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5246A - Video communication device and auxiliary device for video communication - Google Patents
Video communication device and auxiliary device for video communic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95246A KR20140095246A KR1020130007948A KR20130007948A KR20140095246A KR 20140095246 A KR20140095246 A KR 20140095246A KR 1020130007948 A KR1020130007948 A KR 1020130007948A KR 20130007948 A KR20130007948 A KR 20130007948A KR 20140095246 A KR20140095246 A KR 201400952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mera
- image
- mirror
- unit
- us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화상통화장치 및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following description relates to a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a video communication assistance apparatus using the mobile terminal.
최근들어, 사용자 간의 통신은 음성만을 이용한 전화 또는 회의에서 영상을 이용한 전화 또는 회의로 변화하고 있다.In recent years, communication between users has changed from a telephone using only voice or from a conference to an image using a telephone or a conference.
일반적으로 화상통화시 사용자는 화상통화장치에서 상대방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을 보면서 통화를 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영상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어 상대방에게 전송된다. 이런 경우, 사용자의 눈(사용자의 시선)과 카메라 간에는 일정한 각도를 갖게 된다. 카메라가 상대방의 영상이 표시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와 상대방이 화상통화시 서로 다른 곳을 쳐다보는 형태로 통화하게 된다.Generally, in a video call, a user makes a call while viewing an area displaying a video of the other party in the video communication device. The user's image is captured through the camera and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In this case, the angle between the user's eyes (the user's gaze) and the camera is constant. This is because the camera can not be arranged in the space where the image of the other party is displayed. Therefore, the user and the other party will talk to each other in a video call.
영상 통화시 영상통화 상대방 간에 시선일치는 상대방이 대화에 어떤 자세로 임하고 있는지, 그리고 어느 정도 자신의 이야기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게 해주는 것으로 영상통화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시선일치는 대화를 시작하거나 자신이 말을 하기 시작한다는 단서를 제공함으로써 대화의 흐름을 조절하며, 통화자들 간에 상대방과의 대화에 흥미가 있다거나 주의를 기울이고 있음을 나타내는 무언의 언어가 된다. 또한, 감정을 전달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눈, 이마, 입, 얼굴 근육의 움직임을 통해 서로의 감정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Videoconference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the video call because it helps the other party to understand what kind of attitude they are in conversation and how interested they are in their story. Consensus controls the flow of conversations by providing a clue to start a conversation or start to speak, and is a silent language that indicates that the conversation is interested or paying attention to the conversation with the other. It is also known that emotional states of each other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movement of eyes, forehead, mouth, and facial muscle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conveying emotions.
영상통화시 통화자들 간에 시선을 일치시키기 위한 기술로는 크게 하드웨어적 접근방법과 소프트웨어적 접근방법이 있다. There are hardware and software approaches to match the line of sight between callers during video call.
소프트웨어적 접근방법은 영상 데이터에서 눈의 위치를 파악하여 사용자와 상대방의 시선을 일치시키는 방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64545호는 전송되는 상대방의 눈의 위치를 분석하여, 복수의 카메라 중 사용자의 눈의 위치와 일치하게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The software approach is to identify the position of the eye in the image data and match the gaze of the user with the gaze of the other perso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064545 proposes a method of using a camera capable of analyzing the position of the eye of the other party to be transmitted and photographing the same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user's eyes among a plurality of cameras.
하드웨어적 접근방법으로는 반투명 거울(HM, Half-transparent Mirror) 방식, BHM(Blazed Half-Mirror) 방식과 같은 광분할 방식, 공간분할 방식 및 시분할 방식 등이 있다.Hardware approaches include light split method such as HM (Half-transparent Mirror) method and BHM (Blazed Half-Mirror) method, space partition method and time partition method.
BHM 방식은 작은 크기의 반투명 거울을 여러 개 배치하여 반투명 거울이 모니터와 평행하게 되도록 하고 카메라를 BHM의 반사각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한 것으로, 상기 반투명 거울 방식에서 반투명 거울과 모니터 사이의 거리가 커지는 문제점을 보완하였다.In the BHM method, a plurality of semitransparent mirrors of a small size are arranged so that a translucent mirror is parallel to the monitor and a camera is arrang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reflection angle of the BHM. In the translucent mirror method, .
공간분할 방식은 상대방의 눈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의 스크린에 작은 구멍을 뚫고 거기에 작은 카메라를 설치하며, 비디오 프로젝터를 사용하여 상대방의 모습을 스크린에 투영한 방식이다. 비디오 프로젝터의 강한 빛이 카메라에 그대로 입력되므로, 편광필터 등을 사용하여 프로젝터에서 입사되는 광선과 사용자에게 반사되어 들어오는 광선을 구분해야 한다.In the space division method, a small hole is drilled in the screen where the opponent's eye is displayed, a small camera is installed thereon, and the image of the opponent is projected on the screen using a video projector. Since the strong light of the video projector is directly input to the camera, it is necessary to use a polarizing filter or the like to distinguish between a light beam coming from the projector and a light beam reflected from the user.
시분할 방식은 스위칭 가능한 LCD 패널 뒤에 카메라와 비디오 프로젝터를 두고 LCD를 구동시킬 때는 상대방 모습을 디스플레이하고, 구동시키지 않을 때는 투명한 LCD를 통해 사용자의 모습이 카메라에 캡쳐되도록 한 방식이다. 이 방식은 카메라나 디스플레이가 전체 시간의 반씩만 사용할 수 있다.In the time division mode, a camera and a video projector are placed behind a switchable LCD panel, and when the LCD is driven, the other side is displayed. When the LCD is not driven, a transparent LCD is used to capture the user's image. This method can only use half of the camera or display time.
반투명 거울 방식은 사용자가 스크린을 바라보고 있는 모습이 반투명 거울에 반사되어 카메라로 입력되는 방식이다. The semi-transparent mirror method is a method in which the user is looking at the screen reflected on a translucent mirror and input to the camera.
1999년 Birgit Quante는 반투명 거울의 반사와 투과를 동시에 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화면을 쳐다봄과 동시에 카메라를 보도록 설계하였다(Birgit Quante and Lothar Muhlbach, "Eye-contact in Multipoint Videoconferencing", 1999 참조).In 1999 Birgit Quante was designed to look at the camera at the same time as looking at the screen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simultaneous reflection and transmission of a translucent mirror (see Birgit Quante and Lothar Muhlbach, "Eye-contact in Multipoint Videoconferencing", 1999).
2005년도 Tracy Jenkin가 발표한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눈의 위치를 추적(tracking)하여 시선 방향에 위치한 카메라를 작동시키는 방식을 제안하였다(Tracy Jenkin, Jesse McGeachie, "EyeView: Focus+Context Views for Large Group Video Conferences", 2005 참조).In a 2005 paper by Tracy Jenkin, Tracy Jenkin, Jesse McGeachie, "EyeView: Focus + Context Views for Large Group Video Conferences ", 2005).
종래의 반투명 거울 방식은 반투명 거울이 고정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자신의 위치를 조절하면서 시선을 맞춰야 한다. 또한 화상통화 영상이 별도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경우 반투명 거울이 45도 기울어져 있어야 하므로 모니터 크기에 비례하여 사용자와 모니터 간의 거리가 증가하게 되어 전체 시스템 크기가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사용자의 눈을 추적하는 방식은 복수의 카메라를 사용해야 하고 장치 설비의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onventional semi-transparent mirror system, the semi-transparent mirror is fixed, so that the user must adjust his or her position while adjusting his or her eyesight. Also, when a video call image is displayed on a separate monitor, the translucent mirror must be inclined by 45 degrees, which increases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monitor in proportion to the size of the monitor, which increases the overall system siz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method of tracking the user's eyes requires the use of a plurality of cameras and an increase in the cost of the device equipment.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이동단말기를 사용하는 화상통화에서 사용자와 상대방의 시선을 손쉽게 일치시키는 화상통화장치 또는 이동단말기가 탈착하는 화상통화 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 technique to be described below is to provide a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or a video communication auxiliary apparatus in which a user easily matches a line of sight of a counterpart in a video call using a mobile terminal or a video communication assistance apparatus in which a mobile terminal is detached.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이동단말기에 간단한 장치를 부가하여 또는 이동단말기가 탈착하는 보조 장치를 사용하여 카메라 및 반투명 거울의 각도를 조절하는 반투명 거울 방식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technique described below is intended to provide a semi-transparent mirror method of adjusting the angle of a camera and a translucent mirror by adding a simple device to the mobile terminal or using an auxiliary device to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detachable.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solutions to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below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화상통화장치는 영상통화 상대방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눈 위치와 영상에서 상대방의 눈 위치 사이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영상을 반사하고, 상대방의 영상을 투과하는 반투명 거울부, 반투명 거울부에서 반사되는 사용자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부, 반투명 거울부와 카메라부가 한쪽 평면에 배치되고, 반투명 거울부 및 카메라부의 배치 각도를 각각 조절하는 각도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하우징부 및 카메라부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상대방의 화상통화장치에 전송하고, 상대방의 화상통화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한다.A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of a video communication partner,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of a user positioned between the eye position of the user and the eye position of the opponent and reflecting the user's image, A camera section for acquiring an image of a user reflected from a mirror section and a translucent mirror section; a housing section including a translucent mirror section and an angle adjusting section arranged on one plane and adjusting an arrangement angle of the translucent mirror section and the camera section, And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image provided from the camera unit to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of the other party and providing the image received from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of the other party to the display unit.
디스플레이부는 송수신부에서 수신한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 장치 또는 송신부에서 수신한 영상을 표시하는 출력 장치를 포함한다.The display unit includes a projector device that projects an image received by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or an output device that displays an image received by the transmission unit.
사용자의 눈 위치와 상대방의 눈 위치를 연결하는 가상 시선 직선상에 카메라부의 허상이 위치한다.The virtual image of the camera unit is positioned on the virtual lin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eye position of the user and the eye position of the opponent.
각도 조절수단은 반투명 거울부의 중심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 거울 직선이 카메라부와 허상을 연결하는 가상 직선에 수직이고, 카메라부의 방향선 및 허상의 방향선이 만나는 지점을 지나가도록 반투명 거울부와 카메라의 배치 각도를 조절한다.The angle adjusting means includes a translucent mirror portion and a camera so that the straight line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semitransparent mirror portion is perpendicular to a virtual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amera portion and the virtual image portion and passes through the point where the directional line of the camera portion and the directional line of the virtual image meet. Adjust the placement angle.
하우징부의 한쪽 평면과 반투명 거울부가 형성하는 제1 배치 각도(θ)가 아래의 식으로 결정된다.A first arrangement angle ( ? ) Formed by one plane of the housing part and the semi-transparent mirror part i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여기서, yz 좌표평면상에서 반투명 거울부의 중심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거울 직선이 하우징부에서 시작하는 지점의 좌표가 (k, 0)이고, 사용자 눈 위치의 좌표가 (y1, z1)이고, 상대방의 눈 위치 좌표가 (y2, z2)이고, 이고, 이다.Here, the coordinate of the point where the mirror straight lin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semi-transparent mirror on the yz coordinate plane starts at the housing part is (k, 0), the coordinate of the user's eye position is (y 1 , z 1 ) (Y 2 , z 2 ) of the other's eye, ego, to be.
하우징부의 한쪽 평면과 카베라부의 방향선이 형성하는 제1 배치각도()가 아래의 식으로 결정된다.A first arrangement angle formed by one plane of the housing portion and a direction line of the cabera portion ) I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이하 설명하는 화상통화 보조장치는 하상통화 상대방의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부, 사용자의 눈 위치와 영상에서 상대방의 눈 위치 사이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영상을 반사하고, 상대방의 영상을 투과하는 반투명 거울부 및 카메라를 포함한 이동단말이 탈착하는 하우징, 하우징의 배치 각도를 조절하는 하우징 각도 조절수단, 반투명 거울부와 연결되어 반투명 거울부의 배치 각도를 조절하는 거울 각도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하우징부를 포함한다. 카메라는 반투명 거울부에서 반사되는 사용자의 영상을 획득하고, 프로젝터부는 이동단말로부터 상대방의 영상을 전달받는다.The video call assistant device described below includes a projector unit for projecting images of a lower-floor calling party, a semi-transparent mirror unit which is positioned between the user's eye position and the eye's eye position of the user and reflects the user's image, And a housing part including a housing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camera, a housing angle adjusting part for adjusting an arrangement angle of the housing, and a mirror angle adjusting part connected to the semitransparent mirror part to adjust an arrangement angle of the semitransparent mirror part. The camera acquires the image of the user reflected by the semitransparent mirror, and the projector receives the image of the other party from the mobile terminal.
사용자의 눈 위치와 상대방의 눈 위치를 연결하는 가상 시선 직선상에 카메라의 허상이 위치한다.The virtual image of the camera is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eye position of the user and the eye position of the opponent.
하우징 각도 조절수단은 반투명 거울부의 중심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 거울 직선이 카메라와 허상을 연결하는 가상 직선에 수직이고, 카메라의 방향선 및 허상의 방향선이 만나는 지점을 지나가도록 하우징의 배치 각도를 조절한다.The housing angle adjusting means adjusts the angle of arrangement of the housing such that a straight line of the mirror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translucent mirror portion is perpendicular to a virtual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amera and the virtual image plane and passing through the point where the directional line of the camera and the directional line of the virtual image meet do.
거울 각도 조절수단은 반투명 거울부의 중심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 거울 직선이 카메라와 허상을 연결하는 가상 직선에 수직이고, 카메라의 방향선 및 허상의 방향선이 만나는 지점을 지나가도록 반투명 거울부의 배치 각도를 조절한다.The mirror angle adjusting means adjusts the angle of arrangement of the semitransparent mirror portion so that the straight line of the mirror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semitransparent mirror portion is perpendicular to a virtual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amera and the virtual image plane and passes through the point where the directional line of the camera and the direction line of the virtual image meet. .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화에서 낮은 비용이 소요되는 간단한 장치로 사용자와 화상통화 상대방의 시선을 일치시킨다.The technique described below coincides the eyes of the user and the video call destination with a simple device that requires low cost in a video call using the mobile terminal.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techniques described below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화상통화장치 또는 화상통화 보조장치에 반투명 거울이 배치되어 사용자와 상대방의 시선이 일치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yz 평면에서 화상통화장치 또는 화상통화 보조장치에 배치되는 카메라와 반투명 거울의 위치 및 배치 각도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반투명 거울을 이용한 화상통화장치를 예시한 구조도이다.
도 4는 화상통화 기능이 있는 이동단말기가 탈착하는 화상통화 보조장치를 예시한 구조도이다.
도 5는 yz 평면에서 화상통화장치 또는 화상통화 보조장치에 배치되는 카메라와 반투명 거울의 위치 및 배치 각도를 도시한다.
도 6은 화상통화장치 또는 화상통화 보조장치에서 사용자와 상대방의 시선의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기준이 되는 직선 및 배치각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사용자와 상대방의 눈의 위치를 추적하는 과정에 대한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1 shows an example in which a semi-transparent mirror is disposed in a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or a video communication auxiliary apparatus so that the line of sight of the user and the other party coincides with each other.
2 shows an example of the position and the placement angle of the camera and the translucent mirror placed in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or the video communication auxiliary apparatus in the yz plane.
3 is a structural view illustrating a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a semi-transparent mirror.
4 is a structural view illustrating a video call assisting apparatus in which a mobile terminal having a video call function is detached.
Fig. 5 shows the position and arrangement angle of the camera and the semi-transparent mirror placed in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or the video communication auxiliary apparatus in the yz plane.
FIG. 6 shows a straight line and a placement angle as a reference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line of sight of the other party is consistent in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or the video communication assistance apparatus.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rocess of tracking the position of the eyes of the user and the other party.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he terms first, second, A, B,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but may b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 include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 plurality of representat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he terms" comprises & ,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compon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되는 각 구성부들의 존재 여부는 기능적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며,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화상통화장치(100) 및 화상통화 보조장치(200)에 따른 구성부들의 구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도 3 내지 도 4와는 상이해질 수 있음을 명확히 밝혀둔다.Before describing the drawings in detail, it is to be clarified that the division of constituent parts in this specification is merely a division by main functions of each constituent part. That is, two or more constituent parts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combined into one constituent part, or one constituent par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functions according to functions that are more subdivided. In addition, each of the constituent units described below may additionall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other constituent units in addition to the main functions of the constituent units themselves, and that some of the main functions, And may be carried out in a dedicated manner. Therefore, the existence of each component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a function. For this reason, the constitution of th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또, 방법 또는 동작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이루는 각 과정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과정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Also, in performing a method or an operation method, each of the processes constituting the method may take place differently from the stated order unless clearly specified in the context. That is, each process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describ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opposite order.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화상통화장치(100) 및 화상통화 보조장치(20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서 화상통화장치(100)는 기본적으로 이동단말기와 같이 화상통화가 가능한 포터블(portable)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화상통화 보조장치(200)는 화상통화 기능이 있는 이동단말기를 탈착하여 사용자와 상대방의 시선을 일치시키는 장치를 의미한다.
Hereinafter, the
먼저 반투명거울을 이용하여 시선 일치시키는 방법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화상통화장치(100) 또는 화상통화 보조장치(200)에 반투명 거울이 배치되어 사용자와 상대방의 시선이 일치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 있는 사용자는 화상통화장치(100) 또는 화상통화 보조장치(200)를 이용하여 우측에 영상이 표시되는 화상통화의 상대방과 화상통화를 한다. 상대방의 영상은 화상통화장치의 프로젝터를 통해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 또는 모니터 장치에서 직접 출력되는 영상일 수도 있다. 모니터 장치는 PDP, LCD, LED, OLED 등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고, 스마트 TV와 같은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모니터 장치에 상대방 영상이 출력되는 경우는 화상통화장치에서 유선으로 영상을 전달하거나, 다양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 또는 인터넷을 통해 상대방 영상을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Firs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method of matching a line of sight using a translucent mirror. 1 shows an example in which a semitransparent mirror is disposed in the
도 1에서 좌측의 사용자는 화상통화장치(100) 또는 화상통화 보조장치(200)의 반투명 거울을 통해 우측의 상대방과 시선을 맞춘다. 이를 위해서는 반투명 거울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대방에게 전달되는 사용자의 영상은 화상통화장치(100) 또는 화상통화 보조장치(200)에 결합하는 이동단말기(50)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다. 카메라를 반투명 거울에 반사되는 사용자의 얼굴 영상을 획득한다. 상대방과 시선을 맞춘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도 일정한 각도로 사용자를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ser on the left side in FIG. 1 gazes with the other party on the right side through the semitransparent mirror of the
3차원 좌표계에서 반투명 거울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은 y-z 축의 2차원적인 문제이므로, 이하 x축을 제외하고 yz 평면만을 기준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다.Since adjusting the angle of the semi-transparent mirror in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system is a two-dimensional problem in the y-z axi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only the yz plane except for the x-axis.
도 2는 yz 평면에서 화상통화장치(100) 또는 화상통화 보조장치(200)에 배치되는 카메라와 반투명 거울의 위치 및 배치 각도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도 2에서 카메라가 화상통화장치(100) 또는 화상통화 보조장치(200)에 결합한 이동단말기에서 돌출된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고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화상통화장치(100) 또는 이동단말기 내부에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2 shows an example of the position and the placement angle of the camera and the translucent mirror disposed in the
도 2에서 좌측 사용자와 상대방 시선을 잇는 가상의 직선을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이 직선을 가상 시선 직선이라고 명명한다. 가상 시선 직선은 반투명 거울을 통과해야만 한다. 카메라의 중심을 지나는 길이 방향을 지시하는 직선을 카메라 방향선이라고 명명한다(붉은색 일점 쇄선으로 표시). 또한 카메라와 반투명 거울의 관계에서 물리학적으로 반투명 거울의 반대편에 카메라의 허상이 위치하게 된다. 이 카메라 허상의 중심을 지나는 길이 방향을 지시하는 직선을 허상 방향선이라고 명명한다(붉은색 일점 쇄선으로 표시). 화상통화장치(100) 또는 화상통화 보조장치(200)에 배치되는 반투명 거울의 중심을 지나는 길이방향 직선을 거울 직선이라고 명명한다. 도 2와 같이 허상이 가상 시선 직선상에 위치하기 위하여는 반투명 거울의 각도 및/또는 카메라의 각도를 조절해야 한다. 도 2의 양방향 화살표는 카메라와 반투명 거울의 배치 각도가 조절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In FIG. 2, a virtual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left user and the partner's eyes is shown by a dotted line. This line is called a virtual line of sight. The virtual line of sight must pass through a translucent mirror. A straight line indica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camera is called a camera direction line (indicated by a red dot-dash line). Also, in relation to the camera and translucent mirror, the physical image of the camera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ranslucent mirror. A straight line indica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camera virtual image is called a virtual directional line (indicated by a red dot-dash line). A longitudinal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a semitransparent mirror disposed in the
카메라와 반투명 거울의 배치 각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화상통화장치(100) 및 화상통화 보조장치(200)의 구성에 대한 예를 설명한다.Before describing the arrangement angles of the camera and the semi-transparent mirror,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s of the
도 3은 반투명 거울을 이용한 화상통화장치(100)를 예시한 구조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통화장치(100)는 영상통화 상대방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20), 사용자의 눈 위치와 영상에서 상대방의 눈 위치 사이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영상을 반사하고, 상대방의 영상을 투과하는 반투명 거울부(150), 반투명 거울부(150)에서 반사되는 사용자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부(110), 반투명 거울부(150)와 카메라부(110)가 한쪽 평면에 배치되고, 반투명 거울부(150) 및 카메라부(110)의 배치 각도를 각각 조절하는 각도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하우징부(160) 및 카메라부(11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상대방의 화상통화장치에 전송하고, 상대방의 화상통화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20)에 제공하는 송수신부(140)를 포함한다.3 is a structural view illustrating a
도 3에 도시한 화상통화장치(100)는 영상통화기능이 있는 이동단말기에 반투명 거울부(150)과 별도의 디스플레이부(120)가 부가된 장치이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송수신부(140)에서 수신한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 장치 또는 송신부에서 수신한 영상을 표시하는 출력 장치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화상통화장치(100)의 내부에 프로젝터가 포함된 형태를 도시한다. 프로젝터가 송수신부(140)에서 수신한 영상을 투사하게 된다. 디스플레이부(120)가 전술한 별도의 출력 장치를 사용한다면 송수신부(140)에서 수신한 영상을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별도의 모니터 장치와 같은 출력장치에 전달해야 한다.The
화상통화장치(100)는 카메라부(110) 및 반투명 거울부(150)의 각도를 조절하는 수단을 갖는다. 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조절하는 수단을 카메라 각도 조절수단(115)이고, 반투명 거울부(150)의 각도를 조절하는 수단을 거울 각도 조절수단이라고 명명한다. 도 3에서는 거울 각도 조절수단(155)만을 도시하였다.The
화상통화장치(100)는 일반적인 이동단말기와 달리 내장된 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카메라 각도 조절수단(115)을 포함해야 한다. 카메라 각도 조절수단(115)은 카메라부(110) 자체 또는 카메라부(100)의 렌즈가 하우징부(160)의 한쪽 평면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조절한다. 카메라 각도 조절수단(115)은 기구적 장치에 해당하며 해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각도를 수동으로 조절하거나, 모터 장치를 통해 카메라부(100)의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Unlike a general mobile terminal, the
또한 화상통화장치(100)는 반투명 거울부(150)의 배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거울 각도 조절 수단(155)을 포함해야 한다. 도 3에 도시한 거울 각도 조절 수단(155)은 하우징부(160)에 있는 홈에 삽입되는 레일 형태이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홈의 내부에 레일이 일정한 각도로 고정하는 수단이 있다. 거울 각도 조러 수단(155) 역시 수동 장치 또는 자동 장치로 구현할 수 있다.The
본 발명에서 각도 조절 수단은 기구 장치 분야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각도를 조절하는 장치 자체가 본 발명의 특징은 아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adjusting means may be various means used in the field of the apparatus device. Since the device for adjusting the angle itself is not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카메라부(110)는 영상통화를 위하여 이동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한다. 도 3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송수신부(140)는 이동단말기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신모듈에 해당한다.
The
본 발명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일반적인 이동단말기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화상통화 보조장치(200)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화상통화 기능이 있는 이동단말기(50)가 탈착하는 화상통화 보조장치(200)를 예시한 구조도이다. 도 4(a)는 이동단말기(50)가 화상통화 보조장치(200)에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도 4(b)는 이동단말기(50)가 화상통화 보조장치(200)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deo call auxiliary apparatus 200 using a general mobile terminal in combination will be described. 4 is a structural view illustrating a video call auxiliary apparatus 200 in which a
본 발명에 따른 화상통화 보조장치(200)는 상대방의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부(210), 사용자의 눈 위치와 영상에서 상대방의 눈 위치 사이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영상을 반사하고, 상대방의 영상을 투과하는 반투명 거울부(220) 및 카메라를 포함한 이동단말기(50)가 탈착하는 하우징(230), 하우징(230)의 배치 각도를 조절하는 하우징 각도 조절수단(235), 반투명 거울부(220)와 연결되어 반투명 거울부(220)의 배치 각도를 조절하는 거울 각도 조절수단(225)을 포함하는 하우징부(240)를 포함한다. 이동단말기(50)의 카메라(55)는 반투명 거울부(220)에 반사되는 사용자의 얼굴 영상을 획득한다. The video call assistant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화상통화 보조장치(200)는 이동단말기(50)로부터 상대방의 영상을 전달받아 투사하는 프로젝터부(210)를 포함한다. 프로젝터가 별도로 없는 이동단말기(50) 경우 본 발명의 화상통화 보조장치(200)를 사용하여 스크린에 투사되는 상대방을 얼굴을 보고 영상통화가 가능하다. 도 4에 자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화상통화 보조장치(200)는 이동단말기(50)로부터 데이터 입출력이 가능한 인터페이스 장치와 연결되어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는다. 물리적인 인터페이스 장치 외에 근거리 통신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상대방 영상을 전달받아 프로젝터부(210)를 통해 영상을 투사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이 경우 화상통화 보조장치(200)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통신 모듈이 포함되어야 한다.The video call auxiliary apparatus 200 includes a
화상통화 보조장치(200)의 반투명 거울부(220) 및 거울 각도 조절수단(225)은 전술한 화상통화장치(100)의 반투명 거울부(150) 및 거울 각도 조절수단(155)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The
한편 일반적인 이동단말기(50)는 카메라(55)의 배치 각도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통화 보조장치(200)는 이동단말기(50)가 결합하는 하우징(230)의 각도를 조절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이동단말기가 일정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since the general
도 4(b)의 우측 하단에 하우징(230)이 반투명 거울부(220) 및 거울 각도 조절 수단(225)가 배치된 하우징부(240)와 연결되는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하였다. 하우징부(240)는 하우징(230), 하우징 각도 조절수단(235), 반투명 거울부(220) 및 거울 각도 조절 수단(225)를 포함하는 구성이다.4 (b), the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동단말기(50)가 결합되는 하우징(230)을 제1 하우징이라고 하고, 반투명 거울부가 배치되는 영역을 제2 하우징이라고 한다. 도 4(b)에 도시된 하우징 각도 조절 수단(235)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은 서로 다른 각도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1 하우징에는 원형의 회전수단이 배치되고 제2 하우징에는 회전수단이 일정한 각도로 고정될 수 있도록 각도를 고정하는 수단이 배치된다. 다른 각도 조절 수단과 같이, 화상통화 보조장치(200)의 하우징 각도 조절수단(235)이 반드시 이와 같은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이제 전술한 카메라와 반투명 거울의 배치 각도가 어떻게 조절되어야 하는지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yz 평면에서 화상통화장치 또는 화상통화 보조장치에 배치되는 카메라와 반투명 거울의 위치 및 배치 각도를 도시한다.Now, how to arrange the above-described arrangement angle of the camera and the translucent mirror will be described. Fig. 5 shows the position and arrangement angle of the camera and the semi-transparent mirror placed in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or the video communication auxiliary apparatus in the yz plane.
도 5에서 Eye 1은 사용자의 눈 위치(y1, z1)를 의미하고, Eye 2는 화상통화 영상에서의 상대방 눈 위치(y2, z2)를 의미한다. 화상통화장치(100) 또는 화상통화 보조장치(200)에서 반투명 거울부(150, 220)가 연결된 부분의 좌표를 (k, 0)라고 한다. (k, 0)는 거울 직선이 시작하는 위치이고, 반투명 거울부(150, 220)가 y축과 평행한 화상통화장치(100) 또는 화상통화 보조장치(200)의 평면과 일정한 각도를 시작하는 지점이기도 하다.
In FIG. 5,
카메라의 허상이 가상 시선 직선상에 위치하기 위한 조건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가상 시선 직선은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되고, 거울 직선은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된다.
The condition for the virtual image of the camera to be located on the virtual line of sight is described. First, a virtual line of sight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여기서, 이고, 이다.
here, ego, to be.
여기서, θ는 y 축에 평행한 화상통화장치(100) 또는 화상통화 보조장치(200)의 한쪽 평면이 반투명 거울부와 형성하는 각도를 의미한다.
Here, θ is the one plane of a
본 발명에서 사용자와 상대방의 시선이 일치(즉, 카메라의 허상이 가상 시선 직선상에 위치)하기 위해서는 i)반투명 거울부의 중심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 거울 직선이 카메라와 허상을 연결하는 가상 직선에 수직이고, ii) 거울 직선이 카메라의 방향선 및 허상의 방향선이 만나는 지점을 지나가도록 반투명 거울부와 카메라(또는 하우징(230)의 배치 각도를 조절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for the user and the other party's eyes to coincide (i. E., The virtual image of the camera is located on the virtual line of sight), i) a straight mirror line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translucent mirror is perpendicular to a virtual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amera and the virtual image (Ii) the angle between the translucent mirror and the camera (or the housing 230) should be adjusted so that the straight line of the mirror passes through the point where the direction line of the camera and the direction line of the virtual image meet.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직선 선분 AD, DC 및 AC가 구성하는 삼각형을 거울 직선이 이등분해야 한다().
In other words, the triangle that the straight line segments AD, DC, and AC consist of should be bisected by the mirror straight line ( ).
도 6은 화상통화장치 또는 화상통화 보조장치에서 사용자와 상대방의 시선의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기준이 되는 직선 및 배치각도를 도시한다. 도 6에서 카메라로부터 연결된 파란색 점선은 카메라가 반투명 거울에 반사되는 영상을 촬영하는 구역을 의미한다.FIG. 6 shows a straight line and a placement angle as a reference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line of sight of the other party is consistent in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or the video communication assistance apparatus. In FIG. 6, a blue dotted line connected from the camera means an area where the camera captures an image reflected on a translucent mirror.
본 발명에서 사용자와 상대방의 시선이 일치(즉, 카메라의 허상이 가상 시선 직선상에 위치)하기 위해서는 y 축에 평행한 화상통화장치(100) 또는 화상통화 보조장치(200)의 한쪽 평면이 반투명 거울부가 형성하는 제1 배치 각도(θ)가 아래의 수학식 3을 만족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match the user and the other side of the line of sight in order to (i. E., The camera virtual image located on a virtual line of sight line) is one plane of a
한편, y 축에 평행한 화상통화장치(100) 또는 화상통화 보조장치(200)의 한쪽 평면이 카메라의 방향선이 형성하는 제1 배치각도()가 아래의 수학식 4를 만족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one plane of the
결국 사용자는 상기 반투명 거울부의 제1 배치 각도(θ)와 상기 카메라 방향선의 제1 배치각도()가 전술한 수식을 만족하도록 각 각도 조절 수단을 조절하면, 사용자와 상대방이 시선이 일치하는 상태에서 화상통화가 가능하다. 한편 도 6에서 제1 배치 각도라고 설명한 것은 거울 직선이나 카메라 방향선이 평행한 화상통화장치(100) 또는 화상통화 보조장치(200)의 한쪽 평면과 형성하는 다른 쪽 각도가 있기 때문에 제1 이라고 명명한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 제1 배치 각도들은 내각을 이룰 수도 있고 외각을 이룰 수도 있다.
As a result, the user can adjust the angle between the first arrangement angle ( ? ) Of the translucent mirror part and the first arrangement angle ) Adjusts the angle adjusting means so as to satisfy the above-described formula, a video communication is possible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and the other party coincide with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in FIG. 6, the first arrangement angle is referred to as the first arrangement angle because there is another angle formed between the mirror line and the
전술한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반투명 거울을 통해 투사되는 상대방의 눈을 위치를 보고 반투명 거울 및 카메라의 각도를 수동으로 조절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반투명 거울 및 카메라의 각도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자동으로 각도가 조절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사용자 눈의 위치 좌표와 상대방 눈의 위치 좌표가 산출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nually adjusts the angle of the semi-transparent mirror and the camera by viewing the position of the other's eye projected through the semi-transparent mirror.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in which an angle of a translucent mirror and a camera are automatically adjusted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automatically adjust the angle,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user eye and the position of the opponent eye should be calculated basically.
도 7은 사용자와 상대방의 눈의 위치를 추적하는 과정에 대한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먼저 사용자의 눈의 위치는 화상통화장치(100)의 카메라부(110) 또는 이동단말기(50)의 카메라(55)를 통해 획득하는 영상을 분석하여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대방 눈의 위치는 상대방 영상을 분석하여 파악할 수 있다. 눈 검출은 이미지 처리 기법에서 일반적인 기법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이 경우 화상통화장치(100) 또는 화상통화 보조장치(200)의 위치 및 상대방 영상이 표시되는 위치 및 영상의 크기를 파악해야 한다. 화상통화장치 및 상대방 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또는 모니터 장치)이 고정된 위치에 위치하거나, 또는 별도의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각각의 위치를 파악하는 장치를 추가적으로 사용해야 한다.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rocess of tracking the position of the eyes of the user and the other party. The position of the user's eye can be analyzed by analyzing the image acquired through the
사용자의 눈 위치 및 상대방의 눈 위치를 획득했다고 전제하면, 가상 시선 직선이 검출된 것이므로, 화상통화장치(100) 또는 화상통화 보조장치(200)는 카메라부(또는 하우징)의 각도 조절 수단(115, 235) 및 거울 각도 조절 수단(155, 225)을 구동하여 카메라(또는 하우징) 및/또는 반투명 거울부(150, 220)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와 상대방의 시선을 일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각 각도 조절 수단들은 모터를 통해 각도가 조절되는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virtual line of sight is detected, assuming that the user's eye position and the other's eye position are obtained. Therefore, the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ations and specific embodiments which may occu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화상통화장치 110 : 카메라부
115 : 카메라 조절 수단 120 : 디스플레이부
140 : 송수신부 150 : 반투명 거울부
155 : 거울 각도 조절수단 160 : 하우징부
200 : 화상통화 보조장치 210 : 프로젝터부
220 : 반투명 거울부 225 : 거울 각도 조절수단
230 : 하우징 235 : 하우징 각도 조절수단
240: 하우징부
50 : 이동단말기 55 : 카메라100: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110:
115: camera adjusting means 120:
140: Transmitting / receiving unit 150: Semi-
155: mirror angle adjusting means 160: housing part
200: Video call auxiliary device 210:
220: translucent mirror part 225: mirror angle adjusting means
230: housing 235: housing angle adjusting means
240: housing part
50: mobile terminal 55: camera
Claims (12)
사용자의 눈 위치와 상기 영상에서 상대방의 눈 위치 사이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영상을 반사하고, 상기 상대방의 영상을 투과하는 반투명 거울부;
상기 반투명 거울부에서 반사되는 사용자의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부;
상기 반투명 거울부와 상기 카메라부가 한쪽 평면에 배치되고, 상기 반투명 거울부 및 상기 카메라부의 배치 각도를 각각 조절하는 각도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하우징부; 및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상기 상대방의 화상통화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상대방의 화상통화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공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화상통화장치.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video of a video call recipient;
A translucent mirror unit positioned between the eye position of the user and the eye position of the opponent in the image and reflecting the image of the user and transmitting the image of the opponent;
A camera unit for acquiring an image of a user reflected by the translucent mirror unit;
A housing part including the translucent mirror part and the camera part disposed on one plane, and angle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an arrangement angle of the translucent mirror part and the camera part, respectively; And
And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for transmitting an image provided from the camera unit to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of the other party and providing an image received from the video communication apparatus of the other party to the display unit.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송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영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 장치 또는 상기 송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영상을 표시하는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통화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unit
A projector device for projecting the image received by the transmitter / receiver, or an output device for displaying the image received by the transmitter.
상기 사용자의 눈 위치와 상기 상대방의 눈 위치를 연결하는 가상 시선 직선상에 상기 카메라부의 허상이 위치하는 화상통화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virtual image of the camera unit is located on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eye position of the user and the eye position of the counterpart.
상기 각도 조절수단은 상기 반투명 거울부의 중심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 거울 직선이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허상을 연결하는 가상 직선에 수직이고, 상기 카메라부의 방향선 및 상기 허상의 방향선이 만나는 지점을 지나가도록 상기 반투명 거울부와 상기 카메라의 배치 각도를 조절하는 화상통화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ngle adjusting means is arranged such that a longitudinal mirror straight line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semi-transparent mirror portion is perpendicular to a virtual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amera portion and the virtual image, and passes through a point where the directional line of the camera portion and the directional line of the virtual image meet And controls an arrangement angle of the semi-transparent mirror part and the camera.
상기 하우징부의 한쪽 평면과 상기 반투명 거울부가 형성하는 제1 배치 각도(θ)가 아래의 식으로 결정되는 화상통화장치.
(여기서, yz 좌표평면상에서 상기 반투명 거울부의 중심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거울 직선이 상기 하우징부에서 시작하는 지점의 좌표가 (k, 0)이고, 상기 사용자 눈 위치의 좌표가 (y1, z1)이고, 상기 상대방의 눈 위치 좌표가 (y2, z2)이고, 이고, 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irst arrangement angle ( ? ) Formed by one plane of the housing part and the semi-transparent mirror part i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formula.
(Wherein, yz coordinate plane with a mirror lin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semi-transparent mirror portion, and the coordinates of the point (k, 0), starting from the housing section, the coordinates of the user's eye position (y 1, on z 1 ), the eye position coordinate of the other party is (y 2 , z 2 ) ego, being)
상기 하우징부의 한쪽 평면과 상기 카메라부의 방향선이 형성하는 제1 배치각도()가 아래의 식으로 결정되는 화상통화장치.
(여기서, yz 좌표평면상에서 상기 반투명 거울부의 중심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거울 직선이 상기 하우징부에서 시작하는 지점의 좌표가 (k, 0)이고, 상기 사용자 눈 위치의 좌표가 (y1, z1)이고, 상기 상대방의 눈 위치 좌표가 (y2, z2)이고, 이고, 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arrangement angle formed by one plane of the housing part and a direction line of the camera part ) I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Wherein, yz coordinate plane with a mirror lin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semi-transparent mirror portion, and the coordinates of the point (k, 0), starting from the housing section, the coordinates of the user's eye position (y 1, on z 1 ), the eye position coordinate of the other party is (y 2 , z 2 ) ego, being)
사용자의 눈 위치와 상기 영상에서 상대방의 눈 위치 사이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영상을 반사하고, 상기 상대방의 영상을 투과하는 반투명 거울부; 및
카메라를 포함한 이동단말기가 탈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배치 각도를 조절하는 하우징 각도 조절수단, 상기 반투명 거울부와 연결되어 상기 반투명 거울부의 배치 각도를 조절하는 거울 각도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하우징부를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는 상기 반투명 거울부에서 반사되는 사용자의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프로젝터부는 상기 이동단말로부터 상기 상대방의 영상을 전달받는 화상통화 보조장치.A projector unit for projecting a video of a video call recipient;
A translucent mirror unit positioned between the eye position of the user and the eye position of the opponent in the image and reflecting the image of the user and transmitting the image of the opponent; And
And a housing unit including a housing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camera, a housing angl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n arrangement angle of the housing, and a mirror angle adjusting unit connected to the translucent mirror unit to adjust an arrangement angle of the translucent mirror unit Wherein the camera acquires an image of a user reflected by the semi-transparent mirror part, and the projector part receives the image of the other party from the mobile terminal.
상기 사용자의 눈 위치와 상기 상대방의 눈 위치를 연결하는 가상 시선 직선상에 상기 카메라의 허상이 위치하는 화상통화 보조장치.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virtual image of the camera is positioned on a virtual line connecting the eye position of the user and the eye position of the counterpart.
상기 하우징 각도 조절수단은 상기 반투명 거울부의 중심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 거울 직선이 상기 카메라와 상기 허상을 연결하는 가상 직선에 수직이고, 상기 카메라의 방향선 및 상기 허상의 방향선이 만나는 지점을 지나가도록 상기 하우징의 배치 각도를 조절하는 화상통화 보조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said housing angle adjusting means is arranged such that a longitudinal mirror straight line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said semitransparent mirror portion is perpendicular to a virtual straight line connecting said camera and said virtual image plane and passing through a point where said camera's direction line and said virtual image direction line meet And adjusts an arrangement angle of the housing.
상기 거울 각도 조절수단은 상기 반투명 거울부의 중심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 거울 직선이 상기 카메라와 상기 허상을 연결하는 가상 직선에 수직이고, 상기 카메라의 방향선 및 상기 허상의 방향선이 만나는 지점을 지나가도록 상기 반투명 거울부의 배치 각도를 조절하는 화상통화 보조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said mirror angle adjusting means is arranged such that a longitudinal mirror straight line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said semi-transparent mirror portion is perpendicular to a virtual straight line connecting said camera and said virtual image plane, and passing through a point where said camera image direction and said virtual image direction line meet Wherein the translucent mirror portion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방향 가상 직선과 상기 반투명 거울부가 형성하는 제1 배치 각도(θ)가 아래의 식으로 결정되는 화상통화 보조장치.
(여기서, yz 좌표평면상에서 상기 반투명 거울부의 중심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거울 직선이 상기 하우징부에서 시작하는 지점의 좌표가 (k, 0)이고, 상기 사용자 눈 위치의 좌표가 (y1, z1)이고, 상기 상대방의 눈 위치 좌표가 (y2, z2)이고, 이고, 임)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virtual straight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part and a first arrangement angle ? Formed by the translucent mirror part ar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formula.
(Wherein, yz coordinate plane with a mirror lin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semi-transparent mirror portion, and the coordinates of the point (k, 0), starting from the housing section, the coordinates of the user's eye position (y 1, on z 1 ), the eye position coordinate of the other party is (y 2 , z 2 ) ego, being)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방향 가상 직선과 상기 카메라의 방향선이 형성하는 제1 배치각도()가 아래의 식으로 결정되는 화상통화 보조장치.
(여기서, yz 좌표평면상에서 상기 반투명 거울부의 중심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거울 직선이 상기 하우징부에서 시작하는 지점의 좌표가 (k, 0)이고, 상기 사용자 눈 위치의 좌표가 (y1, z1)이고, 상기 상대방의 눈 위치 좌표가 (y2, z2)이고, 이고, 임)8. The method of claim 7,
A first arrangement angle formed by a virtual straight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part and a direction line of the camera ) I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Wherein, yz coordinate plane with a mirror lin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semi-transparent mirror portion, and the coordinates of the point (k, 0), starting from the housing section, the coordinates of the user's eye position (y 1, on z 1 ), the eye position coordinate of the other party is (y 2 , z 2 ) ego, be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7948A KR101427853B1 (en) | 2013-01-24 | 2013-01-24 | Video communication device and auxiliary device for video communic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7948A KR101427853B1 (en) | 2013-01-24 | 2013-01-24 | Video communication device and auxiliary device for video communica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5246A true KR20140095246A (en) | 2014-08-01 |
KR101427853B1 KR101427853B1 (en) | 2014-08-07 |
Family
ID=51743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07948A KR101427853B1 (en) | 2013-01-24 | 2013-01-24 | Video communication device and auxiliary device for video communic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7853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733430A (en) * | 2018-07-18 | 2020-01-31 | 现代自动车株式会社 | Head-up display apparatus,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head-up display apparatus |
WO2022035168A1 (en) * | 2020-08-10 | 2022-02-1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jecting event information on reflector device connected to electronic device |
KR200496688Y1 (en) * | 2022-08-23 | 2023-04-04 | 에피톤코리아(주) | Portable 3D stereoscopic imaging device for remote augmented reality |
KR200496687Y1 (en) * | 2022-08-23 | 2023-04-04 | 에피톤코리아(주) | 3D stereoscopic imaging device for remote augmented reality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2570B1 (en) | 2005-12-22 | 2007-07-25 | 삼성전기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
-
2013
- 2013-01-24 KR KR1020130007948A patent/KR101427853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733430A (en) * | 2018-07-18 | 2020-01-31 | 现代自动车株式会社 | Head-up display apparatus,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head-up display apparatus |
CN110733430B (en) * | 2018-07-18 | 2024-08-23 | 现代自动车株式会社 | Head-up display device, vehicl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head-up display device |
WO2022035168A1 (en) * | 2020-08-10 | 2022-02-1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jecting event information on reflector device connected to electronic device |
US11768649B2 (en) | 2020-08-10 | 2023-09-2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jecting event information on reflector device connected to electronic device |
KR200496688Y1 (en) * | 2022-08-23 | 2023-04-04 | 에피톤코리아(주) | Portable 3D stereoscopic imaging device for remote augmented reality |
KR200496687Y1 (en) * | 2022-08-23 | 2023-04-04 | 에피톤코리아(주) | 3D stereoscopic imaging device for remote augmented realit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27853B1 (en) | 2014-08-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384760B2 (en) | Systems for establishing eye contact through a display | |
US8573866B2 (en) | Head-mounted face image capturing devices and systems | |
US9160906B2 (en) | Head-mounted face image capturing devices and systems | |
KR101427853B1 (en) | Video communication device and auxiliary device for video communication | |
WO2013166362A2 (en) | Collaboration environment using see through displays | |
KR20160001178A (en) | Glass typ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20064545A (en) | Video communicating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eye-to-eye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 |
JP2017102516A (en) | Display device,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method for display device and program | |
JP2018182570A (en) | Line-of-sight information sharing method and line-of-sight information sharing system | |
TW201617826A (en) | Display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evice, and program | |
CN111108491A (en) | Conference system | |
JP2014049797A (en) | Display device with camera | |
WO2016101861A1 (en) | Head-worn display device | |
CN111163280B (en) | Asymmetric video conference system and method thereof | |
JP6540426B2 (en) | Display system, display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program | |
US11700351B2 (en) | Virtual eye contact in video interaction | |
US10828560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stereoscopic vision with head mounted display | |
JP4390887B2 (en) | Imaging equipment | |
JP2018050156A (en) | Two-way communication device | |
JP2000214517A5 (en) | ||
JP2015066043A (en) | Visual stimulation image presentation device | |
JPH09107534A (en) | Video conference equipment and video conference system | |
CN108427195A (en) | A kind of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quipment based on augmented reality | |
JP2018018315A (en) | Display system, display unit,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program | |
JP2012010059A (en) | Imaging apparatus and remote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