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2824A - 플라스틱 필름 또는 금속 포일의 표면 특성 조절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필름 또는 금속 포일의 표면 특성 조절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2824A
KR20140092824A KR1020147011353A KR20147011353A KR20140092824A KR 20140092824 A KR20140092824 A KR 20140092824A KR 1020147011353 A KR1020147011353 A KR 1020147011353A KR 20147011353 A KR20147011353 A KR 20147011353A KR 20140092824 A KR20140092824 A KR 20140092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ma
housing
film
plastic film
corona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1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르하르트 알트
프랑크 푀르스터
Original Assignee
소프탈 코로나 & 플라즈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프탈 코로나 & 플라즈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소프탈 코로나 & 플라즈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92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28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1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electric discharge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14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plasma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5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using electric dischar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9/00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24Generating plasma
    • H05H1/46Generating plasma using applied electromagnetic fields, e.g. high frequency or microwave energ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24Generating plasma
    • H05H1/47Generating plasma using corona discharges
    • H05H1/473Cylindrical electrodes, e.g. rotary dru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s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장치 구성을 단순화하면서도 마찬가지로 우수한 처리 결과를 제공하고 그 외에도 다방면으로 이용될 수 있는 정도로, 금속 포일 및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 특성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을 개량하기 위해, 포일 또는 필름의 표면은 하나 이상의 면에서 위치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동시에 개시되는 플라스마 및 코로나 처리로 처리되는 점이 제안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시에 실행되는 플라스마 및 코로나 처리를 통해 금속 포일 및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의 표면 특성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도 관한 것이며, 상기 장치는 하우징(2) 내에 배치되어 플라스마 흐름(6)을 생성하고 노즐 배출구를 통해 지향되는 방식으로 플라스마 흐름을 방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플라스마 노즐(1)과, 노즐 배출구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상대 전극(4)과, 고전압 범위의 교류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고전압 발생기를 포함하며, 고전압 발생기는 그 출력단들로 전위차를 생성하기 위해 한편으로 하우징(2)과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대 전극(4)과 연결된다.

Description

플라스틱 필름 또는 금속 포일의 표면 특성 조절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DEVICE FOR INFLUENCING SURFACE PROPERTIES OF PLASTIC FILMS OR METAL FOILS}
본 발명은 플라스틱 필름 또는 금속 포일의 표면 특성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폴리머로 구성되어 이축 연신된 필름에 적용된다. 또한, 상기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장치도 개시된다.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과 관련하여, 한편으로 상기 필름, 특히 플라스틱 필름 시트(plastic film sheet)의 두께 및 폭과 관련된 요구되는 최종 치수를 달성하기 위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요구되는 배향을 위해, 상기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을 연신하는 점은 공지되었고 오래전부터 통상적인 실무이기도 하다. 이 경우, 부분적으로 2단계로, 그러나 몇몇 시스템에서는 이미 1단계 공정으로 플라스틱 필름, 특히 플라스틱 필름 시트가 종방향 연신, 다시 말하면 이송 또는 경로 방향의 연신뿐 아니라, 특히 종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향하는 횡방향 연신으로 처리되는 연신 시스템들(stretching system)이 이용된다.
또한, 플라스틱 필름 및 금속 포일의 표면 특성을 변경하기 위해, 예컨대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 장력과 그에 따른 접착 효과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금속 포일의 표면을 세정하기 위해, 대응하는 처리로 플라스틱 필름 및 금속 포일을 처리하며, 특히 플라스틱 필름의 경우에는 활성화 처리로 처리하는 점도 공지되었다. 상기 처리, 특히 활성화 처리의 경우, 화염 처리, 플라스마 처리, 또는 코로나 처리뿐만 아니라, 이들 처리 방법을 조합한 처리 방법들도 공지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해결해야 할 문제는 항상, 최대한 효율적이면서 매우 효과적일뿐 아니라 그 가공 결과와 관련하여 실질적으로 변함없는 표면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다.
플라스틱 필름과 관련하여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자 시도한 특별한 가능성은 DE 10 2005 052 441에 기술되어 있다. 이 독일 공보의 제안에 따르면, 이축 연신된 플라스틱 필름의 경우, 종방향 연신 단계 후에, 그러나 횡방향 연신 단계 전에 대기압으로 그 폭에 걸쳐서 플라스틱 필름을 플라스마 처리로 처리하고, 그 다음 횡방향 연신을 실행하며, 이에 후속하여 코로나 또는 화염 처리인 제 2 처리가 수행된다. 상기 독일 공보에서 명세서 도입부에는, 종래 기술에 대한, 그리고 본 발명의 명세서를 위해서도 적합하고 관련된 플라스마 및 코로나 방전의 작용 방식에 대한 추가의 상세한 설명이 더 제공되어 있으며, 이런 점에 한해 본원에서는 상기 설명이 참조되고 관련된다.
DE 10 2005 052 441에 기술된 것과 같은 방법은, 상기 독일 공보에 따르면, 플라스틱 필름의 차후의 이용을 위해, 예컨대 인쇄를 위해 매우 적합한, 필름 표면의 활성화를 보여주는 높은 표면 장력을 갖는 매우 우수한 결과를 제공한다. 이는, 상기 독일 공보에서, 종방향 연신 후이지만 횡방향 연신 전에 수행되는 (대기압) 플라스마 처리와 횡방향 연신 후에 코로나 방전 또는 화염 처리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추가 처리로 조합된 특별한 방법을 기반으로 한다. 그러나 이 경우 독일 공보에 기술된 방법을 실제로 구현할 때 하기 문제들이 제기된다.
우선 먼저, 상기 특별한 방법은 연신된 플라스틱 필름을 제조할 때에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금속 포일에는 적용할 수 없다. 또한, 이는, 제조 후에, 예컨대 추가 처리 단계, 예컨대 인쇄 직전에 표면 재활성화를 위해 바람직할 수 있는 것과 같은 플라스틱 필름의 차후 처리를 위해 적합하지 않다.
또한, 플라스틱 필름을 연신하기 위한 장치에는 2개의 분리된 위치에 추가 유닛들, 요컨대 장치의 종방향 연신 섹션의 후방에서, 그러나 횡방향 연신 섹션의 전방에서 플라스마 처리를 위한 제 1 처리 스테이션과, 횡방향 연신 섹션에 후속되는 코로나 또는 화염 처리를 위한 제 2 스테이션이 통합되어야 한다. 그 외에도, 상기 방법은, 플라스틱 필름의 연신이 (첫 번째 단계인) 종방향 연신 및 (두 번째 단계인) 횡방향 연신 후에 별도로 실행되는 처리 방식들에서만 수행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하면 단일의 단계로 횡방향 및 종방향의 연신을 이용한 제조 방법에서는 수행될 수 없다. 마지막으로, 횡방향 연신 후에 실행할 코로나 또는 화염 처리를 위한 유닛은, (바람직한 사항으로) 상기 처리가 마찬가지로 필름의 전체 폭에 걸쳐서 수행되어야 한다면, 횡방향 연신 단계 후에 분명하게 확대된 플라스틱 필름의 폭에 상응하게 상대적으로 더 크게 치수 설계되는 방식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상대적으로 더 큰 치수 설계는 구조 및 장치 관련 문제 및 도전 사항, 특히 상대적으로 더 큰 간격에 걸쳐 상기 처리를 균등하고 균일하게 실행함으로써 처리된 플라스틱 필름이 횡방향 연신 후에 확대된 폭에 걸쳐서 일관된 표면 특성을 보유하도록 해야 한다는 도전 사항을 초래한다. 더욱이 횡방향 연신 후에 실행할 제 2 처리를 위한 처리 유닛을 연장된 치수로 형성해야 하는 요건은 상대적으로 더 높은 장치 측 비용을 초래한다. 또한, 처리 구간이 상대적으로 더 큰 경우, 공정 매체에 대한 소모량도 증가되며, 이는 작동 비용을 증가시킨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해 구제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특히 본 발명의 과제는, 플라스틱 필름 또는 금속 포일의 표면 특성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에 있어서, 포일 또는 필름의 제조 공정 또는 가공 공정의 여러 위치에서 비교적 적은 장치 비용으로 이용될 수 있는 상기 방법 및 장치를 명시하는 것에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각각 방법 및 장치를 이용하여, 구성을 단순화함과 동시에 처리 결과도 마찬가지로 우수한 조건에서 열가소성 폴리머로 구성되어 이축 연신된 필름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과제는, 방법의 변형예에서, 이축 연신된 플라스틱 필름을 연신하기 위한 기존 시스템에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를 간단하게 통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는, 또한 하나의 공통 단계에서 종방향 및 횡방향 연신을 실행하는 시스템에서도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방법과 관련한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 1항의 특징들을 포함한 방법을 통해 해결되고, 상기 과제의 장치에 따른 관점의 본 발명에 따른 해결 방법은 청구항 제 8항에서 명시된다. 방법의 바람직한 개선예들은 종속 청구항 제 2항 내지 제 7항에서 명시되고, 장치의 바람직한 개선예들은 청구항 제 9항 내지 제 13항에서 명시된다.
본 발명의 실질적인 지식은, 금속 포일(특히 예컨대 금속 포일의 오일 또는 그리스 잔류물 세정) 또는 플라스틱 필름(특히 접착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플라스틱 필름의 활성화)의 표면 특성의 지속적인 조절이 위치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동시에 실행되는 플라스마 및 코로나 처리를 통해 매우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본원의 발명자는, 한편으로 플라스마 처리와 다른 한편으로는 코로나 처리를 포함하여 위치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그 외에도 동시에 실행되는 처리는 특히 우수한 처리 결과를 달성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그 외에도, 상기 처리 방식은, 콤팩트하면서도, 그에 따라 기존 시스템에 간단하게 통합되거나 개장될 장치 구성을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특히 플라스마 및 코로나 처리는 동시에 수행될 뿐 아니라, 위치와 관련하여 하나의 공통 처리 영역에서 함께 수행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실행되는 처리는, 공장 인도 조건과 동일한 방식으로 그에 상응하게 표면 처리된 포일 또는 필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금속 포일 또는 플라스틱 필름의 제조 동안, 또는 상기 제조 직후에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상기 유형으로 처리된 플라스틱 필름은 이미, 예컨대 신뢰성 있고 색이 바래지 않는 인쇄를 위해 필요한 분명하게 증가된 표면 장력을 보유할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의 경우 시간에 따라 표면 장력의 감소가 발생하고 금속 포일은 그 표면이 오염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요구되는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처리가 포일 또는 필름의 추가 가공 직전에 수행될 수 있다. 이는 1회의 처리일 수도 있고, 또는 반복적인 처리일 수도 있다.
본원의 방법은 특히 연속해서 이동되면서 처리될 포일 또는 필름 시트에서 실행하기 위해 적합하다.
특히 열가소성 폴리머로 구성되어 이축 연신된 플라스틱 필름을 본 발명에 따라 처리할 경우, 확인된 점에 따르면, DE 10 2005 052 441의 상정과는 다르게, 결과는, 횡방향 연신 후에 비로소 최종 처리를 실행하는 조건에서, 분리되어, 그리고 이축 연신의 여러 시점들에서, 여러 가지 처리 단계들을 실행하는 것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는, 특히 횡방향 연신 전에 수행되는, 동시에 실행되는 플라스마 및 코로나 처리에 의해서도 가능한지에 따라 결정된다. 그에 따라, 플라스마가 점화되고 플라스마는 처리할 표면의 방향으로 표류될 뿐 아니라 필름 표면의 영역에서 코로나 방전도 개시되는 상기와 같은 동시에 실행되는 처리는 횡방향 연신 전에 개시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플라스틱 필름의 전체 폭에 걸쳐서 플라스틱 필름을 처리하는 동안에도 장치 구성은 횡방향 연신 전에 더 작은 플라스틱 필름의 폭에 상응하게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와 같은 콤팩트하게 형성된 장치가 횡방향 연신 전의 임의의 적합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통해, 상응하는 방법 단계가 플라스틱 필름 시트를 위한 기존의 연신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다. 비록 동시에 실행되고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국소 처리 영역에서도 위치가 동일한 플라스마 및 코로나 처리가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연신 후에 수행된다고 하더라도, 이는 반드시 요구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플라스마 및 코로나 처리는 심지어 상기 종방향 연신 전에 위치하는 공정 섹션에서 실행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특히 종방향 및 횡방향 연신이 단일의 공통 단계에서 실행되는, 플라스틱 필름을 연신하는 방법에서도 이용될 수 있다.
장치에 따른 관점과 관련하여, 과제의 해결 방법은, 이미 언급한 것처럼, 청구항 제 8항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장치에 있다. 이제 상기 장치에 대한 특징은, 조합된 배치 구성에서 상기 장치가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플라스마 흐름을 생성하고 지향되는 방식으로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하나 이상의 플라스마 노즐뿐 아니라, 일측 전극으로서 플라스마 노즐의 하우징 또는 이 하우징의 섹션과 제 2 전극으로서 상대 전극을 구비하여 코로나 방전을 점화하기 위한 어셈블리, 및 고전압 범위의 교류 전압(1,000볼트 및 그 이상을 갖는 교류 전압)을 생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고전압 발생기를 포함한다는 점이다. 상기 발생기는 자체 출력단들로 한편으로 코로나 방전을 점화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의 부분과 관련하여 전극으로서 이용되는 하우징과 연결되거나, 또는 하우징의 섹션만이 전극으로서 이용되는 경우라면 상기 하우징 섹션과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대 전극과 연결된다.
이 경우, 고전압 발생기는, 예컨대 고전압과 관련하여 10 내지 20 KV의 범위에서, 그리고 주파수와 관련해서는 10 kHz와 60 kHz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마찬가지로 전형적이고 통상적인 주파수 조건에서 상응하는 코로나 처리를 위해 전형적인 고전압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특히 콤팩트하고, 동시에 코로나 처리를 점화하기 위한 전극 어셈블리의 전극으로서 이용되는 하우징 내 독립된 플라스마 발생기로서의 플라스마 노즐들의 통합은 지극히 공간을 절약하며, 그와 동시에, 플라스마 노즐에 의해 생성되어 포일 또는 필름의 방향으로 방출되는 플라스마뿐 아니라 하우징과 상대 전극 사이에서 점화되는 코로나 방전 또는 그 결과로 발생하는 종(species)을 동시에 이용하여, 상기 배치 구성을 통과하여 이동하는 포일 또는 필름 또는 포일 시트 또는 필름 시트의 효율적인 처리를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이용되는 플라스마 노즐은 예컨대 DE 196 48 999에 기술되어 있고 브랜드 PLASMAJET® 브랜드 하에 AFS Entwicklugns- und Vertribs GmbH(개발 및 판매 게엠베하)에 의해 공급 및 판매되는 것과 같은 플라스마 노즐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이용하여 처리할 금속 포일 또는 처리할 플라스틱 필름의 전체 폭에 걸쳐서 충분한 표면 처리를 달성하기 위해, 어느 경우든 상응하는 포일 또는 필름 시트로 향해 있는 부분이 플라스마 방전 유닛의 전극으로서 이용되는 하우징은 각목 형태로 길게 연장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종방향으로 연이어 하우징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플라스마 노즐도 제공된다. 연이어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플라스마 노즐에 의해, 균일한 플라스마 빔이 신장된 플라스마 빔 또는 "플라스마 구름(plasma cloud)"를 달성하며, 이 신장된 플라스마 빔 또는 플라스마 구름은 다시, 처리할 표면의 전체 폭에 걸쳐, 그 표면의 균등한 플라스마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코로나 방전에 의해서는, 코로나 방전이, 전극으로서 이용되는 하우징과 상대 전극 사이에서, 하우징의 전체 폭에 걸쳐서 점화됨으로써, 표면의 균등한 코로나 처리가 플라스마 처리와 함께 동시에 달성된다.
상대 전극은 바람직하게는 유전체로 코팅될 수 있다. 그 결과로, 전극들 사이에서 직접적인 섬락은 방지되며, 그리고 에어 갭의 각각의 폭에 따라서 설정되는 상응하는 한계 조건들(인가할 고전압 및 주파수)이 준수되는 조건에서 전극으로서 이용되는 하우징 또는 하우징 섹션과 상대 전극 사이에서 점화하는 방전은 코로나 방전인 점이 보장된다.
상대 전극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롤 전극(roll electrode)일 수 있다. 이처럼 특히 포일 또는 필름 시트를 처리하는 동안, 상기 롤 전극은 동시에, 처리할 시트가 롤 전극을 통해 이동하고 이송되는 것을 통해, 상기 처리할 스트립의 확실한 가이드를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시트가 롤 전극 상에 직접 접촉하여 안착된다면, 배면으로부터의 코로나 방전은 방지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플라스마 노즐들로 향해 있는 포일 또는 필름의 표면만이 플라스마 및 코로나 처리된다. 에어 갭을 목표한 바대로 제공하는 것을 통해, 상기 장치에서는, 플라스마 노즐들로 향해 있는 금속 포일 또는 플라스틱 필름 시트의 전면의 플라스마 및 코로나 처리 외에도, 포일 또는 필름의 후속 적용을 위해 바람직하고 그로 인해 요구된다면, 배면 상에서도 코로나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특히 플라스마 노즐들의 각각의 연결에 따라서, 그리고 처리할 재료의 각각의 유형에 따라서, 전극으로서 이용되는 하우징 또는 상응하는 하우징 섹션은 접지 전위 측에 위치하고 상대 전극은 상응하는 고전압 전위와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상대 전극은 접지되고 하우징 또는 전극으로서 이용되는 하우징 섹션은 고전압 전위 측에 위치하는 반대되는 연결도 존재할 수 있다.
분명하게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콤팩트하게 구성되는데, 특히 그 이유는 플라스마 노즐들이 오늘날의 기술로 구조 형상과 관련하여 특히 소형으로 제조되고,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부품으로서 코로나 방전 어셈블리의 전극으로서 이용되는 하우징 내에서 좁은 공간에 통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처리할 포일, 처리할 필름, 또는 처리할 포일 또는 필름 시트의 전체 폭에 걸쳐 그에 상응하게 확장될 수 있다.
횡방향 연신 전에 이축 연신된 플라스틱 필름의 처리 동안, 상기 폭은, 횡방향 연신 전에 측정되므로, DE 10 2005 052 441에 따른 방법에서 화염 또는 코로나 처리를 위한 횡방향 연신 후에 돌출되는, 상응하는 유닛의 폭에 비해 더 작을 수 있다.
추가 장점들 및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들에 따르는 일 실시예의 하기 설명으로부터 제시된다.
도 1은 가능한 제 1 연결에서 상응하는 처리 방법을 본 발명에 따라 실행하는 동안의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반대되는 연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도 1에 상응하게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면들에는, 금속 포일 시트 또는 플라스틱 필름 시트를 처리하기 위해 구성되고 연결되어 작동하는 것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매우 개략적인 방식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플라스마 원으로서의 플라스마 노즐들 간의 조합부와, 전극 및 상대 전극으로 구성되어 코로나 방전을 위한 어셈블리로 구성된다. 플라스마 노즐들(1)은 배치 구성에서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상기 플라스마 노즐들(1)을 포함하는 하우징(2)의 내부에 도면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이어 배치된다. 하우징(2)은 어느 경우든, 도면에서 하부에 도시된 자체의 섹션에서, 코로나 방전 유닛의 전극으로서 이용되고, 단자(3)를 통해서는 여기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고전압 발생기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코로나 방전 유닛의 상대 전극으로서는, 유전체로 코팅된 금속 지지 롤인 롤 전극(4)이 이용된다. 또한, 상기 롤 전극은, 여기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고전압 발생기, 즉 고전압 발생기의 제 2 출력단과 연결된다.
작동 중에, 롤 전극(4)을 통해서는 금속 포일 또는 플라스틱 필름의 시트(5)가 이동되며, 그리고 롤 전극(4)의 반대 방향을 향하고 플라스마 노즐들(1) 또는 하우징(2)을 향하는 방식으로 동일한 위치 및 동일한 시간에 플라스마 및 코로나 처리로 처리된다. 이를 위해, 플라스마 노즐들(1) 내에서는 내부에서 생성된 플라스마가 플라스마 흐름(6)으로서 플라스마 노즐들(1)로부터 처리할 포일 또는 필름 시트(5)의 표면 쪽으로 방출된다. 그와 동시에, 하우징(2)과 롤 전극(4) 사이에서 고전압 범위의 고주파 교류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통해, 여기서는 7로 표시되어 있는 코로나 방전이 점화된다. 상기 코로나 방전(7)도 포일 또는 필름 시트(5)의 표면 상에 작용한다.
이런 점에 한해서, 도 1과 도 2는 그 각각의 도해와 관련하여 동일하며, 다만 롤 전극(4)과 전극으로서 이용되는 하우징(하우징 섹션)을 연결하는 점에서만 서로 구별된다. 도 1에서 하우징(2)은 접지 전위 측에 위치하고 롤 전극(4)이 고전압 측에 위치하는 반면, 도 2에서 연결은 정반대로 구현된다. 기본적으로, 코로나 방전을 위해, 2가지 연결 변형예가 가능하다. 그러나 기술한 장치를 이용하여 금속 포일 시트를 표면 처리하는 경우, 롤 전극(4) 상에 인가된 전압이 전체 시스템의 추가의 (여기에는 도시되지 않은) 컴포넌트들 내로 유도되는 점을 방지하기 위해, 도 2에 따른 연결이 선택되어야 한다.
(전기 절연하는)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 처리 시에 상기 문제는 존재하지 않는다. 여기서는 이용되는 플라스마 노즐들(1) 및 그 작동 방식의 관점에서 전기의 측면에서 더 바람직한 연결 방식이 선택된다.
여기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고 설명되는 플라스마 노즐들(1)은 바람직하게는 DE 196 48 999에 기술된 것과 같은 유형 및 작동 방식을 갖는 플라스마 노즐들이다.
플라스틱 필름 시트를 제조하는 동안 도면들에 도시된 장치를 이용하여 실행되는 플라스틱 필름 시트의 처리는 본 발명에 따라 그에 따라 처리된 필름 시트(5)의 횡방향 연신 전에 수행되고, 그와 동시에 특히 종방향 연신 단계 후에 실행될 수 있지만, 종방향 연신 단계 전에도 수행될 수 있다.
플라스마 노즐들(1)의 전기 연결은 하우징(2) 내에 통합되며 여기서는 더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 전기 연결은 상기 부재들의 요건에 상응하게 수행되며, 더욱 정확하게 말하면 코로나 방전(7)을 위한 전극으로서 하우징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고전압 발생기 상에서 하우징의 단자와 충돌하지 않도록 수행된다.
1 플라스마 노즐
2 하우징
3 단자
4 롤 전극
5 금속 포일 또는 플라스틱 필름 시트
6 플라스마 흐름
7 코로나 방전

Claims (13)

  1. 금속 포일 및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 특성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일 또는 상기 필름의 표면은 하나 이상의 면에서 위치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동시에 개시되는 플라스마 및 코로나 처리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포일 및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 특성 조절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위치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동시에 개시되는 상기 플라스마 및 코로나 처리는 상기 포일 또는 상기 필름의 제조 중에, 또는 상기 제조 직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포일 및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 특성 조절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위치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동시에 개시되는 상기 플라스마 및 코로나 처리는 상기 포일 또는 상기 필름의 추가 가공 직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포일 및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 특성 조절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연속해서 수행되며, 이를 위해 상기 포일 또는 상기 필름은 시트로서, 위치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동시에 실행되는 상기 플라스마 및 코로나 처리를 위한 장치에 상대적으로 종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포일 및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 특성 조절 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폴리머로 구성되어 이축 연신된 필름의 경우, 상기 필름의 연신은 종방향의 종방향 연신으로서, 그리고 상기 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특히 직각으로 연장되는 횡방향의 횡방향 연신으로서 수행되고, 상기 횡방향 연신 전의 하나의 단계에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은 하나 이상의 면에서 동시에 개시되는 플라스마 및 코로나 처리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포일 및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 특성 조절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동시에 실행되는 상기 플라스마 및 코로나 처리는 아직도 횡방향으로 연신되지 않은 플라스틱 필름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체 폭에 걸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포일 및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 특성 조절 방법.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시에 실행되는 상기 플라스마 및 코로나 처리는 종방향 연신 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포일 및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 특성 조절 방법.
  8. 동시에 실행되는 플라스마 및 코로나 처리를 통해 금속 포일 및 플라스틱 필름(5)의 표면의 표면 특성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서, 하우징(2) 내에 배치되어 플라스마 흐름(6)을 생성하고 노즐 배출구를 통해 지향되는 방식으로 플라스마 흐름을 방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플라스마 노즐(1)과, 노즐 배출구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상대 전극(4)과, 고전압 범위의 교류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고전압 발생기를 포함하는 상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발생기는 자체의 출력단들로 전위차를 생성하기 위해 한편으로 상기 하우징(2)과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상대 전극(4)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포일 및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 특성 조절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은 자체의 종방향으로 연이어 하우징 자체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플라스마 노즐(1)을 포함하여 각목 형태로 길게 연장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포일 및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 특성 조절 장치.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전극(4)은 유전체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포일 및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 특성 조절 장치.
  11. 제 8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전극(4)은 롤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포일 및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 특성 조절 장치.
  12. 제 8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발생기는 접지된 출력단으로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포일 및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 특성 조절 장치.
  13. 제 8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발생기는 접지된 출력단으로 상기 상대 전극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포일 및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 특성 조절 장치.
KR1020147011353A 2011-09-30 2012-09-17 플라스틱 필름 또는 금속 포일의 표면 특성 조절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0928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83383.6A EP2574446B1 (de) 2011-09-30 2011-09-30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einflussung von Oberflächeneigenschaften von Kunststofffilmen oder Metallfolien
EP11183383.6 2011-09-30
PCT/EP2012/068236 WO2013045304A1 (de) 2011-09-30 2012-09-17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einflussung von oberflächeneigenschaften von kunststofffilmen oder metallfoli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824A true KR20140092824A (ko) 2014-07-24

Family

ID=46875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1353A KR20140092824A (ko) 2011-09-30 2012-09-17 플라스틱 필름 또는 금속 포일의 표면 특성 조절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574446B1 (ko)
KR (1) KR20140092824A (ko)
WO (1) WO20130453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1070B1 (en) 2017-06-15 2017-11-28 Enercon Industries Corporation Surface treater with expansion electrode arrangemen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8999C2 (de) 1996-11-27 2000-08-03 Afs Entwicklungs & Vertriebs G Vorrichtung zur Reinigung, Beschichtung und/oder Aktivierung von Kunststoffoberflächen
US6159320A (en) * 1998-02-06 2000-12-12 Tams; F. Randy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aint rollers
US6429595B1 (en) * 2001-02-14 2002-08-06 Enercon Industries Corporation Multi-mode treater with internal air cooling system
DE102005052441C5 (de) 2005-11-03 2013-05-16 Treofan Germany Gmbh & Co. Kg Verfahren zur Erhöhung der Oberflächenspannung einer biaxial orientierten Folie aus thermoplastischen Polymeren,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edruckten, metallisierten, laminierten, kaschierten oder beschichteten Folien, hergestellt nach diesem Verfahren zur Erhöhung der Oberflächenspannung
WO2009061610A1 (en) * 2007-11-08 2009-05-14 Enercon Industries Corporation Atmospheric treater with roller confined discharge cha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74446A1 (de) 2013-04-03
WO2013045304A1 (de) 2013-04-04
EP2574446B1 (de) 2014-06-11
CN103889688A (zh) 201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4905B (zh) 壓電變壓器式電離器及除電方法
TWI429154B (zh) 離子產生方法及裝置
TWI500799B (zh) Power supply
US20040141278A1 (en) Device and method for charge removal from dielectric surfaces
US20100112235A1 (en) Method for treating plasma under continuous atmospheric pressure of work pieces, in particular, material plates or strips
CN101785370A (zh) 使用借助电极在固体电介质上通过被介电地阻挡的气体放电产生的等离子体处理表面的装置
JP2005339935A (ja) 除電装置
WO2006107519B1 (en) Bonding wire cleaning unit with a chamber and an energy source and method of wire bonding using such cleaning unit
KR20120011370A (ko) 다중 채널 플라즈마 제트 발생 장치
JP5713331B2 (ja) 電力パルスシーケンスを供給する方法
CA2853699C (en) Method for providing sequential power pulses
TWI463920B (zh) Corona discharge type ion generator
JP2020017419A (ja) プラズマ発生装置
KR20140092824A (ko) 플라스틱 필름 또는 금속 포일의 표면 특성 조절 방법 및 그 장치
US200400764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sheet-laminated aluminum profile
US20210120657A1 (en) Plasma device, plasma generation method
JP5539848B2 (ja) イオン生成装置
JP2004127853A (ja) プラズマ表面処理装置の電極構造
JP2022018776A5 (ko)
CN117616651A (zh) 用于电离气态介质的装置和方法
US8778080B2 (en) Apparatus for double-plasma graft polymerization at atmospheric pressure
KR101049971B1 (ko) 살균 및 세정능을 갖춘 대기압 플라즈마 표면처리장치
TWI655232B (zh) Surface modification device
JP2018056115A (ja) 除電装置
JPH056927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