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5904A -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5904A
KR20140095904A KR1020130008875A KR20130008875A KR20140095904A KR 20140095904 A KR20140095904 A KR 20140095904A KR 1020130008875 A KR1020130008875 A KR 1020130008875A KR 20130008875 A KR20130008875 A KR 20130008875A KR 20140095904 A KR20140095904 A KR 20140095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cosmetic composition
weight
infrared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석
김진황
최승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30008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5904A/ko
Publication of KR20140095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59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이치디아이(HDI, hexamethylenediisocyanate) 유닛을 함유하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근적외선(Near-IR)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유해한 근적외선을 차단하여, 태양광에 의한 피부 손상 및 피부노화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근적외선으로부터 유래되는 피부 노화의 가속화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Skin toiletries composition containing aliphatic diisocyanates}
본 발명은 피부에 악영향을 미치는 근적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구체적으로, 에이치디아이(HDI, hexamethylenediisocyanate)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은 파장에 따라 자외선(UV: Ultraviolet), 가시광선(Visible light), 적외선(IR: Infrared)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전부터 자외선은 피부 노화의 원인으로 알려져 왔고, 정부는 이러한 자외선의 피부 유해성을 인정하여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하여 자외선 차단제를 기능성 화장품으로 분류하였다. 화장품 제조사들은 자외선 차단제 제품을 생산 및 판매하고 있지만, 지표에 도달하는 태양광의 1/2을 차지하는 적외선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빈약한 실정이다.
최근 in vitro fibroblasts cell을 이용한 실험과 in vivo 피험자를 이용한 biopsy 연구에 따르면, 적외선도 자외선과 동일한 광노화 현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외선을 파장의 길이에 따라 분류하면, 760 내지 3000 nm 파장을 근적외선(Near-IR), 3000 내지 25000 nm의 파장을 적외선, 25000 nm이상의 파장을 원적외선(Far-IR)이라 하는데, 이 중 근적외선에 의한 피부의 광노화 현상, 특히 진피에 작용한 광노화 현상은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 현상과 동일하다. 따라서, 자외선과 근적외선을 동시에 포함하고 있는 햇빛에 노출되었을 경우에는 기존의 자외선 차단제를 피부에 도포하는 경우에도, 피부 노화가 더욱 가속화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자외선뿐 아니라 근적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광범위한 파장에 대한 차단 제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는 피부에 도포 시, 근적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에이치디아이(HDI, hexamethylenediisocyanate) 유닛을 함유하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근적외선(Near-IR)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에이치디아이(HDI, hexamethylenediisocyanate) 유닛을 함유하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근적외선(Near-IR) 차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유해한 근적외선을 차단하여, 태양광에 의한 피부 손상 및 피부노화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근적외선으로부터 유래되는 피부 노화의 가속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UV-VIS-IR 스펙트럼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에이치디아이(HDI, hexamethylenediisocyanate) 유닛을 함유하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근적외선(Near-IR)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에이치디아이(HDI, hexamethylenediisocyante) 유닛을 함유하는 폴리머를 포함한다. 상기 에이치디아이 유닛을 함유하는 폴리머는 근적외선, 구체적으로 760 내지 3000 mm 파장의 적외선의 투과율을 낮춤으로서, 근적외선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에이치디아이 유닛을 함유하는 폴리머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에이치디아이/ 트리메칠올헥실락톤크로스폴리머(HDI/trimethylolheyllactonecrosspolymer), 피이지-240/에이치디아이코폴리머비스-데실테트라데세스-20에텔(PEG-240/HDI Copolymer Bis-Decyltetradeceth-20 Ether), 디에칠렌글라이콜/디맵아크릴아마이드/피이지-180/에이치디아이코폴리머(Diethylene Glycol/DMAP Acrylamide/PEG-180/HDI Copolymer) 및 에이치디아이/피피지/폴리카프롤락톤크로스폴리머(HDI/PPG/PolycaprolactoneCrosspolymer)로 이루어진 그룹으로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이치디아이 유닛을 함유하는 폴리머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70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40 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는 0.5 내지 20 중량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1 내지 1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에서 근적외선 차단능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전술한 에이치디아이 유닛을 함유하는 폴리머 외에 무기 분말 및 유기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분말은 근적외선 차단 능력 및 적외선 차단 능력을 지니고, 유기 화합물은 자외선 차단능력을 가지므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무기 분말 및/또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근적외선 차단 효과를 상승시키고, 또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지게 된다.
상기 무기 분말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세륨, 산화알루미늄, 산화철, 탈크, 마이카 및 이산화지르코늄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무기 분말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5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5 내지 20 중량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10 내지 15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에서 근적외선 차단 효과 및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유기 화합물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 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실산페닐, 살리실산옥틸, 살리실산벤질, 살리실산부틸페닐, 살리실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설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 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설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및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 화합물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5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1 내지 10 중량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5 내지 1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에서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추가로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또는 향료 등의 보조제 및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화장품으로 제조하는 경우, 제조되는 화장품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과 같은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로션 등과 같은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과 같은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과 같은 메이크업 제거제, 클렌징 폼, 비누, 바디 워쉬 등과 같은 세정제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이치디아이(HDI, hexamethylenediisocyanate) 유닛을 함유하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근적외선(Near-IR) 차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에이치디아이 유닛을 함유하는 폴리머는 전술한 종류 및 함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이치디아이 유닛을 함유하는 폴리머를 피부 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용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피부 외용제 제형으로 제공될 경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와 같은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4>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으로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4의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다.
1)하기 유상성분 및 하기 착색제를 혼합하여 분산시켰다.
2)하기 수상성분을 모두 혼합하였다.
상기 1)에서 얻은 혼합물에 상기 2)에서 얻은 혼합물을 서서히 첨가하여 혼합한 후, 완전 탈기시켜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원료명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유상
성분
사이클로메치콘(중량부) 15.0 15.0 15.0 15.0 15.0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중량부) 1.0 1.0 1.0 1.0 1.0
헥실데실에칠헥사노에이트(중량부) 1.0 1.0 1.0 1.0 1.0
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코폴리머(중량부) 0.5 0.5 0.5 0.5 0.5
피이지-10디메치콘(중량부) 2.0 2.0 2.0 2.0 2.0
소르비탄세스퀴이소스테아레이트
(중량부)
0.5 0.5 0.5 0.5 0.5
착색제 에이치디아이/트리메칠올헥실락톤크로스폴리머
Plastic powder-400(중량부)
5.0 5.0 5.0 5.0
산화아연
Supersun Zn-58(중량부)
5.0
산화티탄
UV M170(중량부)
5.0
이산화지르코늄(중량부) 5.0
수상
성분
정제수(중량부)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글리세린(중량부) 2.0 2.0 2.0 2.0 2.0
디프로필렌글라이콜(중량부) 2.0 2.0 2.0 2.0 2.0
부틸렌글라이콜(중량부) 10.0 10.0 10.0 10.0 10.0
방부제,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 실험예 1> 근적외선 차단능력 시험
상기 비교예 1 및 실시예1 내지 4에서 제조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근적외선(Near-IR) 차단능력에 대한 평가는 흡수분광법(UV-VIS-NIR Spectrophotometer, V-670, TS Science社)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근적외선(Near-IR) 차단효과는 음성 대조군인 비교예 1과 실시예 1 내지 4의 근적외선 차단 효과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1은 적외선 흡수분광법(UV-VIS-NIR Spectrophotometer, V-670, TS Science社)을 통해 근적외선 차단능을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상기 그래프에서 세로축은 투과도(%T)를 나타낸다. 근적외선은 760 내지 3000 nm 범위의 파장으로서 이 범위의 파장을 적게 투과할수록 근적외선(Near-IR) 차단능이 우수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1500 nm에서의 투과도는 약 70% 이하로, 80% 이상의 투과도를 보이는 비교예에 비해 우수한 근적외선 차단능력을 보인다. 특히, 에이치디아이 유닛과 산화티탄을 사용한 실시예 3 및 에이치디아이유닛과 이산화지르코늄을 사용한 실시예 4의 근적외선 파장에서의 투과도가 50% 이하로, 근적외선 파장 영역의 빛을 가장 우수하게 차단 및 회피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비교예 2 및 실시예 5 내지 6>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으로 비교예 2 및 실시예 5 내지 6의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다.
1)하기 유상성분을 모두 혼합하여 분산시켰다.
2)하기 수상성분을 모두 혼합하였다.
상기 2)에서 얻은 혼합물에 상기 1)에서 얻은 혼합물을 서서히 첨가하여 혼합한 후, 완전 탈기시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성분 원료명 비교예2 실시예5 실시예6
유상
성분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중량부) 5.00 5.00 5.00
헥실데실에칠헥사노에이트(중량부) 2.00 2.00 2.00
퍼플루오로노닐에칠스테아릴디메치콘(중량부) 0.50 0.50 0.50
폴리솔베이트60(중량부) 1.50 1.50 1.50
쉐어버터(중량부) 1.00 1.00 1.00
디메치콘(중량부) 0.50 0.50 0.50
수상
성분
정제수(중량부) To 100 To 100 To 100
글리세린(중량부) 5.00 5.00 5.00
디프로필렌글라이콜(중량부) 4.00 4.00 4.00
잔탄검(중량부) 적량 적량 적량
에이치디아이/트리메칠올헥실락톤크로스폴리머
Plastic powder-400(중량부)
- 5.00 -
피이지-240/에이치디아이코폴리머비스-데실테트라데세스-20에텔
ADEKA NOL GT-700(중량부)
- 5.00
방부제, 향료 적량 적량 적량
< 실험예 2> 근적외선 차단능력 시험
상기 비교예 2 및 실시예 5 내지 6에서 제조한 영양화장수의 근적외선(Near-IR) 차단능력에 대한 평가는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에이치디아이 유닛의 종류와 관계 없이 공통적으로 근적외선 파장영역의 빛을 차단 및 회피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8)

  1. 에이치디아이(HDI, hexamethylenediisocyanate) 유닛을 함유하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근적외선(Near-IR)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에이치디아이 유닛을 함유하는 폴리머는 에이치디아이/트리메칠올헥실락톤크로스폴리머, 피이지-240/에이치디아이코폴리머비스-데실테트라데세스-20에텔, 디에칠렌글라이콜/디맵아크릴아마이드/피이지-180/에이치디아이코폴리머 및 에이치디아이/피피지/폴리카프롤락톤크로스폴리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에이치디아이 유닛을 함유하는 폴리머는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70 중량부로 포함되는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세륨, 산화알루미늄, 산화철, 탈크, 마이카 및 이산화지르코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무기 분말을 추가로 포함하는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무기 분말은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되는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실산페닐, 살리실산옥틸, 살리실산벤질, 살리실산부틸페닐,살리실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설폰산및그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설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및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기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유기 화합물은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되는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8. 에이치디아이(HDI, hexamethylenediisocyanate) 유닛을 함유하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근적외선(Near-IR) 차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130008875A 2013-01-25 2013-01-25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959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875A KR20140095904A (ko) 2013-01-25 2013-01-25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875A KR20140095904A (ko) 2013-01-25 2013-01-25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904A true KR20140095904A (ko) 2014-08-04

Family

ID=51744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875A KR20140095904A (ko) 2013-01-25 2013-01-25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590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21945B1 (de) Schaumförmige Licht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wasserlöslichen Lichtschutzsubstanzen und grenzflächenaktiven Substanzen
KR101061289B1 (ko) 무기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8635244A (zh) 聚甘油-10硬脂酸酯在防晒制剂中的提高接触角从而改进耐水性的用途
EP2286908A2 (de) Lösungsvermittler für kosmetische Zubereitungen
EP1127568A2 (de)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Lichtshutzformulierungen mit einem Gehalt an Benzotriazolderivaten und Alkylnapthalaten
EA024306B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личной гигиены
WO2016164744A1 (en) Protective action of lutein against blue light on human skin cell lines
DE10038713B4 (de)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Lichtschutzformulierungen mit einem Gehalt an unsymmetrisch substituierten Triazinderivaten und Dialkyladipaten
EP2034949B2 (de) Verfahren zur erhöhung des lichtschutzfaktors einer kosmetischen und/ oder dermatologischen zubereitung
EP1582201B1 (de) Verwendung von unsymmetrisch substituierten Triazinderivaten zur Erzielung oder Erhöhung der Löslichkeit von symmetrisch substituierten Triazinderivaten in Ölkomponenten
CN105120831B (zh) 包含脂肪酸和非离子线性聚合物的防晒组合物
KR20130138551A (ko) 점도 안정화 특성을 갖는 조성물
EP0826360B1 (de) Verwendung von Dibenzoylmethanderivaten zur Erzielung oder Erhöhung der Löslichkeit von Triazinderivaten in Ölkomponenten
EP0884048B1 (de)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Emulsionen, enthaltend Alkylglucoside und erhöhte Elektrolytkonzentrationen
EP1180360B2 (de)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Lichtschutzformulierungen mit einem Gehalt an unsymmetrisch substituierten Triazinderivaten und Dialkylcarbonaten
KR20140095904A (ko)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P0824913A2 (de) Verwendung von Campherderivaten zur Erzielung oder Erhöhung der Löslichkeit von Triazinderivaten in Ölkomponenten
KR101129755B1 (ko) 자외선 c(uvc) 차단용 조성물
EP0868904A2 (de) Lichtschutz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basischen Aminosäuren und wasserlöslichen UV-Filtersubtanzen
EP0687171A1 (de) Verwendung von trans-urocaninsäure als antioxidans sowie zur prophylaxe und behandlung der hautalterung
DE19651055B4 (de)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Lichtschutzformulierungen mit einem Gehalt an Triazinderivaten und Dimethylisosorbid und deren Verwendung
DE102020205042A1 (de) Farbstabiles Sonnenschutzmittel
EP0882445B1 (de)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Lichtschutzformulierungen mit einem Gehalt an Triazinderivaten und Mono- Di- und/oder Trialkylestern der Phosphorsäure
EP1055414A1 (de)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Lichtschutzzubereitungen mit einem Gehalt an Bornitrid und sulfonierten UV-Filtersubstanzen sowie die Verwendung von Bornitrid zur Stabilisierung von Emulsionen, die einen Gehalt an Elektrolyten, insbesondere einen Gehalt an sulfonierten UV-Filtersubstanzen, aufweisen
EP0824912A2 (de) Kosmetische und dermatologische Lichtschutzformulierungen mit einem Gehalt an Triazinderivaten und Glycerin-mono-bzw. -dicarbonsäure-monoester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