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3123A - Electric vehicle - Google Patents

Electric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3123A
KR20140093123A KR1020130005526A KR20130005526A KR20140093123A KR 20140093123 A KR20140093123 A KR 20140093123A KR 1020130005526 A KR1020130005526 A KR 1020130005526A KR 20130005526 A KR20130005526 A KR 20130005526A KR 20140093123 A KR20140093123 A KR 20140093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ct
discharge
discharge duct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5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35131B1 (en
Inventor
김태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5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131B1/en
Publication of KR20140093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1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1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B60L58/26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by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6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air coo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7Auxiliary drives
    • B60Y2400/89Cooling systems, e.g. fan dr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ttery pack including an air inlet which includes a battery cell unit in the inner side thereof and makes air to flow in, in order to cool the battery cell unit; and an air outlet in which the air for cooling the battery cell unit is discharged. The electric vehicle further comprises an intake duct which is connected to the air inlet and guides the air for cooling the battery cell unit to the air inlet; a discharge duct which is connected to the air outlet, guides the air discharged to the air outlet, and having a discharge hole which penetrates the vehicle body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a moisture sensing unit which senses moisture inserted into the discharge hole of the discharge duct; a control unit which outputs a control signal based on an input signal of the moisture sensing unit; an actuator which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signal outputted from the control unit; and a regulation unit which regulates the discharge hole of the discharge duct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Description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팩을 갖는 전기자동차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vehicle having a battery pack for supplying power necessary for driving the vehicle.

자동차는 자체 엔진에서 동력을 생산해 바퀴에 전달하여 도로 상에서 승객이나 화물을 운반하는 교통 수단이다. 자동차는 크게 외관을 형성하는 차체(body)와 각종 장치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섀시(chassis)로 나눌 수 있다. 섀시는 주행의 원동력이 되는 자동차 엔진을 비롯하여 동력전달 장치, 조향 장치, 현가 장치, 제동 장치 등 주요 장치를 포함한다.A car is a means of transporting passengers and cargo on the road by producing power from its own engine and delivering it to the wheels. A car can be divided into a body, which forms a large appearance, and a chassis, in which various devic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hassis includes the main devices such as power transmission devices, steering devices, suspension devices, and braking devices, as well as automobile engines that are the driving force of driving.

엔진은 자동차를 달리게 하는 원동력이다. 대부분의 자동차 엔진은 4행정 내연기관이다. 4행정 내연기관은 흡입, 압축, 폭발, 배기의 4행정에 의해 한 주기를 끝내는 내연기관으로 왕복운동 엔진의 가장 일반적인 예이다. 주로 휘발성 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은 연료를 공기 중의 산소와 완전연소가 이루어지도록 잘 혼합된 상태에서 압축을 한 다음 연소를 시킬 때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직접 이용해 운동에너지를 얻는다.The engine is the driving force that drives the car. Most automotive engines are four-stroke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 four-stroke internal combustion engine is the most common example of a reciprocating engine with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nding one cycle by four strokes of suction, compression, explosion, and exhaust.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which mainly uses volatile fuel, obtains the kinetic energy by directly using the heat energy generated when the fuel is mixed with the oxygen in the air to be completely burned and then burned.

이러한 휘발성 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은 배기 가스로 인한 환경 오염과 석유 자원의 고갈을 일으켜 그 대안으로 전기를 동력으로 움직이는 전기자동차가 대두되었다. Such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ing volatile fuels has caused an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exhaust gas and a depletion of petroleum resources, and an electric vehicle, in which electricity is moved by power, has emerged as an alternative.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는 주로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AC 또는 DC 모터를 구동하여 동력을 얻는 자동차로서, 크게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로 분류되며, 배터리전용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하고 전원이 다 소모되면 재충전하고,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엔진을 가동하여 전기발전을 하여 배터리에 충전을 하고 이 전기를 이용하여 전기모터를 구동하여 차를 움직이게 할 수 있다. An electric vehicle (EV) is an automobile which obtains power by driving an AC or DC motor using mainly a battery, and is mainly classified into a battery-dedicated electric vehicle and a hybrid electric vehicle. A battery- And the hybrid electric vehicle operates the engine to charge the battery by generating electric power, and by using the electric power, the electric motor can be driven to move the car.

또한,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직렬 방식과 병렬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직렬 방식은 엔진에서 출력되는 기계적 에너지는 발전기를 통하여 전기적 에너지로 바뀌고 이 전기적 에너지가 배터리나 모터로 공급되어 차량은 항상 모터로 구동되는 자동차로 기존의 전기자동차에 주행거리의 증대를 위하여 엔진과 발전기를 추가시킨 개념이고, 병렬 방식은 배터리 전원으로도 차를 움직이게 할 수 있고 엔진(가솔린 또는 디젤)만으로도 차량을 구동시키는 두 가지 동력원을 사용하고 주행조건에 따라 병렬 방식은 엔진과 모터가 동시에 차량을 구동할 수도 있다. The hybrid electric vehicle can be classified into a serial system and a parallel system. In the serial system, the mechanical energy output from the engine is converted into electrical energy through the generator, and the electrical energy is supplied to the battery or the motor. This is a concept that adds an engine and a generator to increase the mileage of an existing electric vehicle. The parallel method can move the car with battery power. The two motors (gasoline or diesel) Depending on the driving conditions, the parallel system can drive the vehicle at the same time as the engine and the motor.

그러나, 이러한 전기자동차는 하나로 구비된 배터리의 전력만으로 시스템을 구동하기 때문에 엔진 구동 방식에 비해 출력 및 주행 거리가 부족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기자동차에 복수의 모터 및 배터리를 구비하고, 기 설정된 구동 모드에 따라 복수 모터의 구동 방식을 다르게 함으로써, 전기자동차의 출력 및 주행 거리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However, since such an electric vehicle drives the system only by the power of the battery provided as on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utput and the traveling distance are insufficient as compared with the engine driving syst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output and travel distance of the electric vehicle by providing a plurality of motors and batteries in the electric vehicle and different driving methods of the plurality of motors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driving mode.

한편, 복수의 배터리를 사용함에 따라,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제품이 손상되거나, 전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plurality of batteries are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duct is damaged due to heat generated from the battery, and the electric efficiency is lowered.

그리고,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열을 배출하기 위해서 공기 순환시스템을 사용하는데, 배터리 셀이 손상되면 발생하는 유해가스가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n air circulation system is used to discharge heat generated from the battery, and harmful gas generated when the battery cell is damaged enters into the room.

또한, 공기 순환시스템의 덕트를 타고 외부의 수분이 유입되는 경우, 배터리 셀이 파손되거나, 오작동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when moisture from the outside flows on the duct of the air circulation system, the battery cell is damaged or malfunctions occur.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자동차는 배터리 팩을 냉각시키기 위해 배터리 팩의 외부에서 흡입되는 공기 중에 유해물질이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유해물질로 인해 배터리 팩의 안전성 및 내구 구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may contain harmful substances in the air sucked from the outside of the battery pack in order to cool the battery pack and the safety and durability of the battery pack may be lowered due to such harmful substances.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터리 팩을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 중의 이물질이 배터리 팩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한 전기자동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ic vehicle in which foreign matter in the air for cooling a battery pack is minimally introduced into a battery pack.

또한, 배터리 팩을 냉각한 공기가 다시 실내로 유입되지 않게 하는 전기자동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vehicle in which the air cooled by the battery pack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room again.

또한, 배터리 팩으로 외부의 수분이 유입되는 않게 하는 전기자동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ic vehicle in which moisture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battery pack.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 셀 유닛이 내장되고 상기 배터리 셀 유닛을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흡입구와 상기 배터리 셀 유닛을 냉각시킨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배터리 팩과, 상기 공기 흡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배터리 셀 유닛을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를 상기 공기 흡입구로 안내되는 흡입덕트와, 상기 공기 배출구와 연통되어 상기 공기 배출구로 배출된 공기를 안내하고, 토출구가 차체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토출덕트와, 상기 토출덕트의 토출구를 단속하는 단속부와, 상기 토출덕트의 토출구로 유입되는 수분을 감지하는 수분감지센서와, 상기 수분감시센서의 입력신호를 바탕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단속부의 개폐를 조절하는 엑츄에이터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cell unit, an air intake port through which air for cooling the battery cell unit flows, and air cooled by the battery cell unit are discharged A suction duct which communicates with the air intake port and is guided to the air intake port by air for cooling the battery cell unit, and a guide duct which communicates with the air discharge port and guides the air discharged to the air discharge port A discharge duct in which the discharge port passes through the vehicle body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an intermittent part for interrupting the discharge port of the discharge duct, a moisture sensor for sensing the moisture flowing into the discharge port of the discharge duct,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based on the control signal outputted from the control unit, It includes an actuator that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ntermittent group.

또한, 상기 단속부는 상기 토출덕트의 토출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mittent portion may include a door rotatably connected to a discharge port of the discharge duct.

또한, 상기 수분감지센서는 상기 토출덕트의 토출구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isture sensor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discharge duct.

또한, 상기 토출덕트의 토출구는 차체의 후방에 형성된 후방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port of the discharge duct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rear opening formed behind the vehicle body.

또한, 상기 토출덕트에는 상기 토출덕트 내의 공기를 유동시키기는 배기팬 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토출덕트는 상기 공기 배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배기팬 유닛으로 공기가 안내되는 제1 토출덕트 및 상기 배기팬 유닛과 연통되고, 차체의 외부로 공기가 안내되는 제2 토출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duct is provided with an exhaust fan unit for flowing air in the discharge duct. The discharge duct communicates with the air discharge port. The first discharge duct is guided by the exhaust fan unit. And a second discharge duct communicating with the unit and guided outside the vehicle body.

상기 흡입덕트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 흡입구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And a filter disposed in the suction duct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flowing toward the air inlet.

또한, 상기 흡입덕트는 상기 공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연통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의 테두리가 안착되는 필터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suction duct may be formed with a communication hole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air inlet, and a filter seat portion on which the rim of the filter is seated.

또한, 상기 흡입덕트는 상기 필터가 안착되는 메쉬가 배치될 수 있다.Further, the suction duct may be provided with a mesh on which the filter is mounted.

또한, 상기 전기 자동차는 상기 흡입덕트를 상기 배터리 팩에 체결시키는 흡입덕트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ic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duct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the suction duct to the battery pack.

또한, 상기 흡입덕트는 상기 필터의 테두리가 안착되고 상기 공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연통홀부가 형성된 하판부와, 상기 하판부에서 상향 돌출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ction duct may include a lower plate portion on which the rim of the filter is seated and a communication hole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air intake port, and a rim protruding upward from the lower plate portion.

또한, 상기 하판부는 상기 흡입덕트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plate may be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the suction duct fastening member.

또한, 상기 필터는 상기 흡입덕트 체결부재를 회피하는 회피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may be formed with a relief groove portion that avoids the suction duct fastening member.

또한, 상기 배터리 팩은 차체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차체에는 차실의 공기가 하측으로 유출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덕트는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Also, the battery pack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vehicle body, and the vehicle body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vehicle room can be discharged downward, and the suction duct may be arranged to communicate with the opening.

또한, 상기 필터는 상기 개구부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filter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opening.

또한, 상기 토출덕트를 상기 차체에 체결시키는 토출덕트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duct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the discharge duct to the vehicle body.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는 공기 중의 이물질이 흡입 덕트에 설치된 필터에서 걸러지고,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가 배터리 팩 내부로 흡입되므로, 이물질에 의한 배터리 셀 유닛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전성과 내구성을 높인 이점이 있다.In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oreign matter in the air is filtered by the filter installed in the suction duct, and the air filtered by the foreign substance is sucked into the battery pack. Thus, damage to the battery cell unit due to foreign substances can be prevented, It has the advantage of enhancing safety and durability.

또한, 배터리 팩과 열교환한 공기를 외부로 직접 배출하므로, 배터리 셀이 파손된 경우에도 유해가스가 실내로 유입되는 않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ir exchanged with the battery pack is discharged directly to the outside, harmful gas does not enter the room even when the battery cell is broken.

또한, 유해가스의 실내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토출구를 외부로 노출한 경우에도, 단속부의 작동으로 외부로부터 수분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in order to prevent the ingress of noxious gas into the room, even when the discharge port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inflow of moisture from the outside can be prevented by the operation of the intermittent por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일실시예의 배터리 팩이 차체에 설치되기 전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일실시예의 배터리 팩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흡입 덕트가 배터리 팩에서 분리되었을 때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일실시예의 배터리 팩이 차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토출덕트의 토출구 부분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uction duct shown in Fig. 2 when the suction duct is separated from the battery pack,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ttery pack mounted on a vehicl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charge port portion of a discharge 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The terms spatially relative,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of components with othe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terms that include different orientations of components during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when inverting an element shown in the figures, an elem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of another element may be placed "above" another element .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can include both downward and upward directions. The components can also be oriented in different directions, so that spatially relative terms can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Quot;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 as used herein, unless the recited component, step, and / or step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steps and / I never do that.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explanation. Also, the size and area of each component do not entirely reflect actual size or area.

또한,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실시예를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Further, the angles and directions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the embodiment are based on those shown in the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structure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in the specification, reference points and positional relationships with respect to angles are not explicitly referred to, reference is made to the relevant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전기 자동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일실시예의 배터리 팩이 차체에 설치되기 전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the battery pack is installed in a vehicle body.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는 차체(2)와, 차륜과, 차륜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모터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팩(40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vehicle body 2, wheels, a motor for generating driving force for rotating the wheels, and a battery pack 400 for supplying power necessary for driving the motor .

차체(2)는 모터 및 동력 전달 계통의 부품을 탑재하는 전방차체(100)와, 탑승자가 승차하여 착석할 수 있는 중앙차체(200), 스페어 타이어 및 기타 물건 등을 보관할 수 있는 후방차체(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vehicle body 2 includes a front body 100 on which components of a motor and a power transmission system are mounted, a central body 200 on which a rider can sit and sit, a rear body 300 ). ≪ / RTI >

차체(2)는 닫힌 공간을 만들어 그 내부에 각종 장치를 배치하고, 탑승자나 화물을 수용하며, 일부를 개폐시켜 탑승자나 화물의 출입, 각종 장치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vehicle body 2 makes a closed space and arranges various devices therein, accommodates occupants and cargoes, and opens and closes parts of the vehicle body 2, thereby facilitating access to passengers and cargoes and maintenance of various devices.

차체(2)는 형상 그대로 자동차의 외관 형상이 될 수 있다.The vehicle body 2 can be in the shape of an external shape of the automobile in shape.

전방차체(100)는 모터와 변속기 등의 동력전달계통의 부품이 구비될 수 있다. The front vehicle body 100 may be provided with components of a power transmission system such as a motor and a transmission.

전방차체(100)는 전기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바꾸기 위하여 전륜의 회전축 방향을 조절하는 조향장치와, 노면의 진동이 직접 차체에 닿지 않도록 하는 전륜현가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The front body 100 may be provided with a steering device for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front wheel to change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electric vehicle and a front suspension device for preventing the vibration of the road surface from directly touching the vehicle body.

전방차체(100)는 사고 등에 의해 충격을 받을 경우 파손되어 충격을 흡수함에 따라 차실에 큰 충격이 전달되지 않게 한다.The front vehicle body 100 is damaged when it is impacted by an accident or the like so that a large impact is not transmitted to the vehicle body as it absorbs the impact.

중앙차체(200)는 대부분 차실, 즉 탑승자 등이 탑승하는 장소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 공간은 될수록 크게 한다.Since the central body 200 is a place where most of the passengers, such as passengers, are boarded, the central space becomes larger as the internal space becomes larger.

중앙차체(200)는 전기자동차의 바닥면을 이루는 플로어(210)와, 플로어(210)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 터널(230)을 포함한다.The central body 200 includes a floor 210 constitu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ic vehicle and a central tunnel 230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loor 210.

플로어(210)는 차실 내의 바닥면으로서, 면적이 넓은 패널이다. The floor 210 is a floor surface in a vehicle room and has a large area.

중앙 터널(230)은 상방으로 인입되어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중앙 터널(230)은 플로어(21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로 이루어져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center tunnel 230 is formed by being drawn upward, and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entral tunnel 23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loor 210, or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joined by welding or the like.

후방차체(300)는 스페어 타이어 및 기타 물건 등을 보관되는 트렁크와, 트렁크를 덮는 트렁크 도어가 연결될 수 있다. The rear body 300 may be connected to a trunk for storing spare tires and other objects, and a trunk door for covering the trunk.

후방차체(300)에는 노면의 진동이 직접 차체에 닿지 않도록 후륜현가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The rear vehicle body 300 may be provided with a rear wheel suspension device so that the vibration of the road surface does not directly come into contact with the vehicle body.

배터리 팩(400)은 차체(2)의 중앙차체(200)와 후방차체(300) 중 적어도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The battery pack 400 may be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the center body 200 and the rear body 300 of the body 2. [

배터리 팩(400)은 차체(2)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고, 차체(2)의 중앙차체(200)에 설치될 경우 중앙차체(200)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차체(2)의 후방차체(300)에 설치될 경우, 후방차체(300)의 하측 또는 트렁크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attery pack 400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vehicle body 2. When the battery pack 400 is installed on the centerbody 200 of the vehicle body 2, The rear body 30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r trunk of the rear body 300.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일실시예의 배터리 팩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흡입 덕트가 배터리 팩에서 분리되었을 때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 일실시예의 배터리 팩이 차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제어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토출덕트의 토출구 부분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pack in an embodiment of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uction duct shown in FIG. 2 when the suction duct is separated from the battery pack, FIG. 5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charge port portion of the discharge 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배터리 팩(400)은 모터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셀 유닛(미도시)이 적어도 하나 내장된다.The battery pack 400 includes at least one battery cell unit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necessary for driving the motor.

배터리 팩(400)은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셀 유닛을 보호하는 배터리 케이스(41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attery pack 400 may include a battery case 410 for protecting at least one battery cell unit.

배터리 셀 유닛은 복수개가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고, 적층된 복수개의 배터리 셀 유닛의 그룹은 복수 그룹이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battery cell units may be stacked, and a plurality of groups of the plurality of stacked battery cell units may be arranged such that a plurality of group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back-and-forth direction or the left-right direction.

배터리 케이스(410)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 유닛이 배치되는 캐리어(412)와, 캐리어(412)에 결합되어 캐리어(412)와 함께 배터리 셀 유닛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배터리 셀 유닛을 보호하는 배터리 커버(41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attery case 410 includes a carrier 412 o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 units are disposed, a battery cover 412 which is coupled to the carrier 412 and forms a receiving space for the battery cell unit together with the carrier 412, (414).

배터리 팩(400)은 캐리어(412)가 볼트 등의 체결부재로 차체(2)에 체결될 수 있고, 배터리 커버(414)가 볼트 등의 체결부재로 캐리어(412)에 체결될 수 있다.The battery pack 400 can be fastened to the vehicle body 2 by the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and the battery cover 414 can be fastened to the carrier 412 with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배터리 팩(400)은 공기가 배터리 팩(400) 내부로 유동되어 배터리 셀 유닛을 공랭식으로 냉각시키고 외부로 배출되는 공랭식으로 냉각된다.The battery pack 400 is cooled by the air-cooling method in which air flows into the battery pack 400 to cool the battery cell unit in an air-cooling manner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배터리 팩(400)은 배터리 셀 유닛을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흡입구(420)와 배터리 셀 유닛을 냉각시킨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422)가 형성된다.  The battery pack 400 includes an air inlet 420 through which the air for cooling the battery cell unit flows and an air outlet 422 through which the air that has cooled the battery cell unit is discharged.

배터리 팩(400)은 공기 흡입구(420)와 공기 배출구(422)가 배터리 케이스(410)에 형성될 수 있고, 특히 배터리 커버(414)에 형성될 수 있다.The battery pack 400 may have an air inlet 420 and an air outlet 422 formed in the battery case 410 and may be formed in the battery cover 414.

전기자동차는 전기자동차 외부의 공기를 배터리 팩(400)으로 유입시켜 배터리 셀 유닛을 공냉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차실의 공기를 배터리 팩(400)으로 유입시켜 배터리 셀 유닛을 공냉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트렁크의 공기를 배터리 팩(400)으로 유입시켜 배터리 셀 유닛을 공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The electric vehicle can air the outside of the electric vehicle into the battery pack 400 to air-cool the battery cell unit, air in the vehicle room can be introduced into the battery pack 400 to air-cool the battery cell unit, It is possible to let air in the battery pack 400 flow into the battery pack 400 to air-cool the battery cell unit.

전기자동차는 배터리 셀 유닛으로 가급적 청정도가 높은 공기가 접촉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실외와 차실과 트렁크 중 차실이 가장 청정할 수 있으므로, 차실의 공기를 배터리 팩(400)으로 유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하 차실의 공기를 배터리 팩(400)으로 유입시키는 것으로 설명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electric vehicl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air with high cleanliness as much as possible to the battery cell unit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of the vehicle room is introduced into the battery pack 400 because the outdoors and the vehicle room among the vehicle room and the trunk can be cleanest, Hereinafter, it will be explained that the air of the vehicle is introduced into the battery pack 400. [

차체(2)에는 차실의 공기가 하측으로 유출될 수 있는 개구부(212)가 형성되고, 개구부(410)는 플로워(210)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vehicle body 2 is formed with an opening 212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vehicle room can be discharged to the lower side and the opening 410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floor 210 in the vertical direction.

전기자동차는 공기 흡입구(420)와 연통되고 배터리 셀 유닛을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를 공기 흡입구(420)로 안내되는 흡입 덕트(430)와; 공기 토출구(422)와 연통되어 공기 배출구(422)로 배출된 공기가 안내되는 토출 덕트(440)와; 흡입 덕트(430)에 배치되어 공기 흡입구(420)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450)를 포함한다.The electric vehicle includes a suction duct (430) communicated with the air suction port (420) and guided to the air suction port (420) for cooling the battery cell unit; A discharge duct 440 communicating with the air discharge port 422 and guided through the air discharge port 422; And a filter 450 disposed in the suction duct 430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flowing toward the air intake port 420.

흡입덕트(430)는 개구부(212)와 연통되게 배치되고, 공기 흡입구(420)와 연통되는 연통홀부(431)가 형성된다.The suction duct 430 is dispos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opening 212 and has a communication hole portion 431 communicating with the air inlet 420.

흡입덕트(430)는 차실과 배터리 팩(400)을 연통시키는 것으로서, 차체(2)와 배터리 팩(400)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된다.The suction duct 430 communicates the vehicle compartment with the battery pack 400 and is disposed between the vehicle body 2 and the battery pack 400.

흡입 덕트(430)는 필터(450)의 테두리가 안착되는 필터 안착부(432)가 형성된다. The suction duct 430 is formed with a filter seat portion 432 on which the rim of the filter 450 is seated.

흡입 덕트(430)는 필터(450)가 안착되는 메쉬(433)가 배치될 수 있다. The suction duct 430 may be provided with a mesh 433 on which the filter 450 is mounted.

필터(450)는 테두리가 필터 안착부(432)에 안착되어 지지되고, 연통홀부(431)와 대향되는 부분이 메쉬(433)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필터(450)는 필터 안착부(432)와 메쉬(433)에 의해 지지되므로, 공기가 배터리 팩(400)을 향해 유동될 때 배터리 팩(400)의 방향으로 휘거나 휩쓸리지 않게 된다. The filter 450 is supported on the filter receiving portion 432 with a rim and the portion facing the communication hole 431 is seated on the mesh 433 and supported. The filter 450 is supported by the filter seating portion 432 and the mesh 433 so that it is not bent or swept toward the battery pack 400 when the air flows toward the battery pack 400.

흡입 덕트(430)는 하판부(434)와 하판부(434)에서 상향 돌출되는 테두리부(43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ction duct 430 may include a lower plate portion 434 and a rim portion 435 protruding upward from the lower plate portion 434. [

하판부(434)는 연통홀부(431)가 형성되고 필터(450)의 테두리가 안착되는 것으로서, 연통홀부(431)의 주변부가 필터 안착부(432)가 될 수 있다.The lower plate portion 434 is formed with a communication hole portion 431 and the rim of the filter 450 is seated and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communication hole portion 431 can be the filter receiving portion 432.

필터 안착부(432)는 필터(450)의 테두리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판부(434)에 상향 돌출될 수 있다.The filter seating part 432 may be formed as a rim of the filter 450 and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lower plate part 434.

테두리부(435)는 필터(450)의 테두리를 둘러싸면서 필터(450)의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The rim portion 435 surrounds the rim of the filter 450 and forms a receiving space for the filter 450.

흡입 덕트(430)는 전체적인 크기가 개구부(212)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suction duct 430 may be formed to have a larger overall size than the opening 212.

전기자동차는 흡입 덕트(430)를 배터리 팩(400)에 체결시키는 흡입 덕트 체결부재(4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ic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duct fastening member 436 for fastening the suction duct 430 to the battery pack 400. [

하판부(434)는 흡입 덕트 체결부재(436)가 체결되는 체결공(437)이 형성된다. The lower plate portion 434 is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437 through which the suction duct fastening member 436 is fastened.

배터리 팩(400)은 흡입 덕트(430)의 체결공(437)과 대향되는 위치에 체결공(424)이 형성될 수 있고, 흡입 덕트(430)는 하판부(434)의 체결공(437)이 배터리 팩(400)의 체결공(424)과 일치된 상태에서 흡입 덕트 체결부재(436)로 배터리 팩(400)에 체결될 수 있다. The battery pack 400 may be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424 at a position facing the fastening hole 437 of the suction duct 430 and a suction duct 430 may be formed at the fastening hole 437 of the lower plate portion 434, Can be fastened to the battery pack 400 by the suction duct fastening member 436 in a state where the fastening hole 424 of the battery pack 400 is aligned with the fastening hole 424 of the battery pack 400.

필터(450)는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lter 450 may be made of a nonwoven fabric.

필터(450)는 일부가 흡입 덕트 체결부재(436)와 흡입 덕트(430) 사이에 개재되어 흡입 덕트 체결부재(436)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가능한 흡입 덕트 체결부재(436)를 회피하는 회피홈부(452)가 형성될 수 있다. The filter 450 is provided with a ventilation groove portion (not shown) for avoiding a suction duct fastening member 436 which is interposed between the suction duct fastening member 436 and the suction duct 430 and can be fixed by the suction duct fastening member 436 452 may be formed.

필터(450)는 작업자가 배터리 팩(400)을 차체(2)에서 분해하지 않고도 필터(450)를 교체하거나 서비스할 수 있도록 개구부(212)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필터(450)가 개구부(212) 보다 작게 형성될 경우, 작업자는 차실측에서 개구부(212)를 통해 필터(450)를 교체하거나 서비스할 수 있다.  The filter 450 is preferably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opening 212 so that the operator can replace or service the filter 450 without disassembling the battery pack 400 from the vehicle body 2. [ That is, when the filter 450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opening 212, the operator can replace or service the filter 450 through the opening 212 at the car room side.

전기자동차는 토출덕트(440)에 연결되어 공기가 흡입 덕트(430)와, 배터리 팩(400)과 토출덕트(440)를 차례로 통과한 후 대기로 배기되게 하는 배기 팬 유닛(4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ic vehicle further includes an exhaust fan unit 460 connected to the discharge duct 440 to allow the air to pass through the suction duct 430, the battery pack 400 and the discharge duct 440 in order, can do.

배기 팬 유닛(460)은 개구부(212)와 근접하게 설치될 경우, 소음이 개구부(212)를 통해 전달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후방개구부(310)와 가급적 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exhaust fan unit 460 is installed close to the opening 212, it is preferable that the exhaust fan unit 460 is installed as far as possible from the rear opening 310 because noise is likely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opening 212.

배기 팬 유닛(460)은 배터리 팩(400)의 후방에 위치되게 차체(2)에 설치될 수 있다.The exhaust fan unit 460 may be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2 so as to be positioned behind the battery pack 400.

한편, 공기 흡입구(420)가 배터리 팩(400)의 전방부 상면에 형성되고, 공기 배출구(422)가 배터리 팩(400)의 후방부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air inlet 42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battery pack 400 and the air outlet 422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portion of the battery pack 400.

흡입덕트(430)는 배터리 팩(400)의 전방부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토출덕트(440)는 배터리 팩(400)의 후방부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 The suction duct 43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ont portion of the battery pack 400 and the discharge duct 44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rear portion of the battery pack 400.

토출덕트(440)의 토출구(442a)는 차체(2)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는 배터리 팩(400) 내에 배터리 셀이 손상되는 경우, 인체한 유해가스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유해가스의 실내 유입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discharge port 442a of the discharge duct 440 can pass through the vehicle body 2 and be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battery cell is damaged in the battery pack 400, harmful gas of human body is generated. This is to prevent the harmful gas from entering the room.

바람직하게는, 토출덕트(440)의 토출구(442a)는 후방차체(300)의 하면의 후방 개구부(310)을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된다.The discharge port 442a of the discharge duct 44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rear opening 310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body 300. [

토출덕트(44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제1 토출덕트(441)와 제2 토출덕트(442)로 형성될 수 있다.The discharge duct 44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but may be formed of the first discharge duct 441 and the second discharge duct 442.

제1 토출덕트(441)는 공기 배출구(422)와 배기 팬 유닛(460)을 연통시키고, 공기 배출구(422)에서 배기 팬 유닛(460)으로 공기를 안내시킨다. The first discharge duct 441 communicates the air discharge port 422 with the exhaust fan unit 460 and guides air from the air discharge port 422 to the exhaust fan unit 460.

제2 토출덕트(442)는 배기 팬 유닛(460)과 연통되어서, 차체(2)의 외부로 공기가 안내시킨다.The second discharge duct 442 communicates with the exhaust fan unit 460 to guide air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body 2. [

자동차의 주행에서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해 토출덕트(440)의 파손을 방지하게 위해서, 토출덕트(440)는 차체(2)에 토출덕트 체결부재(470)(471)로 결합될 수 있다.The discharge duct 440 may be coupled to the vehicle body 2 by discharge duct fastening members 470 and 471 in order to prevent breakage of the discharge duct 440 due to vibration generated in the running of the vehicle.

바람직하게는, 차체(2)와 토출덕트(440)를 이격시켜서, 차체(2)의 진동을 전달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토출덕트 체결부재(470)(471)는 토출덕트(440)와 차체(2)를 이격시키고, 지지하는 암(470)과, 암(470)을 차체(2)에 고정하는 볼트부재(471)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Preferably, the vehicle body 2 and the discharge duct 44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ransmission of the vibration of the vehicle body 2 can be reduced. For example, the discharge duct fastening members 470 and 471 include an arm 470 for holding and supporting the discharge duct 440 and the vehicle body 2, a bolt 470 for fastening the arm 470 to the vehicle body 2, Member 471 as shown in FIG.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possible.

더욱 바람직하게는, 토출덕트(440)는 자체의 강성이 우수하지 못하므로, 토출덕트(440)에 결합된 배기 팬 유닛(460)에 토출덕트 체결부재(470)(471)가 결합한다.More specifically, since the discharge duct 440 is not excellent in rigidity, the discharge duct fastening members 470 and 471 are coupled to the exhaust fan unit 460 coupled to the discharge duct 440.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전기자동차의 주행시, 배기 팬 유닛(460)이 구동되면, 토출덕트(440)와 배터리 팩(400)와 흡입 덕트(430)의 내부에는 흡인력이 발생되고, 차실의 공기는 차체(2)의 개구부(212)를 통해 흡입 덕트(430)로 흡입된다.A suction force is generated inside the discharge duct 440, the battery pack 400 and the suction duct 430 and the air in the vehicle body is discharg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body 2, And is sucked into the suction duct 430 through the opening 212 of the suction duct 430.

흡입 덕트(430)로 흡입된 공기는 필터(450)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이물질이 필터(450)에 걸러지고,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만이 배터리 팩(400)의 내부로 흡입된다. 배터리 팩(40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배터리 셀 유닛과 접촉되면서 배터리 셀 유닛을 공랭식으로 냉각시키고, 이후 토출 덕트(440)으로 흡입된다. 토출 덕트(440)로 흡입된 공기는 배기 팬 유닛(460)으로 흡인되고, 이후 배기 팬 유닛(460)을 통과하여 전기자동차 외부로 배기된다.The air sucked into the suction duct 430 is filtered by the filter 450 while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are filtered by the filter 450 and only the air filtered by the foreign substance is sucked into the battery pack 400. The air sucked into the battery pack 40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attery cell unit to cool the battery cell unit in an air-cooling manner, and then sucked into the discharge duct 440. The air sucked into the discharge duct 440 is sucked by the exhaust fan unit 460 and then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fan unit 460 to the outside of the electric vehicle.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는 단속부(490)와, 수분감지센서(480)와, 제어부(500)와, 엑츄에이터(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intermittent portion 490, a moisture sensor 480, a controller 500, and an actuator 600.

수분감지센서(480)는 토출덕트(440)의 토출구(442a)로 유입되는 수분을 감지한다. 여기서, 수분감지센서(480)에 의해 감지되는 수분의 최소 단위는 배터리 셀 유닛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분감지센서(480)는 토출덕트(440)의 토출구(442a)에 인접하여 배치되어서, 자동차의 주행 중에 비산되는 물방울을 감지하게 된다.The moisture sensor 480 senses moisture flowing into the discharge port 442a of the discharge duct 440.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minimum unit of moisture sensed by the moisture sensor 480 is set so as to affect the battery cell unit. In addition, the moisture sensor 48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discharge port 442a of the discharge duct 440, and senses water droplets scattered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또한, 수분감지센서(480)는 토출덕트(440)의 토출구(442a) 내측 또는/및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단속부(490)의 움직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토출덕트(440)의 토출구(442a)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토출덕트(440)의 토출구(442a)가 차체(2)의 아래 방향으로 노출되는 경우에는 토출덕트(440)의 토출구(442a)의 외측 하단에 수분감지센서(48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moisture sensor 480 may be disposed inside and / or outside the discharge port 442a of the discharge duct 440, and more preferably, the discharge duct 440 may be dispos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intermittent portion 490. [ Of the discharge port 442a. In addition, when the discharge port 442a of the discharge duct 440 is exposed downwardly of the vehicle body 2, it is preferable that the moisture sensor 480 is disposed at the outer lower side of the discharge port 442a of the discharge duct 440 something to do.

수분감지센서(480)는 제어부(500)와 전기적 또는 유무선통신방법으로 연결되어서, 수분 감지에 따른 입력신호를 제어부(500)에 송신(출력)하게 된다. 즉, 수분감지센서(480)는 토출덕트(440)의 토출구(442a) 인근에 수분(수적)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감지신호를 제어부(500)에 송신하고, 수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비감지신호를 제어부(500)에 송신하게 된다.The moisture sensor 480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500 through an electric or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o transmit (output)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moisture detection to the controller 500. [ That is, the moisture sensor 480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500 when moisture (water) is detected in the vicinity of the discharge port 442a of the discharge duct 440, and when moisture is not sensed,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 unit 500.

제어부(500)는 수분감지센서(480)의 입력신호를 바탕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제어부(500)는 수분감지센서(480)의 입력신호를 바탕으로 제어신호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제어신호를 엑츄에이터(600)에 출력하게 된다. 제어부(500)는 마이컴 또는 중앙처리장치(CPU)로 구현될 수 있고, 또한, 연산유닛과, 상기 연산유닛에서 저장된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저장하는 저장유닛으로 구분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500 outputs a control signal based on the input signal of the moisture sensor 480. That is, the controller 500 calculates a control signal based on the input signal of the moisture sensor 480 and outputs the calculated control signal to the actuator 600. The control unit 500 may be implemented as a microcomputer or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d may also be implemented by being divided into an operation unit and a storage unit that stores data and control signals stored in the operation unit.

한편, 제어부(500)는 수분감지센서(480)에서 수분을 감지한 수분량이 기설정된 수분량을 초과하는 경우, 엑츄에이터(600)가 단속부(490)를 폐쇄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00 may output a control signal to the actuator 600 to close the intermittent unit 490 when the moisture amount sensed by the moisture sensor 480 exceeds the predetermined moisture amount.

또는, 제어부(500)는, 수분감지센서(480)에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수분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엑츄에이터(600)가 단속부(490)를 개방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시간은 제한이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30초 내지 1분을 설정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ntroller 500 may output a control signal so that the actuator 600 opens the intermittent part 490 when no moisture is sensed in the moisture sensing sensor 480 for a predetermined time. Here, the predetermined time is not limited, but preferably 30 seconds to 1 minute can be set.

엑츄에이터(600)는 제어부(500)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단속부(490)의 개폐를 조절한다. 엑츄에이터(600)는 전동식 엑츄에이터 등이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 방식도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액팅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The actuator 600 controls opening and closing of the intermittent part 49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part 500. The actuator 600 can be not only an electric actuator, but also a hydraulic or pneumatic cylinder type can be us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types of actuation devices can be used.

단속부(490)는 토출덕트(440)의 토출구(442a)를 단속한다. 단속부(490)는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지만, 토출덕트(440)의 토출구(442a)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491)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mittent portion 490 interrupts the discharge port 442a of the discharge duct 440. The intermittent part 490 may have various configurations, but may include a door 491 rotatably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442a of the discharge duct 440.

그리고, 도어(491)가 토출덕트(440)의 토출구(442a)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방법은 제한이 없지만, 도어(491)의 양측면 중앙에 형성된 힌지부(49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A method in which the door 491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442a of the discharge duct 440 is not limited and may be connected by a hinge portion 492 formed at the center of both sides of the door 491. [

도어(491)는 토출덕트(440)의 토출구(442a)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토출덕트(440)의 토출구(442a)의 형상이 대략 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므로, 도어(491)도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door 491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port 442a of the discharge duct 440. For example, since the discharge port 442a of the discharge duct 440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the door 491 can also have a rectangular shape.

제어부(500), 수분감지센서(480) 및 엑츄에이터(600)는 유/무선 통신방법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500)와 각 구성요소들은 블루투스(Bluetooth),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와이파이, 와이맥스,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RF통신, CAN통신 및 NFC(근거리 무선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가 변경 가능한 모든 유무선 통신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controller 500, the moisture sensor 480, and the actuator 600 may be connected by a wire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500 and the respective component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Bluetooth, a wireless broadband Internet,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a Wi-Fi, a WiMAX, a ZIGBEE ultra wideband (UWB) (IrDA), RF communication, CAN communication, and NFC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connected by any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at can be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6을 참고하면, 도 6 (a)는 수분감지센서(480)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수분이 감지되지 않아, 제어부(500)가 도어(491)를 오픈하라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도어(491)를 오픈한 모습이다.6 (a), moisture is not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by the moisture sensor 480, and the controller 500 outputs a control signal to open the door 491, Of the total.

도 6 (b)는 수분감지센서(480)에 의해 수분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500)가 도어(491)를 폐쇄하라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도어(491)를 폐쇄한 모습이다.6B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troller 500 closes the door 491 by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close the door 491 when moisture is detected by the moisture sensor 48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2: 차체 210: 플로워2: Body 210:

212: 개구부 400: 배터리 팩 212: opening 400: battery pack

402: 배터리 셀 유닛 420: 공기 흡입구402: Battery cell unit 420: Air inlet

422: 공기 배출구 430: 흡입 덕트422: Air outlet 430: Suction duct

431: 연통홀부 432: 필터 안착부431: communication hole portion 432: filter seat portion

433: 메쉬 434: 하판부433: mesh 434:

435: 테두리부 436: 흡입덕트 체결부재435: rim 436: suction duct fastening member

440: 토출 덕트 450: 필터440: Discharge duct 450: Filter

452: 회피홈부 460: 배기 팬 유닛
452: avoiding groove portion 460: exhaust fan unit

Claims (17)

배터리 셀 유닛이 내장되고 상기 배터리 셀 유닛을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흡입구와 상기 배터리 셀 유닛을 냉각시킨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배터리 팩과;
상기 공기 흡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배터리 셀 유닛을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를 상기 공기 흡입구로 안내되는 흡입덕트와;
상기 공기 배출구와 연통되어 상기 공기 배출구로 배출된 공기를 안내하고, 토출구가 차체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토출덕트와;
상기 토출덕트의 토출구로 유입되는 수분을 감지하는 수분감지센서와;
상기 수분감시센서의 입력신호를 바탕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조절되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엑츄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토출덕트의 토출구를 단속하는 단속부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A battery pack in which a battery cell unit is built and in which an air inlet for allowing air to cool the battery cell unit and an air outlet for discharging air that has cooled the battery cell unit are formed;
A suction duct communicated with the air inlet port and guided to the air inlet port to cool the battery cell unit;
A discharge duct communicating with the air discharge port to guide the air discharged to the air discharge port, the discharge port passing through the vehicle body and exposed to the outside;
A moisture sensor for sensing moisture flowing into the discharge port of the discharge duct;
A controller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based on an input signal of the moisture monitor sensor;
An actuator controll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And an intermittent portion for interrupting the discharge port of the discharge duct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부는,
상기 토출덕트의 토출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mittent-
And a door rotatably connected to a discharge port of the discharge du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감지센서는,
상기 토출덕트의 토출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전기 자동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isture sensor comprises:
And is disposed adjacent to a discharge port of the discharge du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분감지센서에서 수분을 감지한 수분량이 기설정된 수분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엑츄에이터가 상기 단속부를 폐쇄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기 자동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the controller outputs a control signal to cause the actuator to close the intermittent portion when the moisture amount sensed by the moisture sensor exceeds a predetermined moisture amoun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분감지센서에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수분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엑츄에이터가 상기 단속부를 개방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기 자동차.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Wherein the actuator outputs a control signal to open the intermittent portion when no moisture is sensed in the moisture sensor for a predetermined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덕트의 토출구는 차체의 후방에 형성된 후방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discharge port of the discharge duct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rear opening formed in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덕트에는 상기 토출덕트 내의 공기를 유동시키기는 배기팬 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토출덕트는,
상기 공기 배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배기팬 유닛으로 공기가 안내되는 제1 토출덕트 및
상기 배기팬 유닛과 연통되고, 차체의 외부로 공기가 안내되는 제2 토출덕트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charge duct is provided with an exhaust fan unit for flowing air in the discharge duct,
In the discharge duct,
A first discharge duct communicating with the air discharge port and guided by the exhaust fan unit,
And a second discharge duct communicating with the exhaust fan unit and guided outside the vehicle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덕트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 흡입구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ilter disposed in the suction duct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flowing toward the air inle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덕트는 상기 공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연통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의 테두리가 안착되는 필터 안착부가 형성된 전기 자동차.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uction duct is formed with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air inlet, and a filter seat on which a rim of the filter is seated is forme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덕트는 상기 필터가 안착되는 메쉬가 배치된 전기 자동차.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uction duct is provided with a mesh on which the filter is seate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동차는 상기 흡입덕트를 상기 배터리 팩에 체결시키는 흡입덕트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electric vehicle further comprises a suction duct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the suction duct to the battery pack.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덕트는 상기 필터의 테두리가 안착되고 상기 공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연통홀부가 형성된 하판부와, 상기 하판부에서 상향 돌출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uction duct includes a lower plate portion on which a rim of the filter is seated and a communication hole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air intake port, and a rim protruding upward from the lower plate portion.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부는 상기 흡입덕트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된 전기 자동차.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lower plate portion has a fastening hole to which the suction duct fastening member is fastene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흡입덕트 체결부재를 회피하는 회피홈부가 형성된 전기 자동차.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ilter has an avoidance groove portion for avoiding the suction duct fastening member.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은 차체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차체에는 차실의 공기가 하측으로 유출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덕트는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게 배치되는 전기 자동차.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battery pack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vehicle body,
The vehicle body is formed with an opening through which air of a vehicle room can be discharged downward,
And the suction duct is disposed in communication with the opening.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개구부 보다 작게 형성된 전기 자동차.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filter is formed smaller than the open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덕트를 상기 차체에 체결시키는 토출덕트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 discharge duct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the discharge duct to the vehicle body.
KR1020130005526A 2013-01-17 2013-01-17 Electric vehicle KR1020351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526A KR102035131B1 (en) 2013-01-17 2013-01-17 Electric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526A KR102035131B1 (en) 2013-01-17 2013-01-17 Electric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123A true KR20140093123A (en) 2014-07-25
KR102035131B1 KR102035131B1 (en) 2019-10-22

Family

ID=51739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526A KR102035131B1 (en) 2013-01-17 2013-01-17 Electric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131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31668A1 (en) * 2017-10-31 2019-05-02 Dura Operating, Llc Liquid detection inside a battery tray to avoid battery malfunction
KR20200054598A (en) 2018-11-12 2020-05-20 대우전자부품(주) Plane heater for electric vehicle
KR20200104584A (en) 2019-02-27 2020-09-04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A cooling duct for preventing water inle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2408A (en) * 2003-06-30 2005-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ir duct for battery cooling apparatus of electric vehicle
KR20060112807A (en) * 2005-04-28 2006-11-02 문형환 Room air temperature control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2408A (en) * 2003-06-30 2005-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ir duct for battery cooling apparatus of electric vehicle
KR20060112807A (en) * 2005-04-28 2006-11-02 문형환 Room air temperature control system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31668A1 (en) * 2017-10-31 2019-05-02 Dura Operating, Llc Liquid detection inside a battery tray to avoid battery malfunction
CN109725030A (en) * 2017-10-31 2019-05-07 德韧营运有限责任公司 For avoiding the battery tray internal liquid of battery failures from detecting
US11114706B2 (en) * 2017-10-31 2021-09-07 DUS Operating, LLC Liquid detection inside a battery tray to avoid battery malfunction
CN109725030B (en) * 2017-10-31 2022-06-07 德韧营运有限责任公司 Battery tray internal liquid detection for battery failure avoidance
KR20200054598A (en) 2018-11-12 2020-05-20 대우전자부품(주) Plane heater for electric vehicle
KR20200104584A (en) 2019-02-27 2020-09-04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A cooling duct for preventing water inl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5131B1 (en) 201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0905B2 (en) Temperature control structure of power storage device
JP5684768B2 (en) Work vehicle
US8887695B2 (en) Device for treating evaporated fuel
JP5486130B1 (en) Battery powered work machine and battery powered forklift
US20080060860A1 (en) Hybrid industrial vehicle
US20120312610A1 (en) Battery cooling structure for electric vehicle
US20100071980A1 (en) Electric power storage apparatus and car
WO2007029838A1 (en) Structure for mounting power source device on vehicle
US20120199406A1 (en) Motor vehicle
JP2014040214A (en) Cooling device for on-vehicle battery pack
JP2009012570A (en) Vehicle mounting structure of battery pack
KR20120012655A (en) Electric vehicle
KR20140093123A (en) Electric vehicle
JP5438867B1 (en) Battery powered forklift
JPWO2014109000A1 (en) Battery powered forklift
KR101758176B1 (en) Automobile
KR20110081613A (en) Automobile
KR20130068975A (en) Batter cooling system of an electric vehicle
WO2015063555A1 (en) Battery cooling structure
KR20140093124A (en) Electric vehicle
KR101964354B1 (en) Automobile
KR101957161B1 (en) Battery cooling system of an Electric Vehicle
KR20110059354A (en) An automobile
KR20120057674A (en) Electric vehicle
KR20130025239A (en) Electric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