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1381A - 뇌신호와 기능적 전기자극을 결합한 자기주도형 재활 훈련 방법 - Google Patents

뇌신호와 기능적 전기자극을 결합한 자기주도형 재활 훈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1381A
KR20140091381A KR1020130003585A KR20130003585A KR20140091381A KR 20140091381 A KR20140091381 A KR 20140091381A KR 1020130003585 A KR1020130003585 A KR 1020130003585A KR 20130003585 A KR20130003585 A KR 20130003585A KR 20140091381 A KR20140091381 A KR 20140091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rehabilitation
self
directed
training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3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1524B1 (ko
Inventor
안진웅
진상현
이승현
아비불라예브 베르닥
안재현
문전일
장광희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30003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524B1/ko
Priority to US14/049,302 priority patent/US20140200632A1/en
Publication of KR20140091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5Electroencephalography [EEG] using bio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3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motor muscles, e.g. for walking as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6Measuring blood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89Electromyography [EMG]
    • A61B5/395Details of stimulation, e.g. nerve stimulation to elicit EMG respo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1Control systems using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5/00Evaluating, monitoring or diagnosing in the context of a particular type of medical care
    • A61B2505/09Rehabilitation or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89Electromyography [EM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63B2024/009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the load of the exercise apparatus being controlled in synchronism with visualising systems, e.g. hill slo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Epidem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이 필요한 환자에게 재활 운동을 제공하되 환자의 의지에 따라 재활 훈련을 제공하는 자기주도형 재활 훈련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환자에게 재활 의도 유발 환경을 제공하고 환자의 상태를 측정하여 환자에게 적합한 재활 운동을 제공하는 재활 훈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뇌신호를 측정하여 재활 운동의 시간 또는 세기 등을 조절해줌으로써, 환자가 능동적인 환경에서 재활 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뇌신호와 기능적 전기자극을 결합한 자기주도형 재활 훈련 방법 {Combining Brain Signals and Functional Electrostimulation Self-Directed Rehabilitation Method}
본 발명은, 뇌손상이나 척추손상으로 인한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 근골격계 질환 환자 또는 스포츠 재활이 필요한 환자 등이 재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재활 운동을 제공하는 재활 훈련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능동적인 자가 훈련을 통해 재활에 이르게 하는 자기주도형 재활 훈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재활 치료란, 질병, 사고 또는 재해 등으로 인하여 신체 부위에 손상을 입거나 심한 수술을 받고 회복기에 접어든 환자가 손상 부위 또는 기능이 약화된 부위의 기능적 회복을 위하여 수행하는 일련의 처치 과정을 의미한다.
종래의 재활 치료는 치료사, 로봇 또는 전기 자극기 등에 의하여 실시되고 있어 환자에게 일방적이고 수동적으로 실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뇌신경학적 관점에서 볼 때 완전한 감각-운동 선순환 재활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므로, 급성기 또는 아급성기 환자에게는 적용이 가능한 방법이라고 볼 수 있지만, 재활의 정체기(Plateau : 수동적인 재활로는 더 이상 재활 효과가 증진되지 않고 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시기)를 겪는 만성기 환자에게는 적합하지 않은 치료 방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환자에게 적절한 재활 훈련을 시각 등의 감각 정보로 제시하고 그에 따른 중추신경계, 근골격계 또는 감각계 등과 관련된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환자의 상태를 추정하며, 이 상태에 적합한 자극 또는 운동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들을 활용함으로써 뇌가소성, 근골격회복성 및 운동가능범위를 개별 혹은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기주도형 재활 훈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환자의 두피에 측정용 탐침이 꽂혀 있는 캡을 착용하게 하고, 재활 부위에 패치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환자에게 재활 동작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캡을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뇌피질의 혈류대사를 측정하고, 측정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측정 신호의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특징에 따른 재활 의도를 분류하는 단계; 상기 재활 의도를 자극 제시 명령으로 전환하고, 상기 환자에게 상기 자극 제시 명령에 따라 재활 운동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환자의 뇌피질의 혈류대사 측정을 통해 획득한 상기 환자의 뇌의 활성도를 뇌영상 형태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기주도형 재활 훈련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상기 재활 부위에 패치를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재활 부위와 근접한 피부 부위에 근전도 측정을 위한 패치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르면, 상기 환자에게 재활 동작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해서 상기 환자에게 상기 재활 동작 화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르면, 상기 측정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혈류대사에 따른 산화헤모글로빈과 불산화헤모글로빈의 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측정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측정 신호에서 전처리기법을 통해 잡음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재활 의도 분류를 위한 특징 추출시 상기 잡음이 제거된 측정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상기 환자에게 재활 운동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자극 제시 명령에 따른 기능적전기자극의 세기 및 시간을 상기 환자에게 허용된 최대 크기로 인가하여 상기 환자의 재활 부위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기능적전기자극을 상기 환자에게 인가한 후 상기 환자의 근수축 정도를 측정하여 근활성도가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면 상기 기능적전기자극의 세기 및 시간을 점차적으로 완화하는 단계; 및 상기 근활성도의 크기를 화면에 표시하여 상기 환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자기주도형 재활 훈련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뇌손상, 척수손상으로 인한 중추신경계손상환자 뿐만 아니라 근골격계 질환 및 스포츠 재활이 필요한 환자가 스스로 동기와 의도를 가지고 능동적인 자가 훈련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환자의 효과적인 재활 운동을 제공한다.
또한, 환자가 자기 주도로 뇌의 운동 지령을 생성(Feedforward)하고 감각 정보를 되먹임(Feedback)하여 뇌의 감각-운동영역을 활성화시켜 환자 스스로 감각-운동 선순환 재활(Sensory-motor Looped Rehabilitation)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뇌가소성, 근골격회복성 및 운동가능범위를 개별 혹은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그리고, 환자의 상태에 따라 훈련의 강도와 시간을 환자 스스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환자 맞춤형의 탄력적인 재활 훈련에 큰 효과를 제공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형 재활 훈련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형 재활 훈련 방법에 따른 재활 운동 제공시 뇌피질의 혈류대사를 측정하여 표시한 뇌영상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형 재활 훈련 방법에 따른 재활 운동 제공시 헤모글로빈 농도를 측정한 신호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재활이 필요한 환자들에게 수동적인 재활 운동을 제공하는 종래의 재활 훈련 방법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환자는 정해진 재활 지침에 따라 화면에 제시되는 재활 동작을 관찰하거나 스피커 또는 치료사의 육성으로 제시되는 재활 동작을 상상함으로써 재활 의도를 스스로 유발하고, 재활의도를 유발하는 동안 뇌신호측정기에 의해 환자의 뇌피질신호를 비침습적 방법으로 측정하며, 측정된 뇌피질신호로부터 현재의 환자의 의도를 추출하여, 이 의도에 적합한 기능적전기자극을 적절한 재활 부위에 인가함으로써 자가 재활이 가능한 능동형 재활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화면에 재활 효과를 점수 등으로 수치화하여 환자에게 제시함으로써 환자의 재활 동기를 활성화시킬 수 있게 하고, 환자의 근수축 정도를 근전도로 측정하여 재활에 따른 근활성도에 맞도록 기능적전기자극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형 재활 훈련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형 재활 훈련 방법은, 뇌신호(Functional Near Infrared Spectroscopy; fNIRS 또는 electroencephalogram; EEG) 측정을 위해 환자의 두피에 측정용 탐침이 꽂혀 있는 캡을 착용하게 하고(S100), 재활이 필요한 신체의 부분에 기능적전기자극 인가를 위해 적절한 재활 부위를 찾아 피부에 패치를 부착한다(S110).
환자의 상태 측정을 위한 캡과 환자에게 재활 운동을 제공하기 위한 패치의 부착이 완료되면, 환자가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재활 동작을 화면을 통해 환자에게 제시한다(S120).
환자에게 재활 동작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환자에게 요구되는 재활 강도 또는 환자의 재활 운동 수준 등을 고려하여 기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하여 환자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고, 환자는 제시된 재활 동작을 일정 시간 동안 관찰 또는 상상을 반복한다. 또한, 재활 운동을 화면을 제공함에 있어서, 스피커 또는 치료사의 육성을 통해 소리에 의하여 환자의 재활 동기를 자극하도록 할 수도 있다.
재활 운동 화면을 환자에게 제공한 후, 환자에게 적합한 재활 운동을 제공하기 위하여 환자의 상태를 측정하는데, 환자의 상태 측정은 환자가 두피에 착용한 캡을 통한 뇌피질의 혈류대사 측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S130).
환자의 뇌피질의 혈류대사 측정은 기능적근적외선분광법(fNIRS)을 활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대뇌에서 일어나는 전위변동을 통한 뇌전도(EEG) 측정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측정할 수도 있다.
뇌피질의 혈류대사 측정을 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뇌의 활성도를 숫자와 색깔로 표시한 뇌영상 형태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는 수치가 클수록 활성화되는 빈도가 높음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환자가 재활 훈련을 하는 동안 부위별 뇌활성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뇌피질의 혈류대사 측정시 혈류대사에 따른 산화헤모글로빈과 불산화헤모글로빈의 농도를 수치로 측정하고, 측정된 농도 신호를 다양한 전처리기법을 통해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도 4는 헤모글로빈 농도를 측정한 경우, 원래 신호와 잡음이 제거된 신호 중의 일부를 표시한 것이다.
원래 측정 신호 또는 잡음이 제거된 신호를 이용하여 다양한 학습기법에 따라 특징을 추출하고, 이에 따른 재활 의도를 분류하고 이를 이진화하여 자극제시를 위한 명령 신호를 생성한다(S140).
이진화된 명령에 따라 기능적전기자극의 세기와 시간 등을 환자에게 허용된 최대 크기로 인가하여 환자의 재활 부위를 동작시킨다(S150).
따라서, 환자의 재활 동기를 유발시킨 후, 환자의 상태를 측정하여 환자에게 적합한 기능적전기자극을 줌으로써 환자가 능동적으로 재활 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주도형 재활 훈련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재활 부위의 피부에 패치를 부착함에 있어서 근전도 측정을 위한 패치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기주도형 재활 훈련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재활 환자에게 환자의 뇌신호 측정을 위한 캡을 착용하게 하고 재활 부위에 패치를 부착하며, 이와 근접한 피부 부위에 근전도 측정을 위한 패치를 함께 부착하여 생체신호 측정을 위한 준비를 한다(S200). 그리고,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환자에게 재활 영상을 제공하여 환자의 재활의도를 유발하고(S210), 환자의 뇌신호를 측정하여(S220) 환자의 의도를 추출하며(S230), 환자에게 적합한 자극제시를 위한 명령을 생성하여 환자에게 기능적전기자극을 제공한다(S240).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방법과 달리, 환자에게 부착된 근전도 패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근전도를 측정하고(S221) 환자의 상태를 추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S231). 근활성도를 측정하는 자기주도형 재활 훈련 방법에서는, 재활 의도 인식율과 근활성도 크기를 화면에 표시하여 환자의 재활 의지를 북돋울 수 있다.
뇌신호 또는 근전도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S250), 뇌활성도나 근활성도를 기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S260), 환자에게 인가된 기능적전기자극의 세기 또는 시간 등을 조절한다(S270).
뇌활성도나 근활성도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능적전기자극의 세기가 시간에 따라 차츰 완화되거나 남은 시간이 짧아지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일정 시간 동안 기능적전기자극을 끊었다가 자극이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뇌활성도나 근활성도가 임계치에 많이 부족하면, 기능적전기자극의 세기를 크게 한다.
기능적전기자극을 조절한 후 훈련시간이 종료되지 않았다면(S280), 조절된 기능적전기자극을 계속해서 환자에게 제공한다(S240).
의사의 재활 지침에 따라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재활 훈련을 종료하고(S280), 환자가 착용하고 있는 각종 장비를 환자로부터 제거하며, 환자가 일정 시간 동안 편안한 상태가 될 때까지 기다린다. 환자에게 재활 훈련의 내용과 결과에 대해 설명 및 설문하고 다음 재활 훈련 시간을 스스로 준비할 수 있게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환자의 두피에 측정용 탐침이 꽂혀 있는 캡을 착용하게 하고, 재활 부위에 패치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환자에게 재활 동작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캡을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뇌피질의 혈류대사를 측정하고, 측정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측정 신호의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특징에 따른 재활 의도를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재활 의도를 자극 제시 명령으로 전환하고, 상기 환자에게 상기 자극 제시 명령에 따라 재활 운동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기주도형 재활 훈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 부위에 패치를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재활 부위와 근접한 피부 부위에 근전도 측정을 위한 패치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인 자기주도형 재활 훈련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에게 재활 동작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해서 상기 환자에게 상기 재활 동작 화면을 제공하는 것
    인 자기주도형 재활 훈련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뇌피질의 혈류대사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의 두피에 착용된 캡을 통해 기능적근적외선분광법을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뇌피질의 혈류대사를 측정하는 것
    인 자기주도형 재활 훈련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뇌피질의 혈류대사 측정을 통해 획득한 상기 환자의 뇌의 활성도를 뇌영상 형태로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자기주도형 재활 훈련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혈류대사에 따른 산화헤모글로빈과 불산화헤모글로빈의 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측정 신호를 생성하는 것
    인 자기주도형 재활 훈련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측정 신호에서 전처리기법을 통해 잡음을 제거하고, 상기 재활 의도 분류를 위한 특징 추출시 상기 잡음이 제거된 측정 신호를 제공하는 것
    인 자기주도형 재활 훈련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에게 재활 운동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자극 제시 명령에 따른 기능적전기자극의 세기 및 시간을 상기 환자에게 허용된 최대 크기로 인가하여 상기 환자의 재활 부위를 동작시키는 것
    인 자기주도형 재활 훈련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적전기자극을 상기 환자에게 인가한 후, 상기 환자의 근수축 정도를 측정하여 근활성도가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면, 상기 기능적전기자극의 세기 및 시간을 점차적으로 완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자기주도형 재활 훈련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근활성도의 크기를 화면에 표시하여 상기 환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자기주도형 재활 훈련 방법.
KR1020130003585A 2013-01-11 2013-01-11 뇌신호와 기능적 전기자극을 결합한 자기주도형 재활 훈련 장치 KR101501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585A KR101501524B1 (ko) 2013-01-11 2013-01-11 뇌신호와 기능적 전기자극을 결합한 자기주도형 재활 훈련 장치
US14/049,302 US20140200632A1 (en) 2013-01-11 2013-10-09 Self-directed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combining brain signals and functional electrostimul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3585A KR101501524B1 (ko) 2013-01-11 2013-01-11 뇌신호와 기능적 전기자극을 결합한 자기주도형 재활 훈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381A true KR20140091381A (ko) 2014-07-21
KR101501524B1 KR101501524B1 (ko) 2015-03-18

Family

ID=51165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3585A KR101501524B1 (ko) 2013-01-11 2013-01-11 뇌신호와 기능적 전기자극을 결합한 자기주도형 재활 훈련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200632A1 (ko)
KR (1) KR10150152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745A (ko) * 2017-01-02 2018-07-1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뇌파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능동적인 재활을 유도하는 보행 재활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90031941A (ko) * 2017-09-19 2019-03-2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기능적 전기 자극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90120941A (ko) * 2018-04-17 2019-10-2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장애 심사 평가를 위한 거짓말 탐지 기기 및 이것의 제어 방법
KR20200119559A (ko) * 2019-04-10 2020-10-20 김창걸 상지 재활훈련 장치 및 방법
KR20210110508A (ko) * 2020-02-28 2021-09-08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뇌 기능 활성도 시각화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2259507B2 (en) * 2011-05-20 2016-08-25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Systems, apparatuses, devices, and processes for synergistic neuro-physiological rehabilitation and/or functional development
RU2582873C1 (ru) * 2015-03-25 2016-04-27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Городская больница N 40 Курортного района"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церебрального паралича у детей
KR102014176B1 (ko) 2017-04-11 2019-08-26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행동모방학습 기반의 뇌 훈련 시뮬레이션시스템
KR102144291B1 (ko) * 2018-05-04 2020-08-1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거울신경세포의 활성화를 극대화하는 뇌 자극과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을 결합한 게임 방식의 재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142535B1 (ko) * 2018-05-04 2020-08-1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거울신경세포의 활성화를 극대화하는 기능성 전기 자극과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을 결합한 게임 방식의 재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6421848B (zh) * 2023-06-07 2023-11-03 慧创科仪(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fNIRS的康复训练系统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13520B2 (ja) * 2004-08-25 2013-01-09 モトリカ リミテッド 脳の可塑性による運動訓練
WO2006071891A2 (en) * 2004-12-23 2006-07-06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Evaluating central nervous system
US9005126B2 (en) * 2007-05-03 2015-04-14 University Of Washington Ultrasonic tissue displacement/strain imaging of brain function
KR101266964B1 (ko) * 2010-08-27 2013-05-3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두개직류자극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1229244B1 (ko) * 2010-10-25 2013-02-0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안정상태 시각유발전위 기반의 기능적 전기자극 재활훈련 시스템
JP5717064B2 (ja) 2011-02-03 2015-05-13 国立大学法人 筑波大学 血流計測装置及び血流計測装置を用いた脳活動計測装置
KR20120129098A (ko) * 2011-05-19 2012-11-28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보행 교정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745A (ko) * 2017-01-02 2018-07-1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뇌파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능동적인 재활을 유도하는 보행 재활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90031941A (ko) * 2017-09-19 2019-03-2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기능적 전기 자극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90120941A (ko) * 2018-04-17 2019-10-2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장애 심사 평가를 위한 거짓말 탐지 기기 및 이것의 제어 방법
KR20200119559A (ko) * 2019-04-10 2020-10-20 김창걸 상지 재활훈련 장치 및 방법
KR20210110508A (ko) * 2020-02-28 2021-09-08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뇌 기능 활성도 시각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00632A1 (en) 2014-07-17
KR101501524B1 (ko) 2015-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1524B1 (ko) 뇌신호와 기능적 전기자극을 결합한 자기주도형 재활 훈련 장치
Gordleeva et al. Real-time EEG–EMG human–machine interface-based control system for a lower-limb exoskeleton
US11633595B2 (en) System for variably configurable, adaptable electrode arrays and effectuating software
KR20140061170A (ko) 재활 훈련 시스템 및 방법
Tacchino et al. EEG analysis during active and assisted repetitive movements: evidence for differences in neural engagement
JP6557652B2 (ja) リハビリテーション用装置、これを備えたリハビリテーションシステム、リハビリテーション用プログラムおよびリハビリテーション用装置の作動方法
US20170296048A1 (en) Smart eye system for Visuomotor dysfunction diagnosis and its operant conditioning
KR102100696B1 (ko) 중추신경 및 말초 신경에 대한 복합자극을 이용한 뇌신경 조절장치
KR101566788B1 (ko) 하지기능 및 보행기능을 위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기반한 기능적 전기자극치료기
Song et al. Modifying somatosensory processing with non-invasive brain stimulation
Chung et al. Effects of brain-computer interface-base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n balance and gait function in patients with stroke: preliminary results
Bao et al. Cortico-muscular coherence modulated by high-definition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in people with chronic stroke
Gharabaghi et al. From assistance towards restoration with epidural brain-computer interfacing
Rjosk et al. Transcranial alternating current stimulation at beta frequency: lack of immediate effects on excitation and interhemispheric inhibition of the human motor cortex
US20180001088A1 (en) Device for non-invasive neuro-stimulation by means of multichannel bursts
JP2016530017A (ja) 非侵襲的な神経刺激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López-Larraz et al. Influence of artifacts on movement intention decoding from EEG activity in severely paralyzed stroke patients
Insausti-Delgado et al. Non-invasive brain-spine interface: continuous control of trans-spinal magnetic stimulation using EEG
Ilves et al.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or facial pacing: Effects of waveforms on movement intensity and ratings of discomfort
Bhattacharyya et al. A study on the effect of Electrical Stimulation during motor imagery learning in Brain-computer interfacing
Kato et al. Motor imagery of voluntary muscle relaxation of the foot induces a temporal reduction of corticospinal excitability in the hand
Schürholz et al. Differences in hemodynamic activations between motor imagery and upper limb FES with NIRS
Park et al. Effects of combining mental practice with electromyogram-triggered electrical stimulation for stroke patients with unilateral neglect
JP2017127499A (ja) 脳活動訓練システム及び脳活動訓練方法
Walter et al. A brain-computer interface for chronic pain patients using epidural ECoG and visual feedb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