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3456A -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93456A KR20140093456A KR1020130005835A KR20130005835A KR20140093456A KR 20140093456 A KR20140093456 A KR 20140093456A KR 1020130005835 A KR1020130005835 A KR 1020130005835A KR 20130005835 A KR20130005835 A KR 20130005835A KR 20140093456 A KR20140093456 A KR 201400934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emitting
- down converter
- converter
- capacitor
- dio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할로겐 안정기와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교류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교류 전압을 강압하여 출력하는 안정기; 상기 안정기의 출력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에 연결되고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는 승강압 컨버터; 상기 스위치 소자를 제어하는 컨버터 제어부; 상기 승강압 컨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강압 컨버터; 및 상기 강압 컨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할로겐 안정기와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명 기기에 대한 광원, 발광 방식, 구동 방식 등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효율, 색 다양성, 디자인의 자율성 등에 장점이 있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가 조명의 광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는 순 방향으로 전압을 가했을 때 발광하는 반도체 소자로서, 수명이 길고, 소비 전력이 낮으며, 대량 생산에 적합한 전기적, 광학적, 물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를 조명의 광원으로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상용 교류 전원으로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할 수 있는 조명 장치가 요구된다.
한편, 할로겐 램프는 할로겐 안정기를 통하여 구동되는 방식을 취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할로겐 안정기가 정상적으로 발진 동작하기 위해서는 최소의 동작 전류가 필요하다.
따라서, 할로겐 안정기를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할로겐 안정기에 전류 또는 전압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할로겐 안정기를 이용하여 발광 다이오드 구동시 할로겐 안정기의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류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교류 전압을 강압하여 출력하는 안정기; 상기 안정기의 출력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에 연결되고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는 승강압 컨버터; 상기 스위치 소자를 제어하는 컨버터 제어부; 상기 승강압 컨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강압 컨버터; 및 상기 강압 컨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승강압 컨버터는, 상기 스위치 소자가 하이 상태인 경우에 인덕터에 전하가 충전되고, 상기 스위치 소자가 로우 상태인 경우에 인덕터에서 전하가 방전되면서 캐패시터로 유기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승강압 컨버터는, 상기 스위치 소자가 로우 상태인 경우에 인덕터에서 전하가 방전되면서 캐패시터로 유기되고 접지로 연결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승강압 컨버터는, 상기 정류부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 1다이오드; 일단이 상기 제 1다이오드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위치 소자에 연결되는 인덕터; 상기 인덕터의 타단과 상기 스위치 소자에 연결되는 캐패시터; 및 상기 캐패시터의 방전 전하가 접지로 흐르도록 연결되는 제 2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다이오드는, 접지와 직접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캐패시터 및 제 2다이오드는, 상기 정류부의 출력 전류가 양의 값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승강압 컨버터 및 강압 컨버터는, 상기 캐패시터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치 소자 및 컨버터 제어부는, 상기 승강압 컨버터 및 강압 컨버터에 공통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할로겐 안정기와 발광부 사이에 승강압 컨버터와 강압 컨버터를 포함하는 조명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할로겐 안정기에 안정적인 전류가 공급되어 할로겐 안정기가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양의 값으로 유지되는 입력 전류는 정상적인 구동을 위하여 일정 전류가 필요한 할로겐 안정기에 공급되어, 할로겐 안정기의 동작이 멈추거나 비정상적인 구동을 야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할로겐 램프를 대체하는 LED 사용시 할로겐 안정기와 디머를 교체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는 할로겐 램프를 할로겐 안정기에 연결하여 동작시킬 경우의 안정기 동작 전류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3은 할로겐 안정기에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부를 연결하여 동작시킬 경우의 안정기 동작 전류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조명 장치 구동시 전류의 흐름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조명 장치 구동시의 전압 및 전류 파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7은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조명 장치 구동시 전류의 흐름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조명 장치 구동시의 전압 및 전류 파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2는 할로겐 램프를 할로겐 안정기에 연결하여 동작시킬 경우의 안정기 동작 전류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3은 할로겐 안정기에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부를 연결하여 동작시킬 경우의 안정기 동작 전류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조명 장치 구동시 전류의 흐름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조명 장치 구동시의 전압 및 전류 파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7은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조명 장치 구동시 전류의 흐름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조명 장치 구동시의 전압 및 전류 파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여러 가지 수정 및 변형을 허용하면서도, 그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들로 예시되어 나타내어지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개시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오히려 본 발명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과 합치되는 모든 수정, 균등 및 대용을 포함한다.
층,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on)"에 존재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다른 요소 상에 존재하거나 또는 그 사이에 중간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제1, 제2 등의 용어가 여러 가지 요소들, 성분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지역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요소들, 성분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지역들은 이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LED) 조명 장치는, 교류 전원(10)을 소정의 비율로 강압시키는 전자 트랜스포머로서 안정기(20)가 구비되고, 이러한 안정기(20)에는 정류부(30)가 연결된다. 여기서 안정기(20)는 할로겐 안정기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정류부(30)는 브리지 다이오드를 이용한 전파 정류 회로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네 개의 다이오드가 두 쌍씩 서로 방향을 달리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류부(30)에는 승강압 컨버터(40)가 연결된다. 즉, 정류부(30)에 의하여 정류된 출력 전류(I1)가 출력되는 정류부(30)의 일측단과, 접지와 연결되는 타측단 사이에 연결된다.
승강압 컨버터(40)는 캐패시터 결합형 컨버터로서, 인덕터와 캐패시터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저장 및 방출하는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승강압 컨버터(40)는 정류부(30)와 역방향으로 연결되는 제 1다이오드(D1)와, 이 제 1다이오드(D1)와 병렬로 연결되며 제 1인덕터(L1)와 연결되는 제 2다이오드(D2)를 포함한다.
제 1인덕터(L1)는 캐패시터(C1) 및 스위치 소자(Q1)와 동시에 연결된다. 캐패시터(C1)는 제 1다이오드(D1)와 연결되도록 결선되고, 스위치 소자(Q1)에는 컨버터 제어부(41)가 연결된다.
이러한 승강압 컨버터(40)의 출력측에는 강압 컨버터(50)가 연결된다. 이러한 강압 컨버터(50)는 승강압 컨버터(40)와 스위치 소자(Q1) 및 컨버터 제어부(41)를 공유한다.
또한, 강압 컨버터(50)는 캐패시터(C1)가 커플링 캐패시터로 작용하여 승강압 컨버터(40)와 연결된다.
강압 컨버터(50)와 승강압 컨버터(40) 사이에는 제 3다이오드(D3)가 결선되고, 이 제 3다이오드(D3)에는 제 4다이오드(D4) 및 제 2인덕터(L2)가 연결되고, 제 2인덕터(L2)에는 출력 캐패시터(C2)가 연결된다.
이와 같은 연결에 의하여, 강압 컨버터(50)에서, 제 2인덕터(L2), 제 4다이오드(D4) 및 출력 캐패시터(C2)는 폐 회로를 이룰 수 있다.
출력 캐패시터(C2)에는 병렬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DL)를 포함하는 발광부(60)가 연결되고, 이 발광부(60)는 저항(R1)이 직렬로 연결된다.
이때, 발광부(60)와 저항(R1) 사이는 컨버터 제어부(41)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조명 장치는 할로겐 램프를 구동할 수 있는 할로겐 안정기(20)를 통하여 구동될 수 있다.
할로겐 안정기(20)는 일종의 자가 발진(Self-oscillating) 전원 공급 장치(Switch-mode power supply)라 할 수 있다. 할로겐 안정기가 정상적으로 발진(동작)하기 위해서는 최소의 동작 전류가 필요하다.
할로겐 램프를 구동할 수 있는 할로겐 안정기에 발광 다이오드 발광부를 연결하였을 경우, 안정기의 필요 전력 용량보다 발광부의 용량이 작게 되면 안정기 구동을 멈추게 하여 비정상적인 동작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2는 통상의 할로겐 램프를 할로겐 안정기에 연결하여 동작시킬 경우의 안정기 동작 전류를 보여준다. 안정기의 입력 전압과 비례하여 고주파(수십 kHz)에 해당하는 전류 펄스 형태로 구동하게 된다. 통상의 할로겐 램프는 안정기 동작을 유지하는 유지 전류 경계선보다 큰 전류 펄스를 연속적으로 흘려주기 때문에 안정기의 동작이 정상적으로 구동된다.
도 3은 이러한 회로에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부로 대체하여 구동하였을 때의 동작전류를 나타낸다. 안정기에서 필요한 유지 전류 경계선 이하의 전류로 구동되거나 전류가 흐르지 않는 구간이 발생하면 안정기는 동작을 멈추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승강압 컨버터(40) 및 강압 컨버터(50)의 결합에 의하여, 할로겐 안정기(20)를 이용하여 발광 다이오드(DL)를 포함하는 발광부(60)를 구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명 장치의 구성에 의하여, 1차 단의 승강압 컨버터(40)는 컨버터 제어부(41)의 스위칭 주파수 듀티(duty) 조절에 의해 입력 전압의 승압 또는 강압이 가능하며 2차 단의 강압 컨버터(50)에 의해 최종 부하인 발광부(60)에 정전류(I2)를 공급한다.
도 4 및 도 5에서는 도 1과 같은 조명 장치 구동시 전류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은 조명 장치 구동시의 전압(V1) 및 전류 파형(I1, I2)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컨버터 제어부(41)에 의하여 온(on)/오프(off) 구동되는 스위치 소자(Q1)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칭 전압(V1)이 하이(high) 상태인 구간(t1 ~ t2)이 될 때, 전류는 승강압 컨버터(40)의 제 1인덕터(L1)를 충전시키고, 스위치 소자(Q1)를 통해 접지로 흐르게 된다. 즉, 점선 a로 표시한 바와 같은 전류의 흐름이 발생한다.
동시에 캐패시터(C1)에 마이너스로 대전된 전위를 만들어 2차 단의 강압 컨버터(50)의 제 2인덕터(L2)를 충전시키고 발광 다이오드(DL)를 포함하는 발광부(60)에 전류(I2)가 흐르도록 한다(b). 이때 입력 전류(I1)는 양(+)의 값을 갖는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컨버터 제어부(41)에 의하여 온(on)/오프(off) 구동되는 스위치 소자(Q1)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칭 전압(V1)이 로우(low) 상태인 구간(t2 ~ t3)이 될 때, 제 1인덕터(L1)는 제 1다이오드(D1) 및 제 2다이오드(D2)에 의하여 방전된다(c).
이때, 2차 단의 강압 컨버터(50)의 제 2인덕터(L2)도 방전을 하여 제 4다이오드(D4)를 통하여 발광부(60)에 전류(I2)가 흐르게 된다(d).
이 경우에, 입력 전류(I1)는 흐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정상적인 구동을 위하여 일정 전류가 필요한 할로겐 안정기(20)의 동작이 멈추거나 비정상적인 구동을 야기할 수 있다.
도 7은 위와 같은 할로겐 안정기(20)의 이상 동작이 발생하지 않도록 개선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LED) 조명 장치는, 교류 전원(10)을 소정의 비율로 강압시키는 전자 트랜스포머로서 안정기(20)가 구비되고, 이러한 안정기(20)에는 정류부(30)가 연결된다. 여기서 안정기(20)는 할로겐 안정기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정류부(30)는 브리지 다이오드를 이용한 전파 정류 회로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항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예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정류부(30)에는 승강압 컨버터(70)가 연결된다. 즉, 정류부(30)에 의하여 정류된 출력 전류(I1)가 출력되는 정류부(30)의 일측단과, 접지와 연결되는 타측단 사이에 승강압 컨버터(70)가 연결된다.
이러한 승강압 컨버터(70)에는 스위치 소자(Q1)가 연결되고, 이 스위치 소자(Q1)를 제어하는 컨버터 제어부(42)가 연결된다.
승강압 컨버터(70)의 출력단에는 강압 컨버터(50)가 연결되고, 이 강압 컨버터(50)의 출력단에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DL)를 포함하는 발광부(60)가 연결된다.
여기서, 승강압 컨버터(70)는, 스위치 소자(Q1)가 하이(high) 상태인 경우에 제 1인덕터(L1)에 전하가 충전되고, 스위치 소자(Q1)가 로우(low) 상태인 경우에 제 1인덕터(L1)에서 전하가 방전되면서 캐패시터(C1)로 유기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승강압 컨버터(70)는, 스위치 소자(Q1)가 로우(low) 상태인 경우에 제 1인덕터(L1)에서 전하가 방전되면서 캐패시터(C1)로 유기되고 접지로 연결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승강압 컨버터(70)는, 정류부(30)의 일단에 제 2다이오드(D2)가 연결되고, 이 제 2다이오드(D2)에는 제 1인덕터(L1)가 연결된다.
제 1인덕터(L1)는 캐패시터(C1) 및 스위치 소자(Q1)와 동시에 연결된다. 캐패시터(C1)는 제 1다이오드(D1)와 연결되고, 이 제 1다이오드(D1)는 접지로 연결되도록 결선된다.
즉, 캐패시터(C1)에서 방전되는 전하가 제 1다이오드(D1)를 통하여 접지로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승강압 컨버터(70)의 출력측에는 강압 컨버터(50)가 연결된다. 이러한 강압 컨버터(50)는 승강압 컨버터(70)와 스위치 소자(Q1) 및 컨버터 제어부(42)를 공유한다.
또한, 강압 컨버터(50)는 캐패시터(C1)가 커플링 캐패시터로 작용하여 승강압 컨버터(70)와 연결된다.
강압 컨버터(50)와 승강압 컨버터(70) 사이에는 제 3다이오드(D3)가 결선되고, 이 제 3다이오드(D3)에는 제 4다이오드(D4) 및 제 2인덕터(L2)가 연결되고, 제 2인덕터(L2)에는 출력 캐패시터(C2)가 연결된다.
이와 같은 연결에 의하여, 강압 컨버터(50)에서, 제 2인덕터(L2), 제 4다이오드(D4) 및 출력 캐패시터(C2)는 폐 회로를 이룰 수 있다.
출력 캐패시터(C2)에는 병렬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DL)를 포함하는 발광부(60)가 연결되고, 이 발광부(60)는 저항(R1)이 직렬로 연결된다.
이때, 발광부(60)와 저항(R1) 사이는 컨버터 제어부(42)와 연결되도록 한다.
도 8 및 도 9에서는 도 7과 같은 조명 장치 구동시 전류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0은 조명 장치 구동시의 전압(V1) 및 전류 파형(I1, I2)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컨버터 제어부(42)에 의하여 온(on)/오프(off) 구동되는 스위치 소자(Q1)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칭 전압(V1)이 하이(high) 상태인 구간(t1 ~ t2)이 될 때, 전류(I1)는 승강압 컨버터(70)의 제 1인덕터(L1)를 충전시키고, 스위치 소자(Q1)를 통해 접지로 흐르게 된다(e).
동시에 캐패시터(C1)에 마이너스로 대전된 전위를 만들어 2차 단의 강압 컨버터(50)의 제 2인덕터(L2)를 충전시키고 발광 다이오드(DL)를 포함하는 발광부(60)에 전류(I2)가 흐르도록 한다(f). 이때 입력 전류(I1)는 양(+)의 값을 갖는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컨버터 제어부(42)에 의하여 온(on)/오프(off) 구동되는 스위치 소자(Q1)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칭 전압(V1)이 로우(low) 상태인 구간(t2 ~ t3)이 될 때, 제 1인덕터(L1)의 방전 전류는 캐패시터(C1)와 제 1다이오드(D1)를 통하여 접지로 흐르면서(g) 입력 전류(I1)를 양(+)의 값으로 유지시킨다.
이때, 2차 단의 강압 컨버터(50)의 제 2인덕터(L2)도 방전을 하여 제 4다이오드(D4)를 통하여 발광부(60)로 전류(I2)가 흐르게 된다(h).
따라서, 스위치 소자(Q1)가 로우(low) 상태일 경우에 제 1인덕터(L1)의 방전 경로에 의하여 입력 전류(I1)은 양의 값으로 유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양의 값으로 유지되는 입력 전류(I1)는 정상적인 구동을 위하여 일정 전류가 필요한 할로겐 안정기(20)에 공급되어, 할로겐 안정기(20)의 동작이 멈추거나 비정상적인 구동을 야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할로겐 안정기(20)와 발광부(60) 사이에 승강압 컨버터(70)와 강압 컨버터(50)를 포함하는 조명 회로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안정적인 전류가 공급되어 LED(DL) 전류가 플리커 없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즉, 통상의 할로겐 램프의 구동을 위한 할로겐 안정기(20)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부(60)를 구동할 수 있으며, 결국, 안정기(20)와 발광 다이오드 사이의 호환성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그 외의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사항 및 위에서 설명한 사항과 동일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교류 전원 20: 할로겐 안정기
30: 정류부 40, 70: 승강압 컨버터
41, 42: 컨버터 제어부 50: 강압 컨버터
60: 발광부
30: 정류부 40, 70: 승강압 컨버터
41, 42: 컨버터 제어부 50: 강압 컨버터
60: 발광부
Claims (8)
- 교류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교류 전압을 강압하여 출력하는 안정기;
상기 안정기의 출력 전압을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정류부에 연결되고 스위치 소자를 포함하는 승강압 컨버터;
상기 스위치 소자를 제어하는 컨버터 제어부;
상기 승강압 컨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강압 컨버터; 및
상기 강압 컨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압 컨버터는, 상기 스위치 소자가 하이 상태인 경우에 인덕터에 전하가 충전되고, 상기 스위치 소자가 로우 상태인 경우에 인덕터에서 전하가 방전되면서 캐패시터로 유기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압 컨버터는, 상기 스위치 소자가 로우 상태인 경우에 인덕터에서 전하가 방전되면서 캐패시터로 유기되고 접지로 연결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압 컨버터는,
상기 정류부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 1다이오드;
일단이 상기 제 1다이오드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스위치 소자에 연결되는 인덕터;
상기 인덕터의 타단과 상기 스위치 소자에 연결되는 캐패시터; 및
상기 캐패시터의 방전 전하가 접지로 흐르도록 연결되는 제 2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 제 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다이오드는, 접지와 직접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캐패시터 및 제 2다이오드는, 상기 정류부의 출력 전류가 양의 값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압 컨버터 및 강압 컨버터는, 상기 캐패시터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소자 및 컨버터 제어부는, 상기 승강압 컨버터 및 강압 컨버터에 공통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5835A KR20140093456A (ko) | 2013-01-18 | 2013-01-18 |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5835A KR20140093456A (ko) | 2013-01-18 | 2013-01-18 |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3456A true KR20140093456A (ko) | 2014-07-28 |
Family
ID=51739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05835A KR20140093456A (ko) | 2013-01-18 | 2013-01-18 |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93456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612578A (zh) * | 2015-10-21 | 2017-05-03 | 香港商酷异有限公司 | 一种具有抑制电磁干扰的驱动电路 |
-
2013
- 2013-01-18 KR KR1020130005835A patent/KR2014009345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612578A (zh) * | 2015-10-21 | 2017-05-03 | 香港商酷异有限公司 | 一种具有抑制电磁干扰的驱动电路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518098B2 (ja) | Led駆動回路 | |
KR101435853B1 (ko) |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 |
EP2487992B1 (en) | Lighting device for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ments and illumin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JP5699275B2 (ja) | Led点灯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 |
JP5593189B2 (ja) | 点灯装置 | |
JP2010056314A (ja) | 発光ダイオードの駆動回路、それを用いた発光装置および照明装置 | |
KR101536108B1 (ko) |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의 제어 회로 및 전압 생성 방법 | |
US20130076257A1 (en) | Switching mode pulsed current supply for driving leds | |
JP6174647B2 (ja) | 低フリッカーの発光ダイオード照明機器 | |
JP2010177038A (ja) | Led照明装置 | |
KR101674550B1 (ko) | 스위치 온/오프 신호를 이용한 led 램프의 디밍 제어장치 | |
KR20140133262A (ko) |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 |
KR101435854B1 (ko) |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 |
KR20140093456A (ko) |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 |
US20130063038A1 (en) | Illumination apparatus | |
JP2007122979A (ja) | 点灯装置及び照明装置 | |
US11490476B2 (en) | Solid-state lighting with a luminaire dimming driver | |
KR101587540B1 (ko) | 엘이디 장치 | |
KR101597773B1 (ko) | Led 조명기구의 절전 장치 | |
KR101422036B1 (ko) |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 |
KR101382708B1 (ko) | 전원공급회로 | |
KR20150026348A (ko) | 발광 다이오드 조명 회로 | |
KR102003365B1 (ko) | Led 구동 장치 | |
KR101422035B1 (ko) |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 |
KR20150026349A (ko) |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