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3883A -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의 도난/분실 방지 및 스마트기기의 잠금 모드 자동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의 도난/분실 방지 및 스마트기기의 잠금 모드 자동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3883A
KR20140093883A KR1020130006145A KR20130006145A KR20140093883A KR 20140093883 A KR20140093883 A KR 20140093883A KR 1020130006145 A KR1020130006145 A KR 1020130006145A KR 20130006145 A KR20130006145 A KR 20130006145A KR 20140093883 A KR20140093883 A KR 20140093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evice
communication module
module
short
short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6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4142B1 (ko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키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키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키온
Priority to KR1020130006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142B1/ko
Priority to PCT/KR2013/000511 priority patent/WO2014112673A1/ko
Publication of KR20140093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3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 H04W12/64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using geofenced are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4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 G08B13/1427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with transmitter-receiver for distance dete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5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tag technology used for parent or child unit, e.g. same transmission technology, magnetic tag, RF tag, RFI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에 여러 휴대 물품들의 목록 및 단말기를 기준으로 각 물품들의 이격 허용 거리를 사전 설정하고 이를 통해 등록된 물품들의 분실이나 도난 상황 발생 시 그 사용자가 해당 사실을 즉시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런 1차적인 분실방지 시스템이 있더라도 부득이하게 분실/도난이 된 경우에는 분실/도난으로 인한 2차적인 피해인 개인정보 유출과 중고품으로 유통되거나 해외로 밀수출되는 등의 문제를 막을 수 있게 일정시간 이후 분실/도난된 스마트기기의 자동잠금이 실행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물품 이동 거리 통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의 도난/분실 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물품 이동 거리 통제 시스템은,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이동 거리를 통제받기 위한 물품들에 개별 설치되는 복수의 제1 근거리 통신모듈과, 상기 물품들에 대한 기준 위치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과의 통신을 위한 제2 근거리 통신모듈이 설치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의 사전 설정된 기준에 따른 송수신 신호 존재 여부에 따라 소정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이동거리 제어모듈과, 상기 이동거리 제어모듈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외부 알림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의 도난/분실 방지 및 스마트기기의 잠금 모드 자동 작동 방법{Control system of goods moving distance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preventing loss or lobbery of goods therefor}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의 도난/분실 방지 및 스마트기기의 잠금 모드 자동 작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마트기기의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기기에 여러 휴대 물품들의 목록 및 스마트기기를 기준으로 각 물품들의 이격 허용 거리를 사전 설정하고 이를 통해 등록된 물품 및 스마트기기의 분실이나 도난 상황 발생 시 그 사용자가 해당 사실을 즉시 인지할 수 있는 동시에 스마트기기의 자동 잠금 모드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의 도난/분실 방지 및 스마트기기의 잠금 모드 자동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정보통신 기술 및 전자기기 관련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스마트폰과 테블릿 PC 등 휴대용 스마트기기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또한 현대인들은 개인적 또는 업무적 외출 시 상기 스마트기기 외에도 노트북 PC,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들 그리고 고가의 가방, 시계, 지갑 등을 휴대하는 경우가 많다.
스마트기기를 예로 부연 설명하면, 스마트폰 및 테블릿 PC는 그 부피가 작아 휴대는 간편한 반면 인터넷 접속을 통한 다양한 정보 검색 기능, 영화를 포함한 동영상 및 음악파일 재생 기능, 메신저 기능 등 매우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스마트폰 및 테블릿 PC의 사용자들은 실내는 물론 차량이나 야외에서도 해당 기기를 휴대하면서 그 다양한 기능들을 활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 휴대용 스마트기기의 사용 인구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것과 함께 둘 이상의 스마트기기를 동시 휴대하는 사용자도 많아짐에 따라 그 분실 및 도난의 우려도 커지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의 경우 그 분실에 대비한 보험 상품이 출시되고 있고, 또한 GPS를 이용한 위치추적, 원격 잠금, 문자메시지로 마지막 위치 전송 등 그 분실 또는 도난에 대비한 여러 소프트웨어적 기술들이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분실 또는 도난 방지 기술들은 스마트폰을 이미 분실한 상태에서 해당 스마트폰을 다시 찾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기술일 뿐, 스마트폰의 분실 및 도난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것과는 무관한 기술이다.
즉, 스마트폰 및 기타 테블릿 PC 등의 스마트기기 분실 시, 이를 습득한 사람이 해당 기기의 주인에게 돌려주고자 하는 의지가 없는 한 그 회수가 어려운 실정이고, 오히려 분실 또는 도난된 스마트폰 및 테블릿 PC의 불법적인 유통을 위한 중고 매매시장이 형성되고 있는 것이 작금의 현실이다.
따라서, 스마트폰 및 테블릿 PC 등 스마트기기의 사용 인구 및 사용량이 더 확대될 것이 명백한 최근의 추세에 비춰볼 때, 이 분실 및 도난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의 제공이 매우 요구되는 상황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193100호(2012.10.15),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소지품 분실 방지용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소지품 분실 방지시스템” 한국공개특허 제2010-0011060(2010.02.03), “디지털 기기의 도난방지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디지털 기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에 여러 휴대 물품들의 목록 및 단말기를 기준으로 각 물품들의 이격 허용 거리를 사전 설정하고 이를 통해 등록된 물품들의 분실이나 도난 상황 발생 시 그 사용자가 해당 사실을 즉시 인지할 수 있는 동시에 해당 물품의 자동 잠금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 거리 통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의 도난/분실 방지 및 자동 잠금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기기 및 그를 기준으로 이동거리가 통제되는 물품 간의 근거리 통신이 사전 설정된 조건 이상으로 중단 시 해당 스마트기기가 자동 잠금된 후 해당 물품과의 유효한 근거리 통신이 재재될 경우에만 잠금이 해제됨에 따라, 분실 및 도난된 스마트기기 및 그 저장 정보가 타인을 통해 불법 복제되거나 중고폰으로 불법 판매되는 등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 거리 통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의 도난/분실 방지 및 자동 잠금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은,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이동 거리를 통제받기 위한 물품들에 개별 설치되는 복수의 제1 근거리 통신모듈과, 상기 물품들에 대한 기준 위치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과의 통신을 위한 제2 근거리 통신모듈이 설치되는 스마트기기와,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의 사전 설정된 기준에 따른 송수신 신호 존재 여부에 따라 소정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이동거리 제어모듈과, 상기 이동거리 제어모듈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외부 알림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거리 제어모듈 및 외부 알림 모듈은 상기 스마트기기 또는 물품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거리 제어모듈은 상기 스마트기기에 탑재되는 이동거리 통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거리 통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스마트기기와 물품들 간의 이격 허용 거리를 개별 설정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품들에 개별 설치되어 상기 이동거리 통제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상기 스마트기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일 물품에 설치된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의 발신 신호 세기 및 발신 신호 출력주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조절하는 신호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 이동거리 제어모듈, 외부 알림 모듈 및 신호 조절부는 결합된 단일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물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거리 통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마다 서로 다른 식별코드를 부여하고 상기 식별코드를 기준으로 해당 물품의 고유정보 및 설정된 이격 허용 거리가 매칭된 이동거리 관리테이블을 형성하여 이를 상기 스마트기기의 저장부에 저장 후 필요 시 해당 정보를 검출하여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거리 통제 어플리케이션은 사전 설정된 주기마다 반복되는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과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의 신호 송수신이 미발생시 상기 외부 알림 모듈에 전송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 알림 모듈에 전송되기 위해 출력되는 상기 이동거리 통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신호는 상기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의 신호 송수신을 위해 사전 설정된 매 시간주기의 종료 시점에 출력되는 예비 제어신호 및 상기 예비 제어신호의 출력 후 사전 설정된 시간 이상 지난 시점에 출력되는 주제어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예비 제어신호의 출력 시점으로부터 상기 주제어신호의 출력 시점까지의 시간은 상기 시간주기의 시간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거리 제어모듈 및 외부 알림 모듈을 상기 스마트기기에 일체로 내장되는 동시에 상기 제2 근거리 통신모듈은 상기 스마트기기의 자체 근거리 통신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거리 제어모듈 및 외부 알림 모듈 그리고 제2 근거리 통신모듈은 결합된 단일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스마트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스마트기기에 대한 결합 시 해당 스마트기기의 제어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거리 제어모듈에서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에 사전 설정된 기준에 따른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으로 확인 시, 상기 스마트기기는 잠금 모드로 자동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기기는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과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에 사전 설정된 기준에 따른 신호 송수신이 재개될 시에만 그 잠금 모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기기는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에 사전 설정된 기준에 따른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으로 확인 후 해당 상황의 지속 시간이 사전 설정된 잠금 전환 시간의 초과 시 잠금 모드로 자동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 전환 시간은 상기 스마트기기의 신호 입력 수단을 통해 변경 가능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기기는 잠금 모드로 자동 전환 시 현재 위치 정보 및 분실/도난 발생 정보를 사전 지정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통화 기능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기기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테블릿 PC를 포함한 휴대형 스마트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 거리 통제 시스템은, 이동 위치 제한용 물품에 대한 기준 위치를 형성하는 제1 근거리 통신모듈과,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에 의한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이동 거리를 통제받기 위한 물품에 설치되는 제2 근거리 통신모듈과, 상기 제2 근거리 통신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과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에 사전 설정된 기준에 따른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 발생 시 잠금 모드로 자동 전환되는 스마트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에 의한 물품의 도난/분실 방지 방법은, 기준 위치 역할을 하는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제2 근거리 통신모듈 및 상기 스마트기기를 기준으로 이동 거리가 통제되는 물품에 설치된 제1 근거리 통신모듈 간에 사전 설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 신호 송수신이 반복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의 신호 송수신 상태를 체크하는 이동거리 제어모듈에서 상기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의 신호 송수신 여부를 상기 시간 주기마다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거리 제어모듈이 1회의 상기 시간 주기를 기준으로 해당 시간 주기 동안 상기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에 신호 송수신이 없는 것으로 확인 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거리 제어모듈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가 외부 알림 모듈에 수신되어 해당 외부 알림 모듈이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기기의 제2 근거리 통신모듈 및 상기 물품에 설치된 제1 근거리 통신모듈 간에 사전 설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 신호 송수신이 반복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이동거리 제어모듈에 포함되는 이동거리 통제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스마트기기와 물품들 간의 이격 허용 거리가 개별 설정되는 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거리 제어모듈이 1회의 상기 시간 주기를 기준으로 해당 시간 주기 동안 상기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에 신호 송수신이 없는 것으로 확인 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주기의 종료 시점에 예비 제어신호가 출력된 후 상기 예비 제어신호의 출력 시점으로부터 상기 시간주기의 시간보다 길어야 하는 조건 내에서 사전 설정된 시간을 지난 시점에 주제어신호가 출력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거리 제어모듈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가 외부 알림 모듈에 수신되어 해당 외부 알림 모듈이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기기의 스피커 기능을 통해 알림 벨이 송출되는 과정 및 상기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통해 알림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과정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에 의한 물품의 도난/분실 방지 방법은, 기준 위치 역할을 하는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제2 근거리 통신모듈 및 상기 스마트기기를 기준으로 이동 거리가 통제되는 물품에 설치된 제1 근거리 통신모듈 간에 사전 설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 신호 송수신이 반복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의 신호 송수신 상태를 체크하는 이동거리 제어모듈에서 상기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의 신호 송수신 여부를 상기 시간 주기마다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거리 제어모듈이 1회의 상기 시간 주기를 기준으로 해당 시간 주기 동안 상기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에 신호 송수신이 없는 것으로 확인 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거리 제어모듈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마트기기가 잠금 모드로 자동 전환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기기의 제2 근거리 통신모듈 및 상기 물품에 설치된 제1 근거리 통신모듈 간에 사전 설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 신호 송수신이 반복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이동거리 제어모듈에 포함되는 이동거리 통제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스마트기기와 물품들 간의 이격 허용 거리가 개별 설정되는 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거리 제어모듈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마트기기가 잠금 모드로 자동 전환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과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에 사전 설정된 기준에 따른 신호 송수신이 재개될 시 상기 스마트기기의 잠금 모드가 해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거리 제어모듈이 1회의 상기 시간 주기를 기준으로 해당 시간 주기 동안 상기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에 신호 송수신이 없는 것으로 확인 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에 사전 설정된 기준에 따른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으로 확인 후 해당 상황의 지속 시간이 사전 설정된 잠금 전환 시간의 초과 시 상기 이동거리 제어모듈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거리 제어모듈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마트기기가 잠금 모드로 자동 전환되는 단계와 동시 또는 이후에, 상기 스마트기기의 잠금 모드 자동 전환 시의 현재 위치 정보 및 분실/도난 발생 정보가 사전 지정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통화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에 의한 물품의 도난/분실 방지 방법은, 기준 위치 역할을 하는 사용자 휴대용 제1 근거리 통신모듈 및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에 사전 설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 신호 송수신이 반복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기기에서 상기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의 신호 송수신 여부를 상기 시간 주기마다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스마트기기가 1회의 상기 시간 주기를 기준으로 사전 설정된 시간주기 횟수 동안 상기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에 신호 송수신이 없는 것으로 확인 시 잠금 모드로 자동 전환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에 여러 휴대 물품들의 목록 및 단말기를 기준으로 각 물품들의 이격 허용 거리를 사전 설정하고 이를 통해 등록된 물품들의 분실이나 도난 상황 발생 시 그 사용자가 해당 사실을 즉시 인지할 수 있으므로, 해당 물품들의 분실이나 도난이 매우 잘 방지될 수 있게 되고 반대로 이동통신단말기 자체도 이격이 될시 에는 제1근거리통신모듈인 리모컨등에서 이를 즉각 알려주어 상호간에 분실 및 도난방지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마트기기 및 그를 기준으로 이동거리가 통제되는 물품 간의 근거리 통신이 사전 설정된 조건 이상으로 중단 시 해당 스마트기기가 자동 잠금된 후 해당 물품과의 유효한 근거리 통신이 재재될 경우에만 잠금이 해제됨에 따라, 분실 및 도난된 스마트기기 및 그 저장 정보가 타인을 통해 불법 복제되거나 중고폰으로 불법 판매되는 등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 거리 통제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 거리 통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 거리 통제 시스템에서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해당 스마트폰과 등록 물품들 간의 이격 허용 거리가 설정 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 거리 통제 시스템에서 스마트폰에 저장되는 이동거리 관리 테이블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 거리 통제 시스템을 보인 블록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에 의한 물품의 도난/분실 방지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에 의한 스마트기기의 잠금 모드 자동 작동 방법을 보인 흐름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의 도난/분실 방지 및 스마트기기의 잠금 모드 자동 작동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 거리 통제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보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 거리 통제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 거리 통제 시스템은 제1 근거리 통신모듈(210), 스마트기기(100), 이동거리 제어모듈(120), 외부 알림 모듈(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 거리 통제 시스템은 신호 조절부(2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근거리 통신모듈(210)은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이동 거리를 통제받기 위한 물품(201~204)들에 개별 설치된다.
스마트기기(100)는 물품(201~204)들에 대한 기준 위치를 형성하는 동시에 제1 근거리 통신모듈(210)과의 통신을 위한 제2 근거리 통신모듈(110)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스마트기기(100)가 스마트폰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마트기기(100)는 테블릿 PC 또는 스마트패드 등 통신기능을 갖는 PC 또는 통신기능 및 컴퓨팅 기능을 갖는 휴대형 스마트기기의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근거리 통신모듈(110)은 스마트기기(100)의 자체 근거리 통신모듈인 것일 수 있고, 본 실시예의 구성은 이에 따른 것이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근거리 통신모듈(110)은 스마트기기(100)에 탈부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이에 대해서는 후술키로 한다.
이동거리 제어모듈(120)은 제1 근거리 통신모듈(210)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110) 간의 사전 설정된 기준에 따른 송수신 신호 존재 여부에 따라 소정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이동거리 제어모듈(120)은 스마트기기(100)에 탑재되는 이동거리 통제 어플리케이션(121)을 포함하며, 이동거리 통제 어플리케이션(121)은 스마트기기(100)와 물품(201~204)들 간의 이격 허용 거리를 개별 설정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이동거리 통제 어플리케이션(121)의 스마트기기와 물품(201~204)들 간 이격 허용 거리 설정을 위한 데이터 출력에 따라 스마트기기(100)의 디스플레이 화면(140)에 해당 데이터가 출력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기기(100)의 디스플레이 화면(140)에 물품(201~204)들의 명칭 및 상기 이격 허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표시 영역이 서로 매칭되어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140)의 이격 허용 거리 조절을 위한 표시 영역을 조작하여 각 물품(201~204)별로 스마트기기(100)와의 이격 허용 거리를 개별 설정하게 된다.
다시 도 1 및 도 2로 돌아가서, 이동거리 제어모듈(120)의 이동거리 통제 어플리케이션(121)은 제1 근거리 통신모듈(210)마다 서로 다른 식별코드를 부여하고 상기 식별코드를 기준으로 해당 물품(201~204)의 고유정보 및 설정된 이격 허용 거리가 매칭된 이동거리 관리테이블을 형성하여 이를 스마트기기(100)의 저장부에 저장 후 필요 시 해당 정보를 검출하여 이용한다.
도 4는 상기 이동거리 관리테이블의 일 예를 보인 것으로서, 제1 근거리 통신모듈(210)의 식별코드, 상기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물품의 이름 그리고 해당 물품과 연계되는 제1 근거리 통신모듈(210)이 서로 매칭된 상태로 이동거리 관리테이블을 형성한 예를 보인 것이다.
다시 도 1 및 도 2로 돌아가서, 이동거리 제어모듈(120)의 이동거리 통제 어플리케이션(121)은 사전 설정된 주기마다 반복되는 제1 근거리 통신모듈(210)과 제2 근거리 통신모듈(110) 간의 신호 송수신이 발생되지 않을 시 외부 알림 모듈(130)에 전송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외부 알림 모듈(130)에 전송되기 위해 출력되는 이동거리 통제 어플리케이션(121)의 제어신호는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110,210) 간의 신호 송수신을 위해 사전 설정된 매 시간주기의 종료 시점에 출력되는 예비 제어신호 및 상기 예비 제어신호의 출력 후 사전 설정된 시간 이상 지난 시점에 출력되는 주제어신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예비 제어신호의 출력 시점으로부터 상기 주제어신호의 출력 시점까지의 시간은 상기 시간주기의 시간보다 길다.
즉, 상기 예비 제어신호는 제1 근거리 통신모듈(210)을 장착한 물품(201~204)이 1회의 상기 시간주기 동안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신호 송수신을 하지 않는 경우에 출력되고, 상기 주제어신호는 상기 예비 제어신호의 출력 후 다시 1회의 상기 시간주기 동안 스마트기기(100)와 해당 제1 근거리 통신모듈(210) 간에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않는 경우에 출력되는 것이다. 그리고 예비 제어신호는 제1 근거리 통신모듈(210)을 장착한 물품(201~204)의 도난/분실이 의심되는 상황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해당되고, 주제어신호는 제1 근거리 통신모듈(210)을 장착한 물품(201~204)이 도난/분실된 것으로 판단한 결과에 따라 출력되는 신호에 해당된다.
따라서, 주제어 신호의 신호 세기는 예비 제어신호의 신호 세기에 비해 강하고, 결과적으로 주제어 신호에 따라 출력되는 외부 알림 모듈(130)의 출력 신호 세기가 예비 제어신호에 따라 출력되는 외부 알림 모듈(130)의 출력 신호 세기에 비해 강하다.
신호 조절부(220)는 물품(201~204)들에 개별 설치되어 이동거리 통제 어플리케이션(121)에 의한 스마트기기(1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일 물품(201~204)에 설치된 제1 근거리 통신모듈(210)의 발신 신호 세기 및 발신 신호 출력주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조절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거리 제어모듈(120) 및 외부 알림 모듈(130)이 스마트기기(100)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동거리 제어모듈(120) 및 외부 알림 모듈(130)은 상기 스마트기기(100)에 일체로 내장되는 동시에 제2 근거리 통신모듈(110)은 스마트기기(100)의 자체 근거리 통신모듈인 것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이동거리 제어모듈(120) 및 외부 알림 모듈(130) 그리고 제2 근거리 통신모듈(110)은 결합된 단일 구조로 이루어져 스마트기기(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스마트기기(100)에 대한 결합 시 스마트기기(100)의 제어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일부 물품(201,204)은 스마트기기를 포함한 전자기기로써 제1 근거리 통신모듈(210)과 신호 조절부를 내장하는 형태일 수 있고, 일부 물품(202,203)은 제1 근거리 통신모듈(210) 및 신호 조절부가 별도의 구조로 이루어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기기(100)는, 이동거리 제어모듈(120)에서 제1 근거리 통신모듈(210)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110) 간에 사전 설정된 기준에 따른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으로 확인 시 잠금 모드로 자동 전환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스마트기기(100)는 제1 근거리 통신모듈(210)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110) 간에 사전 설정된 기준에 따른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으로 확인 후 해당 상황의 지속 시간이 사전 설정된 잠금 전환 시간의 초과 시 잠금 모드로 자동 전환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잠금 모드로 전환된 스마트기기(100)는 제1 근거리 통신모듈(210)과 제2 근거리 통신모듈(110) 간에 사전 설정된 기준에 따른 신호 송수신이 재개될 시에만 그 잠금 모드가 해제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 전환 시간은 스마트기기(100)의 신호 입력 수단을 통해 변경 가능한 데이터이다.
그리고, 스마트기기(100)는 그 잠금 모드 자동 전환 시 현재 위치 정보 및 분실/도난 발생 정보를 사전 지정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통화 기능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스마트기기(100)의 자동 잠금 모드 전환 기능에 의해서, 스마트기기(100)의 도난이나 분실 상황 발생 시 해당 스마트기기(100)의 제2 근거리 통신모듈(110)과 대응되는 제1 근거리 통신모듈(210)이 함께 구비되어야만 해당 스마트기기(100)의 잠금 모드 해제가 가능하므로, 분실 및 도난된 스마트기기(100) 및 그 저장 정보가 타인을 통해 불법 복제되고 또한 중고폰으로 불법 판매되는 등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다음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 거리 통제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 거리 통제 시스템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 거리 통제 시스템은 제1 근거리 통신모듈(400), 제2 근거리 통신모듈(310), 스마트기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근거리 통신모듈(400)은 이동 위치 제한용 물품에 대한 기준 위치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1 근거리 통신모듈(400)은 사용자 휴대를 위한 케이스(41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2 근거리 통신모듈(310)은 제1 근거리 통신모듈(400)에 의한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이동 거리를 통제받기 위한 물품에 설치된다. 즉, 제2 근거리 통신모듈(310)은 이어서 설명되는 스마트기기(300)에 설치된다. 또한 제2 근거리 통신모듈(310)은 스마트기기(300) 자체에 포함된 제2 근거리 통신모듈(310)이 이용될 수 있다.
스마트기기(300)는 제2 근거리 통신모듈(310)이 설치되며, 이러한 스마트기기(300)는 제1 근거리 통신모듈(400)과 제2 근거리 통신모듈(310) 간에 사전 설정된 기준에 따른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 발생 시 잠금 모드로 자동 전환된다. 즉, 제2 근거리 통신모듈(310)에 사전 설정된 기준의 신호가 제1 근거리 통신모듈(400)로부터 전송되지 않으면, 스마트기기(300)의 제어부(320)가 스마트기기(300)를 잠금모드로 전환하고, 또한 해당 정보를 스마트기기(300)의 디스플레이부(330) 및 스피커(340)를 통해 외부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기기(300)는 제1 근거리 통신모듈(400)을 통한 사전 설정된 기준의 전부 또는 일부를 만족하는 신호의 송신 재개시에만 그 잠금 모드가 해제된다.
여기서 스마트기기(300)는 제1 근거리 통신모듈(400)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310) 간에 사전 설정된 기준에 따른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으로 확인 후 해당 상황의 지속 시간이 사전 설정된 잠금 전환 시간의 초과 시 잠금 모드로 자동 전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잠금 전환 시간은 상기 스마트기기(100)의 신호 입력 수단을 통해 변경 가능한 데이터이다.
그리고 스마트기기(100)는 잠금 모드로 자동 전환 시 현재 위치 정보 및 분실/도난 발생 정보를 사전 지정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통화 기능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기능을 더 가질 수 있다.
다음은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에 의한 물품의 도난/분실 방지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에 의한 물품의 도난/분실 방지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한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에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 거리 통제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 거리 통제 시스템을 예로 한 것이며, 따라서 해당 구성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4에 따른 실시예와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에 의한 물품의 도난/분실 방지 방법(이하, “물품의 도난/분실 방지 방법”이라 약칭함)에 의해 제2 근거리 통신모듈이 장착된 리모콘 형태의 근거리 통신기구가(이하 “서브 리모콘”이라 함) 위치 확인을 통해 도난 및 분실 방지되는 기본 원리를 설명한 도면이다.
먼저, 스마트폰에서 서브 리모콘을 향해 푸시(push) 신호가 전송되면, 서브리모콘에서는 이러한 푸시 신호에 따라 알람이 작동되고, 또한 스마트폰은 그 푸시 신호를 서브 리모콘에서 수신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사실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표시한다.
다음은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물품의 도난/분실 방지 방법에 의해 스마트폰이 위치 확인을 통해 도난 및 분실 방지되는 기본 원리를 설명한 도면이다.
먼저, 서브 리모콘에서 스마트폰을 향해 푸시(push) 신호가 전송되면, 스마트폰에서는 이러한 푸시 신호에 따라 알람이 작동되고, 또한 스마트폰이 서브리모콘의 푸시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면 알람 작동이 없으므로 스마트폰의 도난/분실 여부를 의심 및 확인하게 된다.
다음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의 도난/분실 방지 방법의 전체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기준 위치 역할을 하는 스마트기기(100)에 설치된 제2 근거리 통신모듈(110) 및 스마트기기(100)를 기준으로 이동 거리가 통제되는 물품(201~204)에 설치된 제1 근거리 통신모듈(210) 간에 사전 설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 신호 송수신이 반복된다.
즉, 단계(S110)에서 사전 설정된 시간주기에 따라 매 시간주기마다 제1 근거리 통신모듈(210)에서 제2 근거리 통신모듈(110)에 신호가 전송된다.
이어서,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210,110) 간의 신호 송수신 상태를 체크하는 이동거리 제어모듈(120)에서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210,110) 간의 신호 송수신 여부를 상기 시간 주기마다 확인한다.
즉, 단계(S120)에서 이동거리 제어모듈(120)은 제1 근거리 통신모듈(210)로부터 제2 근거리 통신모듈(110)에 신호가 매 시간주기마다 전송되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이어서, 이동거리 제어모듈(120)이 1회의 상기 시간 주기를 기준으로 해당 시간 주기 동안 상기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210,110) 간에 신호 송수신이 없는 것으로 확인 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즉, 단계(S130)에서 이동거리 제어모듈(120)은 단계(S120)의 확인 결과 제1 근거리 통신모듈(210)로부터 제2 근거리 통신모듈(110)에 1회의 상기 시간주기를 기준으로 시간주기 내에 신호 송신이 없을 경우, 예비 제어신호를 외부 알림 모듈(130)에 출력한다.
이어서, 이동거리 제어모듈(12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가 외부 알림 모듈(130)에 수신되어 해당 외부 알림 모듈(130)이 동작한다.
즉, 단계(S140)에서 외부 알림 모듈(130)이 작동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단계(S140)의 외부 알림 모듈(130)은 1차 작동에 해당하며, 이러한 외부 알림 모듈(130)의 1차 작동은 해당 제1 근거리 통신모듈(210)을 장착한 물품(201~204)의 도난/분실 방지 방법이 분실 또는 도난 위험 상태에 있음을 알리는 동작에 해당하고, 이어서 단계(S150)으로 진행된다.
즉, 단계(S150) 및 단계(S160)에서 이동거리 제어모듈(120)은 단계(S130)에 따른 예비 제어신호 출력 후, 사전 설정된 시간 동안 제2 근거리 통신모듈(110)에 대한 제1 근거리 통신모듈(210)의 신호 수신이 다시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어서, 단계(S170)에서 이동거리 제어모듈(120)은 단계(S160)의 결과 제2 근거리 통신모듈(110)에 제1 근거리 통신모듈(210)로부터 신호가 전송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외부 알림 모듈(130)에 주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어서, 단계(S180)에서 외부 알림 모듈(130)은 이동거리 제어모듈(120)의 주제어신호에 따라 2차 작동을 하여 해당 제1 근거리 통신모듈(210)을 장착한 물품(201~204)이 분실 또는 도난 되었음을 해당 물품(201~204)의 사용자에게 알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거리 제어모듈(120)이 1회의 상기 시간 주기를 기준으로 해당 시간 주기 동안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210,110) 간에 신호 송수신이 없는 것으로 확인 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시간주기의 종료 시점에 예비 제어신호가 출력된 후 상기 예비 제어신호의 출력 시점으로부터 상기 시간주기의 시간보다 길어야 하는 조건 내에서 사전 설정된 시간을 지난 시점에 주제어신호가 출력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스마트기기(100)의 제2 근거리 통신모듈(110) 및 물품(201~204)에 설치된 제1 근거리 통신모듈(210) 간에 사전 설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 신호 송수신이 반복되는 단계 이전에, 이동거리 제어모듈(120)에 포함되는 이동거리 통제 어플리케이션(121)에서 스마트기기(100)와 물품(201~204)들 간의 이격 허용 거리가 개별 설정되는 단계가 선행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에 의한 스마트기기의 잠금 모드 자동 작동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 거리 통제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 거리 통제 시스템을 예로 한 것이며, 따라서 해당 구성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4에 따른 실시예와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먼저, 기준 위치 역할을 하는 스마트기기(100)에 설치된 제2 근거리 통신모듈(110) 및 스마트기기(100)를 기준으로 이동 거리가 통제되는 물품(201~204)에 설치된 제1 근거리 통신모듈(210) 간에 사전 설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 신호 송수신이 반복된다.
즉, 단계(S210)에서 사전 설정된 시간주기에 따라 매 시간주기마다 제1 근거리 통신모듈(210)에서 제2 근거리 통신모듈(110)에 신호가 전송된다.
이어서,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210,110) 간의 신호 송수신 상태를 체크하는 이동거리 제어모듈(120)에서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210,110) 간의 신호 송수신 여부를 상기 시간 주기마다 확인한다.
즉, 단계(S220)에서 이동거리 제어모듈(120)은 제1 근거리 통신모듈(210)로부터 제2 근거리 통신모듈(110)에 신호가 매 시간주기마다 전송되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이어서, 단계(S230)에서 이동거리 제어모듈(120)은 단계(S220)의 상태가 사전 설정된 잠금 전환 시간을 초과하는지 확인한다.
이어서, 이동거리 제어모듈(120)이 1회의 상기 시간 주기를 기준으로 해당 시간 주기 동안 상기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210,110) 간에 신호 송수신이 없는 것으로 확인 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즉, 이동거리 제어모듈(120)은 단계(S230)에서 단계(S220)의 상태가 상기 잠금 전환 시간을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소정의 제어신호를 스마트기기(100)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단계(S240)에서 스마트기기(100)는 이동거리 제어모듈(1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잠금 상태로 자동 전환된다.
이어서, 단계(S250)에서 스마트기기(100)는 그 제2 근거리 통신모듈(110)을 통해 제1 근거리 통신모듈(210)의 신호가 다시 전송되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잠금상태의 스마트기기(100)에 신호를 전송하는 제1 근거리 통신모듈(210)은 스마트기기(100)에 사전 등록되어 일정 주기로 신호를 송수신하던 유효 근거리 통신모듈임은 당연하다. 그리고 잠금발생 사후 등록되는 근거리통신 모듈일 경우 해당 제조사 또는 통신사에서 고객서비스를 위한 임시의 관리자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잠금해제를 하거나 새로운 재발급용 근거리 통신모듈을 등록 할 수도 있다.
이어서, 단계(S250)의 결과 스마트기기(100)의 제2 근거리 통신모듈(110)에 제1 근거리 통신모듈(210)의 신호 전송이 재개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스마트기기(100)는 그 잠금 상태를 자동 해제한다.
또한, 상기 단계(S230)에서 잠금 전환 시간의 초과시, 단계(S245)에서 스마트기기(100)의 잠금 모드 자동 전환 시의 현재 위치 정보 및 분실/도난 발생 정보가 사전 지정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통화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전송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기기(100)의 제2 근거리 통신모듈(210) 및 물품에 설치된 제1 근거리 통신모듈(210) 간에 사전 설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 신호 송수신이 반복되는 단계 이전에, 이동거리 제어모듈(120)에 포함되는 이동거리 통제 어플리케이션에서 스마트기기(100)와 물품들 간의 이격 허용 거리가 개별 설정되는 단계가 진행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에 의한 스마트기기의 잠금 모드 자동 작동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에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이 사용된 것이며, 따라서 해당 구성에 대해서는 도 5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전체적인 흐름은 도 9의 실시예와 유사한 바, 도면은 도 9를 참조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전체 흐름에 대한 설명만을 기재하였음을 밝혀 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에 의한 스마트기기의 잠금 모드 자동 작동 방법은, 기준 위치 역할을 하는 사용자 휴대용 제1 근거리 통신모듈(400) 및 스마트기기(300)에 설치된 제2 근거리 통신모듈(310) 간에 사전 설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 신호 송수신이 반복되는 단계와, 스마트기기(300)에서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400,310) 간의 신호 송수신 여부를 상기 시간 주기마다 확인하는 단계와, 스마트기기(300)가 1회의 상기 시간 주기를 기준으로 사전 설정된 시간주기 횟수 동안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400,310) 간에 신호 송수신이 없는 것으로 확인 시 잠금 모드로 자동 전환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스마트기기(300)가 1회의 상기 시간 주기를 기준으로 사전 설정된 시간주기 횟수 동안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400,310) 간에 신호 송수신이 없는 것으로 확인 시 잠금 모드로 자동 전환되는 단계 이후에, 제1 근거리 통신모듈(400)로부터 사전 설정된 기준의 전부 또는 일부를 만족하는 신호가 제2 근거리 통신모듈(310)에 송신 시 스마트기기(300)의 잠금 모드가 해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기기(300)가 1회의 상기 시간 주기를 기준으로 사전 설정된 시간주기 횟수 동안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400,310) 간에 신호 송수신이 없는 것으로 확인 시 잠금 모드로 자동 전환되는 단계는, 제1 근거리 통신모듈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400,310) 간에 사전 설정된 시간주기 횟수 동안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으로 확인 후 해당 상황의 지속 시간이 사전 설정된 잠금 전환 시간의 초과 시 이동거리 제어모듈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스마트기기(300)가 1회의 상기 시간 주기를 기준으로 사전 설정된 시간주기 횟수 동안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400,310) 간에 신호 송수신이 없는 것으로 확인 시 잠금 모드로 자동 전환되는 단계와 동시 또는 이후에, 스마트기기(300)의 잠금 모드 자동 전환 시의 현재 위치 정보 및 분실/도난 발생 정보가 사전 지정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통화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9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의 도난/분실 방지 및 스마트기기의 잠금 모드 자동 작동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에 여러 휴대 물품들의 목록 및 단말기를 기준으로 각 물품들의 이격 허용 거리를 사전 설정하고 이를 통해 등록된 물품들의 분실이나 도난 상황 발생 시 그 사용자가 해당 사실을 즉시 인지할 수 있으므로, 해당 물품들의 분실이나 도난이 매우 잘 방지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스마트기기 및 그를 기준으로 이동거리가 통제되는 물품 간의 근거리 통신이 사전 설정된 조건 이상으로 중단 시 해당 스마트기기가 자동 잠금된 후 해당 물품과의 유효한 근거리 통신이 재재될 경우에만 잠금이 해제됨에 따라, 분실 및 도난된 스마트기기 및 그 저장 정보가 타인을 통해 불법 복제되거나 중고폰으로 불법 판매되는 등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물품 이동 거리 통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의 도난/분실 방지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300 : 스마트기기 110,310 : 제2 근거리 통신모듈
120 : 이동거리 제어모듈 121 : 이동거리 통제 어플리케이션
130 : 외부 알림 모듈 201~204 : 물품
210,400 : 제1 근거리 통신모듈 220 : 신호 조절부
410 : 케이스

Claims (36)

  1.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이동 거리를 통제받기 위한 물품들에 개별 설치되는 복수의 제1 근거리 통신모듈;
    상기 물품들에 대한 기준 위치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과의 통신을 위한 제2 근거리 통신모듈이 설치되는 스마트기기;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의 사전 설정된 기준에 따른 송수신 신호 존재 여부에 따라 소정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이동거리 제어모듈;
    상기 이동거리 제어모듈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외부 알림 모듈을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거리 제어모듈 및 외부 알림 모듈은 상기 스마트기기 또는 물품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 거리 통제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거리 제어모듈은 상기 스마트기기에 탑재되는 이동거리 통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거리 통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스마트기기와 물품들 간의 이격 허용 거리를 개별 설정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 거리 통제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들에 개별 설치되어 상기 이동거리 통제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상기 스마트기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일 물품에 설치된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의 발신 신호 세기 및 발신 신호 출력주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조절하는 신호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 거리 통제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 이동거리 제어모듈, 외부 알림 모듈 및 신호 조절부는 결합된 단일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물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 거리 통제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거리 통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마다 서로 다른 식별코드를 부여하고 상기 식별코드를 기준으로 해당 물품의 고유정보 및 설정된 이격 허용 거리가 매칭된 이동거리 관리테이블을 형성하여 이를 상기 스마트기기의 저장부에 저장 후 필요 시 해당 정보를 검출하여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 거리 통제 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거리 통제 어플리케이션은 사전 설정된 주기마다 반복되는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과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의 신호 송수신이 미발생시 상기 외부 알림 모듈에 전송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 거리 통제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알림 모듈에 전송되기 위해 출력되는 상기 이동거리 통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신호는 상기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의 신호 송수신을 위해 사전 설정된 매 시간주기의 종료 시점에 출력되는 예비 제어신호 및 상기 예비 제어신호의 출력 후 사전 설정된 시간 이상 지난 시점에 출력되는 주제어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 거리 통제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제어신호의 출력 시점으로부터 상기 주제어신호의 출력 시점까지의 시간은 상기 시간주기의 시간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 거리 통제 시스템.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거리 제어모듈 및 외부 알림 모듈을 상기 스마트기기에 일체로 내장되는 동시에 상기 제2 근거리 통신모듈은 상기 스마트기기의 자체 근거리 통신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거리 제어모듈 및 외부 알림 모듈 그리고 제2 근거리 통신모듈은 결합된 단일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스마트기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스마트기기에 대한 결합 시 해당 스마트기기의 제어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 거리 통제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거리 제어모듈에서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에 사전 설정된 기준에 따른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으로 확인 시, 상기 스마트기기는 잠금 모드로 자동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는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과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에 사전 설정된 기준에 따른 신호 송수신이 재개될 시에만 그 잠금 모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는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에 사전 설정된 기준에 따른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으로 확인 후 해당 상황의 지속 시간이 사전 설정된 잠금 전환 시간의 초과 시 잠금 모드로 자동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전환 시간은 상기 스마트기기의 신호 입력 수단을 통해 변경 가능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는 잠금 모드로 자동 전환 시 현재 위치 정보 및 분실/도난 발생 정보를 사전 지정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통화 기능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테블릿 PC를 포함한 휴대형 스마트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
  18. 이동 위치 제한용 물품에 대한 기준 위치를 형성하는 제1 근거리 통신모듈;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에 의한 기준 위치를 중심으로 이동 거리를 통제받기 위한 물품에 설치되는 제2 근거리 통신모듈;
    상기 제2 근거리 통신모듈이 설치되며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과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에 사전 설정된 기준에 따른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 발생 시 잠금 모드로 자동 전환되는 스마트기기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은 사용자의 휴대를 위한 케이스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는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한 사전 설정된 기준의 전부 또는 일부를 만족하는 신호의 송신 재개시에만 그 잠금 모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
  21.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는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에 사전 설정된 기준에 따른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으로 확인 후 해당 상황의 지속 시간이 사전 설정된 잠금 전환 시간의 초과 시 잠금 모드로 자동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전환 시간은 상기 스마트기기의 신호 입력 수단을 통해 변경 가능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
  23.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는 잠금 모드로 자동 전환 시 현재 위치 정보 및 분실/도난 발생 정보를 사전 지정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통화 기능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
  24. 기준 위치 역할을 하는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제2 근거리 통신모듈 및 상기 스마트기기를 기준으로 이동 거리가 통제되는 물품에 설치된 제1 근거리 통신모듈 간에 사전 설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 신호 송수신이 반복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의 신호 송수신 상태를 체크하는 이동거리 제어모듈에서 상기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의 신호 송수신 여부를 상기 시간 주기마다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이동거리 제어모듈이 1회의 상기 시간 주기를 기준으로 해당 시간 주기 동안 상기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에 신호 송수신이 없는 것으로 확인 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이동거리 제어모듈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가 외부 알림 모듈에 수신되어 해당 외부 알림 모듈이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에 의한 물품의 도난/분실 방지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의 제2 근거리 통신모듈 및 상기 물품에 설치된 제1 근거리 통신모듈 간에 사전 설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 신호 송수신이 반복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이동거리 제어모듈에 포함되는 이동거리 통제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스마트기기와 물품들 간의 이격 허용 거리가 개별 설정되는 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 거리 통제 시스템에 의한 물품의 도난/분실 방지 방법.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거리 제어모듈이 1회의 상기 시간 주기를 기준으로 해당 시간 주기 동안 상기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에 신호 송수신이 없는 것으로 확인 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주기의 종료 시점에 예비 제어신호가 출력된 후 상기 예비 제어신호의 출력 시점으로부터 상기 시간주기의 시간보다 길어야 하는 조건 내에서 사전 설정된 시간을 지난 시점에 주제어신호가 출력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에 의한 물품의 도난/분실 방지 방법.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거리 제어모듈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가 외부 알림 모듈에 수신되어 해당 외부 알림 모듈이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기기의 스피커 기능을 통해 알림 벨이 송출되는 과정 및 상기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통해 알림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과정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에 의한 물품의 도난/분실 방지 방법.
  28. 기준 위치 역할을 하는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제2 근거리 통신모듈 및 상기 스마트기기를 기준으로 이동 거리가 통제되는 물품에 설치된 제1 근거리 통신모듈 간에 사전 설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 신호 송수신이 반복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의 신호 송수신 상태를 체크하는 이동거리 제어모듈에서 상기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의 신호 송수신 여부를 상기 시간 주기마다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이동거리 제어모듈이 1회의 상기 시간 주기를 기준으로 해당 시간 주기 동안 상기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에 신호 송수신이 없는 것으로 확인 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이동거리 제어모듈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마트기기가 잠금 모드로 자동 전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에 의한 스마트기기의 잠금 모드 자동 작동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의 제2 근거리 통신모듈 및 상기 물품에 설치된 제1 근거리 통신모듈 간에 사전 설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 신호 송수신이 반복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이동거리 제어모듈에 포함되는 이동거리 통제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스마트기기와 물품들 간의 이격 허용 거리가 개별 설정되는 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에 의한 스마트기기의 잠금 모드 자동 작동 방법.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거리 제어모듈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마트기기가 잠금 모드로 자동 전환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과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에 사전 설정된 기준에 따른 신호 송수신이 재개될 시 상기 스마트기기의 잠금 모드가 해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에 의한 스마트기기의 잠금 모드 자동 작동 방법.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거리 제어모듈이 1회의 상기 시간 주기를 기준으로 해당 시간 주기 동안 상기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에 신호 송수신이 없는 것으로 확인 시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에 사전 설정된 기준에 따른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으로 확인 후 해당 상황의 지속 시간이 사전 설정된 잠금 전환 시간의 초과 시 상기 이동거리 제어모듈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에 의한 스마트기기의 잠금 모드 자동 작동 방법.
  32.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거리 제어모듈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마트기기가 잠금 모드로 자동 전환되는 단계와 동시 또는 이후에
    상기 스마트기기의 잠금 모드 자동 전환 시의 현재 위치 정보 및 분실/도난 발생 정보가 사전 지정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통화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에 의한 스마트기기의 잠금 모드 자동 작동 방법.
  33. 기준 위치 역할을 하는 사용자 휴대용 제1 근거리 통신모듈 및 스마트기기에 설치된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에 사전 설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 신호 송수신이 반복되는 단계;
    상기 스마트기기에서 상기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의 신호 송수신 여부를 상기 시간 주기마다 확인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기기가 1회의 상기 시간 주기를 기준으로 사전 설정된 시간주기 횟수 동안 상기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에 신호 송수신이 없는 것으로 확인 시 잠금 모드로 자동 전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에 의한 스마트 기기의 잠금 모드 자동 작동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가 1회의 상기 시간 주기를 기준으로 사전 설정된 시간주기 횟수 동안 상기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에 신호 송수신이 없는 것으로 확인 시 잠금 모드로 자동 전환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로부터 사전 설정된 기준의 전부 또는 일부를 만족하는 신호가 상기 제2 근거리 통신모듈에 송신 시 상기 스마트기기의 잠금 모드가 해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에 의한 스마트 기기의 잠금 모드 자동 작동 방법.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가 1회의 상기 시간 주기를 기준으로 사전 설정된 시간주기 횟수 동안 상기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에 신호 송수신이 없는 것으로 확인 시 잠금 모드로 자동 전환되는 단계는
    상기 제1 근거리 통신모듈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에 사전 설정된 시간주기 횟수 동안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으로 확인 후 해당 상황의 지속 시간이 사전 설정된 잠금 전환 시간의 초과 시 상기 이동거리 제어모듈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에 의한 스마트기기의 잠금 모드 자동 작동 방법.
  36.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가 1회의 상기 시간 주기를 기준으로 사전 설정된 시간주기 횟수 동안 상기 제1 및 제2 근거리 통신모듈 간에 신호 송수신이 없는 것으로 확인 시 잠금 모드로 자동 전환되는 단계와 동시 또는 이후에
    상기 스마트기기의 잠금 모드 자동 전환 시의 현재 위치 정보 및 분실/도난 발생 정보가 사전 지정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통화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에 의한 스마트기기의 잠금 모드 자동 작동 방법.
KR1020130006145A 2013-01-18 2013-01-18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의 도난/분실 방지 및 스마트기기의 잠금 모드 자동 작동 방법 KR101574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145A KR101574142B1 (ko) 2013-01-18 2013-01-18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의 도난/분실 방지 및 스마트기기의 잠금 모드 자동 작동 방법
PCT/KR2013/000511 WO2014112673A1 (ko) 2013-01-18 2013-01-22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의 도난/분실 방지 및 스마트기기의 잠금 모드 자동 작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6145A KR101574142B1 (ko) 2013-01-18 2013-01-18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의 도난/분실 방지 및 스마트기기의 잠금 모드 자동 작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883A true KR20140093883A (ko) 2014-07-29
KR101574142B1 KR101574142B1 (ko) 2015-12-03

Family

ID=51209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6145A KR101574142B1 (ko) 2013-01-18 2013-01-18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의 도난/분실 방지 및 스마트기기의 잠금 모드 자동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74142B1 (ko)
WO (1) WO201411267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398Y1 (ko) * 2016-03-07 2017-01-18 조데이빗현 스마트폰 분실 방지 장치
KR20170071947A (ko) * 2015-12-16 2017-06-26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
KR101864775B1 (ko) * 2017-12-19 2018-06-05 얄라팩토리 주식회사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악기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793A (ko) 2016-12-02 2018-06-12 최원영 물건 분실 방지 테이블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9416A (ko) * 2007-02-27 2008-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기기간 응답 시간에 따른 이격 거리 검출방법과이를 기반으로 하는 분실 방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단말기
KR101034815B1 (ko) * 2008-10-13 2011-06-13 홍종철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상품 분실 방지 방법
KR101015982B1 (ko) * 2008-11-04 2011-02-23 은기전자 주식회사 인비저블 전자울타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121586B1 (ko) * 2011-02-24 2012-03-06 추광재 이동무선단말기의 잠금제어방법 및 장치
US20120218103A1 (en) * 2011-02-28 2012-08-30 Manuel Alves Item Locator with Distance Determining Capabiliti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1947A (ko) * 2015-12-16 2017-06-26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
KR200482398Y1 (ko) * 2016-03-07 2017-01-18 조데이빗현 스마트폰 분실 방지 장치
KR101864775B1 (ko) * 2017-12-19 2018-06-05 얄라팩토리 주식회사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악기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142B1 (ko) 2015-12-03
WO2014112673A1 (ko) 2014-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3860B2 (ja) 移動通信装置間における近在性の喪失を検出し、示すための方法、システム及び装置
JP4363361B2 (ja) 携帯用電子機器,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および携帯用電子機器の動作許可範囲決定方法
US20190340348A1 (en) Security verification method and device
JP6061943B2 (ja) 仮想境界内の電子デバイスを保護するための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818335B2 (en) Device security
EP2742497A2 (en) Proximity tag
US10567572B2 (en) Mobile device lock-out system
KR101574142B1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물품 이동거리 통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물품의 도난/분실 방지 및 스마트기기의 잠금 모드 자동 작동 방법
JP2005020758A (ja) カメラを内蔵した移動通信端末機を検索する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N109050470A (zh) 车辆自动上锁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US11989405B2 (en) Screen locking method and apparatus
CN104952228A (zh) 防盗保护开启方法、装置及系统
WO2014002541A1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device, and program
GB2446217A (en) Wireless separation alarm with two distance thresholds
KR20160023241A (ko) 비콘을 이용한 분실물 찾기앱이 탑재된 스마트기기
KR2015004133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4778425A (zh) 智能终端的防盗方法、装置、系统和一种智能终端
CN101984641A (zh) 移动终端的背光控制方法及移动终端
JP2008117085A (ja) 携帯型電子装置および携帯型電子装置のセキュリティ制御プログラム
US10909836B2 (en) Device for preventing mobile phone loss through reduction of false alarms and method for providing alarms for mobile phone loss prevention
EP4150596A1 (en) A tamper alert system
US20090011749A1 (en) Call reject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WO2001001362A1 (en) Security device
US20170277899A1 (en) Method for executing access control over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ccess control
US20150235058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protec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