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9300A - 화면을 공유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면을 공유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9300A
KR20140089300A KR1020130167205A KR20130167205A KR20140089300A KR 20140089300 A KR20140089300 A KR 20140089300A KR 1020130167205 A KR1020130167205 A KR 1020130167205A KR 20130167205 A KR20130167205 A KR 20130167205A KR 20140089300 A KR20140089300 A KR 20140089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component
physical screen
physical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7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4498B1 (ko
Inventor
지윤 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89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8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more than on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9G2340/145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related to small scree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6/00Detection of the display position w.r.t. other display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면을 공유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상기 디바이스와의 접촉 여부를 판정하는 센서와, 상기 판정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통신 유닛과, 그래픽 컴포넌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물리적 화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물리적 화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의 물리적 화면을 타일링(tiling)하고 결합하여 논리 화면을 생성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면을 공유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SCREENS}
본 발명은 화면을 공유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들은 이제 단순한 전화 통화를 넘어서서 다수의 추가적인 특징들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들은 알람, SMS(Short Messaging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E-메일, 게임, 근거리 통신의 원격 제어, 실장된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한 이미지 캡처링 기능, 오디오 및 비디오 콘텐츠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기능, 스케쥴링 기능, 및 그 이상의 것들과 같은 추가의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동 단말들은 또한 다양한 공유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공유 기능을 통하여 이동 단말들은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카메라에 구비된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사진을 찍을 수 있으며, 그 이미지를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공유 기능은 통상적으로 NFC(Near Field Communications), 블루투스, Wi-Fi, 또는 적외선 통신과 같은 무선 통신 기술을 통해 달성된다.
그러나 복수의 서로 다른 디바이스들에 대한 각각의 화면을 단일 화면으로 다룰 경우, 사용자는 단일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인터페이스 아이템들을 각각의 디바이스 화면으로 이동시킬 수 없다. .
이에 따라 디바이스 설계는 디스플레이 환경이 복수의 윈도우들과 다른 그래픽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데스크탑 및 랩탑 컴퓨터들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윈도우 시스템을 추구하여, 복수의 디바이스들이 서로의 화면들 사이에서 인터페이스 아이템들을 공유할 수 있는 방안을 요구하고 있다.
본 발명은 화면을 공유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화면을 공유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와의 접촉 여부를 판정하는 센서와, 상기 판정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통신 유닛과, 그래픽 컴포넌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물리적 화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물리적 화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의 물리적 화면들을 결합하여, 논리 화면을 생성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화면을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물리적 화면상에 그래픽 컴포넌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와의 접촉 여부를 판정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와 접촉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 1 물리적 화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의 제 2 물리적 화면을 타일링(tiling)하고 결합하여 논리 화면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들, 이점들, 및 현저한 특징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을 개시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해질 것이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이 논리 화면이 사용됨으로써 데이터 공유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임플레이의 새로운 방식 및 멀티플레이어 옵션들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공유 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2a-2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들의 배열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를 예시한 도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설명은 청구항 및 이들의 균등물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다양한 특정 상세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 여기에 기술된 실시 예들의 다양한 변경 및 변형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당업자들은 인식할 것이다. 또한, 공지의 기능들 및 구조들의 설명은 명확성 및 간결성을 위하여 생략한다.
다음의 설명 및 청구항에서 이용된 용어 및 단어들은 서지학적 의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지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결하게 이해를 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서 이용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다음의 설명은 단지 예시를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들의 균등물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목적이 아님을 당업자들에게는 명확할 것이다.
단수의 형태 표현은 별도의 명확하게 지시하는 문장이 없다면 복수의 대상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컴포넌트 표면"에 대한 언급은 하나 이상의 이러한 표면을 언급하는 것을 포함한다.
용어 "실질적으로"를 이용하여, 언급한 특징, 파라미터, 또는 값은 정확하게 달성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어, 당업자들에게 공지된 허용 오차, 측정 오차, 측정 정밀도 한계 및 그 밖의 요소들을 포함하는 편차 또는 변동이 제공하기 위해 의도되었던 효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발생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은 복수의 디바이스들 사이에서의 화면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 및 방법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공유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 및 제2 디바이스는 서로 접촉하도록 이동된다(110단계). 디바이스는 일 예로, 태블릿, 이동 단말 등과 같은 물리적 화면을 가진 임의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디바이스 및 제2디바이스는 일 예로, AndroidTM과 같은, 동일한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제1디바이스 및 제2디바이스는 일 예로, 상이한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화면 공유 기능은 제1디바이스와 제2디바이스 양쪽 모두를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app)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제1디바이스와 제2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들 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들 간의 접촉을 검출한다(120단계). 센서들에는 수동 또는 능동 검출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센서들은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들은 또한 디바이스들의 배향(예컨대, 디바이스들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접촉되어 있는지 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접촉되어 있는지의 여부) 및 디바이스들의 정렬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 동일한 사이즈를 갖지 않은 디바이스들도 상기 센서을 이용하여, 디바이스들의 접촉과 정렬을 검출할 수 있다. 센서들은 접촉과 정렬를 검출하면, 디바이스는 이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에게 전달함으로써 단일의 논리 화면 생성할 수 있다.
제1디바이스 및 제2디바이스들의 물리적 화면들은 단일의 논리 화면으로 타일링 및 결합될 수 있다(130단계). 이에 따라, 제1디바이스 화면과 제2디바이스의 화면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더라도, 제1디바이스 및 제2디바이스의 화면들은 단일 화면으로서 다룰 수 있다. 즉, 동일한 화면이 양쪽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공유될 수 있다. 제1디바이스 및 제2디바이스는 2개의 물리적 화면을 타일링 및 결합하기 위해, 각각의 디바이스들은 서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일 예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또는 적외선 통신과 같은 근거리 통신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제1디바이스 및 제2디바이스는 임의의 통신 시스템(유선 또는 무선)을 이용하여, 2개의 물리적 화면들을 단일의 논리 화면으로의 결합을 처리할 수 있다.
디바이스들이 타일링 및 결합된 화면을 공유하면, 디바이스들은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 상기 디바이스들 간의 통신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채널은 논리 화면상에 그래픽 컴포넌트들구성 요소들(components; 이하 컴포넌트라 명시함)을 나타내는데(render) 필요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들이 서로의 화면을 공유하도록 설정함에 따라, 디바이스들은 상기 디바이스들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그래픽 컴포넌트들이 논리 화면 내로 이동할 수 있다(140단계). 상기 그래픽 컴포넌트들은 윈도우, 아이콘, 위젯, 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디바이스와 제2디바이스는 논리 화면을 단일의 화면으로서 다룸으로써, 제1디바이스와 제2디바이스는 각각 물리적 화면들상의 그래픽 컴포넌트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1디바이스의 화면에 나타난 윈도우는 제1디바이스에 의해 렌더링 및 제어될 수 있고, 제2디바이스의 물리적 화면에 나타난 아이콘은 제2디바이스에 의해 렌더링 및 제어되게 될 수 있다.
또한 일예로, 제1디바이스의 물리적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그래픽 컴포넌트는 제2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제1디바이스 및 제2디바이스는 마스터/슬레이브 관계로 동작할 수 있으며, 여기서 마스터 디바이스는 양쪽 모두의 디바이스들에 대한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1디바이스가 마스터 디바이스인 경우, 제1디바이스는 논리 화면상의 그래픽 컴포넌트들과 관련된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제2디바이스는 제1디바이스의 제어에 따라, 제2디바이스의 물리적 화면상의 그래픽 컴포넌트들을 렌더링하는 것만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디바이스들은 각 그래픽 컴포넌트들이 디스플레이되는 물리적 화면에 따라 다양한 그래픽 컴포넌트들의 제어를 분담할 수 있고, 논리 화면에 대한 제어 결과를 공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양쪽 모두의 디바이스는 상대편에 디스플레이된 그래픽 컴포넌트들에 관한 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컴포넌트들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가 그래픽 컴포넌트를 이동시킬 때마다 업데이트 되거나 일정 주기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그래픽 컴포넌트를 한 물리적 화면에서 다른 물리적 화면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즉, 그래픽 컴포넌트를 렌더링함에 있어서 다른 디바이스를 보조하기 위한 상기 그래픽 컴포넌트에 관한 정보를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그래픽 컴포넌트를 송신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은 제스쳐, 터치 및 드래그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논리 화면이 사용됨으로써 2개의 디바이스들간의 데이터 공유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래픽 컴포넌트가 하나의 물리적 화면으로부터 다른 물리적 화면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그래픽 컴포넌트와 관련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어떤 파일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제1디바이스의 물리적 화면으로부터 제2디바이스의 물리적 화면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아이콘에 대한 파일 자체가 상기 아이콘의 이동에 대응하여 제2디바이스에 복제될 수 있다.
2개의 물리적 화면들은 단일 논리 화면으로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다양한 제스처를 사용하여 그 논리 화면 주위에 아이콘, 윈도우, 및 그 밖의 그래픽 컴포넌트들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디바이스의 물리적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윈도우를 터치하여 제2디바이스의 물리적 화면으로 상기 윈도우를 드래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윈도우를 드래그함에 따라, 상기 윈도우는 제1디바이스의 물리적 화면에 전체적으로 나타나게 되고, 이어서 양쪽 모두의 물리적 화면에 부분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으며, 최종적으로 상기 물리적 화면들에 상기 윈도우가 전체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따른 상기 윈도우에 대한 데이터 전송은 상기 윈도우가 제2디바이스의 물리적 화면상에 전체적으로 나타날 때에 개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터치 제스처들이 사용되어 논리 화면의 윈도우 및 그 밖의 그래픽 컴포넌트들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래픽 컴포넌트들이 복수의 물리적 화면들을 경유할 경우에도, 사용자는 단일-디바이스 화면들과 동일한 방식으로멀티-터치 및 핀치(pinch) 제스처를 이용하여, 논리 화면의 윈도우 및 그 밖의 그래픽 컴포넌트들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논리 화면의 그래픽 컴포넌트이 양쪽의 물리적 화면에 걸친 경우, 사용자는 그래픽 컴포넌트를 터치하고, 임의의 물리적 화면의 방향으로의 퀵 드래그 모션을 행하고, 터치를 해제함으로써 하나의 물리적 화면으로부터 다른 물리적 화면으로 상기 그래픽 컴포넌트를 "투입(throw)"할 수 있다. 상기 투입은 물리적 화면상의 위치로 투입된 것에 대응하여, 그래픽 컴포넌트 이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투입된 위치는 미리 결정된 위치이거나 사용자의 터치 움직임의 속도 또는 가속도에 따라 결정되는 위치일 수 있다.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다른 디바이스로,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디바이스로부터 제2디바이스로 그래픽 객체가 이동하는 경우, 제1디바이스는 130 단계에서 설정된 통신 채널을 통해 그래픽 컴포넌트에 관한 정보를 제2디바이스로 전송한다. 기 그래픽 컴포넌트에 관한 정보는 전체 그래픽 컴포넌트들을 렌더링하는데 필요한 정보 및 제2디바이스의 물리적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될 그래픽 컴포넌트의 일부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래픽 컴포넌트가 제1디바이스로부터 제2디바이스로 이동함에 따라, 일 예로, 전체 그래픽 컴포넌트가 제2디바이스상에 디스플레이될 때까지 점점 더 많은 그래픽 컴포넌트들이 제2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래픽 컴포넌트에 관한 다른 논리 화면의 동작은 제1디바이스가 그래픽 컴포넌트에 대한 제어를 보유하고 있는지 또는 제2디바이스가 그래픽 컴포넌트에 대한 제어를 보유하고 있는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디바이스가 그래픽 컴포넌트에 대한 제어를 가지는 경우, 제1디바이스는 그래픽 컴포넌트의 컨텍스트를 제2디바이스로 전송함으로써, 제2디바이스가 상기 그래픽 컴포넌트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컨텍스트는 상기 그래픽 컴포넌트의 런타임 상태의 메모리 덤프(memory dump)일 수 있다. 그래픽 컴포넌트가 명확하게-정의된 상태(예컨대, 텍스트 파일을 편집하는 윈도우와 같은)를 가지는 경우, 일 예로, 제2디바이스는 그 데이터(텍스트 데이터)를 제1디바이스와 싱크(sync)할 수 있다.
제1디바이스가 그래픽 컴포넌트에 대한 제어를 보유하는 경우, 제2디바이스는 상기 그래픽 컴포넌트에 대한 사용자 상호작용에 관한 정보를 통신 채널을 통해 제1디바이스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제1디바이스는 사용자 상호작용으로 인한 변화들을 편입시키기 위해 컨텍스트를 업데이트하고 적절한 정보를 다시 제2디바이스로 전송함으로써 제2디바이스가 사용자 상호작용에 따라 그래픽 컴포넌트를 렌더링할 수 있게 한다.
다른 예로, 제1디바이스 및 제2디바이스는 그래픽 컴포넌트의 컨텍스트를 포함하는 메모리 공간을 공유할 수 있고, 사용자 상호작용에 따라 상기 컨텍스트를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또한 업데이트된 컨텍스트에 따라 그래픽 컴포넌트를 렌더링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메모리는 디바이스들이 서로 공유되거나, 또는 서버나 클라우드 저장소(cloud storage)와 같은 다른 메모리 공간에서 공유될 수 있다.
도 1은 수평 방식으로 사이드-바이-사이드 배열된 2개의 디바이스들의 배열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배열일 뿐이다. 몇몇 다른 예시적 배열들이 도 2a-2d와 관련하여 아래에 기술되어 있다.
도 2a-2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들의 배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a-2d를 참조하면, 복수의 디바이스들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논리 화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복수의 디바이스들은 다양한 배열들이 가능하다. 도 2a는 2개의 디바이스가 수직으로 배열된 일 예를 나타낸다. 이 배열은 하부 디바이스의 물리적 화면에는 풀-사이즈 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하고, 상부 디바이스의 물리적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문자들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데 적합할 수 있다.
도 2b 및 도 2c는 2개보다 많은 디바이스가 결합하여 단일의 논리 화면을 형성하는 예들을 나타내고 있다. 도 2b에서는, 3개의 디바이스가 피라미드 배열되고, 도 2c에서는, 3개의 디바이스가 사이드-바이-사이드로 배열되어 있다. 3개보다 많은 디바이스의 배열도 또한 가능하다.
디바이스들은 어긋나게 정렬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2d는 제1디바이스와 제2디바이스의 화면이 완전하게 정렬되지 않은 일 예를 나타낸다. 일 예로, 타일링 및 결합은 도 1, 도 2a 내지 도 2c에 나타낸 배열들과 같이, 디바이스들의 화면이 서로 정렬될 때까지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물리적 화면들은 도 2b 및 2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들이 서로 정렬되지 않은 경우에도 결합될 수 있다.
도 2b에 나타낸 배열에서와 같이, 물리적 화면들이 불규칙한 모양으로 정렬된 경우, 논리적 화면은 불규칙한 모양의 형태로 타일링 및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논리 화면은 물리적 화면들이 사각형의 배열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타일링 및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물리적 화면에서 다른 물리적 화면으로 그래픽 컴포넌트가 이동할 경우 매핑(mapping)이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에 나타낸 배열에서, 제2디바이스의 전체 탑 에지(top edge)는 제1디바이스의 바텀 에지(bottom edge)의 좌측 반절(left half)에 매핑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a-2d는 동일 사이즈의 디바이스들을 나타내고 있지만, 디바이스들이 서로 상이한 사이즈 또는 타입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디바이스는 상대적으로 큰 폼 팩터를 가진 태블릿일 수 있고, 제2디바이스는 더 작은 폼 팩터를 가진 태블릿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디바이스가 태블릿일 수 있고 제2디바이스는 이동 전화(예컨대, 스마트 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라 디바이스들은 화면 공유를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이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오퍼레이팅 시스템은 구글(Google, Inc)에 의해 개발된 AndroidTM 오퍼레이팅 시스템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화면 공유를 용이하게 하는 기능은 별개의 애플리케이션 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들은 상이한 오퍼레이팅 시스템용으로 개발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이한 오퍼레이팅 시스템들을 가지는 디바이스들에 걸친 화면 공유 또한, 가능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바이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바이스(300)3는 화면(10) 및 센서(3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300)는 제어기 및 통신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기는 디바이스(3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통신 유닛은 디바이스(300) 내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통신 유닛은 디바이스(300)의 외부에 배열된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300)는 추가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추가 유닛에 따라 디바이스(300)의 기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추가 유닛들은 저장 유닛, 카메라, GPS(Global Position System) 또는 그 밖의 로케이션 서비스들, 스피커, 마이크로폰, 입력 유닛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화면(310)은 디바이스(300)의 물리적 화면을 나타내며, 윈도우, 아이콘, 메뉴,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엘리먼트들, 및 각종 콘텐츠를 포함하는 그래픽 컴포넌트들을 디스플레이한다. 화면(310)은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화면(310)은 터치 화면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센서(320)는 다른 디바이스가 디바이스(300)와 접촉한 것으로 판정한 경우, 제어기는화면(310)이 논리 화면의 일부로서 동작하도록 제어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그래픽 컴포넌트들이 하나의 물리적 화면상에 있는 것처럼, 다른 디바이스(들)의 물리적 화면에서 화면(310)에 디스플레이된 그래픽 컴포넌트들을 이동시킬 수 있다.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여기서는 화면(310)이 터치 화면인 것으로 기술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센서 (320)는 다른 디바이스들의 접근 및 정렬을 검출하고, 검출한 정보를 제어기에게 제공할 수 있다. 센서(320)는 접촉 또는 근접성을 검출할 수 있는 임의 타입의 센서일 수 있으며, 유도 타입, 정전용량 타입, 광학 타입, 초음파 타입, 자기 타입 등일 수 있다. 하나의 센서(320)만이 디바이스(300) 상에 나타나 있지만, 복수의 센서들(320)이 배치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의 2개 이상의 측면상에 배열될 수도 있다. 센서들은 밀집 방식(dense manner) 또는 성근 방식(sparse manner)으로 배열될 수 있다. 성근 배열의 센서들은 한정된 개수의 소정 정렬들을 검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밀집 방식은 더 큰 범위의 정렬들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320)는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모든 측면에 배열된 핀(pin)들의 그룹에 의해 대체되거나 보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핀들이 다른 디바이스의 대응 핀들과 접촉하는 경우, 2개의 디바이스가 논리 화면에 관한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 회로가 완료된다. 이와 같은 2개의 디바이스가 서로 통신하는 방식은 통신 유닛을 통해서 수행 또는 대체할 수 있다. 일 예로, 핀들은 자기들(magnets)에 의해 보충됨으로써 디바이스(300)와 다른 디바이스 사이의 적절한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어기는 디바이스(300)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제어기는 센서(320)에 의해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디바이스가 디바이스(300)와 접촉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다른 디바이스가 디바이스와 접촉한 것으로 제어기가 판정한 경우, 제어기는 다른 디바이스와 접촉하고 있는 측면(또는 측면의 일부분)을 판정하며, (통신 유닛을 통해) 다른 디바이스와 협조함으로써 단일의 논리 화면 내에 물리적 화면들과 타일링 및 결합한다.
논리 화면이 활성 상태이고 디바이스(300)가 다른 디바이스와 접촉하고 있는 동안, 제어기는 디스플레이 유닛(310)의 물리적 화면상에 그래픽 컴포넌트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담당할 수 있다. 그래픽 컴포넌트가 다른 디바이스의 물리적 화면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어기는 통신 유닛을 통해 그 그래픽 컴포넌트를 렌더링하는데 필요한 정보, 및 다른 관련 정보를 다른 디바이스로 전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그래픽 컴포넌트가 디바이스(300)의 물리적 화면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어기는 화면(310)을 통해 그래픽 컴포넌트를 렌더링하는데 필요한 정보 및 다른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유닛은 근거리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여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근거리 통신 시스템은 NFC, 블루투스, 및 적외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300)의 기능에 따라, 다른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들을 사용하여 통신하기 위한 통신 유닛이 또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디바이스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 2개의 애플리케이션들은, 위에서 설명한 파일 전송 애플리케이션 및 가상 키보드 애플리캐이션일 수 있다.일 예로, 게임들과 소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논리 화면 내에 2개의 물리적 화면들을 타일링 및 결합하는 것은 게임플레이의 새로운 방식 및 멀티플레이어 옵션들을 시작할 수 있게 한다. 멀티태스킹(예컨대, 동일 화면상에 복수 윈도우들을 나타내고,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로부터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것) 또는 문서 뷰잉(예컨대, 하나의 물리적 화면상에 하나의 문서를 나타내고 다른 물리적 화면상에 다른 문서를 나타내는 것)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들에 적용될 수 있다 물론,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이 또한 가능하며,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이 이들 애플리케이션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바이스들이 서로 접촉하는 것으로 위에서 기술되었지만, 디바이스들은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들은 수 밀리미터 거리만큼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거리는 사용자가 단일 논리 화면으로서 물리적 화면들을 수신하고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양쪽 모두의 물리적 화면들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하기에 충분히 근접한 거리가 될 것이다. 또한, 물리적 접촉에 대한 요구사항을 완화하는 것은 디바이스들을 적절하게 배열하는데 곤란을 겪을 수 있는 제한된 거동능력을 가진 사용자들과 아동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나타내고 기술하였지만,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와 사상 그리고 그들의 균등물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형태 및 세부사항의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Claims (16)

  1. 화면을 공유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와의 접촉 여부를 판정하는 센서와,
    상기 판정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통신 유닛과,
    그래픽 컴포넌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물리적 화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물리적 화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의 물리적 화면을 타일링(tiling)하고, 결합하여 논리 화면을 생성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물리적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각 그래픽 컴포넌트를 렌더링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의 다른 물리적 화면으로부터 상기 그래픽 컴포넌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물리적 화면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들 중의 하나의 물리적 화면으로 그래픽 컴포넌트가 송신되는 경우, 상기 그래픽 컴포넌트를 렌더링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디바이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물리적 화면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들 중의 하나의 물리적 화면으로 그래픽 컴포넌트가 송신되는 경우, 상기 그래픽 컴포넌트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터치 화면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디바이스의 적어도 2개의 측면에 배열된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그래픽 컴포넌트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디바이스.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제 2 그래픽 컴포넌트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수신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제 2 그래픽 컴포넌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와의 거리, 배향 및 정렬 중 적어도 하나를 판정하는 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핀(PIN)들의 그룹을 포함하되, 상기 핀들의 그룹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의 핀(pin)들의 그룹과 연결 가능하고, 상기 핀들의 그룹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의 핀들의 그룹에 접촉하는지 판정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와의 통신 채널을 생성하는 디바이스.
  11. 화면을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물리적 화면상에 그래픽 컴포넌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와의 접촉 여부를 판정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와 접촉하고 있는 경우, 상기 제 1 물리적 화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의 제 2 물리적 화면을 타일링(tiling)하고 결합하여 논리 화면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화면 공유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물리적 화면으로부터 상기 제 2 물리적 화면으로 상기 그래픽 컴포넌트를 이동시키는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물리적 화면으로 상기 그래픽 컴포넌트를 렌더링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화면 공유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물리적 화면상에 상기 그래픽 컴포넌트를 렌더링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화면 공유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컴포넌트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화면 공유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제 2 그래픽 컴포넌트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물리적 화면상에 상기 제 2 그래픽 컴포넌트를 렌더링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화면 공유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물리적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그래픽 컴포넌트에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그래픽 컴포넌트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화면 공유 방법.
KR1020130167205A 2013-01-04 2013-12-30 화면을 공유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1244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734,163 US9197734B2 (en) 2013-01-04 2013-01-04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screens from multiple mobile devices
US13/734,163 2013-0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300A true KR20140089300A (ko) 2014-07-14
KR102124498B1 KR102124498B1 (ko) 2020-06-22

Family

ID=51061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7205A KR102124498B1 (ko) 2013-01-04 2013-12-30 화면을 공유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97734B2 (ko)
KR (1) KR1021244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5370A (ko) * 2014-10-17 2016-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간에 화면 공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97679B2 (ja) * 2013-02-28 2017-03-15 エルジー アプラス コーポレーション 端末間機能共有方法及びその端末
US9952684B2 (en) 2013-05-09 2018-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put apparatus, pointing apparatus, method for displaying pointer, and recordable medium
US9417835B2 (en) 2013-05-10 2016-08-16 Google Inc. Multiplayer game for display across multiple devices
JP2015061107A (ja) * 2013-09-17 2015-03-30 株式会社リコー 配信管理装置、及び配信システム
KR20150117018A (ko) * 2014-04-09 2015-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팅 장치, 컴퓨팅 장치 제어 방법 및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
US9880799B1 (en) * 2014-08-26 2018-01-30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Extendable display screens of electronic devices
US10015214B2 (en) * 2014-09-30 2018-07-03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viewable content with conference participants through automated identification of content to be shared
KR102335024B1 (ko) * 2014-12-10 2021-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장치
CN104754128B (zh) * 2015-03-23 2018-03-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10382927B2 (en) * 2015-08-20 2019-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text input for wearable devices
CN107018204B (zh) * 2017-05-25 2020-06-05 深圳市勤能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交互方法及设备
US11093197B2 (en) * 2017-07-31 2021-08-17 Stmicro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to increase display area utilizing a plurality of discrete displays
CN107566866B (zh) * 2017-09-21 2020-06-09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可分合使用的电视、合屏显示、分屏显示的方法
US10732916B2 (en) * 2017-11-28 2020-08-04 Ncr Corporation Multi-device display processing
CN111381791B (zh) * 2020-03-03 2023-03-21 安徽文香科技有限公司 一种交互系统、方法、设备和存储介质
KR20230014479A (ko) * 2021-07-21 2023-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4382A (ko) * 2003-02-19 2005-11-02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휴대용 디바이스들 사이의 콘텐트 아이템들의 ad hoc공유를 위한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상호작용 방법들
KR20100063644A (ko) * 2008-12-03 2010-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휴대 단말기의 통합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94854B2 (en) * 2004-10-26 2011-02-22 Pantech & Curitel Communications, Inc. Image/audio playback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42570B1 (ko) * 2006-11-03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에서 복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US8838481B2 (en) * 2011-07-26 2014-09-16 Golba Llc Method and system for location based hands-free payment
KR101760911B1 (ko) * 2011-05-18 2017-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760424B1 (ko) * 2011-05-20 2017-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73415B1 (ko) * 2011-09-08 2018-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813035B1 (ko) * 2011-10-10 201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9098720B2 (en) * 2011-11-21 2015-08-04 Facebook, Inc. Location aware shared spaces
US9436650B2 (en) * 2011-11-25 2016-09-06 Lg Electronics Inc. Mobile devic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682248B2 (en) * 2012-04-07 2014-03-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eproducing conten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US9032391B2 (en) * 2012-06-27 2015-05-12 Clearside, 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creating executable files
US20140073300A1 (en) * 2012-09-10 2014-03-13 Genband Us Llc Managing Telecommunication Services using Proximity-based Technologies
US9549323B2 (en) * 2012-12-03 2017-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screen loc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4382A (ko) * 2003-02-19 2005-11-02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휴대용 디바이스들 사이의 콘텐트 아이템들의 ad hoc공유를 위한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상호작용 방법들
KR20100063644A (ko) * 2008-12-03 2010-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휴대 단말기의 통합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5370A (ko) * 2014-10-17 2016-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간에 화면 공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97734B2 (en) 2015-11-24
KR102124498B1 (ko) 2020-06-22
US20140194066A1 (en) 2014-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498B1 (ko) 화면을 공유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459521B1 (ko)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1517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viewing angle in virtual environ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US11782595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I672629B (zh) 表情展示方法、裝置及電腦可讀取儲存媒體
US11899903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2391093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1611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connected devices
EP2797299B1 (en) Device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ling of an external display using different positions of the remote controller
KR102092332B1 (ko)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
US201302250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connected devices
US201302222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connected devices
JP6273081B2 (ja) ポインティング装置を用いたコンテンツ移動方法および装置
US201302222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connected devices
CN103677711A (zh) 连接移动终端和外部显示器的方法和实现该方法的装置
US20150067540A1 (en) Display apparatus, portable device and screen display methods thereof
CN103914222A (zh) 图像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11029778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user input
KR20130086574A (ko)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3377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electronic device
US11599322B1 (en) Systems with overlapped displays
EP26321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connecting devices
EP263218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connected devices
US20130147702A1 (en) Metho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User Interface
KR102463080B1 (ko)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콘텐트 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