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0071A - 사용자의 운동 정보 확인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운동 정보 확인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0071A
KR20140090071A KR1020130139952A KR20130139952A KR20140090071A KR 20140090071 A KR20140090071 A KR 20140090071A KR 1020130139952 A KR1020130139952 A KR 1020130139952A KR 20130139952 A KR20130139952 A KR 20130139952A KR 20140090071 A KR20140090071 A KR 20140090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state
movement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9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7911B1 (ko
Inventor
강정관
박선영
김남훈
김현성
홍현수
김명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150,326 priority Critical patent/US9619626B2/en
Publication of KR20140090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0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2/00Measuring distance traversed on the ground by vehicles, persons, animals or other moving solid bodies, e.g. using odometers, using ped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8Inclination, slope or curvat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20Distances or displac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40Accel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의 압력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이동하는 지형의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수직 및 수평 방향의 이동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휴대한 사용자의 이동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의 이동 정보 및 지형의 상태를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의 운동 정보 확인방법 및 장치{METHOD FOR DETERMINING USER EXERCIES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mobile) 장치와 같은 사용자 단말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및 부가 기능들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의 효용 가치를 높이고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고 있다.
사용자 단말에는 해당 장치의 제조사에 의해 제작되어 해당 장치에 설치되는 기본 어플리케이션들과, 인터넷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 판매 웹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추가 어플리케이션들 등이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추가 어플리케이션들은 일반 개발자들에 의해 개발되고, 상기 판매 웹사이트에 등록될 수 있다. 따라서, 누구든지 자신이 개발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판매 웹사이트를 통하여 자유롭게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게 판매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사용자 단말에는 그 제품에 따라 수만에서 수십 만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이 무료 또는 유료로 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은 개인화되는 경향이 있어 사용자가 일상에서 휴대하는 시간이 상당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의 이동 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운동량을 예측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용자의 운동량을 예측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일반적으로 모션센서 등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운동량을 예측하는 것이므로, 운동량을 대략적으로 추정하는 것에 블과하며, 사용자의 운동량을 정확하게 측정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운동량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이동하는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을 조작하지 않더라도, 사용자 단말의 이동 패턴을 분석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프로세서가 구동되어야 하므로 많은 전력을 소비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력 소모가 상대적으로 적은 센서 허브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안정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 허브를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가 오프된 상태에서도 센서의 동작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지속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가 오프된 상태에서 센서 허브를 사용하여 센서의 동작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검출함으로써, 제어부의 동작을 최소화하여 제어부의 불필요한 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의 압력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이동하는 지형의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수직 및 수평 방향의 이동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휴대한 사용자의 이동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의 이동 정보 및 지형의 상태를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의 압력정보를 검출하는 공기압 센서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수직 및 수평 방향의 이동을 검출하는 모션 센서와, 상기 공기압 센서 및 모션 센서로부터 검출되는 데이터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확인하는 프로그램을 처리하는 센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센서허브,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터치 입력 이벤트를 검출하는 스크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를 구비하되, 상기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확인하는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압력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이동하는 지형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수직 및 수평 방향의 이동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휴대한 사용자의 이동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이동 정보 및 지형의 상태를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센서 허브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소모되는 전력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 허브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가 오프된 상태에서도 센서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지속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가 오프된 상태에서 센서 허브를 사용하여 센서의 동작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검출함으로써, 제어부의 동작을 최소화하여 제어부의 불필요한 동작을 방지하여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운동 정보 확인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운동 정보 확인 방법에서 측정되는 공기압 센서 데이터를 예시하는 그래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운동 정보 확인 방법에서 경사면을 걷는 상태에서 측정되는 공기압 센서 데이터를 예시하는 그래프,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운동 정보 확인 방법에서 경사면을 뛰는 상태에서 측정되는 공기압 센서 데이터를 예시하는 그래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운동 정보 확인 방법에서 평지를 걷는 상태에서 측정되는 공기압 센서 데이터를 예시하는 그래프,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운동 정보 확인 방법에서 평지를 뛰는 상태에서 측정되는 공기압 센서 데이터를 예시하는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운동 정보 확인 방법이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의 구조를 예시하는 블록도,
도 6은 도 5에 구비된 센서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운동 정보 확인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운동 정보 확인 방법은 사용자가 이동한 지형의 정보(이하, '지형 정보'라 함.)를 확인하는 단계(10)와, 사용자의 이동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20)를 포함한다.
10단계에서, 상기 지형 정보는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의 공기압 정보를 사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공기압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가해지는 압력에 대한 정보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공기압 센서로부터 측정되어 제공되는 데이터(이하, '공기압 센서 데이터'라 함) 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공기압 센서 데이터는 미리 정해진 시간단위마다 측정되므로, 사용자의 이동 상태(걸음, 뜀 등)에 따라 편차가 크게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10단계에서, 상기 공기압 센서 데이터(원본 데이터(201))를 미리 정해진 크기의 로우 패스 필터에 적용하고, 로우 패스 필터링된 데이터(203)를 소정의 미리 정해진 시간(T, 도 2참조)동안 수집한다. 그리고, 로우 패스 필터링된 데이터(203)에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의 시작점과 끝점 사이의 공기압 센서 데이터의 차이값(D, 도 2참조)과, 상기 수집하는 동안의 공기압 센서 데이터의 변화 정보(a, 도 2참조)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압 센서 데이터의 차이값(D)과 공기압 센서 데이터의 변화 정보(a)를 사용하여, 상기 지형 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지형 정보는 사용자가 이동한 지형이 평지인지 또는 경사면인지를 지시하는 지형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지형 상태는 상기 공기압 센서 데이터의 차이값(D)과 공기압 센서 데이터의 변화 정보(a)를 사용하여 확인될 수 있는데, 특히 상기 공기압 센서 데이터의 차이값(D)과 공기압 센서 데이터의 변화 정보(a)를 사용하여 확인되는 경사도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압 센서 데이터의 차이값(D)과 공기압 센서 데이터의 변화 정보(a)를 사용하여 확인된 경사도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과 같거나, 초과하는 경우, 상기 지형 상태를 "경사면"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경사도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지형 상태를 "평지"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가방에 넣고 이동하거나, 주머니에 넣고 이동하거나, 손에 쥐어진 상태로 이동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휴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다양한 방식으로 휴대하여 이동함에 따라, 상기 공기압 센서 데이터가 다양한 값으로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개인의 신체의 특성이나, 운동 강도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한 사용자 단말의 공기압 센서 데이터가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공기압 센서 데이터의 분산이 다양하게 변화함에 따라, 상기 지형 상태의 판단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상기 지형 상태의 판단 오류를 줄이기 위하여, 미리 정의된 조건에 해당하는 기준을 가변적으로 변화시킨 후, 상기 지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운동 정보 확인 방법에서 경사면을 걷는 상태, 도 3b는 경사면을 뛰는 상태에서 측정되는 공기압 센서 데이터를 각각 예시하는 그래프이다. 그리고,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운동 정보 확인 방법에서 평지를 걷는 상태, 도 4b는 평지를 뛰는 상태에서 측정되는 공기압 센서 데이터를 각각 예시하는 그래프이다. 우선,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경사면에서, 사용자가 뛰는 상태(도 3b)에서, 상기 공기압 센서 데이터(원본 데이터(301))는 걷는 상태(도 3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분산이 크게 나타난다. 그러나, 상기 공기압 센서 데이터(원본 데이터(301))를 미리 정해진 크기의 로우 패스 필터에 적용한, 로우 패스 필터링된 데이터(303)는 분산이 크지 않아 지형상태를 안정적으로 분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평지에서, 사용자가 뛰는 상태(도 4b)에서, 상기 공기압 센서 데이터(원본 데이터(401))는 걷는 상태(도 4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분산이 크게 나타난다. 그러나, 상기 공기압 센서 데이터(원본 데이터(401))를 미리 정해진 크기의 로우 패스 필터에 적용한, 로우 패스 필터링된 데이터(403)는 분산이 크지 않아 지형상태를 안정적으로 분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의 공기압 정보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이동하는 지형에 대한 상기 지형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20단계에서, 상기 이동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소지하여 이동되는 사용자 단말의 수직 또는 수평 방향의 이동을 분석하여 확인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수직 또는 수평 방향의 이동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센서 데이터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이동 정보는, 이동 상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상태는 "뜀" 상태, "걸음" 상태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가속도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수직 또는 수평 방향에 대한 가속도 데이터의 값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과 같거나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질 경우, 상기 이동 정보를 "뜀" 상태로 확인하고, 상기 가속도 데이터의 값이 상기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작은 값을 가질 경우, 상기 이동 정보를 "걸음" 상태로 확인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 상태를 "걸음" 상태나, "뜀" 상태로 확인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기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복수 개로 설정하고, 상기 이동 상태를 "일반 걸음" 상태, "빠른 걸음" 상태, 또는 "뜀" 상태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 정보를 가속도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수직 또는 수평 방향에 대한 가속도 데이터의 값을 사용하여 결정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가방에 넣고 이동하거나, 주머니에 넣고 이동하거나, 손에 쥐어진 상태로 이동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휴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다양한 방식으로 휴대하여 이동함을 고려하여, 자이로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이동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도 있다. 예컨대, 자이로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이동하는 방향을 확인하여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휴대하더라도, 보다 정확하게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보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정보는 걸음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음수는 상기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의 주기적인 패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이동함에 대응하여, 상기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는 소정의 주기적인 패턴을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소정의 주기적인 패턴은 최대값, 원점, 최소값 사이를 반복적으로 교차하는 사인파형의 패턴일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상기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에서 사인파형의 하나의 주기가 검출되는 지점을 하나의 걸음으로 카운트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걸음수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이동 상태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소정의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서 상기 걸음수가 얼마만큼 카운트 되는지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 상태를 "뜀" 상태 또는 "걸음"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즉, 걸음수가 1초에 2.5 걸음 이하로 검출될 경우 이동 상태를 "걸음"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걸음수가 1초에 2.5 걸음을 초과 하는 것으로 검출될 경우 이동 상태를 " 뜀 "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운동 정보 확인 방법은 운동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실제 움직이지 않고, 이동체(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자동차, 선박 등)에 탑승한 채 이동되더라도, 공기압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값의 변화에 의해 상기 지형 상태가 "경사면" 또는 "평지" 상태로 확인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실제 움직이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운동량이 발생한 것으로 검출하여 운동 정보를 연산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에서, 운동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30)는 우선적으로, 상기 공기압 센서를 통해 확인된 지형 정보와, 모션 센서를 통해 확인된 상기 사용자의 이동 상태를 고려하여, 운동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의 이동 상태를 "뜀" 상태 또는 "걸음" 상태인 경우에, 상기 지형 상태가 "경사면" 또는 "평지" 상태인 지를 확인하여 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운동량 및 소모 칼로리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운동량 및 소모 칼로리는 경사면을 이동하는 경우와, 평지를 이동하는 경우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경사면을 이동하는 경우, 오르막 경사면을 이동하는지, 내리막 경사면을 이동하는지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량 및 소모 칼로리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경사면을 이동하는 경우, 경사 각도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량 및 소모 칼로리 역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30단계에서 운동정보의 확인 시, 10단계에서 확인한 지형 정보와, 20단계에서 확인한 이동 정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10단계에서 확인한 지형 정보와, 20단계에서 확인한 이동 정보를 고려하여, 하기의 표 1에 예시되는 상황에 따라, 운동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예시한 상황 별로 사용자의 운동량 및 소모 칼로리를 연산하는데 사용되는 가중치 또는 상수 파라미터 값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지형 정보 이동 상태 상황
경사면 오르막 1-1상황
걸음 1-2상황
내리막 2-1상황
걸음 2-2상황
평지 3-1상황
걸음 3-2상황
한편, 상기 경사각도는 사용자 단말이 이동되면서 확인된 공기압의 변화를 사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이 이동되면서 발생된 압력을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이 이동된 영역에서의 최고점과 최저점 사이의 길이(이하, '수직 이동 거리'라 함)를 확인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이동에 대응하여 확인되는 걸음수(StepCount)를 확인하고, 상기 걸음수(StepCount)를 사용하여, 예컨대, 상기 걸음수(StepCount)에 소정의 보폭(StepLength)을 곱셈 연산하여, 사용자가 이동한 경사면의 길이(이하, '경사면 이동 거리'라 함)를 확인한다. 그 후, 상기 수직 이동 거리(MovingDistanceVertical)와 경사면 이동 거리(MovingDistanceSlope) 사이의 관계를 고려하여, 상기 수직 이동 거리와 경사면 이동 거리를 삼각함수에 적용하여, 상기 경사각도(SlopeAngle)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경사각도(SlopeAngle)는 하기의 수학식 1을 사용하여 연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수직 이동 거리(MovingDistanceVertical)는 하기의 수학식 2에 의해 연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PressureStart"값은 경사면 시작점의 압력값이고, "PressureEnd"값은 경사면 종료점의 압력값이다.
상기 경사면 이동 거리(MovingDistanceSlope)는 하기의 수학식 3에 의해 연산될 수 있다. 또한, 경사면 이동 거리(MovingDistanceSlope)는 사용자가 이동한 거리에 대응되는 것으로써, 사용자의 운동량 및 소모 칼로리를 확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Figure pat00003
나아가, 사용자의 이동 상태, 즉 "뜀" 상태, "걸음" 상태 등에 따라 보폭(StepLength)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정확하게 상기 경사면 이동 거리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기 경사면 이동 거리의 검출시 상기 걸음수에 곱셈 연산되는 보폭 길이는 사용자의 이동 상태, 즉 "뜀" 상태, "걸음" 상태 등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경사각도의 연산 시, 보폭(StepLength)을 연산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폭(StepLength)의 연산은 하기의 수학식 4에 의해 연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4
κ, α, β, χ는 미리 저장되는 파라미터로서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사용자의 보폭 및 걸음 속도 데이터를 회귀 분석하는 방법을 통해 획득되는 상수 값일 수 있다. 그리고, 걸음 빈도 수(step Freq,)는 단위 사간당 걸음 수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예컨대, 단위시간 1초마다 검출되는 걸음 수일 수 있다.
결국, 운동정보는, 상기와 같이 연산된 경사각도(SlopeAngle)와 경사면 이동 거리(MovingDistanceSlop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30단계에서는, 상기 경사각도(SlopeAngle)와 경사면 이동 거리(MovingDistanceSlope)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소비한 칼로리(이하, '칼로리 소모량'이라 함)를 더 연산할 수 있으며, 상기 운동정보는 연산된 상기 칼로리 소모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30단계에서 연산되는 칼로리 소모량은 전술한 경사각도(SlopeAngle)를 반영하여 연산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운동량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전술한 10 내지 30단계는 운동정보를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운동정보 검출 개시를 요청하거나 사용자의 단말이 동작을 시작함에 따라 그 동작을 개시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운동정보 검출 종료를 요청하거나 사용자의 단말이 종료함에 따라 그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운동정보의 제공을 요청함에 따라, 상기 운동정보 검출 개시시점으로부터 상기 운동정보의 제공을 요청받은 시점까지 검출된 운동정보를 제공하거나,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요구하는 구간(예, 시간, 장소 등)에 대응하는 운동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운동 정보 확인 방법은, 상기 10단계의 진행하기에 앞서, 운동정보를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운동정보 검출 개시를 요청함에 대응하여, 운동정보를 검출할 소정의 구간(예, 3분)을 설정하는 단계(미 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10 내지 30단계는 상기 소정의 구간(예, 3분)단위마다 확인된 운동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할 수 있도록, 10 내지 30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운동정보 검출 개시를 요청한 시점부터, 상기 운동정보 검출 종료를 요청할 때까지, 소정의 구간(예, 3분)단위마다 운동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또 다른 예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운동 정보 확인 방법은 상기 방법이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의 “ON” 또는 “OFF” 상태를 고려하여 운동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가 “ON”상태인 경우, 10 내지 30단계는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걸음수가 카운트 될 때마다, 운동정보를 운동정보의 검출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가 “OFF”상태인 경우, 미리 정해진 시간(예컨대 20분)동안 상기 운동정보를 저장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예컨대 20분)단위 마다, 운동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나아가, 비록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운동정보의 검출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운동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운동정보와 함께 상기 지형정보, 상기 이동정보 등의 정보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예시한 10단계 및 20단계는, 이동 정보 및 지형 정보를 검출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포함된 10단계 및 20단계는 그 진행 순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10단계 및 20단계는 그 순서에 상관없이 순차적으로 진행되거나(즉, 10단계 진행 후 20단계 진행, 또는 20단계 진행 후 10단계 진행), 동시에 병렬적으로 진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비록,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지형 상태를 “경사면" 또는 "평지" 상태로 결정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형 상태는 설계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기 지형 상태는 미리 정해진 경사각도의 임계값을 기준으로 단계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경사각도가 0°초과 10°이하인 경우 제1-1단계 지형, 경사각도가 0°초과 -10°이하인 경우 제1-2단계 지형, 경사각도가 10°초과 20°이하인 경우 제2-1단계 지형, 경사각도가 -10°초과 -20°이하인 경우 제2-2단계 지형, 경사각도가 20°초과 30°이하인 경우 제3-1단계 지형, 경사각도가 -20°초과 -30°이하인 경우 제3-2단계 지형, 경사각도가 30°초과 40°이하인 경우 제4-1단계 지형, 경사각도가 -30°초과 -40°이하인 경우 제4-2단계 지형, 경사각도가 40°초과 50°이하인 경우 제5-1단계 지형, 경사각도가 -40°초과 -50°이하인 경우 제5-2단계 지형 등과 같이, 소정의 단계별 지형 상태로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이동 상태를 뜀" 상태 또는 "걸음" 상태로 결정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사용자의 이동 상태는 설계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의 이동 상태는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기준으로 단계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단위 시간(예 1초)당 걸음이 0 초과이고 1이하의 걸음일 경우 제1단계 이동, 단위 시간(예 1초)당 걸음이 1 초과이고 2 이하의 걸음일 경우 제2단계 이동, 단위 시간(예 1초)당 걸음이 2 초과이고 3 이하의 걸음일 경우 제3단계 이동, 단위 시간(예 1초)당 걸음이 3 초과이고 4 이하의 걸음일 경우 제4단계 이동, 단위 시간(예 1초)당 걸음이 4 초과이고 5 이하의 걸음일 경우 제5단계 이동 등과 같이, 소정의 단계별 이동 상태로 결정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운동 정보 확인 방법이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의 구조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제어부(110), 통신모듈(120), 입/출력 모듈(130), 센서부(140), 저장부(150), 전원공급부(160), 스크린(171), 및 스크린 컨트롤러(172)를 포함한다.
우선, 제어부(110)는 CPU(111), 사용자 단말(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12) 및 사용자 단말(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통신모듈(120), 입/출력 모듈(130), 센서부(140), 저장부(150), 전원공급부(160), 스크린(171), 및 스크린 컨트롤러(172)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10)는 싱글코어로 이루어지거나,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 등과 같이 복수의 코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코어의 수는 단말의 특성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제어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공유 서버에 업로드할 미디어 컨텐츠를 선택받고,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컨텐츠 공유 서버에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컨텐츠 공유 서버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대응하는 미디어 컨텐츠와 연동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표시할 때, 상기 미디어 컨텐츠와 연동하여 저장된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함께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통신모듈(120)은 셀룰러 모듈, 무선랜 모듈 및 근거리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이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한다. 셀룰러 모듈은 사용자 단말(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 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 PC 또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랜 모듈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무선랜 모듈은 무선으로 연결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에서 제공하는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무선랜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WPS(Wi-Fi Positioning System)를 구동할 수 있다.
근거리통신 모듈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과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처리하는 모듈로써,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근거리 통신방식에 기초하여 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30)은 버튼(131), 스피커(132), 진동모터(133), 및 키패드(13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131)은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하우징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볼륨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13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셀룰러 모듈, 무선랜 모듈 및 근거리통신 모듈의 다양한 신호(예, 무선신호, 방송신호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사용자 단말(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32)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모터(13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하우징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피커(132) 및 진동모터(133)는 사용자 단말(100)의 볼륨운영모드의 설정 상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100)의 볼륨운영모드는 소리모드, 진동모드, 소리&진동모드, 무음모드로 운영될 수 있으며, 이들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볼륨운영모드가 설정된 모드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100)이 수행하는 기능에 따라 상기 스피커(132) 또는 진동모터(133)의 동작을 지시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키패드(134)는 사용자 단말(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34)는 사용자 단말(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스크린(171)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는 사용자 단말(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통신모듈(120), 입/출력 모듈(130), 센서부(140), 스크린(171)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사용자 단말(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50), 제어부(110)내 롬(112), 램(113) 또는 사용자 단말(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저장부는 비 휘발성 메모리, 휘발성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6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는 사용자 단말(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공급부(160)는 장치에 구비된 커넥터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사용자 단말(1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60)는 무선 충전 기술을 통해 외부의 전원소스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전원을 사용자 단말(1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스크린(171)은 단말의 운영체제(OS; Operation System)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등)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스크린(171)은 유저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스크린 컨트롤러(172)로 전송할 수 있다. 스크린(171)은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예, 스타일러스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스크린(171)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스크린 컨트롤러(172)는 제어부(110)에서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가 스크린(171)에 표시될 수 있도록, 스크린(171)의 출력값을 제어한다. 그리고, 스크린 컨트롤러(172)는 스크린(171)에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예, X와 Y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스크린 컨트롤러(172)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스크린(171)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터치 이벤트 또는 호버링 이벤트에 응답하여 스크린(171)에 표시된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이 선택되게 하거나 또는 단축 아이콘(도시되지 아니함)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 컨트롤러(172)는 제어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6은 도 5에 구비된 센서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센서부(140)는 기본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의 동작(예, 사용자 단말(100)의 회전, 사용자 단말(100)에 가해지는 가속도 또는 진동)을 검출하는 모션 센서(141)와,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공기압 센서(예, 고도를 검출하는 고도계(Altimeter) 등)(142)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센서부(140)는 사용자 단말(100)의 주변 환경을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부(140)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접근 여부를 검출하는 근접센서(143a), 사용자 단말(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센서(143b), RGB 센서(143c), 지구 자기장을 이용해 방위(point of the compass)를 검출하는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143d), 중력의 작용 방향을 검출하는 중력 센서(Gravity Sensor)(143e)와 같은 센서를 선택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센서부(140)는 제어부(110)와 별도로 구비되어 내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별도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145)의 형태(예, 센서 허브)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45)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센서부(14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상기 소정의 프로그램을 수행하면서 발생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나,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기억하는데 사용되는 램(RAM)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4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운동 정보 확인 방법을 수행하는 지형정보 확인모듈(146), 이동정보 확인모듈(147), 및 운동정보 확인모듈(148)을 포함할 수 있다.
지형정보 확인모듈(146)은,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의 공기압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지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공기압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가해지는 압력에 대한 정보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공기압 센서(141)로부터 측정되어 제공되는 데이터(이하, '공기압 센서 데이터'라 함) 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공기압 센서 데이터는 미리 정해진 시간단위마다 측정되므로, 사용자의 이동 상태(걸음, 뜀 등)에 따라 편차가 크게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지형정보 확인모듈(146)은 상기 공기압 센서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크기의 로우 패스 필터에 적용하고, 로우 패스 필터링된 데이터를 소정의 미리 정해진 시간(T, 도2 참조)동안 수집한다. 그리고,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의 시작점과 끝점 사이의 공기압 센서 데이터의 차이값(D, 도2 참조)과, 상기 수집하는 동안의 공기압 센서 데이터의 변화 정보(a, 도2 참조)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압 센서 데이터의 차이값(D)과 공기압 센서 데이터의 변화 정보(a)를 사용하여, 상기 지형 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지형 정보는 사용자가 이동한 지형이 평지인지 또는 경사면인지를 지시하는 지형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지형 상태는 상기 공기압 센서 데이터의 차이값(D)과 공기압 센서 데이터의 변화 정보(a)를 사용하여 확인될 수 있는데, 특히 상기 상기 공기압 센서 데이터의 차이값(D)과 공기압 센서 데이터의 변화 정보(a)를 사용하여 확인되는 경사도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즉, 지형정보 확인모듈(146)은 상기 공기압 센서 데이터의 차이값(D)과 공기압 센서 데이터의 변화 정보(a)를 사용하여 확인된 경사도가, 미리 정해진 임계값과 같거나, 초과하는 경우, 상기 지형 상태를 "경사면"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경사도가 미리 정해진 입계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지형 상태를 "평지"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가방에 넣고 이동하거나, 주머니에 넣고 이동하거나, 손에 쥐어진 상태로 이동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휴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다양한 방식으로 휴대하여 이동함에 따라, 상기 공기압 센서 데이터가 다양한 값으로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개인의 신체의 특성이나, 운동 강도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한 사용자 단말의 공기압 센서 데이터가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공기압 센서 데이터의 분산이 다양하게 변화함에 따라, 상기 지형 상태의 판단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상기 지형 상태의 판단 오류를 줄이기 위하여, 미리 정의된 조건에 해당하는 기준을 가변적으로 변화시킨 후, 상기 지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이동정보 확인모듈(147)은 상기 사용자가 소지하여 이동되는 사용자 단말의 수직 또는 수평 방향의 이동을 분석하여, 상기 이동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수직 또는 수평 방향의 이동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모션 센서(142)로부터 입력되는 센서 데이터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이동 정보는, 이동 상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상태는 "뜀" 상태, "걸음" 상태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동정보 확인모듈(147)은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모션 센서(142)(예, 가속도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수직 또는 수평 방향에 대한 모션 데이터(가속도 데이터의) 값이 미리 정해진 임계값과 같거나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질 경우, 상기 이동 정보를 "뜀" 상태로 확인하고, 상기 모션 데이터(가속도 데이터의)의 값이 상기 미리 정해진 임계값보다 작은 값을 가질 경우, 상기 이동 정보를 "걸음" 상태로 확인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정보 확인모듈(147)이 상기 이동 상태를 "걸음" 상태나, "뜀" 상태로 확인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이동정보 확인모듈(147)은 상기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복수 개로 설정하고, 상기 이동 상태를 "일반 걸음" 상태, "빠른 걸음" 상태, 또는 "뜀" 상태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정보 확인모듈(147)은 상기 이동 정보를 된 가속도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수직 또는 수평 방향에 대한 가속도 데이터의 값을 사용하여 결정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가방에 넣고 이동하거나, 주머니에 넣고 이동하거나, 손에 쥐어진 상태로 이동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휴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다양한 방식으로 휴대하여 이동함을 고려하여, 이동정보 확인모듈(147)은 자이로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이동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이동정보 확인모듈(147)은 자이로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이동하는 방향을 확인하여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휴대하더라도, 보다 정확하게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보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정보는 걸음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정보 확인모듈(147)은 상기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의 주기적인 패턴을 통해 상기 걸음수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이동함에 대응하여, 상기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는 소정의 주기적인 패턴을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소정의 주기적인 패턴은 최대값, 원점, 최소값 사이를 반복적으로 교차하는 사인파형의 패턴일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이동정보 확인모듈(147)은 상기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에서 상기 사인파형의 하나의 주기를 하나의 걸음으로 카운트할 수 있다.
나아가, 이동정보 확인모듈(147)은 상기 걸음수를 반영하여, 사용자의 이동 상태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소정의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서 상기 걸음수가 얼마만큼 카운트 되는지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 상태를 "뜀" 상태 또는 "걸음"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즉, 걸음수가 1초에 2.5 걸음 이하로 검출될 경우 이동정보 확인모듈(147)은 이동 상태를 "걸음"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걸음수가 1초에 2.5 걸음을 초과 하는 것으로 검출될 경우 이동정보 확인모듈(147)은 이동 상태를 " 뜀 "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운동정보 확인모듈(148)은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이동 정보 및 지형정보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운동정보(예, 운동량, 칼로리 소모량 등)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실제 움직이지 않고, 이동체(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자동차, 선박 등)에 탑승한 채 이동되더라도, 공기압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값의 변화에 의해 상기 지형 상태가 "경사면" 또는 "평지" 상태로 확인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실제 움직이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운동량이 발생한 것으로 검출하여 운동 정보를 연산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에서, 운동정보 확인모듈(148)은 우선적으로, 상기 공기압 센서를 통해 확인된 지형 정보와, 모션 센서를 통해 확인된 상기 사용자의 이동 상태를 고려하여, 운동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의 이동 상태를 "뜀" 상태 또는 "걸음" 상태인 경우에, 상기 지형 상태가 "경사면" 또는 "평지" 상태인 지를 확인하여 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운동량 및 소모 칼로리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운동량 및 소모 칼로리는 경사면을 이동하는 경우와, 평지를 이동하는 경우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경사면을 이동하는 경우, 오르막 경사면을 이동하는지, 내리막 경사면을 이동하는지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량 및 소모 칼로리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경사면을 이동하는 경우, 경사 각도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량 및 소모 칼로리 역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30단계에서 운동정보의 확인 시, 10단계에서 확인한 지형 정보와, 20단계에서 확인한 이동 정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운동정보 확인모듈(148)은 상기 지형 정보와, 이동 정보를 고려하여, 전술한 표 1에 예시되는 상황에 따라, 운동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표 1에 예시한 상황 별로 사용자의 운동량 및 소모 칼로리를 연산하는데 사용되는 가중치 또는 상수 파라미터 값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운동정보 확인모듈(148)은 사용자 단말이 이동되면서 확인된 공기압의 변화를 사용하여 상기 경사각도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운동정보 확인모듈(148)은 사용자 단말이 이동되면서 발생된 압력을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이 이동된 영역에서의 최고점과 최저점 사이의 길이(이하, '수직 이동 거리'라 함)를 확인한다. 그리고, 운동정보 확인모듈(148)은 사용자 이동에 대응하여 확인되는 걸음수(StepCount)를 확인하고, 상기 걸음수(StepCount)를 사용하여, 예컨대, 상기 걸음수(StepCount)에 소정의 보폭(StepLength)을 곱셈 연산하여, 사용자가 이동한 경사면의 길이(이하, '경사면 이동 거리'라 함)를 확인한다. 그 후, 운동정보 확인모듈(148)은 상기 수직 이동 거리(MovingDistanceVertical)와 경사면 이동 거리(MovingDistanceSlope) 사이의 관계를 고려하여, 상기 수직 이동 거리와 경사면 이동 거리를 삼각함수에 적용하여, 상기 경사각도(SlopeAngle)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경사각도(SlopeAngle)는 전술한 수학식 1을 사용하여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운동정보 확인모듈(148)은 전술한 수학식 2의 연산을 통해 상기 수직 이동 거리(MovingDistanceVertical)를 확인할 수 있고, 수학식 3의 연산을 통해 상기 경사면 이동 거리(MovingDistanceSlope)를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의 이동 상태, 즉 "뜀" 상태, "걸음" 상태 등에 따라 보폭(StepLength)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정확하게 상기 경사면 이동 거리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기 경사면 이동 거리의 검출시 상기 걸음수에 곱셈 연산되는 보폭 길이는 사용자의 이동 상태, 즉 "뜀" 상태, "걸음" 상태 등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운동정보 확인모듈(148)은 상기 경사각도의 연산 시, 보폭(StepLength)을 연산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보폭(StepLength)의 연산은 전술한 수학식 4의 연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결국, 운동정보 확인모듈(148)은 운동정보로서, 상기와 같이 연산된 경사각도(SlopeAngle)와 경사면 이동 거리(MovingDistanceSlope)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운동정보 확인모듈(148)은 상기 경사각도(SlopeAngle)와 경사면 이동 거리(MovingDistanceSlope)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소비한 칼로리(이하, '칼로리 소모량'이라 함)를 더 연산할 수 있으며, 상기 운동정보에 연산된 상기 칼로리 소모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운동정보 확인모듈(148)이 연산한 칼로리 소모량은 전술한 경사각도(SlopeAngle)를 반영한 것으로, 사용자의 운동량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45)은 제어부(110)의 요청에 따라, 운동정보 검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운동정보의 검출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여, 제어부(110)는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45)으로 상기 운동정보 검출 개시 또는 종료를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45)은 상기 운동정보 검출 개시 또는 종료의 요청에 대응하여, 지형정보 확인모듈(146), 이동정보 확인모듈(147), 및 운동정보 확인모듈(148)의 동작 개시 또는 종료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가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45)으로 상기 운동정보 검출 개시를 요청함에 따라,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45)은 지형정보 확인모듈(146), 이동정보 확인모듈(147), 및 운동정보 확인모듈(148)의 동작 개시하여 전술한 운동정보를 검출하는 동작을 진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10)가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45)으로 상기 운동정보의 제공을 요청함에 따라,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45)은 지형정보 확인모듈(146), 이동정보 확인모듈(147), 및 운동정보 확인모듈(148)을 통해 검출된 운동정보를 제어부(110)에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검출된 운동정보는 상기 운동정보 검출 개시시점으로부터 상기 운동정보의 제공을 요청받은 시점까지 누적 및 저장된 운동정보를 제공하거나, 제어부(110)에서 요구하는 구간(예, 시간, 장소 등)에 대응하는 운동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써, 제어부(110)에서 상기 운동정보 검출 개시를 요청함에 대응하여,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45)은 운동정보를 검출할 소정의 구간(예, 3분)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45)은 상기 소정의 구간(예, 3분)동안 운동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소정의 구간(예, 3분)단위 마다 상기 저장된 운동정보를 제어부(110) 측에 제공할 수도 있다.
나아가, 또 다른 예로써,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45)은 사용자 단말(100)의 스크린(171)의 “ON” 또는 “OFF” 상태를 고려하여 지형정보 확인모듈(146), 이동정보 확인모듈(147), 및 운동정보 확인모듈(148)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이들 모듈(146, 147, 148)을 통해 검출되는 운동정보를 제어부(110) 측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운동정보의 검출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여, 제어부(110)는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45)으로 상기 운동정보의 검출을 요청하고,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45)은 지형정보 확인모듈(146), 이동정보 확인모듈(147), 및 운동정보 확인모듈(148)의 동작을 개시하여 전술한 운동정보를 검출하는 동작을 진행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의 스크린(171)이 “ON” 상태인 경우,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45)은 이동정보 확인모듈(147)에 의해 걸음수가 카운트 될 때마다, 지형정보 확인모듈(146), 이동정보 확인모듈(147), 및 운동정보 확인모듈(148)을 통해 검출되는 운동정보를 제어부(110)로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 단말(100)의 스크린(171)이 “OFF” 상태인 경우,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45)은 지형정보 확인모듈(146), 이동정보 확인모듈(147), 및 운동정보 확인모듈(148)을 통해 검출되는 운동정보를 미리 정해진 시간(예컨대 20분)동안 운동정보를 저장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예컨대 20분)단위 마다 주기적으로, 상기 저장된 운동정보를 제어부(110) 로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 단말(100)에 구비된 스크린(171)의 “ON” 또는 “OFF” 상태는 제어부(110)에서 확인 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스크린(171)의 “ON” 또는 “OFF” 상태를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45)으로 제공하고,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45)이 스크린(171)의 “ON” 또는 “OFF” 상태를 고려하여 운동정보를 제어부(110)에 제공하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가 스크린(171)의 “ON” 상태임을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45)으로 제공하면,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45)은 이동정보 확인모듈(147)에 의해 걸음수가 카운트 될 때마다, 검출되는 운동정보를 제어부(11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가 스크린(171)의 “OFF” 상태임을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45)으로 제공하면,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45)은 미리 정해진 시간(예컨대 20분) 동안 운동정보를 저장하고, 미리 정해진 시간(예컨대 20분)단위 마다 주기적으로 상기 저장된 운동정보를 제어부(110)로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비록 전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145)이 제어부(110)로 운동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운동정보와 함께 지형정보 확인모듈(146)에 의해 확인된 지형정보, 이동정보 확인모듈(147)에 의해 확인된 이동정보 등의 정보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비록,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지형정보 확인모듈(146)이 상기 지형 상태를 “경사면" 또는 "평지" 상태로 결정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형 상태는 설계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기 지형 상태는 미리 정해진 경사각도의 임계값을 기준으로 단계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정보 확인모듈(147)은 경사각도가 0°초과 10°이하인 경우 제1-1단계 지형, 경사각도가 0°초과 -10°이하인 경우 제1-2단계 지형, 경사각도가 10°초과 20°이하인 경우 제2-1단계 지형, 경사각도가 -10°초과 -20°이하인 경우 제2-2단계 지형, 경사각도가 20°초과 30°이하인 경우 제3-1단계 지형, 경사각도가 -20°초과 -30°이하인 경우 제3-2단계 지형, 경사각도가 30°초과 40°이하인 경우 제4-1단계 지형, 경사각도가 -30°초과 -40°이하인 경우 제4-2단계 지형, 경사각도가 40°초과 50°이하인 경우 제5-1단계 지형, 경사각도가 -40°초과 -50°이하인 경우 제5-2단계 지형 등과 같이, 소정의 단계별 지형 상태로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동정보 확인모듈(147)이 상기 사용자의 이동 상태를 뜀" 상태 또는 "걸음" 상태로 결정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사용자의 이동 상태는 설계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의 이동 상태는 미리 정해진 임계값을 기준으로 단계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정보 확인모듈(147)은 단위 시간(예 1초)당 걸음이 0 초과이고 1이하의 걸음일 경우 제1단계 이동, 단위 시간(예 1초)당 걸음이 1 초과이고 2 이하의 걸음일 경우 제2단계 이동, 단위 시간(예 1초)당 걸음이 2 초과이고 3 이하의 걸음일 경우 제3단계 이동, 단위 시간(예 1초)당 걸음이 3 초과이고 4 이하의 걸음일 경우 제4단계 이동, 단위 시간(예 1초)당 걸음이 4 초과이고 5 이하의 걸음일 경우 제5단계 이동 등과 같이, 소정의 단계별 이동 상태로 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기 설정된 컨텐츠 보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컨텐츠 보호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프로그램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의 제공 요청을 수신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프로그램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의 제공 요청이 없는 경우에도,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단말이 특정 장소 내에 위치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프로그램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의 압력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이동하는 지형의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수직 및 수평 방향의 이동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휴대한 사용자의 이동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의 이동 정보 및 지형의 상태를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운동 정보 확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이동 정보는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운동 정보 확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이동 정보는 걷는 상태 및 뛰는 상태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이동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운동 정보 확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이동 정보는,
    상기 이동 상태, 걸음 수, 및 사용자의 보폭을 고려한 이동 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운동 정보 확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정보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모션 센서 및 공기압 센서에 의해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마다 측정되는 데이터를 반영하여, 사용자 단말의 수직 및 수평 방향의 이동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운동 정보 확인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센서는,
    자이로 센서 및 지자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운동 정보 확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이동 정보는 걸음 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운동 정보 확인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이동하는 지형의 상태는,
    경사 각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운동 정보 확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운동 정보는,
    상기 경사 각도를 반영하여 연산한 사용자의 칼로리 소모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운동 정보 확인 방법.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은,
    미리 정해진 단위 시간에 포함된 걸음 수를 기준으로 걷는 상태 및 뛰는 상태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이동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운동 정보 확인 방법.
  11.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확인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의 압력정보를 검출하는 공기압 센서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수직 및 수평 방향의 이동을 검출하는 모션 센서와, 상기 공기압 센서 및 모션 센서로부터 검출되는 데이터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확인하는 프로그램을 처리하는 센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센서허브,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를 구비하되,
    상기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확인하는 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압력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이동하는 지형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수직 및 수평 방향의 이동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휴대한 사용자의 이동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의 이동 정보 및 지형의 상태를 반영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확인하는 프로그램은,
    스크린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운동 정보를 제어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이동 정보는 걷는 상태 및 뛰는 상태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이동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이동 정보는,
    상기 이동 상태, 걸음 수, 및 사용자의 보폭을 고려한 이동 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확인하는 프로그램은,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모션 센서에 의해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마다 측정되는 수직 및 수평 방향의 변위 데이터를 반영하여, 사용자 단말의 수직 및 수평 방향의 이동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센서는,
    자이로 센서 및 지자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이동 정보는 걸음 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이동하는 지형의 상태는,
    경사 각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운동 정보는,
    상기 경사 각도를 반영하여 연산한 사용자의 칼로리 소모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은,미리 정해진 단위 시간에 포함된 걸음 수를 기준으로 걷는 상태 및 뛰는 상태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이동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KR1020130139952A 2013-01-08 2013-11-18 사용자의 운동 정보 확인방법 및 장치 KR102197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150,326 US9619626B2 (en) 2013-01-08 2014-01-08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exercise information of u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750082P 2013-01-08 2013-01-08
US61/750,082 2013-0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071A true KR20140090071A (ko) 2014-07-16
KR102197911B1 KR102197911B1 (ko) 2021-01-04

Family

ID=51737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9952A KR102197911B1 (ko) 2013-01-08 2013-11-18 사용자의 운동 정보 확인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91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009208A1 (de) 2014-07-16 2016-01-21 Mando Corporation Notbremssystem zum schützen eines sich bewegenden objekts und verfahren zur steuerung desselben
KR20170001377A (ko) * 2015-06-26 201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운동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60540A (ko)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와이즈웰니스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
KR20180060541A (ko)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와이즈웰니스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운동량 측정 장치 및 방법
WO2018236082A1 (en) * 2017-06-20 2018-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ETERMINING BAROMETRIC SENSOR DATA USING DATA OBTAINED FROM A MOTION SENSOR AND CORRESPONDING ELECTRONIC DEVICE
CN110638456A (zh) * 2018-06-27 2020-01-03 斯沃奇集团研究和开发有限公司 用于计算跑步或行走个体的实时步长和速度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3433A (ja) * 2005-09-29 2007-04-12 Hitachi Ltd 歩行者の動態検知装置
JP2008281494A (ja) * 2007-05-11 2008-11-20 Fujitsu Ltd 位置検出携帯端末装置、方位決定方法および方位決定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3433A (ja) * 2005-09-29 2007-04-12 Hitachi Ltd 歩行者の動態検知装置
JP2008281494A (ja) * 2007-05-11 2008-11-20 Fujitsu Ltd 位置検出携帯端末装置、方位決定方法および方位決定プログラム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009208A1 (de) 2014-07-16 2016-01-21 Mando Corporation Notbremssystem zum schützen eines sich bewegenden objekts und verfahren zur steuerung desselben
DE102015009208B4 (de) 2014-07-16 2019-03-28 Mando Corporation Notbremssystem zum schützen eines sich bewegenden objekts und verfahren zur steuerung desselben
KR20170001377A (ko) * 2015-06-26 201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운동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60540A (ko)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와이즈웰니스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운동 관리 시스템
KR20180060541A (ko)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와이즈웰니스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운동량 측정 장치 및 방법
WO2018236082A1 (en) * 2017-06-20 2018-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ETERMINING BAROMETRIC SENSOR DATA USING DATA OBTAINED FROM A MOTION SENSOR AND CORRESPONDING ELECTRONIC DEVICE
KR20180137915A (ko) * 2017-06-20 2018-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모션 센서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압 센서의 데이터를 결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US10900780B2 (en) 2017-06-20 2021-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etermining data of barometer sensor using data obtained from motion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for the same
CN110638456A (zh) * 2018-06-27 2020-01-03 斯沃奇集团研究和开发有限公司 用于计算跑步或行走个体的实时步长和速度的方法
US11412956B2 (en) 2018-06-27 2022-08-16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Methods for computing a real-time step length and speed of a running or walking individu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7911B1 (ko) 2021-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37849B1 (en) Automated detection of vehicle parking and location
KR102197911B1 (ko) 사용자의 운동 정보 확인방법 및 장치
CN106055364B (zh) 一种启动应用方法及终端设备
EP3316259B1 (en) Method for recognizing user activity and electronic device for the same
JP6469708B2 (ja) 常時オン気圧計で位置決め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96196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exercise information of user
EP3114556B1 (en) Proximity sensor-based interactions
US20160144236A1 (en) Exercis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0831792B2 (en) Sensor information u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170138667A (ko)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KR20170136317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P3249498B1 (en) Display screen controlling method and apparatus
WO2016184276A1 (zh) 一种人脸关键点位定位结果的评估方法,及评估装置
EP3330972A1 (en) Method for obtaining heart rate and electronic device for the same
CN106293076A (zh) 通信终端及智能终端手势识别方法和装置
US11059438B2 (en) Vehicle on-boarding recogni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same
US20180253161A1 (en) Spatial motion-based user interactivity
KR20180137915A (ko) 모션 센서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압 센서의 데이터를 결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US20150002417A1 (en) Method of processing user input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WO2020221109A1 (zh) 一种移动距离计算方法、装置以及系统
KR102091710B1 (ko) 좌표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5769209A (zh) 一种计算热量消耗的方法及电子设备
EP3144636B1 (en) Movement state detection mobile device, movement state detection method, and movement state detection program
WO2018133211A1 (zh) 一种双屏电子设备的屏幕切换方法及双屏电子设备
KR20150009833A (ko) 장소 인식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