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2895A - 디지털 콘텐츠 대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콘텐츠 대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2895A
KR20140092895A KR1020147015659A KR20147015659A KR20140092895A KR 20140092895 A KR20140092895 A KR 20140092895A KR 1020147015659 A KR1020147015659 A KR 1020147015659A KR 20147015659 A KR20147015659 A KR 20147015659A KR 20140092895 A KR20140092895 A KR 20140092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ghts management
digital rights
digital content
protected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5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0781B1 (ko
Inventor
마티유 보베
줄리앙 로빈슨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40092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2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Abstract

제 1 디바이스(10)로부터 제 2 디바이스로 디지털 권리 관리-보호된 디지털 콘텐트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디바이스들은 각각 접촉점(14), 접촉 통신 유닛(15) 및 표준 통신 기능(16)을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콘텐트는 디지털 권리 관리 모듈(12)과 디지털 권리 관리 면허(13)에 의해 보호되고, 상기 방법은, -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상기 접촉점(14)과 상기 접촉 통신 유닛(15)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 미리 한정된 시간 기간 내에,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접촉점(14)과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상기 접촉점 사이의 물리적인 접촉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확인을 위해 상기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코드를 검사하는 단계; -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상기 코드가 정확하다면,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디지털 권리 관리 면허(13)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상기 디지털 권리 관리 면허(13)를 활성화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콘텐츠 대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CONTENTS LENDING}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보호된 디지털 콘텐츠 취급에 관한 것이다.
판매, 대여 및 보급의 새로운 방식들을 제공함으로써, 전자 통신 네트워크들의 급격한 성장과 최종 사용자 전자 디바이스들의 폭넓은 사용이 디지털 콘텐츠 공급자들에게 막대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자명해 보인다.
본 명세서에서 디지털 콘텐츠는 영화, 음악 파일,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더욱 일반적으로 임의의 파일 또는 디렉토리와 같이 하나의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다른 전자 디바이스로 전달 가능한 임의의 콘텐트에 관한 것이다. 용어 "전자 디바이스"는, 디지털 콘텐츠를 렌더링할 수 있는 임의의 시스템(예컨대, 컴퓨터, 개인용 휴대 단말기, 스마트폰,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 전자책 리더, 태블릿 컴퓨터)을 포함하도록, 제한적이 아니라 폭넓게 의미한다.
이에 관해, 상업적인 디지털 콘텐츠 배포를 관리하는 상이한 사업 모델들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오로지 디지털 권리 관리 계약들(콘텐트 공급자들에 의해 규정된)이 소비자들에 의해 완벽하게 고려될 때에만, 이러한 사업 모델들이 유효하다는 점을 언급할 가치가 있다. 그렇지 않을 경우, 디지털 콘텐트의 대량의 규모로 불법적인 복제 및 비제한적인 배포는 사업 모델과 콘텐트 공급자의 권리를 확실하게 손상시킨다.
실제, 완벽하게 복제할 수 있는 누군가(잠재적으로 악의적인 최종 사용자)의 능력 및 이들 복제물들이 배포(즉, 판매, 대여, 제공 또는 공유)될 수 있게 하는 용이함은 오용 및 저작권 침해를 촉진한다.
따라서, 주된 문제점들 중 콘텐트 공급자들이 예상하는 디지털 콘텐츠 배포의 확장을 제한하는 것은 특히 대여에 관련하여 전자 디바이스들 사이의 디지털 콘텐츠 전달을 위한 관리 방법, 또는 적법하게 얻어진 디지털 콘텐츠의 임의의 다른 인증된 배포 형태의 부재이다.
따라서, 디지털 콘텐츠 공급자들에 대한 주된 도전은, 저작권 보호된 디지털 콘텐츠의 사용자들 사이에서 안전하고 폭넓은 배포(주로 대여)가 DRM 위반 없이 가능하게 하여(즉, 예컨대 전자책 대여가 폭넓은 저작권 침해를 초래하지 않을 것을 보장하여), 사용자들 사이의 디지털 콘텐츠 대여를 위한 저작권 보호-관련 방법의 구축을 시급한 수요로 만드는 방식들을 찾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전자 디바이스들에 의해 약정된 콘텐트 사용의 유연성으로부터 이익들 취하면서, 저작권 보호된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적인 배포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들을 통한 디지털 콘텐트의 배포의 사업 모델을 보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 콘텐츠의 대여 시장을 확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텐츠가 최종 사용자들에 배포된 후 DRM 완수를 시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DRM을 완수하는 동안 최종 사용자들 사이의 디지털 콘텐츠 대여를 위한 용이한 사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들 사이의 디지털 콘텐츠 전달을 위한 저작권 관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 장점들 및 다른 특징들은 다음의 개시사항 및 청구항들로부터 더 자명해질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다음의 비제한적인 설명은 첨부 도면에 관해 오로지 예시를 위해 제공되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문제점들 중 하나 이상의 영향들의 처리에 관한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부 양상들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단순화된 요약을 제공한다. 이러한 요약은 본 발명의 철저한 개요는 아니다. 본 발명의 중요한 요소들 중 핵심을 식별하거나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요약의 유일한 목적은 이후에 논의되는 더 상세한 설명에 대한 서론으로서 일부 개념들을 단순화된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권리 관리-보호된 디지털 콘텐트를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상기 제 1 및 제 2 디바이스는 각각 접촉점, 접촉 통신 유닛 및 표준 통신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콘텐트는 디지털 권리 관리 모듈과 디지털 권리 관리 면허에 의해 보호되고,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제 2 디바이스로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 제 1 디바이스의 접촉점과 접촉 통신 유닛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 미리 한정된 시간 기간 내에, 제 1 디바이스의 접촉점과 제 2 디바이스의 접촉점 사이의 물리적인 접촉이 존재하는 경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제 1 디바이스로 확인을 위해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코드를 검사하는 단계;
-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코드가 정확하다면, 제 1 디바이스의 디지털 권리 관리 면허를 제 2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제 1 디바이스의 디지털 권리 관리 면허를 활성화해제하는 단계.
폭넓은 양상에 따라, 디지털 권리 관리 면허는 원격 서버로부터 제 2 디바이스로 송신된다.
본 발명은 또한 디지털 권리 관리-보호된 디지털 콘텐트를 전송하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상기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의 접촉점과의 물리적인 접촉을 검출하고,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코드를 송신하는 것을 가능케 하도록 구성된 접촉점을 포함한다.
폭넓은 양상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는, 접촉점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접촉 통신 유닛, 적어도 하나의 통신 기능, 코드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 및 원격 서버로부터 코드를 검색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적응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이 예를 통해 도면에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다양한 수정들 및 대안적인 형태들이 가능하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특정 실시예들의 설명이 본 발명을 개시된 특별한 행태들로 국한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임의의 이러한 실제 실시예들의 개발시, 시스템 관련 및 사업 관련 제약들에 대한 부합과 같이 개발자의 특별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구현에 특정한 결정이 이루어져야 함이 물론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발 노력은 시간 소모적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개시사항의 이점을 갖는 당업자들를 위한 일상적인 업무일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도 1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최종 사용자 디바이스의 기능 모듈들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두 개의 최종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보호된 디지털 콘텐트의 DRM 관련 전송을 위한 예시적이 방법 단계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1은 최종 사용자 디바이스(10)(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개인용 휴대 단말기, 모바일/데스크탑 컴퓨터, 또는 임의의 가정용 오락 디바이스)를 도시하고, 최종 사용자 디바이스(10)는,
- DRM 모듈(12) 및 이의 대응하는 면허(13)에 의해 보호된 디지털 콘텐트(11)로서, DRM-면허(13)는 디지털 콘텐트(11)에 대한 액세스를 인에이블/디스에이블시키는 DRM 모듈(12)의 사용을 인증하고, DRM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암호화와 사용 조건들(예컨대, 단말, 계좌, 사용 시간, 지불, 사용자명, 일련 번호, 워터마크, 인쇄/판독/저장 승인)을 병합하는, 보호된 디지털 콘텐트(11);
- 주된 최종-사용자 디바이스(10)의 구성요소들 중 나머지와 상호작용하는 접촉 통신 유닛(15)의 제어 하의 접촉점(14)을 포함한다.
또한, 최종-사용자 디바이스(10)는 예컨대 Wi-Fi, Bluetooth®, GSM, 또는 EDGE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표준 통신 기능을 포함한다.
접촉점(14)은 다른 디바이스의 접촉점과의 물리적인 접촉을 검출하고, 미리 한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이들 두 디바이스들 사이의 정보/데이터 교환(예컨대, 코드를 송/수신)을 가능케 하도록 구성된다. 알까뗄 루슨트사의 유럽특허 제EP2216910호("Method and equipment for configuring radio communication")는 이러한 접촉점 장비의 예를 기술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 1 최종-사용자 디바이스(10)로부터 제 2 최종-사용자 디바이스(차례로, 접촉점, 접촉 통신 유닛 및 표준 통신 기능을 구비한)로의 DRM-보호된 디지털 콘텐트(11)의 전송(즉, 대여)은,
- 이들 두 개의 최종-사용자 디바이스들의 물리적인 접촉; 및
- DRM 면허(13)가 제 1 최종-사용자 디바이스(10)로부터 제 2 최종-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 가능할 것을 요구한다.
위의 최종-사용자 디바이스들 모두 저작권 침해에 대한 영향을 갖는 동일한 통신 영역 네트워크(예컨대, 동일한 Wi-Fi 핫스팟, 동일한 엄브렐라 매크로 기지국, 동일한 펨토-셀, 동일한 근거리 네트워크)에 연결되어야 한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제 1 디바이스(10)로부터 제 2 디바이스로 디지털 콘텐트(11)의 전송은 자신들의 접촉점들을 통해 접촉하는 디바이스들(맞물리는 디바이스들로도 알려짐)을 통해 보장된다. 알까뗄 루슨트사의 유럽특허 제EP2216910호("Method and equipment for configuring radio communication")는, 이들이 물리적으로 접촉하도록 보장될 때 모바일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안전한 방식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개시한다.
예시적인 일 예로서, 제 1 모바일 디바이스(예컨대, 스마트폰)의 사용자가 DRM-보호된 디지털 콘텐트(예, 전자책)를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예컨대, 스마트폰, 랩톱, 또는 태블릿)의 사용자에게 대여하기를 희망하고 있는, 도 2에 도시된 경우를 고려해보자. 따라서, 디지털 콘텐트로서 전자책는 자신의 DRM 제약들을 고려하면서 제 1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제 2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되어야 한다. 두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두 바이바이스들이 물리적인 접촉과 이들 식별을 효과적으로 행하는 것을 보장하는 호환 가능한 접촉점들과 접촉 통신 유닛들을 구비한다.
이후, 사용자 명령들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DRM-보호된 디지털 콘텐트(즉, 전자책)의 전송을 관리하기 위하여 제 1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의 제어 하에서, 제 1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에 (적절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대여 코드를, 예컨대 짧은 시간(예컨대, 30초) 동안 사용 가능한 10 자리의 대여 코드를 송신한다(도 2의 단계 1).
후속적으로, 제 2 모바일 디바이스는 자신의 접촉 통신 유닛과 자신의 접촉점을 활성화시킨다(도 2의 단계 2). 제 1 모바일 디바이스가 대여 코드를 전송한 이후 미리 한정된 양의 시간(예, 30초) 내에서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에 접촉(즉, 제 1 및 제 2 모바일의 접촉점들 사이의 물리적인 접촉)한다면(도 2의 단계 3), 대여 코드는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확인을 위해 제 1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된다(도 2의 단계 4).
이후, 제 1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 2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대여 코드을 검사한다. 이것이 정확하다면, 제 1 모바일 디바이스는 DRM-면허를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고(도 2의 단계 5), 동시에 자신의 DRM-면허를 활성화해제시킨다(도 2의 단계 6).
최종적으로, DRM-보호된 디지털 콘텐트는 적절한 통신 채널을 통해(접촉 통신 유닛을 통해, 또는 예컨대 두 모바일 디바이스들이 연결된 통신 영역 네트워크를 통해) 제 1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제 2 모바일 디바이스로 송신된다. 대안적으로, 제 2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 1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가 아닌 다른 소스로부터(예, 원격 소스로부터) 대여될 디지털 콘텐트를 수신(또는 다운로드)할 수 있다.
유리하게, 위의 단계들은 디지털 콘텐트를 대여 또는 차용하기 위하여 오로지 사용자 친화적인 디스플레이만을 볼 수 있는 사용자에 대해 투명한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다.
유리하게, 그들 사이의 DRM-보호된 디지털 콘텐트 전송을 위한 최종-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요구된 물리적인 접촉은 예컨대 NFC 기술들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충당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라, DRM은 최종-사용자 디바이스에 저장된다. 대안적으로, DRM의 집중 방식의 호스팅 방법이 채택되어, 집중된 방식으로 최종-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의 디지털 콘텐츠의 전송을 허용한다. 실제, 서버는 디바이스들의 신원들과 면허들 사이의 관계를 추적한다. 유리하게, 이것은 동글의 사용을 회피하면서,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다른 디바이스로 면허를 전송하기 전에 인증을 제공한다.
제 1 모바일 디바이스에 결합되고 집중된 서버에 알려져 있는 면허는 다음과 같이 집중된 서버를 사용하여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될 수 있다:
- 제 1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전용 인터페이스 상에서 면허(또는 DRM 모듈)를 전송하도록 선택한다;
- 제 1 모바일 디바이스는 집중된 서버에 연결된다;
- 예컨대 HTTPS를 통한 웹 서비스들을 사용하여, 제 1 모바일 디바이스는 집중된 서버에 대하여 유일한 식별자가 된 이후, 집중된 서버에 면허를 전송하도록 명령한다. 대답으로, 제 1 모바일 디바이스는 전송을 위해 서버가 생성한 고유한 식별자(여기에서 TID로 지정된)를 수신한다.
- 제 1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에 신호발신하여 전송을 시작하고 접촉의 청취를 시작하도록 한다;
- 제 1 모바일 디바이스가 신호 이후 30초 내에서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와 접촉하면, TID는 제 1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된다;
- 제 2 모바일 디바이스는 TID를 집중된 서버에 전송한다;
- 면허는 제 1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해 서버상에서 활성화해제된다;
- 제 2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 가능한 면허를 취득한다(제 2 모바일 디바이스는 또한 전자책와 같은 디지털 콘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 제 2 모바일 디바이스는 이제 면허를 갖고, 제 1 모바일 디바이스는 면허를 더 이상 갖지 않으며, 집중된 서버는 누가 디지털 콘텐트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지를 쉽게 찾는 것을 가능케 하는 전체 동작의 흔적을 갖는다.
유리하게, 마지막으로 상술한 실시예는 면허의 부여자가 각 면허를 추적하는 것을 가능케 하고, 하나의 면허가 오로지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것을 보장한다. 더욱이, 이러한 실시예는 동글들, 보다 일반적으로 저작권 침해에 대응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하드웨어 수단의 사용을 회피하는 것을 허용한다.
유리하게, 집중된 서버는 콘텐트 배포를 추적할 수 있고, 불법적인 배포에 관여하는 사용자들을 식별할 수 있다.
DRM-보호된 콘텐트의 상기 대여 방법이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다른 디바이스로의 면허 전송과 유사한 것이 주목된다.
유리하게, 디지털 콘텐트 대여의 상술한 방법은 임의의 폭넓은 배포를 배제한다. 이것은 사회적인 매체로서 작용하는 대여 또는 수여와 같이 장부 이력적으로 결합되는 매일의 동작들을 인증한다.
일 양상에 따라, 상술한 방법은 임의의 시간에 오로지 하나의 디바이스가 주어진 DRM 토큰(예컨대, 면허, 인증)을 사용할 수 있는, DRM의 가장 제한적인 허용을 고려한다.
다른 양상에 따라, 상술한 방법들은 디지털 콘텐트 대여 프로세스들을 단순화시키고(예, 책를 대여하기 위한 복잡한 조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저작권 침해에 대한 보안 조처들을 강화시킨다(확실히, 디바이스들 사이의 필요한 물리적인 접촉은 온라인 저작권 침해에 대응한다).
유리하게, 위의 제공된 실시예들에 따라,
- 소비자들이 저작권 보호된 디지털 콘텐트를 사용할 권리뿐만 아니라, 면허/DRM 제어 방식으로 이러한 권리를 다른 소비자들에게 대여할 권리도 또한 구매할 수 있고;
- 콘텐트 공급자의 권리가 강화되고, 이들의 사업 모델이 소비자들이 저작권 보호된 콘텐트를 배포하는 방식에 대한 제한들을 부가함으로써 증진되고;
- 디지털 콘텐트가 플래쉬 메모리와 같은 중간 메모에 대한 필요 없이 최종-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전송될 수 있음을 언급할 가치가 있다.
당업자들은, 위에서 기술한 방법들이 모바일 핸드셋 디바이스들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예컨대, 전자책들, 영화들, 음악 파일들) 대여에 매우 적합한 것을 쉽게 인식할 것이다.

Claims (13)

  1. 제 1 디바이스(10)로부터 제 2 디바이스로 디지털 권리 관리-보호된 디지털 콘텐트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디바이스들은 각각 접촉점(14), 접촉 통신 유닛(15) 및 표준 통신 기능(16)을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콘텐트는 디지털 권리 관리 모듈(12)과 디지털 권리 관리 면허(13)에 의해 보호되고, 상기 방법은,
    -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상기 접촉점(14)과 상기 접촉 통신 유닛(15)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 미리 한정된 시간 기간 내에,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접촉점(14)과 상기 제 2 디바이스의 상기 접촉점 사이의 물리적인 접촉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확인을 위해 상기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코드를 검사하는 단계;
    -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상기 코드가 정확하다면,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디지털 권리 관리 면허(13)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상기 제 1 디바이스의 상기 디지털 권리 관리 면허(13)를 활성화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권리 관리-보호된 디지털 콘텐트를 전송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한 상기 디지털 권리 관리-보호된 디지털 콘텐트의 수신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권리 관리-보호된 디지털 콘텐트를 전송하는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전송된 상기 코드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원격 서버로부터 검색되는, 디지털 권리 관리-보호된 디지털 콘텐트를 전송하는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권리 관리 면허(13)는 원격 서버로부터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송신되는, 디지털 권리 관리-보호된 디지털 콘텐트를 전송하는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및 제 2 디바이스들 모두가 연결된 통신 영역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디지털 권리 관리-보호된 디지털 콘텐트를 수신하는, 디지털 권리 관리-보호된 디지털 콘텐트를 전송하는 방법.
  6. 디지털 권리 관리-보호된 디지털 콘텐트를 전송하는 디바이스로서,
    제 2 디바이스의 접촉점과의 물리적인 접촉을 검출하고,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코드를 전송하는 것을 가능케 하도록 구성된 접촉점(14)을 포함하는, 디지털 권리 관리-보호된 디지털 콘텐트를 전송하는 디바이스.
  7. 제 6항에 있어서,
    접촉 통신 유닛(15)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권리 관리-보호된 디지털 콘텐트를 전송하는 디바이스.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표준 통신 기능(16)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권리 관리-보호된 디지털 콘텐트를 전송하는 디바이스.
  9.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드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권리 관리-보호된 디지털 콘텐트를 전송하는 디바이스.
  10. 제 6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격 서버로부터 코드를 검색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권리 관리-보호된 디지털 콘텐트를 전송하는 디바이스.
  11. 제 6항 내지 제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스파트폰인, 디지털 권리 관리-보호된 디지털 콘텐트를 전송하는 디바이스.
  12. 제 6항 내지 제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태블릿 컴퓨터인, 디지털 권리 관리-보호된 디지털 콘텐트를 전송하는 디바이스.
  13. 컴퓨터 및/또는 전용 시스템의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적응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47015659A 2011-11-16 2012-11-14 디지털 콘텐츠 대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5907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89293.1A EP2595077B1 (en) 2011-11-16 2011-11-16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contents lending
EP11189293.1 2011-11-16
PCT/EP2012/072634 WO2013072374A1 (en) 2011-11-16 2012-11-14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contents lend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895A true KR20140092895A (ko) 2014-07-24
KR101590781B1 KR101590781B1 (ko) 2016-02-02

Family

ID=47178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5659A KR101590781B1 (ko) 2011-11-16 2012-11-14 디지털 콘텐츠 대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325676A1 (ko)
EP (1) EP2595077B1 (ko)
JP (1) JP5837219B2 (ko)
KR (1) KR101590781B1 (ko)
CN (1) CN103959297A (ko)
WO (1) WO20130723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38401B2 (en) 2009-02-17 2015-01-20 Comcast Cable Holding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ignaling content rights through release windows life cycle
US10411786B2 (en) * 2013-03-11 2019-09-10 Nagravision S.A. Method for acquiring access rights to conditional access content
US20150161360A1 (en) * 2013-12-06 2015-06-11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Device Generated Sharing of Cloud Media Collections
US9230133B2 (en) 2014-01-14 2016-01-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cure access for sensitive digital information
US10430619B2 (en) 2014-05-15 2019-10-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ement of digital copies of registrations using mobile devices
US9544150B2 (en) 2014-06-04 2017-01-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sing multiple digital identification documents to control information disclosure
US10097354B2 (en) 2015-08-21 2018-10-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ivacy control using unique identifiers associated with sensitive data elements of a group
WO2017079658A1 (en) 2015-11-04 2017-05-11 Screening Room Media, Inc. Digital content delivery system
US10452819B2 (en) 2017-03-20 2019-10-22 Screening Room Media, Inc. Digital credentia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22104B2 (en) * 2001-05-31 2007-05-22 Contentguard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usage rights and digital work having transferrable usage rights
EP1735939A1 (en) * 2004-03-29 2006-12-27 Smart Internet Technology Crc Pty Limited Digital license sharing system and method
US20060068760A1 (en) * 2004-08-31 2006-03-30 Hameed Muhammad F System and method for pairing dual mode wired/wireless devices
JP2006174383A (ja) * 2004-12-20 2006-06-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情報端末
US20060143455A1 (en) * 2004-12-28 2006-06-29 Gitzinger Thomas E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pairing
US7805375B2 (en) * 2005-08-22 2010-09-28 Microsoft Corporation Digital license migration from first platform to second platform
CN101127064A (zh) * 2006-08-18 2008-02-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备份和恢复许可证的方法及系统
KR20080027037A (ko) * 2006-09-22 2008-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간에 컨텐츠에 대한 권한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방법 및 그 장치, 그리고 그 시스템
EP2009566A1 (en) * 2007-06-29 2008-12-31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device for exchanging digital content licenses
JP2009140447A (ja) * 2007-12-11 2009-06-25 Nec Corp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端末、ネットワーク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447008B (zh) * 2008-12-23 2011-08-17 中国科学院计算技术研究所 一种数字内容网络版权管理系统和方法
EP2216910B1 (en) * 2009-02-04 2014-10-08 Alcatel Lucent Method and equipment for configuring radio commun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37219B2 (ja) 2015-12-24
US20140325676A1 (en) 2014-10-30
KR101590781B1 (ko) 2016-02-02
EP2595077B1 (en) 2016-04-20
JP2015503150A (ja) 2015-01-29
WO2013072374A1 (en) 2013-05-23
EP2595077A1 (en) 2013-05-22
CN103959297A (zh) 201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0781B1 (ko) 디지털 콘텐츠 대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8225097B2 (en) Anchor point-based digital content protection
US7415439B2 (en) Digital rights management in a mobile communications environment
US200201570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and convenient management of digital electronic content
US20090049556A1 (en) Method for redistributing drm protected content
US20090217036A1 (en) Digital rights management
EP2018019B1 (en) Rights Object Acquisition Method and System
JP5101951B2 (ja) ユーザードメインのためにデジタル権限管理をインポートする方法
US20070110012A1 (en) Device and method for tracking usage of content distributed to media devices of a local area network
US20100145859A1 (en) Control device, reproducing device, permission server, method for controlling control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ermission server
KR20080046253A (ko) Lan에 미디어 컨텐츠를 분배하기 위한 디지털 보안
EP1693731A1 (en) Digital rights management in a mobile communications environment
KR20130104357A (ko) 두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 디지털 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서버, 단말 장치 및 시스템
Feng et al. An efficient contents sharing method for DRM
KR100706085B1 (ko) 복수의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한 drm 방법
Abbadi Digital asset protection in personal private networks
Tacken et al. Mobile DRM in pervasive networking environments
KR20120003324A (ko) 사용권리 활성화 기능이 있는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