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7684A - 천연추출물의 촉매제를 이용한 혼합추출물 제조 - Google Patents

천연추출물의 촉매제를 이용한 혼합추출물 제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7684A
KR20140097684A KR1020130009522A KR20130009522A KR20140097684A KR 20140097684 A KR20140097684 A KR 20140097684A KR 1020130009522 A KR1020130009522 A KR 1020130009522A KR 20130009522 A KR20130009522 A KR 20130009522A KR 20140097684 A KR20140097684 A KR 20140097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insecticide
manufacturing
plant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9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7479B1 (ko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김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호 filed Critical 김영호
Priority to KR1020130009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479B1/ko
Publication of KR20140097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7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2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daisy, pyrethrum, artichoke, lettuce, sunflower, wormwood or tarrag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6Coniferophyta [gymnosperms], e.g.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2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skullcap, selfheal, lavender, perilla, pennyroyal, peppermint or spearmi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8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clo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화,소나무, 유칼리투스,라벤더,페파민트,은행잎,회향,정향등 천연식물의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하고 각 식물에 특성을 이용한 배합비율을 변형하여 각 식물이 가지고 있는 살충,살비 및 기피제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기존의 살충 및 기피제는 한,두가지 제품의 특성을 이용하였으나 8종 이상 식물의 특성과 촉매제 은나노(Silver-nano)를 이용하여 일정 비율로 혼합하고 가열 농축하여 제조한다.

Description

천연추출물의 촉매제를 이용한 혼합추출물 제조{Mixed extract manufacturing method by using natural extract of catalstic}
본 발명은 국화,소나무, 유칼리투스,라벤더,페파민트,은행잎,회향,정향등 천연식물의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하고 각 식물에 특성을 이용한 배합비율을 변형하여 각 식물이 가지고 있는 살충,살비 및 기피제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기존의 살충 및 기피제는 한,두가지 제품의 특성을 이용하였으나 8종 이상 식물의 특성과 촉매제 은나노(Silver-nano)를 이용하여 일정비로 혼합하고 가열 및 감압 농축하여 조성한 제품이다.
기존의 천연물질 특성상 각 물질의 특성은 한 부분에서는 강하나 어느 부분에서는 취약한 현상이 나타나는 불균형의 효과가 있어 이를 일정비의 혼합물로 조성하여 상호보완작용을 하며 촉매제 은나노(Nano-silver)를 이용하여 천연물질 결합작용과 살충,살비의 작용을 극대화 하였다.
천연식물 추출물에서 다양한 해충의 살충,살비,기피의 작용을 하는 물질을 찾아본
결과 국화,소나무,유칼리투스,라벤더,페퍼민트,회향,정향,은행잎에서 추출한 물질을 은나노 촉매제를 이용하여 일정비로 혼합 가열후 고농도의 천연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데 그 과제라 하겠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해충의 살충,살비,기피 작용을 하는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국화,소나무,유칼리투스,라벤더,페퍼민트,회향,정향,은행잎의 추출물을은나노(50ppm이하) 촉매제로 해충의 살충 및 기피 작용을 갖는 혼합 추출물 이를 이용한 제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지구의 온난화 현상으로 예전엔 대소롭지 않았던 해충들이 인간의 생활에 밀접하게 파고들어 많은 피해와 정신적 육체적 고통을 안겨 주고 있다 이에 진드기의경우 아토피 피부염,천식,발진등 인간의 생활에 막대한 해를 끼치고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 노력연구 끝에 화학적 물질이 아닌 천연 물질을 이용하여 해결방법을 연구 하게 되었다.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합성기피제 로는 DEET(방충제 diethyltoluamide),DDT [dichloro-diphenyl-trichloroethane]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 대부분이 화학적 합성제품으로 인체에 자극적이고 환경오염 및 장기간 사용하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대안으로 천연물질을 이용한 해충에 살충,살비,기피 효능을 가진 인체나 환경에 무해한 물질을 요구하는 추세이다.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국화,소나무,유칼라투스,라벤더,페퍼민트,회향,정향,은행잎을 이용한 추출물을 촉매제(은나노용액)와 최적의 혼합물을 제조하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인체에 무해하며 해충에 치명적인 물질을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그 대표적인 해충은 아토피의 70%이상의 원인이 되는 집먼지진드기(House dust mite) 이며 그외 모기,파리,개미,바퀴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해충의 살충,살비,기피 작용을 갖는 천연추출물 제조 방법으로 국화,소나무,유칼리투스,라벤더,페퍼민트,회향,정향,은행잎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살충제,살비제,기피제 등을 제조할 수 있으며 1종의 식물추출물의 살충효과보다 여러종의 특성을 촉매제(은나노50ppm이하)를 사용하여 혼합추출물을 제조함 으로서 강력한 살충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여러 방면의 해충 퇴치에 기여할 수 있다.
천연식물에서 에틸알코올을 첨가하여 각식물의 추출물을 얻은후 일정비로 혼합하고 촉매제 은나노(Nano-silver)를 50ppm이하로 혼합한후 가열,감압하여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국화잎추출(제충국-Phrethrum flower),소나무추출물(Pine Extract),유칼리투스(Eucalyptus Extract),라벤더추출물(Lavender Extract),페퍼민트추출물(Peppermint Extract),회향추출물(Fennel Extract),정향추출물(Clover Extract),은행잎추출물(Ginkgo Extract)위 식물의 추출 방법은 기존의 추출용매인 메틸알코올(methyl alcohol),에틸알코올(ethyl alcohol)중 택1종으로 하며 추출방법은 물질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사용 하도록 한다.
추출방법은 이외에도 알려진 방법이 많으나 본인은 간략히 위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위 추출물 포함 은나노(Nano-silver) 9종의 물질을 1,000㎖ 혼합비(150:100:150:100:100:50:50:100:200)단계별 혼합후 (60∼90℃)에서 30분∼1시간 가열 정유부분을 제거하고 추출물을 얻는 단계이다.
천연추출물의 살충,살비,기피 실험
Ⅰ.실험방법
1.재료 및 사용기구
세로무늬 집먼지 진드기(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플라스틱용기 : 외부용기(A) 직경 20×10 ㎝, 내부용기(B)직경 10×4㎝
거즈: 직경 5∼9.5㎝, 원형
시료:천연추출물(100㎖)
종류 국화 소나무 유칼라투스 라벤더 페퍼민트 회향 정향 은행잎 은나노
함량 15 10 15 10 10 5 5 10 20
:2. 시료의 접촉방법
가] 직접접촉 검사법(Direct contact test)
1) 진드기 50마리씩 세어 거즈(직경6㎝) 중앙부위에 올려 놓았다 ,5개의 용기를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관찰 총 진드기수는 250마리 였다
2)시료원액 100㎕ 를 스포이드로 진드기 몸에 직접 떨어뜨린 후 용기 내에 놓아 두었다
3)현미경으로 진드기의 행동 변화를 관찰하였다.
나] 간접 접촉 검사법(Indirect contact test)
1) 시료 원액에 거즈를 담가 완전히 적신후 꺼내어 상온에서 말렸다.
2) 시료가 마른후 진드기를 50마리씩 세어 거즈(5㎝)위에 올려 놓고 용기 내에 놓는다. 거즈 중앙에 한개의 에비오제(0.43g)를 놓아 두었다
주위에 1㎝를 떼고 시료가 처리되지 않은 거즈(3.5㎝)를 놓아 두었다
3) 현미경으로 진드기의 행동 변화를 관찰 하였다.
다] 대조군 : 실험과 동일한 조건을 두고 시료 대신 증류수를 떨어드리거나 거즈를증류수에 적시었다가 말린 후 사용하였다.
3. 시간별(30분∼12시간)로 진드기의 치사(살비:Killing),실신(Knockdown),기피(Repel) 여부를 현미경으로 관찰 후 기록 하였다.
Ⅱ 시험 결과
Table 1:Result of direct contact test of house dust mites(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
Container No 30m 1h 3h 5h 7h 12h
of mites A/B A/B A/B A/B A/B A/B
1 50 50/0 50/0 50/0 50/0 50/0 50/0
2 50 50/0 50/0 50/0 50/0 50/0 50/0
3 50 50/0 50/0 50/0 50/0 50/0 50/0
4 50 50/0 50/0 50/0 50/0 50/0 50/0
5 50 50/0 50/0 50/0 50/0 50/0 50/0
TOTAL 250 250/0 250/0 250/0 250/0 250/0 250/0
Control(d.w) 50 0/50 0/50 0/50 0/50 0/50 0/50
total(kill) 100% 100% 100% 100% 100% 100%
A/B (dead/alive), d.w(distilled water)
Table 2 Result of indirect contact test of house dust mites(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
Container No 30m 1h 3h 5h 7h 12h
of mites A/B A/B A/B A/B A/B A/B
1 50 50/0 50/0 50/0 50/0 50/0 50/0
2 50 50/0 50/0 50/0 50/0 50/0 50/0
3 50 50/0 50/0 50/0 50/0 50/0 50/0
4 50 50/0 50/0 50/0 50/0 50/0 50/0
5 50 50/0 50/0 50/0 50/0 50/0 50/0
TOTAL 250 250/0 250/0 250/0 250/0 250/0 250/0
Control(d.w) 50 0/50 0/50 0/50 0/50 0/50 0/50
total(kill) 100% 100% 100% 100% 100% 100%
A/B (dead/alive), d.w(distilled water)
시험결과
위의 사용한 2가지 방법의 결과는 동일하였다. 즉 시료에 포함되어 있으리라고 추측되는 강력한 살충 물질에 의하여 시험에 사용한 모든 집먼지 진드기가 접촉30분만에 완전히 죽었다 시험시작 12시간까지 계속 관찰하였으나 실신(Knockdown)후 다시 회생하는 진드기를 관찰할 수 없었으며 따라서 기피성도 측정 할 수 없었다.
A/B (dead/alive), d.w(distilled water)

Claims (2)

  1. 해충의 살충,살비,기피 작용을 갖는 천연추출물 제조 방법으로 국화,소나무,유칼리투스,라벤더,페퍼민트,회향,정향,은행잎등의 추출물을 촉매제(은나노50ppm이하)를 사용하여 혼합추출물을 제조
  2. 각 추출물의 합성비율은 적용해충에 따라 각 추출물의 함량 ±30%까지 조절한다.
KR1020130009522A 2013-01-28 2013-01-28 해충의 살충, 살비, 기피 작용을 갖는 천연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517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522A KR101517479B1 (ko) 2013-01-28 2013-01-28 해충의 살충, 살비, 기피 작용을 갖는 천연추출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522A KR101517479B1 (ko) 2013-01-28 2013-01-28 해충의 살충, 살비, 기피 작용을 갖는 천연추출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7684A true KR20140097684A (ko) 2014-08-07
KR101517479B1 KR101517479B1 (ko) 2015-05-06

Family

ID=51744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9522A KR101517479B1 (ko) 2013-01-28 2013-01-28 해충의 살충, 살비, 기피 작용을 갖는 천연추출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74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1190A1 (ko) * 2018-05-29 2019-12-05 (주)국보싸이언스 시트랄을 포함하는 해충 방제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801B1 (ko) 2018-03-02 2019-01-29 (주)토필드 모기 기피 조성물
KR102320838B1 (ko) 2021-04-29 2021-11-02 손지영 병해충을 비롯한 광범위 곤충 기피 천연물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이용한 정수장 유충 발생 방지 방법 및 소나무 재선충 감염 방지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1190A1 (ko) * 2018-05-29 2019-12-05 (주)국보싸이언스 시트랄을 포함하는 해충 방제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7479B1 (ko) 2015-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09568B1 (de) Stoffgemisch zur behandlung von wirbellosen und wirbeltieren bei tierischem schädlingsbefall
CN104054758A (zh) 无害植物灭虫剂
SG187253A1 (en) Method for repelling and/or controlling pests
CN106265168A (zh) 一种抑菌、止痒天然复合植物驱蚊液的制备方法
KR101517479B1 (ko) 해충의 살충, 살비, 기피 작용을 갖는 천연추출물의 제조방법
WO2019202415A1 (en) Natural mosquitoes repellent formulation
KR101301144B1 (ko) 목초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해충 기피제
CN104621190A (zh) 天然植物药石纳米灭蚊缓释剂
CN106922751A (zh) 天然植物灭虫剂
KR101761471B1 (ko) 해충기피 및 탈취효과가 우수한 식물성 오일 혼합물
KR101632246B1 (ko) 제충국 꽃 파우더 또는 슬러지를 이용한 살충 고형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512871B1 (ko) 해충 기피제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지
WO2020261083A1 (en) Bed bug control composition and process of preparing the same
Sathyaseelan et al. Efficacy of certain essential oils on the repellency property against two 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Koch) on mulberry Morus sp l
KR101535215B1 (ko) 소독 및 해충 퇴치용 연막 조성물
KR20180058978A (ko) 천연 원료를 포함하는 친환경 해충 방제용 조성물
KR20230027736A (ko) 제충국추출물과 환원그래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충 및 항균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5969623B2 (ja) 植物性天然物質を用いた選択的シロアリ忌避剤組成物
CN103907599B (zh) N,n-二甲基氢化诺卜酰胺用作昆虫驱避剂的应用
US9370190B2 (en) Pest repellents from plant extracts
CN115300419B (zh) 一种具有驱蚊止痒和抑菌消肿功效的复合植物油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5284930A (zh) 一种樟树成熟果驱虫抑菌型空气清新剂及其制备方法
DE19532447A1 (de) Repellens zur Schädlingsbekämpfung
KR20090096116A (ko) 모기기피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모기기피 직물
CN106172389A (zh) 一种天然植物蚊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5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