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9320A - 네트워킹 모듈이 구비된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킹 모듈이 구비된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9320A
KR20140089320A KR1020140059142A KR20140059142A KR20140089320A KR 20140089320 A KR20140089320 A KR 20140089320A KR 1020140059142 A KR1020140059142 A KR 1020140059142A KR 20140059142 A KR20140059142 A KR 20140059142A KR 20140089320 A KR20140089320 A KR 20140089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video data
audio data
dat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9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6639B1 (ko
Inventor
이세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9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639B1/ko
Publication of KR20140089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단말기와의 데이터 공유를 위하여 네트워킹 모듈이 구비된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단말기와 타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타단말기가 연결되는 연결포트(10)와; 상기 연결포트(10)에 연결된 타단말기(2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하는 네트워킹 모듈(20)과; 연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네트워킹 모듈(20)에 데이터 교환을 명령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저장장치나 어댑터 장치 없이도 두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를 서로 교환할 수 있고,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데이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킹 모듈이 구비된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Computer with networking modul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네트워킹 모듈이 구비된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른 타단말기와의 데이터 공유를 위하여 네트워킹 모듈이 구비된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단말기와 타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최근에는 각 개인마다 별도의 컴퓨터를 사용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특히 최근에는 휴대용 컴퓨터 기술의 발전으로 휴대용 컴퓨터가 데스크탑 컴퓨터 대용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데스크탑 컴퓨터를 보유한 사용자가 휴대용 컴퓨터를 함께 보유하는 것도 일반적이 되었다.
이와 같이 개인마다 다수의 컴퓨터를 보유하게 되고, 특히 휴대용 컴퓨터 사용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컴퓨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다른 컴퓨터로 복사하는 작업의 필요성 또한 증가하게 되었다.
컴퓨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다른 컴퓨터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에는 퍼스널 컴퓨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별도의 저장수단이나 저장장치에 옮겨 저장한 후 그 저장수단이나 장치를 다시 다른 컴퓨터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복사하여야 하였다.
또는 컴퓨터에 저장된 데이터를 다른 컴퓨터로 복사하기 위해서 두 컴퓨터를 연결하더라도 기존에는 두 개의 컴퓨터 사이에 별도의 어댑터 장치가 필요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면, 데이터를 복사하는 절차가 번거롭고 별도의 저장장치나 어댑터 등이 요구되므로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저장장치나 어댑터 장치 등이 없이 두 컴퓨터를 직접 연결하여 데이터를 복사할 수 있는 컴퓨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와 같이 두 컴퓨터를 직접 연결하여 데이터를 복사함에 있어서 그 절차를 단순화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데이터를 이동시킬 수 있는 컴퓨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스피커;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부; 무선통신 모듈 및 USB를 지원하는 연결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터치 입력이 가능한 입력부;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는 장치들의 리스트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스트에 표시된 장치들은,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리스트에 표시된 상기 장치들 중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대응되는 특정 장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특정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특정 장치로 전송되기 전,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스피커를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중인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포트를 통해 상기 특정 장치와 인터넷 접속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저장부는 연결 프로그램을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연결 프로그램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입력부는,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을 더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전송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특정 장치의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특정 장치는, 상기 특정 장치가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기 전에 절전 모드인 경우, 상기 절전 모드를 정상동작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통신 장치의 통신부를 통해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통신 장치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장치의 제1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는 장치들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무선통신 모듈 및 USB를 지원하는 연결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장치는 제1 스피커 및 터치 입력이 가능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연결포트를 통해 상기 다른 단말기와 인터넷 접속을 공유하고, 상기 리스트에 표시된 장치들은,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리스트에 표시된 상기 장치들 중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대응되는 특정 장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무선통신 모듈를 통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특정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특정 장치로 전송되기 전,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스피커를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중인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입력부를 이용해 상기 특정장치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특정 장치의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전송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특정 장치와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통신 장치 및 상기 특정 장치는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스트는, 상기 연결 프로그램 실행으로부터 생성된 그래픽 화면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단말기의 통신부를 통해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의 출력부를 통해 상기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의 출력부는,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근거리 케이블 통신부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인터넷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단말기 및 타 단말기는 동일한 하나의 네트워크에 포함되며, 상기 단말기는 USB를 지원하는 연결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 단말기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입력부;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타단말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타단말기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타단말기로부터 수신하기 전에 상기 타 단말기에 저장되고, 상기 타 단말기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타 단말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타 단말기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에서 각각 출력하는 상태에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타 단말기로부터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상기 신호와 다른 신호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전송 상태는, 타단말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출력부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출력부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연결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신호들을 상기 출력부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기 위한 드래그 앤 드랍 입력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인터넷 설정을 위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환경에서는 인터넷 주소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상기 타단말기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단말기와 관련된 입력 장치로부터 특정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수신한 특정 입력을 상기 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기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단말기 및 상기 타 단말기 사이의 연결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이 감지되면, 상기 단말기 및 상기 타 단말기의 절전 모드 진입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단말기가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기 전에 절전 모드인 경우, 상기 절전 모드를 정상동작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USB를 지원하는 연결포트; 근거리 케이블 통신부 및 무선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출력부; 인터넷에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부; 및 상기 단말기의 통신부를 통해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및 타 단말기는 동일한 하나의 네트워크에 포함되며, 상기 타 단말기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입력부;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타단말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타단말기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타 단말기에 저장되고, 상기 타 단말기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타 단말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타 단말기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에서 각각 출력하는 상태에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별도의 저장장치나 어댑터 장치 없이도 두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를 서로 교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는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데이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의 네트워킹 모듈의 전원공급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장치 공유 설정 화면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의 네트워킹 모듈의 전원공급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의 장치 공유 설정 화면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100)는 타단말기(200)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포트(1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단말기(100)는 데스크탑 컴퓨터 또는 휴대용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정보 처리 장치가 모두 이에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단말기(200)는 마찬가지로 각종 정보 처리 장치가 될 수 있고, 그 외의 저장수단을 포함하는 전자기기가 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포트(10)는 다른 타단말기와 상기 단말기(100) 사이의 신호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규격에 맞는 접속수단이라면 무엇이든 될 수 있다. 특히 최근 주변장치 연결에 널리 사용되는 USB(Universal Serial Bus)포트가 상기 연결포트(10)에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의 상기 연결포트(10)에는 데이터 케이블(300)이 삽입되는데, 상기 데이터 케이블(300)의 일단은 상기 연결포트(10)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타단말기(200)의 연결포트(15)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가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에 모두 같은 통신규격의 무선통신 모듈이 구비된 경우, 두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초광대역무선통신(UWB) 등의 방식에 의한 무선통신 모듈이 두 장치에 모두 구비된 경우, 장치인식 및 선택 등의 일련의 과정을 거쳐,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가 무선 네트워킹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100)에는 네트워킹 모듈(20)이 구비된다. 상기 네트워킹 모듈(20)은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데이터 케이블(300)에 의해 연결되는 상기 타단말기(200)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네트워킹 모듈(20)은 사용자의 설정이나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기(100)의 특정 저장장치(로컬 디스크와 이동식 디스크 등을 모두 포함한다) 내의 데이터나 특정 폴더 등의 저장영역 내의 데이터를 상기 타단말기(200)의 특정 저장장치나 특정 저장영역 내의 데이터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네트워킹 모듈(20)은 위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컨트롤러(20a)와 저장부(20b)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20a)는 상기 데이터 케이블(300)을 통해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 사이에서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제어수단이 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20b)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롬(Read Only Memory: ROM) 메모리,M-RAM(Random Access Memory), P-RAM, Fe-RA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 수단으로써, 상기 저장부(20b)에는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의 운영체제(Operating System)가 상기 네트워킹 모듈(20)을 장치로써 인식하고, 상기 네트워킹 모듈(20)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루틴인 장치 드라이버 등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20a)는 상기 연결포트(10)에 상기 타단말기(200)와 연결된 상기 데이터 케이블(300)이 연결됨이 감지되면, 상기 저장부(20b)에 저장된 상기 장치 드라이버를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에 설치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20b)에는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가 상기 컨트롤러(20a)를 매개로 서로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연결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타단말기(200)와 상기 단말기(100)가 서로 접속하고, 상기 장치 드라이버가 각각 설치되면, 상기 컨트롤러(20a)는 상기 저장부(20b)에 저장된 상기 연결 프로그램을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에 각각 설치한다.
이때 이미 상기 연결 프로그램 및 상기 장치 드라이버가 상기 단말기(100) 또는 상기 타단말기(200)에 설치된 경우에는 위와 같은 장치 드라이버 또는 상기 연결 프로그램의 설치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프로그램 및 상기 장치 드라이버의 설치는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 프로그램 및 상기 장치 드라이버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단말기(100) 및 상기 타단말기(200)에서는 상기 연결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상기 연결 프로그램의 실행 또한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실행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만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 프로그램은 상기 단말기(100)의 제어부(30)가 실행한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단말기(100)의 운영체제를 실행하는 제어수단으로써, 상기 단말기(100)의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가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저장부(20b)에 액세스하여, 또는 상기 저장부(20b)에 저장된 상기 연결 프로그램을 RAM(60)에 로드하여 실행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컨트롤러(20a)를 통해 상기 타단말기(200)와 데이터 교환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 프로그램은 상기 타단말기(200)에서는 상기 타단말기(200)의 제어부(25)가 실행한다. 상기 제어부(25)는 상기 연결 프로그램을 HDD(Hard disk drive, 이하 '하드디스크'라 한다)(35)나 RAM(55) 등에 저장하여 실행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 프로그램은 상기 단말기(100)나 상기 타단말기(200)의 운영체제에 의해 실행되고 이때에 미리 자동 설치된 상기 장치 드라이버가 사용된다.
상기 연결 프로그램은 상기 단말기(100)에 저장된 데이터와 상기 타단말기(2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서로 교환하기 위하여, 교환할 데이터가 저장되어있는 저장수단이나 저장위치, 데이터 교환 방향이나 동기화 정책 등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상기 단말기(100)에는 다수의 저장수단이 구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드디스크(40)와 광디스크(50)가 각각 하나씩 구비된 경우를 예로 든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저장수단이 다양한 수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타단말기(200)에도 하드디스크(35)와 광디스크(45) 등의 다양한 저장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 프로그램을 통하여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에는 상대 측 단말기에 구비된 다양한 저장수단 또는 저장위치 등의 리스트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이 상기 연결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된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에 구비된 다양한 저장수단 또는 저장위치 등에서 사용자는 교환할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수단을 선택하거나, 폴더명, 파일명 등을 선택하여 데이터 교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프로그램은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에 구비된 다양한 저장수단을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고자 하는 저장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연결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단말기(100)의 상기 하드디스크(40)와 상기 타단말기(200)의 상기 하드디스크(35)의 데이터를 교환하고자 선택하였다면 상기 연결 프로그램은, 상기 두 하드디스크(40, 35)에 저장된 데이터 중 사용자가 선택한 데이터를 교환한다.
또는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100)에 구비된 광디스크(50)에 저장된 데이터와, 상기 타단말기(200)에 구비된 상기 하드디스크(35) 내의 특정 폴더의 데이터를 상기 연결 프로그램을 통해 동기화하고자 명령하면, 상기 광디스크(50) 내의 데이터와 상기 특정 폴더 내의 데이터가 동기화된다.
이때 데이터의 교환 방향 또는 동기화 방향 등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연결 프로그램을 통하여 특정 데이터를 선택하여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 사이에서 교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단말기(100)에서 이와 같은 데이터 교환 명령을 입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타단말기(200)에서도 데이터 교환 명령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타단말기(200)로 복사하거나, 상기 타단말기(2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100)로 복사하는 등, 데이터를 전송할 방향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의 특정 저장수단이나 특정 저장영역을 선택하여, 양자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내용을 동일하게 동기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상기 단말기(100)의 하드디스크(40)와, 상기 타단말기(200)의 하드디스크(35)의 데이터 내용을 동기화하도록 명령하면, 상기 단말기(100)의 하드디스크(40) 내에 저장된 데이터와, 상기 타단말기(200)에 저장된 데이터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데이터 동기화 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데, 상기 단말기(100)의 하드디스크(40)에 저장되어있던 데이터 내용을 그대로 상기 타단말기(200)의 하드디스크(35)에 동기화하거나, 상기 타단말기(200)의 하드디스크(35)의 데이터 내용을 그대로 상기 단말기(100)의 하드디스크(35)에 동기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단말기(35)의 상기 하드디스크(35)에 저장된 데이터 중 상기 단말기(100)의 상기 하드디스크(40)에 저장되지 않은 것만을 상기 단말기(100)로 복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단말기(100)의 상기 하드디스크(40)에 저장된 데이터 중 상기 타단말기(200)의 상기 하드디스크(35)에는 저장되지 않은 데이터만을 상기 타단말기(200)로 복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기화할 저장수단을 선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동기화할 저장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의 특정 폴더를 각각 선택하여, 상기 폴더 사이의 데이터를 동기화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우선 상기 단말기(100)에는 상기 단말기(100)에 구비된 각종 저장수단과, 각 저장수단에 존재하는 수개의 폴더 등의 저장위치가 표시되고, 상기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이들 중 상기 타단말기(200)에 데이터 공유를 허용할 저장수단 또는 저장위치들을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에서 공유를 허용하도록 선택된 저장수단이나 저장위치의 리스트가 상기 타단말기(200)에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상기 타단말기(200)에도, 상기 타단말기(200)에 구비된 각종 저장수단과, 각 저장수단에 존재하는 모든 저장위치가 표시되고, 상기 타단말기(200)의 사용자는 표시된 저장수단 또는 저장위치들 중에서 상기 단말기(100)와의 공유를 허용할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수단 또는 저장위치들을 선택한다.
상기 타단말기(200)에서 상기 단말기(100)와의 공유를 허용하도록 선택된 저장수단이나 저장위치의 리스트는 상기 단말기(100)에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 프로그램에서는 공유를 허용하도록 선택된 각 저장수단이나 저장위치 등에 대하여 공유 레벨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단말기(100)에서 특정 폴더를 선택하여, 그 폴더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타단말기(200)와 공유하도록 설정하는 경우, 상기 타단말기(200)에서 상기 폴더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단순히 읽기만 가능하도록 할지, 또는 쓰기 등 편집도 허용할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타단말기(200)에서 상기 타단말기(200)의 광디스크(45)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100)와 공유하고자 설정하는 경우, 상기 타단말기(200)에서는 상기 타단말기(200)의 상기 광디스크(45)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100)에서 단순 디스플레이만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단말기(100) 또는 상기 타단말기(200)에서 상대 측 단말기와의 데이터 전송을 허용하는 과정에서, 이를 허용할 권리가 있는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절차를 거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 프로그램을 통해 데이터 공유를 허용하도록 설정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 패스워드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패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선택된 저장수단이나 저장위치로부터 데이터를 상대 측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기(100)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단말기(100)와의 공유를 허용하도록 선택된 상기 타단말기(200)의 저장수단 또는 저장위치들의 리스트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전송할 데이터가 상기 타단말기(200)에 저장될 영역, 또는 상기 타단말기(200)로부터 상기 단말기(100)에 복사해오고자 하는 데이터가 저장된 영역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1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타단말기(200)의 특정폴더로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100)에서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파일명 또는 이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선택 및 드래그(Drag)하여, 상기 단말기(100)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타단말기(200)의 특정 폴더명 또는 이를 나타내는 아이콘에 드랍(Drop)함으로써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단말기(100)에서 상기 타단말기(200)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선택 후, 전송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연결 프로그램은 상기 타단말기(200)의 공유 허용된 저장수단 또는 저장위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단말기(100)상에 제공하고, 사용자는 이 중 특정 폴더를 선택함으로써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상기 타단말기(200)의 특정 폴더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단말기(200)에서도 상기 단말기(100)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연결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타단말기(2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선택하여 상기 타단말기(200)로부터 상기 단말기(100)로 전송하거나, 상기 단말기(1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선택하여 상기 타단말기(200)로 전송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 또는 상기 타단말기(200)에서 상기 단말기(100)에 구비된 저장수단이나 저장위치를 선택하고, 상기 타단말기(200)에 구비된 저장수단이나 저장위치를 선택하여, 선택된 두 개의 저장수단 또는 저장위치 내의 데이터를 동일하게 복사하는 동기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데이터 동기화의 저장수단 또는 저장영역을 선택하고 데이터를 전송 및 복사, 동기화하는 동작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윈도우 기반의 운영체제에서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는 서로의 저장영역을 윈도우 탐색기를 통해 바로 접근하여 읽기 및 쓰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의 전송 및 동기화는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의 각 제어부(30, 25)가 상기 연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네트워킹 모듈(20)의 상기 컨트롤러(20a)에 해당 데이터의 입출력을 명령하면, 상기 컨트롤러(20a)가 상기 데이터 케이블(300)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함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연결 프로그램은 데이터를 교환하는 동안에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의 출력장치를 통해 데이터 전송 상태를 표시할 수 있고, 전송이 완료되면 이 또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의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타단말기(200)의 상기 연결 프로그램과 상기 장치 드라이버를 삭제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 케이블(300)을 상기 단말기(100) 또는 상기 타단말기(200)의 연결포트(10, 15)에서 제거하면, 상기 타단말기(200)의 상기 제어부(25)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타단말기(200)에 자동설치된 상기 연결 프로그램과 상기 장치 드라이버를 자동으로 언인스톨한다.
이때 언인스톨은 상기 연결 프로그램에 포함된 언인스톨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가 무선연결된 경우, 사용자의 연결 해제 명령 또는 시간경과나 데이터 전송 완료 등의 연결 해제 조건이 완성됨으로써 무선 연결이 해제되고, 이를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가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타단말기(200)가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와 같이 상기 네트워킹 모듈(20)이 구비된 단말기라면, 상기 연결 프로그램과 상기 장치 드라이버가 언인스톨되는 과정이 생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에서도 상기 연결 프로그램과 상기 장치 드라이버가 언인스톨 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는 상기 연결 프로그램과 상기 장치 드라이버가 상기 네트워킹 모듈(20)의 상기 저장부(20b)에 저장되어있기 때문에 상기 RAM(60)이나 상기 하드디스크(40) 등 다른 저장장치에 저장된 상기 연결 프로그램과 상기 장치 드라이버만을 삭제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타단말기(200)에 구비된 인터넷 모듈(65)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연결 프로그램에 포함되어, 또는 별도의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의 인터넷 공유 설정 자동 변경 기능이 제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연결 프로그램, 또는 별도의 프로그램은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의 연결이 감지되면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에 자동설치되고, 자동으로 실행됨으로써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의 인터넷 공유 설정값들을 자동 변경한다.
이때 변경되는 값은 도 6을 참조하여 추후에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인터넷 공유 설정값들이 운영체제하에서 자동으로 변경되면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타단말기(200)의 상기 인터넷 모듈(65)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의 각각의 제어부(30, 25)는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의 연결이 감지되면, 운영체제를 통해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가 절전모드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 사이에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상기 각 제어부(30, 25)와 교환되는 데이터가 저장된 수단, 예를 들어 상기 하드디스크(40, 35) 또는 상기 광디스크(50, 45) 등에 전원공급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데이터 교환 중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에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의 각각의 제어부(30, 25)는 연결 전에 상기 단말기(100) 또는 상기 타단말기(200)가 절전모드 상태였다면,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가 연결됨이 감지됨과 동시에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를 정상동작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연결 프로그램의 자동 실행 및 데이터 교환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가 연결되면, 상기 단말기(100) 또는 상기 타단말기(200)는 서로 구비된 각종 하드웨어를 공유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단말기(100)에 구비된 상기 네트워킹 모듈(20)을 통해 상기 하드웨어로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상대 측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100)에서 상기 단말기(100)에 구비된 입력장치(마우스, 키보드, 터치패드 등)를 상기 타단말기(200)와 공유하도록 설정하면,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명령이 상기 네트워킹 모듈(20)을 통해 상기 타단말기(200)로 전송됨으로써 상기 입력장치를 상기 타단말기(200)의 입력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명령은,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로 모두 전송되어 각각의 단말기에서 처리될 수도 있으나, 상기 입력장치를 상기 타단말기(200)의 입력장치로 사용되도록 공유설정한 경우,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명령을 상기 타단말기(200)로만 전송하여 상기 타단말기(200)에서만 처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입력장치를 상기 타단말기(200)의 입력장치로 사용하기 위한 공유 설정은 상기 연결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별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단말기(100)의 운영체제상에서 입력장치에 대해 설정하는 인터페이스에 추가된 기능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이, 상기 단말기(100)에 연결된 상기 입력장치를 상기 타단말기(200)에 대한 입력장치로 설정한 경우, 이와 같은 설정을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기 타단말기(200)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이 또한 상기 연결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또는 상기 타단말기(200)의 운영체제상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입력장치가 상기 타단말기(200)의 입력장치로 설정되면, 상기 타단말기(200)의 상기 제어부(25)는 이를 감지하여 이와 같은 설정의 해제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이를 통해 설정을 해제하면,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명령은 더 이상 상기 타단말기(200)로 전송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된 명령은 상기 단말기(100) 내에서 처리된다.
이는 상기 타단말기(200)에서 상기 타단말기(200)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상기 단말기(100)와 공유하도록 설정하는 경우에도 같다.
이와 같이 단말기에 구비된 입력장치에 대해서 상대 측 단말기와의 공유를 설정하는 경우,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명령을 상기 네트워킹 모듈을 통해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명령을 상대 측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두 단말기 간에 입력장치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상기 타단말기(200)에서 상기 타단말기(200)에 구비된 출력장치(모니터, 스피커 등)를 상기 단말기(100)와 공유하도록 설정하면, 상기 출력장치에 출력될 신호가 상기 네트워킹 모듈(20)을 통해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타단말기(200)로 전송됨으로써 상기 출력장치를 상기 단말기(100)의 출력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일한 출력 내용이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로 출력될 수도 있다.
상기 타단말기(200)에서 상기 타단말기(200)에 구비된 상기 출력장치를 상기 단말기(100)와 공유하도록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타단말기(200)에서 실행되는 상기 연결 프로그램에서는 이와 같은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타단말기(200)의 운영체제에서 이러한 기능을 지원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드웨어에 대한 각종 설정을 위해 운영체제상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장치 관리자 기능에서, 모니터를 선택하고, 오른클릭하면 나타나는 메뉴 중 하나로 모니터에 대한 공유 설정 기능이 나타나고, 이를 다시 선택하여 모니터의 공유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타단말기(200)에서 상기 출력장치를 상기 단말기(100)와 공유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단말기(100)에는 이러한 설정을 해제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설정의 해제를 위한 인터페이스 또한 상기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는 연결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되거나 상기 단말기(100)의 운영체제상의 기본기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설정이 해제되면 상기 타단말기(200)의 상기 출력장치에는 상기 타단말기(200)에서 발생한 출력신호에 따라 음향이나 화면 등을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100)에서, 상기 네트워킹 모듈(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100)의 내부전원(V1)이 공급되는 전원라인에 스위치(S)가 구비된다.
상기 내부전원(V1)은 상기 단말기(100)의 종류 및 전원 공급 상태에 따라 배터리 전원이 될 수도 있고, 입력된 교류전원을 어댑터나 레귤레이터 등으로 변환한 전원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S)는 제어신호에 의해 전류흐름을 조절할 수 있는 모든 회로소자 또는 장치가 될 수 있고, 특히 접합형 트랜지스터(BJT: Bipolar Junction Transistor) 소자나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 Field Effect Transistor)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내부전원(V1)은 상기 단말기(100)의 각 구성부분에 공급되고 상기 네트워킹 모듈(20)로도 공급된다. 그러나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타단말기(200)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전원을 절약하기 위하여 상기 내부전원(V1)이 상기 네트워킹 모듈(20)에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스위치(S)가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S)에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즉 상기 타단말기(200)로부터 상기 데이터 케이블(300)을 통해 입력되는 외부전원(V2)이 상기 스위치(S)에 공급되면, 상기 스위치(S)가 단락되어 상기 내부전원(V1)이 상기 네트워킹 모듈(20)에 공급된다. 이로써 상기 네트워킹 모듈(20)이 활성화되고, 데이터의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전원(V2)은 상기 네트워킹 모듈(20)에 구비되는 상기 컨트롤러(20a)를 구성하는 칩의 핀 일부에 인가되어, 상기 컨트롤러(20a)가 상기 외부전원(V2) 공급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단말기(200)가 연결되어 상기 네트워킹 모듈(20)에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컨트롤러(20a)에서 상기 외부전원(V2)의 공급이 감지되면 상기 네트워킹 모듈(20)의 상기 컨트롤러(20a)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프로그램 및 상기 장치 드라이버를 자동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의 상기 제어부(30)도 상기 타단말기(200)로부터 상기 데이터 케이블(300)을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감지할 수 있고, 상기 타단말기(200)의 상기 제어부(25)도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데이터 케이블(300)을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감지하여 각각 상기 데이터 케이블(300)의 연결 및 해제를 모두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데이터 케이블(300)의 연결이 해제됨을 감지하면, 상기 단말기(100) 또는 상기 타단말기(200)의 상기 제어부(25)는 상기 연결 프로그램에 포함된 언인스톨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연결 프로그램과 상기 장치 드라이버를 언인스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의 상기 제어부(30)도 상기 데이터 케이블(300)의 연결 해제를 감지하여 상기 연결 프로그램이나 상기 장치 드라이버를 언인스톨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네트워킹 모듈(20)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연결 프로그램이나 상기 장치 드라이버를 매번 재설치하지 않기 위해 상기 데이터 케이블(300)의 연결 해제가 감지되더라도 언인스톨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타단말기(200)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100)와 같이 상기 네트워킹 모듈(20)을 포함한 장치에 해당한다면 언인스톨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단말기(100)에 상기 타단말기(200)와 연결된 상기 데이터 케이블(300)이 접속하는 단계로부터 시작된다(S100).
상기 제100단계에서는, 상기 단말기(100)의 상기 제어부(30)와 상기 네트워킹 모듈(20)의 상기 컨트롤러(20a)가 상기 데이터 케이블(300)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에 동일한 표준의 무선통신 모듈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제100단계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의 무선통신 모듈을 활성화하고,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타단말기(200)를 인식하는 과정 및 인증과정 등을 통하여 무선 연결되는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타단말기(200)로부터 상기 데이터 케이블(300)을 통해 입력되는 외부전원(V2)에 의하여 상기 단말기(100)의 상기 네트워킹 모듈(20)로 공급되는 전원라인의 스위치(S)가 단락되어 상기 네트워킹 모듈(20)에 상기 내부전원(V1)이 공급되는 단계가 수행된다(S110).
이때 반드시 위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상기 네트워킹 모듈(20)을 활성화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타단말기(200) 연결 전에는 상기 네트워킹 모듈(20)에 대기전원만을 공급하다가 상기 타단말기(200) 연결이 인식되면 구동전원을 공급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가 무선 연결되는 경우에도, 상기 네트워킹 모듈(20)에 대기전원만을 공급하다가 상기 타단말기(200)와의 무선 연결이 감지될 때 비로소 상기 네트워킹 모듈(20)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10단계에서,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네트워킹 모듈(20)이 활성화되면, 상기 네트워킹 모듈(20)에 구비되는 상기 컨트롤러(20a)는 상기 저장부(20b)에 저장된 상기 장치 드라이버 및 상기 연결 프로그램을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에 자동 설치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120).
또한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자동 설치되지 않고 사용자가 직접 설치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설치 여부를 묻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에 이미 상기 연결 프로그램이나 상기 장치 드라이버가 이미 설치되어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20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0단계에서 상기 연결 프로그램과 상기 장치 드라이버의 설치가 완료되거나 이미 설치되어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의 각 제어부(30, 25)는 운영체제를 통해 상기 연결 프로그램을 자동실행한다(S130).
또는 사용자가 상기 연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명령을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30단계에서 실행된 상기 연결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데이터 교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는 교환할 데이터의 상기 단말기(100)에서의 저장영역, 상기 타단말기(200)에서의 저장영역, 전송 방향, 전송 정책 등을 설정할 수 있다(S140).
이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단말기(100)의 저장수단과 저장영역 등의 명칭이 리스트로 제공되고 사용자는 이중 상기 타단말기(200)와의 데이터 공유를 허용할 저장수단 또는 저장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단말기(200)에서도 상기 타단말기(200)에 구비된 저장수단과 저장영역 등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이 중에서 상기 단말기(100)와의 데이터 공유를 허용할 저장수단 또는 저장영역을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에서 사용자가 데이터 교환을 허용한 저장수단 또는 저장영역은 다시 상기 타단말기(200)에 표시되고, 상기 타단말기(200)에서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100)와의 데이터 공유를 허용한 저장수단 또는 저장영역은 다시 상기 단말기(100)에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타단말기(200)로부터 복사해오고자 하는 데이터가 위치하는 상기 타단말기(200)의 저장수단이나 저장영역을 상기 단말기(100)에 표시된 바에 따라 선택하고, 이를 복사할 상기 단말기(100)의 저장수단이나 저장영역을 선택한 후 데이터 전송명령 또는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의 선택된 저장수단 또는 저장영역의 사이의 데이터 교환 또는 동기화를 명령한다.
그리고 명령에 따라 상기 타단말기(200)의 선택된 저장수단 또는 저장영역으로부터 데이터가 상기 단말기(100)에서 데이터를 복사하고자 하는 영역으로 전송된다(S150).
또한 이와 반대로 상기 타단말기(200)에서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데이터를 복사해오고자 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100)에서 공유를 허용함으로써 상기 타단말기(200)에 표시된 저장수단 또는 저장영역 중 복사해오고자 하는 데이터가 저장된 영역을 선택한 후 데이터 전송명령이나 동기화 명령을 입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타단말기(200)로 데이터가 전송된다(S150).
여기서 상기 제140단계에서 상기 연결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전송 방향은,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타단말기(200)로 데이터를 전송할지, 상기 타단말기(200)에서 상기 단말기(100)로 데이터를 전송할지,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지 등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전송 정책은, 데이터를 선택하여 전송할지 또는 선택된 저장영역 사이의 데이터를 동기화할지 등의 여부를 말하고, 동기화의 경우 상기 단말기(100)에서 선택된 저장영역과 상기 타단말기(200)에서 선택된 저장영역 중 무엇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동기화할지 여부 등을 포함한다.
이때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기 제150단계는 상기 단말기(100)의 상기 제어부(30)와 상기 타단말기(200)의 상기 제어부(25)가 상기 네트워킹 모듈(20)의 상기 컨트롤러(20a)와 통신하여 상기 컨트롤러(20a)가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 사이에서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우선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가 상기 데이터 케이블(300)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100)의 상기 연결포트(10) 또는 상기 타단말기(200)의 상기 연결포트(15)에서 상기 데이터 케이블(300)의 접속이 해제됨이 감지됨으로써 시작된다(S200).
상기 데이터 케이블(300)의 물리적 접속이 해제됨이 감지되거나, 상기 데이터 케이블(300)을 통해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 사이에 입출력되는 전원 공급이 차단됨이 감지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상기 제200단계가 진행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가 무선접속되었던 경우라면,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의 무선 연결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제200단계가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제200단계에서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의 연결이 해제됨이 감지되면, 상기 단말기(100)의 상기 제어부(30)와 상기 타단말기(200)의 상기 제어부(25)가 각각 실행하던 상기 연결 프로그램의 실행이 종료된다(S210).
그리고 상기 타단말기(200)에 설치된 상기 연결 프로그램 및 상기 네트워킹 모듈에 대한 상기 장치 드라이버가 상기 타단말기(200)에서 자동으로 언인스톨되는 단계(S220)가 수행된다.
상기 제220단계는 상기 연결 프로그램에 포함된 언인스톨 프로그램이 상기 제200단계에서의 접속 해제를 감지함과 동시에 자동 실행됨으로써 수행된다.
이때 상기 단말기(100)에서도 상기 연결 프로그램과 상기 장치 드라이버의 언인스톨을 수행할 수도 있고, 상기 타단말기(200)에도 네트워킹 모듈이 구비된 경우라면, 상기 타단말기(200)에서도 자동 언인스톨 동작이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상기 단말기(100)에 인터넷 연결이 되지 않고 상기 타단말기(200)에만 인터넷이 연결된 경우, 상기 타단말기(200)의 인터넷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100)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는 상기 단말기(100)에 상기 타단말기(200)와 연결된 상기 데이터 케이블(300)이 접속함으로써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가 서로 연결되는 단계로부터 시작된다(S300).
그리고 상기 제300단계에서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가 연결된 것이 감지되어 상기 네트워킹 모듈(20)이 활성화된다(S310). 이때 연결을 감지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에 의할 수 있으나, 위에서 이미 설명한 것처럼 상기 데이터 케이블(300)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감지하는 방법에 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네트워킹 모듈(20)의 활성화는 대기전원을 입력받던 상기 네트워킹 모듈(20)에 구동전원이 입력되거나 또는 전원오프상태의 상기 네트워킹 모듈(20)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310단계에서 상기 네트워킹 모듈(20)이 활성화되면, 상기 네트워킹 모듈(20)의 상기 컨트롤러(20a)는 상기 저장부(20b)로부터 상기 연결 프로그램 및 상기 네트워킹 모듈(20)에 대한 장치 드라이버를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에 자동으로 설치한다.
이때 이미 설치되어 있으면, 상기 연결 프로그램 및 상기 장치 드라이버의 설치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네트워킹 모듈(20)의 상기 컨트롤러(20a)는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의 인터넷 공유 설정을 자동으로 수행한다(S330).
윈도우 기반의 운영체제에서는 인터넷 공유 기능을 지원하는데, 상기 컨트롤러(20a)는 자동 설치된 상기 장치 드라이버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100)의 상기 제어부(30)와 상기 타단말기(200)의 상기 제어부(25)와의 통신을 통하여 상기 각 제어부(30, 25)가 실행하는 운영체제 내에서 인터넷 공유 설정이 변경되도록 한다.
이때 인터넷 공유 설정 변경을 위한 프로그램이 상기 연결 프로그램 내에 포함될 수 있고, 별도로 상기 저장부(20b)에 저장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330단계는, 상기 타단말기(200)에서는 상기 타단말기(200)의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IP) 주소와, 부분망마스크(Subnetwork Mask) 값과, DNS(Domain name server의 주소)를 자동으로 설정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때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와, 부분망마스크 값과, DNS주소는 미리 정해진 값에 따라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330단계는, 상기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단말기(100)의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와 부분망마스크 값과, 게이트웨이(Gateway) 주소를 설정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때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와 부분망마스크 값과, 게이트웨이 주소는 미리 정해진 값에 따라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타단말기(200)에 설정되는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와 상기 단말기(100)에 설정되는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는 서로 관련된 주소로 정해진다. 또한 상기 부분망마스크 값은 상기 타단말기(200)와 상기 단말기(100)에서 같은 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단말기(100)에서의 상기 게이트웨이 주소는 상기 타단말기(200)의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와 동일한 값으로 설정된다.
한편 상기 DNS주소는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값에 의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가 이를 변경하거나 재설정할 수 있다. 또는 이를 수동설정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정 변경 기능 및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은 상기 연결 프로그램에 포함된 기능일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20b)에 저장된 별도의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제330단계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에 인터넷 공유 설정이 자동으로 완료되면,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타단말기(200)에 구비된 상기 인터넷 모듈(65)를 통하여 인터넷에 연결되게 된다(S340).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100)를 통해서도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 사이의 연결이 해제되면(S350),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의 상기 제어부(30, 25)는 각각 상기 단말기(100)와 상기 타단말기(200)에서 자동 변경되었던 상기 인터넷 설정 값들을 초기화할 수 있다(S360).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본 실시예가 함께 수행되는 경우, 상기 동기화프로그램의 언인스톨 단계는 상기 인터넷 설정 값의 초기화 이후에 수행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단말기 200: 타단말기
300: 데이터 케이블 10, 15: 연결포트
20: 네트워킹 모듈 20a: 컨트롤러
20b: 저장부 30, 25: 제어부
40, 35: 하드디스크 50,45: 광디스크
60, 55: RAM 65: 인터넷 모듈

Claims (30)

  1. 통신 장치에 있어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스피커;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부;
    무선통신 모듈 및 USB를 지원하는 연결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터치 입력이 가능한 입력부;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는 장치들의 리스트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스트에 표시된 장치들은,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리스트에 표시된 상기 장치들 중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대응되는 특정 장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특정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특정 장치로 전송되기 전,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스피커를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중인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포트를 통해 상기 특정 장치와 인터넷 접속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연결 프로그램을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로그램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을 더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전송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장치의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장치는,
    상기 특정 장치가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기 전에 절전 모드인 경우, 상기 절전 모드를 정상동작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8. 통신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의 통신부를 통해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통신 장치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장치의 제1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는 장치들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무선통신 모듈 및 USB를 지원하는 연결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장치는 제1 스피커 및 터치 입력이 가능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연결포트를 통해 상기 다른 단말기와 인터넷 접속을 공유하고,
    상기 리스트에 표시된 장치들은,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하는 제2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리스트에 표시된 상기 장치들 중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대응되는 특정 장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무선통신 모듈를 통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특정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특정 장치로 전송되기 전,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스피커를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중인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이용해 상기 특정장치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장치의 제어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특정 장치의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장치의 제어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제1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전송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특정 장치와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장치의 제어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 모듈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장치의 제어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하나를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장치의 제어방법.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 및 상기 특정 장치는 동일한 네트워크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의 제어방법.
  16. 제 8 항에 있어서,
    연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스트는,
    상기 연결 프로그램 실행으로부터 생성된 그래픽 화면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의 제어방법.
  17.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통신부를 통해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의 출력부를 통해 상기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의 출력부는,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근거리 케이블 통신부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인터넷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단말기 및 타 단말기는 동일한 하나의 네트워크에 포함되며,
    상기 단말기는 USB를 지원하는 연결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 단말기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입력부;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타단말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타단말기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타단말기로부터 수신하기 전에 상기 타 단말기에 저장되고,
    상기 타 단말기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타 단말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타 단말기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에서 각각 출력하는 상태에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타 단말기로부터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상기 신호와 다른 신호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전송 상태는,
    타단말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출력부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연결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신호들을 상기 출력부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기 위한 드래그 앤 드랍 입력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인터넷 설정을 위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에서는 인터넷 주소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
  25.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상기 타단말기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
  26.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와 관련된 입력 장치로부터 특정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수신한 특정 입력을 상기 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
  27.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단말기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
  2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및 상기 타 단말기 사이의 연결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이 감지되면, 상기 단말기 및 상기 타 단말기의 절전 모드 진입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
  2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기 전에 절전 모드인 경우, 상기 절전 모드를 정상동작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
  30. 단말기에 있어서,
    USB를 지원하는 연결포트;
    근거리 케이블 통신부 및 무선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출력부;
    인터넷에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부; 및
    상기 단말기의 통신부를 통해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및 타 단말기는 동일한 하나의 네트워크에 포함되며,
    상기 타 단말기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입력부;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타단말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타단말기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타 단말기에 저장되고,
    상기 타 단말기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타 단말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타 단말기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에서 각각 출력하는 상태에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KR1020140059142A 2014-05-16 2014-05-16 네트워킹 모듈이 구비된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KR101516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142A KR101516639B1 (ko) 2014-05-16 2014-05-16 네트워킹 모듈이 구비된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142A KR101516639B1 (ko) 2014-05-16 2014-05-16 네트워킹 모듈이 구비된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6752A Division KR101516637B1 (ko) 2007-12-24 2007-12-24 네트워킹 모듈이 구비된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320A true KR20140089320A (ko) 2014-07-14
KR101516639B1 KR101516639B1 (ko) 2015-05-04

Family

ID=51737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142A KR101516639B1 (ko) 2014-05-16 2014-05-16 네트워킹 모듈이 구비된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663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6639B1 (ko) 201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6637B1 (ko) 네트워킹 모듈이 구비된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EP3515045B1 (en) Wireless audio output devices
US108345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terogeneous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using single application
CA2793617C (en) Dynamic configuration of connectors for system-level communications
US8504823B2 (en) Dynamic configuration of connectors for system-level communications
JP2017523509A (ja) アクセサリデバイスのためのリバーシブルコネクタ
MXPA04010159A (es) Configuracion simple y dinamica de aparatos de red.
TW201232277A (en) Wireless accessory device pairing transfer between multiple host devices
CN101622600A (zh) 多个具有引导能力的设备之间的引导协商
US2014028096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llocating devices between multiple controllers
JP2007134782A (ja) 通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US10582636B2 (en) Server having a dual-mode serial bus port enabling selective access to a baseboard management controller
US20230359244A1 (en) Docking stations
US102484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driver install files when enabling a USB device
US8612518B2 (en) Dual screen PC
WO2019056583A1 (zh) 供电装置、供电方法及电子装置
KR101516639B1 (ko) 네트워킹 모듈이 구비된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KR20160041282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065930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the environment of the device
KR100543951B1 (ko) 컴퓨터와 주변장치간의 접속을 위한 자동 유에스비인터페이스 장치
JP4835511B2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EP3413205A1 (en) Re-enumeration of usb 3.0 compatible devices
WO2015165774A1 (en) Automatic device driver switching
JP2019016858A (ja) 情報処理装置
TW202022624A (zh) 資訊擷取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