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1084A - 모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모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1084A
KR20140091084A KR1020120150141A KR20120150141A KR20140091084A KR 20140091084 A KR20140091084 A KR 20140091084A KR 1020120150141 A KR1020120150141 A KR 1020120150141A KR 20120150141 A KR20120150141 A KR 20120150141A KR 20140091084 A KR20140091084 A KR 20140091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assembly
housing
coupled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0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3393B1 (ko
Inventor
김성철
강병욱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유)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유)
Priority to KR1020120150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393B1/ko
Publication of KR20140091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02K11/22Optical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on from ingress, e.g. water or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모터에 전원을 입출력하는 케이블의 장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모터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모터 어셈블리는, 모터, 상기 모터에 장착되어 인코더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회로에 연결된 신호 케이블에 연결되는 케이블 어셈블리가 관통하여 장착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제1 커넥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 어셈블리{MOTOR ASSEMBLY}
본 발명은 모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모터에 전기적 신호를 입출력하는 커넥터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모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보기구(Servomechanism)란 제어량이 기계적 위치에 있도록 하는 자동제어계, 즉, 물체의 위치, 방위, 자세 등 목표 값의 임의 변화에 추종하도록 구성된 피드백 제어계이며, 기계를 명령대로 움직이는 장치로서, 서보기구에서 사용되는 전동기를 서보모터(servo motor)라 한다. 서보모터는 동력원에 따라 전기식(서보 전동기), 공기식(공기 서보모터), 유압식(유압 모터) 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서보모터라고 하면 서보 전동기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서보 전동기는 빠른 응답과 넓은 속도제어의 범위를 가진 제어용 전동기로, 그 전원에 따라 직류 서보모터와 교류 서보모터로 분류된다.
서보모터는 다수개의 기어와 연결되어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회전하는 각도와 속도가 제어됨으로써 이송장치, 로봇 등을 정확한 거리만큼 이동 가능하게 한다. 이는 정지?시동?역전 등의 동작을 반복하므로, 방열효과를 좋게 하거나, 동작의 변화가 빨라지도록 설계상 고려되어 있다. 서보모터는 제어신호에 따라 운전되며, 그러기 위해서는 제어신호를 받아 출력 및 전달하고, 서보모터를 구동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인코더라고 한다.
서보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과 커넥터 및 인코더에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케이블 및 커넥터가 서보모터의 하우징 일측에 구비되는데, 기존의 서보모터 조립체는 케이블과 커넥터가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서보모터를 하우징에 조립한 후에는 하우징 내부에 공간이 거의 없기 때문에 케이블과 커넥터를 서보모터에 연결하는 것이 어려웠다. 또한, 하우징 자체에 커넥터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서보모터를 하우징에 조립한 후 서보모터와 커텍터를 연결하는 것이 어려워서 조립 공정이 길어지고 생산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서보모터에 따라 커넥터가 달라져야 하는데, 이 때마다 하우징까지 새로 제작하여야 하므로 공정 및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터 및 인코더의 신호 출력을 위한 케이블의 장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모터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모터 어셈블리는, 모터, 상기 모터에 장착되어 인코더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회로에 연결된 신호 케이블에 연결되는 케이블 어셈블리가 관통하여 장착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제1 커넥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커넥터부는 상기 프레임부 상에 결합되고 방수 및 방진을 위한 차단 플랜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단 플랜지부는 상기 프레임부와의 결합면에 방수 및 방진을 위한 차단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커넥터부와 상기 프레임부를 결합시키는 제1 체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체결부재는 상기 차단부재가 결합되는 영역보다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는 상기 신호 케이블의 단부에 복수의 커넥터 핀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는 상기 차단 플랜지부와 결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 플랜지부는 상기 커넥터 핀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커넥터부의 상기 수용부는, 상기 차단 플랜지부의 수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케이블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커넥터부에 결합되는 제2 커넥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커넥터부는 상기 제1 커넥터부의 제1 체결 부재와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의 커넥터 핀을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커버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커넥터부와 상기 제2 커넥터부를 결합시키는 제2 체결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케이스가 상기 제1 커넥터부에 결합되는 면에는 방수 및 방진을 위한 제2 차단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체결부재는 상기 제1 커넥터부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2 차단부재가 결합되는 영역보다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커넥터부와 상기 제2 커넥터부는 절연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커넥터부와 상기 제2 커넥터부에서 각각 제1 체결부재와 제2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부분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인코더 어셈블리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단 플랜지부 및 상기 차단 플랜지부에 결합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상기 차단 플랜지부에 결합하는 케이블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차단 플랜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과 체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단 플랜지부는 차단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보모터에 장착되는 인코더 어셈블리의 조립 방법은, 케이블 어셈블리의 커넥터 핀을 하우징 외부로 인출하여 차단 플랜지부와 결합하는 단계, 상기 차단 플랜지부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프레임부에 고정하는 단계 및 외부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케이블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2 커넥터부를 상기 프레임부에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신호 출력을 위한 케이블과 연결되는 커넥터부가 모터 및 인코더의 하우징과 별도의 개체로 형성되어 장착되므로 모터 및 인코더를 하우징에 장착한 후에 커넥터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다. 특히, 커넥터는 하우징 외측으로 케이블 어셈블리를 인출한 상태에서 조립이 가능하기 때문에 케이블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다.
또한, 모터의 크기가 소형화됨에 따라 커넥터의 사이즈 역시 소형화되는데, 분리형으로 제작함으로써 모터의 조립성 및 부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가격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어셈블리에서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제1 커넥터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커넥터부에서 차단 플랜지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차단 플랜지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제2 커넥터부의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모터 어셈블리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어셈블리에서 커넥터 어셈블리(30)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30)에서 제1 커넥터부(3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1 커넥터부(31)에서 차단 플랜지부(32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차단 플랜지부(320)의 저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30)에서 제2 커넥터부(33)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모터 어셈블리는 모터 및 상기 모터가 수용되는 모터 하우징(미도시)에 결합되어 인코더(미도시)가 장착되는 하우징(10) 및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 입력과 모터의 회전 정보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을 송수신 하기 위한 신호 케이블(343)과 출력 케이블(331)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어셈블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모터와 인코더 및 모터 하우징의 상세한 구성은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상세한 구성에 대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한다. 여기서, 하우징(10)은 모터 하우징과 인코더 하우징을 별도의 개체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터와 인코더를 모두 수용하는 일체의 하우징일 수 있다.
인코더 일 측에는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 입력과 모터의 회전 정보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을 송수신 하기 위한 신호 케이블(343)이 구비되고, 신호 케이블(343)의 단부에는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다수의 커넥터 핀(341)이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 핀(341)을 지지하는 지지부재(342)로 구성되는 케이블 어셈블리(34)가 구비된다. 여기서, 케이블 어셈블리(34)에서 커넥터 핀(341)이 구비되는 단부는 커넥터 어셈블리(3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케이블 어셈블리(34)에서 커넥터 핀(341)의 수는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커넥터 어셈블리(30)는 케이블 어셈블리(34)를 하우징(10)에 결합시키도록 구비되며, 모터 및 인코더를 하우징(10)에 장착한 후 케이블 어셈블리(34)를 외부와 연결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커넥터 어셈블리(30)는 케이블 어셈블리(34)의 커넥터 핀(341)이 구비되는 단부가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커넥터 어셈블리(30)는 커넥터 핀(341)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관통하여 수용부(312, 322)가 형성된다. 커넥터 어셈블리(30)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커넥터 어셈블리(30)는 하우징(10) 일측에 구비되며 케이블 어셈블리(34)에 결합되는 제1 커넥터부(31)와 상기 제1 커넥터부(31)에 결합되며 외부의 출력 케이블(331)에 연결되는 제2 커넥터부(33)로 구성된다. 커넥터 어셈블리(30)는 하우징(10) 일측에 구비되며, 출력 케이블(331)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 커넥터부(33)와 상기 제2 커넥터부(33)가 결합되며 하우징(10)에 구비되는 제1 커넥터부(31)로 형성된다. 제1 커넥터부(31)와 제2 커넥터부(33)는 서로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제1 커넥터부(31)는 하우징(10)에 결합되고 커넥터 핀(341)이 관통하여 수용될 수 있도록 중앙 부분에 수용부(312)가 형성된 바디부(311)로 구성되는 프레임부(310)와 상기 프레임부(310) 상에 결합되어 방수 및 방진을 위한 차단 플랜지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도면에서는 프레임부(310)와 하우징(10)을 분리하여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레임부(310)는 하우징(10)과 일체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하우징(10)과 프레임부(310)는 하우징(10)의 사출 성형 시 동시에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또는, 프레임부(310)는 하우징(10)과 별도로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프레임부(310)는 하우징(10)에서 돌출되는 높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하우징(10)의 상면에 삽입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차단 플랜지부(320)는 프레임부(310) 상에 결합되어 프레임부(310)를 통해서 프레임부(310) 내부 또는 하우징(10) 내부로 물이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차단 플랜지부(320)는 프레임부(310)의 상면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를 갖고 중앙 부분에 커넥터 핀(341)이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부(322)가 형성되는 바디부(321)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단 플랜지부(320)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차단 플랜지부(320)는 커넥터 핀(341)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부(310)의 커넥터 핀 수용부(312)에 대응되는 위치에 커넥터 핀 수용부(322)가 형성된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310)의 수용부(312)는 케이블 어셈블리(34)의 커넥터 핀(341)이 프레임부(310)를 관통하여 프레임부(310)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커넥터 핀(341) 및 지지부재(342)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반해, 차단 플랜지부(320)의 수용부(322)는 커넥터 핀(341)이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지지부재(342)가 결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다만, 차단 플랜지부(320)의 수용부(322)는 커넥터 핀(341)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차단 플랜지부(320)와 프레임부(310)의 결합면에는 방수 및 방진을 위한 차단부재(326)가 구비된다. 또한, 차단부재(326)는 이물질의 유입 차단뿐만 아니라 설비의 구동 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고 접촉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차단부재(326)는 소정 두께와 너비를 갖는 고무 재질의 오링(o-ring)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차단부재(326)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단 플랜지부(320)의 둘레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차단 플랜지부(32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여기서, 차단부재(326)는 차단 플랜지부(320)와 프레임부(310)의 결합면의 방진 및 방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차단 플랜지부(320)와 프레임부(310)가 결합되는 면 상에 구비되어서, 차단 플랜지부(320)와 프레임부(310)가 결합되면 차단부재(326)가 압착됨에 따라 방진 및 방수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단부재(326)는 프레임부(310)와 차단 플랜지부(320)의 결합 부분의 방진 및 방수가 가능한 재질이면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제2 커넥터부(33)는 제1 커넥터부(31)와 결합되어 제1 커넥터부(31)를 통해 노출된 커넥터 핀(341)에 출력 케이블(331)을 전기적으로 결합시키며, 제1 커넥터부(31)를 덮도록 형성된다. 제2 커넥터부(33)는 출력 케이블(331)의 단부에 구비되어 제1 커넥터부(31)에 결합되는 커버 케이스(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커넥터부(33)의 내측에는 제1 커넥터부(31)에 결합되었을 때, 커넥터 핀(341)과 접속되도록 커넥터 핀 연결부(333)가 구비된다.
그리고 커버 케이스(33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커넥터부(33)가 제1 커넥터부(31)에 결합되었을 때, 커버 케이스(330)가 차단 플랜지부(320)와 프레임부(310)를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커버 케이스(330)가 제1 커넥터부(31)를 완전히 덮어서 결합되므로, 커넥터 어셈블리(30) 및 하우징(10) 내부로 물이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커넥터부(33)는 커버 케이스(330)에서 제1 커넥터부(31)에 결합되는 테두리 부분에 제2 차단부재(334)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차단부재(334)는 상술한 차단부재(326)와 유사하게 제2 커넥터부(33)의 결합면의 방수 및 방진을 향상시키고, 설비의 구동 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여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고 접촉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제2 차단부재(334)는 소정 두께와 너비를 갖는 고무 재질의 오링(o-ring)이 사용될 수 있다.
커넥터 어셈블리(30)는 진동이 발생하는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넥터부(31)는 차단 플랜지부(320)를 프레임부(310)에 체결시키는 다수의 제1 체결부재(323)가 구비된다. 제2 커넥터부(33)는 제1 커넥터부(31)에 결합되는 다수의 제2 체결부재(332)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2 커넥터부(33)를 안정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서 제2 체결부재(332)는 차단 플랜지부(320)를 관통하여 프레임부(310)에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차단 플랜지부(320)에는 제2 체결부재(332)가 관통되는 제2 체결부재 관통홀(325)이 형성된다. 그리고 프레임부(310)에는 제1 체결부재(323)가 결합되는 제1 체결부재 체결홀(313)과 제2 체결부재 체결홀(314)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커넥터 어셈블리(30)는 차단부재(326)에 의해서 하우징(10) 및 커넥터 어셈블리(30) 내부로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데, 더불어, 제1 차단부재(326)와 제2 체결부재(332)가 결합된 부분을 통해서도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제1 체결부재(323)와 제2 체결부재(332)는 차단부재(326)가 결합되는 부분보다 내측 영역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2 커넥터부(33)가 제1 커넥터부(31)를 완전히 덮도록 결합된 후, 제2 커넥터부(33)의 결합면 부분에 제2 차단부재(334)가 구비된다. 따라서, 제1 체결부재(323)와 제2 체결부재(332)가 차단부재(326)에 의해 차단되는 영역 내부에 구비됨과 더불어, 제2 차단부재(334)가 가장 외곽에 구비된(됨)에 따라 제1 체결부재(323)와 제2 체결부재(332)의 결합 부분을 통해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실제 사용되는 환경에서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서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단부재(326) 이외에도 제1 체결부재(323)와 제2 체결부재(332)의 결합 부분을 실링하기 위한 별도의 실링 부재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제1 커넥터부(31)와 제2 커넥터부(33)는 절연을 위해서 절연체 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커넥터부(31)와 프레임부(310) 및 차단 플랜지부(320)는 사출 성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다만, 커넥터 어셈블리(30)는 제1 및 제2 체결부재(323, 332)들의 결합력을 높이고 안정적으로 결합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서 금속 재질의 제1 및 제2 체결부재(323, 332)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체결부재(323, 332)가 삽입 및 체결되는 홀 부분(313, 314, 324, 325)들에도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 부분(313, 314, 324, 325)에는 금속 재질의 암나사가 사용되고, 차단 플랜지부(320)와 프레임부(310)의 제조 시 인서트 사출 공정 등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체결부재(323, 332)의 수와 위치는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필요에 따라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커넥터 어셈블리(30)가 하우징(10)과 별도의 개체로 형성되어 조립되므로 출력 케이블(331)을 모터 어셈블리 장착하고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모터와 인코더의 종류 및 크기가 변경됨에 따라 커넥터 어셈블리(30) 역시 변경되는데, 하우징(10)까지 모든 부품을 새롭게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커넥터 어셈블리만을 제작하면 되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모터 및 인코더의 크기가 소형화됨에 따라 커넥터 어셈블리(30)의 사이즈 역시 소형화되는데, 분리형으로 제작함으로써 모터 및 인코더의 조립성 및 부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가격 경쟁력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넥터부(31, 33)는 방향성이 없기 때문에 편의에 따라 방향을 변경하여 부착이 가능하므로, 조립이 용이하고, 1종의 제2 커넥터부(33)만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모터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인코더 어셈블리의 조립 방법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한다.
우선, 모터 및 인코더를 하우징(10)에 장착하고,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 입력과 모터의 회전 정보를 출력하는 인코더의 신호 출력을 송수신 하기 위한 신호 케이블(343)을 연결하기 위해서 케이블 어셈블리(34)를 하우징(10) 외부로 인출한다. 그리고 케이블 어셈블리(34)가 인출된 상태에서 하우징(10) 외부에서 차단 플랜지부(320)와 커넥터 핀(341) 및 지지부재(342)를 결합시켜서 차단 플랜지부(320)의 수용부를 통해 커넥터 핀(341)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케이블 어셈블리(34)가 결합된 차단 플랜지부(320)를 하우징(10)에 형성된 프레임부(310)에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제2 커넥터부(33)를 프레임부(310)에 체결함으로써 조립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하우징
30: 커넥터 어셈블리
31: 제1 커넥터부
310: 프레임부
311: 바디부
312: 커넥터 핀 수용부
313: 제1 체결부재 체결홀
314: 제2 체결부재 체결홀
320: 차단 플랜지부
321: 바디부
322: 커넥터 핀 수용부
323: 제1 체결부재
324: 제1 체결부재 삽입홀
325: 제2 체결부재 관통홀
326: 차단부재
33: 제2 커넥터부
330: 커버 케이스
331: 출력 케이블
332: 제2 체결부재
333: 커넥터 핀 연결부
334: 제2 차단부재
34: 케이블 어셈블리
341: 커넥터 핀
342: 지지부재
343: 신호 케이블

Claims (20)

  1. 모터;
    상기 모터에 장착되어 인코더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회로에 연결된 신호 케이블에 연결되는 케이블 어셈블리가 관통하여 장착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제1 커넥터부;
    를 포함하는 모터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부는 상기 프레임부 상에 결합되고 방수 및 방진을 위한 차단 플랜지부로 구성되는 모터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플랜지부는 상기 프레임부와의 결합면에 방수 및 방진을 위한 차단부재가 구비되는 모터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부와 상기 프레임부를 결합시키는 제1 체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체결부재는 상기 차단부재가 결합되는 영역보다 내부에 구비되는 모터 어셈블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는 상기 신호 케이블의 단부에 복수의 커넥터 핀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가 통과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된 모터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는 상기 차단 플랜지부와 결합하도록 형성되는 모터 어셈블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플랜지부는 상기 커넥터 핀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된 모터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부의 상기 수용부는, 상기 차단 플랜지부의 수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모터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케이블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커넥터부에 결합되는 제2 커넥터부를 더 포함하는 모터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부는 상기 제1 커넥터부의 제1 체결 부재와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의 커넥터 핀을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커버 케이스를 포함하는 모터 어셈블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부와 상기 제2 커넥터부를 결합시키는 제2 체결부재가 구비되는 모터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케이스가 상기 제1 커넥터부에 결합되는 면에는 방수 및 방진을 위한 제2 차단부재가 구비되는 모터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재는 상기 제1 커넥터부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2 차단부재가 결합되는 영역보다 내부에 결합되는 모터 어셈블리.
  14. 제1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부와 상기 제2 커넥터부는 절연체 재질로 형성되는 모터 어셈블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부와 상기 제2 커넥터부에서 각각 제1 체결부재와 제2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부분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모터 어셈블리.
  16.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인코더 어셈블리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단 플랜지부; 및
    상기 차단 플랜지부에 결합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를 포함하는 인코더 어셈블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상기 차단 플랜지부에 결합하는 케이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인코더 어셈블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차단 플랜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과 체결하도록 구성되는 인코더 어셈블리.
  19. 제16항 또는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플랜지부는 차단부재를 구비하는 인코더 어셈블리.
  20. 서보모터에 장착되는 인코더 어셈블리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케이블 어셈블리의 커넥터 핀을 하우징 외부로 인출하여 차단 플랜지부와 결합하는 단계;
    상기 차단 플랜지부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프레임부에 고정하는 단계; 및
    외부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케이블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2 커넥터부를 상기 프레임부에 체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코더 어셈블리 조립 방법.
KR1020120150141A 2012-12-21 2012-12-21 모터 어셈블리 KR101983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141A KR101983393B1 (ko) 2012-12-21 2012-12-21 모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141A KR101983393B1 (ko) 2012-12-21 2012-12-21 모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084A true KR20140091084A (ko) 2014-07-21
KR101983393B1 KR101983393B1 (ko) 2019-05-29

Family

ID=51738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0141A KR101983393B1 (ko) 2012-12-21 2012-12-21 모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33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4500A1 (zh) * 2019-12-31 2021-07-08 威刚科技股份有限公司 控制装置及水车马达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4756A (ja) * 2001-05-29 2002-1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エンコーダ付きモータ
JP2011160619A (ja) * 2010-02-03 2011-08-18 Toyota Motor Corp 回転電機用端子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4756A (ja) * 2001-05-29 2002-1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エンコーダ付きモータ
JP2011160619A (ja) * 2010-02-03 2011-08-18 Toyota Motor Corp 回転電機用端子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4500A1 (zh) * 2019-12-31 2021-07-08 威刚科技股份有限公司 控制装置及水车马达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3393B1 (ko)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55327B1 (en) Cable connection structure of camera module for vehicle
US9397530B2 (en) Control device and rotating electric machine integral with control device
US20150044903A1 (en) Housing cover panel for accommodating plug-in modules
US10312773B2 (en) Motor apparatus
WO2010082654A1 (ja) 電流検出装置の組付け構造
WO2006117892A1 (ja) 電気機器
KR102012889B1 (ko) 모터 및 이에 사용하는 암형 커넥터
EP2815866B1 (en) Gearbox,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7220009A1 (zh) 电池腔装置、动力头及电源线固定装置
US10630008B2 (en) Electric connecting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3797654A (zh) 连接器,特别是电连接器
KR101983393B1 (ko) 모터 어셈블리
CN110324998A (zh) 一种壳体及电子设备
US20230421019A1 (en) Rotary apparatus, attaching structure of rotary apparatus, and connecting structure of rotary apparatus and external connector
US9954411B2 (en) Actuating drive having an electrical plug-in connection
CN114824903B (zh) 线缆连接器组件
JP2010185848A (ja) 電流検出装置の組付け構造及び組付け方法
US9356378B1 (en) Electric connector housing with a terminal interface
US20130267108A1 (en) Card unit and card edge connector
US9743544B2 (en) Positioning element
JP2021034216A (ja) 車載モジュール用コネクタアセンブリ
CN220368260U (zh) 一种线路分配器
JP5692350B1 (ja) 電気コネクタの取付構造
US20240162645A1 (en) Connector
CN116780293A (zh) 一种线路分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