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6461A - 밸런서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 Google Patents

밸런서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6461A
KR20140096461A KR1020130008914A KR20130008914A KR20140096461A KR 20140096461 A KR20140096461 A KR 20140096461A KR 1020130008914 A KR1020130008914 A KR 1020130008914A KR 20130008914 A KR20130008914 A KR 20130008914A KR 20140096461 A KR20140096461 A KR 20140096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receiving groove
drum
magnet receiving
balan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2140B1 (ko
Inventor
류두영
정원영
조영진
강정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8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140B1/ko
Publication of KR20140096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6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37/225Damping vibrations by displacing, supplying or ejecting a material, e.g. liquid, into or from counterbalancing pock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5Counterweights mounted to the tub; Mounting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그네트를 밸런서 하우징에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는 밸런서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 및 상기 드럼에 장착되어, 상기 드럼의 회전시 상기 드럼 내에서 발생하는 불평형 하중을 상쇄하는 밸런서;를 포함하고, 상기 밸런서는, 내부에 환형의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채널의 위치에 대응되는 일면에 마그네트 수용홈이 형성되는 밸런서 하우징; 상기 채널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질량체; 및 상기 마그네트 수용홈의 높이와 동일한 길이의 두께를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마그네트 수용홈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밸런서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Balance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마그네트를 밸런서 하우징에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는 밸런서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전력을 이용하여 의류를 세탁하는 기계로서, 일반적으로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캐비닛 내부에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와,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과, 드럼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모터를 구비한다.
드럼의 내부에 세탁물 및 세제수가 투입된 상태에서 드럼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 세탁물이 드럼 및 세탁수와 마찰하여 세탁물에 묻은 때가 제거된다.
드럼의 회전 시에 세탁물이 드럼 내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 않고 특정 부분에 몰려 있게 되면, 드럼의 편심 회전으로 인해 진동과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드럼이나 모터와 같은 부품들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기는 드럼 내에서 발생하는 불평형 하중을 상쇄하여 드럼의 회전을 안정화하기 위한 밸런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밸런서에 구비되는 마그네트가 밸런서 하우징에 용이하게 장착되고, 밸런서의 부피가 최소화된 밸런서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 및 상기 드럼에 장착되어, 상기 드럼의 회전시 상기 드럼 내에서 발생하는 불평형 하중을 상쇄하는 밸런서;를 포함하고, 상기 밸런서는, 내부에 환형의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채널의 위치에 대응되는 일면에 마그네트 수용홈이 형성되는 밸런서 하우징; 상기 채널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질량체; 및 상기 마그네트 수용홈의 높이와 동일한 길이의 두께를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마그네트 수용홈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한다.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마그네트 수용홈에 수용되어 접착물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마그네트 수용홈을 형성하는 상기 밸런서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돌출되어 형성된 안착 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 리브는 상기 마그네트 수용홈에 수용되는 상기 마그네트가 안착되는 안착면에 격자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접착물은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이다.
상기 마그네트 수용홈의 내측면에는 고정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마그네트가 상기 마그네트 수용홈에 억지끼움됨으로써 고정된다.
상기 고정리브는 상기 마그네트 수용홈의 안착면으로 갈수록 상기 마그네트 수용홈의 내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마그네트 수용홈은 상기 채널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비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런서는, 세탁기의 드럼에 존재하는 불평형 하중을 상쇄하기 위한 세탁기의 밸런서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드럼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채널이 형성되고, 일측에 마그네트 수용홈이 형성되는 밸런서 하우징; 상기 채널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질량체; 상기 마그네트 수용홈의 높이와 동일한 길이의 두께로 구비되고, 상기 마그네트 수용홈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한다.
상기 마그네트는 접착물에 의해 상기 마그네트 수용홈에 접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마그네트가 안착되는 상기 마그네트 수용홈의 안착면에는 안착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접착물은 상기 안착 리브에 구비된다.
상기 안착 리브는 격자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접착물은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이다.
상기 마그네트 수용홈은 상기 드럼의 원주 방향을 따라 비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마그네트 수용홈의 내측면에는 돌출된 고정 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고정 리브를 슬라이딩하여 상기 마그네트 수용홈에 억지끼움된다.
상기 마그네트 수용홈의 내측면에는 접착물이 도포되어 상기 마그네트를 상기 마그네트 수용홈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그네트가 별도의 조립부품 없이 밸런서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으므로 제조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고, 밸런서의 부피를 최소화시킴으로써 드럼의 용적을 최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드럼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밸런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밸런서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원심력, 자력, 경사측벽에 의한 지지력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분리사시도이다.
도 10은 밸런서하우징과 마그네트 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마그네트 수용홈을 형성하는 밸런서 하우징의 내측면에 구비된 안착리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마그네트 수용홈을 형성하는 밸런서 하우징의 내측면에 구비된 고정리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20)와,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30)와, 드럼(30)를 구동하는 모터(40)를 구비한다.
캐비닛(10)의 전면부에는 드럼(3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11)가 형성된다. 투입구(11)는 캐비닛(10)의 전면부에 설치된 도어(12)에 의해 개폐된다.
터브(20)의 상부에는 터브(20)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50)이 설치된다. 급수관(50)의 일측은 급수밸브(56)와 연결되고, 급수관(50)의 타측은 세제공급장치(52)와 연결된다.
세제공급장치(52)는 연결관(54)을 통해 터브(20)와 연결된다. 급수관(5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공급장치(52)을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된다.
터브(20)의 하부에는 터브(20) 내부의 물을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60)와 배수관(62)이 설치된다.
드럼(30)은 원통부(31)와, 원통부(31)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면판(32)과, 원통부(31)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판(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면판(32)에는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개구(32a)가 형성되고, 후면판(33)에는 모터(40)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42)이 연결된다.
드럼(30)의 둘레에는 세탁수의 유통을 위한 다수의 통공(34)이 형성되고, 드럼(30)의 내주면에는 드럼(30)가 회전할 때 세탁물의 상승 및 낙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리프터(35)가 설치된다.
드럼(30)과 모터(40) 사이에는 구동축(42)이 배치된다. 구동축(42)의 일단은 드럼(30)의 후면판(33)에 연결되고, 구동축(42)의 타단은 터브(20)의 후벽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모터(40)가 구동축(42)을 구동하면, 구동축(42)에 연결된 드럼(30)가 구동축(4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터브(20)의 후벽에는 구동축(4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베어링 하우징(70)이 설치된다. 베어링 하우징(70)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터브(20)를 사출 성형할 때 터브(20)의 후벽에 인서트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70)과 구동축(42) 사이에는 구동축(42)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들(72)이 설치된다.
터브(20)는 댐퍼(78)에 의해 지지된다. 댐퍼(78)는 캐비닛(10)의 내측 저면과 터브(20)의 외면을 연결한다.
세탁 행정 시에 모터(40)는 드럼(30)을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저속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드럼(30)의 내부의 세탁물이 상승, 낙하하는 운동을 반복하면서 세탁물로부터 오염물이 제거된다.
탈수 행정 시에 모터(40)가 드럼(30)을 일방향으로 고속 회전시키면 세탁물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로부터 물이 분리된다.
탈수 과정에서 드럼(30)이 회전할 때 세탁물이 드럼(30)의 내부에 고르게 분포되지 않고 특정 부분에 편중되면, 드럼(30)의 회전 운동이 불안정하게 되어 진동 및 소음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세탁기(1)는 드럼(30)의 회전 운동을 안정화하기 위한 밸런서(100)를 구비한다.
도 2는 드럼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밸런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밸런서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밸런서(100)는 드럼(30)의 전면판(32) 및 후면판(33)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될 수 있다. 전면판(32)과 후면판(33)에 장착되는 밸런서(100)는 서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전편판(32)에 장착되는 밸런서(10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런서(100)는 환형의 채널(110a)을 가지는 밸런서하우징(110)과, 환형의 채널(110a)에 배치되어 환형의 채널(110a)을 따라 이동하면서 드럼(30)의 밸런싱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질량체(141)를 포함한다.
드럼(30)의 전면판(32)에는 전방이 개방된 환형의 리세스(38)가 형성되고, 이 리세스(38)에는 밸런서하우징(110)이 수용된다. 밸런서하우징(110)은 드럼(30)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고정부재(180)를 통해 드럼(30)에 결합될 수 있다.
밸런서하우징(110)은 일측이 개방된 환형의 제1하우징(111)과, 제1하우징(111)의 개방부를 덮는 제2하우징(1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하우징(111)의 내면과 제2하우징(112)의 내면은 환형의 채널(110a)을 한정한다. 제1하우징(111)과 제2하우징(112)은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ABS수지(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형성을 통해 제작될 수 있으며, 열 융착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밸런서하우징(110)의 전면은 밸런서하우징(110)이 드럼(30)에 결합될 때 그 전방으로 노출되는 면으로 정의하고, 밸런서하우징(110)의 후면은 밸런서하우징(110)의 전면과 반대되는 면으로 밸런서하우징(110)이 드럼(30)에 결합될 때 드럼(30)의 전면판(32)과 마주보는 면으로 정의하며, 밸런서하우징(110)의 측면은 밸런서하우징(110)의 전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면으로 정의한다.
제1하우징(111)에서 채널(110a)의 양측에는 제1결합홈(121)이 형성되고, 제2하우징(112)은 제1결합홈(121)에 결합되는 제1결합돌기(131)를 가진다. 제1하우징(111)의 제1결합홈(121)과 채널(110a) 사이에는 제2결합돌기(122)가 형성된다. 제1하우징(111)의 제2결합돌기(122)는 제2하우징(112)의 제1결합돌기(131)의 내측에 형성된 제2결합홈(132)에 결합된다. 채널(110a)에 인접한 제2결합돌기(122)의 내측면에는 제3결합홈(123)이 형성되고, 제2하우징(112)은 제3결합홈(123)에 결합되는 제3결합돌기(133)를 가진다. 이러한 결합구조에 의하면, 제1하우징(111)과 제2하우징(112)을 견고히 결합할 수 있으며, 채널(110a)의 내부에 오일과 같은 유체가 수용되는 경우에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제1하우징(111)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1내면(111a) 및 제2내면(111b)과, 제1내면(111a)과 제2내면(111b)을 연결하는 제3내면(111c)을 포함한다.
제1내면(111a)과 제2내면(111b)과 제3내면(111c) 중 적어도 하나에는 복수의 질량체(141)를 안착시켜 일시적으로 구속하기 위한 그루브(groove)(150)가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8에는 그루브(150)가 제1내면(111a)과 제3내면(111c)에 걸쳐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루브(150)는 제1내면(111a)과 제2내면(111b)과 제3내면(111c)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제1내면(111a)과 제3내면(111c)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1내면(111a)과 제2내면(111b)과 제3내면(111c)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루브(150)는 질량체(141)를 적어도 둘 이상 수용할 수 있도록 밸런서하우징(110)의 원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질량체(141)를 대략 밸런서하우징(110)의 원주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지지하는 제1지지부(152)와, 제1지지부(152) 사이에 마련되어 질량체(141)를 대략 밸런서하우징(110)의 반경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지지부(154)를 포함한다. 제1지지부(152)는 그루브(150)의 양단에 단턱 형상으로 마련되어 드럼(30)의 회전수가 특정한 회전수 구간 내일 때 질량체(141)가 그루브(15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질량체(141)가 그루브(150)에 안착되어 수용된 상태에서 질량체(141)에 의해 드럼(30)에 불평형 하중이 발생하지 않도록, 그루브(150)는 드럼(30)의 회전중심을 지나고 지면과 수직한 가상의 선(Lr)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루브(150)가 형성된 제1내면(111a)에 대응하는 제2내면(111b)에는 경사측벽(156)이 마련된다. 경사측벽(156)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30)이 회전할 때 질량체(141)에 가해지는 원심력(Fw)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질량체(141)를 지지하는 지지력(Fs)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드럼(30)이 회전할 때 질량체(141)에 가해지는 원심력(Fw)은 경사측벽(156)에 의해 질량체(141)에 가해지는 지지력(Fs)으로 상쇄된다. 따라서 후술할 바와 같이, 밸런서하우징(110)의 후면에 결합되는 마그네트(160)에서 발생되는 자력(Fm)은 질량체(141)에 경사측벽(156)을 따라 형성되는 힘(Fk)만을 상쇄시켜 드럼(30)의 회전수가 특정한 회전수 구간 내일 때 질량체(141)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그루브(150)가 형성된 제1내면(111a)에 대응하는 제2내면(111b)에 경사측벽(156)을 형성하여, 드럼(30)이 회전할 때 질량체(141)에 가해지는 원심력(Fw)을 경사측벽(156)을 통해 상쇄되도록 함으로써, 작은 세기의 자력(Fm)으로도 효과적으로 질량체(141)의 이동을 구속, 제어할 수 있다.
경사측벽(156)의 경사각(α)은 대략 5° 이상 25° 이하일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경사측벽(156)의 경사각(α)은 밸런서하우징(110) 내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즉, 어느 일 구간에서 경사측벽(156)의 경사각(α)은 5°로 유지되고 다른 일 구간에서 경사측벽(156)의 경사각(α)은 5°보다 크거나 작은 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경사측벽(156)의 경사각(α)은 밸런서하우징(110) 내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커지거나 작아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경사측벽(156)의 경사각(α)을 밸런서하우징(110) 내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변화시킴으로써, 그루브(150) 내에 수용된 질량체(141)가 그루브(150) 내에 고착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그루브(150)가 형성된 부분에서 채널(110a)은 그 단면이 증가하여 형성되는 단면증가부(158)를 포함한다. 단면증가부(158)는 그루브(150)에 의해 채널(110a)에 형성되는 공간으로써, 질량체(141)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고, 그루브(150)와 마찬가지로 질량체(141)를 적어도 둘 이상 수용할 수 있도록 밸런서하우징(110)의 원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드럼(30)의 회전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선(Lr)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질량체(141)는 구(sphere) 형상의 금속재질로 마련되며, 드럼(30)의 회전 시에 드럼(30)에 존재하는 불평형 하중을 상쇄시키도록 환형의 채널(110a)을 따라 드럼(30)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드럼(30)이 회전하면 질량체(141)에는 드럼(30)의 반경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원심력이 작용하며, 그루브(150)로부터 이탈한 질량체(141)는 채널(110a)을 따라 이동하면서 드럼(30)의 밸런싱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질량체(141)는 제1하우징(111)과 제2하우징(112)을 서로 융착하기 전에 제1하우징(111)에 수용되며, 질량체(141)는가 제1하우징(111)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하우징(111)과 제2하우징(112)을 서로 융착하는 과정을 통해 질량체(141)가 밸런서하우징(110)에 수용,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밸런서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질량체(141)의 급격한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댐핑유체(170)가 수용된다.
댐핑유체(170)는 질량체(141)에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 질량체(141)에 저항을 가함으로서 질량체(141)가 채널(110a)의 내부에서 급격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댐핑유체(170)는 오일로 구성될 수 있다. 댐핑유체(170)는 드럼(30)의 회전 시에 질량체(141)와 더불어 드럼(30)을 밸런싱하는 역할을 일부 수행한다.
댐핑유체(170)는 질량체(141)와 함께 제1하우징(111)에 주입되고, 이 후 제1하우징(111)과 제2하우징(112)을 서로 융착시키는 과정을 통해 밸런서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된다. 그러나 댐핑유체(170)를 밸런서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시키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하우징(111)과 제2하우징(112)을 서로 융착시키고, 제1하우징(111) 또는 제2하우징(112)에 형성된 주입구(미도시) 등을 통해 밸런서하우징(110)의 내부로 주입하는 과정을 통해 밸런서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밸런서하우징(110)의 후면에는 질량체(141)를 그루브(150)와 함께 질량체(141)를 구속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트(160)가 결합된다.
도 9는 도 4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분리사시도이고, 도 10은 밸런서하우징과 마그네트 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루브(150)가 형성된 밸런서하우징(110)의 내면에 대응하는 밸런서하우징(110)의 후면에는 마그네트(160)를 수용하여 결합시키기 위한 마그네트 수용홈(110b)이 마련된다. 마그네트 수용홈(110b)은 채널(110a)과 마찬가지로, 드럼(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 수용홈(110b)은 드럼(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비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네트 수용홈(110b)은 마그네트(160)를 결합시키기 위해 마그네트(16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마그네트 수용홈(110b)의 높이(h)는 마그네트(160)의 두께(d)와 동일하거나 마그네트(160)의 두께(d)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마그네트(160)가 마그네트 수용홈(110b)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수용될 수 있다.
마그네트(160)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되고, 밸런서하우징(110)의 후면에 결합되어 그루브(150)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질량체(141)가 그루브(150)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질량체(141)를 구속한다.
마그네트(160)의 결합위치가 밸런서하우징(110)의 후면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그네트(160)는 밸런서하우징(110)의 전면 또는 밸런서하우징(110)의 전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측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마그네트(160)는 자력을 통해 질량체(141)를 구속하며, 마그네트(160)의 자력의 세기는 질량체(141)가 그루브(150)로부터 이탈하는 순간의 드럼(30)의 분당 회전수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질량체(141)가 그루브(150)로부터 이탈하는 순간의 드럼(30)의 분당 회전수가 200rpm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 마그네트(160)의 자력의 세기는 드럼(30)의 분당 회전수가 0 ~ 200rpm 내일 때 그루브(150)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질량체(141)가 그루브(150)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질량체(141)를 구속하고, 드럼(30)의 분당 회전수가 200rpm을 초과하는 경우 질량체(141)가 그루브(150)로부터 이탈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 때, 마그네트(160)의 자력의 세기는 드럼(30)의 분당 회전수가 0 ~ 200rpm 내일 때 질량체(141)에 가해지는 원심력의 세기보다는 크고, 드럼(30)의 분당 회전수가 200rpm을 초과하는 경우 질량체(141)에 가해지는 원심력의 세기보다는 작으며, 드럼(30)의 분당 회전수가 200rpm인 경우에 질량체(141)에 가해지는 원심력의 세기와 동일하다.
마그네트(160)의 자력의 세기는 마그네트(160)의 크기, 마그네트(160)의 개수, 마그네트(160)의 착자방식 등에 의해 원하는 세기로 조절 가능하다.
도 11은 마그네트 수용홈을 형성하는 밸런서 하우징의 내측면에 구비된 안착리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160)는 마그네트 수용홈(110b)에 수용되어 접착됨으로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마그네트 수용홈(110b)의 높이(h)는 마그네트(160)의 두께(d)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일측에 마그네트 수용홈(110b)이 형성된 제1하우징(111)과 마그네트 수용홈(110b)에 수용된 마그네트(160)의 일면은 단차지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마그네트(160)가 마그네트 수용홈(110b)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수용됨으로써 마그네트(160)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마그네트 수용홈(110b)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마그네트 수용홈(110b)의 높이(h)가 마그네트(160)의 두께(d)와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밸런서(100)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밸런서(100)의 부피가 최소화됨으로서 드럼(30)의 부피를 최대한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마그네트(160)는 마그네트 수용홈(110b)에 수용되어 접착물(165)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이로써 마그네트(160)가 마그네트 수용홈(110b)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마그네트 수용홈(110b)을 형성하는 밸런서 하우징(111)의 내측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거나 양면 테이프가 접착된 후, 마그네트(160)가 마그네트 수용홈(110b)에 수용될 수 있다. 마그네트 수용홈(110b)의 일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되거나 양면 테이프가 접착된 후, 마그네트(160)가 마그네트 수용홈(110b)에 수용될 수도 있다.
마그네트 수용홈(110b)을 형성하는 밸런서 하우징(111)의 내측면의 일측에는 안착 리브(111e)가 구비될 수 있다. 안착리브(111e)는 밸런서 하우징(111)과 일체로 사출형성될 수 있다. 안착 리브(111e)는 마그네트(160)가 안착되는 안착면(111d)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안착 리브(111e) 격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착 리브(111e)는 안착면(111d)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안착면(111d)보다 좁은 면적을 가진 안착 리브(111e)에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으므로, 마그네트(160)를 마그네트 수용홈(110b)에 고정시키기 위해 도포되는 접착제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접착제가 도포된 후 마그네트(160)가 수용될 경우 여분의 접착제가 안착 리브(111e) 사이로 흐를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므로 마그네트(160)를 수용시킨 후 여분의 접착제가 마그네트 수용홈(110b)으로부터 튀어나와 밸런서 하우징(111)의 외관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마그네트 수용홈을 형성하는 밸런서 하우징의 내측면에 구비된 고정리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수용홈(110b)을 형성하는 밸런서 하우징(111)의 내측면에는 고정 리브(111f)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리브(111f)는 밸런서 하우징(111)과 일체로 사출형성될 수 있다. 고정 리브(111f)는 마그네트 수용홈(110b)을 형성하는 내측면에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리브(111f)는 마그네트 수용홈(110b)의 안착면(111d) 측으로 갈수록 마그네트 수용홈(110b)의 내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네트(160)는 고정 리브(111f)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마그네트 수용홈(110b)에 억지끼움될 수 있다. 이로써 마그네트(160)가 마그네트 수용홈(110b)에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마그네트 수용홈(110b)을 형성하는 내측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거나 양면 테이프가 부착될 수도 있다.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에 의해 마그네트(160)는 마그네트 수용홈(110b)에 수용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별도의 설비 없이 마그네트(160)가 마그네트 수용홈(110b)에 수용되어 고정됨으로써 밸런서(100) 제조시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간편한 방법으로 마그네트(160)를 마그네트 수용홈(110b)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제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1 : 세탁기 10 : 캐비닛
20 : 터브 30 : 드럼
40 : 모터 50 : 급수관
100 : 밸런서 110 : 밸런서하우징
110b : 마그네트 수용홈 141 : 질량체
150 : 그루브 160 : 마그네트

Claims (16)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 및
    상기 드럼에 장착되어, 상기 드럼의 회전시 상기 드럼 내에서 발생하는 불평형 하중을 상쇄하는 밸런서;를 포함하고,
    상기 밸런서는,
    내부에 환형의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채널의 위치에 대응되는 일면에 마그네트 수용홈이 형성되는 밸런서 하우징;
    상기 채널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질량체; 및
    상기 마그네트 수용홈의 높이와 동일한 길이의 두께를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마그네트 수용홈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마그네트 수용홈에 수용되어 접착물에 의해 고정되는 세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 수용홈을 형성하는 상기 밸런서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돌출되어 형성된 안착 리브가 형성되는 세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리브는 상기 마그네트 수용홈에 수용되는 상기 마그네트가 안착되는 안착면에 격자 형태로 구비되는 세탁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물은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인 세탁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 수용홈의 내측면에는 고정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마그네트가 상기 마그네트 수용홈에 억지끼움됨으로써 고정되는 세탁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리브는 상기 마그네트 수용홈의 안착면으로 갈수록 상기 마그네트 수용홈의 내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세탁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 수용홈은 상기 채널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비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세탁기.
  9. 세탁기의 드럼에 존재하는 불평형 하중을 상쇄하기 위한 세탁기의 밸런서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드럼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채널이 형성되고, 일측에 마그네트 수용홈이 형성되는 밸런서 하우징;
    상기 채널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질량체;
    상기 마그네트 수용홈에 수용되어 고정되고, 상기 밸런서 하우징과 단차지지 않게 구비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밸런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접착물에 의해 상기 마그네트 수용홈에 접착되어 고정되는 밸런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가 안착되는 상기 마그네트 수용홈의 안착면에는 안착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접착물은 상기 안착 리브에 구비되는 밸런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리브는 격자 형태로 구비되는 밸런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물은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인 밸런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 수용홈은 상기 드럼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비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밸런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 수용홈의 내측면에는 돌출된 고정 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고정 리브를 슬라이딩하여 상기 마그네트 수용홈에 억지끼움되는 밸런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 수용홈의 내측면에는 접착물이 도포되어 상기 마그네트를 상기 마그네트 수용홈에 고정시키는 밸런서.
KR1020130008914A 2013-01-25 2013-01-25 밸런서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KR101992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914A KR101992140B1 (ko) 2013-01-25 2013-01-25 밸런서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914A KR101992140B1 (ko) 2013-01-25 2013-01-25 밸런서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461A true KR20140096461A (ko) 2014-08-06
KR101992140B1 KR101992140B1 (ko) 2019-06-26

Family

ID=51744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914A KR101992140B1 (ko) 2013-01-25 2013-01-25 밸런서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1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6363A (ko) * 2003-12-10 2005-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탑로딩방식 드럼 세탁기
KR20120035700A (ko) * 2010-10-06 2012-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와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6363A (ko) * 2003-12-10 2005-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탑로딩방식 드럼 세탁기
KR20120035700A (ko) * 2010-10-06 2012-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와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2140B1 (ko) 2019-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52516B1 (en) Balance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AU2014210521B2 (en) Balance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EP2759629B1 (en) Washing machine
US9650736B2 (en) Balance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2251062B1 (ko) 세탁기의 밸런서
US9765466B2 (en) Balance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10036111B2 (en) Balance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1992140B1 (ko) 밸런서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US9523171B2 (en) Balance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9487899B2 (en) Balancer of washing machine
KR102116527B1 (ko) 세탁기의 밸런서
KR102127222B1 (ko) 밸런서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KR20140050483A (ko) 밸런서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KR20140143643A (ko) 세탁기의 밸런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