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7652A - 단말기 모니터링 방법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단말기 모니터링 방법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7652A
KR20140087652A KR1020120158181A KR20120158181A KR20140087652A KR 20140087652 A KR20140087652 A KR 20140087652A KR 1020120158181 A KR1020120158181 A KR 1020120158181A KR 20120158181 A KR20120158181 A KR 20120158181A KR 20140087652 A KR20140087652 A KR 20140087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nitoring
monitored
server
control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8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호진
정영섭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20158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7652A/ko
Publication of KR20140087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6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8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emulation, e.g. Tel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단말기 모니터링 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모니터링 방법은, 서버를 통해 서로 통신이 가능한 감시 단말기와 피감시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감시 단말기에서 상기 피감시 단말기의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시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감시자 모드와 피감시자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감시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서버로 상기 피감시 단말기의 상황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한 상황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상황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황 데이터는 상기 피감시 단말기의 위치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기 모니터링 방법 및 기록매체{METHOD FOR MONITORING TERMINAL, AND RECODING MEDIUM THEREOF}
실시 예는 단말기 모니터링 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의 모니터링 방법은 서버를 통해 서로 통신이 가능한 감시 단말기와 피감시 단말기를 사용하여 감시 단말기에서 피감시 단말기의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기존의 단말기의 모니터링 방법들은 피감시 단말기가 실내에 있을 때, 피감시 단말기의 사용자가 정확히 무엇을 하는지를 파악하기 힘들었다. 또한, 피감시 단말기의 사용자가 이동 중일 때도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힘들었다.
따라서, 피감시 단말기가 실내에 있을 때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의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또한, 피감시 단말기가 이동 중일 때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의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실시 예는 감시 단말기에서 피감시 단말기의 위치뿐만 아니라 피감시 단말기의 주변소리, 피감시 단말기의 주변모습 및 피감시 단말기의 이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단말기 모니터링 방법 및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모니터링 방법은, 서버를 통해 서로 통신이 가능한 감시 단말기와 피감시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감시 단말기에서 상기 피감시 단말기의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시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감시자 모드와 피감시자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감시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서버로 상기 피감시 단말기의 상황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한 상황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상황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황 데이터는 상기 피감시 단말기의 위치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된 상황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의 이후에는, 상기 감시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통제메시지 발송 및 통제메시지 불발송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통제메시지 발송이 선택되면, 통제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통제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감시자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서버로 상기 상황데이터의 전송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 상기 통제메시지의 수신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제메시지는 음성 또는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제메시지는 상기 피감시 단말기의 사용자의 의사에 상관없이 강제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의 다른 카테고리로서, 실시 예는 단말기 모니터링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모니터링 방법 및 기록매체를 사용하면, 감시 단말기에서 피감시 단말기의 위치뿐만 아니라 피감시 단말기의 주변소리, 피감시 단말기의 주변모습 및 피감시 단말기의 이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모니터링 방법이 구현되는 시스템 개념도.
도 2는 도 1의 단말기가 감시 모드 또는 비감시 모드로 선택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모니터링 방법의 상황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모니터링 방법의 통제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element가 다른 element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한다.
<실시 예>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모니터링 방법이 구현되는 시스템 개념도이다.
도 1의 시스템 개념도에는 제1단말기(100), 제2단말기(200) 및 서버(Server, 30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단말기(100)와 제2단말기(200)는 서로의 위치 데이터, 소리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사전에 합의된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제1단말기(100)와 제2단말기(200)는 같은 단말기일 수 있고, 서로 다른 단말기일 수 있다.
제1단말기(100)와 제2단말기(200)는 서버(300)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단말기(100, 200)는 스마트 패드,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 폰 등 무선통신이 가능한 모든 기기일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은 2세대(2G) 통신망, 3세대(3G) 통신망, 4세대(4G) 통신망, 5세대(5G) 통신망 및 와이파이(Wi-Fi) 중 어느 하나이거나 혹은 적어도 둘 이상의 통신망을 복합적으로 포함하는 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
서버(300)는 다수의 단말기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써, 제1단말기(100)와 제2단말기(200)가 무선통신으로 연결될 때, 제1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되거나 혹은 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data base)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2단말기(200)로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제2단말기(200)로부터 제공되거나 혹은 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1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단지 두 개의 단말기(100, 200)만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것은 설명의 편의와 이해의 증진을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둘 이상의 단말기에서 또 다른 한 단말기를 모니터링 할 수 있고, 하나의 단말기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단말기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제1단말기(100)가 감시 모드 또는 비감시 모드로 선택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단말기(100)는 감시 모드 또는 비감시 모드로 실행될 수 있다(S100). 구체적으로, 제1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감시 모드 또는 피감시 모드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제1단말기(100)는 감시 모드로 실행될 수 있다(S200). 구체적으로, 제1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감시 모드가 선택되면, 감시 모드로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감시 모드로 실행된 이후의 과정들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에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제1단말기(100)는 비감시 모드로 실행될 수 있다(S300). 구체적으로, 제1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비감시자 모드로 선택되면, 제1단말기(100)는 비감시 모드로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비감시 모드로 실행된 이후의 과정들에 대해서 설명하면, 제1단말기(100)는 서버(300)로부터 상황데이터의 전송정보를 요청한다. 제1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상황데이터의 전송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황데이터의 전송정보는 제1단말기(100)에서 상황데이터를 발송한 시간과 상황데이터를 요청한 요청자의 I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단말기(100)는 서버(300)로부터 통제메시지의 수신정보를 요청한다. 제1단말기(100)의 사용자는 통제메시지의 수신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통제메시지의 수신정보는 이전에 제1단말기(100)로 수신된 통제메시지, 상기 통제메시지를 받은 시간 및 상기 통제메시지를 발송한 발송자의 I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모니터링 방법의 상황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1단말기(100)는 감시 단말기로, 제2단말기(200)는 피감시 단말기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단말기(100)는 서버(300)에 상황데이터를 요청한다. 구체적으로, 제1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감시 모드로 실행된다. 감시 모드로 실행된 제1단말기(100)는 상황데이터 요청신호를 생성한다. 제1단말기(100)는 생성된 상황데이터 요청신호를 서버(300)로 전송한다.
서버(300)는 제2단말기(200)에 상황데이터를 요청한다. 구체적으로, 서버(300)는 전송받은 상황데이터 요청신호를 제2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제2단말기(200)는 상황데이터를 수집한다. 구체적으로, 제2단말기(200)는 상황데이터 요청신호를 전송받는다. 상황데이터 요청신호를 전송받은 제2단말기(200)는 상황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황데이터는 위치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위치 데이터는 피감시 단말기 내에 장착된 위치 획득 수단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이다. 위치 획득 수단은 GPS, Wi-Fi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특히, 가속도 센서는 피감시 단말기의 이동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음성 데이터는 피감시 단말기 내에 장착된 음성 획득 수단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이다. 음성 획득 수단은 피감시 단말기에 장착된 녹음 모듈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영상 데이터는 피감시 단말기 내에 장착된 영상 획득 수단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이다. 영상 획득 수단은 피감시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 모듈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제2단말기(200)는 상황데이터를 서버(300)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제2단말기(200)는 생성된 상황데이터를 서버(300)로 전송한다.
서버(300)는 상황데이터를 제1단말기(100)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서버(300)는 전송받은 상황데이터를 제1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제1단말기(100)는 사용자에게 상황데이터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1단말기(100)는 사용자에게 위치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 모니터링 방법의 통제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1단말기(100)는 감시 단말기로, 제2단말기(200)는 피감시 단말기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단말기(100)는 통제메시지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단말기(100)의 사용자에 의해 통제메시지 발송 및 통제메시지 불발송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된다. 통제메시지 발송이 선택되면, 제1단말기(100)는 통제메시지를 생성한다. 여기서, 통제메시지는 음성 또는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1단말기(100)는 통제메시지를 서버(300)에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제1단말기(100)는 생성된 통제메시지를 서버(300)에 전송한다.
서버(300)는 통제메시지를 제2단말기(200)에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서버(300)는 전송받은 통제메시지를 제2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제2단말기(200)는 사용자에게 통제메시지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2단말기(200)는 단말기 내에 장착된 영상 출력 수단으로 통제메시지를 출력한다. 여기서, 통제메시지는 제2단말기(200)의 사용자의 의사에 상관없이 강제로 출력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실시 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감시 단말기 200: 피감시 단말기
300: 서버

Claims (6)

  1. 서버를 통해 서로 통신이 가능한 감시 단말기와 피감시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감시 단말기에서 상기 피감시 단말기의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시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감시자 모드와 피감시자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감시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서버로 상기 피감시 단말기의 상황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한 상황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상황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황 데이터는 상기 피감시 단말기의 위치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단말기 모니터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상황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의 이후에는,
    상기 감시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통제메시지 발송 및 통제메시지 불발송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통제메시지 발송이 선택되면, 통제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통제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모니터링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감시자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서버로 상기 상황데이터의 전송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 상기 통제메시지의 수신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모니터링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제메시지는 음성 또는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기 모니터링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제메시지는 상기 피감시 단말기의 사용자의 의사에 상관없이 강제로 출력되는, 단말기 모니터링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단말기 모니터링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158181A 2012-12-31 2012-12-31 단말기 모니터링 방법 및 기록매체 KR201400876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181A KR20140087652A (ko) 2012-12-31 2012-12-31 단말기 모니터링 방법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181A KR20140087652A (ko) 2012-12-31 2012-12-31 단말기 모니터링 방법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652A true KR20140087652A (ko) 2014-07-09

Family

ID=51736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8181A KR20140087652A (ko) 2012-12-31 2012-12-31 단말기 모니터링 방법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76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78902A (zh) * 2023-05-22 2023-06-23 北京金冠智能电气科技有限公司 充电桩集群的充电状态监控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78902A (zh) * 2023-05-22 2023-06-23 北京金冠智能电气科技有限公司 充电桩集群的充电状态监控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055024B (zh) 权限校验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US90948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driver use of a mobile device
KR20180034568A (ko) 비디오 데이터 관리 방법, 장치, 단말 및 서버
KR20180061250A (ko) 모바일 디바이스 권한에 기초한 레인징 및/또는 로컬라이제이션 서비스
TW200831937A (en) Standalone positioning in 3G UMTS systems
TW20094198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service capability information for user plane location
JP2006524472A5 (ko)
WO2022028560A1 (zh) 测量方法、装置、通信节点及存储介质
TW201204130A (en) A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wireless access point using single device based power measurements
US20210219299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KR20160118923A (ko) 전자 장치를 이용한 위치 측정 장치 및 방법
EP4099620A2 (en) Pairing groups of accessories
KR20130141039A (ko) 엔에프씨를 이용한 차량용 에이브이엔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55285B1 (ko) 데이터 송수신 구간 설정 방법 및 장치
TWI445428B (zh) 通訊系統中一安全用戶層面定位終端查詢另一安全用戶層面定位終端位置資訊之方法
US90422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internet-based emergency calls
KR20140087652A (ko) 단말기 모니터링 방법 및 기록매체
KR20110006347A (ko) 위치 찾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9980166B2 (en) Identifying volte to different technology types
JP2016025472A (ja) 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
KR102076489B1 (ko)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타 모바일 단말들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특정 모바일 단말
JP6838451B2 (ja) 混雑情報送信端末装置、混雑状況評価システム、混雑状況評価方法、及び、混雑情報送信プログラム
KR101857050B1 (ko) 센싱 장치와 이를 이용한 정보 전송 방법 및 정보 전송 시스템
KR102483465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농기계에 대한 제스쳐 제어의 권한을 부여 또는 이양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3151563A1 (zh) 辅助定位方法及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725

Effective date: 20150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