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5239A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5239A
KR20140095239A KR1020130007921A KR20130007921A KR20140095239A KR 20140095239 A KR20140095239 A KR 20140095239A KR 1020130007921 A KR1020130007921 A KR 1020130007921A KR 20130007921 A KR20130007921 A KR 20130007921A KR 20140095239 A KR20140095239 A KR 20140095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
antenna
rets
present
antenn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7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7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5239A/ko
Priority to PCT/KR2014/000663 priority patent/WO2014116038A1/en
Priority to US14/163,285 priority patent/US20140203983A1/en
Publication of KR20140095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52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05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remotely controlled antenna positioning or sc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RU의 Daisy Chain 구성과 별개로 RET 안테나 또한 Daisy Chain을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RU와 RET를 개별적으로 연결 할 때 생기는 케이블 길이를 줄여 물자 소요량을 절감하고, 전력 증폭기 설치 없이도 RET를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TENN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안테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베이스 스테이션 안테나의 방사 패턴은 날씨와 같은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을 수도 있으며, 새로운 베이스 스테이션이 추가되거나 새로운 빌딩이 추가되는 것과 같은 주변 토폴로지(Topology)의 변경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 원하는 커버리지(Coverage)에 통신 신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안테나의 빔 각도(Tilt)가 조절될 필요가 있다. 초기에는 안테나의 빔 각도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절되었다. 일반적으로 베이스 스테이션 안테나는 산과 같은 고지대 위치하면서 타워에 주로 장착되며, 이와 같은 방식은 작업자가 빔 각도의 조절이 필요할 때마다 타워에 올라가서 각도를 조절하여야 문제점이 있었으며, 많은 시간 및 비용을 필요로 하였다.
이후, 안테나의 빔 각도를 전기적으로 조절하는 방식이 제안되었으며, 이 방식이 사용될 경우 작업자가 직접 타워에 올라가 안테나 각도를 조절하여야 하는 문제점은 해소되었다. 그러나, 안테나의 빔 각도를 전기적인 방식에 의해 조절하더라도 작업자가 안테나가 위치한 곳까지 이동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안테나의 위치가 산과 같은 고지대인 점을 감안할 때 여전히 많은 비용 및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원격지에서 안테나의 빔 각도를 제어하는 방식이 제안되었으며, 이와 같은 안테나 빔 각도 제어 방식을 RET(Remote Electric Tilt)라고 한다.
도 1은 종래의 RET 시스템 구성도이다.
원격지에서 안테나의 빔 각도를 제어하는 RET(Remote Electric Tilt)(110-1, 110-2, 110-3)는 기지국의 안테나와 Remote control unit인 액추에이터(actuator), 그리고 구동용 모터를 한 세트로 구성한 일체형 안테나 장비를 의미한다.
RET(110-1, 110-2, 110-3)는 기지국의 트랜시버(Transceiver)와 앰프(amplifier)부를 일체화한 장비인 RU(Radio frequency Unit)와 연결된다. 한 섹터(Sector)당 RU를 N개 설치하는 경우, RU는 데이지 체인(Daisy chain)으로 연결하고, RU와 RET는 1:1로 연결하게 된다.
이때, RU(100-1, 100-2, 100-3)와 RET(110-1, 110-2, 110-3) 연결 시, RF 신호를 위한 케이블(도 1에서는 도시하지 않음)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RET 제어 규격인 AISG(American Insurance Service Group) 규격의 케이블도 연결해야 한다. 상기 AISG 규격의 케이블은 RET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 공급도 함께 하기 때문에 AISG 규격의 케이블이 일정 길이 이상이 되면, 전력 손실이 발생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증폭기를 중간에 설치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RU와 RET가 근거리에 있지 않은 경우, RET는 RET끼리, RU는 RU끼리 근접하게 설치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 경우 길이가 긴 AISG 규격의 케이블도 RET 안테나의 개수 만큼 필요하게 되며, 이에 따라서, 설치와 유지보수의 난이도 또한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하나의 RU에서 여러 개의 RX Path를 지원하는 구성에서, 각각의 Path별 안테나 각도를 달리하는 경우 RET를 적용할 수 없게 된다. 이 경우는 수동으로 각도를 조절하는 안테나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RU와 RET 안테나가 항상 1:1로 연결되는 기존의 연결 구조 및 운용 방법에 따르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RU의 Daisy chain 연결과는 별도로 RET 안테나도 독립적인 Daisy chain을 구축하여 운용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각각의 RU와 RET를 개별적으로 연결 할 때 생기는 케이블 길이를 줄여 물자 소요량을 절감하고, 전력 증폭기 설치 없이도 RET를 설치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RU에 여러 개의 수신 경로(RX Path) 설정이 가능한 구성으로 기지국 장비를 운용 할 때, 각각 경로의 안테나 상하 각도를 다르게 변경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제어 장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제어 장치에 있어서, 한 개의 RU에 복수 개의 안테나를 연결할 경우, 한 개의 RU와 N개의 RET 중 하나와 연결하는 제어부; 상기 N개의 RET 및 상기 한 개의 RU와 연결된 RET를 테이블에 기록하는 RET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N개의 RET간 Daisy Chain으로 연결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제어 방법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한 개의 RU에 복수 개의 안테나를 연결할 경우, 한 개의 RU와 N개의 RET 중 하나와 연결하는 과정; 및 상기 N개의 RET 및 상기 한 개의 RU와 연결된 RET를 테이블에 기록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N개의 RET간 Daisy Chain으로 연결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각각의 RU와 RET를 개별적으로 연결 할 때 생기는 케이블 길이를 줄여 물자 소요량을 절감하고, 전력 증폭기 설치 없이도 RET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RU에 여러 개의 수신 경로(RX Path) 설정이 가능한 구성으로 기지국 장비를 운용 할 때, 각각 경로의 안테나 상하 각도를 다르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2 RX Path형 RET 안테나 2조를 Daisy chain으로 연결 시 하나의 4 RX Path형 RET 안테나처럼 사용할 수 있다.
도 1는 종래의 RET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RET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RET 시스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제어 방법 흐름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제어 장치 블록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기지국의 RET 안테나 장비를 Daisy chain으로 연결하여 운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Daisy chain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하드웨어 장치들의 구성을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RET 시스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RU 1(200-1), RU 2(200-2), RU 3(200-3)는 RU간 Daisy chain을 연결한다.
RU 1(200-1), RU 2(200-2), RU 3(200-3) 중 RU 3(200-3)는 RET 1(210-1)와 AISG 연결한다. RET 1(210-1), RET 2(210-2), RET 3(210-3)은 RET간 AISG Daisy chain을 연결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RET 1(210-1), RET 2(210-2), RET 3(210-3) 각각은 2개 또는 4개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N개의 RU마다 N의 RET를 직접 또는 일대일 연결하지 않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RU에만 적어도 하나의 RET들을 연결하고, 이후 RET들은 Daisy Chain으로 연결하여 운용함으로써 AISG 케이블의 설치와 물자의 소요를 절감할 수 있다.
RET 1(210-1), RET 2(210-2), RET 3(210-3)은 전원과 제어 신호를 위한 AISG 입/출력 단자를 이용하여 Daisy Chain 연결을 구성한다. RET 1(210-1)의 출력(output) 단자와 그 다음에 위치하는 RET 2(210-2)의 입력(input) 단자는 물리적으로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도 2와 같이, RET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RU와 RET를 개별적으로 연결 할 때 생기는 케이블 길이를 줄여 물자 소요량을 절감하고, 전력 증폭기 설치 없이도 RET를 설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RET 시스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여, RU가 여러 개의 RX Path를 가지는 경우 RET의 Daisy chain 연결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서는 RU(300)와 RET 사이의 RF 신호 케이블 선을 기재하였다.
하나의 RU가 여러 개의 RX Path를 가지는 경우(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RF 신호 케이블의 개수와 Path의 개수가 동일함), Path 별 안테나 각도를 달리하여 운용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 RET 하나에만 연결되어 있는 경우, Path별 안테나 각도는 일괄적으로 동일하게 조절 가능하다. 이는 RET에 모터가 하나씩만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각 RET를 Daisy chain으로 연결하여 운용하게 되면 RX Path별로 안테나 각도를 다르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서 후술될 RET 관리부는 RET(310-1, 310-2, 310-3)와 Daisy chain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RET의 목록을 생성하고, 관리한다. 이때, RET 관리부는 각 RET의 RX Path별 안테나 각도,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위상 정보 등을 관리한다.
RET의 모터를 구동하는 전력은 외부 전력이 아니라 RU에서 공급받는 전력이다. 하나의 RU에 연결된 두 개 이상의 RET가 동시에 모터를 구동하게 되면, RU의 전력이 약해져서 RU의 기본적인 기능인 RF 전력 송출에 지장을 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동시에 두 개의 RET가 동작하지 못하도록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하는 기술을 포함해야 한다. 도 5에서 후술될 RET 관리부에서 RET(310-1, 310-2, 310-3)와 Daisy chain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RET의 목록을 생성시, 두 개의 RET가 동시에 동작하지 못하도록 제어부는 RET 관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제어 방법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안테나 제어 장치는 401 단계에서 유저로부터 명령을 수신한다. 그러면, 안테나 제어 장치는 403 단계에서 RU 하위의 RET들의 목록을 테이블에 작성(또는 생성)한다. 실시 가능한 예로, 상기 목록 작성시, 각 RET의 RX Path별 안테나 각도, 캘리브레이션, 위상 정보 등을 고려하여 목록을 작성한다. 추가적으로 실시 가능한 예로, 상기 목록 작성시, 두 개의 RET가 동시에 동작하지 못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작성된 목록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추가적으로, 안테나 제어 장치는 403 단계에서 RET의 모터를 제어 중인지를 기록할 테이블을 작성(또는 생성)한다.
안테나 제어 장치는 405 단계에서 모터 제어 명령(예컨대, 각도 조절, 캘리브레이션 조절, 위상 조절 중 적어도 하나)을 수신하면, 407 단계에서 제어할 RET가 테이블에 기록된 RET인가를 판단한다.
만약, 테이블에 기록된 RET인 경우, 안테나 제어 장치는 409 단계에서 동일 RU 하위의 RET에서 이미 명령을 수행 중이라는 에러 메시지를 통보한다.
그러나 테이블에 기록된 RET가 아닌 경우, 안테나 제어 장치는 411 단계에서 현재 제어 중인 RET를 테이블에 기록하고, 413 단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RET로 명령을 전송한다. 이후, 415 단계에서 안테나 제어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RET로부터 결과를 수신하고, 417 단계에서 테이블에서 해당 RET를 삭제한다. 419 단계에서 안테나 제어 장치는 결과를 상위 소프트웨어로 통보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안테나 제어 방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RET의 AISG 출력 단자에 AISG 케이블을 연결하고, 두 번째 RET의 AISG 입력 단자에 연결한다. 원래 RET의 AISG 입력 단자는 RU에서 나오는 AISG 출력을 입력받기 위한 단자이다. 이 연결을 N개의 RET에 대해 계속 수행한다.
② 필요한 안테나 수 만큼 RET를 Daisy Chain 방식으로 연결한다. 단, 전력 손실과 Delay 등을 고려 할 때, RET를 약 12개 이상 연결하지 않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제어 장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안테나를 제어하기 위하여 안테나 제어 장치는 RET 관리부(503), 제어부(901), 메모리(501), 송/수신부(507), 메모리(505) 등을 포함한다.
RET 관리부(503)는 RET를 Daisy chain으로 연결하기 위해, 복수 개의 RET의 목록을 작성 및 관리한다. RET 관리부(503)는 RET(310-1, 310-2)와 Daisy chain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RET의 목록을 생성하고, 관리한다. 이때, RET 관리부(503)는 각 RET의 RX Path별 안테나 각도,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위상 정보 등을 관리한다.
송/수신부(507)는 각종 명령 및 신호 등을 수신하고, 전송한다.
메모리(501)는 상기 RET 관리부(503)에서 작성된 목록을 저장한다.
제어부(901)는 RET 관리부(503), 메모리(501), 송/수신부(507), 메모리(505) 등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5의 제어부(901)에서의 안테나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다.
RET를 제어하는 도 5의 제어부(901)는 하나의 RU에 연결되어 있는 RET들의 세트를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제어부(901)는 RET가 모터를 구동하는 명령(각도 조절, 캘리브레이션 조절, 위상 조절 등)을 수행하게 되면 해당 RET와 RU를 공유하고 있는 RET 중 다른 RET가 모터를 구동하는 동작을 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제어부(901)는 RU를 공유하고 있는 다른 RET가 모터를 구동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 중이라면, 새로운 명령이 수행되지 못하도록 막는다.
본 발명은 각각의 RU와 RET를 개별적으로 연결 할 때 생기는 케이블 길이를 줄여 물자 소요량을 절감하고, 전력 증폭기 설치 없이도 RET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RU에 여러 개의 RX Path 설정이 가능한 구성으로 기지국 장비를 운용 할 때, 각각 Path의 안테나 상하 각도를 다르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2 RX Path형 RET 안테나 2조를 Daisy chain으로 연결 시 하나의 4 RX Path형 RET 안테나처럼 사용 가능하다. 현재 4 RX Path형 RET 안테나를 제조하는 업체가 거의 없으므로, 4 RX Path 안테나를 설치해야 하는 지역에는 수동 각도 조절 안테나를 사용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8)

  1.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한 개의 RU에 복수 개의 안테나를 연결할 경우, 한 개의 RU와 N개의 RET 중 하나와 연결하는 과정; 및
    상기 N개의 RET 및 상기 한 개의 RU와 연결된 RET를 테이블에 기록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N개의 RET간 Daisy Chain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안테나 각도 및 캘리브레이션 중 적어도 하나가 기록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U와 연결되어 있는 RET들의 세트를 인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RET는, 필요한 안테나 수 만큼 Daisy Chain 방식으로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제어 방법.
  5.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제어 장치에 있어서,
    한 개의 RU에 복수 개의 안테나를 연결할 경우, 한 개의 RU와 N개의 RET 중 하나와 연결하는 제어부;
    상기 N개의 RET 및 상기 한 개의 RU와 연결된 RET를 테이블에 기록하는 RET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N개의 RET간 Daisy Chain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안테나 각도 및 캘리브레이션 중 적어도 하나가 기록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제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RU와 연결되어 있는 RET들의 세트를 인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제어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RET는, 필요한 안테나 수 만큼 Daisy Chain 방식으로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제어 장치.
KR1020130007921A 2013-01-24 2013-01-24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4009523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921A KR20140095239A (ko) 2013-01-24 2013-01-24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제어 장치 및 방법
PCT/KR2014/000663 WO2014116038A1 (en) 2013-01-24 2014-01-23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tenn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4/163,285 US20140203983A1 (en) 2013-01-24 2014-01-24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tenn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921A KR20140095239A (ko) 2013-01-24 2013-01-24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239A true KR20140095239A (ko) 2014-08-01

Family

ID=51207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7921A KR20140095239A (ko) 2013-01-24 2013-01-24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40203983A1 (ko)
KR (1) KR20140095239A (ko)
WO (1) WO2014116038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0685B1 (ko) * 2003-11-05 2006-06-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기지국에서의 안테나 및 안테나 제어 시스템 구성
GB0425813D0 (en) * 2004-11-24 2004-12-29 Finglas Technologies Ltd Remote control of antenna line device
SE528018C2 (sv) * 2004-11-26 2006-08-08 Powerwave Technologies Sweden Antennstyrsystem
KR100875522B1 (ko) * 2005-03-18 2008-12-23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기지국 안테나 케이블 공용화 장치
GB0614093D0 (en) * 2006-07-14 2006-08-23 Bae Systems Plc Deployable antenna system
US8514145B2 (en) * 2009-06-15 2013-08-20 Hendrikus A. Le Sage Antenna identification module
US8774717B2 (en) * 2009-10-15 2014-07-08 Andrew Llc Portable AISG controller with smartphone interface and system
US20120038513A1 (en) * 2010-08-13 2012-02-16 Zhixi Li Centralized antenna interface for wireless networks
US9119083B2 (en) * 2012-03-02 2015-08-25 Commscope Technologies Llc Master antenna controller application an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16038A1 (en) 2014-07-31
US20140203983A1 (en) 2014-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31764B1 (en) A method, a system and an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central control of a 2g network electric regulating antenna
US6239744B1 (en) Remote tilt antenna system
CN101232123B (zh) 电调天线下倾角远程控制系统
US20110105099A1 (en) Antenna line device configuration system
JP6393786B2 (ja) スイッチアセンブリ、スイッチアセンブリ制御方法、コントローラ、および基地局
US10390234B2 (en) Implementing a live 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 configuration from a virtual DAS design using an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OEM) specific software system in a DAS
JP2012182834A (ja) 無線基地局のカバー範囲および容量を調整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80064992A (ko) 셀룰러 안테나
GB2354674A (en) Distributed architecture for a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with remotely programmable radio unit
WO2011150809A1 (zh) 电调天线的控制方法及系统、电调天线控制器及维护终端
US20120317257A1 (en) Operation Maintenance System, Controller and Radio Frequency Subsystem for Managing Electrically Regulated Antennae
TWI552440B (zh) 天線分佈控制器
KR102345228B1 (ko) 안테나 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40095239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8987894B (zh) 一种天线控制方法和天线装置
CN102291747B (zh) 支持塔顶放大器的基站系统及其实现方法
US9899735B2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interface extens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s system
CN103391556A (zh) 无线局域网接入系统、电源注入器设备、天线设备
JP6812393B2 (ja) ヘテロジニアスに装備されたマルチアンテナ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を動作させる方法
CN102395151A (zh) 一种移动终端切换测试方法、系统和装置
KR100590631B1 (ko) 이동 통신 기지국에서의 안테나 및 안테나 제어 시스템 구성
CN220108219U (zh) 一种铁路无线通信基站天线自动调整系统
KR100590685B1 (ko) 이동 통신 기지국에서의 안테나 및 안테나 제어 시스템 구성
KR102057051B1 (ko) 무선망 최적화를 위한 안테나 무선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99858A (ko)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된 클러스터를 갖는 무선 통신테스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