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0052A - Support frame and displyay apparatus and television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upport frame and displyay apparatus and television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0052A
KR20140090052A KR1020130017723A KR20130017723A KR20140090052A KR 20140090052 A KR20140090052 A KR 20140090052A KR 1020130017723 A KR1020130017723 A KR 1020130017723A KR 20130017723 A KR20130017723 A KR 20130017723A KR 20140090052 A KR20140090052 A KR 20140090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support frame
pair
fram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7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36887B1 (en
Inventor
박재후
김의석
정현준
최수안
황광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3/770,331 priority Critical patent/US9538117B2/en
Priority to AU2013204014A priority patent/AU2013204014B2/en
Priority to CA2837945A priority patent/CA2837945C/en
Priority to BR102013033029-9A priority patent/BR102013033029A2/en
Priority to RU2013157508/08A priority patent/RU2595919C2/en
Priority to FR1363711A priority patent/FR3000781B3/en
Priority to DE202014100025.9U priority patent/DE202014100025U1/en
Priority to EP14150280.7A priority patent/EP2752610A3/en
Priority to MX2014000016A priority patent/MX360138B/en
Priority to CN201420009145.3U priority patent/CN203788387U/en
Priority to JP2014001267A priority patent/JP6403384B2/en
Priority to CN201410007445.2A priority patent/CN103916613A/en
Publication of KR20140090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00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8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29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splay device, e.g. CRT or LCD mon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frame,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a televis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unit to display an image is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is installed at a preset height through the support frame.

Description

지지프레임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텔레비전{SUPPORT FRAME AND DISPLYAY APPARATUS AND TELEVISION HAV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frame,

본 발명은 화면이 표시되는 텔레비전과 같은 디스플레이 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과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a display unit, such as a television, on which a screen is displayed, and a display device having the support frame.

일반적으로 텔레비전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한 장치이다. A display device such as a television is generally a device including a display unit on which a screen is displayed.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유닛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일정 높이에 배치되어야만 한다.In such a display device, the display unit must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to be easily seen by a user.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이 일정 높이에 배치된 상태로 사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스탠드를 연결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이 스탠드를 통해 책상이나 각종 선반 등의 상면에 올려진 상태로 사용되도록 하거나, 벽에 고정된 고정 브래킷에 디스플레이 유닛을 설치하여 벽걸이 형태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In order to use the display unit in a state where the display unit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 stand is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display unit can be used in a state where the display unit is mounted on a top surface of a desk or various shelves through a stand, It is common to install a display unit on the bracket and use it as a wall moun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새로운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유닛이 일정 높이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텔레비전을 제공한다.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and a television which allow a display unit to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a new manner.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텔레비전은 한 쌍의 측부 프레임을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을 지지하는 레그와,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양측과 상기 두 측부프레임을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연결 조립체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상기 지지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In addition, a televis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side frames, a support frame, a leg extending obliquely from the support frame to support the support frame, a display unit, and both sides of the display unit, The pair of connection assemblies movably supporting the display unit on the support frame.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회전 각도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힌지유닛과, 상기 한 쌍의 힌지유닛과 상기 한 쌍의 측부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연결축을 포함한 상기 연결 조립체를 통해 조절 가능하다. Further, the rotation angle of the display unit is adjustable through the connection assembly including a pair of hinge unit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display unit, and a connection shaft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hinge units and the pair of side frames .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회전 각도 및 높이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힌지유닛과, 상기 한 쌍의 측부 프레임 내에 설치된 한 쌍의 지지유닛과, 상기 한 쌍의 힌지유닛과 상기 한 쌍의 지지유닛 사이에 배치된 연결축을 포함한 상기 연결 조립체를 통해 조절 가능하다.The display unit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hinge unit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play unit, a pair of support units installed in the pair of side frames, and a pair of hinge units, And is adjustable through the connecting assembly including a connecting shaft disposed between the units.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부 영역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패널 구동기판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하부 영역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패널 구동기판을 포함한다.The display unit includes a display panel, a first panel drive substrate disposed on the display unit and controlling driving of the display panel upper area, and a second panel drive substrate disposed below the display unit, And a second panel drive substrate for controlling the second panel drive substrate.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로 연장된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이 감긴 보빈과, 상기 보빈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빈 가이드레일과, 상기 보빈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A cable extending between the support frame and the display unit; a bobbin wound with the cable; a bobbin guide rail movably mounted on the bobbin; and an elastic membe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obbin.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지면에 지지되는 하부 프레임부와, 상기 하부프레임 상측에 배치되며 그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측부프레임을 통해 상기 하부프레임과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연결 조립체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사이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The support frame includes a lower frame portion supported on the ground, and an upper fram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frame and having opposite ends connected to the lower frame via the pair of side frames, Allows the display unit to move up and down betwee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또한 상부 프레임부와 상기 하부 프레임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세로 길이 보다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frame part and the lower frame part is larg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세워진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한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on which a screen is displayed, and a support frame which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on which the display unit is installed.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레그를 더 포함한다.And a leg extending rearward from the support frame and supported on the ground.

또한 상기 레그는 상기 지지프레임으로 후방 하측을 항하여 경사지게 연장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레그를 더 포함한다.Further, the leg further includes a leg extending obliquely downwardly and supported on the ground in a rearward direction with the support frame.

또한 상기 레그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으로부터 후방 하측을 향해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와, 상기 한 쌍의 연장부들의 후단을 연결하며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Further, the legs include a pair of extending portions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toward the rear lower side, and a suppor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rear ends of the pair of extending portions and supported on the ground.

또한 상기 레그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legs are detachably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지면에 지지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측에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단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사이의 거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하 폭 보다 크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 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support frame includes a lower frame supported on the ground, an upper frame spaced parallel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frame, and a pair of side frames connecting the upper frame and both ends of the lower frame,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is larger than the vertical width of the display unit, and the display unit is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in the support frame.

또한 일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양측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연결축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연결축의 타단을 각각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유닛을 더 포함한다.A pair of connection shafts, one end of which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display unit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and a pair of connection shafts provided on the support frame, And a pair of supporting units.

또한 상기 지지유닛은 중공의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로드를 포함한 가스 스프링을 포함한다.The support unit also includes a hollow cylinder and a gas spring including a rod movably mounted on the cylinder.

또한 상기 연결축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락킹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하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축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슬롯과, 상기 가이드슬롯에 상기 락킹부재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락킹부재가 삽입되는 락킹홈을 포함한다.And a locking member provided on the connection shaft so as to be movable in an axial direction, wherein the support frame has a guide slot extending vertically so that the connection shaft is vertically movable, And a locking groove provided in the corresponding shape and into which the locking member is inserted.

또한 상기 연결축에 설치되어 상기 락킹부재를 상기 락킹홈을 향해 탄성 지지하는 락킹 스프링을 더 포함한다.And a locking spring installed on the connecting shaft to elastically support the locking member toward the locking groove.

또한 상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상기 와이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display un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wire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and a lower end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전후로 틸팅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display unit is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so as to be tiltable forward and backward.

또한 일단은 지지프레임에 설치되고 타단은 디스플레이 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축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함께 회전하는 힌지유닛을 더 포함한다.And a hinge unit mounted on the display unit, the hinge unit being rotatably mounted on the display unit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display unit, .

또한 상기 힌지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브래킷을 포함한다.Further, the hinge unit includes a fixing bracket fixed to the display unit, and a hinge bracket installed on the fixing bracket and the connection shaft is rotatably installed.

또한 상기 힌지유닛은 상기 고정브래킷에 상기 힌지브래킷과 나란히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마찰부가 형성된 마찰 브래킷과, 상기 연결축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마찰부와 마찰하는 마찰부재와, 상기 연결축에 설치되어 상기 마찰부재를 상기 마찰부로 가압하는 마찰스프링을 포함한다.The hinge unit may include a friction bracket provided on the fixing bracket in parallel with the hinge bracket and having a frictional portion for restricting rotation of the display unit and a friction bracket fixed to the connection shaft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shaft, And a friction spring installed on the connection shaft and pressing the friction member with the friction portion.

또한 상기 마찰부재는 180도 미만의 중심각을 갖는 부채꼴로 형성된다.Further, the friction member is formed as a sector having a central angle of less than 180 degrees.

또한 상기 힌지유닛은 상단은 상기 마찰브래킷의 상기 연결축 상측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연결축의 하부를 탄성 지지하는 지지 스프링을 포함한다.The upper end of the hinge unit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ion shaft of the friction bracket, and the lower end of the hinge unit includes a support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shaft.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display uni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지면에 지지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측에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단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측부프레임 사이의 거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좌우 폭 보다 크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 내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support frame includes a lower frame supported on the ground, an upper frame spaced parallel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frame, and a pair of side frames connecting the upper frame and both ends of the lower frame,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side frames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isplay unit, and the display unit is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left and right in the support frame.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복수의 서브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The support frame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ub-speakers.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카메라를 더 포함한다.The support frame further includes a camera.

또한 상기 카메라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다.Further, the camera is rotatably installed and is rotated and protrudes from the support frame.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그 후면 하부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메인 스피커를 포함한다.The display unit also includes a pair of main speaker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rear side of the display unit.

또한 신호 입출력을 위한 입출력 유닛을 더 포함한다.And further includes an input / output unit for signal input / output.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레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그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으로부터 후방 하측을 향해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와, 상기 한 쌍의 연장부의 후단을 연결하며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출력 유닛은 상기 지지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And a leg extending rearward from the support frame and supported on the ground, wherein the leg includes a pair of extending portions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toward the rear lower side, and a pair of connecting portions connecting the rear ends of the pair of extending portions And a support portion supported on the ground, wherein the input / output unit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portion.

또한 상기 입출력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면에 설치된다.Further, the input / output unit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또한 상기 입출력 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된다.Further, the input / output unit is installed in the support frame.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기판을 더 포함한다.The display unit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circuit board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로기판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기판과, 영상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신호처리기판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내장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을 제어하는 패널 구동기판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내장된 백라이트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백라이트 구동기판을 포함한다.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one circuit board includes a power source substrate for supplying power, a signal processing substrate for processing a video signal, a panel drive substrate for controlling driving of a display panel built in the display unit, And a backlight driving substrate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built-in backlight unit.

또한 일단은 지지프레임에 설치되고 타단은 디스플레이 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축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함께 회전하는 힌지유닛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연결축의 타단을 각각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유닛과, 상기 힌지유닛을 통해 연장되어 상기 지지프레임 내에 배치된 전자부품들과 상기 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연결 케이블을 더 포함한다.A hinge unit mounted on the display unit, the hinge unit being rotatably installed on the display unit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display unit; A pair of support units installed on the frame and supporting the other ends of the pair of connection shafts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respectively; and a pair of support units extending through the hinge unit and connecting the electronic components disposed in the support frame to the circuit board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cable.

또한 지지프레임은 상기 연결 케이블이 감기는 보빈과, 상기 보빈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빈 가이드레일과, 상기 보빈을 하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frame includes a bobbin to which the connection cable is wound, a bobbin guide rail to which the bobbin is vertically movable, and an elastic member to elastically support the bobbin downward.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으로부터 연장된 케이블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케이블의 일부 구간이 수용되는 케이블 수용홈과, 상기 케이블 수용홈을 덮어 가리는 케이블 커버를 포함한다.At least one of the pair of extension portions includes a cable receiving groove in which a portion of the cable is accommodated, and a cable cover which covers the cable receiving groove.

또한 신호 입출력을 위한 입출력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은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과, 상기 입출력 유닛과 연결되는 입출력 케이블을 포함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input / output unit for signal input / output, wherein the cable includes a power cabl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put / output cable connected to the input / output unit.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지프레임은 세워진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설치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fram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with a display unit i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 및 텔레비전은 세워진 사각형상의 지지프레임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 텔레비전을 일정 높이에 배치한 상태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n be installed in a state where the display unit televisions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height through the rectangular supporting frame.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 및 텔레비전은 지지프레임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유닛 및 텔레비전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isplay unit and the television are vertically movable on the support frame, the height of the display unit and the television can be easily adjusted.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 및 텔레비전은 지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유닛 및 텔레비전을 전후로 틸팅하거나 좌우로 회전 시킬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display unit and the television are rotatably installed in the support frame, the display unit and the television can be tilted back and forth or rotated left and righ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전자부품들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벽에 붙여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하 이동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유닛의 전후 방향 회전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축 및 힌지유닛의 설치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축 및 힌지유닛의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A부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카메라의 동작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케이블 지지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케이블 수용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6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6 및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하 이동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후 방향 회전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7 및 도 3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 이동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지지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측부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단면도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0 및 도 5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유닛의 좌우 이동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5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유닛의 좌우 회전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5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지지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5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지지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 5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지지프레임의 배면도이다.
도 5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지지프레임의 좌측면도이다.
도 5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지지프레임의 우측면도이다.
도 5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지지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5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지지프레임의 저면도이다.
도 6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지지프레임의 배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diagram of electronic components applied to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wall.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rtical movement of a display unit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rear rotation of a display unit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a connection shaft and a hinge unit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a connection shaft and a hinge unit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12 and 1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a camera applied to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ble supporting structure applied to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ble receiving structure applied to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front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rear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left sid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right sid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plan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bottom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and 27 are front views showing a vertical movement of the display unit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8 and 29 are side views showing a front-rear direction rota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0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1 is a front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2 is a rear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3 is a sid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4 is a plan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5 is a bottom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7 and 38 are front views showing a vertical movement of a display device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9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frame applied to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0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de frame applied to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2 is a front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3 is a rear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4 is a left sid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5 is a right sid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6 is a plan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7 is a bottom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8 is a plan 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0 and FIG. 51 are front views showing a leftward and rightward movement of a display unit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eft-right rotation of a display unit in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frame applied to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4 is a front view of a support frame applied to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5 is a rear view of a support frame applied to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6 is a left side view of a support frame applied to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7 is a right side view of a support frame applied to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8 is a plan view of a support frame applied to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9 is a bottom view of a support frame applied to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0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frame applied to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유닛(10)과, 세워진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디스플레이 유닛(10)이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프레임(20)은 후방 상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세워진다. 1 to 3,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10 o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a support frame 20 which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on which a display unit 10 is installed, (20).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frame 20 is inclined upward toward the rear upper side.

디스플레이 유닛(10)은 디스플레이 유닛(10)의 후면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각종 회로기판(11)과, 디스플레이 유닛(10)의 후면에 회로기판(11)을 덮도록 설치되는 후면 커버(12)와, 디스플레이 유닛(10)의 하부 양측에 배치되어 소리를 출력하는 한 쌍의 메인 스피커(13R, 13L)를 포함한다.The display unit 10 includes various circuit boards 11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0 to control the display device and a rear cover (not shown)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0 to cover the circuit board 11 And a pair of main speakers 13R and 13L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0 and outputting sound.

회로기판(11)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기판(11a)과, 영상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신호처리기판(11b)과, 디스플레이 유닛(10) 내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을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패널 구동기판(11b, 11c)과, 디스플레이 유닛(10) 내에 포함된 백라이트유닛(미도시)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백라이트 구동기판(11e)을 포함한다. The circuit board 11 includes a power supply board 11a for supplying power to the display apparatus, a signal processing board 11b for processing video signals, and a display panel (not shown)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10 Panel driving boards 11b and 11c for controlling driving and a backlight driving board 11e for controlling driving of a backlight unit (not shown)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10. [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0)은 큰 화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총 네 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며, 패널 구동기판(11c, 11d)은 네 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두 개의 패널 구동기판(11c, 11d)을 포함한다. 두 개의 패널 구동기판(11c, 11d) 중 제 1 패널 구동기판(11c)은 디스플레이 유닛(10)의 상부, 즉, 백라이트 구동기판(11e)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부에 위치한 두 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을 제어하며, 제 2 패널 구동기판(11d)은 디스플레이 유닛(10)의 하부, 즉, 백라이트 구동기판(11e)의 하측에 배치되어 하부에 위치한 두 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을 제어한다.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유닛(10)에 외부 신호가 입력될 수 있도록 하거나,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발생한 각종 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출력 유닛(80)을 포함한다. 입출력 유닛(80)은 각종 입출력 단자를 포함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입출력 유닛(80)은 후술할 레그(30)에 설치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display unit 10 includes a total of four display panels so as to form a large screen. The panel driving boards 11c and 11d are driven by two panel drives And substrates 11c and 11d. The first panel driving substrate 11c of the two panel driving substrates 11c and 11d is disposed above the display unit 10, that is, above the backlight driving substrate 11e, And the second panel driving substrate 11d controls the driving of the two display panels disposed below the display unit 10, that is, below the backlight driving substrate 11e, Output unit 80 for allowing an external signal to be input to the display unit 10 or for outputting various signals generated in the display unit to the outside. The input / output unit 80 includes various input / output terminal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put / output unit 80 is provided in a leg 30 to be described later.

지지프레임(20)은 디스플레이 유닛(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지면에 지지되는 하부프레임(21)과, 디스플레이 유닛(1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부프레임(21)의 상측에 하부프레임(21)과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상부프레임(22)과, 하부프레임(21)과 상부프레임(22)의 양단을 연결하여 지지프레임(20)의 양측을 형성하는 한 쌍의 측부프레임(23)을 포함한다. The support frame 20 includes a lower frame 21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10 and supported on the ground and a lower frame 21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10, And a pair of side frames 23 connecting both ends of the lower frame 21 and the upper frame 22 to form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20, .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세워진 지지프레임(20)이 보다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레그(30)를 포함한다. 레그(30)는 지지프레임(20)의 측부프레임(23)으로부터 후방 하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며 지면에 지지되어 지지프레임(20)이 안정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두 측부프레임(23)으로부터 후방 하측을 향해 각각 경사지게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31)와, 두 연장부(31)의 후단을 서로 연결하며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부(32)를 포함한다.The display device also includes legs 30 for allowing the erected support frame 20 to be more stably erected. The legs 30 extend obliquely downwardly from the side frames 23 of the support frame 20 and are supported on the ground so that the support frame 20 can stably stand up. And a support portion 32 connected to the rear ends of the two extension portions 31 and supported on the ground.

본 실시예에서 레그(30)는 지지프레임(20)의 측부프레임(23)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지지프레임(20)에서 레그(30)를 분리한 상태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0)과 디스플레이 유닛(10)을 벽에 붙여 설치할 수 있으며, 지지프레임(20)에 레그(30)를 설치한 상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0)을 독립적으로 세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legs 30 are detachably mounted to the side frames 23 of the support frame 20. [ 5, the support frame 20 and the display unit 10 can be attached to the wall, and the legs 30 can be attached to the support frame 20, The support frame 20 can be installed upright and installed independently as shown in Fig.

또한 지지프레임(20)의 상부프레임(22)과 하부프레임(21) 사이의 거리는 디스플레이 유닛(10)의 상하 폭에 비해 크게 형성되며, 디스플레이 유닛(10)은 도 1과 도 6의 비교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0) 내측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유닛(10)이 설치된 높이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10)은 도 1과 도 7의 비교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0)의 내측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틸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frame 22 and the lower frame 21 of the support frame 2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display unit 10, As can be seen, the height of the display unit 10 installed up and down inside the support frame 20 can be adjusted up and down. 1 and 7, the display unit 1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support frame 20 so as to be tiltable.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유닛(10)의 상하 이동 및 회전을 안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유닛(10)의 양측과 지지프레임(20)의 두 측부프레임(23)은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연결 조립체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8 to 11, both sides of the display unit 10 and the two side frames 23 of the support frame 20 are guided by a pai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on assembly of the connector.

연결조립체는 연결축(40), 지지유닛(50) 및 힌지유닛(60)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을 회전시키거나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connecting assembly includes a connecting shaft 40, a supporting unit 50 and a hinge unit 60 so that the display unit can be rotated or moved up and down.

연결축(40)은 그 일단이 디스플레이 유닛(10)에 설치되고 그 타단이 지지프레임(2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두 연결축(40)은 디스플레이 유닛(10)의 양측이 지지프레임(20)의 양측에 설치되도록 한다. 지지프레임(20)의 양측 내면, 즉 지지프레임(20)의 측부프레임(23) 내측면에는 상하로 연장되어 연결축(40)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슬롯(23a)이 마련된다. 따라서, 두 연결축(40)이 지지프레임(20) 양측에 마련된 두 가이드슬롯(23a)을 따라 상하 이동함에 따라 두 연결축(40)의 일단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유닛(10)이 상하 이동하게 된다. One end of the connecting shaft 40 is mounted on the display unit 10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shaft 40 is mounted on the supporting frame 20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20). A guide slot 23a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20, that is,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frame 23 of the support frame 20 so as to extend vertically and to allow the connection shaft 40 to move up and down. Accordingly, as the two connection shafts 40 move up and down along the two guide slots 23a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20, the display unit 10 installed at one end of the two connection shafts 40 moves up and down.

지지프레임(20)의 두 측부프레임(23) 내부에는 지지유닛(50)이 배치되어 연결축(40)을 탄성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유닛(50)은 중공의 실린더(51)와 실린더(5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로드(52)를 포함한 가스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실린더(51)의 상측에는 실린더(51) 상단에 고정되며 상술한 연결축(40)의 타단이 고정되는 고정블록(53)이 설치된다. A support unit 50 is disposed inside the two side frames 23 of the support frame 20 to elastically support the connection shaft 40.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unit 50 is composed of a hollow cylinder 51 and a gas spring including a rod 52 movably installed in the cylinder 51. A fixing block 53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cylinder 51 and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shaft 40 is provided above the cylinder 51.

실린더(51)는 지지프레임(20) 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로드(52)는 실린더(51)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로드(52)의 하단이 지지프레임(20)에 고정된다. 실린더(51)가 지지프레임(20)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실린더(51)의 양측에는 레일(54)이 고정되며, 지지프레임(20) 내에는 레일(54)과 대응하는 형상의 레일홈(미도시)이 상하로 마련된다. The cylinder 51 is installed vertically movably in the support frame 20 and the rod 52 is projected downward from the cylinder 51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rod 52 is fixed to the support frame 20. A rail 54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cylinder 51 so that the cylinder 51 can be movably installed in the support frame 20. A rail 54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ail 54 is provided in the support frame 20, Grooves (not shown) are provided up and down.

지지유닛(50)은 디스플레이 유닛(10)의 하중과 대응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디스플레이 유닛(10)에 상하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기 이전까지는 지지유닛(50)에 의해 지지되어 일정 높이에 위치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다가, 디스플레이 유닛(10)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만 실린더(51)가 상하 이동하며 상하 이동하도록 한다. The support unit 50 is designed to support a load corresponding to the load of the display unit 10 and is supported by the support unit 50 until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display unit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ylinder 51 is moved up and down only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display unit 10, so that the cylinder 51 moves up and down.

또한 연결축(40)에는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락킹부재(41)가 설치되며, 지지프레임(20)에는 락킹부재(41)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락킹부재(41)가 그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락킹홈(23b)이 마련된다. 또한 연결축(40)에는 락킹부재(41)를 락킹홈(23b)을 향해 탄성지지하여 락킹부재(41)가 락킹홈(23b)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락킹부재(41)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락킹홈(23b)은 가이드슬롯(23a)에 형성되며, 복수 개가 상하로 이격 형성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유닛(10)을 상하로 이동시켜 락킹부재(41)가 락킹홈(23b)들 중 하나와 대응하도록 한 후, 락킹부재(41)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락킹부재(41)가 대응하는 락킹홈(23b) 내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연결축(40)의 상하 이동이 제한되므로 디스플레이 유닛(10)이 일정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A locking member 41 is provided on the connection shaft 40 so as to be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supporting frame 2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member 41 so that the locking member 41 is moved A locking groove 23b to be selectively inserted is provided. A locking member 41 for holding the locking member 41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23b is provided in the connection shaft 40 by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cking member 41 toward the locking groove 23b do. In this embodiment, the locking groove 23b is formed in the guide slot 23a, and a plurality of the locking slots 23b are vertically spaced. Therefore, after the display unit 10 is moved up and down so that the locking member 41 corresponds to one of the locking grooves 23b, the locking member 41 is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onnection shaft 40 is restricted, so that the display unit 10 can be maintain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또한 힌지유닛(60)은 디스플레이 유닛(10)이 지지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두 연결축(40)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힌지유닛(60)을 포함한다.The hinge unit 60 includes a pair of hinge units 60 for rotatably mounting the display unit 10 on the support frame 20, .

힌지유닛(60)은 디스플레이 유닛(1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래킷(61)과, 고정브래킷(61)에 고정되며 연결축(4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부(62a)가 마련된 힌지브래킷(62)과, 고정브래킷(61)에 힌지브래킷(62)과 나란히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유닛(10)의 회전을 제한하는데 사용되는 마찰브래킷(6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힌지브래킷(62)과 마찰브래킷(63)은 고정브래킷(61)에 측방으로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며 볼트 등을 통해 고정브래킷(61)과 함께 디스플레이 유닛(10)에 고정된다. The hinge unit 60 includes a fixed bracket 61 fixed to the display unit 10 and a hinge bracket 61 fixed to the fixed bracket 61 and provided with a hinge portion 62a to which the connecting shaft 40 is rotatably installed. And a friction bracket 63 which is installed side by side with the hinge bracket 62 on the fixing bracket 61 and is used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display unit 10. In this embodiment, the hinge bracket 62 and the friction bracket 63 are slidably coupled to the fixing bracket 61 laterally and fixed to the display unit 10 together with the fixing bracket 61 via bolts or the like.

연결축(40)에는 연결축(40)에 설치되어 연결축(40)과 함께 회전하며 마찰브래킷(63)과 마찰하는 마찰부재(64)가 설치되며, 마찰브래킷(63)에는 마찰부(64)와 마찰하는 마찰부(63a)가 마련된다. A friction member 64 is provided on the connection shaft 40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shaft 40 to friction with the friction bracket 63. The friction member 63 is provided with a friction portion 64 The friction portion 63a is provided.

또한 마찰부재(64)가 마찰부(63a)와 마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연결축(40)에는 마찰부재(64)를 마찰부(63a)를 향해 가압하는 마찰스프링(65)이 배치된다. 이와 같이 마찰스프링(65)에 의해 마찰부재(64)가 마찰부(63a)에 가압되도록 하면 마찰부재(64)와 마찰부(63a)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디스플레이 유닛(10)의 회전이 제한되므로 일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기 이전까지 디스플레이 유닛(10)은 회전하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마찰스프링(65)은 복수의 디스크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다.A friction spring 65 for urging the friction member 64 toward the friction portion 63a is disposed on the connection shaft 40 so that the friction member 64 can friction with the friction portion 63a. When the frictional member 64 is pressed against the frictional portion 63a by the friction spring 65 as described above, the rotation of the display unit 10 due to the frictional force acting between the frictional member 64 and the frictional portion 63a The display unit 10 does not rotate until an external forc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s applied. In this embodiment, the friction spring 65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disk springs.

본 실시예에서 마찰부재(64)는 180도 미만의 중심각을 갖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유닛(10)의 회전에 따라 마찰브래킷(63)이 디스플레이 유닛(10)과 함께 회전하면서 마찰부재(64)의 양 측변 중 어느 하나에 지지되므로 디스플레이 유닛(10)의 회전 각도는 마찰부재(64)에 의해 제한된다.In this embodiment, the friction member 64 is formed in a fan shape having a central angle of less than 180 degrees. The rotation angle of the display unit 10 is set to be smaller than the rotation angle of the friction member 64 because the friction bracket 63 rotates together with the display unit 10 and is supported on either side of the friction member 64 as the display unit 10 rotates. (64).

또한 힌지유닛(60)은 연결축(40)을 탄성 지지하여 지지스프링(66)을 포함한다. 지지스프링(66)은 그 상단이 마찰브래킷(63)의 연결축(40) 상측에 고정되고 지지스프링(66)의 하단은 연결축(40)의 하부에 접하여 연결축(40)의 하부를 상측으로 탄성 지지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유닛(10)의 하중이 지지스프링(66)을 통해 연결축(40)에 지지되므로, 디스플레이 유닛(10)의 자중에 의한 회전은 보다 안정적으로 방지된다. The hinge unit 60 also includes a support spring 66 for resiliently supporting the connecting shaft 40.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spring 66 is fixed on the connection shaft 40 of the friction bracket 63 and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spring 66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shaft 40, . Therefore, since the load of the display unit 10 is supported by the connection shaft 40 via the support springs 66, rotation due to the weight of the display unit 10 is more stably prevented.

또한 힌지유닛(60)은 고정브래킷(61)에 고정되며 연결축(40)을 덮어 연결축(40)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축 커버(67, 68)를 포함한다. The hinge unit 60 includes a pair of shaft covers 67 and 68 fixed to the fixing bracket 61 and covering the connection shaft 40 to prevent the connection shaft 40 from being exposed.

또한 지지프레임(2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10)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각종 전자부품들을 내장한다.The support frame 20 also incorporates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that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display unit 10, as shown in Fig.

지지프레임(20)에 내장된 전자부품들 중에는 디스플레이 유닛(10)으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받아 소리를 발생시키는 서브 스피커(24)가 포함되어, 지지프레임(20)이 스피커로써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프레임(20)의 양측, 즉, 측면프레임(23) 양측에는 각각 복수의 서브 스피커(24)가 상하로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유닛(10)에 설치된 메인 스피커(13R, 13L)를 보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Among the electronic components built in the support frame 20, there is a sub speaker 24 that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display unit 10 to generate sound, and the support frame 20 also functions as a speaker .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sub-speakers 24 are vertically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20, that is, on both sides of the side frame 23 to support the main speakers 13R, 13L provided on the display unit 10 .

또한 지지프레임(20)은 디스플레이 유닛(10)을 통해 영상통화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2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25)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0)의 상부프레임(22) 중앙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카메라(25)는 지지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지지프레임(2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카메라(25)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카메라(25)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0) 내에 수용되어 있다가, 영상통화기능 사용을 위해 카메라(25)가 필요할 경우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25)가 지지프레임(20)으로부터 돌출되어 사용될 수 있다. The support frame (20) also includes a camera (25) that enables the use of the video call func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10). In this embodiment, the camera 25 is disposed on the center side of the upper frame 22 of the support frame 20 as shown in Figs. 12 and 13. Fig. The camera 25 is rotatably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20 and protrudes from the support frame 20 while rotating. Therefore, when the camera 25 is not used, the camera 25 is accommodated in the support frame 20 as shown in FIG. 12, and when the camera 25 is necessary for using the video call function, The camera 25 can be used by protruding from the support frame 20 as shown in Fig.

또한 지지프레임(20)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가 무선으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와이파이 모듈(26)과,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 기기와 무선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블루투스 모듈(27)이 내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와이파이 모듈(26) 및 블루투스 모듈(27)은 상부프레임(22)에 내장된다.4, the support frame 20 includes a WiFi module 26 for enabling a display device to wirelessly connect to the Internet, and a Bluetooth module 27 for enabling the display device to wirelessl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It is built in. In this embodiment, the WiFi module 26 and the Bluetooth module 27 are embedded in the upper frame 22. [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0)에는 서브 스피커(24), 카메라(25), 와이파이 모듈(26) 및 블루투스 모듈(27)가 내부에 설치되고, 입출력 유닛(80)이 지지부(32)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러한 구성들은 각종 케이블(C1, C2, C3)들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10)에 포함되어 있는 회로기판(11)들과 연결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subframe 24, the camera 25, the WiFi module 26 and the Bluetooth module 27 are installed in the support frame 20, and the input / output unit 80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portion 32 And these configurations are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s 11 included in the display unit 10 through the various cables C1, C2, and C3.

케이블(C1, C2, C3)에는 힌지유닛(60)을 통해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유닛(10)에 설치된 회로기판(11)들과 지지프레임(20)에 내장된 서브 스피커(24), 카메라(25), 와이파이 모듈(26) 및 블루투스 모듈(27)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케이블(C1)과, 디스플레이 유닛(10)으로부터 연장되며 외부의 전원과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케이블(C3)과, 디스플레이 유닛(10)으로부터 연장되며 회로기판(11)들과 상술한 입출력 유닛(80)을 연결하는 입출력 케이블(C2)이 포함된다.The cables C1, C2 and C3 are provided with a circuit board 11 extending through the hinge unit 60 and provided on the display unit 10 and a sub speaker 24 built in the support frame 20, A connection cable C1 for connecting the wifi module 26 and the Bluetooth module 27 to each other, a power cable extending from the display unit 10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o supply power to the display device And an input / output cable C2 extending from the display unit 10 and connecting the circuit boards 11 to the input / output unit 80 described above.

상기의 케이블(C1, C2, C3)들 중 연결 케이블(C1)은 상술한 바와 같이 회로기판(11)으로부터 힌지유닛(60) 통해 지지프레임(20) 내로 연장되어 지지프레임(20)에 설치된 서브 스피커(24), 카메라(25), 와이파이 모듈(26) 및 블루투스 모듈(27)에 연결된다.The connecting cable C1 of the cables C1, C2 and C3 extends from the circuit board 11 through the hinge unit 60 into the supporting frame 20 as described above, The speaker 24, the camera 25, the Wi-Fi module 26, and the Bluetooth module 27, respectively.

이때, 이러한 연결 케이블(C1)은 디스플레이 유닛(10)의 상하 이동에 대응할 수 있도록 힌지유닛(60)과 지지프레임(20) 사이에서 일정 길이만큼 길게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연결 케이블(C1)을 길게 형성하면, 디스플레이 유닛(10)이 상하 이동 하는 과정에서 연결 케이블(C1)들이 서로 엉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cable C1 is formed to be long by a predetermined length between the hinge unit 60 and the support frame 20 so as to correspond to the upward / downward movement of the display unit 10. In this way, When the display unit 10 is moved up and down, the connection cables C1 can be tangled with each other.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지지프레임(20) 내에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케이블(C1)이 감기는 보빈(28)과, 보빈(28)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빈 가이드레일(29)과, 보빈(28)을 하측으로 탄성 지지하여 보빈(28)이 하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탄성부재(S)를 포함한다. 14, a bobbin 28 around which the connection cable C1 is wound and a bobbin guide rail 29 in which the bobbin 28 is vertically movable is provided in the support frame 20, And an elastic member S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obbin 28 downward to maintain the bobbin 28 in a downwardly moved state.

따라서 디스플레이 유닛(10)의 상하 이동과 연동하여 보빈(28)이 보빈 가이드레일(29)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되므로, 보빈(28)에 감긴 연결 케이블(C1)은 항상 상하 방향으로 펴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연결 케이블이 엉키는 일은 방지된다.The bobbin 28 moves up and down along the bobbin guide rail 29 in conjunction with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display unit 10 so that the connecting cable Cl wound on the bobbin 28 always moves up and down So that the connecting cable is prevented from being entangled.

또한 상술한 케이블(C1, C2, C3)들 중 전원 케이블(C3) 및 입출력 케이블(C2)은 디스플레이 유닛(10)으로부터 연장되는데, 전원 케이블(C3) 및 입출력 케이블(C2)이 디스플레이 유닛(10)으로부터 그대로 하측으로 늘어뜨려지도록 할 경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 품질이 저하된다.The power cable C3 and the input / output cable C2 out of the cables C1, C2, and C3 described above extend from the display unit 10. The power cable C3 and the input / output cable C2 are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10 ), The appearance quality of the display device is deteriorated.

따라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그(30)의 두 연장부(31)에는 전원 케이블(C3) 및 입출력 케이블(C2)이 수용되는 케이블 수용홈(31a)이 각각 오목하게 마련되고 케이블 수용홈(31a)을 덮어 가리는 케이블 커버(31b)가 설치된다. 따라서, 전원 케이블(C3) 및 입출력 케이블(C2)을 케이블 수용홈(31a)에 설치한 후 케이블 커버(31b)로 케이블 수용홈(31a)을 덮으면 전원 케이블(C3) 및 입출력 케이블(C2)의 일부 구간은 연장부(31) 내에 수용된 상태가 되므로, 전원 케이블(C3) 및 입출력 케이블(C2)에 의한 외관 품질 저하는 예방된다.15, the two extending portions 31 of the legs 30 are provided with concave cable receiving grooves 31a in which the power cable C3 and the input / output cable C2 are accommodated, respectively, A cable cover 31b for covering the cover 31a. Therefore, when the power cable C3 and the input / output cable C2 are installed in the cable receiving groove 31a and then the cable receiving groove 31a is covered with the cable cover 31b, the power cable C3 and the input / Some of the sections are accommodated in the extension portion 31, so that deterioration in appearance quality due to the power cable C3 and the input / output cable C2 is prevented.

본 실시예에서 입출력 유닛(80)은 레그(30)의 지지부(32)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출력 유닛(80)이 지지프레임(20)에 설치되도록 하거나,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10)의 후면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the input / output unit 80 is detachably provided to the support portion 32 of the leg 30, but not limited thereto, and the input / output unit 80 may be provided on the support frame 20,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the display unit 10 on the rear side as shown in Fig.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0)은 네 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 것으로, 네 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기 위해 두 개의 패널 구동기판(11b, 11c)이 구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 또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춘 디스플레이 유닛의 경우에는 백라이트 구동기판의 하측에 배치된 하나의 패널 구동기판만으로도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display unit 10 includes four display panels, and two panel driving boards 11b and 11c are provided for driving the four display panel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ne or two In the case of a display unit having a plurality of display panels, the driving of the display panel can be controlled by only one panel driving board disposed below the backlight driving board.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10)의 화면이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해 형성되도록 하고, 디스플레이 유닛(10)의 상부에 배치된 제 1 패널 구동기판(11b)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 영역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하고, 디스플레이 유닛(10)의 하부에 배치된 제 2 패널 구동기판(11c)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 영역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Or the display unit 10 is formed by one display panel and the first panel driving board 11b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upper area of the display panel,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second panel driving substrate 11c disposed under the display unit 1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lower region of the display panel.

본 실시예에서 레그(30)는 지지프레임(20)으로부터 후방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레그(30)가 지지프레임(20)의 하단으로부터 지면과 평행하게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지지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leg 30 extends obliquely downward from the support frame 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eg 30 extends rear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20 in parallel with the ground It can be supported on the ground.

또한 본 실시예에서 지지프레임은 하부프레임, 상부프레임 및 두 개의 측부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프레임이 세 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지지프레임이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상부 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좌측단 또는 우측단을 연결되는 하나의 측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Also,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frame is composed of the lower frame, the upper frame, and the two side fram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upport frame may be composed of three frame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hat the support frame comprises an upper frame, a lower frame, and a side frame connected to the left or right end of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0)은 한 쌍의 연결축(40)과 한 쌍의 힌지유닛(60)을 통해 지지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7 내지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양단이 지지프레임(20)된 하나의 연결축(40)과 디스플레이 유닛(10)의 후면에 설치되어 연결축(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나의 힌지프레임(60')을 통해서 디스플레이 유닛(10)이 지지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display unit 1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20 through a pair of connection shafts 40 and a pair of hinge units 60. However, the display unit 10 is not limited thereto, One connecting shaft 40 having both ends thereof supported by the supporting frame 20 and one hinge frame 40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0 and rotatably installed on the connecting shaft 40 The display unit 10 can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20 through the guide rails 60 '.

또한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두 연결축(40)에 연결된 두 개의 지지유닛(50)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10)이 지지프레임(2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30 내지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은 지지프레임(20)의 상부에 연결되고 하단은 지지프레임(20)의 하부에 연결된 와이어(70)에 디스플레이 유닛(10)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와이어(70)는 디스플레이 유닛(10)의 폭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와이어(70)를 포함하여, 두 와이어(70)에 디스플레이 유닛(10)의 양측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display unit is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20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through two support units 50 connected to the two connection axes 40,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display unit 10 is vertically movable on the wire 70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20 and the lower end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20 as shown in FIGS. 30 to 40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it. In this embodiment, the wire 70 includes a pair of wires 70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10 so that two wires 70 can be vertically movable on both sides of the display unit 10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유닛(10)이 전후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지지프레임(20)에 설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41 내지 도 5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10)이 상하로 연장된 연결축(40")과 디스플레이 유닛(10)의 후면에 설치된 힌지브래킷(60")을 통해 지지프레임(20') 내에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지지프레임(20')의 두 측부프레임(23') 사이의 거리는 디스플레이 유닛(10)의 좌우 폭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고, 디스플레이 유닛(10)이 지지프레임(20) 내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play unit 10 is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20 so that the display unit 10 can be til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However, the display unit 10 is not limited to the display unit 10,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the support frame 20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rough the connection shaft 40 "extending up and down and the hinge bracket 60"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10. In this embodiment,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ide frames 23 'of the support frame 2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display unit 10,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movable member.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유닛(10)이 설치되어 있는 지지프레임(20)을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53 내지 도 6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림이나 사진과 같이 각종 평면 형태의 물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20)도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포함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display device having a support frame 20 on which a display unit 10 is mounted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s shown in Figs. 53 to 60, The support frame 20 for support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다는 점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디스플레이 유닛 11: 회로기판
13: 메인 스피커 20: 지지프레임
21: 하부프레임 22: 상부프레임
23: 측부프레임 24: 서브 스피커
25: 카메라 26: 와이파이 모듈
27: 블루투스 모듈 30: 레그
40: 연결축 41: 락킹부재
50: 지지유닛 51: 실린더
52: 로드 60: 힌지유닛
61: 고정프레임 62: 힌지프레임
63: 마찰프레임 64: 마찰부재
67: 마찰스프링 70: 와이어
10: display unit 11: circuit board
13: Main speaker 20: Support frame
21: lower frame 22: upper frame
23: side frame 24: sub speaker
25: camera 26: WiFi module
27: Bluetooth module 30: Leg
40: connecting shaft 41: locking member
50: support unit 51: cylinder
52: rod 60: hinge unit
61: fixed frame 62: hinge frame
63: Friction frame 64: Friction member
67: Friction spring 70: Wire

Claims (48)

한 쌍의 측부 프레임을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을 지지하는 레그와,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양측과 상기 두 측부프레임을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연결 조립체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상기 지지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텔레비전.
A pair of side frames, a support frame,
A leg extending obliquely from the support frame to support the support frame,
A display unit,
And a pair of connection assemblies connecting both sides of the display unit with the two side frames,
Wherein the pair of connection assemblies movably supports the display unit to the support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회전 각도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힌지유닛과, 상기 한 쌍의 힌지유닛과 상기 한 쌍의 측부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연결축을 포함한 상기 연결 조립체를 통해 조절 가능한 텔레비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tation angle of the display unit is adjustable through the coupling assembly including a pair of hinge unit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display unit and a coupling ax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hinge units and the pair of side fram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회전 각도 및 높이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힌지유닛과, 상기 한 쌍의 측부 프레임 내에 설치된 한 쌍의 지지유닛과, 상기 한 쌍의 힌지유닛과 상기 한 쌍의 지지유닛 사이에 배치된 연결축을 포함한 상기 연결 조립체를 통해 조절 가능한 텔레비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 unit has a pair of hinge unit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play unit, a pair of support units provided in the pair of side frames, a pair of hinge units, Said connection assembly including a connection axis disposed between said connection assembly and said television recei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부 영역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패널 구동기판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하부 영역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패널 구동기판을 포함하는 텔레비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unit includes a display panel, a first panel drive substrate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isplay unit to control driving of the upper area of the display panel, and a second panel drive substrate disposed below the display unit, And a second panel drive substrate for controlling the second panel drive substra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사이로 연장된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이 감긴 보빈과,
상기 보빈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빈 가이드레일과,
상기 보빈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텔레비전.
The method of claim 3,
A cable extending between the support frame and the display unit,
A bobbin having the cable wound thereon,
A bobbin guide rail on which the bobbin is movably installed,
And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obbi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지면에 지지되는 하부 프레임부와, 상기 하부프레임 상측에 배치되며 그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측부프레임을 통해 상기 하부프레임과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연결 조립체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사이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텔레비전.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upport frame includes a lower frame portion supported on the ground and an upper fram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lower frame and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lower frame through the pair of side frames,
Wherein the pair of connection assemblies allow the display unit to move up and down betwee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제 6 항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부와 상기 하부 프레임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세로 길이 보다 큰 텔레비전.The television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frame part and the lower frame part is larg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display unit. 화면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세워진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creen,
And a support frame formed of a square and having the display unit installed therei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레그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 leg extending rearward from the support frame and supported on the groun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상기 지지프레임으로 후방 하측을 항하여 경사지게 연장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레그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leg further comprises a leg extending obliquely downwardly and supported on the ground in a rearwardly downward direction with the support fram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으로부터 후방 하측을 향해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와, 상기 한 쌍의 연장부들의 후단을 연결하며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legs include a pair of extending portions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toward the rear lower side and a suppor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rear ends of the pair of extending portions and supported on the groun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leg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support fram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지면에 지지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측에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단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사이의 거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상하 폭 보다 크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 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upport frame includes a lower frame supported on the ground, an upper frame spaced apart in parallel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frame, and a pair of side frames connecting the upper frame and both ends of the lower frame,
Wherein a distance betwee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is larger than a vertical width of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display unit is vertically movable in the support frame.
제 13 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양측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연결축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연결축의 타단을 각각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A pair of connection shafts, one end of which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display unit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support units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and supporting the other ends of the pair of connection shafts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respectively.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중공의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로드를 포함한 가스 스프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upport unit includes a hollow cylinder and a gas spring including a rod movably installed in the cylinder.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락킹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하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축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슬롯과, 상기 가이드슬롯에 상기 락킹부재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락킹부재가 삽입되는 락킹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Further comprising a locking member provided on the connection shaft so as to be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Wherein the supporting frame includes a guide slot extending vertically so that the connecting shaft is vertically movable, and a locking groove provided in the guide slot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member and into which the locking member is inserted.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에 설치되어 상기 락킹부재를 상기 락킹홈을 향해 탄성 지지하는 락킹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And a locking spring installed on the connection shaft to elastically support the locking member toward the locking groove.
제 13 항에 있어서,
상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이 상기 와이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wire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and a lower end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And the display unit is mounted on the wire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전후로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display unit is installed to be tiltable back and forth on the support frame.
제 19 항에 있어서,
일단은 지지프레임에 설치되고 타단은 디스플레이 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축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함께 회전하는 힌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A connection shaft having one end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and the other end rotatably mounted on the display unit,
And a hinge unit installed in the display unit, the hinge unit being rotatably mounted on the connection shaft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display unit.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브래킷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hinge unit includes a fixing bracket fixed to the display unit and a hinge bracket installed on the fixing bracket and the connection shaft is rotatably installed.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유닛은 상기 고정브래킷에 상기 힌지브래킷과 나란히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마찰부가 형성된 마찰 브래킷과, 상기 연결축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마찰부와 마찰하는 마찰부재와, 상기 연결축에 설치되어 상기 마찰부재를 상기 마찰부로 가압하는 마찰스프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2. The method of claim 21,
The hinge unit includes a friction bracket provided on the fixing bracket in parallel with the hinge bracket and having a friction portion for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display unit, and a friction bracket fixed to the connection shaft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shaft, And a friction spring installed on the connection shaft and pressing the friction member with the friction portion.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180도 미만의 중심각을 갖는 부채꼴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friction member is formed in a fan shape having a central angle of less than 180 degree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유닛은 상단은 상기 마찰브래킷의 상기 연결축 상측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연결축의 하부를 탄성 지지하는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hinge unit is fixed to an upper side of the connection shaft of the friction bracket and the lower end of the hinge unit includes a support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shaf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display uni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지면에 지지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측에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단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측부프레임 사이의 거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좌우 폭 보다 크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 내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upport frame includes a lower frame supported on the ground, an upper frame spaced apart in parallel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frame, and a pair of side frames connecting the upper frame and both ends of the lower frame,
Wherein a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side frames is larger than a width of the display unit,
Wherein the display unit is installed movably in the support fram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복수의 서브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upport frame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sub-speaker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upport frame further comprises a camera.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8. The method of claim 27,
Wherein the camera is rotatably mounted and rotates and protrudes from the support fram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그 후면 하부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메인 스피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display unit includes a pair of main speakers dispos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제 8 항에 있어서,
신호 입출력을 위한 입출력 유닛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n input / output unit for signal input / output.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레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그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으로부터 후방 하측을 향해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와, 상기 한 쌍의 연장부의 후단을 연결하며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출력 유닛은 상기 지지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2. The method of claim 31,
And a leg extending rearward from the support frame and supported on the ground,
Wherein the legs include a pair of extending portions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toward the rear lower side and a suppor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rear ends of the pair of extending portions and supported on the ground,
And the input / output unit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support portion.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2. The method of claim 31,
And the input / output unit is installed on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2. The method of claim 31,
And the input / output unit is installed in the support fram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후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t least one circuit board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unit.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로기판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기판과, 영상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신호처리기판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내장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을 제어하는 패널 구동기판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내장된 백라이트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백라이트 구동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6. The method of claim 35,
Wherein the at least one circuit board includes a power source substrate for supplying power, a signal processing substrate for processing a video signal, a panel drive substrate for controlling driving of a display panel built in the display unit, And a backlight driving substrate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backlight unit.
제 35 항에 있어서,
일단은 지지프레임에 설치되고 타단은 디스플레이 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축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과 함께 회전하는 힌지유닛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연결축의 타단을 각각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유닛과,
상기 힌지유닛을 통해 연장되어 상기 지지프레임 내에 배치된 전자부품들과 상기 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연결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6. The method of claim 35,
A connection shaft having one end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and the other end rotatably mounted on the display unit,
A hinge unit installed in the display unit and rotatable together with the display unit,
A pair of support units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and supporting the other ends of the pair of connection shafts movably up and down,
And a connecting cable extending through the hinge unit to connect the circuit board with the electronic parts disposed in the supporting frame.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연결 케이블이 감기는 보빈과,
상기 보빈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빈 가이드레일과,
상기 보빈을 하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9. The method of claim 37,
The support frame includes a bobbin to which the connection cable is wound,
A bobbin guide rail on which the bobbin is vertically movable,
And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bobbin downward.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으로부터 연장된 케이블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케이블의 일부 구간이 수용되는 케이블 수용홈과, 상기 케이블 수용홈을 덮어 가리는 케이블 커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cable extending from the display unit,
At least one of the pair of extension portions includes a cable receiving groove in which a part of the cable is accommodated, and a cable cover which covers the cable receiving groove.
제 39 항에 있어서,
신호 입출력을 위한 입출력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은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과, 상기 입출력 유닛과 연결되는 입출력 케이블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0. The method of claim 39,
And an input / output unit for signal input / output,
Wherein the cable includes a power cabl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put / output cable connected to the input / output unit.
세워진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설치되는 지지프레임.And a display unit which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i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is installed.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레그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
42. The method of claim 41,
Wherein the support frame includes a leg extending rearwardly and supported on the ground.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43. The method of claim 42,
Wherein the leg is removably mounted to the support frame.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후방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지지프레임.
43. The method of claim 42,
Wherein the legs extend obliquely downwardly from the support frame.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으로부터 후방 하측을 향해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와, 상기 한 쌍의 연장부의 후단을 연결하며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
45. The method of claim 44,
Wherein the legs include a pair of extending portions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toward the rear lower side and supporting portions connected to the rear ends of the pair of extending portions and supported on the ground.
제 4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서브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지지프레임.
42. The method of claim 41,
A support frame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ub-speakers.
제 41 항에 있어서,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지지프레임.
42. The method of claim 41,
A support frame further comprising a camera.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프레임.
49. The method of claim 47,
Wherein the camera is rotatably mounted and rotates and projects from the support frame.
KR1020130017723A 2013-01-07 2013-02-19 Support frame and displyay apparatus and television having the same KR1020368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770,331 US9538117B2 (en) 2013-01-07 2013-02-19 Support fr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U2013204014A AU2013204014B2 (en) 2013-01-07 2013-04-11 Support fr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A2837945A CA2837945C (en) 2013-01-07 2013-12-20 Support fr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BR102013033029-9A BR102013033029A2 (en) 2013-01-07 2013-12-20 DISPLAY DEVICE
RU2013157508/08A RU2595919C2 (en) 2013-01-07 2013-12-24 Bearing fram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FR1363711A FR3000781B3 (en) 2013-01-07 2013-12-30 SUPPORT FRAM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USDIT
DE202014100025.9U DE202014100025U1 (en) 2013-01-07 2014-01-03 Support frame and display device containing these
EP14150280.7A EP2752610A3 (en) 2013-01-07 2014-01-07 Support fr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MX2014000016A MX360138B (en) 2013-01-07 2014-01-07 Support fr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1420009145.3U CN203788387U (en) 2013-01-07 2014-01-07 Display device
JP2014001267A JP6403384B2 (en) 2013-01-07 2014-01-07 Support fr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1410007445.2A CN103916613A (en) 2013-01-07 2014-01-07 Support fr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1817 2013-01-07
KR1020130001817 2013-0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052A true KR20140090052A (en) 2014-07-16
KR102036887B1 KR102036887B1 (en) 2019-11-26

Family

ID=51737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723A KR102036887B1 (en) 2013-01-07 2013-02-19 Support frame and displyay apparatus and television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2036887B1 (en)
BR (1) BR102013033029A2 (en)
MX (1) MX360138B (en)
RU (1) RU2595919C2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2571A1 (en) * 2015-11-09 2017-05-18 주식회사 탑시스템 Device for adjusting position of display using chain
KR20170084470A (en) * 2016-01-12 2017-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WO2022231060A1 (en) * 2021-04-27 2022-11-03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앤라이프 Support device for display device
WO2023234444A1 (en) * 2022-06-03 2023-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36037A1 (en) * 2004-04-23 2005-10-27 Kwang-Soon Ahn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KR20100012517A (en) * 2008-07-29 2010-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unting apparatus of display device
JP2011116081A (en) * 2009-12-07 2011-06-16 Sakawa:Kk Board equipped with thin monitor
US20120033375A1 (en) * 2010-08-04 2012-02-09 Savant Systems Llc In-wall dock for a tablet comput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2064B2 (en) * 2007-02-08 2012-08-29 船井電機株式会社 Liquid crystal display
JP4396726B2 (en) * 2007-05-23 2010-01-13 ソニー株式会社 Display device
CN101918750B (en) * 2008-01-22 2013-05-08 夏普株式会社 Lighting device, display and television receiver
CN102436780A (en) * 2011-12-14 2012-05-02 苏州工业园区高登威科技有限公司 Rotatable displa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36037A1 (en) * 2004-04-23 2005-10-27 Kwang-Soon Ahn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KR20100012517A (en) * 2008-07-29 2010-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unting apparatus of display device
JP2011116081A (en) * 2009-12-07 2011-06-16 Sakawa:Kk Board equipped with thin monitor
US20120033375A1 (en) * 2010-08-04 2012-02-09 Savant Systems Llc In-wall dock for a tablet comput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2571A1 (en) * 2015-11-09 2017-05-18 주식회사 탑시스템 Device for adjusting position of display using chain
KR20170084470A (en) * 2016-01-12 2017-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WO2022231060A1 (en) * 2021-04-27 2022-11-03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앤라이프 Support device for display device
WO2023234444A1 (en) * 2022-06-03 2023-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02013033029A2 (en) 2018-03-27
RU2595919C2 (en) 2016-08-27
MX360138B (en) 2018-10-24
KR102036887B1 (en) 2019-11-26
RU2013157508A (en) 2015-06-27
MX2014000016A (en) 2017-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3384B2 (en) Support fr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5993044B (en) Show equipment and its control method
US9010707B2 (en) Wall mounting apparatus for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40141400A (en) Display apparatus
US9084344B2 (en) Display apparatus
KR20080105402A (en) Supporting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60027720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20120267487A1 (en) L-character stand
KR20140090052A (en) Support frame and displyay apparatus and television having the same
KR102609374B1 (en) Display apparatus
CN201054675Y (en) Plane TV bracket
KR102025506B1 (en) Modular TV Architecture
JP2005184506A (en) Television stand
JP3160260U (en) Multi display device
KR20160001330A (en) Camera assembly and telephone including the same
KR101235787B1 (en) A disply system
KR101145211B1 (en) Display apparatus
KR102135536B1 (en) stand for display panel television
KR20000074849A (en) stand apparatus of LCD monitor
JP2007088626A (en) Television receiver
JP3104955U (en) Karaoke equipment
KR100595244B1 (en) video display appliance
KR100824557B1 (en) Tilting apparatus and rotation apparatus
KR101633126B1 (en) The stand assembly for flat video display appliance
KR20100001527U (en) Stand for Dual Moni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