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9888A - 화면 제어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 Google Patents

화면 제어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9888A
KR20140089888A KR1020130001882A KR20130001882A KR20140089888A KR 20140089888 A KR20140089888 A KR 20140089888A KR 1020130001882 A KR1020130001882 A KR 1020130001882A KR 20130001882 A KR20130001882 A KR 20130001882A KR 20140089888 A KR20140089888 A KR 20140089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egory
icon
terminal
confirmed
categor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세용
정용진
정태락
김규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1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9888A/ko
Publication of KR20140089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8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 D06F57/10Folding stands of the lazy-tongs typ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5/00Clothes-pegs
    • D06F55/02Clothes-pegs with pivoted independent clamping me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9/00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 D06F59/02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for garments
    • D06F59/06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for garments for stock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Abstract

본 발명은 화면 제어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에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카테고리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카테고리를 확대한 후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흐름을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화면 제어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서비스 장치와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다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 및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다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에서,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카테고리의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카테고리를 확대한 후,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표시하고, 소정 메뉴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카테고리의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카테고리를 축소하여 표시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화면 제어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of terminal,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화면 제어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에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카테고리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카테고리를 확대한 후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흐름을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화면 제어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컴퓨터, 전자, 통신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무선통신망(Wireless Network)을 이용한 다양한 무선통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음성 서비스뿐만 아니라, 써킷(Circuit) 데이터, 패킷(Packet) 데이터 등과 같은 데이터를 송신하는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로 발전해 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이동통신망의 발달과 단말기 사양의 발전에 따라 종래의 단순한 통신장치 또는 정보 제공 장치의 범주를 벗어나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대인의 필수 소지품이 되었고, 토탈 엔터테인먼트 기기로 진화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 정보의 처리와 사용자 욕구에 따른 여러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기능 수행을 위해서는 메뉴 선택 입력에 따른 여러 단계를 거쳐 해당 기능의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이에, 한 화면을 통해 최대한 많은 메뉴를 표시하고자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많은 메뉴의 수로 인해 사용자는 자신이 이전에 어떠한 메뉴를 선택하였는지 혼동이 종종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30716호 B1, 2011년 04월 15일 등록 (명칭: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화면 표시방법)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다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에서 특정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표시한 후, 다시 상기 카테고리 선택 화면으로 이동할 경우, 이러한 흐름에 대한 직관적인 표시가 없어, 사용자는 자신이 어떠한 카테고리를 선택하였는지 인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다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에서,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카테고리의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카테고리를 확대한 후,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표시하고, 소정 메뉴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카테고리의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카테고리를 축소할 수 있는 화면 제어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다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흐름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떠한 카테고리를 선택하였는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화면 제어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서비스 장치와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다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 및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다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에서,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카테고리의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카테고리를 확대한 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표시하고, 소정 메뉴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카테고리의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카테고리를 축소하여 표시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에서,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선택된 아이콘의 위치를 확인한 후, 아이콘의 위치를 기준으로 아이콘을 확대한 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표시하고, 이전 단계로 돌아가기 위한 메뉴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아이콘의 위치를 기준으로 아이콘을 축소한 후,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에서,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선택된 아이콘을 기 설정된 위치로 이동하여, 기 설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아이콘을 확대한 후, 기 설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아이콘을 확대한 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표시하고, 이전 단계로 돌아가기 위한 메뉴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기 설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아이콘을 축소한 후, 선택된 아이콘의 원래 위치로 이동한 후,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카테고리 선택 화면은 Best, 테마추천, Home, 카테고리, 보관함, 마이페이지, 패널편집에 해당하는 필수 카테고리와, 게임, FUN, 생활, 위치, 어학, 교육, 음악, 영화, TV방송, 만화, eBook, 쇼핑, 쿠폰, 할인존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카테고리로 구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비스 통신부; 및 서비스 통신부를 통해 다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단말기로 제공하고, 단말기로부터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카테고리의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카테고리를 확대한 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단말기로 제공하며, 단말기로부터 소정 메뉴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카테고리의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카테고리를 축소한 후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어부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에서,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선택된 아이콘의 위치를 확인한 후, 아이콘의 위치를 기준으로 아이콘을 확대한 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표시하고, 이전 단계로 돌아가기 위한 메뉴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아이콘의 위치를 기준으로 아이콘을 축소한 후,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어부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에서,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선택된 아이콘을 기 설정된 위치로 이동하여, 기 설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아이콘을 확대한 후, 기 설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아이콘을 확대한 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단말기로 제공하고, 이전 단계로 돌아가기 위한 메뉴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기 설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아이콘을 축소한 후,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단말기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 통신부, 서비스 저장부 또는 서비스 제어부가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은 다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카테고리 선택 화면에서,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카테고리의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카테고리를 확대하는 단계; 및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이때, 카테고리를 확대하는 단계는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아이콘의 위치를 기준으로 아이콘을 확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카테고리를 확대하는 단계는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기 설정된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아이콘을 확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도 있다.
또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소정 메뉴의 선택 입력을 확인하는 단계; 카테고리의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카테고리를 축소하는 단계; 및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뤄질 수도 있다.
여기서, 소정 메뉴의 선택 입력은 이전 단계로 돌아가기 위한 메뉴의 선택 입력일 수 있다.
추가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어 시스템은 다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에서,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카테고리의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카테고리를 확대한 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표시하고, 소정 메뉴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카테고리의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카테고리를 축소하는 단말기; 및 다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단말기로 제공하고, 단말기로부터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카테고리의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카테고리를 확대한 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표시하여 단말기로 제공하며, 단말기로부터 소정 메뉴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카테고리의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카테고리를 축소한 후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화면 제어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에 의하면, 다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에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카테고리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카테고리를 확대한 후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흐름을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어떠한 카테고리를 선택하였는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에게 감성적 모션 UX를 제공하여 명확한 상호작용을 통해 단말기의 사용성이 증대하고, 일관된 모션 제공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어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통신망에 연결되어 서비스 장치와 연결되어 화면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대표적인 예로서 설명하지만 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기, 유선 단말기, 고정형 단말기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기 등의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기일 때 유리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어 시스템의 주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어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어 시스템(100)은
에 따른 단말기(10)의 화면 제어 시스템(100)은 단말기(10), 서비스 장치(20) 및 통신망(3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10)나 서비스 장치(20)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신망(30)은 단말기(10) 및 서비스 장치(20)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및 정보 교환을 위한 일련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통신망(30)은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방식 또는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통신망(30)은 상기에 제시된 통신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통신망(30)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의 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단말(10)은 통신망(30)을 통해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서비스 장치(20)와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기(10)는 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서비스 페이지에 접속한 후, 상기 서비스 페이지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페이지 이용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상기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단말기(10)는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단말기(10)은 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서비스 페이지에 접속한 후, 상기 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서비스 장치(20)가 영화, 음악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서비스 장치(20)에 접속하여 단말기(10)는 상기 컨텐츠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장치(20)가 신발, 의류 등의 유형의 물품을 판매하거나 소개하는 경우, 단말기(10)는 상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는 특정 컨텐츠 또는 상품과 관련된 정보뿐 아니라 통신망(30)을 통해 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 페이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동작 수행을 위해 본 발명의 단말기(10)는 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서비스 페이지에 웹을 통해 접근할 수 있으나 특정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20)가 별도의 또 다른 장치와 연동하여 화면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장치에 접속된 단말기(10)도 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화면 제어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이러한 본 발명의 단말기(10)는 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서비스 형태에 따라, 클라우드 서비스 방식으로 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들을 수신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는 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서비스 페이지에 접속하게 되면, 상기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상기 서비스 페이지를 통해 다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수신하게 된다. 상기 카테고리 선택 화면에서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단말기(10)는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하고,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수신하여 표시하게 된다.
이때, 단말기(1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한 위치를 보다 명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카테고리 선택 화면에서 선택된 카테고리, 정확하게는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카테고리 아이콘을 확대한 이후에 상기 카테고리의 세부 항목을 표시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세부 항목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단말기(10)는 사용자로부터 이전 단계로 돌아가기 위한 메뉴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표시하되,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한 위치를 보다 명시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상기 카테고리 아이콘이 확대된 상태에서, 상기 카테고리 아이콘을 축소한 후 상기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서비스 장치(20)는 통신망(30)을 통해 단말기(10)와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서비스 장치(20)는 어느 하나의 단말기(10)의 서비스 접속이 확인되면, 상기 단말기(10)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게 되는 데, 이때, 다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으로 단말기(10)로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카테고리는 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정보의 종류를 일정 기준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 예컨대 서비스 장치(20)가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을 단말기(10)로 제공하는 경우, 서비스 장치(20)는 게임, 생활, 위치, 어학, 교육, 음악, 영화, 만화 등 일정 기준에 따라 보유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분하여 단말기(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일정 기준에 따라 분류된 것을 카테고리라 하며, 카테고리 선택 화면이란 다수의 카테고리를 일목요연하게 정렬하여 표시한 것으로, 예컨대 서비스 장치(20)가 총 6개의 카테고리를 제공할 경우, 카테고리 선택 화면은 3 x 3의 행렬 형태로 상기 카테고리를 나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20)는 이러한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단말기(10)로 제공하고, 상기 단말기(10)로부터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카테고리의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카테고리를 확대한 후,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게 된다. 예컨대, 상술한 3 x 3의 행렬 형태로 나열된 카테고리 선택 화면에서, (1, 1)의 위치한 카테고리의 선택 입력, 다시 말해 상기 (1, 1)의 위치한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카테고리의 기준 위치(1, 1)를 기준으로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확대하게 된다.
이후, 자동적으로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상기 단말기(10)로 전송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단말기(10)로부터 소정 메뉴의 선택 입력, 즉, 카테고리 선택 화면으로 돌아가기 위한 메뉴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서비스 장치(20)는 세부 항목이 표시된 화면의 이전 화면인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로 하여금 어느 위치에 해당하는 카테고리를 확인하였는지를 보다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확대한 상태에서, 상기 카테고리의 기준 위치(1, 1)를 기준으로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축소하여 표시하게 된다.
즉, 다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흐름을 모션의 형태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어떠한 카테고리를 선택하였는지를 보다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는 제어부(11), 입력부(12), 표시부(13), 저장부(14), 오디오처리부(15) 및 통신부(16)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1)는 화면 제어 모듈(11a)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입력부(12)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단말기(1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1)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부(12)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는 표시부(13)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입력부(12)는 퀵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 패널 편집을 위한 신호, 패널 편집에 적용되는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신호 등을 입력한다.
표시부(13)는 단말기(1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3)는 단말기(10)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3)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3)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이, 표시부(13)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형성된 경우, 표시부(13)는 입력부(12)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13)는 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서비스 페이지를 출력하며, 특히 다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표시하거나,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14)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단말기(1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14)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는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11)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14)는 단말기(1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 등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4)는 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를 일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다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에서,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선택 입력이 확인된 카테고리의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15)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SPK)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1)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오디오처리부(15)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형식의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하여 제어부(11)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처리부(15)는 제어부(11)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형식의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처리부(15)는 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 수신 중에 필요에 따른 효과음 또는 실행음 등을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16)는 서비스 장치(20)와 통신망(3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부(16)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부(16)는 무선통신 모듈(미도시) 및 유선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단말기(10)가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을 통해 통신망(30)에 접속하여, 서비스 장치(20)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즉, 단말기(10)는 유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통신망(30)에 접속하며, 통신망(30)을 통해 서비스 장치(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1)는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가 될 수 있다. 제어부(11)는 단말기(10)의 전원이 켜지면, 운영 체제를 보조 기억 장치로부터 주 기억 장치로 이동시킨 후, 운영 체제를 구동하기 위한 부팅(booting)을 수행하고, 필요한 신호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1)는 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서비스 페이지에 접속한 후, 상기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부(13)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제어부(11)는 서비스 장치(20)에 접속하여 다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수신하여 표시부(13)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후, 표시부(13)를 통해 카테고리 선택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카테고리의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카테고리를 확대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구성하는 다수의 카테고리는 각각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 형태의 이미지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컨대, 사용자로부터 게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아이콘의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아이콘을 확대하여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게 된다.
이후, 제어부(11)는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게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표시부(13)를 통해 표시한다. 이후, 상기 게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소정 메뉴의 선택 입력, 예컨대 이전 단계로 돌아가기 위한 메뉴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게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이 표시된 화면에서 이전 단계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이므로, 제어부(11)는 상기 카테고리 선택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1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흐름을 보다 명확히 표현하기 위해, 상기 게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아이콘을 축소하여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은 카테고리의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카테고리를 확대하거나 축소한다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준 위치는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위치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카테고리 선택 화면이 3 x 3 행렬 형태로 표현되는 경우, (1, 1)의 위치에는 게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위치할 수 있으며, (1, 2)의 위치에는 위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위치할 수 있으며, (1, 3)의 위치에는 영화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위치할 수 있다. 더불어, 카테고리 선택 화면이 행렬 형태, 리스트 형태와 같은 규칙적인 형태가 아닌 불규칙한 형태로 표현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카테고리는 화면 상의 좌표의 형태로 그 위치를 식별하게 된다.
이러한 아이콘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아이콘을 확대하여 전체 화면으로 표시한 후,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이전 단계로 돌아가기 위한 메뉴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제어부(11)는 상기 아이콘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아이콘을 축소한 후, 상기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준 위치는 기 설정된 특정 위치가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가장 큰 목적은 카테고리 선택 화면에서 다른 화면으로 이동 시의 동선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표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발명이다. 따라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기 설정된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기 설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아이콘을 확대한 후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표시하고, 이전 단계로 돌아가기 위한 메뉴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기 설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아이콘을 축소한 후, 축소된 아이콘을 상기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더라도, 사용자는 자신이 어떠한 카테고리를 선택하였는지 쉽게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카테고리 선택 화면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흐름을 제어부(11)는 애니메이션 형태로 표현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새로운 UX(User eXperience)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사용자는 특정 카테고리에 대한 세부 항목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전 단계인 카테고리 선택 화면으로 이동 시 자신이 어떠한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확인하였는지를 보다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도 2를 참조하여 단말(10)의 주요 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2를 통해 도시된 구성 요소가 모두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햅틱 모듈(미도시), 방송 수신 모듈(미도시) 등과 같이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단말(1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단말(1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는 서비스 제어부(21), 서비스 저장부(22) 및 서비스 통신부(23)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서비스 제어부(21)는 화면 제어 모듈(2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서비스 통신부(23)는 통신망(30)을 통해 단말기(10)와 통신하여 서비스 페이지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특히, 서비스 통신부(23)는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라 단말기(10)로 다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단말기(10)로 전송하며, 단말기(10)로부터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전송할 수도 있다.
서비스 저장부(22)는 서비스 장치(20)의 기능 실행에 따른 모든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저장부(22)는 단말기(10)로 서비스 제공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예컨대, 서비스 저장부(22)는 다수의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카테고리가 구성하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각각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아울러, 단말기(10)로부터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한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선택된 카테고리의 기준 위치를 저장할 수도 있다.
서비스 제어부(21)는 서비스 장치(20)의 운영 체제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어부(21)는 어느 하나의 단말기(10)로부터 서비스 접속이 확인되면, 상기 단말기(100로 서비스 접속에 따른 서비스 페이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서비스 페이지는 다수의 계층적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단말기(10)가 가장 처음 접속 시 확인할 수 있는 초기 화면 페이지가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초기 화면 페이지에서 특정 메뉴의 선택 입력에 따라 메인 화면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화면 페이지에서 특정 메뉴에 대한 상세 페이지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각각의 서비스 페이지들은 계층적 형태로 서로 간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테고리 선택 화면은 다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화면을 의미한다. 이러한 카테고리 선택 화면은 독립된 페이지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메인 화면 페이지의 일 영역 내에 구비되는 화면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다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경우를 본 발명에서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으로 지칭하도록 한다.
서비스 제어부(21)는 다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단말기(10)로 제공한 이후에, 상기 단말기(10)로부터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서비스 제어부(21)는 상기 카테고리의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카테고리를 확대한 후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상기 단말기(10)로 제공하게 된다.
이후, 서비스 제어부(21)는 상기 단말기(10)로부터 소정 메뉴의 선택 입력, 예컨대, 이전 단계로 돌아가기 위한 메뉴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카테고리의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카테고리를 축소한 후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단말기(10)로 제공하게 된다.
이를 통해 단말기(10) 사용자는 자신이 어떠한 메뉴를 선택하였으며, 어떠한 메뉴에서 이동하였는지를 보다 쉽게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러한, 서비스 장치(20)는 서버 기반 컴퓨팅 기반 방식 또는 클라우드 방식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를 이용하여 화면 제어를 위한 모든 데이터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능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데스크톱,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북 및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에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된 IT(Information Technology) 자원, 예를 들어,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소프트웨어(데이터베이스, 보안, 웹 서버 등), 서비스, 데이터 등을 온 디맨드(On demand) 방식으로 서비스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한편, 단말기(10)나 서비스 장치(20)에 탑재되는 메모리는 그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저장장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예에서, 저장장치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비록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예시적인 장치 구성을 기술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다른 유형의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은 단말기(10)가 서비스 장치(20)에 접속하여 서비스 장치(20)로부터 다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특정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선택을 감지하게 된다(S101). 이후, 단말기(10)는 선택된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위치를 확인하게 된다(S103). 이후, 확인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아이콘을 확대하여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게 된다(S105).
이후, 단말기(10)는 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수신하여 표시한다(S107).
이후, 단말기(1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 메뉴의 선택 입력, 예컨대 이전 단계로 돌아가기 위한 메뉴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S109), 확인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아이콘을 축소한 후(S111),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기(10)가 서비스 장치(20)에 접속하여 서비스 장치(20)로부터 다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특정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선택을 감지하게 된다(S201). 이후, 단말기(10)는 선택된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위치를 확인하게 된다(S203). 이후, 확인된 위치에서 기 설정된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S205).
이후, 기 설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아이콘을 확대하여 전체 화면으로 표시한 후(S207),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게 된다(S209).
이후, 단말기(1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 메뉴의 선택 입력, 예컨대 이전 단계로 돌아가기 위한 메뉴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S211), 설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아이콘을 축소하고(S213), 원래 아이콘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S215). 이어서, 단말기(10)는 다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화면 제어 방법에 대해 도 6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화면 제어 방법은 단말기(10)의 제어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기(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선택 정보만을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하고, 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역할만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상태는 단말기(10)가 서비스 장치(20)로부터 다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수신하여 표시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테고리 선택 화면은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메뉴를 일정 기준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 예컨대, Best, 테마추천, Home, 카테고리, 보관함, 마이페이지, 패널편집에 해당하는 필수 카테고리와, 게임, FUN, 생활, 위치, 어학, 교육, 음악, 영화, TV방송, 만화, eBook, 쇼핑, 쿠폰, 할인존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카테고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테고리 선택 화면은 3 x 3 행렬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리스트 형태로 표현될 수도 있으며, 불규칙한 형태로 표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 예컨대 게임 카테고리(51)를 선택하게 되면, 단말기(10)는 상기 카테고리를 위치를 확인하게 된다. 즉,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위치를 확인한 후, 상기 아이콘의 위치를 기준으로 아이콘을 확대하여 도 6b의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아이콘을 확대하여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아이콘에 대응하여 기 정의된 다른 아이콘을 확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특정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선택되었음을 사용자에게 명시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상기 아이콘이 확대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아이콘에 진동 효과를 주거나 물결 효과를 주는 등과 같은 특수 효과를 적용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이후, 단말기(10)는 상술한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세부 항목이 표시된 상태에서, 단말기(10)는 사용자로부터 이전 단계로 돌아가기 위한 메뉴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다시 도 6b의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도 6b의 도시된 확대된 게임 카테고리(52)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원래의 아이콘의 위치를 기준으로 축소하여, 도 6a에 도시된 카테고리 선택 화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아이콘의 원래 위치를 기준으로 확대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 설정된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기 설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확대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에서,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 예컨대 게임 카테고리(51)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선택이 감지되면, 단말기(10)는 상기 게임 카테고리(51)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기 설정된 소정의 위치, 예컨대 화면 중앙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상기 화면 중앙을 기준으로 확대하여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게 된다.
이어서, 마찬가지로, 상기 게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이전 단계로 돌아가기 위한 메뉴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단말기(10)는 도 6b에 도시된 확대된 게임 카테고리(52)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기 설정된 소정의 위치, 즉, 화면 중앙을 기준으로 축소하고, 다시 원래의 아이콘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은 애니메이션 형태로 역동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에서 단말기(10)는 사용자로부터 만화 카테고리(53)의 선택 입력이 감지되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화 카테고리(53)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아이콘을 확대한 후 상기 만화 카테고리(53)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표시하거나,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만화 카테고리(53)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기 설정된 소정의 위치로 이동(①)한 후, 상기 기 설정된 소정의 위치를 기준으로 확대(②)한 후 상기 만화 카테고리(53)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흐름을 직관적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어떠한 카테고리를 선택하였는지를 명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사용자에게 새로운 형태의 감성적 모션 UX를 제공하여 명확한 상호작용을 통해 단말기의 사용성이 증대하고, 일관된 모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화면 제어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면 제어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에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카테고리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카테고리를 확대한 후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흐름을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화면 제어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어떠한 카테고리를 선택하였는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 단말기 20: 서비스 장치 30: 통신망
11: 제어부 12: 입력부 13: 표시부
14: 저장부 15: 오디오처리부 16: 통신부
21: 서비스 제어부 22: 서비스 저장부 23: 서비스 통신부
100: 화면 제어 시스템

Claims (15)

  1. 서비스 장치와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다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 및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다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에서,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카테고리의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카테고리를 확대한 후,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표시하고, 소정 메뉴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카테고리의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카테고리를 축소하여 표시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테고리 선택 화면에서,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의 위치를 확인한 후, 상기 아이콘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아이콘을 확대한 후,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표시하고, 이전 단계로 돌아가기 위한 메뉴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아이콘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아이콘을 축소한 후, 상기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테고리 선택 화면에서,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을 기 설정된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기 설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아이콘을 확대한 후, 상기 기 설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아이콘을 확대한 후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표시하고, 이전 단계로 돌아가기 위한 메뉴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기 설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아이콘을 축소한 후, 상기 선택된 아이콘의 원래 위치로 이동한 후, 상기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 선택 화면은 Best, 테마추천, Home, 카테고리, 보관함, 마이페이지, 패널편집에 해당하는 필수 카테고리와, 게임, FUN, 생활, 위치, 어학, 교육, 음악, 영화, TV방송, 만화, eBook, 쇼핑, 쿠폰, 할인존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하는 카테고리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5.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비스 통신부; 및
    상기 서비스 통신부를 통해 다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카테고리의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카테고리를 확대한 후,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며, 상기 단말기로부터 소정 메뉴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카테고리의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카테고리를 축소한 후 상기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카테고리 선택 화면에서,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의 위치를 확인한 후, 상기 아이콘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아이콘을 확대한 후,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표시하고, 이전 단계로 돌아가기 위한 메뉴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아이콘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아이콘을 축소한 후, 상기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카테고리 선택 화면에서,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을 기 설정된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기 설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아이콘을 확대한 후, 상기 기 설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아이콘을 확대한 후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고, 이전 단계로 돌아가기 위한 메뉴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기 설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아이콘을 축소한 후, 상기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통신부, 서비스 저장부 또는 서비스 제어부가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장치.
  9. 다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카테고리 선택 화면에서,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카테고리의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카테고리를 확대하는 단계; 및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를 확대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콘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아이콘을 확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를 확대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기 설정된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아이콘을 확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소정 메뉴의 선택 입력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카테고리의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카테고리를 축소하는 단계; 및
    상기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메뉴의 선택 입력은
    이전 단계로 돌아가기 위한 메뉴의 선택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적어도 하나의 항에 기재된 화면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5. 다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에서,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카테고리의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카테고리를 확대한 후,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표시하고, 소정 메뉴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카테고리의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카테고리를 축소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다수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어느 하나의 카테고리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카테고리의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카테고리를 확대한 후, 상기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표시하여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며, 상기 단말기로부터 소정 메뉴의 선택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카테고리의 기준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카테고리를 축소한 후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시스템.

KR1020130001882A 2013-01-08 2013-01-08 화면 제어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201400898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882A KR20140089888A (ko) 2013-01-08 2013-01-08 화면 제어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882A KR20140089888A (ko) 2013-01-08 2013-01-08 화면 제어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888A true KR20140089888A (ko) 2014-07-16

Family

ID=51737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882A KR20140089888A (ko) 2013-01-08 2013-01-08 화면 제어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988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2358B2 (en) Recommending applications
US9448694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applications
KR102315104B1 (ko) 언어 모델 맞춤화를 위한 플렉서블 스키마 제공 기법
KR102397602B1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US7596761B2 (en) Application user interface with navigation bar showing current and prior application contexts
US99774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relative motion of objects on graphical user interface
US8788269B2 (en) Satisfying specified intent(s) based on multimodal request(s)
US97205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lways-on-top user interface for mobile application
US201300740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user interfaces
CN103649902B (zh) 沉浸式和桌面外壳的显示
KR20160141838A (ko) 확장가능한 애플리케이션 표시
JP2014116001A (ja) 状況情報基盤の情報提供方法、そのシステム及びその記録媒体
KR20160140932A (ko) 확장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표시 및 콘텐트 전송
JP2018535462A (ja) タッチヒートマップ
US11243679B2 (en) Remote data input framework
KR20140132630A (ko) 메시징 서비스 기반의 대화 중 검색 기능 제공 방법,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단말
US8769169B2 (en) Assistive buffer usage techniques
KR20140091122A (ko)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102067655B1 (ko) 퀵 메뉴 편집을 위한 장치
KR20140090393A (ko)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20140089888A (ko) 화면 제어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101532909B1 (ko) 메신저 서비스의 첨부파일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KR20150047914A (ko) 런처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102004968B1 (ko) 메신저 서비스의 첨부파일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KR102058413B1 (ko) 퀵 메뉴 제공을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