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9082A - 멀티트랙 비디오의 다중 기기 분배 및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트랙 비디오의 다중 기기 분배 및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9082A
KR20140089082A KR1020130000844A KR20130000844A KR20140089082A KR 20140089082 A KR20140089082 A KR 20140089082A KR 1020130000844 A KR1020130000844 A KR 1020130000844A KR 20130000844 A KR20130000844 A KR 20130000844A KR 20140089082 A KR20140089082 A KR 20140089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track
video stream
stream
reproduc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4909B1 (ko
Inventor
최준균
장민석
최광진
김근은
조일권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30000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4909B1/ko
Publication of KR20140089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4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4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A47G21/185Mouth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hinged, foldable or pivotable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3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lug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turning a cylindrical or conical plug without axial passageways
    • B65D47/30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lug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turning a cylindrical or conical plug without axial passageways provided with a spout, e.g. "escargot"-type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멀티트랙 비디오를 다중 기기로 분배하고 동기화하는 시스템과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멀티트랙 비디오 서버로부터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하는 수신부; 비디오 스트림의 특성에 따라서 비디오 스트림을 처리하는 처리부; 및 처리된 비디오 스트림을 비디오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며, 비디오 스트림의 특성은 단일트랙 비디오 스트림인지 멀티트랙 비디오 스트림인지에 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비디오 분배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트랙 비디오의 다중 기기 분배 및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DISTRIBUTING AND SYNCHRONIZING MULTI-TRACK VIDEO TO MULTI-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멀티트랙 비디오를 다중 기기로 분배하고 동기화하는 시스템과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비디오 데이터는 제작과정에서 편집 처리된 영상을 기록하고 단일 화면상에 재생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복수 개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비디오 데이터들을 특정 목적과 방법에 따라 편집하고 카메라 워크에 따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영상기술적인 관점에 의해서 의도적이고 편의적으로 제한되어 왔다.
이에 최근 들어서는 복수 개의 카메라에서 촬영하는 각각의 화면을 동시에 방송하는 멀티트랙 비디오 방송, 또는 멀티카메라 방송, 멀티채널 방송이 점차 상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방송 방법은 시청자들로 하여금 자신이 보고자 하는 앵글을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멀티트랙 비디오 방송은 현재 스마트 TV와 같은 재생 장치를 통해 멀티트랙 비디오 방송 중 하나의 비디오 스트림을 시청하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장치, 예컨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비디오 재생 장치로 다른 트랙의 비디오 방송을 시청하는 데에는 제한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121345호에서는 멀티트랙을 가지는 비디오 매체의 기록, 재생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해서 기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멀티트랙 비디오 방송을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큰 화면 내에 작은 화면을 삽입하는 PiP(Picture-in-Picture)나 하나의 화면을 나누어 여러 개의 채널을 한꺼번에 표시하는 다중분할 방식으로 시청하는 것을 넘어, 다양한 기기의 스크린 간에 멀티트랙 비디오의 스트림을 분할하여 시청하는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때, 시스템은 한 장소에 비디오 재생 장치가 여러 개 있을 때에, 멀티트랙 비디오 스트림 중 하나의 트랙을 재생하고 있는 장치에서, 다른 장치에서 재생하기 위한 또 다른 트랙과 그 장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다른 트랙을 재생하고자 하는 장치에서 재생하고자 하는 또 다른 트랙을 선정하는 두 가지의 시나리오를 제공한다.
멀티트랙 비디오 서버로부터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하는 수신부; 비디오 스트림의 특성에 따라서 비디오 스트림을 처리하는 처리부; 및 처리된 비디오 스트림을 비디오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며, 비디오 스트림의 특성은 단일트랙 비디오 스트림인지 멀티트랙 비디오 스트림인지에 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비디오 분배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일측에 있어서, 처리부는 수신한 비디오 스트림의 특성을 조회하고, 비디오 스트림이 멀티트랙 비디오 스트림일 경우에 비디오 스트림의 비디오 트랙 중 비디오 재생 장치로 전송할 비디오 트랙을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며, 선택부는 비디오 재생 장치로 전송할 비디오 트랙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선택 인터페이스는 멀티트랙 비디오 분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또는 비디오 재생 장치의 디스플레이로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처리부는 수신한 비디오 스트림의 특성을 조회하고, 비디오 스트림이 단일트랙 비디오 스트림일 경우엔 비디오 재생 장치에 맞게 수신한 비디오 스트림을 복제하거나 다시 인코딩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송신부는 비디오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비디오 트랙을 선별하여 선별된 비디오 트랙의 오디오 트랙과 함께 비디오 재생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멀티트랙 비디오 서버로부터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비디오 스트림의 특성에 따라서 비디오 스트림을 처리하는 단계; 및 처리된 비디오 스트림을 비디오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비디오 스트림의 특성은 단일트랙 비디오 스트림인지 멀티트랙 비디오 스트림인지에 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비디오 분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멀티트랙 비디오 서버로부터 멀티트랙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하여 비디오 스트림 중 제1 트랙을 재생하는 제1 비디오 재생 장치; 및 제1 비디오 재생 장치에서 재생하는 제1 트랙이 아닌 제2 트랙을 제1 비디오 재생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재생하는 제2 비디오 재생 장치를 포함하는 멀티트랙 비디오 분배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제1 비디오 재생 장치의 디스플레이는 멀티트랙 비디오 스트림 중 제2 비디오 재생 장치에서 재생하고자 하는 제2 트랙과 제2 트랙을 재생하는 제2 비디오 재생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제2 비디오 재생 장치의 디스플레이는 멀티트랙 비디오 스트림 중 제2 비디오 재생 장치에서 재생하고자 하는 제2 트랙을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1 비디오 재생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멀티트랙 비디오 방송을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큰 화면 내에 작은 화면을 삽입하는 PiP(Picture-in-Picture)나 하나의 화면을 나누어 여러 개의 채널을 한꺼번에 표시하는 다중분할 방식으로 시청하는 것을 넘어, 다양한 기기의 스크린 간에 멀티트랙 비디오의 스트림을 분할하여 시청하는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시스템은 한 장소에 비디오 재생 장치가 여러 개 있을 때에, 멀티트랙 비디오 스트림 중 하나의 트랙을 재생하고 있는 장치에서, 다른 장치에서 재생하기 위한 또 다른 트랙과 그 장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다른 트랙을 재생하고자 하는 장치에서 재생하고자 하는 또 다른 트랙을 선정하는 두 가지의 시나리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멀티트랙 비디오 분배 시스템과 그 환경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멀티트랙 비디오 방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멀티트랙 비디오 분배 시스템 중 제1 비디오 재생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멀티트랙 비디오를 분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멀티트랙 비디오 분배 시스템과 그 방법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멀티트랙 비디오 분배 시스템과 그 환경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개략적으로 멀티트랙 비디오 서버(110)에서 멀티트랙 비디오 스트림을 제1 비디오 재생 장치(120)에서 수신하고 재생하며, 제1 비디오 재생 장치(120)에서 재생하지 않는 비디오 트랙의 스트림을 제2 비디오 재생 장치(130)에 선택적으로 전송하여 재생하여 시스템의 사용자로 하여금 같은 방송에 대해서도 다양한 비디오 트랙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멀티트랙 비디오 서버(110)는 일반적인 멀티트랙 비디오 방송의 송출 장치이거나, 또는 멀티트랙 비디오를 저장하고 있어서 요청에 따라 콘텐츠를 제공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혹은 라이브(Live)의 멀티트랙 비디오 콘텐츠를 송출하는 장치일 수 있다. 멀티트랙 비디오 서버(110)는 제1 비디오 재생 장치(120)의 수신 요청에 대해서 콘텐츠를 제공하며, 멀티트랙 비디오 서버(110)와 제1 비디오 재생 장치(120) 간의 유무선 네트워크 신호를 통해 수신을 요청하고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비디오 재생 장치(1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멀티트랙 비디오의 재생 장치이자 실질적인 멀티트랙 비디오를 타 장치로 분배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스마트 TV,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IPTV와 연결된 셋톱박스 등 비디오 스트림의 수신과 재생이 가능한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비디오 재생 장치(120)에서 재생하는 멀티트랙 비디오의 비디오 트랙은 다수 개의 트랙 중에 멀티트랙 비디오 서버(110)에서 설정된 메인 트랙에 대한 비디오 스트림에 해당하거나, 제1 비디오 재생 장치(120)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멀티트랙 비디오를 제2 비디오 재생 장치(130)로 분배할 때에 현재 제1 비디오 재생 장치(120)에서 재생 중인 트랙을 제외한 나머지 트랙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분배가 가능하고, 또한 제2 비디오 재생 장치(130)가 두 개 이상일 때에 각각의 장치에 대해서 각각 다른 비디오 트랙의 비디오 스트림을 분배할 수 있다. 제2 비디오 재생 장치(130) 또한 마찬가지로,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할 수 있는 장치로 상기 제1 비디오 재생 장치(120)의 예시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비디오 재생 장치(130)로 전송된 비디오 트랙이 재생될 때에 제1 비디오 재생 장치(120)에서 재생되는 비디오 트랙과 오디오가 동기화되어, 시스템의 사용자가 같은 공간에서 제1 비디오 재생 장치(120)와 제2 비디오 재생 장치(130)를 번갈아 가며 시청하여도 시각, 청각적인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멀티트랙 비디오 중, 제2 비디오 재생 장치(130)로 전송되어 재생되는 비디오 트랙의 스트림은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제1 비디오 재생 장치(12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경우에 비디오 스트림을 전송할 제2 비디오 재생 장치(13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전송할 비디오 트랙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두 번째로는 제2 비디오 재생 장치(130)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경우는, 제2 비디오 재생 장치(130)가 제1 비디오 재생 장치(120)에 인터페이스의 제공을 요청함으로써 제공되고, 재생하고자 하는 비디오 트랙을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제1 비디오 재생 장치(130)로부터 해당 제2 비디오 재생 장치(130)로 해당 비디오 트랙이 비디오 스트림이 전달되고, 제2 비디오 재생 장치(130)에서 재생될 수 있는, 이와 같은 두 가지 방법으로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멀티트랙 비디오 방송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시예에 있어서, 네 대의 카메라를 통해 같은 장면을 촬영하고, 각 카메라에서 촬영하는 장면을 하나의 비디오 트랙으로 구성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와 같은 실시예는 재생할 비디오 트랙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인터페이스로 제공되는 실시예로도 나타날 수 있다.
도 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표시된 네 개의 비디오 트랙은 촬영하는 각도나 객체에는 차이가 있으나 같은 오디오 트랙을 가지고 있어서 하나의 동영상으로 구성되어 재생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도 2와 같은 선택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면, 각 비디오 트랙 마다 구비된 체크박스를 통해 선택이 가능하며, 선택된 비디오 트랙의 스트림이 제2 비디오 재생 장치(130)로 전달되어 재생될 수 있다.
멀티트랙 비디오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장면을 다수 개의 카메라로 촬영하는 장면, 예컨대 야구, 배구 등의 스포츠 중계 시에 다양한 각도에서 경기를 관람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또는 음악 방송을 촬영하면서 해당 뮤직비디오를 비디오 트랙으로 삽입하는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멀티트랙 비디오 분배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300)은 도 1을 통해 설명한 제1 비디오 재생 장치(120)의 구성에 포함되어 멀티트랙 비디오를 다른 비디오 재생 장치로 분배하고 재생하도록 한다. 멀티트랙 비디오 분배 시스템(300)은 수신부(310), 처리부(320), 송신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처리부(320)는 선택부(3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수신부(310)는 멀티트랙 비디오 서버로부터 멀티트랙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하거나 또는 멀티트랙 비디오가 아닌 단일트랙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단일트랙 비디오 스트림은 보통의 방송이나 동영상과 같이 하나의 비디오 트랙과 하나의 오디오 트랙을 포함하는 비디오 스트림에 대한 것이며, 멀티트랙 비디오는 앞서 도 2는 통해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다수 개의 비디오 트랙과 하나의 오디오 트랙을 포함하는 비디오 스트림을 의미한다.
처리부(320)에서는 수신부(310)에서 수신한 비디오 스트림의 특성, 즉 멀티트랙 비디오인지 단일트랙 비디오인지 구분하여, 각각에 대하여 비디오 스트림을 달리 처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단일트랙 비디오 스트림이 수신되면 다른 재생 장치에서 같은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할 때에도 같은 비디오 트랙을 재생하도록 하게 되며, 이를 위해서 수신한 스트림을 복제하거나 제2 비디오 재생 장치에서 재생될 수 있도록 인코딩할 수 있다.
처리부(320)에서 비디오 스트림의 특성 확인 결과 멀티트랙 비디오 스트림이 확인되면, 선택부(321)는 다수 개의 멀티 트랙 비디오 중 어떤 비디오 트랙을 제2 비디오 재생 장치로 전달할지, 또한 어떤 제2 비디오 재생 장치로 전달할지에 대해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선택부(321)는 비디오 트랙 선택을 위한 선택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서 선택 인터페이스가 제2 비디오 재생 장치에서 제공될 수 있으며, 선택부(321)는 제2 비디오 재생 장치에서 선택된 비디오 트랙에 대해서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에 대응하는 비디오 스트림을 송신해줄 수 있다.
송신부(330)는 처리부(320)에서 복제 또는 재 인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이나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비디오 트랙의 비디오 스트림을 제2 비디오 재생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비디오 트랙과 오디오 트랙이 함께 비디오 스트림으로 전송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하는 제2 비디오 재생 장치는 적어도 하나이며, 각 장치로 전송되는 비디오 스트림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것으로 상이하거나 또는 같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멀티트랙 비디오를 분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을 통해 설명한 멀티트랙 비디오 분배 시스템(300)의 각 구성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수신한 비디오 스트림을 다른 비디오 재생 장치에서 또 다른 비디오 트랙으로 시청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410)에서 멀티트랙 비디오 분배 시스템(300)은 멀티트랙 비디오 서버로부터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수신하는 비디오 스트림은 멀티트랙 비디오 스트림 또는 멀티트랙 비디오가 아닌 단일트랙 비디오 스트림에 해당할 수 있다.
단계(420)에서 멀티트랙 비디오 분배 시스템(300)은 수신한 비디오 스트림의 특성을 조회하는데, 멀티트랙 비디오 스트림인지 또는 단일트랙 비디오 스트림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단일트랙 비디오 스트림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멀티트랙 비디오 분배 시스템(300)은 단계(421)를 통해 수신한 비디오 스트림을 다른 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똑같이 복제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단순 복제만으로 다른 재생 장치에서 재생이 어려운 경우에는 다른 재생 장치에서 재생이 가능하도록 다시 인코딩할 수 있다.
또는 단계(420)에서 멀티트랙 비디오 스트림을 구분하면, 단계(422)를 통해 타 재생 장치에서 재생할 비디오 트랙을 선택할 수 있으며, 멀티트랙 비디오 분배 시스템(300)에서 이를 식별할 수 있다. 비디오 트랙의 선택은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시스템(300)에서 직접 식별하거나 또는 제2 비디오 재생 장치에서 선택하여 수신 요청되는 신호를 시스템(300)에서 식별해낼 수 있다.
단계(430)는 단계(421)에서 복제 또는 재 인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이나 또는 단계(422)에서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비디오 트랙의 비디오 스트림을 제2 비디오 재생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하는 제2 비디오 재생 장치는 하나 이상이며, 각 장치로 전송되는 비디오 스트림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것이기 때문에 서로 상이하거나 같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멀티트랙 비디오의 분배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한 것들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10: 멀티트랙 비디오 서버
120: 제1 비디오 재생 장치
130: 제2 비디오 재생 장치
300: 멀티트랙 비디오 분배 시스템
310: 수신부
320: 처리부
321: 선택부
330: 송신부

Claims (14)

  1. 멀티트랙 비디오 서버로부터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특성에 따라서 상기 비디오 스트림을 처리하는 처리부; 및
    상기 처리된 비디오 스트림을 비디오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특성은 단일트랙 비디오 스트림인지 멀티트랙 비디오 스트림인지에 대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비디오 분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수신한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특성을 조회하고,
    상기 비디오 스트림이 멀티트랙 비디오 스트림일 경우에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비디오 트랙 중 상기 비디오 재생 장치로 전송할 비디오 트랙을 선택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부는 상기 비디오 재생 장치로 전송할 비디오 트랙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비디오 분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는 상기 멀티트랙 비디오 분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비디오 재생 장치의 디스플레이로 제공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비디오 분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수신한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특성을 조회하고,
    상기 비디오 스트림이 단일트랙 비디오 스트림일 경우엔 상기 비디오 재생 장치에 맞게 상기 수신한 비디오 스트림을 복제하거나 다시 인코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비디오 분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비디오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비디오 트랙을 선별하여 상기 선별된 비디오 트랙의 오디오 트랙과 함께 상기 비디오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비디오 분배 시스템.
  6. 멀티트랙 비디오 서버로부터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특성에 따라서 상기 비디오 스트림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비디오 스트림을 비디오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특성은 단일트랙 비디오 스트림인지 멀티트랙 비디오 스트림인지에 대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비디오 분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수신한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특성을 조회하고,
    상기 비디오 스트림이 멀티트랙 비디오 스트림일 경우에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비디오 트랙 중 상기 비디오 재생 장치로 전송할 비디오 트랙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비디오 재생 장치로 전송할 비디오 트랙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선택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비디오 분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는 상기 멀티트랙 비디오 분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비디오 재생 장치의 디스플레이로 제공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비디오 분배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하는 단계는 수신한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특성을 조회하고,
    상기 비디오 스트림이 단일트랙 비디오 스트림일 경우엔 상기 비디오 재생 장치에 맞게 상기 수신한 비디오 스트림을 복제하거나 다시 인코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비디오 분배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비디오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비디오 트랙을 선별하여 상기 선별된 비디오 트랙의 오디오 트랙과 함께 상기 비디오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비디오 분배 시스템.
  11. 컴퓨터 시스템이 비디오 스트림을 분배하도록 제어하는 명령(instruction)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은,
    멀티트랙 비디오 서버로부터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특성에 따라서 상기 비디오 스트림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비디오 스트림을 비디오 재생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특성은 단일트랙 비디오 스트림인지 멀티트랙 비디오 스트림인지에 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비디오 분배 방법에 의하여 상기 컴퓨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2. 멀티트랙 비디오 서버로부터 멀티트랙 비디오 스트림을 수신하여 상기 비디오 스트림 중 제1 트랙을 재생하는 제1 비디오 재생 장치; 및
    상기 제1 비디오 재생 장치에서 재생하는 상기 제1 트랙이 아닌 제2 트랙을 상기 제1 비디오 재생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재생하는 제2 비디오 재생 장치
    를 포함하는 멀티트랙 비디오 분배 시스템.
  1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디오 재생 장치의 디스플레이는 상기 멀티트랙 비디오 스트림 중 상기 제2 비디오 재생 장치에서 재생하고자 하는 상기 제2 트랙과 상기 제2 트랙을 재생하는 제2 비디오 재생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비디오 분배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디오 재생 장치의 디스플레이는 상기 멀티트랙 비디오 스트림 중 상기 제2 비디오 재생 장치에서 재생하고자 하는 상기 제2 트랙을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1 비디오 재생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트랙 비디오 분배 시스템.
KR1020130000844A 2013-01-04 2013-01-04 멀티트랙 비디오의 다중 기기 분배 및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424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844A KR101424909B1 (ko) 2013-01-04 2013-01-04 멀티트랙 비디오의 다중 기기 분배 및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844A KR101424909B1 (ko) 2013-01-04 2013-01-04 멀티트랙 비디오의 다중 기기 분배 및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082A true KR20140089082A (ko) 2014-07-14
KR101424909B1 KR101424909B1 (ko) 2014-07-31

Family

ID=51737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844A KR101424909B1 (ko) 2013-01-04 2013-01-04 멀티트랙 비디오의 다중 기기 분배 및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49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7333A (ko) * 2014-09-26 2016-04-06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소셜 플랫폼을 통해 멀티트랙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그리고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9851B2 (ja) * 1992-06-16 2002-04-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テレビジョン信号表示装置
KR100759171B1 (ko) * 2005-09-27 2007-09-14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재생 장치
KR101439095B1 (ko) * 2007-05-03 2014-09-12 강민수 멀티채널 방송 시스템
KR101480409B1 (ko) * 2008-01-15 2015-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분산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씬에 기초한 검색을 지원하는 컨텐츠 재생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7333A (ko) * 2014-09-26 2016-04-06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소셜 플랫폼을 통해 멀티트랙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그리고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4909B1 (ko) 201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3345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 of sporting event presentation based on viewer engagement
US10728584B2 (en) Point of view multimedia provision
JP5637585B2 (ja) デジタル情報信号を受信する装置
CA2699329C (en) Generating a combined video stream from multiple input video streams
US8521009B2 (en) Systems and methods to modify playout or playback
CA3089869C (en) Methods and systems for network based video clip generation and management
US20150124171A1 (en) Multiple vantage point viewing platform and user interface
US20040264919A1 (en) Display system for views of video item
US1054205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network based video clip processing and management
US20180227501A1 (en) Multiple vantage point viewing platform and user interface
US9445144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quick speed presentation of media content
US9041860B2 (en) Simultaneously presenting an enhanced and primary stream associated with a digital television broadcast
US2007003566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lighting effects with additional layering in a video stream
KR101424909B1 (ko) 멀티트랙 비디오의 다중 기기 분배 및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US10764655B2 (en) Main and immersive video coordination system and method
Ochiva Entertainment technologies: past, present and future
Bailer et al. Multi-sensor concert recording dataset including professional and user-generated content
KR20190107501A (ko)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를 위한 장치 및 제어방법
WO2023008156A1 (ja) 動画配信システム、再生装置、再生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2279404B1 (ko) 콘텐츠 수신 및 재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6473469B2 (ja) 映像配信システム
KR101634558B1 (ko) 멀티앵글영상 재생방법 및 장치
KR20130026724A (ko) 방송저장장치 및 방송저장방법
AU2021221165A1 (en) Technologies for communicating an enhanced event experience
KR20110087002A (ko) 영상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 표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