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4111A - 혈당 관리 장치 및 혈당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혈당 관리 장치 및 혈당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4111A
KR20140094111A KR1020130006361A KR20130006361A KR20140094111A KR 20140094111 A KR20140094111 A KR 20140094111A KR 1020130006361 A KR1020130006361 A KR 1020130006361A KR 20130006361 A KR20130006361 A KR 20130006361A KR 20140094111 A KR20140094111 A KR 20140094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glucose
user
target
measured
glucose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6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미자
김찬웅
Original Assignee
에스디 바이오센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디 바이오센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디 바이오센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6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4111A/ko
Publication of KR20140094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41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당관리장치 및 혈당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측정된 혈당으로부터 당화혈색소 값 혹은 혈당변동위험범위를 계산하고, 계산된 당화혈색소 값 및 혈당변동위험범위를 이용하여 지속적이고 정확한 혈당관리장치 및 혈당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나이, 성별, 상태를 고려한 목표혈당을 설정하고, 측정된 혈당과 목표혈당을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의 혈당 관리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된 혈당을 이용하여 당화혈색소 및 혈당변동위험범위를 계산하고, 계산된 당화혈색소 혹은 혈당변동위험범위를 이용하여 환자의 상태를 알려줄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보험사, 건강보험관리공단 등과 연계하여 주기적인 혈당 관리 및 혈당 관리의 결과에 대한 마일리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혈당 관리 장치 및 혈당 관리 방법{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BLOOD GLUCOSE MANAGEMENT}
본 발명은 혈당관리장치 및 혈당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측정된 혈당으로부터 당화혈색소 값 혹은 혈당변동성 값을 계산하고, 계산된 당화혈색소 값 및 혈당변동성 값을 이용하여 지속적이고 정확한 혈당관리장치 및 혈당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혈당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32637호)가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목표 혈당치를 입력하고 사용자의 현 혈당을 측정함으로써 이상 혈당 여부를 알려 주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혈당측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혈당측정장치(10)는 목표혈당입력부(11), 데이터베이스부(12), 혈당측정부(13), 등급판단부(14), 및 디스플레이부(1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목표혈당입력부(11)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가 목표로 하는 목표혈당이 입력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2)는 복수의 사용자 등급 및 입력된 목표혈당을 저장한다.
상기 혈당측정부(13)는 사용자의 혈액 내 포함된 혈당을 측정하는 역할로 측정된 혈당에 관한 정보(혈당 및 혈당이 측정된 날짜 정보 등)는 데이터베이스부(12)에 저장된다. 여기서, 혈당은 채혈을 통한 방식으로 측정되거나 비채혈방식으로 측정될 수 있다.
상기 등급판단부(14)는 측정된 혈당과 데이터베이스부(12)에 저장된 목표혈당을 비교하여 측정된 혈당이 복수의 사용자 등급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 등급에 해당되는지 판단한다.
이때, 복수의 사용자 등급은 혈당측정 누적횟수, 혈당의 변동 폭 및 목표 혈당을 기준으로 분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는 사용자가 사용자 등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 등급, 측정된 혈당에 관한 정보 및 목표혈당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등급에 따라 사용자를 응원하거나 격려하는 피드백메시지도 디스플레이한다.
종래의 혈당측정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목표 혈당을 입력받을 뿐, 사용자 상태로부터 목표 혈당을 산출하고, 혈당관리를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획일적이고 일률적인 목표가 아닌 사용자의 나이, 성별, 상태를 고려하여 목표혈당을 설정하고, 측정된 혈당과 목표혈당을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의 혈당을 평가하는 혈당관리장치 및 혈당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측정된 혈당을 이용하여 당화혈색소를 계산하고, 계산된 당화혈색소를 이용하여 환자의 상태 및 환자의 혈당 위헙 등급를 알려주는 혈당관리장치 및 혈당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목적은 보험사 등과 연계하여 주기적인 혈당 관리 및 혈당 관리의 결과에 대한 마일리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혈당관리장치 및 혈당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당관리장치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 혈당측정시점 및 상태정보를 입력받는 개인정보 입력부; 상기 입력된 사용자의 나이, 성별, 혈당측정시점 및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목표혈당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목표혈당을 목표값으로 설정하는 목표혈당 설정부; 상기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하는 혈당측정부; 상기 설정된 목표값 및 상기 측정된 사용자의 혈당을 비교하여, 목표달성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측정된 사용자의 혈당이 상기 설정된 목표값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 혈당치에 따라서 혈당 등급을 판단하는 등급판단부; 상기 설정된 목표값 및 상기 측정된 사용자의 혈당을 저장하거나, 상기 측정된 사용자의 혈당 혹은 상기 판단된 혈당등급을 시간순으로 누적하여 저장하거나, 사용자의 성별, 나이, 상태 정보 혹은 혈당측정시점에 따른 목표혈당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측정된 사용자의 혈당,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혈당 등급을 보여주는 디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당관리장치는 상기 측정된 사용자의 혈당을 하기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당화혈색소 값으로 변환하는 당화혈색소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등급판단부는 상기 변환된 당화혈색소 값 및 상기 측정된 사용자의 혈당을 상기 목표값과 비교하여 혈당 등급을 판단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HbA1c는 당화혈색소, eAG는 혈당을 말한다.
상기 eAG는 혈당의 평균값이며, 상기 평균값은 상기 사용자의 이전 당화혈색소 값을 고려하여 공복 혈당 및 식후 혈당의 값에 가중치를 두어 하기의 수학식에 따라 계산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FBS는 공복 혈당(식전 혈당), PPG는 식후 혈당이고, k1 및 k2는 1 미만의 양의 실수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당관리장치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혈당을 하기의 수학식들에 적용하여 혈당변동성을 산출하는 혈당변동성 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등급판단부는 상기 설정된 목표값 및 상기 측정된 사용자의 혈당을 비교하고, 상기 산출된 혈당변동성을 고려하여 혈당 등급을 판단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여기서, ADRR은 혈당변동성을, BG는 혈당을 말한다.
상기 등급판단부는 상기 측정된 사용자의 혈당이 목표값 미만인 경우, 혈당등급을 안전 등급으로 판단하고, 상기 측정된 사용자의 혈당이 목표값을 초과하는 경우, 혈당등급을 고위험 등급, 위험 등급, 주의 등급 중 하나의 등급으로 판단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당관리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목표달성의 의지 정도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목표혈당 설정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의 의지 정도에 따라 목표혈당을 조정하여 조정된 목표혈당을 목표값으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판단된 혈당 등급 혹은 상기 목표달성 여부를 텍스트 형식, 막대바 형식, 반원 형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당관리장치는 상기 혈당측정부를 통해 사용자가 혈당을 측정한 횟수인 혈당측정횟수 혹은 목표달성 여부를 마일리지로 변환하여 생성하는 마일리지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마일리지를 외부의 서버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마일리지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마일리지를 누적하여 저장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당관리방법은 장치가 사용자의 성별, 나이, 및 상태 정보 혹은 혈당측정시점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장치가 혈액이 묻은 시험지로부터 혈당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장치가 상기 측정된 혈당을 당화혈색소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장치가 상기 측정된 혈당으로부터 혈당변동성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장치가 기 저장된 사용자의 성별, 나이, 상태 정보 혹은 혈당측정시점에 따른 목표혈당의 매칭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받은 사용자의 성별, 나이, 상태 정보, 혹은 혈당측정시점에 대한 목표혈당을 검색하여, 목표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장치가 상기 측정된 혈당, 당화혈색소 값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설정된 목표값을 비교하고, 상기 산출된 혈당변동성을 고려하여 목표사용자의 목표달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만약 목표가 달성된 경우, 상기 장치가 목표달성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만약 목표가 달성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장치가 체크리스트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체크항목을 입력받는 단계; 및 만약 측정된 혈당이 저혈당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장치가 행동지침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당관리방법은 상기 장치가 상기 혈당 측정에 따른 마일리지 혹은 상기 목표달성 여부에 따른 마일리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마일리지 정보를 외부의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당관리방법은 상기 장치가 상기 측정된 사용자의 혈당을 시간 순으로 누적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판단된 혈당등급을 시간순으로 누적적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획일적이고 일률적인 목표가 아닌 사용자의 나이, 성별, 건강 상태를 고려한 목표혈당을 설정하고, 측정된 혈당과 목표혈당을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의 혈당 관리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된 혈당을 이용하여 당화혈색소 및 혈당변동성를 계산하고, 계산된 당화혈색소 혹은 혈당변동성을 이용하여 환자의 상태 및 혈당 위험 정도를 알려줄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보험사, 건강보험관리공단 등과 연계하여 주기적인 혈당 측정 관리 및 혈당 관리의 결과에 대한 마일리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혈당측정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당관리장치의 블록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당관리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당관리장치에 저장된 매칭 테이블의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당관리장치의 디스플레이 예시.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하는 것은 아니다.
당뇨는 인슐린의 분비 혹은 작용에 문제가 생겨 혈당이 높거나 낮은 상태로 조절이 되지 않아 여러 합병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당뇨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혈당 수치를 측정하고 조절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당뇨를 치료받는 환자에게 발생하는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서는 혈당 수치를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 시점에서 측정하는 혈당 수치는 여러 요인들에 의해 변동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장기간의 혈당 조절 추이를 파악할 목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검사가 당화혈색소이다. 당화혈색소는 적혈구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혈색소에 당이 결합된 형태로, 혈당이 높게 유지되었을 경우에 당화혈색소 수치도 높아진다. 당화혈색소는 2~4개월 동안의 평균 혈당 수치를 반영하므로 장기간의 혈당 조절 농도를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종래의 혈당측정장치는 측정된 혈당을 기 저장된 목표혈당과 비교하여 이상 혈당 여부 만을 판단하는데 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당관리장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목표혈당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혈당을 이용하여 당화혈색소 값을 계산하고, 혈당변동성을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당관리장치는 당화혈색소 값 및 혈당변동성을 계산하여 사용자의 혈당 상태를 더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이러한 판단들을 기초로 사용자의 혈당을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게 해 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당관리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당관리장치는 개인정보 입력부(110), 목표혈당 설정부(115), 혈당측정부(120), 등급판단부(125), 저장부(130), 디스플레이부(135), 혈당변동성 산출부(140), 당화혈색소 변환부(145), 입력부(150), 마일리지 생성부(155), 통신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개인정보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다. 입력받는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 및 상태정보 등 일 수 있다. 사용자의 상태정보는 정상인, 임신상태, 당뇨환자, 합병증 있는 당뇨환자 등의 정보 일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상태정보는 공복 상태, 식후 상태 등의 혈당 측정 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개인정보 입력부(110)의 예로는 키보드, 터치 스크린, 마우스, 스피커 등이 있다.
개인정보 입력부(110)는 외부의 장치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이때 개인정보 입력부(110)는 사용자 정보를 근거리 통신, 무선 통신, 유선 통신 등의 방법으로 수신받을 수 있다. 또한 개인정보 입력부(110)는 스마트 폰, PC등으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NFC,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통신 방법으로 수신받을 수 있다.
목표혈당 설정부(115)는 개인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받거나 혹은 수신받은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목표혈당을 검색하고, 검색된 목표혈당을 목표값으로 설정한다. 목표혈당 설정부(115)는 매칭 테이블을 이용하여 목표혈당을 검색할 수 있다. 매칭 테이블은 저장부에 저장되고, 사용자의 나이, 성별, 혈당측정시점 및 상태정보에 따른 목표혈당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상태정보가 정상이고, 사용자의 측정 시간이 공복 상태인 경우, 목표혈당은 110 미만이 되고, 사용자의 상태정보가 정상이고, 사용자의 측정 시점이 식후 상태인 경우, 목표혈당은 140 미만이 될 수 있다. 또한, 목표혈당은 사용자의 상태정보 및 측정 시점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혈당측정부(120)는 사용자의 혈액 등으로부터 혈당을 측정한다. 혈당측정부(120)는 사용자의 혈액이 묻은 시험지, 사용자의 혈액 자체 등으로부터 혈당을 측정할 수 있다.
등급판단부(125)는 측정된 혈당으로부터 현재 혈당관리 상태를 등급으로 판단한다. 등급판단부(125)는 측정된 혈당과 목표혈당을 비교함으로써 혈당상태 등급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등급판단부(125)는 산출된 혈당변동성을 고려하여 혈당상태 등급을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등급판단부(125)는 측정 혈당이 목표혈당에 도달한 경우, 혈당조절성공 혹은 안전 등급으로 판단하고, 측정 혈당이 목표혈당을 초과하거나 미달하는 경우, 초과 혹은 미달한 혈당수치에 따라 고위험 등급, 위험 등급, 주의 등급 중 하나로 판단할 수 있다. 혹은 등급판단부(125)는 측정 혈당의 목표혈당에 대한 비율의 퍼센트로 등급을 판단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사용자가 측정한 혈당, 당화혈색소 값, 혈당변동성을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0)는 나이, 성별, 측정시점정보, 상태정보에 따른 목표혈당을 테이블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는 등급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혈당 등급을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5)는 사용자의 혈당, 당화혈색소 값, 혈당변동성 등을 표시하고, 목표혈당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목표혈당을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5)는 사용자의 혈당상태 등급을 표시할 수 있다.
혈당변동성 산출부(140)는 복수의 측정된 혈당을 아래의 수학식에 대입함으로써, 혈당변동성을 산출한다.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여기서, ADRR은 혈당변동위험범위를, BG는 혈당을 말한다.
혈당변동성은 혈당, 당화혈색소와 다른 혈당 조절을 반영할 수 있는 지표이다. ADRR은 자가혈당기를 이용한 혈당변동성의 지표이며, 혈당치의 임상적인 중앙값과 수치적인 중앙값의 차이를 일치시키기 위해 로그변환식을 이용해 산출한 값으로 혈당치 110 정도를 기준으로 산출한 혈당변동에 따른 위험을 파악하는 개념이다.
당화혈색소 변환부(145)는 측정된 혈당을 아래의 수학식에 대입하여 당화혈색소를 계산한다.
Figure pat00015
여기서, HbA1c는 당화혈색소, eAG는 혈당의 평균값을 말한다.
이때 혈당의 평균값은 사용자의 당화혈색소 값을 고려하여 공복 혈당 및 식후 혈당에 대해서 가중치를 적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혈당의 평균값은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산출될 수 있다.
상기 eAG는 혈당의 평균값이며, 상기 평균값은 상기 사용자의 이전 당화혈색소 값을 고려하여 공복 혈당 및 식후 혈당의 값에 가중치를 두어 하기의 수학식에 따라 계산됨을 특징으로 하는혈당관리장치.
Figure pat00016
여기서, FBS는 공복 혈당(식전 혈당), PPG는 식후 혈당이고, k1 및 k2는 1 미만의 양의 실수를 말한다.
이때, k1 및 k2값은 사용자의 당화혈색소 값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의 당화혈색소 7%, 8%, 9%, 10%, 11%, 5개의 그룹으로 구분한 후, 각각의 그룹에 대한 가중치 값은 식후 혈당의 가중치는 각각 77%, 43%, 30%, 23%, 19%이고, 식전 혈당(공복 혈당)의 가중치는 각각 23%(100-77), 57%, 70%, 77%, 81%이 된다.
즉, 사용자의 당화혈색소 값이 9%라면, 평균값은
Figure pat00017
이 될 수 있다.
즉, 혈당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혈당 값 뿐만 아니라, 당화혈색소 값으로 변환하여, 혈당 조절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입력부(150)는 사용자로부터 목표달성의 의지 정도를 입력받는다. 입력부의 예로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 터치스크린, 터치 펜 등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아래의 항목에 대해서 매우 그렇다(5점), 그렇다(4점), 보통이다(3점), 그렇지 않다(2점), 매우 그렇지 않다(1점)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항목들을 모두 점수로 환산하여 사용자의 목표달성 의지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1 나는 필요할 때 혈당을 측정할 수 있다.
2 나는 혈당 수치가 너무 높을 때 혈당을 낮출 수 있다.
3 나는 혈당 수치가 너무 낮을 때 혈당을 높일 수 있다.
4 나는 적절한 음식을 선택할 수 있다.
5 나는 음식을 골고루 선택하고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할 수 있다.
6 나는 이상적인 체중범위 내로 체중을 조절하고 유지할 수 있다.
7 나는 운동을 충분하게 할 수 있다.
8 나는 몸이 아플 때 식사 계획을 조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의지 정도가 32~40점이면, 목표혈당을 좀더 낮추게 되고, 사용자의 의지 정도가 24~31점이면, 목표혈당을 조정하지 않고, 사용자의 의지 정도가 24점 미만이면, 목표혈당을 좀더 높이게 된다.
마일리지 생성부(155)는 혈당측정부를 통해 사용자가 혈당을 측정한 횟수인 혈당측정횟수 혹은 목표달성 결과를 마일리지로 변환하여 생성한다.
예를 들어, 마일리지 생성부(155)는 사용자가 혈당을 측정할 때는 50포인트, 목표혈당에 달성된 경우에는 100포인트를 생성하게 된다.
통신부(160)는 생성된 마일리지 정보를 외부의 서버로 전달하거나 외부의 서버 등으로부터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통신부를 통해 혈당관리장치는 외부의 장치와 NFC,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유무선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당관리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당관리방법은 사용자 정보 입력단계(S215), 혈당 측정 단계(S220), 당화혈색소 변환 단계(S225), 혈당 변동성 산출 단계(S230), 목표혈당 검색 단계(S235), 목표달성 여부 판단 단계(S240)를 포함할 수 있다.
S215에서는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거나, 외부의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받는다.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정보로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 상태 정보 등 일 수 있다. 상태 정보는 공복 상태, 식후 상태, 임신 상태 등 일 수 있다.
S220에서는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혈액 등이 묻은 시험지 혹은 혈액 등을 입력 받아 혈당을 측정한다.
S225에서는 장치가 아래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혈당을 당화혈색소 수치로 변환한다.
Figure pat00018
여기서, HbA1c는 당화혈색소, eAG는 혈당을 말한다.
S230에서는 장치가 아래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복수의 혈당을 이용하여 혈당변동성을 산출한다.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2
Figure pat00023
Figure pat00024
여기서, ADRR은 혈당변동위험범위를, BG는 혈당을 말한다.
S235에서는 장치가 사용자 정보를 고려한 목표혈당을 검색한다. S325에서는 기 저장된 사용자의 성별, 나이, 상태에 따른 목표혈당의 매칭 테이블로부터 목표혈당을 검색할 수 있다. 혈당은 사용자의 성별, 나이, 상태에 따라서 달라진다. 예를 들어, 정상인의 경우, 공복상태의 목표혈당은 100 미만, 식후상태의 목표혈당은 120 미만이며, 6세 이상 소아의 경우, 공복상태의 목표혈당은 120 미만, 식후상태의 목표혈당은 180 미만이 될 수 있다.
S240에서는 사용자 정보를 고려한 목표혈당과 측정된 혈당을 비교함으로써 목표달성 여부를 판단한다. 측정된 혈당이 목표혈당보다 작은 경우, 즉, 목표를 달성한 경우, S245로 이동한다. 측정된 혈당이 목표혈당보다 큰 경우, 즉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경우, S250으로 이동한다. 측정된 혈당이 저혈당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S255로 이동한다. 여기서, 저혈당 임계값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할 수 있다.
S245에서는 목표달성 결과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한다.
S250에서는 체크리스트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체크 항목을 입력받는다.
체크리스트는 사용자의 혈당관리에 대한 체크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크리스트는 아래와 같을 수 있다.
가. 식후 산책을 빠트렸는가
나. 별도의 운동을 했는가
다. 음식 섭취량이 모자랐는가
라. 가공식품을 섭취하였는가
마. 육류 섭취를 많이 하였는가
바. 인슈린(복용약) 용량이 많았는가
사. 인슈린(복용약) 용량이 적었는가
아. 스트레스트를 받았는가
자. 감기에 걸렸는가
차. 혈당약 외 다른 약을 복용하였는가
S255에서는 장치가 행동지침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장치는 아래와 같은 행동지침을 표시할 수 있다.
가. 15~20 그램의 당질, 그에 상응하는 음료, 또는 사탕 3개 섭취.
나. 초코렛은 먹으면 안된다.
다. 15분후 혈당 다시 체크.
라. 혈당을 측정할 수 없는 경우, 위와 같은 처치 후 15분 기다릴 것.
S260에서는 장치가 혈당 측정에 따른 마일리지 및 목표달성 여부에 따른 마일리지를 생성한다. 또한, 생성된 마일리지는 외부의 보험사 혹은 건강보험관리 공단 등의 사이트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S260에서는 장치가 혈당 측정에 따른 마일리지인 50, 목표달성에 따른 마일리인 100을 생성할 수 있다. S260에서는 이전의 마일리지에 새로 생성된 마일리지를 합하여 총 마일리지를 산출할 수 있다. S260에서는 산출된 총 마일리지를 외부의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혈당관리장치
110: 개인정보 입력부
115: 목표혈당 설정부
120: 혈당측정부
125: 등급판단부
130: 저장부
135: 디스플레이부
140: 혈당변동성 산출부
145: 당화혈색소 변환부
150: 입력부
155: 마일리지 생성부
160: 통신부

Claims (11)

  1. 사용자의 나이, 성별, 혈당측정시점 및 상태정보를 입력받거나, 외부의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나이, 성별, 혈당측정시점 및 상태정보를 수신받는 개인정보 입력부;
    상기 입력되거나 수신된 사용자의 나이, 성별, 혈당측정시점 및 상태정보에 대응되는 목표혈당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목표혈당을 목표값으로 설정하는 목표혈당 설정부;
    상기 사용자의 혈당을 측정하는 혈당측정부;
    상기 설정된 목표값 및 상기 측정된 사용자의 혈당을 비교하여, 목표달성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측정된 사용자의 혈당이 상기 설정된 목표값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 혈당치에 따라서 혈당 등급을 판단하는 등급판단부;
    상기 설정된 목표값 및 상기 측정된 사용자의 혈당을 저장하거나, 상기 측정된 사용자의 혈당 혹은 상기 판단된 혈당등급을 시간순으로 누적하여 저장하거나, 사용자의 성별, 나이, 상태 정보 혹은 혈당측정시점에 따른 목표혈당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측정된 사용자의 혈당, 상기 판단된 사용자의 혈당 등급을 보여주는 디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혈당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사용자의 혈당을 하기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당화혈색소 값으로 변환하는 당화혈색소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등급판단부는 상기 변환된 당화혈색소 값 및 상기 측정된 사용자의 혈당을 상기 목표값과 비교하여 혈당 등급을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관리장치.
    Figure pat00025

    여기서, HbA1c는 당화혈색소, eAG는 혈당의 평균값을 말한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eAG는 혈당의 평균값이며, 상기 평균값은 상기 사용자의 이전 당화혈색소 값을 고려하여 공복 혈당 및 식후 혈당의 값에 가중치를 두어 하기의 수학식에 따라 계산됨을 특징으로 하는혈당관리장치.
    Figure pat00026

    여기서, FBS는 공복 혈당(식전 혈당), PPG는 식후 혈당이고, k1 및 k2는 1 미만의 양의 실수를 말한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혈당을 하기의 수학식들에 적용하여 혈당변동위험범위를 산출하는 혈당변동위험범위 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등급판단부는 상기 설정된 목표값 및 상기 측정된 사용자의 혈당을 비교하고, 상기 산출된 혈당변동성을 고려하여 혈당 등급을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관리장치.
    Figure pat00027

    Figure pat00028

    Figure pat00029

    Figure pat00030

    Figure pat00031

    Figure pat00032

    여기서, ADRR은 혈당변동위험범위를, BG는 혈당을 말한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급판단부는 상기 측정된 사용자의 혈당이 목표값 미만인 경우, 혈당등급을 안전 등급으로 판단하고, 상기 측정된 사용자의 혈당이 목표값을 초과하는 경우, 혈당등급을 고위험 등급, 위험 등급, 주의 등급 중 하나의 등급으로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관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목표달성의 의지 정도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목표혈당 설정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의 의지 정도에 따라 목표혈당을 조정하여 조정된 목표혈당을 목표값으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관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판단된 혈당 등급 혹은 상기 목표달성 여부를 텍스트 형식, 막대바 형식, 반원 형식 중 하나의 방식으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관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혈당측정부를 통해 사용자가 혈당을 측정한 횟수인 혈당측정횟수 혹은 목표달성 여부를 마일리지로 변환하여 생성하는 마일리지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마일리지를 외부의 서버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마일리지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마일리지를 누적하여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관리장치.
  9. 장치가 사용자의 성별, 나이, 및 상태 정보 혹은 혈당측정시점을 입력받거나, 상기 장치가 외부의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성별, 나이, 혈당측정시점 및 상태정보를 수신받는 단계;
    상기 장치가 혈액이 묻은 시험지로부터 혈당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장치가 상기 측정된 혈당을 당화혈색소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장치가 상기 측정된 혈당으로부터 혈당변동위험범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장치가 기 저장된 사용자의 성별, 나이, 상태 정보 혹은 혈당측정시점에 따른 목표혈당의 매칭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받은 사용자의 성별, 나이, 상태 정보, 혹은 혈당측정시점에 대한 목표혈당을 검색하여, 목표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장치가 상기 측정된 혈당, 당화혈색소 값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설정된 목표값을 비교하고, 상기 산출된 혈당변동위험범위를 고려하여 목표사용자의 목표달성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만약 목표가 달성된 경우, 상기 장치가 목표달성 여부를 표시하는 단계;
    만약 목표가 달성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장치가 체크리스트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체크항목을 입력받는 단계; 및
    만약 측정된 혈당이 저혈당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장치가 행동지침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혈당관리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상기 혈당 측정에 따른 마일리지 혹은 상기 목표달성 여부에 따른 마일리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마일리지 정보를 외부의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관리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상기 측정된 사용자의 혈당을 시간 순으로 누적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판단된 혈당등급을 시간순으로 누적적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관리방법.

KR1020130006361A 2013-01-21 2013-01-21 혈당 관리 장치 및 혈당 관리 방법 KR201400941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361A KR20140094111A (ko) 2013-01-21 2013-01-21 혈당 관리 장치 및 혈당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361A KR20140094111A (ko) 2013-01-21 2013-01-21 혈당 관리 장치 및 혈당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111A true KR20140094111A (ko) 2014-07-30

Family

ID=51739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6361A KR20140094111A (ko) 2013-01-21 2013-01-21 혈당 관리 장치 및 혈당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9411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072B1 (ko) * 2014-08-11 2016-02-03 주식회사 아이센스 개인화된 저혈당 수치를 이용한 혈당 관리 방법
KR101867983B1 (ko) * 2016-06-21 2018-06-15 송제윤 그룹 기반의 당뇨 정보 공유 지원 장치 및 방법과, 상기 방법에 관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0687741B2 (en) 2016-11-03 2020-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iological component
US11039766B2 (en) 2016-11-30 2021-06-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biological component
KR102418338B1 (ko) * 2021-08-13 2022-07-08 주식회사 유투메드텍 연속혈당 데이터를 이용한 공복 혈당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2418339B1 (ko) * 2021-08-13 2022-07-08 주식회사 유투메드텍 연속혈당 데이터를 이용한 혈당 수치 추출 장치 및 그 방법
KR102418341B1 (ko) * 2021-08-13 2022-07-08 주식회사 유투메드텍 연속혈당 데이터를 이용한 당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072B1 (ko) * 2014-08-11 2016-02-03 주식회사 아이센스 개인화된 저혈당 수치를 이용한 혈당 관리 방법
WO2016024717A1 (ko) * 2014-08-11 2016-02-18 주식회사 아이센스 개인화된 저혈당 수치를 이용한 혈당 관리 방법
KR101867983B1 (ko) * 2016-06-21 2018-06-15 송제윤 그룹 기반의 당뇨 정보 공유 지원 장치 및 방법과, 상기 방법에 관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0687741B2 (en) 2016-11-03 2020-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iological component
US11039766B2 (en) 2016-11-30 2021-06-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biological component
US11617523B2 (en) 2016-11-30 2023-04-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biological component
KR102418338B1 (ko) * 2021-08-13 2022-07-08 주식회사 유투메드텍 연속혈당 데이터를 이용한 공복 혈당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2418339B1 (ko) * 2021-08-13 2022-07-08 주식회사 유투메드텍 연속혈당 데이터를 이용한 혈당 수치 추출 장치 및 그 방법
KR102418341B1 (ko) * 2021-08-13 2022-07-08 주식회사 유투메드텍 연속혈당 데이터를 이용한 당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WO2023017921A1 (ko) * 2021-08-13 2023-02-16 주식회사 유투메드텍 연속혈당 데이터를 이용한 당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WO2023017920A1 (ko) * 2021-08-13 2023-02-16 주식회사 유투메드텍 연속혈당 데이터를 이용한 혈당 수치 추출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uncan et al. Association of smoking cessation with subsequent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Zhang et al. Global disability burdens of diabetes-related lower-extremity complications in 1990 and 2016
Sharma et al. Prevalence and severity of high blood pressure among children based on the 2017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Guidelines
KR20140094111A (ko) 혈당 관리 장치 및 혈당 관리 방법
Jacobs et al. Waist circumference and all-cause mortality in a large US cohort
US11547297B1 (en) Correlation of bio-impedance measurements and a physiological parameter for a wearable device
Wildman et al. The obese without cardiometabolic risk factor clustering and the normal weight with cardiometabolic risk factor clustering: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2 phenotypes among the US population (NHANES 1999-2004)
Afkarian et al. Clinical manifestations of kidney disease among US adults with diabetes, 1988-2014
Varma et al. Prevalence and causes of visual impairment and blindness in Chinese American adults: the Chinese American eye study
Kubzansky et al. Emotional vitality and incident coronary heart disease: benefits of healthy psychological functioning
Geiss et al. Prevalence and incidence trends for diagnosed diabetes among adults aged 20 to 79 years, United States, 1980-2012
US201703447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a health regimen
RU2472427C2 (ru) Моб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обработки факторов, влияющих на уровень сахара в крови
CN103959291B (zh) 基于具有自适应选择的核和正则化参数的正则化网络的葡萄糖预测器
Lean et al. Impairment of health and quality of life using new US federal guidelines for the identification of obesity
Munshi et al. Frequent hypoglycemia among elderly patients with poor glycemic control
JP5531711B2 (ja) 健康管理支援装置、健康管理支援システムおよび健康管理支援プログラム
US20170300655A1 (en) Apparatus and methodologies for personal health analysis
Wang et al. Ophthalmic screening patterns among youths with diabetes enrolled in a large US managed care network
McAnany et al. Visual acuity changes in patients with leber congenital amaurosis and mutations in CEP290
CN108141714B (zh) 移动健康应用的个性化、同伴衍生消息的自动构建的装置和方法
Longo et al. Glycemic control in people with type 1 diabetes using a hybrid closed loop system and followed by telemedicin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Italy
Staessen et al. Hypertension prevalence and stroke mortality across populations
KR20110032637A (ko) 혈당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Xie et al. Association of weight loss between early adulthood and midlife with all-cause mortality risk in the 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