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5645A - 물건을 매개로 한 폐쇄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물건을 매개로 한 폐쇄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5645A
KR20140095645A KR1020130008041A KR20130008041A KR20140095645A KR 20140095645 A KR20140095645 A KR 20140095645A KR 1020130008041 A KR1020130008041 A KR 1020130008041A KR 20130008041 A KR20130008041 A KR 20130008041A KR 20140095645 A KR20140095645 A KR 20140095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evice
identifier information
medium
sns page
p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8783B1 (ko
Inventor
장석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차후
장석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차후, 장석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차후
Priority to KR20130008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8783B1/ko
Publication of KR20140095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5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31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건을 매개로 하여 자동으로 구축되는 폐쇄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물건으로서의 매체 인터페이스; 매체 인터페이스에 부착되며, 그룹 SNS 페이지의 식별자 정보를 저장하는 매체; 매체의 상기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SNS 페이지에 메시지를 업로드하는 제 1 사용자 디바이스; 매체에 근접하여 상기 식별자 정보를 취득하는 수단을 가지며 그룹 SNS 페이지에서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 2 사용자 디바이스; 및 식별자 정보와 매치 되는 계정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를 포함한다.
제 2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식별자 정보를 취득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가 미리 설정한 상기 SNS 페이지에 자동으로 접속하게 된다.

Description

물건을 매개로 한 폐쇄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CLOSED TYPE SOCIAL NETWORK SERVICE METHOD USING PRODUCT AND SYSTEM OF THE SAME}
본 발명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관한 것이며, 특히 폐쇄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여 이용하는 방법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람은 관계를 맺으면서 사회활동을 한다. 직접 만나거나 서신을 교환하면서 맺어진 인간관계는 과학기술의 발달로 놀라운 변화를 보이고 있다. 통신과 인터넷 기술은 온라인 세계를 열어젖혔지만, 대개 정보를 검색, 생산, 유통하거나 또는 쌍방향 통신을 하는 데 초점이 있었다. 사람들은 이메일을 통해서 혹은 블로그나 인터넷 카페를 통해서 온라인 세계에서 관계를 맺기 시작했다.
그런데 인간관계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대규모로 무게 중심을 옮기게 된 계기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의 등장이었다. 그 대표적으로 페이스북TM과 트위터TM가 있다. 그리고 모바일 메신저도 그런 역할을 하기 시작했다. 인간관계는 온라인을 통해서 실시간으로 만들어지고 또한 실시간으로 소통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그리고 이것은 엄청난 규모의 신종 산업으로 발전했다.
이와 같은 소셜 네트워크가 폭증하게 된 배경에는 엄청나게 빠른 스마트폰이나 소형 태블릿 PC의 보급이 있었다. 수많은 사람의 손 안에는 하나의 작은 컴퓨터가 있었고, SNS를 구동하는 소프트웨어가 그 컴퓨터에서 실시간으로 실행되었다. 사람들은 자신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서 언제, 어디에서든지 실시간으로 친구의 소식을 듣고, 친구에게 메시지를 보내며 대화를 할 수 있게 됐다.
그러나 너무 많은 소셜 네트워크는 부작용과 불편함을 초래하기도 했다. “친구”는 너무 많이 늘었다. 친구의 특성이 제대로 고려되지 않았다. 온라인에서의 친구와 오프라인에서의 친구 사이에 큰 간극이 있었다. 사람들은 처음에 환호하고 즐거웠으나 공허함을 느끼곤 했다. 사람은 온라인을 통해서 즐거움을 찾을 수 있지만, 그가 실제 생활하는 곳은 오프라인이다. 그의 실존은 오프라인에 있고, 오프라인에서의 인간관계는 온라인에서의 인간관계보다 훨씬 폐쇄적이기 때문에(서로 알고 친한 사람만의 인간관계), 온라인에서의 관계의 범람이 오히려 SNS의 부작용으로 지적되곤 했다.
그렇지만 오프라인에서의 사회적 관계를 매개로 한 어떤 행위 혹은 이벤트가 온라인에서의 소셜 네트워크에 통합되는 시스템은 알려지지 않았다. 그리고 오프라인에서의 친구관계끼리 벌어지는 어떤 행위 또는 이벤트가 동일 범위로 온라인에서의 친구관계로 네트워킹되는 시스템도 알려지지 않았다. 종래의 SNS는 오프라인과 온라인 사이에 어떤 매개점을 가지지 못했다. 오프라인은 오프라인이고, 온라인은 온라인이었다.
본 발명의 발명가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안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 노력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오프라인에서 벌어지는 이벤트를 중심으로 온라인에서의 소셜 네트워킹이 구성되는 신규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폐쇄적인 오프라인 친구관계의 특성을 고려하여 오프라인에서 연유하는 폐쇄적인 SNS를 자동으로 구성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프라인에서 친구관계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이벤트는 친구사이에서 언제든지 이루어지는 게 아니고, 어떤 기쁘고 즐겁고 행복한 일에 관련되기 때문에 그와 관련된 오프라인에서의 축하 이벤트를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로 연동함에 있다. 그런 것으로는 생일, 결혼, 출산, 돌잔치, 입학, 졸업, 개업, 가족파티, 승진 등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국면은 물건을 매개로 한 폐쇄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물건으로서의 매체 인터페이스;
상기 매체 인터페이스에 부착되며, 그룹 SNS 페이지의 식별자 정보를 저장하는 매체;
상기 매체의 상기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SNS 페이지에 메시지를 업로드하는 제 1 사용자 디바이스;
상기 매체에 근접하여 상기 식별자 정보를 취득하는 수단을 가지며 상기 SNS 페이지에서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 2 사용자 디바이스; 및
상기 식별자 정보와 매치 되는 계정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식별자 정보를 취득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가 미리 설정한 상기 SNS 페이지(-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미리 등록되어 있는 메시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포함한다)에 자동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건을 매개로 한 폐쇄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매체는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이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상기 식별자 정보를 취득하는 수단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건을 매개로 한 폐쇄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매체는 바코드이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상기 식별자 정보를 취득하는 수단은 카메라 모듈에 의해 상기 바코드의 이미지를 취득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건을 매개로 한 폐쇄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SNS 페이지는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실행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통지하는 축하 이벤트를 위한 SNS 페이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국면은 물건을 매개로 한 폐쇄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으로서:
그룹 SNS 페이지의 식별자 정보를 저장하는 매체가 부착된 물건에 대한 구매 이벤트가 발생하고, 이 물건을 매개로 한 폐쇄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으로서:
(a)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SNS 페이지의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SNS 페이지에 접속하고 콘텐츠를 업로드 하는 단계;
(b) 제 2 사용자 디바이스가 배송된 상기 물건의 상기 매체에 근접하여 상기 식별자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c)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식별자 정보를 취득하면 상기 SNS 페이지에 자동으로 접속하는 단계(-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가 미리 등록한 콘텐츠를 열람한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건을 매개로 한 폐쇄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매체는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이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상기 식별자 정보를 취득하는 수단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건을 매개로 한 폐쇄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매체는 바코드이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상기 식별자 정보를 취득하는 수단은 카메라 모듈에 의해 상기 바코드의 이미지를 취득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건을 매개로 한 폐쇄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SNS 페이지는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실행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통지하는 축하 이벤트를 위한 SNS 페이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오프라인에서 벌어지는 이벤트를 중심으로 온라인에서의 폐쇄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오프라인 친구관계의 특성이 온라인으로 효과적으로 조직될 수 있으며, 이것이 가장 적극적인 시점과 가장 편리한 방법으로 자동으로 네트워킹 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오프라인에서 친구관계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이벤트는 친구사이에서 언제든지 이루어지는 게 아니고, 어떤 기쁘고 즐겁고 행복한 일에 관련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오프라인 친구관계의 특성을 “축하 이벤트”라는 적극적인 시스템을 이용하게 된다. 또한, 이런 축하 이벤트는 “물건”을 매개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그 물건의 어떤 표지(매체)를 자신의 스마트폰으로 비접촉 방식으로 무선 인식하거나 혹은 카메라로 캡쳐하는 것만으로 자동으로 온라인 네트워킹, 콘텐트의 주고받음, 메시지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매체의 식별표지를 이용하여 어떻게 네트워킹을 하는지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생일축하 이벤트에 적용한 시나리오 구성 도면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시스템은 물건(100)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 물건을 매개로 하여 온라인(모바일 네트워크를 포함한다)의 소셜 네트워크가 구축된다. 소셜 네트워크는 서비스 서버(300)가 제공하는 네트워킹 플랫폼을 이용하며, 사용자 디바이스(210, 220)는 이 소셜 네트워크의 가입자의 지위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소셜 네트워크에서 가입자는 자신의 계정을 이용하여 특정한 폐쇄형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가입자 스스로 생성하는 것이다. 예컨대 페이스북과 같은 SNS 플랫폼에서 “그룹 페이지”를 생성하거나, 카카오톡과 같은 모바일 메시지 플랫폼에서 “그룹 채팅방”을 생성함으로써 가입자는 자기만의 폐쇄형 SNS 페이지를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서비스 서버(300)가 그와 유사한 SNS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 가입자는 이 SNS 페이지의 존재를 알 수 없다. 그러므로 어떤 가입자들에게 이 SNS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는 식별자 정보를 제공하고, 그 식별자 정보를 취득한 가입자가 해당 SNS 페이지에 접속하도록 함으로써, 이 SNS 페이지가 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애플리케이션 기능 관점에서 보자면, 도 2와 같이 이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어떤 소셜 네트워크 플랫폼의 가입자로서, 사용자 화면(250)을 통해서 일련의 이벤트를 실행한다. 사용자 화면(250)에는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정해지는 계정 페이지가 표시될 것이다. 이것은 기본 구성이 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어떤 그룹 페이지를 생성하거나 또는 그룹 채팅방을 개설할 수도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에서는 식별자 정보(151)를 이용하여 그런 생성/개설 이벤트를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구성모듈일 수도 있다. 기본 구성이 정해져 있는데, 식별자 정보(151)를 취득함으로써 부가 구성(그룹 페이지)이 자신의 계정 페이지에 추가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자신의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식별자 정보를 취득하면 바로 그때 본 발명의 SNS 페이지(251)가 그룹 페이지로 생성되거나(최초로 식별자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 혹은 생성된 SNS 페이지(251)에 자동으로 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 SNS 페이지의 “그룹”에 속하는지 여부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식별자 정보를 가입자가 취득하느냐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만일 식별자 정보를 취득하지 못하면 해당 SNS 페이지에 접속할 수 없으므로 그런 점에서 폐쇄형 SNS의 성격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어떻게 가입자가 상기 식별자 정보를 취득하는지 자세히 설명된다.
서비스 서버(200)는 물건(100)을 판매하거나 제공하는 물건 제공자(미도시)와 시스템을 구축한다. 물건 제공자는 물건(100)(물건의 포장을 포함한다)에 식별자 정보를 저장하는 매체를 부착할 수 있으며(본 명세서에 매체를 물건에 부착하는 것은 물건에 매체를 인쇄하는 개념을 포함한다), 이 식별자 정보는 서비스 서버(200)가 물건 제공자에게 미리 전달한다. 그리고 가입자(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서 해당 식별자 정보가 취득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디바이스(210, 제 1 사용자 디바이스)가 물건을 구입하면서 해당 물건(100)에 부착된 매체(110)를 내장된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매체 이미지를 획득하고, 여기에서 매체(110)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자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이 경우 매체(110)는 바코드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매체(110)는 공지의 2차원 바코드, 그 중에서도 QR 코드일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10)가 매체(110)에 근접하여 바코드 이미지를 획득하고, 사용자 디바이스(210)에 설치되어 있는 바코드 전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소망하는 식별자 정보를 얻게 되면, 그러면 미리 정의되어 있는 SNS 페이지가 그룹 페이지로 생성되거나 생성된 그룹 페이지에 자동으로 접속한다. 여기에서 “자동”이라 함은 매체(110)에 대응하는 바코드 이미지를 획득하자마자 해당 SNS 페이지에 접속하는 것뿐만 아니라, 어떤 순차적인 이벤트의 개입도 포함하는 표현이다. 예컨대 접속할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도 포함한다. 이하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매체(110)는 RFID 태그, 더욱 바람직하게는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에 의해 비접촉으로 스마트폰과 통신할 수 있는 NFC 태그일 수 있다. 이 태그가 물건(100)에 부착되고, 사용자 디바이스(210)가 매체(110)에 근접하여 이 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자 정보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사용자 디바이스(210)는 복수일 수 있다. 가까이 있는 물건과의 직접적인 관계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사용자 디바이스가 SNS 메시지, 모바일 인스턴트 메시지, 쪽지 메시지, 이메일 등의 통신방법에 의해서 획득된 바코드 이미지를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고, 그때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SNS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가 본 발명의 폐쇄형 SNS 시스템의 “친구”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식별자 정보(151)를 이용하여 SNS 페이지(251)접속함과 동시에 그룹 페이지(SNS 페이지)에 속하는 “친구”가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상기 SNS 페이지(251)는 어떤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에게 축하 이벤트를 하는 서비스로 최적화될 수 있다 그리고 물건(100)은 축하를 하거나 혹은 축하할 이벤트를 알리는 수단일 수 있다. 이것은 선물일 수 있으며, 안내장일 수도 있다. 이 물건의 형태와 종류에 의해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시스템과 프로세스가 적용되는 축하 이벤트로서, 생일, 결혼, 출산, 돌잔치, 입학, 졸업, 개업, 가족파티, 승진 등이 있다. 축하 이벤트는 온라인에서는 축하 이벤트 콘텐츠의 업로드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SNS 페이지(251)에 텍스트(이를테면 축하 메시지), 이미지, 동영상을 업로드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것처럼 축하 이벤트에 관련한 물건(100)이 이 축하 이벤트 콘텐츠가 업로드 된 온라인상의 SNS 페이지에 접속하도록 하는 매개 역할을 한다.
즉, 제 2 사용자 디바이스(220)가 자신에게 배송된 물건(100)의 매체(110)에 저장된 식별자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전술한 SNS 페이지(251)에 자동으로 접속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의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SNS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와 물건을 판매하는 물건 제공자는 미리 시스템을 구축하게 된다. 예컨대 물건에 식별자 정보를 저장한 매체를 부착한다(S100).
다음으로 이 매체가 부착된 물건에 대한 구매 이벤트가 발생한다(S110). 상기 S110 단계가 발생하면 이하의 도 3의 프로세스와 별도로 오프라인상에서의 배송 절차가 행해질 것이다.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는 매체의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SNS 페이지에 접속한다(S120). 전술한 것처럼 매체는 바코드일 수 있으며 또는 NFC 태그일 수도 있다. 디바이스를 매체에 근접시킴으로써 자동으로 SNS 페이지에 접속하게 되는 것이다.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는 복수일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모든 제 1 사용자 디바이스가 물건에 부착되어 있는 매체에 디바이스를 근접하여 식별자 정보를 취득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통해서 식별자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혹은 온라인을 통해서 물건을 주문하는 경우에, 판매자로부터의 통신을 통해서 식별자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S120 단계는 임의적이다.
어쨌든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는 폐쇄형 그룹 페이지인 SNS 페이지에 접속하는 식별자 정보를 취득하며, 이 SNS 페이지에서 축하 이벤트 콘텐츠를 사용자마다 개별적으로 업로드할 수 있다(S130).
별도의 배송 절차에서 제 2 사용자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제 1 사용자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주문한 물건을 배송받게 된다. 그러면 제 2 사용자 디바이스가 배송된 물건에 표시된 매체에 근접하여 식별자 정보를 취득한다(S140). 이렇게 식별자 정보를 디바이스가 취득함으로써 자동으로 상기 SNS 페이지로 자동 접속할 수 있다(S150). 그리고 제 1 사용자 디바이스들이 업로드한 축하 이벤트 콘텐츠를 열람한다(S160).
도 4는 도 3의 프로세스를 베이커리 시장에 적용을 한 시나리오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축하 화환이나 꽃바구니 결혼청첩장 등과 관련하여 다양한 시나리오를 가질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와 베이커리(예컨대 프랜차이즈 베이커리) 간의 시스템이 구축될 것이다(S1). 베이커리는 다수의 바코드 또는 NFC 태그를 보유할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이들 바코드 또는 NFC 태그는 케익의 포장지에 부착된다. 전술한 것처럼 이들 바코드 또는 NFC 태그는 매체로 기능하며, SNS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는 식별자 정보를 갖는다.
다음으로 유저 1이 베이커리에서 축하 케익을 구매하는 구매 이벤트가 발생하는데, 이때 디바이스를 바코드 또는 NFC 태그에 근접함으로써 SNS 페이지 접속용 식별자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S2).
식별자 정보는 S2 과정에서 취득될 수 있으며, 통신수단에 의해서 취득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SNS 페이지에 접속하게 되는데, 이것은 곧 그룹에 속하는 친구관계로 자동으로 등록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친구”들이 SNS 페이지에 축하 이벤트 콘텐츠를 업로드를 한다(S3). 축하 메시지를 업로드하는 것이며, 이미지와 동영상 콘텐트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오프라인에서는 구매 이벤트의 대상이 된 축하 케익이 선물로 유저 2에게 배송된다(S4).
유저 2는 케익 포장에 표시된 매체에 디바이스를 근접하여 식별자 정보를 취득하고(S5), 상기 SNS 페이지에 자동으로 접속하여 친구들이 업로드한 콘텐츠를 열람한다(S6).
유저 2 또한 SNS의 가입자로서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쓰고, 읽고, 채팅할 수 있다(S7). 특히 채팅 이벤트의 관점에서 보자면, 서비스 서버가 가입자들에게 그룹 채팅 방 계정을 자동으로 만들어주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축하 이벤트는 시기성이 있고, 통상 제한된 시간 범위를 가지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본 발명의 상기 그룹핑을 하는 그룹 SNS 페이지의 의미성이 낮아진다. 하지만 축하는 추억으로 기록될 수 있다. 이 경우 그 정보를 다른 매체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계속 사용할 수도 있다. 탈퇴하거나 그룹 계정을 삭제할 수도 있다.
(1) 본 발명의 사용자 디바이스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지칭하며,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이다.
(2) 본 발명의 그룹 SNS 페이지는 어떤 SNS 플랫폼이 갖고 있는 여러 가지 페이지 이외에, 다수의 가입자를 단일한 그룹으로 형성하는 페이지를 지칭한다. 기본적으로 서비스 서버가 식별자 정보에 매치되는 SNS 페이지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그룹 SNS 페이지에는 관련 물건 제공자의 광고 콘텐트가 부가될 수 있다.
(3) 식별자 정보는 SNS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는 URL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8)

  1. 물건으로서의 매체 인터페이스;
    상기 매체 인터페이스에 부착되며, 그룹 SNS 페이지의 식별자 정보를 저장하는 매체;
    상기 매체의 상기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SNS 페이지에 메시지를 업로드하는 제 1 사용자 디바이스;
    상기 매체에 근접하여 상기 식별자 정보를 취득하는 수단을 가지며 상기 SNS 페이지에서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 2 사용자 디바이스; 및
    상기 식별자 정보와 매치 되는 계정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식별자 정보를 취득하면, 상기 서비스 서버가 미리 설정한 상기 SNS 페이지(-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미리 등록되어 있는 메시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포함한다)에 자동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을 매개로 한 폐쇄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는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이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상기 식별자 정보를 취득하는 수단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물건을 매개로 한 폐쇄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는 바코드이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상기 식별자 정보를 취득하는 수단은 카메라 모듈에 의해 상기 바코드의 이미지를 취득하는 것인, 물건을 매개로 한 폐쇄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NS 페이지는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실행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통지하는 축하 이벤트를 위한 SNS 페이지인, 물건을 매개로 한 폐쇄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5. 그룹 SNS 페이지의 식별자 정보를 저장하는 매체가 부착된 물건에 대한 구매 이벤트가 발생하고, 이 물건을 매개로 한 폐쇄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으로서:
    (a)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SNS 페이지의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SNS 페이지에 접속하고 콘텐츠를 업로드 하는 단계;
    (b) 제 2 사용자 디바이스가 배송된 상기 물건의 상기 매체에 근접하여 상기 식별자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c)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식별자 정보를 취득하면 상기 SNS 페이지에 자동으로 접속하는 단계(-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가 미리 등록한 콘텐츠를 열람한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을 매개로 한 폐쇄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는 근거리 무선 통신 태그이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상기 식별자 정보를 취득하는 수단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물건을 매개로 한 폐쇄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는 바코드이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상기 식별자 정보를 취득하는 수단은 카메라 모듈에 의해 상기 바코드의 이미지를 취득하는 것인, 물건을 매개로 한 폐쇄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SNS 페이지는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실행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제 2 사용자 디바이스로 통지하는 축하 이벤트를 위한 SNS 페이지인, 물건을 매개로 한 폐쇄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KR20130008041A 2013-01-24 2013-01-24 물건을 매개로 한 폐쇄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478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8041A KR101478783B1 (ko) 2013-01-24 2013-01-24 물건을 매개로 한 폐쇄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8041A KR101478783B1 (ko) 2013-01-24 2013-01-24 물건을 매개로 한 폐쇄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645A true KR20140095645A (ko) 2014-08-04
KR101478783B1 KR101478783B1 (ko) 2015-01-05

Family

ID=51743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08041A KR101478783B1 (ko) 2013-01-24 2013-01-24 물건을 매개로 한 폐쇄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87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575A (ko) 2018-02-23 2019-09-02 최현일 제품/서비스 식별 정보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웹페이지/앱 프로그램 구축 시스템 및 방법
WO2019235653A1 (ko) * 2018-06-04 2019-12-12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근처 지인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00029818A (ko) * 2018-09-11 2020-03-19 주식회사 블루티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배타적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280B1 (ko) * 2003-09-25 2006-06-21 강수현 액세서리, 액세서리를 이용한 컨텐츠 정보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KR101091349B1 (ko) * 2010-10-14 2011-12-07 홍성표 유무형 상품의 정보, 리뷰를 웹 및 에스엔에스(sns)를 통해 전파, 공유하는 방법
KR20120118961A (ko) * 2011-04-20 2012-10-30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2차원 정보코드를 이용한 축하메세지 전달시스템 및 전달방법
KR20120122386A (ko) * 2011-04-29 2012-11-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차원바코드를 이용한 멀티미디어메시지 전달 방법과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575A (ko) 2018-02-23 2019-09-02 최현일 제품/서비스 식별 정보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웹페이지/앱 프로그램 구축 시스템 및 방법
WO2019235653A1 (ko) * 2018-06-04 2019-12-12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근처 지인을 파악하기 위한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1317258B2 (en) 2018-06-04 2022-04-26 LINE Plus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a for grasping nearby friend based o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KR20200029818A (ko) * 2018-09-11 2020-03-19 주식회사 블루티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배타적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8783B1 (ko) 2015-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52595B (zh) 用于提供增强现实叠加的系统和方法
US20160026626A1 (en) Memorytag Hybrid Multidimensional Bar Text Code
US20130018726A1 (en) Communicating Personalized Messages Using Quick Response (QR) Codes
CN105205081B (zh) 物品推荐方法和装置
US20130259297A1 (en) Image-related social network methods and arrangements
CN110046274A (zh) 呈现照片滤镜的系统和方法
US201701165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in-store customer couriers
CN101960826A (zh) 基于近程检测来扩充媒体的方法、系统、计算机程序和装置
US11632657B2 (en) In-person encounter system and method of use
CN106464572A (zh) 消息附件管理
US9560223B2 (en) Personal photographer mobile application
KR101273633B1 (ko) 친구 중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EP2050063A2 (en) Electronic business/personal card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180191651A1 (en) Techniques for augmenting shared items in messages
CN104135429B (zh) 一种信息推送方法和装置
CN110034998A (zh) 控制电子消息及其在传递之后的响应的计算机系统和方法
Che et al. Social networks in China
KR101478783B1 (ko) 물건을 매개로 한 폐쇄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2017011656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er-to-customer product delivery
KR102346846B1 (ko) 반려동물 용품 온라인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
McHugh et al. Near field communication: Introduction and implications
CN105243556A (zh) 基于手机app的在线交易和在线聊天娱乐的系统及操作方法
US201400400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sumer Image Capture and Review
Horst The anthropology of mobile phones
KR101798990B1 (ko) 사용자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