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9875A - 홈 어플라이언스,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홈 어플라이언스,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9875A
KR20140089875A KR1020130001836A KR20130001836A KR20140089875A KR 20140089875 A KR20140089875 A KR 20140089875A KR 1020130001836 A KR1020130001836 A KR 1020130001836A KR 20130001836 A KR20130001836 A KR 20130001836A KR 20140089875 A KR20140089875 A KR 20140089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
voice
home appliance
fil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효철
조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1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9875A/ko
Publication of KR20140089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8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어플라이언스,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은, 화면 상에, 다수의 메모 파일을 표시하는 단계와, 다수의 메모 파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메모 내용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다수의 메모 파일은, 메모 파일 종류 별로 구분되어 표시된다. 이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를 통해 메모 출력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홈 어플라이언스,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Home applianc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홈 어플라이언스,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 인식을 통해, 홈 어플라이언스를 제어할 수 있는 홈 어플라이언스,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에 배치되는 홈 어플라이언스 중 냉장고는, 사용자를 위해, 음식을 저장하고,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물을 처리하며, 에어컨은 실내 온도를 조정하거고,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한편, 다양한 통신 방식이 발달함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증대하려는 다양한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메모 출력이 가능한, 홈 어플라이언스를 제어할 수 있는 홈 어플라이언스,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은, 화면 상에, 다수의 메모 파일을 표시하는 단계와, 다수의 메모 파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메모 내용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다수의 메모 파일은, 메모 파일 종류 별로 구분되어 표시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음성 메모 저장 모드에서, 입력되는 음성을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되는 음성을 음성 메모 파일로 저장하는 단계와, 음성 메모 파일 전송 모드 진입한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와의 태깅시, 근거리 자기장 통신에 의해, 음성 메모 파일을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는, 오디오 출력부와, 화면 상에, 다수의 메모 파일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다수의 메모 파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메모 내용 오디오 출력부에서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230)에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다수의 메모 파일은, 메모 파일 종류 별로 구분되어 표시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음성 메모 저장 모드에서, 입력되는 음성을 수신하는 오디오 입력부와, 수신되는 음성을 음성 메모 파일로 저장하는 메모리와, 음성 메모 파일 전송 모드 진입한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와의 태깅시, 근거리 자기장 통신에 의해, 음성 메모 파일을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홈 어플라이언스는, 메모 표시 모드에서, 다수의 메모 파일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으며, 다수의 메모 파일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메모 내용을 출력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홈 어플라이언스를 통해 간편하게, 원하는 메모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는, 음성 메모 저장 모드에서,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여 저장하고, 음성 메모 파일 전송 모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와의 태깅되는 경우, 근거리 자기장 통신에 의해, 음성 메모 파일을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홈 어플라이언스로 원하는 음성 메모 파일을 간편하게 전송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홈 어플라이언스는, 이동 단말기 등으로부터 음성 메모 파일을 간편하게 수신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 구성도의 일예이다.
도 2는 도 1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일예인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냉장고 내부를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서버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7a 내지 도 16은 도 6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8 내지 도 20f는 도 17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 구성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50)은, 홈 어플라이언스(200), AP 장치(400), 서버(300), 네트워크(550), 이동 단말기들(500a,500b)를 포함할 수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사용자를 위한 전자 기기(electric device)로서, 예를 들어, 냉장고(도 2의 200a), 세탁기, 에어컨, 조리기기(200d), 청소기 등이 예시될 수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내부에 통신부(미도시)를 구비하고, 내부 네트워크(10) 내의 전자기기들 또는 외부 네트워크(550)를 통해 접속 가능한 전자기기들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미도시)는, AP 장치(400)와 유, 무선으로 데이터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AP) 장치(400)는, 인접 전자 기기(electric device)에 내부 네트워크(10)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무선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AP 장치(400)는, 내부 네트워크(10) 내의 전자 기기들에, 소정 통신 방식에 의한 무선 채널을 할당하고, 해당 채널을 통해,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통신 방식은, WiFi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이때, 내부 네트워크(10) 내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500b)는, AP 장치(400)를 통해,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접속함으로써,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대한 모니터링, 원격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AP 장치(400)는, 내부 네트워크(10) 외에, 외부 네트워크(550)를 통해, 외부 전자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 장치(400)는, 외부 네트워크(550)를 통해, 외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500a)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외부 네트워크(550)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500a)는, 외부 네트워크(550), 및 AP 장치(400)를 통해,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접속함으로써,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한 모니터링, 원격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 AP 장치(400)는, 외부 네트워크(550)를 통해, 외부에 위치하는 서버(300)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300)는,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음성 데이터 수신시,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서버(3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대한 펌웨어 정보, 운전 정보(코스 정보 등)를 저장하고,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대한 제품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 제조자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300)는, 공개된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운영자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메모 표시 모드에서, 다수의 메모 파일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으며, 다수의 메모 파일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메모 내용을 출력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홈 어플라이언스를 통해 간편하게, 원하는 메모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500)는, 음성 메모 저장 모드에서, 입력되는 음성을 인식하여 저장하고, 음성 메모 파일 전송 모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200)와의 태깅되는 경우, 근거리 자기장 통신에 의해, 음성 메모 파일을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원하는 음성 메모 파일을 간편하게 전송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이동 단말기(500) 등으로부터 음성 메모 파일을 간편하게 수신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 출력은, 홈 어플라이언스 중 디스플레이나 오디오 출력부를 구비한 홈 어프라이언스에서,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홈 어플라이언스 중 냉장고를 중심으로 기술한다.
도 2는 도 1의 홈 어플라이언스의 일예인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과 관련한 냉장고(200a)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냉동실 및 냉장실로 구획된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스(210)와, 냉동실을 차폐하는 냉동실도어(219)와 냉장실을 차폐하는 냉장실도어(240)에 의해 개략적인 외관이 형성된다.
그리고, 냉동실도어(219)와 냉장실도어(240)의 전면에는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도어핸들(218)이 더 구비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고 냉동실도어(219)와 냉장실도어(24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냉장실도어(24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냉장실도어(240)를 개방하지 않고서도 내부에 수용된 음료와 같은 저장물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수단인 홈바(2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냉동실도어(219)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냉동실도어(219)를 개방하지 않고 얼음 또는 식수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수단인 디스펜서(260)가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디스펜서(260)의 상측에는, 냉장고(200a)의 구동운전을 제어하고 운전중인 냉장고(200a)의 상태를 화면에 도시하는 컨트롤패널(21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215)은, 다수개의 버튼으로 구성되는 입력부(220), 및 제어 화면 및 작동 상태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2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30)는, 제어 화면, 작동 상태 및 고내(庫內)온도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30)는 디스펜서의 서비스 형태(각얼음, 물, 조각얼음), 냉동실의 설정 온도, 냉장실의 설정 온도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23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다이오드(LE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230)는 입력부(220)의 기능도 수행 가능한 터치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입력부(220)는, 다수개의 조작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220)는, 디스펜서의 서비스 형태(각얼음, 물, 조각 얼음 등)를 설정하기 위한 디스펜서 설정버튼(미도시)과, 냉동실 온도설정을 위한 냉동실 온도설정 버튼(미도시)과, 냉동실 온도설정을 위한 냉장실 온도 설정 버튼(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220)는 디스플레이(230)의 기능도 수행 가능한 터치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냉장고는, 도면에 도시된 더블도어형(Double Door Type)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도어형(One Door Type), 슬라이딩 도어형(Sliding Door Type), 커튼 도어형(Curtain Door Type) 등 그 형태를 불문하며, 냉장고 냉장사이클 또는 냉동사이클을 위한 압축기 및 팬을 구비하기만 하면 충분하다.
한편, 통신부(미도시)는, 냉장고(200a)의 후면 케이스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냉장고 내부를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3의 냉장고는, 압축기(212), 냉장실 팬(242), 냉동실 팬(244), 제어부(270), 온도 감지부(221), 통신부(222), 메모리(240), 입력부(220), 디스플레이(230), 오디오 입력부(252), 오디오 출력부(25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 구동부(213), 냉장실 팬 구동부(243), 냉동실 팬 구동부(2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20)는, 다수개의 조작 버튼을 구비하여, 입력되는 냉동실 설정 온도 또는 냉장실 설정 온도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270)로 전달한다.
디스플레이(230)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냉장고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의 냉동실 온도 또는 냉장실 온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온도 감지부(221)는, 냉장고 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온도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270)로 전달한다. 여기서 온도 감지부(221)는 냉장실 온도, 및 냉동실 온도를 각각 감지한다. 또한, 냉장실 내의 각 실 또는 냉동실 내의 각 실의 온도를 감지할 수도 있다.
메모리(240)는, 냉장고(1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240)는,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입력부(252)는,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마이크를 구비할 수 있다. 수신되는 음성은,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70)로 전달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54)는, 제어부(27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스피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통신부(2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전자기기와, 유,무선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동작한다. 예를 들어, AP 장치(400)와 데이터를 교환하고, AP 장치(400)를 통해, 내부 네트워크(10) 내의 전자기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또는, AP 장치(400)와 외부 네트워크(550)를 통해, 내부 네트워크(10) 외의, 다양한 외부 전자기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신부(222)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 장치(40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과, 이동 단말기(500)와의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위한, NFC 모듈(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압축기(212), 및 팬(242 또는 244)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를 위해,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 구동부(213) 및 팬 구동부(243 또는 245)를 직접 제어하여, 최종적으로 압축기(212), 및 팬(242 또는 244)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팬 구동부는 냉장실 팬 구동부(243) 또는 냉동실 팬 구동부(245)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70)는 내부에 마이컴을 구비하며, 압축기 구동부(213) 또는 팬 구동부(243 또는 245 또는 216)에, 각각 해당하는 속도 지령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압축기 구동부(213), 냉장실 팬 구동부(243), 냉동실 팬 구동부(245)는, 각각 압축기용 전동기(미도시), 냉장실 팬용 전동기(미도시), 및 냉동실 팬용 전동기(미도시)를 각각 구비하며, 각 전동기(미도시)는 제어부(270)의 제어에 따라 목표 회전 속도로 동작된다.
이러한 전동기가 삼상 전동기인 경우, 인버터(미도시) 내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제어되거나, 교류 전원을 그대로 이용하여 정속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전동기(미도시)는, 유도 전동기, BLDC(Blush less DC) 전동기, 또는 synRM(synchronous reluctance motor) 전동기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2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기(212)와 팬(242 또는 244)의 동작 제어 이외에, 냉장고(200a) 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70)는 입력부(220)로부터의 설정 온도에 맞추어 냉매 싸이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기 구동부(213), 냉장실 팬 구동부(243) 및 냉동실 팬 구동부(245) 이외에, 3방향 밸브(미도시), 냉장실 팽창밸브(미도시), 및 냉동실 팽창밸브(미도시)를 더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응축기(미도시)의 동작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디스플레이(23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의 서버의 내부 블록도이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서버(3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 또는 이동 단말기(500)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고, 관련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통신 모듈(330), 저장부(340), 및 프로세서(320)를 구비할 수 있다.
서버(300) 내의 통신 모듈(330)은, 홈 어플라이언스(200) 또는 이동 단말기(50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음성 인식된 텍스트 형식의 음성 데이터를 홈 어플라이언스(200) 또는 이동 단말기(5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서버(300) 내의 통신 모듈(330)은, 홈 어플라이언스(200) 또는 이동 단말기(500)로부터,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관련한 제품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홈 어플라이언스의 등록 완료시 등록 완료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서버(300) 내의 통신 모듈(330)은, 홈 어플라이언스(200) 또는 이동 단말기(500)로부터,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펌 웨어 업데이트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업데이트된 펌 웨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 또는 이동 단말기(500)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340)는, 서버(300) 전반의 동작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240)는,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34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 또는 이동 단말기(500)로부터, 수신되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관련한 제품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320)는, 서버(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어플라이언스(200) 또는 이동 단말기(500)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텍스트 형식의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 후,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홈 어플라이언스(200) 또는 이동 단말기(5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32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 또는 이동 단말기(500)로부터, 제품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제품 등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32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 또는 이동 단말기(500)로부터, 펌웨어 업데이트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업데이트된 펌웨어를 다른 예로, 프로세서(32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 또는 이동 단말기(500)로부터, 제품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200) 또는 이동 단말기(5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500)는, 무선 통신부(510), A/V(Audio/Video) 입력부(520), 사용자 입력부(530), 센싱부(540), 출력부(550), 메모리(560), 인터페이스부(570), 제어부(580), 및 전원 공급부(59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510)는, 방송수신 모듈(511), 이동통신 모듈(513), 무선 인터넷 모듈(515), NFC 모듈(517), 및 GPS 모듈(5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5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5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5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5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5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515)은 이동 단말기(5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 모듈(515)은, WiFi 기반의 무선 통신 또는 WiFi Direct 기반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NFC 모듈(517)은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NFC 모듈(517)은, NFC 태그 또는 NFC 모듈이 탑재된 홈 어플라이언스(200)와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즉 태깅하는 경우, 해당 홈 어플라이언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해당 홈 어플라이언스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 외, 근거리 통신 기술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5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5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521)와 마이크(5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5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입력부(5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디스플레이(5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540)는 이동 단말기(5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5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5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5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센싱부(540)는, 감지센서(541), 압력센서(543), 및 모션 센서(5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서(5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력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500)의 움직임이나 위치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각도)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550)는 디스플레이(551), 음향출력 모듈(553), 알람부(555), 및 햅틱 모듈(55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551)는 이동 단말기(5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5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5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553)은 무선 통신부(5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5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5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555)는 이동 단말기(5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
햅틱 모듈(haptic module)(5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5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메모리(560)는 제어부(5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570)는 이동 단말기(5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5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5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5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5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동 단말기(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5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581)은 제어부(5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5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590)는, 제어부(5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5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이동 단말기(5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7a 내지 도 16은 도 6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메모 표시 입력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해당하는 경우, 메모 표시 입력에 따라, 화면 상에, 다수의 메모 파일을 표시한다(S620).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입력부(220) 등을 통해, 사용자의 메모 표시 입력이 있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제어부(270)는, 메모 표시 입력에 따라, 화면 상에, 다수의 메모 파일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수의 메모 파일은, 메모리(240)에 저장된 메모 파일로서, 음성 메모, 필기 메모, 텍스트 메모, 영상 메모 등일 수 있다.
도 7a는 냉장고(200a)의 디스플레이(230)에 표시되는 냉장고의 홈 화면을 예시한다. 냉장고의 홈 화면은, 메인 영상 영역(710)과 서브 영상 영역(7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메인 영상 영역(710)에 위젯 화면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메인 영상 영역(710)은, 서브 영상 영역(710) 내의 복수개의 항목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메인 영상 영역(710)의 영상 표시 변경을 위한, 이동 항목들(711,712)이, 표시될 수 있으며, 홈 화면의 페이지 수를 나타내는 오브젝트(755)가 표시될 수 있다.
서버 영상 영역(720)은, 복수개의 항목을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푸드 매니져 항목, 레시피 항목, 스마트 쇼핑 항목, 헬스 매니져 항목, 스마트 쉐어 항목, 메모 항목, 캘린더 항목, 스마트 세이빙 항목, 세팅 항목을 구비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 중 사용자의 터치 입력 등에 의해, 메모 항목(725)이 선택되는 경우, 도 7b와 같이, 화면 전환에 의해, 복수의 메모 파일을 포함하는 메모 리스트(740)가 디스플레이(230)에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7a와 같이, 위젯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이동 항목들(711,712)에 의한, 화면 전환에 의해, 복수의 메모 파일을 포함하는 메모 리스트(740)가 디스플레이(230)에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홈 어플라이언스에 접근하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에 배치되는 카메라(미도시)가 이를 감지하고, 소정 거리 이내인 경우, 자동으로 복수의 메모 파일을 포함하는 메모 리스트(740)가 디스플레이(230)에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의 도어가 개방되거나 닫히는 경우, 자동으로 복수의 메모 파일을 포함하는 메모 리스트(740)가 디스플레이(230)에 표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간편하게, 메모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다수의 메모 파일은, 메모리(240)에 저장된 메모 파일로서, 음성 메모, 필기 메모, 텍스트 메모, 영상 메모 등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텍스트 메모 파일(745), 필기 메모 파일(755), 음성 메모 파일(765)을 예시한다. 한편, 각 메모 파일(745,755,765)은, 아이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각 메모 파일(745,755,765)은, 해당 메모 파일의 종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텍스트 메모 파일(745)은, 텍스트 메모 내용을 나타내는 문자가, 텍스트 형상으로 표시되며, 이러한 텍스트 형상의 문자를, 텍스트 메모 파일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라 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메모 파일 중 텍스트 메모 파일(745)은, 홈 화면에 포스팅된 것을 나타내는 오브젝트(747)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해당 텍스트 메모 파일(745)이, 홈 화면에 포스팅되어, 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필기 메모 파일(755)은, 필기 메모 내용을 나타내는 문자가, 필기 형상으로 표시되며, 이러한 필기 형상의 문자를, 필기 메모 파일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라 할 수 있다.
음성 메모 파일(765)은, 음성 메모 내용을 나타내는 오브젝트(767)를 별도로 구비하며, 이러한 오브젝트(767)를, 음성 메모 파일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인디케이터들을 통해, 메모 파일 종류 별로 구분되어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메모 파일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각 메모 파일은, 메모 파일의 형식을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7b의 각 메모 파일은, 아이콘화되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리고, 각 아이콘은, 각 아이콘에 구비되는, 문자 형상(텍스트 또는 필기 형상), 음성 메모 파일을 나타내는 오브젝트 등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한편, 각 메모 파일은, 사용자 선택을 위한 체크 박스(746,..)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다수의 메모 파일은, 메모 파일 종류 별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다수의 메모 파일은, 시간 순서, 메모 크기, 형식, 메모에 대한 대상자 별로, 분류 또는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최근 작성된 메모를, 메모 리스트의 하부 영역에 배치한 것을 예시한다.
한편, 다수의 메모 파일 중 적어도 일부는, 외부 기기로부터, 근거리 자기장 통신, 무선 통신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 파일은, 이동 단말기와의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통해, 홈 어플라이언스의 운전 정보, 코스 정보, 펌웨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메모 화면은, 메모 리스트(740) 외에, 전체 메모 선택을 위한 체크 박스(732), 전체 메모의 개수와, 전체 메모 개수 중 표시되는 개수를 나타내는 오브젝트(734), 텍스트 메모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텍스트 메모 항목(735), 필기 메모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필기 메모 항목(736), 음성 메모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음성 메모 항목(739), 홈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홈 화면 이동 항목(738), 이전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전 화면 이동 항목(739)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메모 화면은, 메모 리스트(740)의 탐색을 위한 스크롤바(770)도 더 구비할 수 있다.
다음,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다수의 메모 파일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630). 그리고, 해당하는 경우, 선택되는 메모를 출력한다(S640).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입력부(220) 등을 통해, 도 7b와 같이 표시되는 복수의 메모 파일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선택된 메모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음성 메모가 선택되는 경우, 오디오 출력부(254)를 통해, 해당 음성 메모를 오디오 출력한다. 다른 예로, 텍스트 메모, 또는 필기 메모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텍스트 또는 필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230)를 통해 표시한다. 또 다른 예로, 동영상 메모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동영상을 재생하여, 디스플레이(230)와 오디오 출력부(254)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7b의 메모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다양한 동작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동작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를 예시한다.
먼저, 도 8a는, 메모 리스트(740) 중 텍스트 메모(742)의 체크 박스(741)가 체크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8a과 같이, 디스플레이(230)에, 삭제 항목(812)과 홈 화면 포스팅 항목(814)를 구비하는 팝업창(810)이,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해당 텍스트 메모(742)를 삭제하거나, 홈 화면으로 포스팅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8b는, 메모 리스트(740) 중 홈 화면에 포스팅된 텍스트 메모(745)의 체크 박스(746)가 체크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8b와 같이, 디스플레이(230)에, 삭제 항목(822)과 홈 화면 포스팅 삭제 항목(824)를 구비하는 팝업창(820)이,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해당 텍스트 메모(745)를 삭제하거나, 홈 화면에서의 포스팅을 삭제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8c는, 메모 리스트(740) 중 복수의 메모 파일, 특히, 텍스트 메모(742)와, 홈 화면에 포스팅된 텍스트 메모(745)의, 체크 박스(741,746)가 체크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8c와 같이, 디스플레이(230)에, 삭제 항목(832)과 홈 화면 포스팅 항목(834)을 구비하는 팝업창(830)이,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홈 화면 포스팅 항목(834)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해당 텍스트 메모(742,745)를 삭제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9a는 도 7b의 텍스트 메모 아이콘(735)가 선택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9a와 같이, 텍스트 메모 생성을 위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텍스트 메모 화면은, 텍스트 메모를 나타내는 오브젝트(912), 텍스트 메모 입력 가능한 텍스트 입력창(920), 텍스트 글자 크기 설정 항목들(915), 텍스트 글자 색상 설정 항목들(91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메모 화면은, 입력된 텍스트 메모를 취소하기 위한 취소 항목(922), 입력된 텍스트 메모의 저장을 위한 저장 항목(924), 입력된 텍스트 메모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 항목(926)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다음, 도 9b는 도 9a의 텍스트 메모 화면에서, 텍스트 입력창(920)에 소정 텍스트(922)가 기입된 것을 예시한다.
다음, 도 10의 텍스트 메모 화면은, 도 9a와 유사하게, 텍스트 메모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012), 텍스트 메모 입력 가능한 텍스트 입력창(1020), 텍스트 글자 크기 설정 항목들(1015), 텍스트 글자 색상 설정 항목들(1017)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의 텍스트 메모 화면은, 텍스트 입력을 위한, 텍스트 자판(1030)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텍스트 입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11a는 도 7b의 필기 메모 아이콘(736)이 선택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11a와 같이, 필기 메모 생성을 위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필기 메모 화면은, 필기 메모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112), 필기 메모 입력 가능한 필기 입력창(1120), 필기 글자 크기 설정 항목들(1115), 필기 글자 색상 설정 항목들(111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필기 메모 화면은, 입력된 필기 메모를 취소하기 위한 취소 항목(1122), 입력된 필기 메모의 저장을 위한 저장 항목(1124), 입력된 필기 메모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 항목(1126)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다음, 도 11b는 도 11a의 필기 메모 화면에서, 필기 입력창(1120)에 소정 필기 메모(1122)가 기입된 것을 예시한다.
다음, 도 12a는 도 7b의 음성 메모 아이콘(737)이 선택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12a와 같이, 음성 메모 생성을 위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음성 메모 화면은, 필기 메모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212), 음성 메모 입력 가능한 음성 입력창(1220), 음성 입력 가능한 시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224), 음성 입력 아이콘(1226), 녹음 시작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222)를 구비할 수 있다.
녹음 시작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222)가 선택되는 경우, 도 12b와 같이, 녹음이 진행된 녹음 진행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들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음성 입력창(1220) 내에, 녹음 시간을 나타내는 오브젝트(1234), 녹음 중임을 나타내는 아이콘(1236), 녹음 종료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232)가 구비되는 것을 예시한다. 녹음 종료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232)가 선택되는 경우, 음성 녹음이 종료된다.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이와 같이 입력되는 음성 메모를, 오디오 입력부(252), 구체적으로 마이크를 통해, 수신하고,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메모리(240)에 저장할 수 있다.
다음, 도 12c는, 음성 메모를 재생하기 위한 화면을 예시한다. 음성 메모 재생 화면은, 도 12b의 과정을 통해, 홈 어플라이언스에 저장된 음성 메모일 수도 있으며, 외부의 이동 단말기(500)를 통해 수신하여, 메모리(240)에 저장된 음성 메모일 수 있다.
도 12c의 음성 메모 화면은, 음성 메모 재생을 위한 재생 아이콘(1233)을 구비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음성 메모 화면은, 도 7b와 같은 메모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취소 항목(1242), 녹음된 메모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항목(1244), 녹음된 내용을 삭제하고, 다시 녹음 하기 위한 재시도 항목(1246)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2c의 음성 메모 재생을 위한 재생 아이콘(1233)이 선택되는 경우, 도 12d와 같이, 음성 메모 재생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음성 메모 재생 화면은, 음성 메모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프로그레스 바 타입의 오브젝트(1251), 되감기 항목(1252), 일시 정지 항목(1253), 빨리 감기 항목(1256), 및 볼륨 조절 항목(1257)을 구비할 수 있다. 그 외, 음성 메모 재생 화면은, 도 7b와 같은 메모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취소 항목(1242), 녹음된 메모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항목(1244), 녹음된 내용을 삭제하고, 다시 녹음하기 위한 재시도 항목(1246)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12d의 일시 정지 항목(1253)이 선택되는 경우, 도 12e와 같이, 음성 메모 일시 정지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음성 메모 일시 정지 화면은, 도 12d와 유사하나, 일시 정지 항목(1253) 대신에, 재생 항목(1254)이 표시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도 13a는, 음성 메모 타이틀 입력을 위한 팝업창(1310), 및 자판(1320)이, 메모 화면에 중첩되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간편하게, 녹음된 음성 메모의 타이틀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13b는, 텍스트 입력이 완료된 텍스트 메모창(1330)을 구비하는 상세 메모창(1320)이 메모 화면에 중첩되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상세 메모창(1320)은, 도 7b와 같은 메모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취소 항목(1332), 현재 메모 삭제를 위한 삭제 항목(1334), 현재 메모를 수정하기 위한 편집 항목(1336), 현재 메모를 홈 화면에 포스팅하기 위한 포스팅 항목(1338)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다음, 도 13c는, 필기 입력이 완료된 필기 메모창(1340)을 구비하는 상세 메모창(1320)이 메모 화면에 중첩되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상세 메모창(1320)은, 도 7b와 같은 메모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취소 항목(1332), 현재 메모 삭제를 위한 삭제 항목(1334), 현재 메모를 수정하기 위한 편집 항목(1336), 현재 메모를 홈 화면에 포스팅하기 위한 포스팅 항목(1338)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다음, 도 14a는, 음성 메모 재생창(1430)을 구비하는 상세 메모창(1320)이 메모 화면에 중첩되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음성 메모 재생창(1430)은, 음성 메모 재생 시간을 나타내는 프로그레스 바 타입의 오브젝트(1451), 되감기 항목(1452), 일시 정지 항목(1453), 빨리 감기 항목(1456), 및 볼륨 조절 항목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세 메모창(1420)은, 도 7b와 같은 메모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취소 항목(1462), 현재 메모 삭제를 위한 삭제 항목(1464), 현재 메모를 수정하기 위한 편집 항목(1436), 현재 메모를 홈 화면에 포스팅하기 위한 포스팅 항목(1468)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 밖에, 음성 메모 재생창(1430)은, 음성 메모의 생성 시각 정보, 음성 메모의 종료 시간 정보, 음성 메모의 재생 시간 정보, 음성 메모의 타이틀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4a의 일시 정지 항목(1453)이 선택되는 경우, 도 14b와 같이, 음성 메모 일시 정지창(1430)이 표시될 수 있다. 음성 메모 일시 정지창(1430)은, 도 14a의 음성 메모 재생창(1430)와 유사하나, 일시 정지 항목(1453) 대신에, 재생 항목(1454)이 표시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다음, 도 15a는, 메모 리스트(740) 중 텍스트 메모(742)의 체크 박스(741)가 체크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15a과 같이, 디스플레이(230)에, 삭제를 할것인지를 나타내는 팝업창(1510)이 메모 화면과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팝업창(1510)은, 삭제 항목(1512)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5a의 삭제 항목(1512)이 선택되는 경우, 도 15b와 같이, 텍스트 메모(742)가 삭제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텍스트 메모(742)가 비활성화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리고, 메모가 삭제되었음을 나타내는 팝업창(1520)이 메모 화면과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간편하게 원하는 메모를 삭제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16은,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메모리(240)에 저장된 메모가, 저장 용량에 도달한 경우, 저장 공간 부족을 알려주는 팝업창(1530)이, 메모 화면과 중첩되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간편하게, 메모 저장 용량 부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팝업창(1530) 내의 확인 항목(1532)의 선택에 의해, 팝업창(1530)이 사라지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18 내지 도 20f는 도 17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음성 전송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610). 한편, 도 8의 제810 단계(S810)는 도 6의 제610 단계(S610)에 대응한다.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58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음성 전송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전송 모드는, 이동 단말기(500)에 입력되는 음성을 다른 외부 장치, 예를 들어 홈 어플라이언스에 전송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580)는, 음성 전송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마이크(523)를 활성화할 수 있다.
도 9a는, 이동 단말기(500)가 음성 전송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디스플레이에, 음성 인식을 위한 화면(910)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다음, 이동 단말기(500)는,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S615). 한편, 도 8의 제815 단계(S815)는 도 6의 제615 단계(S615)에 대응한다.
이동 단말기(500)의 마이크(523)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음성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마이크(523)는, 입력 음성을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58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9a는, 이동 단말기(500)에, 음성 인식을 위한 화면(910)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900)로부터, "냉장고 냉동실 온도는 -50℃로..."라는 음성(920)이 입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0a는, 이동 단말기(500)에, 음성 인식을 위한 화면(910)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900)로부터, "오늘 회식이야. 냉장고에 있는 피자 저녁에 먹어."라는 음성(1020)이 입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1a는, 이동 단말기(500)에, 음성 인식을 위한 화면(910)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900)로부터, "지금 냉장고로 통화 가능해?"라는 음성(1120)이 입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제어부(580)는, 입력되는 음성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500)의 메모리(560) 내에 음성 인식 알고리즘이 구비되는 경우, 제어부(580)는, 내부의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 음성(920)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음성 신호를 텍스트 신호로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동 단말기(500)의 메모리(560) 내에 음성 인식 알고리즘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580)는, 무선 통신부(510)를 이용하여, 서버(300)에 접속하도록 하고, 서버(300) 내의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 음성(920)을 인식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음성 신호를 텍스트 신호로 변경할 수 있다.
다음, 이동 단말기(500)는,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전송한다(S620). 한편, 도 8의 제820 단계(S820)는 도 6의 제620 단계(S620), 및 제720 단계(S720)에 대응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500)가 도 1의 내부 네트워크(10) 내에 위치하는 경우, AP 장치(400)를 통해,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이동 단말기(500)가 도 1의 내부 네트워크(10) 외에 위치하는 경우, 외부 네트워크(550) 및 AP 장치(400)를 통해, 홈 어플라이언스(200)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b는, 이동 단말기(500)에 음성 인식 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912)가 표시된 상태에서, 음성 데이터(Sa)가 이동 단말기(500)에서 홈 어플라이언스(200), 특히 냉장고(200a)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0b는, 이동 단말기(500)에 음성 인식 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1012)가 표시된 상태에서, 음성 데이터(Sb)가 이동 단말기(500)에서 홈 어플라이언스(200), 특히 냉장고(200a)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1b는, 이동 단말기(500)에 음성 인식 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1112)가 표시된 상태에서, 음성 데이터(Sc)가 이동 단말기(500)에서 홈 어플라이언스(200), 특히 냉장고(200a)로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다음, 홈 어플라이언스(200), 특히 냉장고(200a)는,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가 동작 제어 명령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25). 그리고 해당하는 경우, 동작 제어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홈 어플라이언스(200), 특히 냉장고(200a)를 제어한다(S730). 한편, 도 8의 제825(S825) 단계 및 제830(S830) 단계는, 도 7의 제725 단계(S725), 및 제7520 단계(S725)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200), 특히 냉장고(200a)의 제어부는, "냉장고 냉동실 온도는 -50℃로..."라는 음성 데이터에 기반하여, 냉동실 온도가 낮아지도록, 압축기를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간편하게 홈 어플랑언스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제725 단계(S725)에서,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가 동작 제어 명령이 아닌 경우, 제735 단계(S735) 이하가 수행될 수 있다.
즉, 홈 어플라이언스(200), 특히 냉장고(200a)는,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가 음성 메모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35). 그리고 해당하는 경우, 음성 메모를 메모리(560)에 저장한다(S740). 그리고, 재생 입력이 있는 경우(S742), 저장된 음성 메모를 재생하여 출력한다(S745). 한편, 도 8의 제835 단계(S835), 제840(S840) 단계, 제842 단계(S842), 제845(S845) 단계는, 도 7의 제735 단계(S735), 제740 단계(S740), 제742 단계(S742), 제745(S745) 단계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200), 특히 냉장고(200a)의 제어부는, ""오늘 회식이야. 냉장고에 있는 피자 저녁에 먹어."라는 음성 데이터에 기반하여,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메모리(56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200), 특히 냉장고(200a)의 제어부는, 음성 메모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려주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c는, 음성 메모와 관련된 음성 데이터(Sb)가, 수신된 경우, 오디오 출력부(254)에, "오디오가 수신되었습니다"라는 음성 메시지가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230)에서는 음성 메모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1025)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휘도가 가변되거나, 특정 글자 등이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사용자(902)는 직관적으로 이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902)가, 냉장고(200a) 내의 입력부(220) 내의 특정 버튼(220a)를 누르는 경우, 도 10d와 같이,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메모(1030)가 출력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 제735 단계(S735)에서,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가 음성 메모가 아닌 경우, 제750 단계(S750) 이하가 수행될 수 있다.
즉, 홈 어플라이언스(200), 특히 냉장고(200a)는,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가 통화 요청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50). 그리고 해당하는 경우, 호(call)를 수신한다(S752). 그리고, 통화를 수행한다(S755). 한편, 도 8의 제850 단계(S850), 제852 단계(S852), 제855(S855) 단계는, 도 7의 제750 단계(S750), 제752 단계(S752), 제755(S755) 단계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200), 특히 냉장고(200a)의 제어부는, "지금 냉장고로 통화 가능해?" 라는 음성 데이터와 관련 있는 호(call)를 수신하고, 호 접속 신호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1c는, 호 수신 및 음성 데이터 수신과 관련하여, 냉장고(200a)의 오디오 출력부(254)에, "지금 냉장고로 통화 가능해?" 라는 메시지(1130)가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리고, 사용자(902)가, 냉장고(200a) 내의 입력부(220) 내의 특정 버튼(220a)를 누르면서, 도 11d와 같이, "어! 왜 그래?"라는 음성을 입력하는 경우, 냉장고의 오디오 입력부(252)는, 이를 수신하여, 제어부(270)에 전달할 수 있다.
냉장고의 제어부(270)는, 오디오 입력부(252)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여, 이동 단말기(5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1e는, 이동 단말기(500)로, 냉장고로부터의 음성 데이터(Sd)가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때, 이동 단말기(500)는, 음성 데이터 수신 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1132)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1f는, 냉장고로부터의 음성 데이터(1150)가 이동 단말기(500)에서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이동 단말기(500)의 사용자(900)는, 냉장고 앞의 사용자(902)의 통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간편하게 원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13a 내지 도 13c는 도 12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으로서, 냉장고(200a)를 중심으로 기술한다.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 홈 어플라이언스는, 외부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S1220). 그리고,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가 QR 코드를 포함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1225). 해당하는 경우, QR 코드가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1227). 그리고, 해당하는 경우, QR 코드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추출한다(S1230). 그리고, 추출된 음성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한다(S1240). 다음, 음성 데이터 재생 입력이 있는 경우(S1242), 음성 데이터를 출력한다(S1245).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QR 코드 생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QR 코드 내용은, 음성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QR 코드에 사용자의 연락처, 명함 등의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QR 코드는 이미지로서, 이동 단말기(500)에서, 다른 전자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도 13a는, 외부 네트워크(550)를 통해, 홈 어플라이언스, 특히 냉장고(200a)에, 소정의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특히, 소정의 데이터는, QR 코드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도 13b는, 외부 네트워크(550)를 통해, 홈 어플라이언스, 특히 냉장고(200a)에, QR 코드 이미지(1310)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예시한다.
냉장고의 제어부(270)는, 통신부(222)를 통해, 수신되는 QR 코드 이미지(1310)를 신호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QR 코드 분석 프로그램이 냉장고 내의 메모리(240)에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하여, QR 코드 이미지(1310)를 해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QR 코드 분석 프로그램이 냉장고 내의 메모리(240)에 구비되지 않는 경우, 외부 서버(300)에 접속하여, QR 코드 이미지(1310)를 해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냉장고의 제어부(270)는, QR 코드 이미지(1310) 내용을 파악하고, 음성 메모가 QR 코드 이미지 내에 나타나는 경우, 이를 메모리(24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230)는, 음성 메모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1325)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음성 메모가 수신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냉장고(200a) 내의 입력부(220) 내의 특정 버튼(220a)를 누르는 경우, 도 13c와 같이,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메모(1320)가 출력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간편하게 원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18 내지 도 20f는 도 17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7 내지 도 20f 중 도 19를 설명하면, 도 19는, 홈 어플라이언스와 이동 단말기 사이의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동 단말기(500)와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근거리 자기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방식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 단말기(500)는, NFC 메모리(미도시)와 안테나(미도시)를 구비하는 NFC 모듈(517)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NFC 모듈(517)은, NFC 제어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NFC 메모리(미도시)와 안테나(미도시)를 구비하는 NFC 모듈(217)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500)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시키는 경우, 즉 태깅(tagging)하는 경우, 자기장이 제공되며, 자기장 변화에 따라, 이동 단말기(5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로부터의 관련 정보, 예를 들어, 상태 정보 또는 제품 정보를 수신하거나,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소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500)와 홈 어플라이언스(200) 사이의, 정보 교환은, NFC의 CE(card Emulation) 모드, Reader/Wrtiter 모드, 및 peer to peer 모드 중 Reader/Wrtiter 모드, 또는 peer to peer 모드 기반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500)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소정 거리 이내로 근접시키는 경우, 즉 태깅(tagging)하는 경우, 자기장이 제공되며, 자기장 변화에 따라, 이동 단말기(500)는, 이동 단말기(500)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동 단말기(500)와 홈 어플라이언스(200)가 태깅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500)의 NFC 모듈(517) 내의 안테나(미도시)는,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NFC 모듈(217) 내의 안테나(미도시)로부터 제품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된 제품 정보가 기 설정된 제품 정보에 매칭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500)의 NFC 모듈(517)는, 이동 단말기(500)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를 홈 어플라이언스(200)의 NFC 모듈(217) 내의 NFC 메모리(미도시)에 기록(write)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500)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가 홈 어플라이언스(200) 내의 NFC 모듈(217) 내의 NFC 메모리(미도시)에 기록되게 된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200) 내의 NFC 모듈(217) 내의 NFC 메모리(미도시)에 소정 정보가 기록된 경우, 제어부(270)는, 해당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모듈(217) 내의 기록 플래그가, 소정 정보의 기록에 의해, '0'에서 '1'로 변환되므로,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500)에 표시되는 화면과 관련된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수신된 정보를, NFC 모듈(217)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음, 도 17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500)는, 음성 메모 저장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1710), 해당하는 경우, 입력되는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S1715). 그리고, 수신되는 음성을 메모 파일로 저장한다(S1720). 한편, 도 18의 제1810 단계(S1810), 제1815 단계(S1815), 및 제1820 단계(S1820)는 도 17의 제1710 단계(S1710), 제1715 단계(S1715) 및 제1720 단계(S1720)에 대응한다.
사용자 입력에 의해, 음성 메모 저장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58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음성 메모 저장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음성 메모 저장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580)는, 음성 메모 저장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마이크(523)를 활성화할 수 있다.
도 20a는, 이동 단말기(500)가 음성 메모 저장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디스플레이에, 음성 인식을 위한 화면(2010)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동 단말기(500)는,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500)의 마이크(523)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음성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마이크(523)는, 입력 음성을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58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20a는, 이동 단말기(500)에, 음성 인식을 위한 화면(2010)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900)로부터, "오늘 회식이야. 냉장고에 있는 피자 저녁에 먹어."라는 음성(2020)이 입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제어부(580)는, 입력되는 음성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500)의 메모리(560) 내에 음성 인식 알고리즘이 구비되는 경우, 제어부(580)는, 내부의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 음성(920)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음성 신호를 텍스트 신호로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동 단말기(500)의 메모리(560) 내에 음성 인식 알고리즘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580)는, 무선 통신부(510)를 이용하여, 서버(300)에 접속하도록 하고, 서버(300) 내의 음성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 음성(920)을 인식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음성 신호를 텍스트 신호로 변경할 수 있다.
도 20b는, 이동 단말기(500)에 음성 인식 완료를 나타내는 메시지(2012)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이동 단말기(500)는, 인식 완료된 사용자 음성을, 음성 메모로서, 메모리(560)에 저장한다.
다음, 이동 단말기(50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음성 메모 파일 전송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S1725). 그리고 홈 어플라이언스와 태깅하는 경우(S1730), 음성 메모 파일을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한다(S1735). 한편, 도 18의 제1825 단계(S1825), 제1830 단계(S1830), 및 제1835 단계(S1835)는 도 17의 제1725 단계(S1725), 제1730 단계(S1730) 및 제1735 단계(S1735)에 대응한다.
이동 단말기(50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음성 메모 파일 전송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도 20c는 음성 메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이동 단말기(500)에 음성 메모 화면(2018)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20c와 같이, 이동 단말기(500)가 홈 어플라이언스(200), 특히 냉장고(200a)에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여, 태깅되는 경우, 도 20d와 같이, 근거리 자기장 통신에 의해, 음성 메모(Sb)가 이동 단말기(500)에서 홈 어플라이언스(200), 특히 냉장고(200a)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간편하게 원하는 음성 메모를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다음, 홈 어플라이언스(200), 특히 냉장고(200a)의 제어부는, ""오늘 회식이야. 냉장고에 있는 피자 저녁에 먹어."라는 음성 데이터에 기반하여, 수신되는 음성 메모를 메모리(24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200), 특히 냉장고(200a)의 제어부는, 음성 메모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려주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0e는, 음성 메모와 관련된 음성 메모(Sb)가, 수신된 경우, 오디오 출력부(254)에, "오디오가 수신되었습니다"라는 음성 메시지가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230)에서는 음성 메모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2025)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휘도가 가변되거나, 특정 글자 등이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사용자(902)는 직관적으로 이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902)가, 냉장고(200a) 내의 입력부(220) 내의 특정 버튼(220a)를 누르는 경우, 도 20f와 같이, 메모리(240)에 저장된 음성 메모(2030)가 출력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902)는, 간단하게 음성 메모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0a 내지 도 20f에서 기술한, 음성 메모의 전송에 의해, 상술한, 도 7b의 메모 화면 내에 구비되는 음성 메모 파일이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다양한 경로를 통해, 도 7b의 메모 화면 내의 다양한 메모 파일들이 수신될 수 있다.
한편, 도 20a 내지 도 20f에서는, 음성 메모의 예로, 다른 사용자에게 내용 전달을 위한 음성 메모를 예시하였으나, 다른 예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홈 어플라이언스의 운전 정보, 코스 정보, 펌웨어 정보 등과 관련된 메모 파일의 전송도,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통해 전송 가능하다. 여기서의 메모 파일은, 음성 메모도 가능하나, 그 밖에 텍스트 메모 등의 형태도 가능하다. 여기서, 운전 정보는, 홈 어플라이언스 동작을 위해, 사용자 확인이 필요한, 운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는, 이러한 홈 어플라이언스의 운전 정보, 코스 정보, 펌웨어 정보 등과 관련된 메모를 수신하는 경우, 도 7b의 메모 화면 내에, 이러한 메모 들이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간편하게, 운전 정보 등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0e와 같이,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이러한 홈 어플라이언스의 운전 정보, 코스 정보, 펌웨어 정보 등과 관련된 메모의 수신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홈 어플라이언스(200)는, 이러한 홈 어플라이언스의 운전 정보, 코스 정보, 펌웨어 정보 등과 관련된 메모의 수신시, 자동으로, 수신된 메모 파일을 재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또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은 이동 단말기 또는 홈 어플라이언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1)

  1. 화면 상에, 다수의 메모 파일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메모 파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메모 내용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메모 파일은, 메모 파일 종류 별로 구분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은, 음성 메모, 필기 메모, 텍스트 메모, 영상 메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메모를 생성하거나 보기 위한 아이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 파일은 메모 파일의 형식을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표시되며,
    상기 다수의 메모 파일에 대한 아이콘 중 적어도 일부는, 홈 스크린에 포스팅되어 상기 홈 스크린에 표시 가능함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은,
    전체 메모 파일 선택을 위한 선택 항목, 상기 메모 파일에 대한 저장 가능 개수 또는 저장된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오브젝트, 홈 스크린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메모 파일 중 적어도 일부가 체크되는 경우, 상기 체크된 메모 파일을, 삭제하는 삭제 항목, 홈 스크린으로 포스팅하는 포스팅 항목, 상기 홈 스크린에의 포스팅을 삭제하는 삭제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내의 음성 메모 생성을 위한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음성 메모 입력을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메모 파일 출력시, 상기 선택된 메모 파일이 음성 메모 파일인 경우, 음성 메모 재생창을 표시하고,
    상기 음성 메모 재생창은,
    상기 음성 메모의 생성 시각 정보, 상기 음성 메모의 종료 시간 정보, 상기 음성 메모의 재생 시간 정보, 상기 음성 메모의 타이틀 정보, 상기 음성 메모의 삭제를 위한 삭제 항목, 편집을 위한 편집 항목, 홈 스크린으로 포스팅을 위한 포스팅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메모 파일 표시는,
    홈 스크린 표시시, 화면 전환에 의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메모 파일은,
    시간 순서, 메모 크기, 형식, 메모에 대한 대상자 별로, 분류 또는 정렬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메모 파일 중 적어도 일부는, 외부 기기로부터, 근거리 자기장 통신, 무선 통신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와의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통해, 홈 어플라이언스의 운전 정보, 코스 정보, 펌웨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모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메모 파일의 수신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와의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통해, 홈 어플라이언스의 운전 정보, 코스 정보, 펌웨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메모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메모 파일을 재생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정보는, 홈 어플라이언스 동작을 위해, 사용자 확인이 필요한, 운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홈 어플라이언스에 접근하거는 경우 또는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의 도어가 개방되거나 닫히는 경우, 자동으로 상기 다수의 메모 파일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동작방법.
  15. 음성 메모 저장 모드에서, 입력되는 음성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되는 음성을 음성 메모 파일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메모 파일 전송 모드 진입한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와의 태깅시, 근거리 자기장 통신에 의해, 상기 음성 메모 파일을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
  16. 오디오 출력부;
    화면 상에, 다수의 메모 파일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다수의 메모 파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메모 내용 상기 오디오 출력부에서 출력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메모 파일은, 메모 파일 종류 별로 구분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은, 음성 메모, 필기 메모, 텍스트 메모, 영상 메모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메모를 생성하거나 보기 위한 아이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 파일은 메모 파일의 형식을 나타내는 아이콘으로 표시되며,
    상기 다수의 메모 파일에 대한 아이콘 중 적어도 일부는, 홈 스크린에 포스팅되어 상기 홈 스크린에 표시 가능함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은,
    전체 메모 파일 선택을 위한 선택 항목, 상기 메모 파일에 대한 저장 가능 개수 또는 저장된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오브젝트, 홈 스크린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다수의 메모 파일 중 적어도 일부가 체크되는 경우, 상기 체크된 메모 파일을, 삭제하는 삭제 항목, 홈 스크린으로 포스팅하는 포스팅 항목, 상기 홈 스크린에의 포스팅을 삭제하는 삭제 항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21. 음성 메모 저장 모드에서, 입력되는 음성을 수신하는 오디오 입력부;
    수신되는 음성을 음성 메모 파일로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음성 메모 파일 전송 모드 진입한 상태에서, 홈 어플라이언스와의 태깅시, 근거리 자기장 통신에 의해, 상기 음성 메모 파일을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30001836A 2013-01-07 2013-01-07 홈 어플라이언스,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400898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836A KR20140089875A (ko) 2013-01-07 2013-01-07 홈 어플라이언스,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836A KR20140089875A (ko) 2013-01-07 2013-01-07 홈 어플라이언스,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875A true KR20140089875A (ko) 2014-07-16

Family

ID=51737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836A KR20140089875A (ko) 2013-01-07 2013-01-07 홈 어플라이언스,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98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70755A (zh) * 2014-12-30 2016-11-30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语音备忘录系统及语音备忘录的生成方法及电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70755A (zh) * 2014-12-30 2016-11-30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语音备忘录系统及语音备忘录的生成方法及电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30558B (zh) 设备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9640174B2 (en) Home applian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00393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342117B1 (ko)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시스템
US9773408B2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9407330B2 (en) Mobile terminal,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517083B1 (ko) 냉장고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8952779B2 (en) Portable terminal, method, and program of changing user interface
KR101924961B1 (ko)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KR20100122027A (ko)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EP3213593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setting network of audio device
CN103823609A (zh) 通过接近触摸输入提供用户接口的方法和设备
KR20140089795A (ko)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KR20140081267A (ko) 냉장고, 및 그 동작 방법
CN111432503A (zh) 电子装置和设置音频设备网络的方法
KR102048362B1 (ko) 이동 단말기, 통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9860621B2 (en) Home applian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40089875A (ko) 홈 어플라이언스,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010384B1 (ko)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KR10166758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객체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CN107211356B (zh) 电子装置和设置音频设备网络的方法
KR10185995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077563B1 (ko)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KR20130120298A (ko)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산업용 공장 자동화 장치, 이와 통신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들의 동작 방법
KR2016007784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