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7452A - 항균 기능성 건강 증진용 베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균 기능성 건강 증진용 베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7452A
KR20140087452A KR1020120157785A KR20120157785A KR20140087452A KR 20140087452 A KR20140087452 A KR 20140087452A KR 1020120157785 A KR1020120157785 A KR 1020120157785A KR 20120157785 A KR20120157785 A KR 20120157785A KR 20140087452 A KR20140087452 A KR 20140087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ating
pillow
coated
buckw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7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1335B1 (ko
Inventor
정길성
Original Assignee
정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길성 filed Critical 정길성
Priority to KR1020120157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1335B1/ko
Publication of KR20140087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36Pillows with cooling or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Econom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기능성 건강 증진용 베개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된 항균 기능성 건강 증진용 베개 및 그 제조방법은, 인조흑연 분말 45 ~ 55 중량%와 토르말린 3 ~ 7 중량% 및 게르마늄 3 ~ 7 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쇄물을 증류수 30 내지 40중량%와 액상의 아크릴 에스테르 10 내지 20중량%가 혼합된 혼합액에 넣고 교반하여 형성한 페이스트상의 코팅 조성물을 메밀 껍질에 코팅하여 거조시킨 후 속피재에 충진하여 형성되는 구성적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항균 기능성 건강 증진용 베개에 따르면, 사용자의 체온과 온열 코팅재의 상호작용에 의해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발생에 의한 광전효과를 최대로 유도하여 건강 증진에 대한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의 체온과 온열 작용으로 인한 땀과 체취가 누적되어 세균번식과 냄새가 베이게 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뛰어난 항균작용과 탈취작용이 기능할 수 있게 되므로 뛰어난 위생성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균 기능성 건강 증진용 베개 및 그 제조방법{An anti-bacteria functional healthful pillow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irof}
본 발명은 베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발생원을 보유한 충진재를 속피에 충전하여 항균성과 탈취성 및 건강 보조 기능성을 향상시킨 항균 기능성 건강 증진용 베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원적외선이 인체에 미치는 효능은 세포조직의 활성화에 따라 질병에 대한 면역력과 자연 치유력의 증진, 생체의 가온, 생체 육성화 효과에 따른 인체의 성장 촉진, 혈행촉진 작용, 신진대사 촉진, 진통억제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사실은 원적외선이 눈에는 보이지 않으나, 물체에 흡수되면 활성화 에너지로 변하여 특히 생물의 활동력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인체에 원적외선이 닿으면 생체리듬을 왕성하게 하여 활력을 넘치게 해준다는 것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즉, 원적외선은 인체에 유익한 파장으로 예컨대, 온열작용, 숙성작용, 자정작용, 건습작용, 중화작용, 공명작용 등에 의해 건강 증진 효과가 크다는 사실이 널리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원적외선의 효능을 다양한 생활 소재에 적용하여 실용화가 이루어진 상품의 출시가 최근에 이르러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그러한 상품의 일예로서, 참숯이나 황토, 그리고 옥이나 토르말린 등의 광물류를 이용한 베개나 매트 등과 같은 침구류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그 일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17825호, 제10-2007-0015758호, 제10-2011-0085529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를 위해 참숯이나 인조흑연 등의 광물을 이용한 종래의 건강 보조 기능성 베개는, 대개의 경우 광물을 분쇄하여 알갱이 형태나 미세입자 분말형태로 섬유 외피 속에 장입한 상태로 상품을 사용하게 되므로, 사용중에 광물 입자가 분쇄되어 분진상태로 실내공간에 비산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참숯이나 인조흑연 등의 광물을 이용한 종래의 건강 보조 기능성 침구류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인 건강 증진 효과에 대한 체감도가 떨어지며, 베개의 사용 빈도와 지속성의 특성상 인체의 땀과 먼지 등으로 인한 세균 번식과 악취의 근원으로 작용하여 위생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능성 베개가 지니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발생원을 보유한 충진재를 속피에 충전하여 항균성과 탈취성 등의 건강 보조 기능성을 향상시킨 항균 기능성 건강 증진용 베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항균 기능성 건강 증진용 베개는, 충진재가 봉입된 속피재 및 그 속피재가 삽입되는 외피재로 이루어진 베개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온열 코팅재가 코팅된 메밀 껍질이 다수 충진되며, 상기 온열 코팅재는, 증류수 30 내지 40중량%와 액상의 아크릴 에스테르 10 내지 20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혼합액에, 인조흑연 분말 45 ~ 55 중량%와 토르말린 3 ~ 7 중량% 및 게르마늄 3 ~ 7 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쇄물을 혼합하여 페이스트상의 코팅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항균 기능성 건강 증진용 베개의 제조방법은, 인조흑연 분말 45 ~ 55 중량%와 토르말린 3 ~ 7 중량% 및 게르마늄 3 ~ 7 중량%를 혼합하여 코팅 분쇄물을 조제하는 단계와; 상기 코팅 분쇄물을 증류수 30 내지 40중량%와 액상 아크릴 에스테르 10 내지 20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혼합액에 넣고 교반하여 페이스트상의 코팅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페이스트상의 코팅 조성물에 메밀 껍질을 혼합하여 코팅하는 단계와; 상기 코팅 조성물이 코팅된 메밀 껍질을 건조시키는 단계와; 상기 코팅 조성물이 코팅된 메밀 껍질을 속피재에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항균 기능성 건강 증진용 베개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온열 코팅재는 상기 메밀 껍질에 1.0 내지 2.0mm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속피재는 면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면 원단의 표면에 상기 온열 코팅재가 코팅되어 형성된 코팅층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피재는 면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면 원단에 열전도체로서 은(Ag) 실을 재봉하여 누빈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팅 조성물을 상기 메밀 껍질에 코팅하고 건조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코팅 조성물에 15 내지 25kg 범위의 메밀 껍질을 혼합하여 교반에 의해 코팅층을 형성하고, 건조기를 이용하여 80 내지 100 온도 범위에서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항균 기능성 건강 증진용 베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첫째,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발생원을 페이스트 상태로 메밀 껍질 낱알 알갱이에 하나하나에 도포하여 건조시킨 베갯속을 가지므로, 베갯속 코팅 조성물이 사용중에 분쇄되어 비산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수명의 연장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베갯속 코팅 조성물의 기공용적과 비표면적이 증대하여 사용자의 체온과 온열 코팅재의 상호작용에 의해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발생에 의한 광전효과를 최대로 유도하여 건강 증진에 대한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사용자의 체온과 온열 작용으로 인한 땀과 체취가 누적되어 세균번식과 냄새가 베이게 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뛰어난 항균작용과 탈취작용이 이루어져 뛰어난 위생성과 사용상의 편의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항균 기능성 건강 증진용 베개의 일부를 절제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일부 절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항균 기능성 건강 증진용 베개의 속피에 충전되는 충진재를 촬영하여 사진 및 요부 구성을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항균 기능성 건강 증진용 베개의 속피를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개략적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항균 기능성 건강 증진용 베개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도시해 보인 제조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항균 기능성 건강 증진용 베개의 속피에 충전되는 충진재의 항균 시험 상태를 촬영하여 나타내 보인 사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항균 기능성 건강 증진용 베개 및 그 제조방법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항균 기능성 건강 증진용 베개(100)는, 일정한 부피체를 형성하도록 기능성 충진재(110)가 봉입된 속피재(120)와, 그 속피재(120)를 보호하기 위한 외피를 형성하도록 봉재되는 외피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충진재(110)는 항균 기능성 건강 증진용 온열 코팅재(112)가 코팅된 메밀 껍질(111)이 다수 충진되어 이루어지는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온열 코팅재(112)는, 증류수 30 내지 40중량%와 액상의 아크릴 에스테르 10 내지 20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혼합액에, 인조흑연 분말 45 ~ 55 중량%와 토르말린 3 ~ 7 중량% 및 게르마늄 3 ~ 7 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쇄물을 혼합하여 페이스트상의 코팅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온열 코팅재(112)는 도 2에 예시적으로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기 메밀 껍질(111)의 낱알 알갱이 표면에 0.5 내지 1.5mm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코팅 과정은 페이스트상의 코팅 조성물에 20±1kg 전후의 메밀 껍질을 혼합한 상태에서 교반한 다음 건조기에서 80 내지 100℃ 온도 범위로 건조시켜 코팅층 형성을 완료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속피재(120)는 100% 면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면 원단의 내외 표면에 상기 온열 코팅재(112)가 코팅된 코팅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피재(130)도 100% 면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면 원단에 은사(銀絲)(은; Ag이 코팅된 실)를 재봉하여 누빈 구성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항균 기능성 건강 증진용 베개(100)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항균 기능성 건강 증진용 베개(100)를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인조흑연 분말 45 ~ 55 중량%와 토르말린 3 ~ 7 중량% 및 게르마늄 3 ~ 7 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코팅 분쇄물을 혼합하는 공정(S11 단계)과, 30 내지 40중량%의 증류수와 10 내지 20중량%의 액상 아크릴 에스테르를 혼합한 코팅 혼합액을 조제하는 공정(S12 단계)을 각각 수행한다.
이어서, 상기 코팅 분쇄물을 증류수 30 내지 40중량%와 액상의 아크릴 에스테르 10 내지 20중량%가 혼합된 혼합액에 넣고 교반하여 페이스트상의 코팅 조성물을 형성한다(S13 단계).
다음 공정으로, 상기 페이스트상의 코팅 조성물에 20±1kg 전후의 메밀 껍질을 혼합하여 교반에 의해 메밀 껍질 낱알 알갱이에 각각 상기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한 충진재를 조제한다(S14 단계). 이때 상기 코팅층은 충분한 교반 작업에 의해 1.0 내지 2.0mm 두께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공정으로, 메밀 껍질에 상기 코팅 조성물이 코팅된 충진재(110)를 건조기에 장입하여 80 내지 100℃ 온도 범위에서 1 내지 3시간에 걸쳐 건조시키는 공정을 수행한다(S15 단계).
이어서, 상기한 건조 과정을 거쳐 메밀 껍질(111) 낱알 알갱이 하나하나에 코팅 조성물이 코팅된 충진재(110)를 속피재(120)에 장입하여 충전함으로써, 일정한 부피체의 베개 형태로 형성한다(S16 단계).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속피재(1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100% 면 원단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그 면 원단의 내외 표면에 상기 온열 코팅재(112)가 코팅된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한 S16 단계에서 속피재(120)에 충진재(110)를 장입하기 이전에 속피재(120)의 면 원단을 펼쳐 놓고 내외 표면에 상기 온열 코팅재(112)를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S16-1 단계).
다음 공정으로, 상기 충진재(110)가 충전되어 베개 형태의 일정한 부피체를 형성하는 속피재(120)를 중공형으로 봉재되는 외피재(130)에 삽입하여 본 발명의 베개를 완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외피재(130)는 100% 면 원단에 은사(銀絲)(131)(은; Ag이 코팅된 실)를 재봉하여 누빈 구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은사(銀絲)(131)는 상기 충진재(110)와 상기 속피재(120)에 형성된 온열 코팅재(112)로부터 발생되는 발열 등과 같은 기능이 인체의 두부에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열전도체로 기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과 제조공정에 의해 제작되는 본 발명에 의한 항균 기능성 건강 증진용 베개(100)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온열 코팅재(112)는 토르말린(Tourmaline)과 인조흑연 및 게르마늄과 같은 히토류 원소 광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코팅 조성물을 형성함으로써,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 강도를 최적 상태로 형성하여 건강 보조 기능성을 보다 향상시킨 베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전기석이라고도 불리우는 토르말린(Tourmaline)은 화학조성이 ((WX3Y6(BO3)Si6O16(OH, F)4)인 육방정계에 속하는 광물로서 영원한 전기를 가지고 있으며, 메쉬가 높으면 높을수록 발열량이 강하여 코팅층에 땀과 수분이 닿으면 순간적으로 수분을 전기분해한다. 이때 수소 이온(H+)과 수산 이온(OH-)으로 분리되면서 토르말린의 전기물리작용에 의해 수소 이온(H+)은 수소 가스(H2)가 되고, 수산이온(OH-)은 주변의 물 분자와 결합하여 히드록실(H3O2) 음이온이라는 계면활성 물질이 된다. 이와 같은 무수한 작용으로 다량의 음이온이 인체내부에 침투하여 혈액순환촉진, 세포기능, 면역기능 활성화 작용과 자율신경안정기능 등을 가지는 열전자파인 원적외선이 다량 방사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인조흑연은 무정형 탄소를 전기로서 고온으로 가열하여 생성한 결정성 흑연으로서, 전극재료 등의 공업용으로도 이용되나, 99.5% 이상의 고순도 인조흑연의 경우 인체에 유용한 4 내지 12μm 범위의 파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 방사 강도가 가장 높다.
상술한 바와 같은 토르말린과 인조흑연 및 게르마늄(히토류 원소 광물)의 특성이 최적상태로 기능하여 작용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의한 항균 기능성 건강 증진용 베개(100)는 상기 온열 코팅재(112)의 두께를 1.0 내지 2.0mm 범위의 박막층으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 온열 코팅재(112)의 코팅층 두께를 1.0 내지 2.0mm 범위로 한정하는 이유는, 1.0mm 이하로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토르말린에서 방사되는 약 0.006 mA의 미약전기 작용이 현저히 떨어져 온열효과와 원적외선 방사량 및 음이온 영향이 미미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온열 코팅재(112)의 코팅층 두께를 2.0mm 이상으로 형성하는 경우, 토르말린과 인조흑연에서 방사되는 미약전기의 작용과 원적외선의 방사량 및 음이온 영향이 두께에 비례하여 높아지는 것이 아니므로, 경제성을 고려한 것이다.
상기 인조흑연은 순도 99.5% 이상, 100 내지 200 메쉬 입도의 분말상태로 분쇄하여 35 ~ 45 중량%로 혼합한다. 상기 인조흑연의 조성비를 35 ~ 45 중량%로 한정하는 이유는, 조성비의 하한치와 상한치를 벗어나는 경우, 원적외선 방사량이 미미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동시에 원적외선 방사량이 함유량의 증가에 비례하여 많아지는 것이 아니므로, 경제성을 고려한 것이다.
상기 토르말린은 250 내지 350 메쉬 입도의 분말상태로 분쇄하여 3 ~ 7 중량%로 혼합한다. 상기 토르말린의 조성비를 3 ~ 7 중량%로 한정하는 이유는, 조성비의 하한치와 상한치를 벗어나는 경우, 토르말린에서 방사되는 미약전기의 작용이 현저히 떨어져 온열효과와 원적외선 방사량이 미미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동시에 미약전기의 작용과 원적외선의 방사량이 함유량의 증가에 비례하여 많아지는 것이 아니므로, 경제성을 고려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조성비를 충족시키는 상태로 혼합된 인조흑연과 토르말린 및 게르마늄 조성물은 증류수 및 액상 아크릴 에스테르가 혼합된 혼합액에 침지되어 페이스트상태의 온열 코팅재 조성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온열 코팅재 조성물이 최적 상태로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습도와 접착성을 고려하여 증류수와 액상 아크릴 에스테르는 각각 30 내지 40중량%와 10 내지 20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혼합액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페이스트 상태로 혼합 형성된 온열 코팅재는 메밀 껍질 및 면 원단 시트에 도포되어 전기로와 같은 가열로를 통해 80 내지 100℃ 온도에서 건조시켜 온열 코팅층으로 형성된다.
상기 페이스트 상태의 온열 코팅층 조성물은 건조과정에서 응축되는 현상으로 인한 최종 두께를 고려하여 메밀 껍질 및 면 원단 시트에 1.0 내지 2.0mm 범위의 두께를 가지는 박막층으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온열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베갯속 재료의 베이스재로 메밀 껍질이 선택되는 것은, 메밀 껍질이 베갯속으로 가장 각광 받고 있는 재료 중의 하나로 이미 잘 알려져 있는 사실에 기초를 두고 있다. 즉, 메밀의 찬 성분을 통하여 베개 사용자 머리의 열을 흡수해 수면중에 몸의 건강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메밀 껍질 사이사이에 공간이 커 통풍효과는 우수한 점 등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베개에 있어서 온열작용에 대한 적절한 제어 기능과 온열 코팅층의 기공 용적과 비표면적 형성 등에 유리한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온열 코팅층 조성물에 따르면, 예를 들어 인조흑연이나 참숯 등과 같이 단일 또는 복수의 복합 조성물로 이루어진 기존의 기능성 코팅재에 비하여 기공용적과 비표면적의 향상에 의해 원적외선 방출량이 증대하고, 특히 세균에 대한 항균 기능성과 탈취기능이 증대하는 시험결과를 얻을 수가 있었으며, 이하에 그 시험결과를 토대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험예 1)
하기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온열 코팅층 조성물과 기존의 인조흑연(숯/활성탄) 코팅층에 대한 비교예의 기공 용적과 비표면적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나타내 보인 것이다.
기공 용적 및 비표면적 측정 결과
구분 기공 용적(ml/g) 비표면적(m2/g)
본 발명의 실시예 0.722 823
비교예1(참숯흑탄 활성탄) 0.521 270
비교예2(석탄코크스 활성탄) 0.435 684
상기 표 1의 기공 용적 및 비표면적 측정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온열 코팅층 조성물은 기존의 참숯 흑탄 활성탄과 석탄코크스 활성탄 코팅재에 비하여 기공 용적과 비표면적이 훨씬 증대된 특성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온열 코팅층 조성물의 특성에 의해 이하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원적외선 방출량과 항균작용 효과가 보다 증대되는 것으로 기능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게 된다.
(실험예 2)
하기 표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온열 코팅층 조성물과 기존의 인조흑연(또는 참숯 흑탄 활성탄과 석탄코크스 활성탄) 코팅재에 대한 비교예의 원적외선 방출량을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원적외선/웰빙소재센터에서 FT-IR Spectrometer을 이용한 블랙 바디(Black Body) 대비 측정 결과이다.
원적외선 방출량(40℃)
구분 시험항목 시험결과 시험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 방사율(5~20㎛) 0.927 KICM-FIR-1005
비교예(인조흑연) 0.902
상기 표 2의 원적외선 방출량 시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온열 코팅층 조성물은 기존의 블랙 바디(참숯흑탄 활성탄과 석탄코크스 활성탄 코팅재)에 비하여 원적외선 방출량이 증대된 특성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하기 표 3은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온열 코팅층 조성물의 포도상구균에 의한 항균 시험 결과를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이는 한국원적외선 응용평가연구원에서 시험방법 KFIA-FI-1002 및 사용균주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에 의한 시험결과이다.
포도상구균에 의한 항균 시험
시료구분 초기농도(CFU/ml) 24시간후농도(CFU/ml) 정균감소율(%)
본 발명의 실시예 3.2X105 0.927 99.0
비교예(Blank) 0.905 -
(주) (1) Blank : 시료를 넣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한 것임
(2) 배지상의 균수는 희석배수를 곱하여 산출한 것임
상기 표 3의 포도상구균에 의한 항균 시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온열 코팅층 조성물은 24시간 경과후에 99%의 정균 감소율을 나타내 보여 탁월한 항균 기능성을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하기 표 4와 도 5는 각각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온열 코팅층 조성물의 대장균에 의한 항균 시험 결과를 표와 사진으로 촬영하여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이는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원적외선/웰빙소재센터에서 시험방법 KICM-FIR-1002 및 사용균주 Escherichia coli ATCC 25922에 의한 시험결과이다.
대장균에 의한 항균 시험
시료구분 초기농도(CFU/40p) 24시간후농도(CFU/40p) 세균감소율(%)
본 발명의 실시예 422 2860 99.3
비교예(Blank) 422 3 -
(주) (1) Blank : 시료를 넣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한 것임
상기 표 4의 대장균에 의한 항균 시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온열 코팅층 조성물은 24시간 경과후에 99% 이상의 세균 감소율을 나타내 보여 탁월한 항균 기능성을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시험 결과를 사진으로 촬영하여 비교할 수 있도록 첨부한 도 5를 참조하면 좌측 사진의 비교예와 우측 사진의 실시예에 대한 세균 감소율을 육안으로도 확연하게 관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5)
하기 표 5는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온열 코팅층 조성물의 시료에 대한 암모니아(NH3) 탈취시험 결과를 표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이는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에서 시험방법 KICM-FIR-1085 : 2001에 의한 시험결과이다.
암모니아(NH3) 탈취시험
경과시간(분) 비교예(Blank)농도(ppm) 실시예 농도(ppm) 탈취율(%)
0 200 200 -
30 194 23 88.1
60 188 17 91.0
90 183 13 92.9
120 178 11 93.8
상기 표 5의 암모니아(NH3) 탈취시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온열 코팅층 조성물은 60분 경과시 90% 이상의 탈취율을 나타내며, 120분 경과시 93% 이상의 탈취율을 보이는 탁월한 탈취 기능성을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온열 코팅재가 속피재에 장입된 베개에 따르면, 사용자의 체온과 온열 코팅재의 상호작용에 의해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발생에 의한 광전효과를 최대로 유도하여 인체의 건강증진 기능을 이끌어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베개에 따르면, 사용자의 체온과 온열 작용으로 인한 땀과 체취가 누적되어 세균번식과 냄새가 베이게 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뛰어난 항균작용과 탈취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므로 매우 우수한 위생성과 사용상의 편의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10 : 충진재 111 : 메밀 껍질
112 : 코팅재 120 : 속피재
130 : 외피재

Claims (7)

  1. 충진재가 봉입된 속피재 및 그 속피재가 삽입되는 외피재로 이루어진 베개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온열 코팅재가 코팅된 메밀 껍질이 다수 충진되며,
    상기 온열 코팅재는, 증류수 30 내지 40중량%와 액상의 아크릴 에스테르 10 내지 20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혼합액에, 인조흑연 분말 35 ~ 45 중량%와 토르말린 3 ~ 7 중량% 및 게르마늄 3 ~ 7 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쇄물을 혼합하여 페이스트상의 코팅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기능성 건강 증진용 베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열 코팅재는 상기 메밀 껍질에 1.0 내지 2.0mm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기능성 건강 증진용 베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속피재는 면 원단으로 이루어지며, 면 원단 표면에 상기 온열 코팅재가 코팅된 코팅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기능성 건강 증진용 베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는 면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면 원단에 열전도체로서 은(Ag) 실을 재봉하여 누빈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기능성 건강 증진용 베개.
  5. 인조흑연 분말 45 ~ 55 중량%와 토르말린 3 ~ 7 중량% 및 게르마늄 3 ~ 7 중량%를 혼합하여 코팅 분쇄물을 조제하는 단계와;
    상기 코팅 분쇄물을 증류수 30 내지 40중량%와 액상 아크릴 에스테르 10 내지 20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혼합액에 넣고 교반하여 페이스트상의 코팅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페이스트상의 코팅 조성물에 메밀 껍질을 혼합하여 코팅하는 단계와;
    상기 코팅 조성물이 코팅된 메밀 껍질을 건조시키는 단계와;
    상기 코팅 조성물이 코팅된 메밀 껍질을 속피재에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기능성 건강 증진용 베개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을 상기 메밀 껍질에 코팅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코팅 조성물에 25±1 kg 범위의 메밀 껍질을 혼합하여 교반에 의해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기능성 건강 증진용 베개의 제조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이 코팅된 메밀 껍질을 건조시키는 단계에서는,
    건조기를 이용하여 80 내지 100℃ 온도 범위에서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기능성 건강 증진용 베개의 제조방법.
KR1020120157785A 2012-12-31 2012-12-31 항균 기능성 건강 증진용 베개 및 그 제조방법 KR101451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785A KR101451335B1 (ko) 2012-12-31 2012-12-31 항균 기능성 건강 증진용 베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785A KR101451335B1 (ko) 2012-12-31 2012-12-31 항균 기능성 건강 증진용 베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452A true KR20140087452A (ko) 2014-07-09
KR101451335B1 KR101451335B1 (ko) 2014-10-21

Family

ID=51736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7785A KR101451335B1 (ko) 2012-12-31 2012-12-31 항균 기능성 건강 증진용 베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13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132B1 (ko) * 2022-08-01 2023-10-11 이미숙 염주를 이용한 건강베개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848A (ko) 2018-05-17 2019-11-27 서화서 주거 및 생활용품 코팅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5758A (ko) * 2005-08-01 2007-02-06 고도남 토르말린 함유 건강 베개
KR200432701Y1 (ko) 2006-09-05 2006-12-07 정광진 다용도 건강쿠션
KR20090002295U (ko) * 2007-09-03 2009-03-06 류형석 음이온 및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기능성 침구
KR20120140414A (ko) * 2011-06-21 2012-12-31 (주)에버그린엔터프라이즈 기능성 침구류 내피용 온열 시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132B1 (ko) * 2022-08-01 2023-10-11 이미숙 염주를 이용한 건강베개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1335B1 (ko) 2014-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5820Y1 (ko) 건강 기능성 침구류
KR101546409B1 (ko) 기능성 베개용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베개
US20030102594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activated synthetic cottonwool
KR101451335B1 (ko) 항균 기능성 건강 증진용 베개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04927A (ko) 원적외선 방사 코팅제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909028B2 (ja) 抗菌性、脱臭性および防虫性を有すると共に、遠赤外線放射特性を有する複合レーヨンと牛乳蛋白繊維とを混紡または交撚して紡糸する加工糸の製造方法
CN108882412B (zh) 一种石墨烯负离子发热内暖被
CN201509955U (zh) 远红外线温热席梦思床垫
KR101703479B1 (ko) 페그마타이트 등을 포함한 직물발열체, 난방커튼 및 이의 제조방법
JP2836020B2 (ja) 抗菌性、脱臭性、防カビ性および防虫性を有すると共に、遠赤外線放射特性を有する複合レーヨンと絹繊維とを混紡または交撚して紡糸する加工糸の製造方法
KR20150001506A (ko)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 특성이 우수한 면상 발열 시트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면상 발열 시트
JP2006188803A (ja) 機能性繊維および機能性糸並びに布帛材料
KR100577926B1 (ko)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건강 테이프
KR101977618B1 (ko) 암염 침대
KR101495817B1 (ko) 옥을 함유한 난방필름
KR200326158Y1 (ko) 탄소성형체 패널을 이용한 침대
KR20210122326A (ko) 규조토, 일라이트를 함유하고 편백추출액으로 코팅된 건축용 마감재
KR102631664B1 (ko) 항균성이 우수한 기능성 쿠션재
CN201185798Y (zh) 多功能复合子母被
KR200372699Y1 (ko) 기능성 건강매트
JP3078249B2 (ja) 健康枕及びその製造法
KR20060045464A (ko) 옥 파우더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인조대리석
KR20120140414A (ko) 기능성 침구류 내피용 온열 시트 및 그 제조방법
CN117210196B (zh) 一种能够稳定发射远红外线、负离子的材料及其应用
KR200291627Y1 (ko) 은사직물을 이용한 전기온열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