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0077A - 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0077A
KR20140090077A KR1020130155726A KR20130155726A KR20140090077A KR 20140090077 A KR20140090077 A KR 20140090077A KR 1020130155726 A KR1020130155726 A KR 1020130155726A KR 20130155726 A KR20130155726 A KR 20130155726A KR 20140090077 A KR20140090077 A KR 20140090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mber
electrically connected
secondary batteries
present
electrod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5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5713B1 (ko
Inventor
이진복
이장욱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90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0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6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69Constructional details of 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detecting conditions inside cells or batteries, e.g. details of voltage sens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Connection only in s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지 모듈은전극 단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차 전지들, 복수의 이차 전지들 각각의 전압, 전류 및 온도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하고 수용부를 포함하는 측정부재 및 복수의 이차 전지들의 전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복수의 이차 전지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하는 제1 면을 포함하며 수용부에 결합되어 측정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지 모듈{BATTERY MODULE}
본 발명은 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차 전지 상태 측정장치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저용량의 이차 전지는 휴대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이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대용량 전지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모터 구동용 전원 또는 전력 저장용으로 사용된다.
최근 들어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액을 이용한 고출력 전지 모듈이 개발되고 있다. 전지 모듈은 통상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이차 전지로 이루어지며, 이차 전지는 원통형과 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지모듈을 구성하는 개개의 이차 전지들은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는 경우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전지모듈의 이차 전지들의 충전 및 방전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그러나, 복 수개의 이차 전지들의 개별적인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이차 전지들의 수와 동일한 수의 측정장치를 전지 모듈에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전지 모듈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이차 전지 상태 측정장치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전극 단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차 전지들, 복수의 이차 전지들 각각의 전압, 전류 및 온도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하고 수용부를 포함하는 측정부재 및 복수의 이차 전지들의 전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복수의 이차 전지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하는 제1 면을 포함하며 수용부에 결합되어 측정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돌기의 제1 면은 복수의 이차 전지들와 가까워지는 방향에 위치하는 수용부의 일면에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는 홈을 포함하고, 연결부재의 돌기는 수용부의 홈에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홈은 제1 너비를 가지고, 돌기는 제2 너비를 가지며, 제1 너비는 제2 너비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돌기는 복수의 이차 전지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하는 연결부재의 일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돌기의 제1 면은 연결부재의 일면과 동일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는 돌기에서 연장하는 기둥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수용부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부재의 기둥은 개구부에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의 돌기는 복수의 이차 전지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하는 연결부재의 일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결부재의 일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연결부재의 기둥은 연결부재의 일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기에서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의 기둥은 제1 너비를 가진 제1 부분과 제2 너비를 가진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부분은 제1 부분과 돌기 사이에 위치하며, 제1 너비는 상기 제2 너비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의 기둥에 결합되어 기둥을 측정부재에 고정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는 이차 전지들 중 하나의 이차 전지의 제1 전극 단자 및 하나의 이차 전지에 이웃하는 다른 이차 전지의 제2 전극 단자에 용접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이차 전지들의 전극 단자들은 제1 열 및 상기 제1 열과 평행한 제2 열로 배열되고, 연결부재는 제1 열에 배열된 전극 단자들 위에 위치하고 제2 열에 배열된 상기 전극 단자들 위에 위치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는 복수의 이차 전지들 중 하나의 이차 전지의 전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 복수의 이차 전지들 중 서로 이웃하는 이차 전지들의 전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 및 복수의 이차 전지들 중 제1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이차 전지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이차 전지의 전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연결부재, 제2 연결부재 및 제3 연결부재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이차 전지들은 적층되어 전지 스택을 이룰 수 있고, 전지 스택은 전지 스택의 제1 측면에 위치하는 제1 이차 전지, 제1 측면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스택의 제2 측면에 위치한 제3 이차 전지 및 제1 이차 전지 및 제3 이차 전지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 이차 전지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연결부재는 제1 이차 전지의 전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연결부재는 복수의 제2 이차 전지들 중 이웃하는 전지들의 전극 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3 연결부재는 제3 이차 전지의 전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측정부재는 유연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전극 단자 및 벤트 부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차 전지들, 복수의 이차 전지들 각각의 전압, 전류 및 온도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하고 벤트 부재와 마주보는 적어도 하나의 노출 개구 및 수용부를 포함하는 측정부재 및 복수의 이차 전지들의 전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수용부에 결합되어 측정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측정부재는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는 노출 개구를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노출 개구와 겹쳐지게 설치되어 배출 통로를 형성하는 배출 수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노출 개구는 벤트 부재를 측정부재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노출 개구는 복수의 노출부를 포함할 수 있고, 벤트 부재는 복수의 벤트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노출부는 복수의 벤트 부재를 측정부재의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노출 개구는 전지들의 벤트 부재들 모두를 상기 측정 부재의 외부로 노출 시키는 하나의 노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지모듈을 구성하는 이차 전지들의 상태를 단순한 구조를 이용하여 측정 할 수 있고, 전지모듈에 이차 전지의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 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차전지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이차 전지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연결 부재와 측정부재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와 측정부재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연결부재와 측정부재의 결합된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와 측정부재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연결부재와 측정부재의 결합된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전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연결 부재와 측정부재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0)은 제1 전극 단자(11)와 제2 전극 단자(12)를 포함하는 전극 단자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이차 전지들(10) 및 이차 전지들(10)이 수용되는 수납용기(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0)은 이차 전지들(10)을 직렬로 연결하여 형성된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며 이차 전지들(10)은 병렬로 연결되거나, 직병렬의 조합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의 케이스(16)는 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케이스(16)의 일 측 개구에는 캡 플레이트(13)가 결합되며, 상기 캡 플레이트(13)를 관통하여 제1 전극 단자(11)와 제2 전극 단자(12)가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전극 단자(11) 및 제2 전극 단자(12) 각각은 평판형 단자일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 단자는 평판형 단자에 한정되지 않고, 볼트형 전극 단자일 수도 있다.
또한, 제1 전극 단자(11)와 제2 전극 단자(12)는 케이스(16)내에 수용된 전극 조립체(미도시)의 양극 및 음극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캡 플레이트(13)는 내부 압력의 상승 시에 개방되는 벤트 부재(14)와 전해액 주입구를 밀봉하는 밀봉마개(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6)는 제1 전극 단자(11) 또는 제2 전극 단자(12)를 매개로 전극 조립체(미도시)의 양극 또는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들(10)은 연결 부재(30)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서로 이웃하는 이차 전지들(10)이 수납용기(20)에 수용되면 이차 전지들(10)의 제1 전극 단자들(11) 또는 제2 전극 단자들(12)이 일렬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두 개의 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전극 단자들(11, 12)은 제1 열 및 제1 열과 평행한 제2 열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열 및 제2 열 각각에 제1 전극 단자(11)와 제2 전극 단자(12)가 교대로 위치하도록 이차 전지들(10)를 수납용기(20)에 수용하면 서로 이웃하는 이차 전지들(10)의 제1 전극 단자(11)와 제2 전극 단자(12)는 나란하게 배치되어, 이차 전지들(10)을 직렬로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30)는 복수의 연결부재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연결부재들은 제1 열 및 제2 열에 교대로 위치하도록 배열된 제1 전극 단자들(11) 및 제2 전극 단자들 위에 위치 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열 및 제2 열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1 전극 단자(11)와 제2 전극 단자(12) 각각에 연결부재(30)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연결하면 수납용기(20)에 수용된 이차전지들(10)이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들(10)과 측정부재(40)는 연결부재(30)를 매개로 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재(30)는 제1 전극 단자(11) 또는 제2 전극 단자(12) 및 측정부재(40)와 결합될 수 있으므로, 이차 전지들(10)과 측정부재(40)는 연결부재(30)를 매개로 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30)와 제1 및 제2 전극 단자(11, 12) 및 측정부재(40)와의 결합관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30)는 제1 연결부재(31), 제2 연결부재(32) 및 제3 연결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재(31)는 복수의 이차전지들(10) 중 하나의 이차 전지의 전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연결부재(32)는 복수의 이차전지들(10) 중 서로 이웃하는 이차전지들의 전극 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3 연결부재(33)는 복수의 이차전지들 중 제1 연결부재(31)와 연결되는 이차 전지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이차 전지의 전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이차전지들(10)은 적층되어 전지 스택을 이룰 수 있다.
전지 스택은 전지 스택의 최외곽의 제1 측면에 위치하는 제1 이차 전지, 제1 측면의 반대쪽에 위치한 제2 측면에 위치하는 제3 이차 전지 및 제1 이차 전지 및 제3 이차 전지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 이차 전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부재(31)는 제1 이차 전지의 전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연결부재는 복수의 제2 이차 전지들 중 이웃하는 전지들의 전극 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3 연결부재는 제3 이차 전지의 전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부재(31), 제2 연결부재(32) 및 제3 연결부재(33)는 이차전지들(10)를 매개로 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30)는 몸체(31a, 32a, 33a) 및 복수의 이차 전지들(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하는 제1 면을 포함하며 측정부재(40)의 수용부에 결합되어 측정부재(40)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돌기(31b, 32b, 33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30)의 돌기(31b, 32b, 33b)는 복수의 이차전지들(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하는 연결부재(30)의 일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기(31b, 32b, 33b)의 제1 면은 연결부재(30)의 일면과 동일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부재(31)는 전지모듈(100)의 최 외각에 위치하는 이차전지(10)(제1 이차 전지)의 제2 전극 단자(12)에 결합되는 제1 몸체(31a)와 제1 몸체(31a)의 일 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돌기(31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연결부재(32)는 복수의 제2 이차 전지들 중 이웃하는 전지들의 전극 단자들인 제1 전극 단자(11) 및 제2 전극 단자(12) 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는 제2 몸체(32a)와 제2 몸체(32a)의 일 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돌기(32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연결부재(32)는 제1 연결부재(31)가 결합된 최 외각에 위치한 이차 전지(10)(제1 이차전지)의 제2 전극 단자(12)의 반대 측에 위치하는 제1 전극 단자(11)에 제2 몸체(32a)의 일부가 결합되고, 제2 몸체(32a)의 다른 부분은 이웃하는 이차 전지(10)(제2 이차 전지)의 제2 전극 단자(12)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연결부재(32)는 복 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직렬로 연결되도록 배열된 이차 전지들(10)에 형성된 제1 전극 단자(11) 및 제2 전극 단자(12) 각각을 복 수의 제2 연결부재(32)로 순차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3 연결부재(33)는 제3 몸체(33a) 및 제3 돌기(33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연결부재(33)의 제3 몸체(33a)는 제1 연결부재(31)가 결합되는 이차전지(10)(제1 이차 전지)의 반대쪽 최 외각에 위치하는 이차전지(10)(제3 이차 전지)의 제1 전극 단자(11)에 결합될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납용기(20)에 수용된 이차전지들(10)은 제1 연결부재(31), 제2 연결부재(32) 및 제3 연결부재(33)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재(40)는 몸체부(41), 홈(42)을 포함하는 수용부 및 연결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30)의 돌기(31b, 32b, 33b)는 복수의 이차전지들(10)과 가까워지는 방향에 위치하는 측정부재(40)의 수용부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연결부재(30)의 돌기(31b, 32b, 33b)는 측정부재(40)의 수용부의 홈(42)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부재(40)의 몸체부(41)는 유연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정부재(40)의 몸체부(41)에 형성되는 홈(42)은 제1 연결부재(31)의 제1 돌기(31b), 제2 연결부재(32)의 제2 돌기(32b) 및 제3 연결부재(33)의 제3 돌기(33b)이 삽입될 수 있는 복 수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결부재(31)의 제1 돌기(31b)는 제1 홈(42a)에 삽입될 수 있고, 제2 연결부재(32)의 제2 돌기(32b)는 제2 홈(42b)에 삽입될 수 있으며, 제3 연결부재(33)의 제3 돌기(33b)는 제3 홈(42c)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돌기(31b), 제2 돌기(32b) 및 제3 돌기(33b)의 너비는 제1 돌기(31b), 제2 돌기(32b) 및 제3 돌기(33b)가 각각 삽입되는 제1 홈(42a), 제2 홈(42b) 및 는 제3 홈(42c)의 각각의 너비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홈(42)은 제1 너비를 가지고, 제1 돌기(31b), 제2 돌기(32b) 및 제3 돌기(33b) 각각은 제2 너비를 가질 수 있으며, 제1 너비는 제2 너비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홈(42b)의 너비가 D1이고, 제2 돌기(32b)의 너비가 D2일 때, 제2 홈(42b)의 너비인 D1이 제2 돌기(32b)의 너비인 D2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홈(42b)에 제2 돌기(32b)가 삽입될 때, 제2 돌기(32b)가 제2 홈(42b)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므로, 제2 돌기(32b)에 의하여 측정부재(40)가 전지모듈(10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부재(40)의 홈(42)에 제1 내지 제3 연결부재(31, 32, 33)에 형성된 돌기들을 삽입하여, 측정부재(40)가 전지모듈(100)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재(40)의 몸체부(41)에는 홈(42)의 제1 홈(42a), 제2 홈(42b) 및 제3 홈(42c) 각각에 연결되게 회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결부재(31)의 제1 돌기(31b), 제2 연결부재(32)의 제2 돌기(32b) 및 제3 연결부재(33)의 제3 돌기(33b) 각각이 측정부재(40)의 몸체부(41)에 형성된 홈들(42a, 42b, 42c)에 결합되면, 제1 연결부재(31), 제2 연결부재(32) 및 제3 연결부재(33)들과 측정부재(40)의 회로(미도시)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재(40)에 형성된 회로들(미도시)의 일단은 측정부재(40)의 연결부(43)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 수납용기(20)의 일 단에 형성되어 있는 신호 인출부(21)에 측정부재(40)의 연결부(43)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이차 전지(10)의 전류, 전압 등에 관련된 신호가 측정부재(40)에 형성된 회로(미도시)를 통하여 전지 모듈(100)의 외부로 인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 수의 측정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측정부재(40)만을 이용하여 전지모듈(100)을 구성하는 이차 전지들(10)의 전압 및 전류 등의 상태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부재(40)를 전지모듈(100)에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와 측정부재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연결부재와 측정부재의 결합된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20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0)과 연결부재(130) 및 측정부재(140)를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0)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130)는 제1 연결부재(131), 제2 연결부재(132) 및 제3 연결부재(1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130)는 몸체(131a, 132a, 133a), 돌기(131b, 132b, 133b) 및 돌기(131b, 132b, 133b)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측정부재(140)의 개구부(142)에 결합되는 기둥(131c, 132c, 133c)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130)의 돌기(131b, 132b, 133b)는 복수의 이차전지들(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하는 연결부재(130)의 일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결부재(130)의 일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30)의 기둥(131c, 132c, 133c)은 연결부재(130)의 일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기(131b, 132b, 133b)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부재(131)는 전지모듈(200)의 최 외각에 위치하는 이차전지(10)의 제2 전극 단자(12)에 결합되는 제1 몸체(131a)와 제1 몸체(131a)의 일 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돌기(131b) 및 제1 돌기(131b)가 연장된 방향과 대략 수직하는 방향으로 제1 돌기(131b)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기둥(131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연결부재(132)는 제1 전극 단자(11) 및 제2 전극 단자(12) 하나 이상의 전극 단자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는 제2 몸체(132a)와 제2 몸체(132a)의 일 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돌기(132b) 및 제2 돌기(132b)가 연장된 방향과 대략 수직하는 방향으로 제2 돌기(132b)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기둥(132c)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연결부재(132)는 제1 연결부재(131)가 결합된 최 외각에 위치한 이차 전지(10)의 제2 전극 단자(12)의 반대 측에 위치하는 제1 전극 단자(11)에 제2 몸체(132a)의 일부가 결합되고, 제2 몸체(132a)의 다른 부분은 이웃하는 이차 전지(10)의 제2 전극 단자(12)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연결부재(132)는 복 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직렬로 연결되도록 배열된 이차 전지들(10)에 형성된 제1 전극 단자(11) 및 제2 전극 단자(12) 각각을 복 수의 제2 연결부재(132)로 순차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3 연결부재(133)는 제3 몸체(133a) 및 제3 몸체(133a)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 돌기(133b) 및 제3 돌기(133b)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방향과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제3 돌기(133b)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 기둥(133c)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연결부재(133)의 제3 몸체(133a)는 제1 연결부재(131)가 결합되는 이차전지(10)의 반대쪽 최 외각에 위치하는 이차전지(10)의 제1 전극 단자(11)에 결합될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납용기(20)에 수용된 이차전지들(10)은 제1 연결부재(131), 제2 연결부재(132) 및 제3 연결부재(133)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재(140)는 몸체부(141), 개구부(142) 및 연결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부재(140)의 몸체부(141)는 유연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정부재(140)의 몸체부(141)에 형성되는 개구부(142)는 제1 연결부재(131)의 제1 기둥(131c), 제2 연결부재(132)의 제2 기둥(132c) 및 제3 연결부재(133)의 제3 기둥(133c)이 삽입될 수 있는 복 수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결부재(131)의 제1 기둥(131c)은 제1 개구(142a)에 삽입될 수 있고, 제2 연결부재(132)의 제2 기둥(132c)은 제2 개구(142b)에 삽입될 수 있으며, 제3 연결부재(133)의 제3 기둥(133c)은 제3 개구(142c)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기둥(131c), 제2 기둥(132c) 및 제3 기둥(133c)의 각각의 너비는 제1 기둥(131c), 제2 기둥(132c) 및 제3 기둥(133c)가 각각 삽입되는 제1 개구(142a), 제2 개구(142b) 및 제3 개구(142c)의 각각의 너비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개구(142b)에 제2 기둥(132c)이 삽입될 때, 제2 기둥(132c)가 제2 개구(142b)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므로, 제2 기둥(132c)에 의하여 측정부재(140)가 전지모듈(20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부재(140)의 개구부(142)에 제1 내지 제3 연결부재(131, 132, 133)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 기둥들(131c, 132c, 133c)를 삽입하여, 측정부재(140)를 전지모듈(200)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3 기둥(131c, 132c, 133c) 각각의 일 측 끝 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들의 나머지 부분보다 두꺼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130)의 기둥(131c, 132c, 133c)은 제1 너비를 가지는 제1 부분과 제2 너비를 가지며 제1 부분과 돌기(131b, 132b, 133b)사이에 위치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부분의 제1 너비는 제2 부분의 제2 너비 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재(140)의 몸체부(141)에는 개구부(142)의 제1 개구(142a), 제2 개구(142b) 및 제3 개구(142c) 각각에 연결되게 회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결부재(131)의 제1기둥(131c), 제2 연결부재(132)의 제2 기둥(132c) 및 제3 연결부재(133)의 제3 기둥(133c) 각각이 측정부재(140)의 몸체부(141)에 형성된 개구들(142a, 142b, 142c)에 결합되면, 제1 연결부재(131), 제2 연결부재(132) 및 제3 연결부재(133)들과 측정부재(140)의 회로(미도시)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재(140)에 형성된 회로들(미도시)의 일단은 측정부재(140)의 연결부(143)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용기(20)의 일 단에 형성되어 있는 신호 인출부(21)에 측정부재(140)의 연결부(143)가 연결되면, 이차 전지(10)의 전류, 전압 등에 관련된 신호가 측정부재(140)에 형성된 회로(미도시)를 통하여 전지 모듈(100)의 외부로 인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 수의 측정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측정부재(140)만을 이용하여 전지모듈(200)을 구성하는 이차 전지들(10)의 전압 및 전류 등의 상태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부재(140)를 전지모듈(200)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와 측정부재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연결부재와 측정부재의 결합된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30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200)과 연결부재(230) 및 측정부재(240)를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200)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230)는 제1 연결부재(231), 복 수의 제2 연결부재(232) 및 제3 연결부재(2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230)는 몸체(231a, 232a, 233a), 돌기(231b, 232b, 233b), 돌기(231b, 232b, 233b)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측정부재(240)의 개구부(242)에 결합되는 기둥(231c, 232c, 233c)(이하 볼트라 함) 및 결합부재(231d, 232d, 233d)(이하 너트라 함)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230)의 돌기(231b, 232b, 233b)는 복수의 이차전지들(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하는 연결부재(230)의 일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결부재(230)의 일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230)의 볼트(231c, 232c, 233c)는 연결부재(230)의 일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기(231b, 232b, 233b)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너트(231d, 232d, 233d)는 연결부재(230)의 볼트(231c, 232c, 233c)에 결합되어 볼트(231c, 232c, 233c)를 측정부재(24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연결부재(231)는 전지모듈(300)의 최 외각에 위치하는 이차전지(10)의 제2 전극 단자(12)에 결합되는 제1 몸체(231a)와 제1 몸체(231a)의 일 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돌기(231b), 제1 돌기(231b)가 연장된 방향과 대략 수직하는 방향으로 제1 돌기(231b)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볼트(231c) 및 제1 너트(231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연결부재(232)는 제1 전극 단자(11) 및 제2 전극 단자(12) 하나 이상의 전극 단자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는 제2 몸체(232a)와 제2 몸체(232a)의 일 측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돌기(232b), 제2 돌기(232b)가 연장된 방향과 대략 수직하는 방향으로 제2 돌기(232b)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볼트(232c) 및 제2 너트(232d)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연결부재(232)는 제1 연결부재(231)가 결합된 최 외각에 위치한 이차 전지(10)의 제2 전극 단자(12)의 반대 측에 위치하는 제1 전극 단자(11)에 제2 몸체(232a)의 일부가 결합되고, 제2 몸체(232a)의 다른 부분은 이웃하는 이차 전지(10)의 제2 전극 단자(12)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연결부재(232)는 복 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직렬로 연결되도록 배열된 이차 전지들(10)에 형성된 제1 전극 단자(11) 및 제2 전극 단자(12) 각각을 복 수의 제2 연결부재(232)로 순차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3 연결부재(233)는 제3 몸체(233a) 및 제3 몸체(233a)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 돌기(233b), 제3 돌기(233b)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방향과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제3 돌기(233b)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 볼트(233c) 및 제3 너트(233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연결부재(233)의 제3 몸체(233a)는 제1 연결부재(231)가 결합되는 이차전지(10)의 반대쪽 최 외각에 위치하는 이차전지(10)의 제1 전극 단자(11)에 결합 될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납용기(20)에 수용된 이차전지들(10)은 제1 연결부재(231), 제2 연결부재(232) 및 제3 연결부재(233)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재(240)는 몸체부(241), 개구부(242) 및 연결부(24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부재(240)의 몸체부(241)는 유연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정부재(240)의 몸체부(241)에 형성되는 개구부(242)는 제1 연결부재(231)의 제1 볼트(231c), 제2 연결부재(232)의 제2 볼트(232c) 및 제3 연결부재(233)의 제3 볼트(233c)가 삽입될 수 있는 복 수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결부재(231)의 제1 볼트(231c)는 제1 개구(242a)에 삽입될 수 있고, 제2 연결부재(232)의 제2 볼트(232c)는 제2 개구(242b)에 삽입될 수 있으며, 제3 연결부재(233)의 제3 볼트(233c)는 제3 개구(242c)에 삽입될 수 있다.
이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3 너트(231d, 232d, 233d) 각각은 제1 내지 제3 개구(242a, 242b, 242c)에 삽입된 제1 내지 제3 볼트(231c, 232c, 233c)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부재(240)의 개구부(242)에 제1 내지 제3 연결부재(231, 232, 233)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 볼트(231c, 232c, 233c)를 삽입하고, 제1 내지 제3 볼트(231c, 232c, 233c)를 제1 내지 제3 너트(231d, 232d, 233d)로 고정하여 측정부재(240)를 전지모듈(300)에 용이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재(240)의 몸체부(241)에는 개구부(242)의 제1 개구(242a), 제2 개구(242b) 및 제3 개구(242c) 각각에 연결되게 회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결부재(231)의 제1 볼트(231c), 제2 연결부재(232)의 제2 볼트(232c) 및 제3 연결부재(233)의 제3 볼트(233c) 각각이 측정부재(240)의 몸체부(241)에 형성된 개구들(242a, 242b, 242c)에 결합되면, 제1 연결부재(231), 제2 연결부재(232) 및 제3 연결부재(233)들과 측정부재(240)의 회로(미도시)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재(240)에 형성된 회로들(미도시)의 일단은 측정부재(240)의 연결부(243)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용기(20)의 일 단에 형성되어 있는 신호 인출부(21)에 측정부재(240)의 연결부(243)가 연결되면, 이차 전지(10)의 전류, 전압 등에 관련된 신호가 측정부재(240)에 형성된 회로(미도시)를 통하여 전지 모듈(100)의 외부로 인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 수의 측정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측정부재(240)만을 이용하여 전지모듈(300)을 구성하는 이차 전지들(10)의 전압 및 전류 등의 상태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부재(240)를 전지모듈(300)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전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40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0)과 측정부재(340)를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0)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재(340)는 몸체부(341), 홈(342)을 포함하는 수용부, 연결부(343) 및 노출 개구(34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의 홈(342)은 제1 홈(342a), 제2 홈(342b) 및 제3 홈(34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홈(342a), 제2 홈(342b) 및 는 제3 홈(342c) 각각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홈(42a), 제2 홈(42b) 및 는 제3 홈(42c)과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홈(342a), 제2 홈(342b) 및 는 제3 홈(342c) 각각은 본 발명의 제 2 및 제 3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142, 242)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연결부(343)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100)에 따른 연결부(43)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홈(342a), 제2 홈(342b) 및 는 제3 홈(342c)과 연결부(343)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341)는 노출 개구(344)가 형성되어 측정부재(340)의 외부로 벤트 부재(14)를 노출 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측정부재(340)는 몸체부(341)의 노출 개구(344)가 이차전지(10)의 벤트 부재(14)가 서로 마주보게 복수의 이차전지들(10)과 결합되므로, 이차 전지(10)의 벤트 부재(14)가 측정부재(34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노출 개구(344)는 복수의 노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이차전지들(10)의 벤트 부재들(14) 모두가 복수의 노출부들에 의하여 측정부재(34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노출 개구(344)는 복수의 노출 개구를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노출부로 형성되어 복수의 벤트 부재들(14) 모두를 측정부재(340)의 외부로 노출 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 도 4 및 도 6을 다시 참고하면, 측정부재(40, 140, 240)의 몸체부(41, 141, 241)에는 하나의 노출부가 형성되어 복수의 이차전지들(10)의 벤트 부재들(14) 모두를 측정부재(40, 140, 240)의 외부로 노출 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 도 4 및 도 6의 측정부재(40, 140, 240)의 몸체부(41, 141, 241)는 연결부(43, 143, 243)에서 노출 개구를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를 포함한다.
이때, 측정부재(40, 140, 240)의 노출 개구는 측정부재(40, 140, 240)의 제1 몸체부, 제2 몸체부 및 연결부(43, 143, 243)에 의해 형성되는 세 개의 면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다만, 측정부재(40, 140, 240)의 노출 개구는 측정부재(40, 140, 240)의 세개의 면에 둘러싸이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부재(340)의 네 개의 면으로 둘러싸이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노출 개구(344)는 벤트 부재(14)를 통하여 이차 전지(10) 내부의 가스를 이차 전지(10)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노출 개구(344)와 겹쳐지게 설치되어 이차 전지(10) 내부의 가스가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배출 수용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차 전지(10) 내부의 가스가 노출 개구(344)와 배출 수용 부재를 경유하여 이차 전지(10)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 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200, 300: 전지 모듈 10: 이차 전지
20: 수납용기 30, 130, 230: 연결부재
31, 131, 231: 제1 연결부재 31a, 131a, 231a: 제1 몸체
31b, 131b, 231b: 제1 돌기 32a, 132a, 232a: 제2 몸체
32b, 132b, 232b: 제2 돌기 131c, 132c, 133c: 제1 내지 제3 기둥
32, 132, 232: 제2 연결부재 33, 133, 233: 제3 연결부재
231c, 232c, 233c: 제1 내지 제3 볼트
231d, 232d, 233d: 제1 내지 제3 너트

Claims (20)

  1. 전극 단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차 전지들;
    상기 복수의 이차 전지들 각각의 전압, 전류 및 온도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하고 수용부를 포함하는 측정부재; 및
    상기 복수의 이차 전지들의 상기 전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이차 전지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하는 제1 면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어 상기 측정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상기 제1 면은 상기 복수의 이차 전지들와 가까워지는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수용부의 일면에 결합되는 전지 모듈.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돌기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홈에 결합되는 전지 모듈.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제1 너비를 가지고,
    상기 돌기는 제2 너비를 가지며,
    상기 제1 너비는 상기 제2 너비보다 작은 전지 모듈.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복수의 이차 전지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연결부재의 일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돌기의 상기 제1 면은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일면과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전지 모듈.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돌기에서 연장하는 기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기둥은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는 전지 모듈.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돌기는 상기 복수의 이차 전지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연결부재의 일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재의 일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기둥은 상기 연결부재의 일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기 돌기에서 연장하여 형성되는 전지 모듈.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기둥은 제1 너비를 가진 제1 부분과 제2 너비를 가진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돌기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너비는 상기 제2 너비보다 큰 전지 모듈.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기둥에 결합되어 상기 기둥을 상기 측정부재에 고정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지 모듈.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이차 전지들 중 하나의 이차 전지의 제1 전극 단자 및 상기 하나의 이차 전지에 이웃하는 다른 이차 전지의 제2 전극 단자에 용접 결합되는 전지 모듈.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차 전지들의 상기 전극 단자들은 제1 열 및 상기 제1 열과 평행한 제2 열로 배열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열에 배열된 상기 전극 단자들 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열에 배열된 상기 전극 단자들 위에 위치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복수의 이차 전지들 중 하나의 이차 전지의 전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
    상기 복수의 이차 전지들 중 서로 이웃하는 이차 전지들의 상기 전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 및
    상기 복수의 이차 전지들 중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상기 이차 전지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이차 전지의 전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재, 상기 제2 연결부재 및 상기 제3 연결부재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지 모듈.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차 전지들은 적층되어 전지 스택을 이루고,
    상기 전지 스택은 상기 전지 스택의 제1 측면에 위치하는 제1 이차 전지, 상기 제1 측면의 반대쪽에 위치한 상기 스택의 제2 측면에 위치하는 제3 이차 전지 및 상기 제1 이차 전지 및 상기 제3 이차 전지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 이차 전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이차 전지의 전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복수의 제2 이차 전지들 중 이웃하는 전지들의 전극 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3 연결부재는 상기 제3 이차 전지의 전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지 모듈.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재는 유연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
  15. 전극 단자 및 벤트 부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이차 전지들;
    상기 복수의 이차 전지들 각각의 전압, 전류 및 온도 중 하나 이상을 측정하고 상기 벤트 부재와 마주보는 적어도 하나의 노출 개구 및 수용부를 포함하는 측정부재; 및
    상기 복수의 이차 전지들의 상기 전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수용부에 결합되어 상기 측정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재는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노출 개구를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전지 모듈.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개구와 겹쳐지게 설치되어 배출 통로를 형성하는 배출 수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지 모듈.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개구는 상기 벤트 부재를 상기 측정부재 외부로 노출시키는 전지 모듈.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개구는 복수의 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벤트 부재는 복수의 벤트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노출부는 상기 복수의 벤트 부재를 상기 측정부재의 외부로 노출시키는 전지 모듈.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개구는 상기 전지들의 벤트 부재들 모두를 상기 측정 부재의 외부로 노출 시키는 하나의 노출부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1020130155726A 2013-01-08 2013-12-13 전지 모듈 KR1018157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750096P 2013-01-08 2013-01-08
US61/750,096 2013-01-08
US14/098,573 US20140193680A1 (en) 2013-01-08 2013-12-06 Battery module
US14/098,573 2013-1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077A true KR20140090077A (ko) 2014-07-16
KR101815713B1 KR101815713B1 (ko) 2018-01-05

Family

ID=49917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5726A KR101815713B1 (ko) 2013-01-08 2013-12-13 전지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40193680A1 (ko)
EP (1) EP2752917B1 (ko)
JP (1) JP6463888B2 (ko)
KR (1) KR101815713B1 (ko)
CN (1) CN103915597B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4751A1 (ko) * 2016-12-27 2018-07-0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프레임 조립체
KR20180077695A (ko) * 2016-12-29 2018-07-0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버스바 어셈블리의 연결 구조
WO2018124494A3 (ko) * 2016-12-27 2018-08-1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버스바 어셈블리 및 프레임 조립체
KR20180099437A (ko) * 2017-02-28 2018-09-0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US10074843B2 (en) 2015-05-15 2018-09-11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11309593B2 (en) 2016-12-27 2022-04-19 Yura Corporation Co., Ltd. Flexible circuit board and frame assembly including same
US11376969B2 (en) 2016-12-27 2022-07-05 Yura Corporation Co., Ltd. Bus bar assembly and frame assembly
US11901576B2 (en) 2017-12-11 2024-02-13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35246B2 (ja) 2013-03-29 2017-05-31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JP6309499B2 (ja) * 2015-09-18 2018-04-11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スバモジュール及び電池パック
CN109148807A (zh) * 2018-08-13 2019-01-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连接装置及电池模组
US11394087B2 (en) 2018-12-11 2022-07-19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CN209747612U (zh) 2019-06-28 2019-12-06 江苏时代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模组
US11695189B2 (en) 2020-01-09 2023-07-04 Samsung Sdi Co., Ltd. Battery system with flexible printed circui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10746B4 (de) * 1998-03-12 2008-10-16 Varta Automotive Systems Gmbh Platine mit einer Schaltung zur Überwachung einer mehrzelligen Akkumulatorenbatterie
US6746797B2 (en) * 2001-07-31 2004-06-08 Delphi Technologies, Inc. Battery pack having flexible circuit connector
CA2363529A1 (en) * 2001-11-20 2003-05-20 Fci Americas Technology Inc. Press-fit bus bar for distributing power
JP5288973B2 (ja) * 2008-09-29 2013-09-11 三洋電機株式会社 角形二次電池及び電池モジュール
JP5284053B2 (ja) * 2008-11-17 2013-09-11 株式会社東芝 二次電池パック
FR2942078B1 (fr) * 2009-02-06 2011-04-08 Saft Groupe Sa Dispositif de connexion electrique entre des generateurs electrochimiques.
JPWO2011105095A1 (ja) * 2010-02-24 2013-06-20 三洋電機株式会社 バッテリモジュール、バッテリシステム、電動車両、移動体、電力貯蔵装置、電源装置および電気機器
KR101223520B1 (ko) * 2010-11-10 2013-01-17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전지 모듈
KR101532499B1 (ko) * 2011-06-03 2015-06-29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버스 바 케이스, 축전 장치, 차량
WO2013001911A1 (ja) * 2011-06-27 2013-01-03 Jx日鉱日石エネルギー株式会社 太陽電池セルの測定治具
JP5648602B2 (ja) * 2011-08-22 2015-01-0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池配線モジュール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74843B2 (en) 2015-05-15 2018-09-11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WO2018124751A1 (ko) * 2016-12-27 2018-07-0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프레임 조립체
WO2018124494A3 (ko) * 2016-12-27 2018-08-1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버스바 어셈블리 및 프레임 조립체
US11309593B2 (en) 2016-12-27 2022-04-19 Yura Corporation Co., Ltd. Flexible circuit board and frame assembly including same
US11376969B2 (en) 2016-12-27 2022-07-05 Yura Corporation Co., Ltd. Bus bar assembly and frame assembly
KR20180077695A (ko) * 2016-12-29 2018-07-0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버스바 어셈블리의 연결 구조
KR20180099437A (ko) * 2017-02-28 2018-09-0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US11217850B2 (en) 2017-02-28 2022-01-04 Yura Corporation Co., Ltd. Fram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1901576B2 (en) 2017-12-11 2024-02-13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93680A1 (en) 2014-07-10
CN103915597A (zh) 2014-07-09
KR101815713B1 (ko) 2018-01-05
JP2014135278A (ja) 2014-07-24
CN103915597B (zh) 2018-09-28
EP2752917A1 (en) 2014-07-09
EP2752917B1 (en) 2016-08-31
JP6463888B2 (ja) 2019-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5713B1 (ko) 전지 모듈
CN110168769B (zh) 电池组
US8932749B2 (en) Battery module
EP2562842B1 (en) Battery module
US8748033B2 (en) Battery pack exhibiting improved insulation performance and assembly productivity
US7947389B2 (en) Cartridge frame with connectors for battery pack
US20110165451A1 (en) Battery pack
US11424502B2 (en) Battery pack
US9653760B2 (en) Battery pack
KR20040054233A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유니트
KR20110128050A (ko) 배터리 팩
BRPI0519442B1 (pt) Set of sensor boards mounted on a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said assembly
KR101327689B1 (ko) 전지 모듈
KR102587699B1 (ko) 배터리 팩
KR20140083344A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JP2013161681A (ja) 二次電池装置
US9356326B2 (en) Top cover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US20120052349A1 (en) Rechargeable battery
EP2424007B1 (en) Rechargeable battery
US9564621B2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KR101483132B1 (ko) 전지 팩
CN219553834U (zh) 电池组
US20230216150A1 (en) Bus bar holder, bus bar assembly, and battery module
KR20150134836A (ko) 관통구가 형성된 pcb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140096611A (ko) 배터리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