콘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증강현실 아이콘에 상응하는 상품정보를 상기 제2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상품정보에 상응하여 수신한 결제요청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플랫폼은 상기 증강현실코드가 삽입되어 상기 제1 플랫폼을 통해 출력되는 상기 콘텐츠를 촬영하고, 상기 증강현실코드를 식별하여 상기 증강현실 서버에 상기 하나 이상의 증강현실코드를 요청하며, 상기 증강현실코드에 상응하는 상기 증강현실 아이콘을 포함하는 증강현실 스크린을 출력하는 다중 스크린상에서의 증강현실 기반 결제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판매자 단말로부터 요청 받은 상품정보와 편성 스케줄을 이용하여 시간적으로 구분되는 증강현실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증강현실코드가 상기 콘텐츠 상에서 출력될 위치를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증강현실 아이콘이 상기 증강현실 스크린상에서 출력될 위치를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스크린상에서의 증강현실 기반 결제방법.
KR1020130010450A 2013-01-30 2013-01-30 다중 스크린상에서의 증강현실 기반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978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450A KR20140097835A (ko) 2013-01-30 2013-01-30 다중 스크린상에서의 증강현실 기반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450A KR20140097835A (ko) 2013-01-30 2013-01-30 다중 스크린상에서의 증강현실 기반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7835A true KR20140097835A (ko) 2014-08-07

Family

ID=51744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450A KR20140097835A (ko) 2013-01-30 2013-01-30 다중 스크린상에서의 증강현실 기반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78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98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agging content
TWI465946B (zh) 將一或多個矩陣碼同步化至與一多媒體表現有關之內容
JP6293269B2 (ja) コンテンツ視聴確認装置及びその方法
EP2617190B1 (en) Content capture device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tagging content
US86669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tent tagging and tagged content
US201200848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Interactive Advertising Into Real Time Video Content
US11182845B2 (en) Enhanced information delivery during a customer support session
KR101838283B1 (ko) 양방향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20067954A1 (en) Sensors, scanner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tagging content
US98815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distribution of audio and projected visual content
US201203315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mage-associated information
US2018029361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tegrating applications into a content recommendation network
US20140244781A1 (en) Enhanced information delivery
US201500861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Video Program in a Cloud
US10761693B2 (en) System for enhanced display of information on a user device
US20160350332A1 (en) Individualized on-demand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US20130325594A1 (en) Sponsored applications
CN115018581A (zh) 一种直播间对象信息展示方法、装置、介质及设备
US9538209B1 (en) Identifying items in a content stream
KR101708153B1 (ko) 비가청 음파를 이용한 광고플랫폼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플랫폼 장치
KR102034897B1 (ko) 방송 프로그램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정보 제공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JP4755041B2 (ja) コンテンツ情報提供システム
CN111654717B (zh) 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TWI467985B (zh) 支援群組基礎計費制的影片播放系統及相關的電腦程式產品
KR20140097835A (ko) 다중 스크린상에서의 증강현실 기반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