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8669A -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이미지촬영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이미지촬영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8669A
KR20140088669A KR1020130000459A KR20130000459A KR20140088669A KR 20140088669 A KR20140088669 A KR 20140088669A KR 1020130000459 A KR1020130000459 A KR 1020130000459A KR 20130000459 A KR20130000459 A KR 20130000459A KR 20140088669 A KR20140088669 A KR 20140088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image
camera
displayed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성
김경화
김소라
김현경
박항규
임승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0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8669A/ko
Publication of KR20140088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86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이미지 촬영방법이, 제1촬영되는 제1이미지를 정지이미지로 표시하는 과정과, 정지이미지에 가이드를 표시하는 과정과,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프리뷰 이미지를 정지이미지 및 가이드에 오버레이시켜 표시하는 과정과, 오버레이 표시과정에서 제2촬영되는 제2이미지를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이미지촬영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HOOTING A IMAGE IN DEVICE HAMVING A CAMERA}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이미지 촬영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진 촬영시 가이드를 표시하여 피사체를 자동촬영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장치 또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서 사진을 촬영할 때 인물 사진은 배경과 인물의 구도가 중요하다. 즉, 좋은 사진은 인물과 배경이 적절한 조화를 이루어 촬영된 사진을 의미한다. 그러나 초보자의 경우, 배경이 있는 인물사진을 촬영할 때 많은 애로 사항을 느낄 수 있다. 즉, 인물 사진 촬영시 카메라 장치의 사용자는 배경에 인물을 위치시킬 때 인물이 너무 크게 배치되거나 또는 너무 작게 배치되어 배경이 없는 인물 사진으로 촬영되거나, 또는 인물이 배경과 적절하게 배치되는 구도를 하지 못해 원하는 사진을 촬영할 수 없었다.
따라서 인물 사진 촬영시 인물의 위치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고, 가이드 내에 인물이 위치될 때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에서 사진 촬영시 인물 가이드를 화면에 표시하고, 인물이 가이드 영역내에 위치되면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는 먼저 배경화면 촬영하고 배경화면에 인물 가이드를 표시하며, 인물 가이드 내에 사람이 위치될 때 인물 사진을 촬영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는 인물 가이드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인물이 가이드 영역 내에 위치되면 인물을 포커싱하여 촬영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이미지 촬영방법이, 제1촬영되는 제1이미지를 정지이미지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정지이미지에 가이드를 표시하는 과정과,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프리뷰 이미지를 상기 정지이미지 및 가이드에 오버레이시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오버레이 표시과정에서 제2촬영되는 제2이미지를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촬영장치가,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가이드 촬영모드를 설정하는 입력부와, 상기 가이드 촬영모드시 카메라를 제어하여 촬영되는 제1이미지를 정지이미지로 표시하고, 상기 정지이미지에 가이드를 표시하며,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프리뷰 이미지를 상기 정지이미지 및 가이드에 오버레이시켜 표시하고, 상기 오버레이 표시 상태에서 촬영되는 제2이미지를 저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여 정지이미지 및 가이드에 상기 제2이미지를 오버레이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카메라장치 및 카메라를 휴대단말기에서 원하는 배경 이미지에 인물 가이드 이미지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프리뷰 이미지를 오버레이시켜 표시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사용자는 원하는 배경화면에서 원하는 위치에 인물을 배치하여 촬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카메라장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버레이 가이드 촬영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3은 도 2와 같은 절차에 의해 이미지를 촬영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버레이 가이드 촬영모드에서 촬영된 사진을 저장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카메라장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촬영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6a는 도 5에서 배경이미지에 가이드를 표시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며, 도 6b는 도 5에서 배경이미지에 표시되는 가이드 이미지의 편집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7a - 도 7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촬영모드 설정, 가이드 표시 및 가이드 편집 이미지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촬영모드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촬영 동작을 수행하는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에서 인물 가이드 라인을 표시하고, 인물이 가이드 표시영역에 위치될 때 사진을 촬영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는 카메라장치 및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 등이 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카메라 장치를 예로들어 살펴보기로 하며,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인물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가이드 표시(overlay guide) 기능을 설정한 상태에서 촬영모드를 수행하는 경우, 카메라장치는 먼저 배경화면을 촬영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며,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배경화면에 인물 가이드를 표시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카메라를 이동시켜 상기 배경 및 가이드의 표시화면에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즉, 실제 촬영하고자 인물 이미지)를 오버레이시켜 표시한다. 이때 상기 인물이 가이드 영역 내로 위치되면, 카메라장치는 인물을 포커싱하여 인물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사진 저장시 첫 번째 촬영한 배경 이미지 및 표시되는 인물 가이드는 제거되고 두 번째로 촬영된 인물 이미지를 저장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카메라120은 상기 제어부100에 의해 오버레이 촬영모드시 배경화면을 제1촬영하며, 인물가이드가 배경화면에 오버레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인물을 포커싱하고 촬영 제어시 인물 사진을 제2 촬영한다.
제어부100은 카메라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버레이 가이드 촬영모드를 제어한다. 상기 오버레이 가이드 촬영모드시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카메라120을 제어하여 배경이미지(제1촬영 이미지)를 획득하며, 상기 배경이미지 촬영 후 선택되는 인물 가이드를 상기 배경화면에 표시한다. 이후 표시되는 상기 배경이미지 및 가이드에 카메라120으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를 오버레이시켜 표시하며, 상기 인물가이드 영역에 인물이 위치되면 포커싱 동작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촬영 요구시 상기 카메라120으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를 저장한다.
저장부110은 카메라의 동작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촬영되는 이미지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배경화면에 오버레이 표시되는 인물 가이드 프레임을 저장한다.
표시부13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촬영되는 이미지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130은 오버레이 가이드 촬영모드시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제1촬영된 배경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배경화면에 설정된 인물가이드를 표시하며, 이후 배경화면 및 인물가이드에 카메라120으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를 오버레이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130은 LCD 또는 OLED가 될 수 있다. 입력부140은 카메라 장치의 촬영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들을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30 및 입력부140은 일체형의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카메라장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버레이 가이드 촬영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와 같은 절차에 의해 이미지를 촬영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버레이 가이드 촬영모드에서 촬영된 사진을 저장하는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1 -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카메라 구동 명령을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211단계에서 카메라120을 구동하며, 상기 카메라120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는 프리뷰 이미지로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된다. 상기와 같이 카메라 구동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이드 촬영모드(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overlay guide라 칭하기로 한다)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2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15단계에서 가이드 촬영모드를 시작한다. 상기 가이드 촬영모드가 설정되면, 사용자는 카메라120을 원하는 배경화면의 구도로 설정하며, 셔터 온시 제어부100은 이를 감지하고 215단계에서 카메라120을 구동하여 배경화면을 촬영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촬영된 배경화면을 도 3의 310과 같이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215단계에서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배경화면 310 위에 인물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인물 가이드를 표시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은 도 3의 320과 같이 배경화면 위에 인물 가이드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한다. 이때 인물가이드의 수 및 크기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배경화면에 인물가이드를 표시하는 경우, 상기 촬영된 배경화면 및 인물가이드는 반투명한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는 카메라120을 먼저 촬영한 배경화면 구도로 위치시키고 인물 가이드 영역에 실제촬영할 인물이 위치되도록 카메라장치를 조작하며, 상기 카메라120으로 제2촬영된 이미지는 상기 배경화면 및 가이드에 오버레이 표시된다. 즉, 카메라의 사용자는 도 3의 330과 같이 카메라장치를 움직이면서 반투명으로 표시되는 표시부130의 배경화면 및 인물가이드를 참조하여 인물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물가이드 영역에 인물이 위치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인물 포커싱을 수행하며, 포커싱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가이드 영역의 표시 색깔을 다르게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는 포커싱이 되었음을 감지하고 촬영요구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21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21단계에서 카메라120으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를 정지이미지로 처리하여 저장부110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정지이미지는 내부의 압축부호기를 통해 압축 부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물 이미지를 저장할 때, 먼저 촬영된 배경화면 및 인물 가이드는 제거되며, 마지막 촬영된 인물 이미지만 저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가이드 촬영 방법은 도 4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된다. 즉, 가이드 촬영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2회의 촬영 동작을 수행하여 정지이미지를 생성하며, 이때 제1 촬영은 배경이미지의 촬영으로 처리한다. 따라서 410단계에서 제1촬영 동작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카메라120으로부터 획득되는 415와 같은 이미지를 상기 표시부130에 배경이미지로 표시하며, 이후 420단계에서 상기 배경이미지 415에 가이드 이미지425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이미지425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1인, 2인 또는 그룹 가이드로 표시될 수 있으며, 또한 가이드의 크기는 전신, 반신 또는 얼굴 영역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경이미지415에 가이드이미지425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카메라장치를 이동시켜 배경화면과 일치되도록 하며, 제어부100은 상기 카메라120으로부터 획득되는 프리뷰 이미지를 상기 배경이미지 및 가이드에 오버레이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배경이미지415와 카메라120의 프리뷰 이미지가 일치되는 상태에서 가이드 이미지425의 영역에 인물을 위치되도록 한 후, 상기 제어부100은 430단계에서 제2 촬영을 수행하여 인물이미지 435를 획득한다. 그러면 상기 제2촬영된 인물이미지435는 제1촬영시의 배경이미지415와 일치 또는 유사한 배경화면에서 가이드 이미지425 영역에 인물이 배치된 이미지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00은 제2촬영 후 440 단계에서 상기 인물이미지435를 저장부110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인물이미지435는 상기 배경이미지415 및 가이드 이미지425가 제거된 이미지이다.
도 5는 카메라장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촬영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6a는 도 5에서 배경이미지에 가이드를 표시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며, 도 6b는 도 5에서 배경이미지에 표시되는 가이드 이미지의 편집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7a - 도 7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촬영모드 설정, 가이드 표시 및 가이드 편집 이미지의 표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촬영모드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5 - 도 8b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카메라120의 구동명령을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도 7a의 710과 같이 카메라120으로부터 획득되는 프리뷰 이미지를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하면, 촬영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715를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가 버튼715를 터치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화면 720의 725와 같이 가이드 촬영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intelligent guidelines)725를 표시하며, 상기 버튼 725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표시부130의 화면에 선택 가능한 가이드 촬영 메뉴735를 화면 730과 같이 팝업 메뉴로 표시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촬영메뉴4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버레이 가이드 모드(overlay guide mode)를 포함한다. 이때 사용자가 overlay guide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5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화면 740의 745와 같은 오버레이 가이드 표시자(overlay guide indicator)를 표시한다.
상기 오버레이 가이드 촬영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카메라 장치를 이동시키면서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화면(즉, 카메라120으로부터 획득되는 프리뷰 이미지)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카메라 장치를 이동시키면서 원하는 배경이미지를 탐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30을 통해 표시되는 이미지가 원하는 배경이미지이면, 사용자는 셔터버튼747을 선택한다. 상기 셔터버튼747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카메라120으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를 배경이미지로 버퍼링하며, 표시부130에 배경이미지로 고정하여 표시한다. 즉, 오버레이 가이드 촬영모드에서 첫 번째 셔터버튼747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이를 배경이미지(즉, 제1촬영 이미지)로 설정하며, 상기 배경이미지를 버퍼링하는 동시에 상기 표시부130에 정지이미지로 표시한다.
이후 상기 사용자가 표시되는 배경이미지의 임의 영역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515단계에서 인물가이드 설정임을 감지하고 517단계에서 상기 배경이미지에 인물가이드를 표시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표시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며, 도 7b는 상기 도 6a와 같은 절차로 수행하는 가이드 표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도 6a 및 도 7b는 2인 가이드까지 개별 인물 가이드를 표시하고 3인 이후는 그룹 가이드로 표시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개별 인물 가이드의 표시 인물 수는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배경화면에 가이드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이드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521단계에서 가이드 편집임을 감지하고, 523단계에서 선택된 가이드를 편집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편집은 배경화면에 표시되는 가이드의 삭제, 가이드의 사이즈 조절 및/또는 가이드의 이동 등이 될 수 있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편집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며, 도 7c - 도 7e는 상기 도 6b와 같은 절차로 수행하는 가이드 편집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 가이드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카메라를 제1촬영된 배경이미지와 같은 구도로 위치(이동)시키고, 상기 배경이미지에 표시되는 가이드에 인물들이 위치되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영역 내에 인물이 위치되면, 상기 카메라120은 인물 포커싱(focusing effect)를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가 인물 가이드 영역 내에 피사체가 위치되면 셔터 스위치를 눌러 제2촬영을 요구하며, 이런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53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33단계에서 제2촬영된 인물 이미지를 저장부110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한 바와 제1촬영된 배경이미지 및 인물가이드는 저장되지 않으며, 제2촬영에 의해 획득되는 인물이미지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제2촬영 이미지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배경이미지는 상기 제1촬영시에 촬영된 이미지와 일치하거나 또는 거의 일치할 수 있으며, 상기 배경이미지에 포함되는 인물의 위치는 상기 인물가이드의 위치가 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533단계에서 제2촬영되는 인물이미지를 저장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써, 개별 인물가이드에 의한 이미지 및 그룹 가이드에 의한 이미지를 촬영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상기 도 6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도 7a의 740과 같이 표시부130에 배경이미지가 표시되는 상태이며, 이때 배경화면 이미지는 도 7b 의 760 화면과 동일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765와 같이 배경이미지 영역은 터치(tap)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611단계에서 인물 가이드를 배경이미지에 표시하기 위한 것임을 감지하고, 613단계에서 현재 인물가이드가 표시되는 상태인가 검사한다. 이때 상기 도 7b의 760과 같이 인물가이드가 표시되지 않는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100은 6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15단계에서 선택 위치에 화면 770과 같이 배경이미지에 인물 가이드773을 표시한다. 상기 화면 770과 같이 인물 가이드773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775와 같이 배경이미지에서 임의 영역(가이드 표시영역을 제외한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617단계에서 현재 1인 가이드가 표시되고 있음을 감지하고, 619단계에서 화면 780과 같이 선택된 위치에 인물가이드 783을 추가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화면 780과 같이 배경이미지에 인물가이드 773 및 783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785와 같이 배경이미지가 터치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6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21단계에서 790과 같이 배경이미지에 그룹 가이드793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그룹가이드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100은 그룹가이드793에 그룹 가이드 아이콘(group guide icon) 795를 표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는 오버레이 가이드 촬영모드가 선택된 배경이미지를 제1촬영하여 표시부130에 정지이미지로 표시하고, 상기 표시되는 배경이미지를 선택하면 선택된 위치에 인물가이드를 표시한다. 이때 인물가이드는 상기 저장부110에 이미지 프레임으로 저장될 수 있으며, 배경이미지에 터치되는 수에 따라 인물 가이드의 수가 결정되며, 인물가이드는 터치되는 위치에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되는 횟수가 설정된 수(즉, 설정된 인물의 수)를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인물가이드를 그룹 가이드로 변경하여 배경이미지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인물가이드는 표시(default 크기)는 반신(무릎 까지 나오는 크기) gduxo로 표시하는 것으로 가정하며, 인물가이드의 세로 길이는 가로표시화면(landscape screen)의 세로 길이의 70%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배경이미지의 추가 탭에 의해 추가되는 인물가이드는 현재 배경이미지에 표시되는 인물가이드(인물가이드는 편집에 의해 그 크기를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음)와 동일한 크기로 추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개별 인물가이드는 2개까지 추가 가능한 것으로 가정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 더 많은 개별 인물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최대 개별 인물가이드(예를들면 도 7b의 경우 2인 인물가이드)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다시 배경이미지를 터치(tap)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인물가이드를 그룹가이드로 변환하며, 상기 그룹 가이드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더 이상의 가이드 추가는 불가능하다. 상기 그룹가이드의 최초 표시 위치(default position)는 중심점(그룹가이드의 중심점)이 화면의 가로 및 세로의 중앙에 정렬되도록 표시하며, 그룹가이드의 최초 표시 크기(default size)는 그룹가이드 변환 시점의 화면 방향 대비 가로 50%, 세로 70%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면 변환시점에서 가로표시화면인 경우 가로표시화면 대비 가로 50%, 세로 70%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배경이미지에 인물가이드 및 그룹가이드를 표시하는 경우, 인물가이드의 경우 최초는 반신 인물의 사이즈로 표시하며, 그룹가이드의 경우 현재 표시모드(가로 또는 세로 표시모드)에 따라 설정된 크기의 가이드로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인물 및 그룹 가이드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위치도 변경이 가능하다.
두 번째로 상기 도 6b 및 도 7c -도 7e를 참조하면, 도 7c의 화면 810과 같이 인물가이드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815와 같이 인물가이드를 터치(탭)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도 5의 521단계에서 인물가이드의 편집임을 감지하고, 523단계에서 도 6b와 같인 가이드 편집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가이드 편집시 상기 제어부100은 651단계에서 도 7c의 화면820과 같이 선택된 인물가이드(여기서는 인물 가이드 773이 선택된 경우를 가정하고 있음)에 핸들러(handler)823 및 삭제버튼831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가 820화면의 825와 같이 삭제버튼을 터치(탭)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653단계에서 삭제버튼의 선택을 감지하고, 655단계에서 선택된 인물가이드(여기서는 인물가이드 773)를 삭제한다. 또한 그룹가이드의 삭제도 상기 인물가이드의 삭제와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8b의 화면 1060에 1065와 같이 터치(탭) 인터렉션을 수행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그룹 가이드의 편집임을 감지하고, 화면 1070에서 삭제버튼인 ungroup 버튼1071과 핸들러1073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ungroup 버튼1071을 터치하면 그룹 가이드1063을 삭제한다.
또한 화면 830의 835와 같이 인물가이드를 터치(탭)한 상태에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661단계에서 가이드의 이동임을 감지하고, 663단계에서 가이드를 드래그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드롭된 위치에서 가이드의 이동을 종료한다. 즉, 사용자가 가이드를 터치한 드래그 앤 드롭 인터렉션을 수행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터치 위치의 가이드를 드래그 앤 드롭에 따라 이동시켜 배경이미지에 표시되는 가이드의 표시위치를 변경한다. 또한 그룹가이드의 이동도 상기 인물가이드의 이동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8b의 화면에서 그룹가이드1063을 터치(탭)한 후 드래그 및 드롭 인터렉션을 수행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이상기 드래그 방향으로 그룹 가이드를 이동시켜 표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100은 인물가이드 또는 그룹가이드의 터치를 감지한 후 드래그 및 드롭 인터렉션을 감지하면, 상기 터치된 위치의 인물가이드 또는 그룹 가이드를 드래그 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시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의 이동은 핸들러가 표시되는 가이드 및 핸들러가 표시되지 않는 가이드의 모두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823과 같은 핸들러 표시되는 상태에서 상기 핸들러823을 터치한 후 드래그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657단계에서 가이드의 확대 또는 축소 편집임을 감지하고, 659단계에서 드래그 방향으로 가이드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한다. 이는 인물가이드이 경우, 가이드 크기를 전신, 반신 도는 상반신 등의 사이즈로 조절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핸들러823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방법은 863과 같이 변을 터치한 드래그하는 방법과, 865와 같이 모서리를 터치한 후 드래그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도 7e는 863과 같이 변을 터치한 후 드래그하여 가이드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7e의 910과 같이 가이드의 변을 터치한 후 아래로 드래그하면 920과 같이 가이드의 사이즈가 확장되고, 상기 920과 같은 상태에서 위로 드래그하면 910과 같이 가이드 사이즈가 조절되고 아래로 드래그하면 930과 같이 가이드 사이즈가 조절된다. 그리고 930과 같은 상태에서 위로 드래그하면 920과 같이 가이드가 조절된다. 또한 상기 도 7의 화면 860에서 모서리865를 터치한 후 드래그하면 드래그 방향으로 가이드이 사이즈가 조절된다. 이때 865와 같이 같이 드래그 방향을 아래로 하면, 상기 핸들러는 870화면의 823과 같이 확대됨을 알 수 있다.
상기 도 7d 및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물가이드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네 모서리의 터치 및 드래그 인터렉션은 핸들러의 축소 또는 확대시 가로/세로 비율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고 가이드의 형태는 변경되지 않는다. 인물 가이드 하나의 최소 가로 길이는 세로표시 화면(portrait 화면)의 10%, 최개 가로 길이는 가로표시 화면(landscape 화면)의 80%로 할 수 있다. 그리고 핸들러의 하변(아랫변) 가운데 있는 마름모 형태 핸들러를 상하로 움직여서 가이드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룹 가이드의 사이즈 조절방법도 상기 인물가이드의 사이즈 조절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룹 가이드 프레임의 네 모서리를 터치한 후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면, 상기 그룹가이드의 가로 및 세로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그룹가이드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그룹가이드의 4변 가운데에 위치한 핸들을 터치한 후 드래그 인터렉션을 수행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터치된 변의 방향(가로 또는 세로)으로만 가이드 크기를 조절한다. 그리고 가이드 프레임 모서의 우측 상단에 위치된 핸들을 터치한 드래그하면 크기 변경과 함께 그룹가이드의 회전도 함께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그룹 가이드의 최소 가로길이는 화면 대비 20%, 최대 가로길이는 화면 95%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룹 가이드의 최소 세로길이는 화면 대비 20%, 최대 세로길이는 화면 95%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 편집 동작을 수행하는 중에 875와 같이 가이드 영역 또는 핸들러가 표시되는 영역 이외의 빈영역(즉, 배경이미지 영역)을 터치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가이드 편집을 종료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화면 880과 같이 삭제버튼825 및 핸들러823의 표시를 종료한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물 이미지 촬영 및 저장 동작을 살펴본다. 가이드 설정 및/또는 가이드 편집 과정을 수행하면, 도 8a의 화면 1010과 같이 배경화면에 인물가이드 또는 그룹가이드가 표시되며, 용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촬영에 의해 표시되는 배경 이미지와 일치되도록 카메라120을 위치시키며, 1020화면과 같이 배경이미지에 오버레이 표시되는 가이드 내에 인물이 위치되도록 유도한다. 이때 배경이미지 및 가이드는 반투명(N% 투명도를 가지도록 설정)으로 표시부130에 표시된다. 그리고 카메라120으로 획득되는 인물 이미지(실제 촬영하고자 하는 이미지)는 상기 배경이미지 및 가이드에 오버레이 표시된다. 이때 상기 표시되는 가이드 내에 인물이 위치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이를 감지하고 포커싱(fousing effect)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가이드 이미지의 표시 색상을 변경하여 포커싱되었음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포커싱 동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가이드 영역을 초록색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셔터버튼1025를 터치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도 5의 531단계에서 촬영임을 감지하고, 533단계에서 인물이미지를 처리(압축 부호화 등)하여 저장부110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상기 이미지 저장시, 상기 제어부100은 배경이미지 및 가이드는 없어지고 오버레이 표시되던 제2촬영된 인물이미지만 저장한다.
또한 도 8b의 화면 1060과 같이 배경이미지 및 그룹가이드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화면 1080과 같이 그룹 가이드1063 영역 내에 인물의 얼굴이 하나라도 인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카메라120이 그룹 가이드 영역 내의 인물들을 포커싱하도록 제어하며, 상기한 바와 같이 그룹가이드 영역을 설정된 색깔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이때 상기 배경이미지 및 그룹 가이드는 반투명 상태로 표시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셔터버튼1085를 터치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인물 가이드 표시시의 동작과 같은 방법으로 제2촬영된 인물이미지를 저장부110에 저장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촬영 동작을 수행하는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휴대전화기, MP3단말기, 타블렛, 컴퓨터, 카메라 장치 등의 다양한 디지털 기기들이 될 수 있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통신부170은 기지국 또는 인터넷 서버 등과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170은 송신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frequency up converter) 및 전력 증폭하는 송신부와, 수신신호를 음 증폭 및 주파수를 하강변환(frequency down converter)하는 수신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70은 변조부 및 복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변조부는 송신신호를 변조하여 송신부에 전달하며, 복조부는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한다. 이런 경우, 상기 변복조부는 LTE, WCDMA, GSM 등이 될 수 있으며, 또한 WIFI, WIBRO 등이 될 수 있고, NFC, Bluetooth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신부170이 LTE, WIFI, bluetooh 통신부들을 구비한다고 가정한다.
제1카메라120은 단말기 장치의 후면에 장착되는 후면 카메라로써 고 해상도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제2카메라125는 단말기 장치의 전면에 장착되는 전면 카메라로써, 상기 제1카메라120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저해상도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100은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버레이 가이드 촬영 모드를 수행한다.
저장부110은 단말기의 동작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단말기의 동작을 위한 테이블들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10은 인물 및 그룹 가이드의 프레임이미지들을 저장하며, 오버레이 가이드를 이용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한다.
표시부13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130은 오버레이 촬영모드시 배경이미지 및 가이드 이미지를 표시하며, 표시되는 배경이미지 및 가이드 이미지에 실제 촬영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오버레이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130은 LCD 또는 OLED가 될 수 있다. 입력부140은 정정용량 방식 또는 저항막 방식으로 구현할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이하 손가락 터치라고 가정한다)의 위치정보를 상기 제어부100에 출력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140은 EMR센서 패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펜 터치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00에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30 및 입력부140은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150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통신모드에서 발생되는 음성 신호를 처리한다. 센서160은 휴대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들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들은 가속도센서, 지자기센서 및/또는 위치감지 센서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휴대단말기에서 사용자는 카메라120을 구동하여 프리뷰 모드를 수행하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intelligent guidelines 메뉴를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intelligent guidelines 메뉴에서 overlay guide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verlay guide 촬영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overlay guide 촬영모드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제1촬영에 의해 배경이미지를 획득하여 정지이미지로 표시하고, 상기 배경이미지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가이드를 표시한다. 이후 카메라120을 이동시켜 배경이미지에 일치시키면, 상기 제어부100은 상기 카메라120으로부터 획득되는 프리뷰 이미지를 상기 배경화면 및 가이드 이미지 오버레이시켜 표시한다. 이때 상기 인물가이드 영역에 인물이 위치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인물 포커싱을 수행하며, 인물 포커싱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어부100은 가이드 영역을 다른 색깔로 변경시켜 포커싱이 되었음을 표시한다. 이후 촬영요구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카메라120으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를 정지이미지로 처리하여 저장부110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정지이미지는 내부의 압축부호기를 통해 압축 부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물 이미지를 저장할 때, 먼저 촬영된 배경화면 및 인물 가이드는 제거되며, 마지막 촬영된 인물 이미지만 저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가이드 촬영 방법은 도 4 및 도 5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다. 즉, 가이드 촬영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2회의 촬영 동작을 수행하여 정지이미지를 생성하며, 이때 제1 촬영은 배경이미지의 촬영으로 처리한다. 먼저 본 발명의 촬영모드(overlay guide)의 진입은 도 7a와 같은 절차로 수행될 수 있으며, 제1촬영 동작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00은 카메라120으로부터 획득되는 이미지를 상기 표시부130에 배경이미지로 표시하며, 이때 상기 배경이미지(즉, 제1촬영된 이미지)는 정지이미지로 표시된다. 상기 배경이미지를 표시한 상태에서 가이드를 설정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도 6a 및 도 7b와 같은 절차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는 개별 인물 가이드 또는 그룹 가이드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표시되는 가이드를 편집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편집은 상기 도 6b 및 도 7c - 도 7e와 같은 절차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경이미지415에 가이드이미지425가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카메라장치를 이동시켜 배경화면과 일치되도록 하며, 제어부100은 상기 카메라120으로부터 획득되는 프리뷰 이미지를 상기 배경이미지 및 가이드에 오버레이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배경이미지와 카메라120의 프리뷰 이미지가 일치되는 상태에서 가이드 이미지의 영역에 인물을 위치되도록 한 후, 상기 제어부100은 제2 촬영을 수행하여 인물이미지 획득한다. 그러면 상기 제2촬영된 인물이미지는 제1촬영시의 배경이미지와 가이드 이미지를 참조하여 생성되는 인물이미지이다. 이후 상기 제어부100은 획득된 이미지를 처리하여 저장부에 저장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5)

  1.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이미지 촬영방법에 있어서,
    촬영되는 이미지를 정지이미지로 표시하는 제1촬영과정과,
    상기 정지이미지에 가이드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프리뷰 이미지를 상기 정지이미지 및 가이드에 오버레이시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오버레이 표시과정에서 촬영되는 이미지를 촬영하여 저장하는 제2촬영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 표시과정에서 인물이 상기 가이드에 위치되면 자동 포커싱을 수행하며, 포커싱 완료시 상기 가이드에 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 표시되는 정지이미지 및 가이드는 반투명 이미지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를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정지이미지의 임의 영역 선택시 선택 위치에 가이드를 표시하며, 상기 가이드는 인물 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를 표시하는 과정은
    선택 횟수에 따라 해당 위치에 인물 가이드를 추가 표시하며, 설정된 인원 이상의 가이드 선택시 그룹가이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를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가이드 선택시 선택된 가이드의 삭제버튼 및 핸들러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를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삭제버튼 선택시 가이드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를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핸들러 선택 후 드래그시 드래그 방향으로 가이드를 축소 또는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이미지 촬영장치에 있어서,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가이드 촬영모드를 설정하는 입력부와,
    상기 가이드 촬영모드시 카메라를 제어하여 촬영되는 제1이미지를 정지이미지로 표시하고, 상기 정지이미지에 가이드를 표시하며,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프리뷰 이미지를 상기 정지이미지 및 가이드에 오버레이시켜 표시하고, 상기 오버레이 표시 상태에서 촬영되는 제2이미지를 저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여 정지이미지 및 가이드에 상기 제2이미지를 오버레이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인물이 상기 가이드에 위치되면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자동 포커싱을 수행하며, 포커싱 완료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가이드에 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 표시되는 정지이미지 및 가이드 이미지는 반투명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지이미지의 임의 영역 선택시 선택 위치에 상기 가이드를 표시하며, 상기 가이드는 인물 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선택 횟수에 따라 해당 위치에 인물 가이드를 추가 표시하며, 설정된 인원 이상의 가이드 선택시 그룹가이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이드 선택시 선택된 가이드의 삭제버튼 및 핸들러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삭제버튼 선택시 가이드를 삭제하며, 상기 핸들러 선택 후 드래그시 드래그 방향으로 가이드를 축소 또는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30000459A 2013-01-03 2013-01-03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이미지촬영장치 및 방법 KR201400886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459A KR20140088669A (ko) 2013-01-03 2013-01-03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이미지촬영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459A KR20140088669A (ko) 2013-01-03 2013-01-03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이미지촬영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669A true KR20140088669A (ko) 2014-07-11

Family

ID=51737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459A KR20140088669A (ko) 2013-01-03 2013-01-03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이미지촬영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86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0142A (ko) * 2014-07-18 2016-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0142A (ko) * 2014-07-18 2016-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33152B2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カメラ効果
KR102251667B1 (ko) 시각적 미디어를 캡처 및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KR102032347B1 (ko) 이미지 센서 위치를 이용한 이미지 영역 설정 장치 및 방법
US9544495B2 (en) Image capturing device with touch screen for adjusting camera settings
KR101373333B1 (ko) 터치인식을 통한 영상촬영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그 촬영방법
US9357134B2 (en) Electronic apparatus, image sen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80160053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that changes extent of image altering by first and second image processing
KR102090624B1 (ko) 이미지 촬영장치 및 방법
KR102368385B1 (ko) 시각적 미디어를 캡처 및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KR101893275B1 (ko) 프리뷰 인터페이스 선택 영역의 줌인 방법 및 장치
KR102032541B1 (ko) 이미지 촬영장치 및 방법
JP5791448B2 (ja) カメラ装置および携帯端末
JP2014183425A (ja)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EP2530577A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CN109656461B (zh) 一种截屏方法和终端
JP2019114922A (ja)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6961545B (zh) 显示控制设备及其控制方法
KR20140001265A (ko) 단말장치의 이미지 처리 장치 및 방법
CN110992268A (zh) 背景设置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20140088669A (ko) 카메라를 구비하는 장치의 이미지촬영장치 및 방법
JP5749115B2 (ja) 携帯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文書作成方法
JP2022162409A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CN112333395A (zh) 对焦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6409777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324809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