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7610A - 편광판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7610A
KR20140087610A KR1020120158108A KR20120158108A KR20140087610A KR 20140087610 A KR20140087610 A KR 20140087610A KR 1020120158108 A KR1020120158108 A KR 1020120158108A KR 20120158108 A KR20120158108 A KR 20120158108A KR 20140087610 A KR20140087610 A KR 20140087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optical compensation
liquid crystal
polarizing
compensatio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8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8021B1 (ko
Inventor
안치명
황성한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8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021B1/ko
Publication of KR20140087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수축을 가지는 편광필름을 형성하는 단계와; 등방성필름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등방성필름의 일면에 코팅 방법으로 위상차필름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등방성필름과 위상차필름을 제1방향으로 1차 연신하고 제2방향으로 2차연신하여 제1 및 제2 광학보상필름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광학보상필름을 상기 편광필름의 제1면에 부착하는 단계와; 지지필름을 상기 편광필름의 제2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편광판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polarize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학보상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와 같은 여러 가지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FPD)가 활용되고 있다.
이들 평판표시장치 중에서, 액정표시장치는 소형화, 경량화, 박형화, 저전력 구동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전계 생성 전극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두 기판을 두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면이 마주 대하도록 배치하고 두 기판 사이에 액정 물질을 주입한 다음, 두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생성되는 전기장에 의해 액정 분자를 움직이게 함으로써, 이에 따라 달라지는 빛의 투과율에 의해 화상을 표현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휴대폰이나 멀티미디어장치와 같은 휴대용 기기부터 노트북 또는 컴퓨터 모니터 및 대형 텔레비전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적용된다.
액정표시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현재 박막 트랜지스터와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화소 전극이 행렬 방식으로 배열된 능동 행렬 액정표시장치(Active Matrix LCD: AM-LCD)가 해상도 및 동영상 구현 능력이 우수하여 가장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하부 기판에 화소 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기판에 공통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두 전극 사이에 걸리는 기판에 수직한 방향의 전기장에 의해 액정 분자를 구동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수직 전계에 의한 액정표시장치는 투과율과 개구율 등의 특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수직 전계에 의한 액정표시장치는 시야각이 좁은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기판에 평행한 방향의 전기장에 의해 액정 분자를 구동하는 횡전계방식(in-plane switching: IPS) 액정표시장치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기판(1)과 하부 기판(2)이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두 기판(1, 2) 사이에는 액정 분자(3)가 위치한다. 액정 분자(3)를 구동시키기 위한 화소 전극(4)과 공통 전극(5)은 하부 기판(2) 상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두 전극(4, 5)에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두 전극(4, 5) 사이에는 기판에 평행한 수평 전계(6)가 생성되고, 액정층의 액정 분자(3)는 이 수평 전계(6)에 의해 동작하여 배열을 달리하게 된다. 두 기판(1, 2)과 액정층은 액정패널을 이룬다.
액정패널의 바깥쪽 면에는 각각 편광판(도시하지 않음)이 부착되는데, 두 편광판의 투과축은 서로 수직이 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액정 분자(3)는 그 배열에 따라 하나의 편광판을 통과한 빛을 변조하여 변조된 빛이 나머지 하나의 편광판을 선택적으로 투과되도록 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에서는 동일 기판 상에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을 형성하고 두 전극 사이에 기판과 평행한 수평 전계를 생성하여, 액정 분자가 수평 전계에 따라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의 시야각을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는 터치스크린에 의한 촉지(觸知)시에도 화면 왜곡이 저감되는 장점이 있어 최근 휴대용 기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는 정면에서의 광학 특성은 문제가 없지만, 측면에서 바라볼 경우 빛샘이 발생하여 블랙 휘도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콘트라스트 비(contrast ratio)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편광판과 액정패널 사이에 광학보상필름을 추가함으로써 측면 시야각에서의 광학적 특성을 보상하고 있는데, 광학보상필름을 편광판의 내측 지지체로 사용할 수도 있다. 즉, 편광필름의 일면에 지지필름을 부착하고, 타면에 광학보상필름을 부착하여 편광판을 제조하고, 제조된 편광판의 광학보상필름을 액정패널에 부착한다.
그런데, 이러한 편광판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광학보상필름은 압출공정과 연신공정을 통해 제조되어 일측에 보호필름이 부착된 상태로 공급되고, 광학보상필름을 편광필름의 타면에 부착한 후 보호필름은 제거된다.
압출공정에 의한 광학보상필름은 두께를 얇게 형성하기 어려우며, 파단 가능성으로 인해 연신하는데 한계가 있어 박형화가 쉽지 않다. 또한, 여러 장의 광학보상필름을 사용할 경우, 보호필름을 부착하고 박리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필요하여 공정이 늘어나게 되고 생산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박형 및 경량의 광학보상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용을 줄이고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광학보상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흡수축을 가지는 편광필름을 형성하는 단계와; 등방성필름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등방성필름의 일면에 코팅 방법으로 위상차필름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등방성필름과 위상차필름을 제1방향으로 1차 연신하고 제2방향으로 2차연신하여 제1 및 제2 광학보상필름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광학보상필름을 상기 편광필름의 제1면에 부착하는 단계와; 지지필름을 상기 편광필름의 제2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 광학보상필름은 포지티브 B 플레이트이고, 상기 제2 광학보상필름은 네거티브 C 플레이트이며, 상기 제1 광학보상필름이 상기 편광필름과 부착된다.
상기 제1 및 제2 광학보상필름을 상기 편광필름의 제1면에 부착하는 단계 후, 상기 제1 광학보상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광학 보상필름은 네거티브 C 플레이트이다.
상기 제1 광학보상필름은 20㎛ 내지 30㎛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2 광학보상필름은 5㎛ 이하의 두께를 가진다.
상기 등방성필름은 폴리에스테르(polyester)나 아크릴레이트(acrylate),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환상 올레핀 고분자(cyclic olefin polymer: COP),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또는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 ethylene terephtalate: PET)로 형성된다.
상기 위상차필름은 디스코틱 액정(discotic liquid crystal)이나 폴리이미드(polyimide: PI) 또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TAC)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 상부에 부착되고, 순차적으로 제1 광학보상필름과 제1편광필름과 지지필름을 포함하는 제1편광판; 상기 액정패널 하부에 부착되고, 순차적으로 상부 지지필름과 제2편광필름과 하부 지지필름을 포함하는 제2편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광학보상필름은 5㎛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광학보상필름은 네거티브 C 플레이트이다.
상기 제1 광학보상필름과 상기 제1편광필름 사이에 제2 광학보상필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광학보상필름은 포지티브 B 플레이트이다.
상기 제2 광학보상필름은 20㎛ 내지 30㎛의 두께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광학보상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액정표시장치에 적용함으로써 측면 시야각에서의 광학적 특성을 보상하여 콘트라스트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등방성필름 상에 코팅 방법으로 위상차필름을 형성하고, 등방성 필름과 위상차필름을 함께 연신하여 제1 및 제2 광학보상필름을 형성하므로 물리적 힘에 의한 파단 가능성을 줄일 수 있으며, 박형으로 광학보상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보호필름 없이 제1 및 제2 광학보상필름을 편광필름에 부착하며, 제1 및 제2 광학보상필름이 편광필름의 일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므로, 지지필름을 생략하여 공정을 단순화하고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제조 장비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제조 장비로 제조하는 과정에서의 광학보상필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을 포함하는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예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제조 장비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제조 장비로 제조하는 과정에서의 광학보상필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 제조 장비는 제1공급부(112)와, 염색유닛(113), 제1연신유닛(114), 제1건조유닛(115), 제1 및 제2코팅유닛(116a, 116b), 제2공급부(142), 제3코팅유닛(143), 제2건조유닛(144), 제2연신유닛(145), 제3연신유닛(146), 제3공급부(152), 부착유닛(160), 제3건조유닛(170), 그리고 회수롤(180)을 포함한다.
먼저, 제1공급부(112)로부터 편광필름(110)이 공급된다. 제1공급부(112)는 편광필름(110)이 감긴 공급롤일 수 있으며, 편광필름(110)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수단은 공급롤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일 수 있는데, 이동수단은 공급롤의 회전축에 직접 연결되거나, 풀리와 벨트 등을 통해 공급롤의 회전축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편광필름(110)은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공급부(112)로부터 공급된 편광필름(110)은 염색유닛(113)으로 전달되고, 염색유닛(113)에서 편광필름(110) 내에 요오드 이온을 염착시킨다. 이때, 요오드 이온의 염착을 위해 요오드화 칼륨 용액이 사용될 수 있다.
편광필름(110)은 염색유닛(113)으로 전달 전 증류수(de-ionized water) 등을 이용한 수세 공정을 거칠 수 있으며, 편광필름(110)은 수세 공정을 통해 요오드 이온이 착제하기 쉽도록 팽윤될 수 있다.
이어, 요오드 이온이 염착된 편광필름(110)은 제1연신유닛(114)으로 전달되고, 편광필름(110)은 제1연신유닛(114)에서 연신된다. 이때, 요오드 이온은 연신 방향으로 정렬하여 연신된 편광필름(110)은 연신 방향으로 흡수축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연신된 편광필름(110)은 흡수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은 흡수하고, 흡수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은 투과시킨다. 일례로, 편광필름(110)은 길이 방향, 즉, 공정의 진행 방향(machine direction: MD)으로 연신될 수 있다. 여기서, 연신 배율은 5배 내지 6배일 수 있다.
한편, 염착된 편광필름(110)을 붕산 수용액 중에서 연신함으로써 가교 단계를 함께 진행할 수 있다. 즉, 염착된 편광필름(110)을 붕산 수용액에 침지하여 연신함으로써, 붕산은 요오드 이온이 염착된 편광필름(110)의 고분자와 고분자 사이를 가교시켜 요오드 이온의 승화를 막는다. 가교 단계는 연신 단계와 별도로 진행될 수도 있다.
다음, 연신된 편광필름(110)은 제1건조유닛(115)으로 전달되어 건조된다. 이때, 제1건조유닛(115)은 오븐을 포함할 수 있으며, 건조 온도는 섭씨 50도 내지 65도일 수 있다.
다음, 건조된 편광필름(110)은 제1 및 제2코팅유닛(116a, 116b)으로 전달된다. 제1 및 제2코팅유닛(116a, 116b)은 편광필름(110)을 기준으로 마주대하며 이격되어 위치하고, 제1 및 제2코팅유닛(116a, 116b)은 그 사이를 통과하는 편광필름(110)의 양면에 각각 접착제를 코팅한다. 이때, 접착제는 수계 접착제이거나 자외선(ultraviolet: UV) 경화형 접착제일 수 있다.
접착제가 코팅된 편광필름(110)은 부착유닛(160)으로 전달된다.
한편, 제1공급부(112)와 이격되어 제2공급부(142)가 배치되고, 제2공급부(142)로부터 등방성필름(120a)이 공급된다. 제2공급부(142)는 등방성필름(120a)이 감긴 공급롤일 수 있으며, 등방성필름(120a)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수단은 공급롤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일 수 있는데, 이동수단은 공급롤의 회전축에 직접 연결되거나, 풀리와 벨트 등을 통해 공급롤의 회전축에 연결될 수 있다.
등방성필름(120a)은 폴리에스테르(polyester)나 아크릴레이트(acrylate),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환상 올레핀 고분자(cyclic olefin polymer: COP),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또는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 ethylene terephtalate: PET)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공급부(142)로부터 공급된 등방성필름(120a)은 제3코팅유닛(143)으로 전달되고, 제3코팅유닛(143)은 등방성필름(120a)의 표면에 네거티브(negative) C 위상차 특성을 갖는 재료, 즉, xyz 좌표계에서 x축, y축, z축 방향의 굴절률을 각각 nx, ny, nz라 할 때, nx = ny > nz의 관계를 만족하는 재료를 코팅함으로써 네거티브 C 필름(130a)을 형성한다. 이때, 코팅 방법으로는 바코팅(bar-coating)이나 슬릿코팅(slit-coating)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네거티브 C 위상차 특성을 갖는 재료로는 디스코틱 액정(discotic liquid crystal)이나 폴리이미드(polyimide: PI) 또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TAC)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는, 네거티브 C 필름(130a)이 편광필름(110)을 향하는 등방성필름(120a)의 표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네거티브 C 필름(130a)은 등방성필름(120a)의 반대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방성필름(120a)은 제1두께(d11)를 가지며, 제1두께(d11)는 10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일 수 있다. 또한, 네거티브 C 필름(130a)은 제2두께(d21)를 가지며, 제2두께(d21)는 약 10㎛ 이하이다.
다음, 등방성필름(120a)과 네거티브 C 필름(130a)은 제2건조유닛(144)으로 전달되고, 등방성필름(120a)과 네거티브 C 필름(130a)은 제2건조유닛(144)에서 건조된다. 이때, 제2건조유닛(144)은 오븐을 포함할 수 있으며, 건조 온도는 섭씨 50도 내지 65도일 수 있다.
다음, 건조된 등방성필름(120a)과 네거티브 C 필름(130a)은 제2연신유닛(145)으로 전달되고, 등방성필름(120a)과 네거티브 C 필름(130a)은 제2연신유닛(145)에서 1차 연신된다. 이때, 등방성필름(120a)과 네거티브 C 필름(130a)은 공정 진행방향에 수직한 폭 방향(transverse direction: TD)으로 연신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위상차필름(120b)과 제2 위상차필름(130b)이 형성된다. 이때, 제1 위상차필름(120b)은 도 3a의 등방성필름(120a)의 제1두께(d11)보다 얇은 제3두께(d12)를 가지며, 제2 위상차필름(130b)은 도 3a의 네거티브 C 필름(130a)의 제2두께(d21)보다 얇은 제4두께(d22)를 가진다.
여기서, 제1 위상차필름(120b)과 제2 위상차필름(130b)은 일축성 위상차 필름으로, nx > ny = nz의 관계를 만족하는 포지티브(positive) A 플레이트일 수 있다.
이어, 제1 위상차필름(120b)과 제2 위상차필름(130b)은 제3연신유닛(146)으로 전달되고, 제1 위상차필름(120b)과 제2 위상차필름(130b)은 제3연신유닛(146)에서 2차 연신된다. 이때, 제1 위상차필름(120b)과 제2 위상차필름(130b)은 길이 방향, 즉, 공정의 진행 방향(machine direction: MD)으로 연신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광학보상필름(120)과 제2 광학보상필름(130)이 형성된다. 제1 광학보상필름(120)은 도 3b의 제1 위상차필름(120b)의 제3두께(d12)보다 얇은 제5두께(d13)를 가지며, 제2 광학보상필름(130)은 도 3b의 제2 위상차필름(130b)의 제4두께(d22)보다 얇은 제6두께(d23)를 가진다. 이때, 제5두께(d13)는 약 20㎛ 내지 30㎛이고, 제6두께(d23)는 약 5㎛ 이하이다.
제1 광학보상필름(120)은 이축성 위상차 필름으로, nz > nx > ny의 관계를 만족하는 포지티브 B 플레이트이거나, nx > ny > nz의 관계를 만족하는 네거티브 B 플레이트일 수 있으며, 제2 광학보상필름(130)은 네거티브 C 플레이트일 수 있다.
여기서, 제2연신유닛(145)과 제3연신유닛(146)의 위치는 바뀔 수 있다. 즉, 등방성필름(120a)과 네거티브 C 필름(130a)은 길이 방향(MD)으로 1차 연신되고, 이어 폭 방향(TD)으로 2차 연신됨으로써, 제1 광학보상필름(120)과 제2 광학보상필름(130)이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 제1 광학보상필름(120)과 제2 광학보상필름(130)은 부착유닛(160)으로 전달된다.
한편, 제1공급부(112)를 기준으로 제2공급부(142)의 반대쪽에는 제1공급부(112)와 이격되어 제3공급부(152)가 배치되고, 제3공급부(152)로부터 지지필름(150)이 공급된다. 제3공급부(152)는 지지필름(150)이 감긴 공급롤일 수 있으며, 지지필름(150)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수단은 공급롤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일 수 있는데, 이동수단은 공급롤의 회전축에 직접 연결되거나, 풀리와 벨트 등을 통해 공급롤의 회전축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필름(150)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TAC)로 형성될 수 있다.
제3공급부(152)로부터 공급된 지지필름(150)은 부착유닛(160)으로 전달된다.
부착유닛(160)은 제1 및 제2부착롤(162, 164)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부착롤(162, 164)은 서로 이격되고 마주 대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제1 및 제2부착롤(162, 164)은 서로 어긋나게 위치할 수도 있다.
부착유닛(160)으로 전달된 편광필름(110)과, 편광필름(110) 일측의 제1 및 제2 광학보상필름(120, 130), 그리고 편광필름(110) 타측의 지지필름(150)은 제1 및 제2부착롤(162, 164) 사이를 통과하면서 가압되고, 편광필름(110)의 양면에 코팅된 접착제에 의해 편광필름(110)은 제2 광학보상필름(130) 및 지지필름(150)과 서로 부착된다. 여기서, 네거티브 C 필름(130a)이 편광필름(110)을 향하는 등방성필름(120a)의 반대면에 형성되어 제1 및 제2 광학보상필름(120, 130)이 제조될 경우, 편광필름(110)은 제1 광학보상필름(120)과 부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접착제가 편광필름(110)의 양면에 코팅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접착제는 제2광학보상필름(130)과 지지필름(150)에 코팅될 수도 있다.
부착된 편광필름(110)과 제1 및 제2 광학보상필름(120, 130) 그리고 지지필름(150)은 제3건조유닛(170)으로 전달되고, 제3건조유닛(170)에서 건조된다. 이어, 건조된 편광필름(110)과 제1 및 제2 광학보상필름(120, 130)은 회수롤(180)로 전달되고, 회수롤(180)에 감겨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에 따른 편광판에서는, 제1 및 제2 광학보상필름(120, 130)을 코팅 및 연신 공정을 통해 형성함으로써 박형으로 제조가 가능하며, 두 필름을 함께 연신하여 형성함으로써 물리적 힘에 의한 파단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보호필름 없이 제1 및 제2 광학보상필름(120, 130)을 편광필름(110)에 부착하며, 제1 및 제2 광학보상필름(120, 130)이 편광필름(110)의 일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므로, 지지필름을 생략하여 공정을 단순화하고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등방성필름(120a) 상에 네거티브 C 위상차 특성을 갖는 재료를 코팅하고 연신하여 제1 및 제2 광학보상필름(120, 130)을 형성하였으나, 등방성필름(120a) 상에 포지티브 A 위상차 특성을 갖는 재료를 코팅하고 연신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등방성필름(120a) 상에 포지티브 A 위상차 특성을 갖는 재료를 코팅하여 포지티브 A 필름을 형성한 다음, 등방성필름(120a)과 포지티브 A 필름을 1차 연신할 경우, 포지티브 A 플레이트의 제1 위상차필름과 네거티브 B 플레이트의 제2 위상차필름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 위상차필름을 2차 연신할 경우, 네거티브 B 플레이트 또는 포지티브 B 플레이트의 제1 광학보상필름과 포지티브 A 플레이트 또는 네거티브 B 플레이트의 제2 광학보상필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포지티브 A 위상차 특성을 갖는 재료로는 막대 모양(rod-like) 분자 구조를 가지는 물질이 사용되며, 일례로 반응성 메조겐(reactive mesogen)이 사용될 수 있는데, 포지티브 A 위상차 특성을 갖는 재료를 코팅하기 전, 등방성필름(120a) 상에 배향막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편광판을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에 적용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을 포함하는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250)과, 액정패널(250)의 일면에 부착되는 제1편광판(200) 및 액정패널(250)의 타면에 부착되는 제2편광판(260)을 포함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액정패널(250)은 제1 및 제2기판과 제1 및 제2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으로 구성되며, 제1 및 제2기판 중 어느 하나에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이 형성된다. 일례로,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은 하부에 위치하는 제1기판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액정층의 액정분자는 두 전극 사이에 생성되는 전기장에 의해 배열이 달라지고, 이에 따라 제2편광판(260) 하부에 위치한 백라이트 유닛(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공급되는 빛의 투과율을 조절한다.
부착을 위해, 제1편광판(200)과 액정패널(250) 사이에는 제1점착층(272)이 위치하고, 제2편광판(260)과 액정패널(250) 사이에는 제2점착층(274)이 위치한다. 제1점착층(272)은 제1편광판(200)에 형성되어 공급될 수 있고, 제2점착층(274)은 제2편광판(260)에 형성되어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점착층(272, 274)은 감압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일 수 있다.
제1편광판(200)은 도 2의 편광판 제조 장비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편광필름(210)과 편광필름(210) 일면의 제1 및 제2 광학보상필름(220, 230), 그리고 편광필름(210) 타면의 지지필름(240)을 포함한다. 제1편광판(200)은 액정패널(250)의 전면(front surface), 즉, 빛이 출력되는 면에 부착되는데, 액정패널(250)과 인접하여 제1 광학보상필름(220), 제2 광학보상필름(230), 편광필름(210), 그리고 지지필름(240)의 순서로 위치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광학보상필름(220)은 이축성 위상차 필름으로, 포지티브 B 플레이트이거나 네거티브 B 플레이트일 수 있으며, 제2 광학보상필름(230)은 네거티브 C 플레이트일 수 있다. 반대로, 도 2에서 편광필름을 향하는 등방성필름의 반대면에 네거티브 C 필름을 형성하여 제1 및 제2 광학보상필름이 제조될 경우, 제1 광학보상필름(220)이 네거티브 C 플레이트이고, 제2 광학보상필름(230)은 포지티브 B 플레이트이거나 네거티브 B 플레이트일 수도 있다.
또는, 제1 광학보상필름(220)은 네거티브 B 플레이트 또는 포지티브 B 플레이트이고, 제2 광학보상필름(230)은 포지티브 A 플레이트 또는 네거티브 B 플레이트일 수 있으며, 그 반대도 가능하다.
제2편광판(260)은 액정패널(250)의 배면에 부착되어 액정패널(250)과 백라이트 유닛(도시하지 않음) 사이에 위치한다. 제2편광판(260)은 편광필름(262)과 편광필름(262)의 양면에 각각 부착되는 상부 및 하부 지지필름(264, 266)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편광판(260)의 상부 지지필름(264)이 제2점착제(274)를 통해 액정패널(250)과 접촉하는데, 상부 지지필름(264)은 위상 지연을 가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편광판(260)의 편광필름(262)의 흡수축은 제1편광판(200)의 편광필름(210)의 흡수축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제1 및 제2 광학보상필름(220, 230)에 의해 측면 시야각에서의 광학적 특성을 보상하여 콘트라스트비를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예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350)과, 액정패널(350)의 일면에 부착되는 제1편광판(300) 및 액정패널(350)의 타면에 부착되는 제2편광판(360)을 포함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액정패널(350)은 제1 및 제2기판과 제1 및 제2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으로 구성되며, 제1 및 제2기판 중 어느 하나에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이 형성된다. 일례로,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은 하부에 위치하는 제1기판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액정층의 액정분자는 두 전극 사이에 생성되는 전기장에 의해 배열이 달라지고, 이에 따라 제2편광판(360) 하부에 위치한 백라이트 유닛(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공급되는 빛의 투과율을 조절한다.
부착을 위해, 제1편광판(300)과 액정패널(350) 사이에는 제1점착층(372)이 위치하고, 제2편광판(360)과 액정패널(350) 사이에는 제2점착층(374)이 위치한다. 제1점착층(372)은 제1편광판(300)에 형성되어 공급될 수 있고, 제2점착층(374)은 제2편광판(360)에 형성되어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점착층(372, 374)은 감압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일 수 있다.
제1편광판(300)은 도 2의 편광판 제조 장비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편광필름(310)과 편광필름(310) 일면의 광학보상필름(330), 그리고 편광필름(310) 타면의 지지필름(340)을 포함한다. 제1편광판(300)은 액정패널(350)의 전면(front surface), 즉, 빛이 출력되는 면에 부착되는데, 액정패널(350)과 인접하여 광학보상필름(330), 편광필름(310), 그리고 지지필름(340)의 순서로 위치한다.
여기서, 제1편광판(300)은 하나의 광학보상필름(330)만을 포함하는데, 도 2에서 제1 광학보상필름(120) 상부의 제2 광학보상필름(130)을 편광필름(110)에 부착한 후, 제1 광학보상필름(120)을 제거하여 제2 광학보상필름(130)만 남도록 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광학보상필름(330)은 네거티브 C 플레이트일 수 있다.
제2편광판(360)은 액정패널(350)의 배면에 부착되어 액정패널(350)과 백라이트 유닛(도시하지 않음) 사이에 위치한다. 제2편광판(360)은 편광필름(362)과 편광필름(362)의 양면에 각각 부착되는 상부 및 하부 지지필름(364, 366)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편광판(360)의 상부 지지필름(364)이 제2점착제(374)를 통해 액정패널(350)과 접촉하는데, 상부 지지필름(364)은 위상 지연을 가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편광판(360)의 편광필름(362)의 흡수축은 제1편광판(300)의 편광필름(310)의 흡수축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횡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에서는, 광학보상필름(330)에 의해 측면 시야각에서의 광학적 특성을 보상하여 콘트라스트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이상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가능하다.
110: 편광필름 112: 제1공급부
113: 염색유닛 114: 제1연신유닛
115: 제1건조유닛 116a, 116b: 제1 및 제2코팅유닛
120a: 등방성필름 120: 제1 광학보상필름
130a: 네거티브 C 필름 130: 제2 광학보상필름
142: 제2공급부 143: 제3코팅유닛
144: 제2건조유닛 145: 제2연신유닛
146: 제3연신유닛 150: 지지필름
152: 제3공급부 160: 부착유닛
164: 제1부착롤 166: 제2부착롤
170: 제3건조유닛 180: 회수롤

Claims (10)

  1. 흡수축을 가지는 편광필름을 형성하는 단계와;
    등방성필름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등방성필름의 일면에 코팅 방법으로 위상차필름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등방성필름과 위상차필름을 제1방향으로 1차 연신하고 제2방향으로 2차연신하여 제1 및 제2 광학보상필름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광학보상필름을 상기 편광필름의 제1면에 부착하는 단계와;
    지지필름을 상기 편광필름의 제2면에 부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편광판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보상필름은 포지티브 B 플레이트이고, 상기 제2 광학보상필름은 네거티브 C 플레이트이며, 상기 제1 광학보상필름이 상기 편광필름과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광학보상필름을 상기 편광필름의 제1면에 부착하는 단계 후, 상기 제1 광학보상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광학 보상필름은 네거티브 C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제조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보상필름은 20㎛ 내지 30㎛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2 광학보상필름은 5㎛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등방성필름은 폴리에스테르(polyester)나 아크릴레이트(acrylate),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환상 올레핀 고분자(cyclic olefin polymer: COP),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또는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 ethylene terephtalate: PET)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제조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필름은 디스코틱 액정(discotic liquid crystal)이나 폴리이미드(polyimide: PI) 또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TAC)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제조 방법.
  7.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 상부에 부착되고, 순차적으로 제1 광학보상필름과 제1편광필름과 지지필름을 포함하는 제1편광판;
    상기 액정패널 하부에 부착되고, 순차적으로 상부 지지필름과 제2편광필름과 하부 지지필름을 포함하는 제2편광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광학보상필름은 5㎛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액정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보상필름은 네거티브 C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보상필름과 상기 제1편광필름 사이에 제2 광학보상필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광학보상필름은 포지티브 B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학보상필름은 20㎛ 내지 30㎛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120158108A 2012-12-31 2012-12-31 편광판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78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108A KR102078021B1 (ko) 2012-12-31 2012-12-31 편광판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108A KR102078021B1 (ko) 2012-12-31 2012-12-31 편광판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610A true KR20140087610A (ko) 2014-07-09
KR102078021B1 KR102078021B1 (ko) 2020-02-17

Family

ID=51736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8108A KR102078021B1 (ko) 2012-12-31 2012-12-31 편광판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0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4007A1 (ko) * 2015-10-26 2017-05-04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소자
US10976597B2 (en) 2015-12-02 2021-04-13 Lg Chem, Ltd. Optical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4547A (ko) * 2004-12-08 2006-06-13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
WO2009098804A1 (ja) * 2008-02-07 2009-08-13 Sharp Kabushiki Kaish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KR20100025171A (ko) * 2008-08-27 2010-03-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면상 스위칭 모드 액정 표시 장치
KR20100138222A (ko) * 2009-06-24 2010-12-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위상차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120015612A (ko) * 2010-08-12 2012-02-22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4547A (ko) * 2004-12-08 2006-06-13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
WO2009098804A1 (ja) * 2008-02-07 2009-08-13 Sharp Kabushiki Kaish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KR20100025171A (ko) * 2008-08-27 2010-03-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면상 스위칭 모드 액정 표시 장치
KR20100138222A (ko) * 2009-06-24 2010-12-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위상차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120015612A (ko) * 2010-08-12 2012-02-22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4007A1 (ko) * 2015-10-26 2017-05-04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소자
US10712607B2 (en) 2015-10-26 2020-07-14 Lg Chem, Ltd. Optical device
US10976597B2 (en) 2015-12-02 2021-04-13 Lg Chem, Ltd. Optic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021B1 (ko) 2020-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0145B1 (ko) 광시야각 액정표시장치
WO2013137464A1 (ja) 光学積層体を有する有機elディスプレイ素子
US11307337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100631752B1 (ko) 광학 필름
US10330839B2 (en)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009821B1 (ko) 편광판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US10168566B2 (en) Nanocapsul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078021B1 (ko) 편광판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00069964A (ko) 광학 보상필름을 포함하는 수직전계방식 액정표시장치
US10591655B2 (en) Optical film,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2019028592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7016005A (ja) 表示装置
KR101988927B1 (ko) 편광판과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111484B1 (ko) 터치패널 및 그 제조 방법
JP2015045695A (ja) 光学フィルム及び液晶表示装置
KR102059361B1 (ko) 편광판을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170460B2 (en) In-plane-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panel, manufacturing process and display device thereof
KR101818448B1 (ko) 보상 필름을 가지는 수평 전계형 액정 표시 장치
KR20150145139A (ko) 편광 해소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9181016A (ja) 液晶表示装置
KR20160067298A (ko) 곡면 액정표시장치
KR101635203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090931B1 (ko) 액정표시장치
US20180292716A1 (en) Photo-alignment apparatus and photo-alignment method
KR20190077970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