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5365A - 모바일 단말을 통한 학원비 결제 방법, 이를 수행하는 결제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을 통한 학원비 결제 방법, 이를 수행하는 결제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5365A
KR20140095365A KR1020130008268A KR20130008268A KR20140095365A KR 20140095365 A KR20140095365 A KR 20140095365A KR 1020130008268 A KR1020130008268 A KR 1020130008268A KR 20130008268 A KR20130008268 A KR 20130008268A KR 20140095365 A KR20140095365 A KR 20140095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ool
payment
information
settlement
instit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용
Original Assignee
박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대식 filed Critical 박대식
Priority to KR1020130008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5365A/ko
Publication of KR20140095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53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9Device specific authentication in transaction processing
    • G06Q20/4097Device specific authentication in transaction processing using mutual authentication between devices and transaction part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을 통한 학원비 결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모바일 단말,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에 의하여 소유된 신용카드와 연관된 결제카드 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학원 사업자용 계좌와 연관된 학원비 정산 서버에 연결될 수 있는 학원비 결제 서버에서 수행되는 학원비 결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학원 사업자용 계좌 중 특정 학원 사업자 계좌와 연관된 학원 사업자 정보, 학원비 결제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정의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학원비 결제 정보를 기초로 결제카드 서버에 결제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결제 승인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상기 학원 사업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학원 사업자 계좌를 검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결제카드 서버로부터 학원비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결제카드의 도난 또는 분실 위험을 방지하여 편리하고 안전하게 모바일을 통해서 수강료를 결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을 통한 학원비 결제 방법, 이를 수행하는 결제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METHOD OF PAYING PRIVATE EDUCATION FEES THROUGH MOBILE TERMINAL, SERVER PERFORMING THE SAME AND STORAGE MEDIA STOR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을 통한 학원비 결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술을 통해 편리하게 학원 수강료를 납부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을 통한 학원비 결제 방법, 이를 수행하는 결제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카드의 사용이 결제수단으로서 활성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카드는 신용카드, 체크카드, 직불카드, 현금카드, 포인트 카드 등 다양한 종류의 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 사용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모바일 단말은 카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연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74735호는 결제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이동통신 번호를 이용하여 결제를 요청할 수 있고 모바일 기기에서 생성된 인증값을 이용하여 거래요청을 인증할 수 있는 모바일 카드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모바일 카드 결제 시스템은 카드정보를 노출하지 않고 거래를 요청할 수 있어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78173호는 구매자의 정보를 판매자에게 제공하지 않고 판매자의 정보를 구매자가 인지하여 안심 결제 시스템에 전송하는 휴대폰 모바일을 이용한 안심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결제 방법은 휴대폰 모바일을 이용한 결제시스템의 신뢰성과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학부모는 학원 수강료를 결제하기 위해서 학원을 직접 방문하거나 학원을 다니는 자녀에게 카드를 맡겨 결제하여야 하므로, 카드의 분실 및 도난의 위험이 증가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74735호 한국등록특허 제10-1078173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바일 기술을 통해 편리하게 학원 수강료를 납부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을 통한 학원비 결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학부모 이외의 결제자가 카드를 소유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결제카드의 도난 또는 분실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모바일 단말을 통한 학원비 결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학원비 결제 방법은 모바일 단말,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에 의하여 소유된 신용카드와 연관된 결제카드 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학원 사업자용 계좌와 연관된 학원비 정산 서버에 연결될 수 있는 학원비 결제 서버에서 수행되는 학원비 결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학원 사업자용 계좌 중 특정 학원 사업자 계좌와 연관된 학원 사업자 정보, 학원비 결제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정의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학원비 결제 정보를 기초로 결제카드 서버에 결제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결제 승인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상기 학원 사업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학원 사업자 계좌를 검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결제카드 서버로부터 학원비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a)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사용되는 학원 식별가능 형식 언어(user identifiable formal language)를 상기 학원비 결제 서버에 의하여 정의된 학원 고유 식별자로서 상기 학원 사업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학원 사업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수신된 학원 사업자 정보를 검색하여 만일 성공적으로 검색되면 해당 학원 사업자 정보와 해당 학원 사업자용 계좌가 연관되어 있는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수신된 학원 사업자 정보의 오류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수신된 학원 사업자 정보의 오류가 검출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에 학원 사업자 정보 오류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문법 필터를 통해 결제 사용자 형식 정보와 결제 사용자 비형식 정보로 분석하여 학원 사업자와 미리 형식적으로 정의된 결제 사용자 레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결제 사용자 레코드를 해당 학원 사업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d) 단계는 학원 사업자별로 정의될 수 있는 결제 대행 규약에 따라 상기 결제카드 서버로부터 수신된 학원비를 결제 대행 수수료와 실제 입금 학원비로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는 상기 결제 대행 수수료가 상기 수신된 학원비에 대한 특정 비율 이상인 경우 상기 결제 대행 수수료에 대해 할인율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결제 대행 수수료에 대해 할인율은 하기의 수학식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RATEDC = f(H_per)*g(f_per)*C, C는 결제 대행 수수료, f(H_per)는 수신된 학원비에 대한 비율 함수, g(f_per)는 f(H_per)에 대한 할인 함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신된 학원비의 적어도 일부가 해당 학원 사업자용 계좌에 이체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에 학원 식별가능 형식 언어로 표현된 학원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학원비 결제 서버는 모바일 단말,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에 의하여 소유된 신용카드와 연관된 결제카드 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학원 사업자용 계좌와 연관된 학원비 정산 서버에 연결될 수 있는 학원비 결제 서버에서 수행되는 학원비 결제 서버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학원 사업자용 계좌 중 특정 학원 사업자 계좌와 연관된 학원 사업자 정보, 학원비 결제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정의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학원비 결제요청 수신부, 상기 학원비 결제 정보를 기초로 결제카드 서버에 결제 승인을 요청하는 결제 승인 요청부, 상기 결제 승인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상기 학원 사업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학원 사업자 계좌를 검출하는 계좌 검출부 및 상기 결제카드 서버로부터 학원비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결제 수수료 수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학원비 결제요청 수신부는 학원 사업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수신된 학원 사업자 정보를 검색하여 만일 성공적으로 검색되면 해당 학원 사업자 정보와 해당 학원 사업자용 계좌가 연관되어 있는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수신된 학원 사업자 정보의 오류를 검출하는 오류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학원비 결제요청 수신부는 상기 수신된 학원 사업자 정보의 오류가 검출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에 학원 사업자 정보 오류를 송신하는 오류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학원비 결제요청 수신부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문법 필터를 통해 결제 사용자 형식 정보와 결제 사용자 비형식 정보로 분석하여 학원 사업자와 미리 형식적으로 정의된 결제 사용자 레코드를 생성하는 사용자 레코드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결제 사용자 레코드를 해당 학원 사업자에게 알리는 사용자 레코드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학원비의 적어도 일부가 해당 학원 사업자용 계좌에 이체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에 학원 식별가능 형식 언어로 표현된 학원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완료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학원비 결제를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는 모바일 단말,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에 의하여 소유된 신용카드와 연관된 결제카드 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학원 사업자용 계좌와 연관된 학원비 정산 서버에 연결될 수 있는 학원비 결제 서버에서 수행되는 학원비 결제를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학원 사업자용 계좌 중 특정 학원 사업자 계좌와 연관된 학원 사업자 정보, 학원비 결제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정의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학원비 결제 정보를 기초로 결제카드 서버에 결제 승인을 요청하는 기능, 상기 결제 승인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상기 학원 사업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학원 사업자 계좌를 검출하는 기능 및 상기 결제카드 서버로부터 수신된 학원비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학원비 정산 서버에 의하여 관리될 수 있는 학원비 결제 계좌에 입금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을 통한 학원비 결제 방법은 모바일 기술을 통해 편리하게 학원 수강료를 납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을 통한 학원비 결제 방법은 결제카드의 도난 또는 분실 위험을 감소시켜 간편하고 안전하게 학원비를 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을 통한 학원비 결제 방법과 이와 관련된 기술들은 결제 정보 및 공지사항을 실시간으로 알림 서비스 받을 수 있어 메시지 전송에 따른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통한 학원비 결제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학원비 결제 서버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학원비 결제요청 수신부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학원비 결제 서버에서 수행되는 결제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결제카드 서버에서 수행되는 결제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학원비 결제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결제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통한 학원비 결제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학원비 결제 시스템(100)은 학원비 결제 서버(110), 모바일 단말(120), 결제카드 서버(130) 및 학원비 정산 서버(140)를 포함하고, 이들은 유선 또는 무선의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를 통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학원비 결제 서버(110)는 학원비 결제를 처리하는 컴퓨팅 장치로서, 예를 들면, 학원비 결제 서버(110)는 모바일 단말(120)을 통해 학원비 결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모바일 단말(120)은 학원비 결제 수단과 연동할 수 있고, 학원비 결제 수단은 신용카드, 체크카드 또는 스마트카드에 해당할 수 있으며, 학원비 결제 정보는 결제 금액을 포함하는 결제 내역에 해당할 수 있다.
학원비 결제 서버(110)는 모바일 단말(120) 및 결제카드 서버(130) 에 연결될 수 있다. 결제카드 서버(130)는 모바일 단말(120)의 사용자에 의하여 소유된 신용카드와 연관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20)은 결제 수단의 소유자(즉, 사용자)에 의하여 휴대되는 컴퓨팅 장치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학원비 결제 서버(110)와 연동하여 학원비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120)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에 해당할 수 있다.
결제카드 서버(130)는 해당 결제수단(예를 들어, 신용카드)의 결제 기관(예를 들어, 신용카드 회사)과 연관될 수 있고, 모바일 단말(120)에서 사용되는 결제 수단과 연관되어 있으며, 결제카드 서버(130)는 학원비 결제 서버(110)에서 요청된 결제 승인을 허락하거나 또는 거절할 수 있다.
결제카드 서버(130)는 학원비 결제 서버(110)로부터 학원비 결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결제카드 서버(130)는 학원비 결제 정보를 기초로 결제 승인 또는 결제 거절을 수행할 수 있고, 학원비 결제 서버(110)로 해당 내역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제카드 서버(130)는 학원비 정산 서버(140)와 연동하여 학원비 결제 정보와 실제 학원비 결제 정보의 일치 여부를 체크할 수 있고, 이러한 체크 후에 학원비 결제를 승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제카드 서버(130)는 학원비 결제 서버(110)에서 수신된 학원비 결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생성하고, 학원비 정산 서버(140)는 실제 학원비 결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생성하여 연동된 두 서버간의 데이터베이스 매칭을 통해 학원비 결제 정보와 실제 학원비 결제 정보의 일치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결제카드 서버(130)는 학원비 결제 서버(110)로부터 학원비를 수신하여 학원비를 분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제카드 서버(130)는 수신한 학원비를 결제카드 서버(130)가 가져갈 일정 수수료, 학원비 결제 서버(110)에 입금할 수수료 및 학원비 정산 서버(140)에 입금할 학원비로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제카드 서버(130)는 학원비 결제 서버(110)로부터 100,000원을 수신하면 결제카드 서버(110)가 카드 수수료로서 가져갈 300원, 학원비 결제 서버(110)에 입금할 수수료 700원 및 학원비 정산 서버(140)에 입금할 나머지 학원비 99,000원을 분배하여 각 서버에 입금할 수 있다.
학원비 정산 서버(140)는 적어도 하나의 학원 사업자용 계좌와 연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학원비 정산 서버(140)는 학원 사업자로의 이체 편의를 위해서 특정 은행하고만 연관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다수의 학원에 대한 영업은 특정 은행에서 수행되는 것을 장려할 수 있고, 해당 은행은 이자율 증가를 포함하는 여러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학원비 정산 서버(140)는 특정 은행 계좌를 소유하고 있는 학원 사업자와 연관될 수 있다.
학원비 정산 서버(140)는 결제카드 서버(130)로부터 학원비를 수신하여 해당 학원 사업자용 계좌로 입금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학원비 결제 서버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학원비 결제 서버(110)는 학원비 결제요청 수신부(210), 결제 승인 요청부(220), 계좌 검출부(230), 결제 수수료 수신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학원비 결제요청 수신부(210)는 모바일 단말(120)로부터 학원 사업자 정보, 학원비 결제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학원비 결제요청 수신부(210)는 학원 사업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12)와 연동할 수 있다. 학원 사업자 정보는 학원 고유 식별자 및 학원 사업자 계좌를 포함할 수 있고, 학원비 결제요청 수신부(210)는 학원 고유 식별자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학원 사업자용 계좌 중 특정 학원 사업자 계좌와 연관시킨다. 여기에서, 학원 고유 식별자는 학원비 결제 서버(110)에 의하여 정의되고, 모바일 단말(120)에서 사용되는 학원 식별가능 형식 언어(user identifiable formal language)를 통해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이하, 학원 고유 식별자에 관한 구체적 구현 방법을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서, 학원비 결제요청 수신부(210)는 모바일 단말(120)에서 선택한 학원명(예를 들어, 00학원), 주소(예를 들어, 서울 동작구 노량진) 및 학원 전화번호(예를 들어, 02-123-4567)를 수신할 수 있다. 학원비 결제요청 수신부(210)는 모바일 단말(120)에서 선택한 학원 정보에 따른 수강 과목(예를 들어, 수학, 영어) 및 학원비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학원비 결제요청 수신부(210)는 모바일 단말(120)로부터 지리적 주소(즉, 학원 식별가능 형식 언어)(예를 들어, 서울 동작구 노량진에 있는 OO학원)가 수신되면 모바일 단말(120)에 기 설정된 지리적 주소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학원비 결제 서버(110)에 의하여 정의되는 학원 고유 식별자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학원비 결제 서버(110)는 모바일 단말(120)이 행정 주소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설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학원비 결제요청 수신부(210)는 모바일 단말(120)로부터 지리적 주소(즉, 학원 식별가능 형식 언어)를 수신하여 해당 지리적 주소를 학원 고유 식별자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학원 사업자 정보는 지리적 주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학원비 결제 정보는 결제 금액 및 결제 방법(예를 들어, 일시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학원비 결제요청 수신부(210)는 학원비 결제 정보에 결제 금액 이외에 학원비 결제 서버(110)에 의하여 부여되는 결제 서버 식별자를 부가할 수 있다. 여기에서, 결제 서버 식별자는 학부모가 결제카드를 다른 방법으로 사용(예를 들어, 학원에서 직접 결제)하는 것을 구분하기 위함이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에 의하여 정의되는 숫자 및/또는 문자의 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숫자 및/또는 문자의 열의 길이는 해당 사용자에게 서비스되고 분할 없이 한번에 전송될 수 있는 셀룰러 패킷 단위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LTE (Long Term Evolution) 방식으로 서비스를 받는다면 셀룰러 패킷 단위는 업링크 상의 단일 DTCH(Dedicated Traffic Channel) 패킷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정보는 학생 이름, 학부모 이름, 전화번호 및 메일주소에 해당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학원비 결제 서버(110)를 통해서 학생 이름, 학부모 이름, 전화번호 및 메일주소를 입력할 수 있다.
결제 승인 요청부(220)는 학원비 결제요청 수신부(210)에서 수신된 학원비 결제 정보를 기초로 결제카드 서버(130)에 결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승인 요청부(220)는 결제카드 서버(130)로부터 결제 승인에 따른 결제 성공 또는 결제 실패를 수신할 수 있다.
계좌 검출부(230)는 결제카드 서버(130)로부터 결제 승인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학원 사업자 정보를 기초로 특정 학원 사업자 계좌를 검출할 수 있다.
결제 수수료 수신부(240)는 결제카드 서버(130)로부터 학원비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제카드 서버(130)는 학원비를 100,000원 수신한 경우 결제카드 서버(130)에 가입되어 있는 카드 회사에 1%(1,000원)를 분배하고, 결제 수수료 수신부(240)에 2%(2,000원)를 분배하며, 학원비 정산 서버(140)에 97%(9,7000원)를 분배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학원비 결제 서버(1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학원비 결제요청 수신부(210), 결제 승인 요청부(220), 계좌 검출부(230) 및 결제 수수료 수신부(24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있는 학원비 결제요청 수신부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학원비 결제요청 수신부(210)는 오류 검출부(310), 오류 송신부(320), 사용자 레코드 생성부(330), 사용자 레코드 알림부(34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한다.
오류 검출부(310)는 학원 사업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신된 학원 사업자 정보를 성공적으로 검색하면 해당 학원 사업자 정보와 해당 학원 사업자용 계좌가 연관되어 있는지 여부를 기초로 수신된 학원 사업자 정보의 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오류 검출부(310)는 학원 사업자 정보와 학원 사업자용 계좌가 연관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만일 해당 학원 사업자 정보와 해당 학원 사업자용 계좌가 연관되어 있지 않은 경우 오류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오류 송신부(320)는 오류 검출부(310)로부터 학원 사업자 정보의 오류가 수신되면 모바일 단말(120)에 학원 사업자 정보에 대한 오류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학원 사업자 정보의 오류는 오류 코드 번호와 모바일 단말(120)의 사용자에 의하여 식별될 수 있는 오류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레코드 생성부(330)는 상기 오류 검출부(310)에서 검출된 오류가 없으면 사용자 정보를 문법 필터를 통해 결제 사용자 형식 정보와 결제 사용자 비형식 정보로 분석하여 학원 사업자와 미리 형식적으로 정의된 결제 사용자 레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 계좌 검출부(230)에 의한 결제 사용자 레코드의 생성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 레코드 생성부(330)는 문법 필터를 통해 사용자 정보로부터 결제 사용자 형식 정보와 결제 사용자 비형식 정보로 분석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문법 필터는 구문 분석기(syntax analyzer)로서, 이메일 주소 형식을 검출하는 이메일 주소 분석기, 전화번호 형식을 검출하는 전화번호 분석기 및 학원 사업자에 의하여 정의된 학원 사용자 정의 형식(예를 들어, 수강신청번호)을 검출하는 학원 사업자 정의 분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사용자 형식 정보는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및 학원 사용자 정의 형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결제 사용자 비형식 정보는 결제 사용자 형식 정보 이외의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레코드 생성부(330)는 이러한 결제 사용자 형식 정보와 결제 사용자 비형식 정보를 가지고 결제 사용자 레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결제 사용자 레코드는 학원 사업자와 미리 형식적으로 정의된 데이터 구조체로서, 예를 들어,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및 학원 사용자 정의 형식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레코드 알림부(340)는 사용자 레코드 생성부(330)에서 생성된 결제 사용자 레코드를 해당 학원 사업자에게 알릴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레코드 알림부(340)는 문법 필터를 통해 분석된 결제 사용자 형식 정보와 결제 사용자 비형식 정보 각각을 입력하여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학원비 결제요청 수신부(2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사용자 레코드 생성부(330), 사용자 레코드 알림부(340), 오류 검출부(310), 오류 송신부(320) 및 제어부(35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원비 결제 과정을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도 4는 도 1에 있는 학원비 결제 서버에서 수행되는 결제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학원비 결제요청 수신부(210)는 학원비 결제 서버(110)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모바일 단말(12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학원 사업자용 계좌 중 특정 학원 사업자 계좌와 연관된 학원 사업자 정보, 학원비 결제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하여 정의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S401). 여기에서, 학원비 결제는 결제 수단(예를 들어, 신용카드, 체크카드)을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원비 결제요청 수신부(210)는 모바일 단말(120)에서 사용되는 학원 식별가능 형식 언어(user identifiable formal language)를 학원비 결제 서버(110)에 의하여 정의된 학원 고유 식별자로서 학원 사업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오류 검출부(310)는 학원 사업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신된 학원 사업자 정보를 검색하여 학원 사업자 정보의 오류를 검출한다(단계 S402). 일 실시예에서, 학원 사업자 정보가 성공적으로 검색되면 해당 사업자 정보와 해당 학원 사업자용 계좌가 연관되어 있는지 여부를 기초로 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
오류 검출부(310)에서 오류를 검출하면(단계 S403) 오류 송신부(320)는 모바일 단말(120)에 학원 사업자 정보 오류를 송신하여 사용자에게 재입력을 요청할 수 있으며(단계 S404), 오류 검출부(310)에서 오류를 검출하지 않으면(단계 S403) 사용자 레코드 생성부(330)는 학원비 결제요청 수신부(210)에서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학원 사업자와 미리 형식적으로 정의된 결제 사용자 레코드를 생성한다(단계 S405). 예를 들어, 전화번호 및 메일주소를 포함하는 사용자 형식 정보와 사용자 이름, 학생 이름 및 메모를 포함하는 사용자 비형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생성할 수 있다.
결제 승인 요청부(220)는 학원비 결제요청 수신부(210)에서 수신된 학원비 결제 정보를 기초로 결제카드 서버(130)에 결제 승인을 요청한다(단계 S406). 일 실시예에서, 결제 승인 요청부(220)는 사용자로부터 결제수단(예를 들어, 신용카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결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결제 승인 요청부(220)는 결제카드 서버(130)로부터 결제 승인이 완료되지 않으면 결제카드 서버(130)에 결제 승인을 다시 요청한다(단계 S407, 단계 S406).
사용자 레코드 알림부(340)는 결제카드 서버(130)로부터 결제 승인이 완료되면 사용자 레코드 생성부(330)에서 생성된 결제 사용자 레코드를 학원 사업자에게 알린다(단계 S407, 단계 S408). 일 실시예에서, 학원 사업자는 학원비 결제 서버(110)에 가입되어 있어야 이용할 수 있으며, 학원비 결제 서버(110)에 학원 사업자용 계좌가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학원비 결제 서버(110)는 결제카드 서버(130)로부터 일정 금액 이상이 들어오면 추가적으로 들어온 금액을 포인트로 적립할 수 있어 일정 포인트 이상 쌓이면 현금으로 변환하여 학원비 정산 서버(140)에 입금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학원비 결제 서버(110)는 결제카드 서버(130)로부터 일정 금액 이상이 들어오면 추가 발생된 금액에 대해 일정 금액을 학원비 정산 서버(140)로 입금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있는 결제카드 서버에서 수행되는 결제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계좌 검출부(230)는 사용자 레코드 알림부(340)에서 결제 사용자 레코드를 학원 사업자에게 알리면 학원 사업자 정보를 기초로 특정 학원 사업자 계좌를 검출한다(단계 S501).
결제카드 서버(130)는 학원 사업자 별로 정의될 수 있는 결제 대행 규약에 따라 학원비 결제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학원비를 결제 대행 수수료와 실제 입금 학원비로 분배한다(단계 S502).
일 실시예에서, 결제 대행 규약은 학원 사업자의 평균 수강인원 수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고, 평균 수강인원 수가 증가할수록 결제 대행 수수료는 감소될 수 있으며, 반대로 평균 수강인원 수가 감소할수록 결제 대행 수수료는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학원 사업자 A와의 결제 대행 규약이 결제건 당 10%에 해당한다면 결제카드 서버(130)는 카드 수수료(즉, 결제카드 서버(130)에서 가져가는 수수료) 1%(즉, 1,000원)를 제외한 99%의 학원비(즉, 99,000원)에서 다시 10%(9,900원)를 학원비 결제 서버(110)에 분배하고 나머지 90%(8,9100원)를 학원비 정산 서버(140)에 분배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결제 대행 규약은 결제되는 학원비의 액수를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학원 사업자 A와의 결제 대행 규약이 결제건 당 10,000원에 해당한다면 결제카드 서버(130)는 카드 수수료(즉, 결제카드 서버(130)에서 가져가는 수수료) 1%(즉, 1,000원)를 제외한 99%의 학원비(즉, 99,000원)에서 다시 10,000원을 학원비 결제 서버(110)에 분배하고 나머지 89,000원을 학원비 정산 서버(140)에 분배할 수 있다.
여기에서, 결제카드 서버(130)는 결제 대행 수수료가 수신된 학원비에 대한 특정 비율 이상인 경우 결제 대행 수수료에 대해 할인율을 적용하고(단계 S503, 단계 S504), 결제 대행 수수료가 수신된 학원비에 대한 특정 비율 이상이 아닌 경우 결제 대행 수수료에 대해 할인율을 적용하지 않는다.
결제 대행 수수료에 대해 할인율은 하기의 수학식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RATEDC = f(H_per)*g(f_per)*C
여기에서, C는 결제 대행 규약에 따른 결제 대행 수수료, f(H_per)는 결제카드 서버(130)로 수신된 학원비에 대한 비율 함수, g(f_per)는 f(H_per)에서 할인된 결제 대행 수수료에 대해 추가된 할인 함수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학원비에 대한 비율 함수는 하기의 수학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수학식]
f(H_per) = [H_payment]*1%
여기에서, [H_payment]는 학원비에 대한 가우스 함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학원비가 100,000원, 150,000원, 180,000원인 경우 학원비에 대한 결제 대행 수수료는 1000원이고, 학원비가 1,000,000원, 1,300,000원, 190,000원인 경우 학원비에 대한 결제 대행 수수료는 10,000원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추가 할인 함수는 하기의 수학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수학식]
g(f_per) = f(H_per)*5%
예를 들면, 학원비에 대한 결제 대행 수수료가 1,000원인 경우 학원비에 대한 결제 대행 수수료 추가 할인 값은 50원이고, 학원비에 대한 결제 대행 수수료가 10,000원인 경우 학원비에 대한 결제 대행 수수료 추가 할인 값은 500원에 해당할 수 있다.
결제 대행 수수료에 대한 할인율의 예를 들면, 결제카드 서버(130)는 학원비 결제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학원비가 300,000원인 경우 결제카드 서버(130)에 가입되어 있는 카드 회사에 1%(3,000원)를 분배하고, 학원비 결제 서버(110)에 2%(6,000원)를 분배하며, 학원비 정산 서버(140)에 97%(291,000원)를 분배할 수 있다. 여기에서, 결제 대행 규약은 결제되는 학원비가 300,000원 이상인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RATEDC 가 높을수록 할인율이 높음을 의미할 수 있다.
결제카드 서버(130)는 사용자가 결제한 학원비의 적어도 일부를 계좌 검출부(230)에서 검출된 학원 사업자 계좌에 입금한다(단계 S505). 여기에서, 학원 사업자 계좌는 학원비 정산 서버(140)에 의하여 관리될 수 있다.
학원비 결제 서버(110)는 결제카드 서버(130)에서 학원비의 적어도 일부를 해당 학원 사업자용 계좌에 이체하면 모바일 단말(120)에 학원 식별가능 형식 언어로 표현된 학원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완료 메시지를 송신한다(단계 S506).
상기와 같이, 학원비가 학원비 결제 서버(110)를 통해 결제되면 하기와 같은 장점을 포함할 수 있다.
첫째, 외부 환경에 따른 장점으로는 온라인 결제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온라인 결제는 결제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결제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학원비 결제 서버(110)는 사설학원 시장이 꾸준하게 증가됨에 따라 사용되는 빈도수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학원 위치, 연락처 등 학원 기본정보와 홍보 내용을 제공받을 수 있어 학원을 선택할 수 있는 폭이 넓어질 수 있다.
둘째,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장점으로는 오프라인 결제 시 신용카드 분실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안심하고 편리하게 결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설학원 수강료 증가에 따른 가계비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사용자는 신용카드 사와 연계된 학원비 결제 서버(110)를 이용함으로써 학원비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셋째, 학원의 필요에 따른 장점으로는 학원비 납부 지연에 따른 학원 운영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 학원은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든 학원비를 결제할 수 있도록 제공해줌으로써 학원비 납부가 지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학원은 신뢰할 수 있는 채널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학원 인지도를 확산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있는 학원비 결제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결제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120)은 학원비 결제요청 수신부(210)로 학원 사업자 정보, 학원비 결제 정보 및 사업자 정보를 입력한다(단계 S601). 오류 검출부(310)는 학원 사업자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학원 사업자 정보를 검색하여 오류를 검출한다(단계 S602). 만약 오류가 검출되지 않으면 사용자 레코드 생성부(330)는 사용자 형식 정보와 사용자 비형식 정보를 분석하여 결제 사용자 레코드를 생성한다(단계 S603).
결제 승인 요청부(220)는 학원비 결제요청 수신부(210)에서 수신된 학원비 결제 정보를 기초로 결제카드 서버(120)에 결제 승인을 요청한다(단계 S604).
결제카드 서버(130)는 학원비 결제 서버(110)로부터 받은 결제승인 요청을 완료하여 학원비 결제 서버(110)로 완료 메시지(예를 들어, 결제 승인에 따른 결제 성공 또는 결제 실패 메시지)를 송신한다(단계 S605).
사용자 레코드 알림부(340)는 사용자 레코드 생성부(330)에서 생성된 결제 사용자 레코드 및 학원비 입금 완료를 학원 사업자에게 알린다(단계 S606).
계좌 검출부(230)는 학원 사업자 정보를 기초로 특정 학원 사업자 계좌를 검출하고(단계 S607), 학원비 결제서버(110)는 결제카드 서버(130)로 검출된 학원 사업자 계좌를 송신한다(단계 S608).
결제카드 서버(130)는 일정 수수료를 떼고 학원 사업자 별로 정의될 수 있는 결제 대행 규약에 따라 학원비를 분배한다(단계 S609, 단계 S610).
결제카드 서버(130)는 사용자가 결제한 학원비의 적어도 일부를 계좌 검출부(230)에서 검출된 학원 사업자 계좌에 입금한다(단계 S611). 여기에서, 학원 사업자 계좌는 학원비 정산 서버(140)에 의하여 관리될 수 있다.
결제카드 서버(130)는 학원비 분배를 통해 분배된 수수료를 학원비 결제 서버(110)로 입금하고, 학원비 결제 서버(110)에 학원비 입금 완료를 통지한다(단계 S612).
학원비 결제 서버(110)는 모바일 단말(120)에 학원 식별가능 형식 언어로 표현된 학원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완료 메시지를 송신한다(단계 S613).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학원비 결제 서버
120: 모바일 단말
130: 결제카드 서버
140: 학원비 정산 서버
210: 학원비 결제요청 수신부
220: 결제 승인 요청부
230: 계좌 검출부
240: 결제 수수료 수신부
250, 340: 제어부
310: 오류 검출부
320: 오류 송신부
330: 사용자 레코드 생성부
340: 사용자 레코드 알림부

Claims (15)

  1. 모바일 단말,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에 의하여 소유된 신용카드와 연관된 결제카드 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학원 사업자용 계좌와 연관된 학원비 정산 서버에 연결될 수 있는 학원비 결제 서버에서 수행되는 학원비 결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학원 사업자용 계좌 중 특정 학원 사업자 계좌와 연관된 학원 사업자 정보, 학원비 결제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정의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학원비 결제 정보를 기초로 결제카드 서버에 결제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결제 승인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상기 학원 사업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학원 사업자 계좌를 검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결제카드 서버로부터 학원비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학원비 결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사용되는 학원 식별가능 형식 언어(user identifiable formal language)를 상기 학원비 결제 서버에 의하여 정의된 학원 고유 식별자로서 상기 학원 사업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비 결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학원 사업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수신된 학원 사업자 정보를 검색하여 만일 성공적으로 검색되면 해당 학원 사업자 정보와 해당 학원 사업자용 계좌가 연관되어 있는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수신된 학원 사업자 정보의 오류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비 결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수신된 학원 사업자 정보의 오류가 검출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에 학원 사업자 정보 오류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비 결제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문법 필터를 통해 결제 사용자 형식 정보와 결제 사용자 비형식 정보로 분석하여 학원 사업자와 미리 형식적으로 정의된 결제 사용자 레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결제 사용자 레코드를 해당 학원 사업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비 결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학원 사업자별로 정의될 수 있는 결제 대행 규약에 따라 상기 결제카드 서버에서 학원비를 결제 대행 수수료와 실제 입금 학원비로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비 결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결제 대행 수수료가 상기 수신된 학원비에 대한 특정 비율 이상인 경우 상기 결제 대행 수수료에 대해 할인율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비 결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대행 수수료에 대해 할인율은
    하기의 수학식을 통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비 결제 방법.

    [수학식]
    RATEDC = f(H_per)*g(f_per)*C, C는 결제 대행 수수료, f(H_per)는 수신된 학원비에 대한 비율 함수, g(f_per)는 f(H_per)에 대한 할인 함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학원비의 적어도 일부가 해당 학원 사업자용 계좌에 이체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에 학원 식별가능 형식 언어로 표현된 학원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비 결제 방법.
  10. 모바일 단말,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에 의하여 소유된 신용카드와 연관된 결제카드 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학원 사업자용 계좌와 연관된 학원비 정산 서버에 연결될 수 있는 학원비 결제 서버에서 수행되는 학원비 결제 서버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학원 사업자용 계좌 중 특정 학원 사업자 계좌와 연관된 학원 사업자 정보, 학원비 결제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정의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학원비 결제요청 수신부;
    상기 학원비 결제 정보를 기초로 결제카드 서버에 결제 승인을 요청하는 결제 승인 요청부;
    상기 결제 승인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상기 학원 사업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학원 사업자 계좌를 검출하는 계좌 검출부; 및
    상기 결제카드 서버로부터 학원비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결제 수수료 수신부를 포함하는 학원비 결제 서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학원비 결제요청 수신부는
    학원 사업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수신된 학원 사업자 정보를 검색하여 만일 성공적으로 검색되면 해당 학원 사업자 정보와 해당 학원 사업자용 계좌가 연관되어 있는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수신된 학원 사업자 정보의 오류를 검출하는 오류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비 결제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학원비 결제요청 수신부는
    상기 수신된 학원 사업자 정보의 오류가 검출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에 학원 사업자 정보 오류를 송신하는 오류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비 결제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학원비 결제요청 수신부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문법 필터를 통해 결제 사용자 형식 정보와 결제 사용자 비형식 정보로 분석하여 학원 사업자와 미리 형식적으로 정의된 결제 사용자 레코드를 생성하는 사용자 레코드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결제 사용자 레코드를 해당 학원 사업자에게 알리는 사용자 레코드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비 결제 서버.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학원비의 적어도 일부가 해당 학원 사업자용 계좌에 이체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에 학원 식별가능 형식 언어로 표현된 학원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원비 결제 방법.
  15. 모바일 단말,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에 의하여 소유된 신용카드와 연관된 결제카드 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학원 사업자용 계좌와 연관된 학원비 정산 서버에 연결될 수 있는 학원비 결제 서버에서 수행되는 학원비 결제를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학원 사업자용 계좌 중 특정 학원 사업자 계좌와 연관된 학원 사업자 정보, 학원비 결제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정의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학원비 결제 정보를 기초로 결제카드 서버에 결제 승인을 요청하는 기능;
    상기 결제 승인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상기 학원 사업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학원 사업자 계좌를 검출하는 기능; 및
    상기 결제카드 서버로부터 학원비의 적어도 일부를 수신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기록매체.
KR1020130008268A 2013-01-24 2013-01-24 모바일 단말을 통한 학원비 결제 방법, 이를 수행하는 결제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1400953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268A KR20140095365A (ko) 2013-01-24 2013-01-24 모바일 단말을 통한 학원비 결제 방법, 이를 수행하는 결제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268A KR20140095365A (ko) 2013-01-24 2013-01-24 모바일 단말을 통한 학원비 결제 방법, 이를 수행하는 결제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365A true KR20140095365A (ko) 2014-08-01

Family

ID=51743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268A KR20140095365A (ko) 2013-01-24 2013-01-24 모바일 단말을 통한 학원비 결제 방법, 이를 수행하는 결제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536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50342A1 (en) Monetary transaction system
US20160055583A1 (en) Mobile global exchange platform
RU2706180C2 (ru) Обработка финансовых транзакций
CN103413389B (zh) 基于银行账户对非银行账户管理和支付方法
AU20103066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non-credit card billers to accept credit card payments
US201202891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incoming status messages
CN102844776A (zh) 返回有限使用的代理动态值的支付渠道
CN101454795A (zh) 移动的个人之间支付系统
KR20140043149A (ko) 애드혹 현금 지급 네트워크
KR101696904B1 (ko) 커뮤니케이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글로벌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은행서버
US20140379564A1 (en) Cloud service integration pay trading system
CN104200365A (zh) 一种电子支票的开票及解付方法
KR20160147015A (ko) 크레딧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89295A (ko)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송금 방법, 홈 위치 레지스터 및 서비스 제어 포인트
US20120271763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remittance
WO20190258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CURE SERVICES
KR101889360B1 (ko) 모바일 결제 방법, 이를 수행하는 모바일 결제 단말, 이를 수행하도록 하는 결제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US9462138B2 (en) Cellular airtime management
KR20100107366A (ko) 폰빌을 이용한 의료비 할부결제 서비스 운용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WO2016073519A1 (en) Mobile global exchange platform
KR20140095365A (ko) 모바일 단말을 통한 학원비 결제 방법, 이를 수행하는 결제 서버 및 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KR101635469B1 (ko) 송금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JP2010225114A (ja) 仮想マネー管理装置および仮想マネー管理方法ならびに管理プログラム
KR101730770B1 (ko) 휴대폰 소액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28212A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전자 결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