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0417A - 이산화탄소 재사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산화탄소 재사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0417A
KR20140090417A KR1020130002434A KR20130002434A KR20140090417A KR 20140090417 A KR20140090417 A KR 20140090417A KR 1020130002434 A KR1020130002434 A KR 1020130002434A KR 20130002434 A KR20130002434 A KR 20130002434A KR 20140090417 A KR20140090417 A KR 20140090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reactor
plasma
discharge tube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주
신동훈
이상주
Original Assignee
(주)그린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린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그린사이언스
Priority to KR1020130002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90417A/ko
Priority to PCT/KR2013/008928 priority patent/WO2014109458A1/ko
Publication of KR20140090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04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electrical effects other than those provided for in group B01D6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2Carbon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 C01B3/3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 C01B3/34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by reaction of hydrocarbons with gasifying agents
    • C01B3/34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by reaction of hydrocarbons with gasifying agents with the aid of electrical means, electromagnetic or mechanical vibrations, or particle radi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1/00Reactants
    • B01D2251/20Reductants
    • B01D2251/208Hydrocar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2/00Absorbents, i.e. solvents and liquid materials for gas absorption
    • B01D2252/20Organic absorbents
    • B01D2252/204Amines
    • B01D2252/20478Alkanolamines
    • B01D2252/20484Alkanolamines with one hydroxyl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6/00Main component in the product gas stream after treatment
    • B01D2256/20Carbon mon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50Carbon oxides
    • B01D2257/504Carbon di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80Employing electric, magnetic, electromagnet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80Employing electric, magnetic, electromagnet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01D2259/818Employing electrical discharges or the generation of a plasm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56Removing acid components
    • B01D53/1475Removing carbon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2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205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reforming step
    • C01B2203/0211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reforming step containing a non-catalytic reforming step
    • C01B2203/0222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reforming step containing a non-catalytic reforming step containing a non-catalytic carbon dioxide reforming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8Methods of heating or cooling
    • C01B2203/0805Methods of heating the proces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861Methods of heating the proces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by plasm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51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e.g. CO2

Abstract

이산화탄소 재사용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재사용 시스템은, 이산화탄소 흡수제를 이용하여 발전 설비에서 발생되는 배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이산화탄소 흡수탑, 상기 이산화탄소가 포집된 이산화탄소 흡수제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탈거하는 이산화탄소 재생탑, 소정 주파수의 전자파 또는 RF파를 발진하고, 상기 전자파 또는 RF파를 이용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재생탑으로부터 공급된 이산화탄소를 이온화 및 전리시켜 플라즈마를 생성하는 플라즈마 발생부, 상기 플라즈마에 탄화수소 연료를 주입하는 연료 주입부, 상기 플라즈마 및 상기 탄화수소 연료를 반응시켜 합성가스를 생성하는 이산화탄소 개질부, 및 생성된 상기 합성가스를 배출하는 합성가스 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산화탄소 재사용 시스템 {SYSTEM FOR REUSE OF CARBON DIOXIDE}
본 발명은 석탄가스화복합발전용 플라즈마 가스화기, IGCC(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화력발전소 및 열병합발전소 등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이를 에너지 자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재사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산화탄소는 지구온난화 효과를 나타내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서, 전세계적으로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통제하려는 시도들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1997년 채택되고 2005년 2월 16일 발효된 지구온난화 방지에 관한 교토 의정서에 의하여 2013년부터 지구온난화 방지 협상 대상국에 포함될 예정이어서 이산화탄소 배출 억제 기술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현재까지 공장 굴뚝, 대기, 화력 발전소, 열병합발전소, IGCC 등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는 포집, 이송, 저장(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CCS)기술로 바다, 폐기가스 혹은 유정 중에 고립하여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이산화탄소의 처리, 이송 및 저장 과정에서 많은 비용이 필요하며, 또한 이산화탄소를 대규모로 처리하는 데 있어서도 기술적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이에 따라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동시에, 이로부터 유용한 에너지 자원을 얻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재사용 시스템은, 이산화탄소 흡수제를 이용하여 발전 설비에서 발생되는 배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이산화탄소 흡수탑, 상기 이산화탄소가 포집된 이산화탄소 흡수제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탈거하는 이산화탄소 재생탑, 소정 주파수의 전자파 또는 RF(Radio Frequency)파를 발진하고, 상기 전자파 또는 RF파를 이용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재생탑으로부터 공급된 이산화탄소를 이온화 및 전리시켜 플라즈마를 생성하는 플라즈마 발생부, 상기 플라즈마에 탄화수소 연료를 주입하는 연료 주입부, 상기 플라즈마 및 상기 탄화수소 연료를 반응시켜 합성가스를 생성하는 이산화탄소 개질부, 및 생성된 상기 합성가스를 배출하는 합성가스 배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를 경우, 이산화탄소를 이온화 및 전리시켜 이산화탄소 플라즈마를 생성하고, 탄화수소 연료를 생성된 이산화탄소 플라즈마에 반응시킴으로써,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동시에 순수 일산화탄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가스를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생성된 상기 일산화탄소는 다양한 유기화합물질의 기초 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산화탄소를 가스 엔진 또는 가스 터빈에에 주입함으로써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으며, 일산화탄소와 수소를 반응시켜 수송용 연료를 생산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재사용 시스템(100)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발생부(108)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발생부(108)의 도파관(210)과 방전관(212)이 연결되는 부분을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공급부(214)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수평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방전관(212)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플라즈마의 광방출 스펙트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재사용 시스템(100)의 이산화탄소 개질부(112)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재사용 시스템(100)의 이산화탄소 개질부(112)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가스화 장치(100)의 이산화탄소 개질부(112)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가스화 장치(100)의 이산화탄소 개질부(112)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가스 배출부(114)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고급탄의 일종인 중국의 신화탄(Shenhua Coal)을 탄화수소 연료로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분해하여 일산화탄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가스를 생성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재사용 시스템(100)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재사용 시스템(100)은 이산화탄소 흡수탑(104), 이산화탄소 재생탑(106), 플라즈마 발생부(108), 연료 주입부(110), 이산화탄소 개질부(112) 및 합성가스 배출부(114)를 포함한다.
이산화탄소 흡수탑(104)은 이산화탄소 흡수제를 이용하여 발전 설비(102)에서 발생되는 배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포집한다. 이때 발전 설비(102)는, 예를 들어 석탄가스화복합발전소, 화력발전소 또는 열병합발전소 등의 화석 연료 또는 폐기물 등을 태움으로써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설비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발전 설비(102)에서 발생하는 배가스에는 수소(H2), 일산화탄소(CO), 메탄(CH4), 및 이산화탄소(CO2) 등 다양한 종류의 기체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산화탄소 흡수탑(104)에서는 이산화탄소 흡수제를 이용하여 상기 배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만을 포집한다. 이때 상기 이산화탄소 흡수제로는 예를 들어 모노에탄올아민(MEA; monoethanolamine)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반드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산화탄소를 포집 가능한 다양한 물질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이산화탄소 흡수탑(104)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남은 연소 가능한 배가스는 가스 엔진 또는 가스 터빈(116)으로 공급되어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원료 물질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엔진 또는 가스 터빈(116)에서의 전기에너지 생산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는 재차 이산화탄소 흡수탑(104)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 재생탑(106)은 상기 이산화탄소가 포집된 이산화탄소 흡수제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탈거한다. 이산화탄소 흡수탑(104)에서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상기 모노에탄올아민 등의 흡수제는 이산화탄소 재생탑(106)으로 유입되며, 이산화탄소 재생탑(106)에서는 유입된 상기 흡수제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탈거한다. 이때 이산화탄소 재생탑(106)에서의 이산화탄소 탈거 반응은 흡열 반응으로서, 예를 들어 모노에탄올아민의 경우 이산화탄소 재생탑(106)에 약 110도 이상의 온도가 유지되어야 이산화탄소의 탈거가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이산화탄소 재생탑(106)은 발전 설비(102)의 발전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열로부터 상기 이산화탄소의 탈거를 위한 열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에너지 투입 없이도 이산화탄소 재생탑(106)에서의 이산화탄소 탈거가 가능하게 된다.
플라즈마 발생부(108)는 소정 주파수의 전자파 또는 RF(Radio Frequency)파를 발진하고, 상기 전자파 또는 RF파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이온화 및 전리시켜 플라즈마를 생성한다.
연료 주입부(110)는 플라즈마 발생부(108)에서 발생되는 상기 플라즈마에 탄화수소 연료를 주입한다. 이때 상기 탄화수소 연료는 가솔린, 등유, 경유 등의 액체 연료, 액화천연가스(LNG; Liquified Natural Gas), 액화석유가스(LPG; Liquified Petroleum Gas) 등의 기체연료 및 석탄, 미분탄, 카본 블랙 등의 고체 연료를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연료 주입부(110)는 액체 형태의 탄화수소 연료를 마치 분무기와 같은 방식으로 플라즈마에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화수소 연료가 고체인 경우, 연료 주입부(110)는 이를 적절한 기체와 섞어 상기 플라즈마로 분사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 개질부(112)는 상기 플라즈마 및 상기 탄화수소 연료를 반응시켜 합성가스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합성가스는 일산화탄소(CO)를 주성분으로 하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산화탄소 개질부(112)에서 생성된 일산화탄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가스는 가스 엔진 또는 가스 터빈(116)으로 공급되어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합성가스 배출부(114)는 생성된 상기 합성가스를 배출 및 포집한다. 합성가스 배출부(114)에서 포집된 일산화탄소는, 예를 들어 수소와 반응하여 수송용 연료를 생산하거나, 또는 다양한 종류의 유기화합물질을 합성하기 위한 기초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발생부(108)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발생부(108)는 전원부(202), 전자파 발진기(204), 순환기(206), 튜너(208), 도파관(210), 방전관(212), 이산화탄소 공급부(214) 및 점화부(2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원부(202)는 플라즈마 발생부(108)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전자파 발진기(204)는 전원부(202)와 연결되며, 전원부(202)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자파를 발진한다. 본 발명에서는 902~928MHz 또는 886~906MHz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전자파를 발진하는 전자파 발진기를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전자파 발진기(204)를 이용하여 915MHz 또는 896MHz의 주파수를 갖는 전자파를 발진하게 된다.
순환기(206)는 전자파 발진기(204)와 연결되며, 전자파 발진기(204)에서 발진된 전자파를 출력함과 동시에 임피던스 부정합으로 반사되는 전자파 에너지를 소멸시켜 전자파 발진기(204)를 보호한다.
튜너(208)는 순환기(204)로부터 출력된 전자파의 입사파와 반사파의 세기를 조절하여 임피던스 정합을 유도함으로써 상기 전자파로 유도된 전기장이 방전관(212) 내에서 최대가 되도록 한다.
도파관(210)은 튜너(208)로부터 입력되는 전자파를 방전관(212)으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 도파관(210)의 크기는 전자파 발진기(204)에서 발진되는 전자파의 주파수와 관계가 있다. 전자파 발진기(204)에서 발진되는 전자파의 주파수가 작아지면 파장이 길어지므로 일정 크기의 도파관에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는 전자파를 유입시킬 경우, 도파관 고유의 차단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의 전자파는 도파관으로 유입되지 않는다. 즉, 도파관은 일종의 하이패스 필터(high pass filter)로 작용하게 되며, 따라서 사용되는 주파수에 따라 도파관의 크기가 정해지게 된다.
도파관 고유의 차단주파수는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정해진다.
Figure pat00001
상기 수학식에서 f c 는 차단주파수, c는 빛의 속도, a는 도파관의 가로 크기, b는 도파관의 세로 크기, mn은 도파관에서의 전자파 모드 번호이다.
본 발명에서는 가로(a) * 세로(b) 의 크기가 25cm * 12.5cm 인 도파관을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TE10 모드로 전자파를 발진하므로 이 경우 m 값은 1, n 값은 0이 된다. 본 발명에서의 도파관(210)의 차단주파수를 계산하여 보면 다음의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pat00002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파 발진기(204)는 902~928MHz 또는 886~906MHz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전자파를 발진하므로 도파관(210)의 차단주파수보다 높으며 따라서 전자파 발진기(204)에서 발진된 전자파는 차단되지 않고 도파관(210)으로 유입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도파관(210)에서의 차단 파장은 다음의 수학식 3과 같이 구해진다.
Figure pat00003
만약 전자파 발진기(204)에서의 발진 주파수가 915MHz일 경우의 도파관 내 파장(λg)은 다음의 수학식 4와 같다.
Figure pat00004
방전관(212)이 도파관(210)의 종단으로부터 관내 파장(λ)의 1/4 떨어진 위치에 삽입되는 경우, 방전관이 삽입되는 위치는 종단으로부터 약 11cm (≒43.5/4)인 곳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전원부(202), 전자파 발진기(204), 순환기(206), 튜너(208), 및 도파관(210)은 본 발명에서 전자파 공급부(218)를 구성하며, 전자파 공급부(218)는 전자파를 발생시켜 방전관(212)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방전관(212)은 전자파 공급부(322)로부터 공급된 상기 전자파 및 이산화탄소 공급부(214)로부터 공급되는 이산화탄소로부터 플라즈마(이산화탄소 플라즈마)를 발생시킨다. 구체적으로, 방전관(212) 내부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는 전자파에 의하여 이온화 및 전리되며(e + CO2 -> CO + O-), 이로부터 고온, 고밀도의 플라즈마가 발생된다.
이산화탄소 공급부(214)는 이산화탄소 재생탑(106)에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를 방전관(212)의 내부로 공급한다. 이때, 이산화탄소 공급부(214)는 방전관(212)의 내부로 배출되는 상기 이산화탄소가 방전관(212)의 내주면과 평행하게 배출되도록 방전관(212)의 내부와 연결됨으로써, 방전관(212)의 내부로 공급되는 상기 이산화탄소가 와류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 도 4a, 4b, 4c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점화부(216)는 방전관(212) 내부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을 통하여 플라즈마의 생성을 위한 초기 전자를 공급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발생부(108)는 전자파 공급부(218) 대신에 RF파 공급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RF파 공급부는 석영관, 또는 유리관으로 구성되는 방전관(212)을 감싸는 코일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일에 소정 주파수의 RF파(예를 들어, 1 MHz ~ 300 MHz의 주파수를 갖는 RF파)를 인가하면 패러데이 법칙에 따라 코일의 축 방향으로 자기장이 형성되며, 상기 자기장에 의하여 유도 기전력이 생성된다. 이에 따라 자기장 안에서 가속된 전자들의 충돌에 의하여 이온화 및 증배 과정이 일어나며, 이에 따라 방전관(212)으로 주입된 이산화탄소의 절연 파괴에 의하여 열 플라즈마가 발생되어 플라즈마 토치의 형태를 이루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발생부(108)의 도파관(210)과 방전관(212)이 연결되는 부분을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관(212)은 도파관(210)과 연결되어 도파관(210)을 통해 입력되는 전자파에 의해 플라즈마가 생성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떼, 도파관(210)은 방전관(212)과 가까워질수록 그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taper)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전관(212)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도파관(210)의 종단으로부터 도파관(210) 내 파장의 1/8~1/2 사이, 바람직하게는 1/4에 해당하는 지점에서 도파관(210)을 수직하게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전자파의 용이한 투과를 위해 석영, 알루미나, 또는 세라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파관(210) 아래에 형성된 방전관 홀더(300)는 방전관(212)이 안정적으로 도파관(210)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방전관(212)을 지지한다.
이산화탄소 공급부(214)는 방전관(212)의 하단부에 형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이산화탄소 공급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각 이산화탄소 공급관은 이산화탄소가 플라즈마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방전관(212)의 상단에는 발생된 플라즈마에 탄화수소 연료를 주입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연료 주입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공급부(214)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수평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공급부(214)는 하나 이상의 이산화탄소 공급관(400)을 포함한다. 각 이산화탄소 공급관(400)은 각각 일단이 방전관(212)의 내부와 연결되어 방전관(212) 내부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산화탄소 공급관(400)은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a는 이산화탄소 공급관(400)이 2개 형성된 실시예를, 도 4b 및 4c는 이산화탄소 공급관(400)이 각각 4개 또는 6개씩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이산화탄소 공급관(400)은 공급된 이산화탄소가 방전관(212)의 내주면을 따라 소용돌이 형태로 회전하도록 방전관(212)으로 공급된다. 이를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이산화탄소 공급관(400)은 방전관(212) 내부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가 방전관(212)의 내주면을 따라 (즉, 내주면과 평행하게) 배출되도록 방전관(212)의 내부와 연결된다. 이를 위하여, 이산화탄소 공급관(400)이 방전관(212)과 연결되는 일단 부근에서는 이산화탄소 공급관(400)의 진행 방향이 방전관(212)의 내주면과 평행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렇게 구성될 경우, 공급된 이산화탄소는 방전관(212)의 내부에서 서로 혼합되면서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소용돌이(와류) 형태를 띄게 된다. 또한 각 이산화탄소 공급관(400)은 공급되는 이산화탄소의 회전 방향이 모두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방전관(212)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플라즈마의 광방출 스펙트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빛의 파장(wavelength, nm)을, 세로축은 빛의 세기(Intensity, Arb. Units)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광방출 스펙트럼을 통하여 이산화탄소가 이온화/전리된 플라즈마 상태일 때 이산화탄소 플라즈마의 라디칼, 원자, 분자 분포를 알 수 있다. 이 스펙트럼을 통해 이산화탄소 플라즈마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방전 가스의 양, 전자파 파워 등의 변화 시 바뀌는 라디칼, 원자, 분자의 양을 세로축의 상대적 크기를 통해 그 양의 변화 정도를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재사용 시스템(100)의 이산화탄소 개질부(112)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개질부(112)는 방전관(212)의 상단에 형성되는 원통형의 반응로(60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연료 주입부(110)를 통하여 주입된 탄화수소 연료는 이산화탄소 공급부(214)에서 형성된 와류에 의하여 반응로(600) 내부를 따라 와류 형태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탄화수소 연료는 방전관(212)에서 발생되어 반응로(600) 내부로 유입된 플라즈마에 의하여 일산화탄소를 주성분으로 한 합성가스로 변화된다(CO2 + C -> 2CO). 도면에서 굵은 직선 화살표는 플라즈마의 진행 방향을, 와류 형태의 화살표는 합성가스의 방향을 각각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반응로(600) 내부에서 탄화수소 연료가 반응로(600) 내벽을 따라 와류 형태로 회전할 경우 탄화수소 연료의 반응로(600) 내부에서의 체류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라즈마 화염과 탄화수소 연료의 반응시간이 증가하게 되며, 반응로(600) 내부의 열전달 효율이 향상되어 반응로(600) 내부를 고온으로 유지함으로써 탄화수소 연료의 열분해 반응을 촉진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 및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산화탄소 개질부(112)를 구성하는 각 반응로는 내화재, 단열재 및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재사용 시스템(100)의 이산화탄소 개질부(112)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개질부(112)는 각각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각각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원통의 내부에 각각 별도의 플라즈마 발생부(108)로부터 발생된 플라즈마가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1차 반응로(702) 및 1차 반응로(702)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원통의 측면을 따라 1차 반응로(702)가 연결되는 2차 반응로(704)를 포함한다.
1차 반응로(702)는 도 6에 도시된 반응로(600)와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 즉 1차 반응로(702)의 일단은 방전관(212)과 연결되며, 타단은 2차 반응로(702)의 측면을 관통하여 2차 반응로(704)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1차 반응로(702)로 인입되는 플라즈마, 상기 탄화수소 연료 및 1차 반응로(702) 내에서 형성된 상기 합성가스가 2차 반응로(704) 내부로 유입된다.
도 8은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가스화 장치(100)의 이산화탄소 개질부(112)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1차 반응로(702)는 2차 반응로(704)의 측면 상단 및 하단에서 각각 2차 반응로(704)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반응로(704)의 측면 상단에 연결되는 1차 반응로(702)는 2차 반응로(704)의 하단 방향을 향하도록 연결되고, 2차 반응로(704)의 측면 하단에 연결되는 1차 반응로(702)는 2차 반응로(704)의 상단 방향을 향하도록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단에 연결된 1차 반응로(702)로부터 유입되는 탄화수소 연료 및 합성가스는 2차 반응로(704)의 하단으로 내려갔다가 다시 2차 반응로(704)의 상단으로 올라가는 리버스 볼텍스 플로우(reverse voltex flow)를 형성하고, 하단에 연결된 1차 반응로(702)로부터 유입되는 탄화수소 연료 및 합성가스는 2차 반응로(704)의 상단으로 올라갔다가 다시 2차 반응로(704)의 하단으로 내려가는 컨벤셔널 볼텍스 플로우(conventional voltex flow)를 형성함으로써, 이산화탄소 개질부(112) 내부에서 플라즈마와 탄화수소 연료와의 반응시간이 증가하게 되며 이를 합성가스의 수율 향상으로 이어지게 된다. 또한 이를 통하여 이산화탄소 개질부(112) 내부의 열전달 효율이 향상되어 이산화탄소 개질부(112) 내부의 온도를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이산화탄소 개질부(112) 내부에서의 탄화수소 연료의 열분해 반응을 촉진할 수 있다.
한편, 2차 반응로(704)의 측면 상단에 연결되는 1차 반응로(702)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탄화수소 연료의 양 및 2차 반응로(704)의 측면 하단에 연결되는 1차 반응로(702)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탄화수소 연료의 양의 비율은 1:1 내지 1:100 사이일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반응로(704)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합성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구(800)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800)는 2차 반응로(704)의 상단 또는 하단에만 형성되거나, 또는 실시예에 따라 상하단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가스화 장치(100)의 이산화탄소 개질부(112)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1차 반응로(702)는 그 끝단이 2차 반응로(704)의 내주면과 평행하도록 2차 반응로(704)와 연결됨으로써, 1차 반응로(702)에서 배출되는 상기 탄화수소 연료 및 상기 합성가스가 2차 반응로(704) 내부에서 와류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이산화탄소 개질부(112) 내부에서 플라즈마와 탄화수소 연료와의 반응시간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이산화탄소 개질부(112) 내부의 연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가스 배출부(114)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가스 배출부(114)는 불순물 제거부(1002) 및 합성가스 포집부(1004)를 포함한다.
불순물 제거부(1002)는 이산화탄소 개질부(112)에서 생성된 합성가스로부터 고체 형태의 불순물을 제거한다. 상기 불순물은,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 개질부(112)에서 생성된 재(ash) 등의 분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불순물 제거부(1002)의 상세 구성 및 이에 따른 분진 제거 방법에 대해서는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불순물 제거부(1002)는 이외에도 상기 합성가스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다른 수단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산화탄소 포집부(1004)는 불순물 제거부(1002)에서 불순물이 제거된 합성가스에서 일산화탄소를 포집한다. 합성가스 포집부(1004)에서 포집된 일산화탄소는, 예를 들어 수소와 반응하여 수송용 연료를 생산하거나, 또는 다양한 종류의 유기화합물질을 합성하기 위한 기초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탄소 재사용 시스템(100)은 이산화탄소 개질부(112)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 공급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 개질부(112) 내부의 반응은 CO2 + C -> 2CO + 172kJ/mol인 흡열반응이므로, 이산화탄소 개질부(112) 내부에 산소를 공급할 경우 이산화탄소 개질부(112) 내부의 온도를 고온으로 유지하여 열분해 반응을 촉진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고급탄의 일종인 중국의 신화탄(Shenhua Coal)을 탄화수소 연료로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분해하여 일산화탄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가스를 생성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이산화탄소 개질부(112)로는 도 6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반응로(600)를 사용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이 경과할수록 이산화탄소의 양은 감소하는 동시에 일산화탄소의 양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반응로(600) 내부의 반응은 CO2 + C -> 2CO + 172kJ/mol인 흡열반응이므로, 반응로(600) 내부에 산소를 추가할 경우 반응로(600) 내부의 온도를 고온으로 유지하여 열분해 반응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석탄 내부에는 수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H20 + C -> H2 + CO 반응을 이용해 수소를 생산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100: 이산화탄소 재사용 시스템
102: 발전 설비
104: 이산화탄소 흡수탑
106: 이산화탄소 재생탑
108: 플라즈마 발생부
110: 연료 주입부
112: 이산화탄소 개질부
114: 합성가스 배출부
116: 가스 엔진 또는 가스 터빈
202: 전원부
204: 전자파 발진기
206: 순환기
208: 튜너
210: 도파관
212: 방전관
214: 이산화탄소 공급부
216: 점화부
300: 방전관 홀더
400: 이산화탄소 공급관
600: 반응로
702: 1차 반응로
704: 2차 반응로
800: 배출구
1002: 불순물 제거부
1004: 합성가스 포집부

Claims (15)

  1. 이산화탄소 흡수제를 이용하여 발전 설비에서 발생되는 배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이산화탄소 흡수탑;
    상기 이산화탄소가 포집된 이산화탄소 흡수제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탈거하는 이산화탄소 재생탑;
    소정 주파수의 전자파 또는 RF(Radio Frequency)파를 발진하고, 상기 전자파 또는 상기 RF파를 이용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재생탑으로부터 공급된 이산화탄소를 이온화 및 전리시켜 플라즈마를 생성하는 플라즈마 발생부;
    상기 플라즈마에 탄화수소 연료를 주입하는 연료 주입부;
    상기 플라즈마 및 상기 탄화수소 연료를 반응시켜 합성가스를 생성하는 이산화탄소 개질부; 및
    생성된 상기 합성가스를 배출하는 합성가스 배출부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재사용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재생탑은, 상기 발전 설비로부터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흡수제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탈거하는, 이산화탄소 재사용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는,
    소정 주파수의 전자파를 발진하는 전자파 공급부;
    상기 전자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전자파 및 상기 이산화탄소로부터 플라즈마가 발생되는 방전관; 및
    상기 방전관의 내부로 상기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공급부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재사용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공급부에서 발진되는 상기 전자파는 902 내지 928MHz 또는 886 내지 906MHz의 주파수 범위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이산화탄소 재사용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는,
    소정 주파수의 RF파를 발진하는 RF파 공급부;
    상기 RF파 및 상기 이산화탄소로부터 플라즈마가 발생되는 방전관; 및
    상기 방전관의 내부로 상기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 공급부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재사용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RF파 공급부에서 발진되는 상기 RF파는 1MHz 내지 300MHz의 주파수 범위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이산화탄소 재사용 시스템.
  7. 청구항 3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부는, 상기 방전관의 내부로 배출되는 상기 이산화탄소가 상기 방전관의 내주면과 평행하게 배출되도록 상기 방전관의 내부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방전관의 내부로 공급되는 상기 이산화탄소가 와류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이산화탄소 재사용 시스템.
  8. 청구항 3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개질부는, 상기 방전관의 상단에 형성되는 원통형의 반응로를 포함하며, 상기 방전관에서 발생되어 상기 반응로 내부로 유입된 상기 플라즈마 및 상기 반응로 내부를 따라 와류 형태로 회전하는 상기 탄화수소 연료를 반응시켜 일산화탄소를 포함하는 상기 합성가스를 생성하는, 이산화탄소 재사용 시스템.
  9. 청구항 3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개질부는,
    각각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원통의 내부에 각각 별도의 플라즈마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플라즈마가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1차 반응로; 및
    상기 1차 반응로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원통의 측면을 따라 상기 1차 반응로가 연결되는 2차 반응로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재사용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1차 반응로는 상기 2차 반응로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2차 반응로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1차 반응로로 주입된 상기 플라즈마, 상기 탄화수소 연료 및 상기 1차 반응로 내에서 형성된 상기 합성가스가 상기 2차 반응로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이산화탄소 재사용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1차 반응로는 그 끝단이 상기 2차 반응로의 내주면과 평행하도록 상기 2차 반응로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1차 반응로에서 배출되는 상기 탄화수소 연료 및 상기 합성가스가 상기 2차 반응로 내부에서 와류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이산화탄소 재사용 시스템.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2차 반응로의 측면 상단에 연결되는 1차 반응로는 상기 2차 반응로의 하단 방향을 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2차 반응로의 측면 하단에 연결되는 1차 반응로는 상기 2차 반응로의 상단 방향을 향하도록 연결되는, 이산화탄소 재사용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2차 반응로의 측면 상단에 연결되는 1차 반응로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탄화수소 연료의 양 및 상기 2차 반응로의 측면 하단에 연결되는 1차 반응로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탄화수소 연료의 양의 비율은 1:1 내지 1:100 사이인, 이산화탄소 재사용 시스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개질부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재사용 시스템.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성가스 배출부는,
    상기 합성가스로부터 고체 형태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 제거부; 및
    상기 불순물이 제거된 합성가스를 포집하는 합성가스 포집부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재사용 시스템.
KR1020130002434A 2013-01-09 2013-01-09 이산화탄소 재사용 시스템 KR2014009041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434A KR20140090417A (ko) 2013-01-09 2013-01-09 이산화탄소 재사용 시스템
PCT/KR2013/008928 WO2014109458A1 (ko) 2013-01-09 2013-10-07 이산화탄소 재사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434A KR20140090417A (ko) 2013-01-09 2013-01-09 이산화탄소 재사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417A true KR20140090417A (ko) 2014-07-17

Family

ID=51167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434A KR20140090417A (ko) 2013-01-09 2013-01-09 이산화탄소 재사용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090417A (ko)
WO (1) WO201410945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557A (ko) * 2018-11-13 2020-05-21 엄환섭 이산화탄소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700029528A1 (it) 2017-03-16 2018-09-16 Brennero Innovazioni Tecnologiche S R L Apparato e metodo per il trattamento di gas
US20230219031A1 (en) * 2020-07-10 2023-07-13 Technische Universiteit Eindhoven Plasma assisted direct co2 capture and activa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3180B2 (ja) * 2007-02-23 2011-01-12 岩谷産業株式会社 高一酸化炭素濃度合成ガス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1069233B1 (ko) * 2009-07-30 2011-10-04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석탄가스화복합발전용 플라즈마 가스화기
KR101166444B1 (ko) * 2010-06-21 2012-07-19 엄환섭 전자파로 발생한 이산화탄소 토치 및 그 응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557A (ko) * 2018-11-13 2020-05-21 엄환섭 이산화탄소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09458A1 (ko) 2014-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5152B1 (ko) 플라즈마 가스화기를 이용한 발전 시스템
Hong et al. Syngas production from gasification of brown coal in a microwave torch plasma
Ong et al. Application of microwave plasma technology to convert carbon dioxide (CO2) into high value products: A review
RU2010118427A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жидкого топлива и водорода из биомассы или ископаемого угл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солнечной энергии, микроволн и плазмы
Ho et al. Microwave induced plasma for solid fuels and waste processing: A review on affecting factors and performance criteria
KR101069233B1 (ko) 석탄가스화복합발전용 플라즈마 가스화기
Yang et al. Naphthalene destruction performance from tar model compound using a gliding arc plasma reformer
US20080245749A1 (en) Powerplant and method using a triple helical vortex reactor
KR101446118B1 (ko) 스월 형태의 플라즈마 내부로 개질 대상 물질의 주입이 용이한 플라즈마 반응기
US200900778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a syngas
Budhraja et al. Plasma reforming for hydrogen production: Pathways, reactors and storage
KR102588840B1 (ko) 폐 플라스틱을 전자파 플라스마 토치로 개질 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장치와 방법
KR101697291B1 (ko) 전자파 고온 복합 가스화 장치와 방법
KR20160139154A (ko) 전자파 수증기 토치를 이용한 수소 발생장치
KR20140090417A (ko) 이산화탄소 재사용 시스템
US9284503B2 (en) Manufacture of gas from hydrogen-bearing starting materials
Ismail et al. A review on plasma treatment for the processing of solid waste
KR101752979B1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소가스 제조 시스템
KR102364211B1 (ko) 가스화 디바이스 및 가스화 디바이스의 마이크로파 플라즈마 지연 시스템을 구비한 플라즈마 셔터
JP2011240212A (ja) 難分解性有機廃液の処理システム
KR20120095017A (ko) 바이오매스 연소 배기가스 및 폐기물의 열분해/가스화 생성가스 중 타르저감 외부가진 플라즈마 장치
JP2013086095A (ja) プラズマを用いたシランガス除去装置
KR100693829B1 (ko) 폐오일 처리방법(Weste oil by microbialbioprocessing)과합성가스발생장치(Synthesis producer).
JP5725815B2 (ja) 非平衡プラズマ燃焼を用いた難分解性有機廃液の処理システム
Ghabi et al. Experimental study of stability and pollutant emissions of turbulent biogas flames under microsecond pulsed plasm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